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5188B1 -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 Google Patents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5188B1
KR101315188B1 KR1020130085583A KR20130085583A KR101315188B1 KR 101315188 B1 KR101315188 B1 KR 101315188B1 KR 1020130085583 A KR1020130085583 A KR 1020130085583A KR 20130085583 A KR20130085583 A KR 20130085583A KR 101315188 B1 KR101315188 B1 KR 101315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manhole
upper housing
inspection apparatus
smoke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양근
김미경
이기용
김호섭
장은원
이인철
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5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5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5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5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7/00Other installations or implements for operating sewer systems, e.g.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stoppage; Emptying cesspoo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04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by using materials which expand, contract, disintegrate, or decompose in contact with a fl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에 송풍기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맨홀 상면에 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서 상기 맨홀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분사부로 구성되는 연막분사구; 상기 맨홀과 연통하는 관로를 봉하는 밀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INSPECTION APPARATUS FOR SEWER PIPE USING SMOKESCREEN}
본 발명은 점검대상구역의 맨홀 및 하수관거에 연막을 분사함으로써 누설지점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며, 누설점검과 더불어 소독이 가능하도록 하고, 내부적으로도 누설지점이 파악될 수 있도록 하는 하수관거 점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거는 땅 속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이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균열, 파괴 등에 의한 누설부분이 발생하더라도 특별한 시험을 거치지 않는 한 누설부분의 존재여부조차도 확인이 곤란하다.
특히 하수관거의 경우에는 콘크리트관 등 설치 작업시, 설치후 지반침하 등에 의해 균열, 파손에 의해 누설부분이 발생될 가능성이 많으므로 시공 후 누설에 대한 점검을 반드시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하수관거에 누설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을 통해 하수가 빠져나와 토양이나 지하수를 오염시켜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이를 사전 또는 사후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종래 하수관거의 누설에 대한 점검은 하수관로의 양단을 막은 상태에서 하수관로의 내부에 물을 주입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수밀점검이 있다. 수밀점검은 하수관로의 양단에 지수부재를 설치하고, 시험관 수두를 하수관에 비해 1M 정도 상측에 설치한 상태에서 실시한다.
이 상태에서 하수관거 내부의 공기를 제거하면서 하수관거 내부로 물을 주입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 시험관 수두에 남아있는 물의 잔량을 확인하여 누수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수밀시험 방법은 하수관의 내부에 물을 주입해야 시험이 가능하므로 하수관에 대한 급수 및 배수에 따라 시험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30020호에서는 테스트용 관로와 이에 연결되는 보조 관로 사이의 맨홀 상단에 내부가 밀폐되도록 설치되는 시험용 맨홀커버와, 상기 맨홀과 보조 관로의 연결부 및 상기 테스트용 관로와 타측 맨홀의 연결부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재와, 상기 테스트용 관로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재와, 상기 시험용 맨홀커버와 공기 공급부재를 연결하는 공기관을 개폐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시험용 맨홀 커버에 설치되어 내부 압력의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재와, 상기 압력감지부재에 의해 감지된 압력변화를 통해 테스트용 관로의 누설 여부를 판단하는 밀폐시험 제어장치를 제시하고 있어 종래기술에 비해 시험시간이 단축되고, 누설시험을 위하여 물을 확보하거나 시험 후 물을 제거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기술의 경우 누설부분의 존재여부를 파악할 수는 있지만 정확한 누설부분을 확인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43002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점검대상구역의 하수관로 등에서 누설지점의 파악이 용이하고, 이에 더하여 하수관로의 소독이 가능한 하수관로 점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의한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는 상단에 송풍기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맨홀 상면에 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서 상기 맨홀내부로 연통하는 분사부로 구성되는 연막분사구; 상기 맨홀과 연통하는 관로를 봉하는 밀폐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일 예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송풍기의 하부에 연막주입라인 및 소독가스주입라인이 연통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기 하부에 연막발생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일측에 내부와 연통하며 일단이 개폐가 가능한 덮개가 형성되는 소독기연결관이 구성되며, 상기 소독기연결관의 내주연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밀폐캡이 구성되되, 상기 연결공은 그 테두리에 탄성구가 내재되어 상기 연결공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또한, 일 예로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연막주입라인에 의해 공급되는 연막 또는 상기 연막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연막에는 세균과 반응하여 착색반응을 일으키는 착색염료가 포함되도록 하여 점검대상구역의 맨홀 및 하수관거에 연막분사시 생물막이 형성된 부분에 상기 착색염료에 의한 변색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 예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맨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분사부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제 1튜브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상기 밀폐구는, 내부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제 2튜브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는 하수관거 점검에 연막을 분사함에 있어 맨홀, 맨홀과 연결된 관거를 밀폐함으로써 정확한 누수지점의 