KR20160046936A -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6936A
KR20160046936A KR1020140141491A KR20140141491A KR20160046936A KR 20160046936 A KR20160046936 A KR 20160046936A KR 1020140141491 A KR1020140141491 A KR 1020140141491A KR 20140141491 A KR20140141491 A KR 20140141491A KR 20160046936 A KR20160046936 A KR 20160046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kit
leak detection
leakage
housing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1486B1 (ko
Inventor
김영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형에프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형에프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형에프아이티
Priority to KR102014014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14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6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69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1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1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3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pipe joints or 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에는 각각 배관이 체결되고 타측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고정된 플랜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체결된 두 배관의 연결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체결부가 형성된 클램프; 및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에 위치하는 반응겔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 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배관이 플랜지나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된 부위에 배관을 흐르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즉각 감지할 수 있어 누출된 유체로 인한 유독가스중독, 주변환경오염, 화재나 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APPRATUS FOR DETECTING LEAK OF PIPE CONNECTING PART}
본 발명은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한 쌍의 배관이 플랜지나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된 부위에 배관을 흐르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즉각 감지할 수 있어 누출된 유체로 인한 유독가스중독, 주변환경오염, 화재나 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배관의 연결부위 등에서 배관을 흐르던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부취제를 이용해 감지하는 것이다.
부취제는 냄새가 나지 않는 유체에 첨가되어 유체가 외부로 누출될 때 냄새로써 감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환경오염을 일으키거나 인체에 유해한 독극물 또는 폭발성이 높은 가연성 가스일 경우에는 안전보건 및 위생상의 이유로 부취제를 첨가하도록 법률로 강제되어 있다.
상기 부취제는 예를 들어 부틸 메르캅탄(Butyl Mercaptan), 이소프로필 메르캅탄(Isopropyl Mercaptan), 에틸 메르캅탄(Ethyl Mercaptan), 테트라히드로 티오펜(Tetrahydro-thiophene), 디메틸 설파이드(Dimethyl Sulfide)이나 메틸 에틸 설파이드(Methyl Ethyl Sulfide) 등의 유기황 화합물로 이루어 진다.
기존의 부취제를 이용한 유체의 유출감지는 넓은 공간 내에서는 부취제를 첨가했다 해도 사람이 냄새를 맡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취제가 혼합되지 않은 무색 무취의 유체는 외부로 누출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없어 폭발이나 화재, 중독, 주변 환경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33493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나,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책은 제시되고 있지 못하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배관이 플랜지나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된 부위에 배관을 흐르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즉각 감지할 수 있어 누출된 유체로 인한 유독가스중독, 주변환경오염, 화재나 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관 내에 신선하고 깨끗한 상태의 에어가 공급되고 있을 경우 공기에 불순물이 섞여 있을 때 이를 즉시 감지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출감지키트의 하우징이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하우징 내에 수용된 반응겔의 색변화를 육안으로 즉각 식별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응겔은 누출감지키트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어 손상될 위험이 적어 배관 내의 유체가 유출되어 반응겔이 변색되기 전까지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누출감지키트는 클램프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해 반응겔이 변색된 후에는 클램프는 그대로 사용하고, 누출감지키트만 교체해 사용이 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는, 일측에는 각각 배관이 체결되고 타측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고정된 플랜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체결된 두 배관의 연결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체결부가 형성된 클램프; 및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에 위치하는 반응겔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가 좁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에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에 상응하는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과 하우징의 접촉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는, 넥(neck)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면에 적어도 1 이상의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 상에는 고무패킹이 체결되어 배관 일단의 내측면이 상기 돌출부에 긴밀하게 체결되는 누출감지 플랜지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하부에는 상기 넥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이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에 위치하는 반응겔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가 좁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에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에 상응하는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쌍의 배관이 플랜지나 용접 등에 의해 체결된 부위에 배관을 흐르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즉각 감지할 수 있어 누출된 유체로 인한 유독가스중독, 주변환경오염, 화재나 폭발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관 내에 신선하고 깨끗한 상태의 에어가 공급되고 있을 경우 공기에 불순물이 섞여 있을 때 이를 즉시 감지할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출감지키트의 하우징이 투명한 재질로 구비되어 하우징 내에 수용된 반응겔의 색변화를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반응겔은 누출감지키트의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있어 손상될 위험이 적어 배관 내의 유체가 유출되어 반응겔이 변색되기 전까지는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누출감지키트는 클램프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해 반응겔이 변색된 후에는 클램프는 그대로 사용하고, 누출감지키트만 교체해 사용이 가능한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체결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누출감지키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출감지키트에 형성된 미세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누출감지 플랜지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누출감지 플랜지에 배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의 체결방법에 대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램프와 누출감지키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누출감지키트에 형성된 미세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누출감지 플랜지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에 따른 누출감지 플랜지에 배관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100)는 일측에는 각각 배관(10)이 체결되고 타측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고정된 플랜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체결된 두 배관(10)의 연결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가 형성된 클램프(110); 및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10)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122)이 형성된 하우징(121) 및 상기 하우징(121)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123)에 위치하는 반응겔(125)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120); 를 포함한다.
