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23154A -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 Google Patents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23154A
KR20220023154A KR1020200104709A KR20200104709A KR20220023154A KR 20220023154 A KR20220023154 A KR 20220023154A KR 1020200104709 A KR1020200104709 A KR 1020200104709A KR 20200104709 A KR20200104709 A KR 20200104709A KR 20220023154 A KR20220023154 A KR 20220023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packer
cover
equipment
man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4811B1 (ko
Inventor
허근태
Original Assignee
허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근태 filed Critical 허근태
Priority to KR102020010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4811B1/ko
Publication of KR20220023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23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4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4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막대형 연막재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지중 관거 시설에 강제로 주입하여 유입수(Inflow) 또는 침입수의 침투 경로를 파악함에 있어 사용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공기 주입식 체적 가변형 탄성 패커를 포함하는 링 또는 환형의 패커부와, 패커부의 상단에 패커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패커부와 함께 맨홀 입구를 봉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 및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연막재가 발생시킨 연기를 커버부를 통해 관거 시설에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관형의 본체부를 포함하며, 본체부는 커버부에 형성되며 패커부의 내측 공간과 통하는 체결관부에 직결되고, 본체부의 상단 개구 주변에 적어도 둘 이상의 연막재 고정대가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Smoke testing equipment for pipe & culvert inspection}
본 발명은 연막시험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연기를 지중 관거 시설에 강제 주입하여 관 연결부의 수밀 상태나 크랙(Crack) 등에 의한 유입수(Inflow)의 침투 경로를 굴착이나 작업자 투입 없이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되는 관거 시설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노후, 충격, 외압 등으로 인해 손상되어 균열이 생기게 된다. 이처럼 관거 시설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분으로 침입수나 유입수(Inflow)가 발생되어 식수 오염, 토양 오염,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를 야기시키게 되므로, 문제가 발생된 부분에 대한 신속한 보수가 수반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관거 시설의 손상이 예상되는 부분을 굴토를 통해 찾아내고, 그렇게 찾아낸 손상 부위를 보수하거나 새로운 하수관으로 교체 매설하는 방식으로 보수 작업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손상된 구간을 단순 추측을 통해 찾아내 보수를 행하는 이러한 방법은, 손상구간에 대한 예측 정확도가 현저히 낮아 시간적, 물적 손실이 과다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굴토 없이 손상된 부위를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찾아내는 여러 양태의 검사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 하나가 수밀 검사이다. 수밀 검사는 관거 시설의 손상이 예상되는 구간을 밀폐장치로 막고, 밀폐된 구간에 대한 수밀성 검사를 통해 관로의 오접 여부나 균열에 의한 유입수나 침입수 경로를 찾아내는 검사이다.
수밀 검사는 일반적으로 오수관로나 합류관로(차집관로 포함)에 대하여 수행하며, 외부에서 관로 내로 침입하는 침입수량을 측정하는 침입시험(Infiltration test)과 관로 내에서 관로 외부로 침출되는 침출량을 측정하는 침출시험(Exfiltration test)으로 구분되는데, 침입시험에는 양수시험이 있으며, 침출시험에는 누수시험, 공기압시험, 압송관의 수압시험 등이 있다.
관로의 오접 여부나 균열에 의한 유입수나 침입수 경로를 찾아내기 위한 수밀 검사의 다른 양태로서 최근에는, 검사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는 연막시험, 염료시험, 음향시험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막시험(Smoke test), 염료시험(Dyed test), 음향시험(Acoustic test) 등은 관로 정비 시 대상지역의 지반 환경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 적절한 것을 선택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 중 연막시험(Smoke test)은 유입수의 발생 위치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찾아낼 수 있는 방안으로서, 관거 시설에 주입된 연기의 유동으로부터 관 연결부의 수밀 상태나 크랙 등에 의한 유입수의 침투 경로를 찾아내는 시험이다. 유입수 발생은 지붕 홈통, 분수 및 빌딩 배수, 관로 오접 등에 기인하기 때문에 연막시험으로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크게, 송풍기(110)를 탑재한 본체부(100)와 맨홀 커버부(300), 그리고 본체부(100)와 맨홀 커버부(300)를 연결하는 플렉시블 관(200)으로 구성된다. 맨홀 커버부(300)는 맨홀 뚜껑이 탈거된 맨홀 입구에 상기 맨홀 뚜껑처럼 설치되며, 본체부(100)는 송풍기가 일으킨 공기유동에 연막재의 연기(Smoke)를 실어 맨홀 커버부(300)에 전달한다.