파악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는 하수관거에 연막을 분사함과 동시에 또는 선택적으로 소독가스를 분사하도록 함으로써 하수관거는 물론 누수지점에서 이물질 침적에 의해 번식할 수 있는 세균을 사멸토록 하며, 이렇게 생물막을 근절시킴으로써 향후 견고한 보수/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는 하수관거에 착색염료가 포함된 연막을 분사함에 따라 특히 균열부분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세균과 착색반응에 의해 변색이 되도록 하여 향후 보수/보강에 있어 균열, 누설부분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분사부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며의 일 구성인 밀폐구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되는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100)는 연막분사구(110)와 밀폐구(120)로 구성되는 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막분사구(110)가 점검대상구역의 일 맨홀(10)에 장착되고, 밀폐구(120)가 점검대상구역 외의 하수관거(30)에 장착되어 상기 연막분사구(110)가 점검대상구역의 맨홀(10) 및 하수관거(20)에 연막을 분사토록 함에 따라 점검대상구역에서 하수관거(20)는 물론 이와 연통하는 배수관(도면번호 없음), 우수관(도면번호 없음) 등에서 연막이 누설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함에 의해 누설지점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막분사구(110)는 도 2 등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에 송풍기(111)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113)과,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맨홀(10) 상면에 거치되는 플랜지부(114)와, 상기 플랜지부(114)의 하면에서 상기 맨홀(10) 내부와 연통하는 분사부(115)로 구성됨에 특징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상단에는 외부와 연통하도록 메쉬망(112)이 형성되며, 상기 송풍기(111)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외부와 전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외부 또는 내부에서 스모크생성수단에 의해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내부에 스모크가 생성되면 상기 송풍기(111)가 가동되어 생성된 스모크가 맨홀(10)은 물론 점검대상구역의 하수관로(20)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스모크가 맨홀(10) 내부 등에 분사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분사부(115)가 구성되는 것으로, 도 2 등에서는 상기 분사부(115)의 예로 상기 플랜지부(114)에 관통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모크"라함은 살균성분이 없는 "연막"과 살균성분이 있는 "소독가스"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모크생성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2가지 실시 예가 제시된다.
우선 첫 번째 실시 예가 도 2에 도시되고 있는 바,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측면에서 상기 송풍기(111)의 하부에 연막주입라인(130) 및 소독가스주입라인(140)이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예를 제시한다.
즉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외부에서 생성된 연막을 상기 연막주입라인(130)을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13) 내부로 공급토록 하고, 공급된 연막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풍기(111)의 가동에 의해 상기 분사부(115)를 통해 점검대상구역의 맨홀(10) 및 하수관로(20)로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외부에서 생성된 소독가스를 연막과 동시/선택적으로 상기 소독가스주입라인(140)을 통해 상기 상부하우징(113) 내부로 공급토록 하고, 공급된 소독가스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송풍기(111)의 가동에 의해 상기 분사부(115)를 통해 점검대상구역의 맨홀(10) 및 하수관로(20)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렇게 소독가스가 연막과 동시/선택적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점검과 동시에 점검대상구역의 맨홀(10) 및 하수관로(20)를 소독하는 것은 물론,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누설지점(C)의 경우 누설된 틈에서 이물질이 침적되어 세균번식이 왕성하게 되는 바, 이러한 누설지점(C)의 세균번식을 제어하는 것이다.
누설지점(C)의 세균번식은 그 자체로도 관로를 유동하는 유체를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누설지점(C)의 보강/보수시 누설지점(C)에 형성된 생물막은 사후적으로 열화의 원인이 되어 보강/보수부분의 탈리 등 견고한 보강/보수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점검과 동시에 이러한 취약부분의 멸균을 소독가스의 분사에 의해 해결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 상기 연막주입라인(130) 및 상기 소독가스주입라인(140)에는 각각 연막생성부(131) 및 소독가스생성부(141)가 구성되도록 하는 바, 이러한 연막생성부(131)에 의한 연막생성 및 소독가스생성부(141)에 의한 소독가스 생성은 다양한 공지기술의 적용이 가능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두 번째 실시 예가 도 3에 도시되고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우선 연막생성부(117)가 상기 상부하우징(113)의 내부에 형성되며, 그 형성위치는 상기 송풍기(111)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연막생성부(117)의 경우도 다양한 방법에 의해 연막이 생성되도록 할 수 있는 바, 도 3에서는 발연물질이 저장되는 연소실(117-1)과 상기 연소실(117-1)에 열을 공급하여 연소실(117-1)의 발연물질이 연소하여 연막이 생성되도록 하는 히터(117-2)가 상호 작용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본 실시 예에서는 연막생성시 상기 상부하우징(113) 내부의 연막생성부(117)로부터 연막이 생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실시 예의 경우는 첫 번째 실시 예와 같이 별도의 소독가스라인(생성부)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소독가스분무기를 이용하도록 하여 장치를 간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13)에는 일측에 내부와 연통하며 일단이 개폐가 가능한 덮개(116-1)가 형성되는 소독기연결관(116)이 구성되도록 하여 소독가스를 분사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덮개(116-1)를 열어 상기 소독기연결관(116)으로 소독가스분무기(40)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즉 소독가스분무기(40)를 가동함에 따라 상기 상부하우징(113)으로 소독가스가 유입되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송풍기(111)의 가동에 의해 점검대상구역의 맨홀(10), 하수관거(20)에 소독가스가 분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소독가스분무기(40)와 상기 소독기연결관(116)의 연결에 있어 연결부에서 소독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소독기연결관(116)의 내주연에는 연결공(116-3)이 형성된 밀폐캡(116-2)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밀폐캡(116-2)은 일단이 상기 소독기연결관(116)을 완전히 밀봉하도록 부착되며, 타단에 상기 소독가스분무기(40)가 삽입될 수 있는 연결공(116-3)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연결공(116-3)은 그 테두리에 탄성구가 내재되어 상기 연결공(116-3)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타당하다.