즉,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100)는 클램프(110) 및 누출감지키트(12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클램프(110)는 반원 형태의 동일한 2개의 구성요소로 구비되고, 각각 양단부에는 볼트공이 있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관(10) 또는 플랜지(20)를 감싼 상태에서 볼트나 너트 등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프(110)에는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0)가 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가 좁아지도록 단턱(112)이 형성된다.
상기 누출감지키트(120)와 클램프(110)는 상기 단턱(112)과 맞닿는 하우징(121) 부분에서 볼트 등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누출감지키트(120)는 하우징(121)과 상기 하우징(121) 내에 수용되는 반응겔(125)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21)은 원통형의 상기 클램프(110)에 상응되도록 굴곡지도록 형성되고, 하우징(121) 내부 공간에는 반응겔 수용부(123)가 구비되어 상기 반응겔(125)이 수용된다.
이때, 상기 하우징(120)에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상응하는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12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클램프 체결부(124)는 상기 하우징(121)의 중앙부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응겔 수용부(123)가 내부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클램프 체결부(124)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의 내주면을 벗어나지 않도록 체결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관(10) 또는 플랜지(20)의 연결부에 밀착되도록 한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1)의 클램프 체결부(124)가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10)과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미세한 크기의 유입홀(122)이 형성되어 상기 배관으로부터 누출된 유체가 상기 유입홀(122)을 통해 상기 하우징(121)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반응겔(125)은 상기 유입된 유체와 반응하여 변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반응겔(125)은 상기 배관(10) 내에 흐르던 유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하여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브롬티몰블루(bromthymol blue)처럼 중성에서는 초록색을 띠고, 산성에서는 노란색, 염기성에서는 푸른색으로 각각 변색되는 지시약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21)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어 반응겔(125)의 변색이 발생했을 때에는 즉각 인지할 수 있어 이를 통해 상기 배관(10) 내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었다는 것을 예측하여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단턱(112)과 하우징(121)의 접촉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110)와 누출감지키트(120)가 서로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플랜지(200)는 넥(neck, 210)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면에 적어도 1 이상의 돌출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1) 상에는 고무패킹(미도시)이 체결되어 배관(10) 일단의 내측면이 상기 돌출부(211)에 긴밀하게 체결되는 누출감지 플랜지(20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1) 하부에는 상기 넥(2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10)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222)이 형성된 하우징(221) 및 상기 하우징(221)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223)에 위치하는 반응겔(225)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가 좁아지도록 단턱(213)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220)에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 상응하는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22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누출감지 플랜지(200)가 상기 배관(10)의 일단에 체결된 후, 상기 배관(10) 내로 신선하고 깨끗한 상태의 에어가 흐를 경우 에어는 계속해서 상기 누출감지키트(220) 내로 유입된다. 이때, 유입된 에어가 신선하고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면 상기 반응겔(225)은 아무런 변화를 일으키지 않지만 불순물이 상기 에어에 섞여 상기 유입홀(222)을 통해 유입된다면 상기 반응겔(225)은 불순물에 의해 변색될 것이다.