즉 상기 연결공(116-3)은 상기 소독기연결관(116)의 삽입에 의해 직경이 커지면서 상기 탄성구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연결공(116-3)이 상기 소독기연결관(116)의 외주연을 압착하여 밀봉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결공(116-3)의 구성에 기해 다양한 사이즈의 소독가스분무기(40)가 사용될 수 있어 호환성을 높이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막주입라인(130)에 의해 공급되는 연막 또는 상기 연막생성부(117)에서 생성되는 연막에는 세균과 반응하여 착색반응을 일으키는 착색염료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점검대상구역에 분사되는 연막에 착색염료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은 점검대상구역의 맨홀 및 하수관거에 연막을 분사하여 누설을 점검함에 있어 연막에 포함되는 착색염료가 맨홀 및 하수관거에 존재하는 생물막과 반응을 하여 착색이 되도록 하는데, 특히 균열, 누설부분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세균의 번식이 타 영역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바, 이에 연막에 포함된 착색염료가 이러한 균열, 누설부분에서 착색반응에 의한 착색이 더욱 확실히 되는 것이다.
이러한 착색에 의해 향후 보수/보강시 균열, 누설부분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본 발명은 연막에 의한 누설을 통해 지상에서 누설지점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지상까지 누설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지중으로 누설이 발생한 부분의 경우도 착색반응에 의해 누설지점을 도출해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착색염료는 미세분말화 하여 연막과 함께 분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착색염료의 예로는 레이차드염료, 메로시아닌염료, 레드피라졸론염료, 아조메틴염료 등 또는 이들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 등에 도시된 분사부(115)의 다른 실시 예의 분사부(115a)를 도 4에서 제시한다.
상기 분사부(115a)는 상기 플랜지(114)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맨홀(10)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렇게 분사부(115a)가 맨홀(10) 내부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연막(소독가스)의 분사에 있어 직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분사부(115a)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제 1튜브(150)가 형성되도록 하는 바, 상기 맨홀(10)의 상면에 상기 연막분사구(110)를 장착시 상기 제 1튜브(150)에 공기를 뺀상태에서 상기 플레이트부(14)가 상기 맨홀(10)의 상면에 걸리도록 안치하고, 공기주입라인(151)을 통해 상기 제 1튜브(150)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제 1튜브(150)의 팽창에 의해 상기 연막분사구(110)가 상기 맨홀(10)에 견고하게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제 1튜브(150)를 구성하는 이유는 분사된 연막(소독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송풍기(11) 등의 가동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진동을 잡아주어 소음을 감소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튜브(150)는 고무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맨홀(10) 내주연의 평활도에 영향없이 수밀 및 진동제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밀폐구(120)의 예를 제시한다.
상기 밀폐구(120)는 내부의 몸체(121)와 상기 몸체(121)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제 2튜브(122)로 구성되도록 하는 바, 점검대상구역에서 밀봉할 하수관로(30)의 초입에 상기 제 2튜브(122)에 공기를 뺀상태에서 상기 밀폐구(120)를 안치하고, 공기주입라인(123)을 통해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제 2튜브(122)가 하수관로(30)를 밀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도 제 2튜브(122)는 고무재질을 사용함으로써 하수관로(30) 내주연의 평활도에 영향없이 수밀이 가능하도록 하여 분사된 연막(소독가스)가 점검대상구역 외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여 점검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맨홀 20 : 점검대상구역 하수관로
30 : 점검대상구역 외 하수관로 40 : 소독가스분무기
110 : 연막분사구 120 : 밀폐구

Claims (8)

  1. 상단에 송풍기가 형성되는 상부하우징과, 상기 상부하우징의 하단에 돌출 형성되며 맨홀 상면에 거치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면에서 상기 맨홀 내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는 분사부로 구성되는 연막분사구; 및
    상기 맨홀과 연통하는 관로를 봉하는 밀폐구;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송풍기 하부에 연막생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일측에 내부와 연통하며 일단이 개폐가 가능한 덮개가 형성되는 소독기연결관이 구성되며, 상기 소독기연결관의 내주연에는 연결공이 형성된 밀폐캡이 구성되되, 상기 연결공은 그 테두리에 탄성구가 내재되어 상기 연결공의 직경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연막에는 세균과 반응하여 착색반응을 일으키는 착색염료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염료는 레이차드염료, 메로시아닌염료, 레드피라졸론염료, 아조메틴염료 중 하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플랜지의 하면에서 돌출되어 맨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며, 상기 분사부의 외주연에는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제 1튜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는,
    내부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될 수 있는 제 2튜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KR1020130085583A 2013-07-19 2013-07-19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KR101315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83A KR101315188B1 (ko) 2013-07-19 2013-07-19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583A KR101315188B1 (ko) 2013-07-19 2013-07-19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15188B1 true KR101315188B1 (ko) 2013-10-07

Family

ID=4963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583A KR101315188B1 (ko) 2013-07-19 2013-07-19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518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32202A (zh) * 2019-01-16 2019-04-16 深圳市巍特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管道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102024232B1 (ko) 2018-05-11 2019-09-23 공민근 하수관거의 유지관리장치
KR102213950B1 (ko) * 2020-10-28 2021-02-0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수관로 오접, 파손 조사용 밀폐장치
KR20220023154A (ko) * 2020-08-20 2022-03-02 허근태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KR102441575B1 (ko) 2021-08-31 2022-09-06 임덕교 하수관로 연막 소독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796U (ko) * 1985-09-26 1987-04-07
JPH04105187U (ja) * 1991-02-18 1992-09-10 株式会社カンツール 下水道管路点検装置
KR0127514Y1 (ko) * 1995-05-10 1998-12-01 이효계 하수관의 오접확인기구
KR200430020Y1 (ko) * 2006-07-03 2006-11-02 류재용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5796U (ko) * 1985-09-26 1987-04-07
JPH04105187U (ja) * 1991-02-18 1992-09-10 株式会社カンツール 下水道管路点検装置
KR0127514Y1 (ko) * 1995-05-10 1998-12-01 이효계 하수관의 오접확인기구
KR200430020Y1 (ko) * 2006-07-03 2006-11-02 류재용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232B1 (ko) 2018-05-11 2019-09-23 공민근 하수관거의 유지관리장치
CN109632202A (zh) * 2019-01-16 2019-04-16 深圳市巍特环境科技股份有限公司 管道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KR20220023154A (ko) * 2020-08-20 2022-03-02 허근태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KR102534811B1 (ko) 2020-08-20 2023-05-18 허근태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KR102213950B1 (ko) * 2020-10-28 2021-02-09 주식회사 대한엔지니어링 하수관로 오접, 파손 조사용 밀폐장치
KR102441575B1 (ko) 2021-08-31 2022-09-06 임덕교 하수관로 연막 소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5188B1 (ko)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KR200430020Y1 (ko)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DE602008003887D1 (de) Flanschanpassung mit Leckagensensoranschluss
NZ54894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liquid flow control devices
EA200201189A1 (ru) Борьба с протечками в трубопроводе
US6546951B1 (en) Appliance safety hose
US3688801A (en) Method for replacing gas mains
CN108452353A (zh) 整体式化学淋浴系统
KR101284359B1 (ko) 버터플라이 밸브 단면고정형 수명시험장치
US20040118186A1 (en) Leak detecting device
JP3476187B2 (ja) 排水管の漏洩試験方法及び試験用治具
KR101725819B1 (ko)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CN111562057A (zh) 一种地下外墙进出管线严密性检测装置及检测方法
KR101604398B1 (ko)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101631486B1 (ko) 배관 연결부의 누출감지 장치
CN211927639U (zh) 气体过滤器检测装置、气体过滤装置和生物反应系统
KR102024232B1 (ko) 하수관거의 유지관리장치
KR20140131116A (ko) 하수구 배관의 누수 탐지 장치
KR200385537Y1 (ko) 옥내배관용 관 세척장치
KR200280446Y1 (ko) 관 수밀 검사용 밀폐장치
KR102036650B1 (ko) 수질 오염 방지를 위한 관로 조사용 삽입 케이블의 소독장치
CN210015046U (zh) 一种法兰酸碱液体滴漏保护装置
CN205424264U (zh) 一种成套管道非开挖修漏装置
JP2000080692A (ja) 配管系満水試験継手用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