이때, 상기 하우징(221)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상기 반응겔(225)의 변색을 즉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턱(212)과 하우징(221)의 접촉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관 20 플랜지
100 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110 클램프 111 누출감지키트 체결부
112, 213 단턱 120, 220 누출감지키트
121, 221 하우징 122, 222 유입홀
123, 223 반응겔 수용부 124, 224 클램프 체결부
125, 225 반응겔 200 누출감지 플랜지
210 넥 211 돌출부
212 누출감지키트 삽입부 213 단턱

Claims (5)

  1. 일측에는 각각 배관(10)이 체결되고 타측은 서로 마주본 상태에서 고정된 플랜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거나 용접에 의해 체결된 두 배관(10)의 연결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수용하고,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가 형성된 클램프(110); 및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10)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122)이 형성된 하우징(121) 및 상기 하우징(121)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123)에 위치하는 반응겔(125)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120);
    를 포함하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가 좁아지도록 단턱(112)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120)에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체결부(111)에 상응하는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12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1)은 투명한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112)과 하우징(121)의 접촉면에는 고무패킹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5. 넥(neck, 210)에는 둘레를 따라 외측면에 적어도 1 이상의 돌출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1) 상에는 고무패킹(미도시)이 체결되어 배관(10) 일단의 내측면이 상기 돌출부(211)에 긴밀하게 체결되는 누출감지 플랜지(20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211) 하부에는 상기 넥(210)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1 이상의 홀 형태의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가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와 상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 삽입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 삽입되어 상기 배관(10)에 대응되는 내측면에는 유입홀(222)이 형성된 하우징(221) 및 상기 하우징(221) 내에 형성된 반응겔 수용부(223)에 위치하는 반응겔(225)을 포함하는 누출감지키트(220)를 포함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는 외주면을 따라 내측으로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가 좁아지도록 단턱(213)이 형성되고, 상기 누출감지키트(220)에는 상기 누출감지키트 삽입부(212)에 상응하는 형태의 클램프 체결부(22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KR1020140141491A 2014-10-20 2014-10-20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KR101631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491A KR101631486B1 (ko) 2014-10-20 2014-10-20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1491A KR101631486B1 (ko) 2014-10-20 2014-10-20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6936A true KR20160046936A (ko) 2016-05-02
KR101631486B1 KR101631486B1 (ko) 2016-06-27

Family

ID=5602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1491A KR101631486B1 (ko) 2014-10-20 2014-10-20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148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4486A (zh) * 2017-10-24 2018-03-06 柳哲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CN113983362A (zh) * 2021-04-25 2022-01-28 天津博宇钢管有限公司 一种管道泄漏监测及堵漏装置
KR20220155821A (ko) * 2021-05-17 2022-11-24 이준영 누설감지기능을 갖는 유체배관 실링용 클램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297B1 (ko) * 2013-03-27 2013-09-23 주식회사 비비테크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KR20140033877A (ko) * 2012-09-11 2014-03-19 박창기 체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3877A (ko) * 2012-09-11 2014-03-19 박창기 체결 장치
KR101310297B1 (ko) * 2013-03-27 2013-09-23 주식회사 비비테크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64486A (zh) * 2017-10-24 2018-03-06 柳哲 一种环形漏液检测传感器
CN113983362A (zh) * 2021-04-25 2022-01-28 天津博宇钢管有限公司 一种管道泄漏监测及堵漏装置
CN113983362B (zh) * 2021-04-25 2023-09-22 天津博宇钢管有限公司 一种管道泄漏监测及堵漏装置
KR20220155821A (ko) * 2021-05-17 2022-11-24 이준영 누설감지기능을 갖는 유체배관 실링용 클램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1486B1 (ko) 2016-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1486B1 (ko)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US20190094101A1 (en) Leak sensor assemblies and systems utilizing same
KR101310297B1 (ko) 가스 누설 확인 가능한 배관 클램프
CN205782027U (zh) 一种气体泄漏的指示装置
US8375770B2 (en) Engine leak detector and leak detection method
WO2006093935A3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leak-testing and qualification of fluid dispensing vessels
US5461904A (en) Leak detection means and method
EA200801116A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епрерывного контроля внутренних областей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бензохранилища
CN105431075A (zh) 内窥镜连接器具
KR20170016197A (ko) 누설 감지 모듈을 갖춘 배관 피팅용 보호커버
US10845265B2 (en) Gas indicator
JP2009251335A (ja) 流体漏洩模擬装置
CN104458161A (zh) 辅助制动用常开电磁阀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1503652B1 (ko) 가스누출 검지센서 및 이를 포함한 플랜지 조립체
KR101544209B1 (ko) 관 이음부 보호커버
KR101315188B1 (ko)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US20090315326A1 (en) Universal inlet adapter
CN205301290U (zh) 五合一气体检测仪
GB2509834A (en) A shield for a pipe joint carrying a pressurized fluid or gas
RU2703853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изуализации обжатия для обжимного соединителя
WO2010051912A2 (en) Leak testing of a pressure vessel
US7216795B2 (en) Mechanical weldable fitting for use in tapping a pipeline
KR20100120449A (ko) 배관용 커버 어셈블리
KR101799490B1 (ko) 방폭형 배선함
JP2004251657A (ja) 配管等からの流体の漏洩個所検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インジケ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