플렉시블 관(200)을 통해 맨홀 커버부(300)에 전달된 연기(Smoke)는, 상기 송풍기(110)가 일으키는 공기유동에 의해 시험 대상 구간의 지중 관거 시설로 강제 배출되고, 시험 대상 구간의 지중 관거 시설을 유동하는 도중 크랙이나 오접 등 문제가 있을 경우 해당 부분을 통해 외부로 누출된다. 이때 누출된 연기를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문제의 지점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전용 장비(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를 통해 수행되는 연막시험(Smoke test)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관 연결부의 수밀 상태나 크랙 등에 의한 유입수의 침투 경로를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신속하게 파악 가능한 장점이 있는 방안이지만, 이를 위해 사용되는 종래 전용 장비(도 1의 전용 장비)는 장비의 취급이나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 1과 같은 종래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본체부(100)와 맨홀 커버부(300)가 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비 이동 시 불편함이 수반될 수 밖에 없으며, 장비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본체부(100)와 맨홀 커버부(300)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동 후 현장 조립 방식으로 장비를 취급해야 했기 때문에, 장비 이동 및 이를 위한 장비의 분해, 조립에 시간적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958388호(등록일 2010.05.10) 한국등록특허 제10-1668837호(등록일 2016.10.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분해, 조립 등이 필요 없어 시간 절약 및 현장 즉시 사용이 가능하고, 이동 및 취급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막대형 연막재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지중 관거 시설에 강제로 주입하여 유입수(Inflow)나 침입수의 침투 경로를 파악함에 있어 사용하는 장비로서,
탄성 패커를 포함하는 링 또는 환형의 패커부;
상기 패커부의 상단에 패커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커부와 함께 맨홀 입구를 봉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막재가 발생시킨 연기를 상기 커버부를 통해 관거 시설에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관형의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커버부에 형성되며 패커부의 내측 공간과 통하는 체결관부에 직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구 주변에 상기 연막재 고정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연막재 고정대가 설치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바람직하게, 장비 이동을 위해 상기 커버부 또는 본체부에 연결되는 이동식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식 지지부는 장비의 수평 이동 및 장비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식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각각의 하단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캐스터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며 손잡이를 구비하는 연결대와, 상기 지지대와 커버부 또는 상기 지지대와 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 상단에 상기 상단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송풍기 덮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커버부에 공기 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전용 관 또는 호스로 상기 탄성 패커와 연결됨으로써, 공기 주입구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탄성 패커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탄성 패커가 팽창됨으로써 커버부와 맨홀 입구 사이의 실링성이 증대되고 맨홀 입구에 대한 커버부의 결합력이 높아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 패커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패커부가 맨홀 입구 측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패커부의 직경은 맨홀 입구 직경보다 작고, 맨홀 입구 주변의 지면 또는 맨홀 상단에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가 걸치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직경은 적어도 상기 맨홀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막재 고정대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의 단부에 집게(Gripper)가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 패커는 공기가 주입되면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면서 맨홀 입구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공기 주입식 체적 가변형 탄성 패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에 의하면, 커버부와 본체부가 한 몸체로 이루어진 일체형으로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은 분해, 조립 등이 필요 없어 시간 절약이 가능하고 현장 즉시 사용이 가능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동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를 나타내는 도면대용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정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절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본체부 상단의 송풍기 덮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는 도 2의 연막재 고정대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
도 7은 연막재 고정대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정면도.
도 10은 지중 관거 시설에 대한 연막시험(Smoke test)을 위해 시험 대상 구간의 맨홀 입구에 본 발명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하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절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본체부 상단의 송풍기 덮개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1)는, 막대형 연막재(C)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지중 관거 시설에 강제로 주입하여 유입수(Inflow)나 침입수의 침투 경로를 파악함에 있어 사용하는 장비로서, 패커부(10)를 포함한다. 패커부(10)는 링 또는 환형의 림(rim, 12)과 림(12)의 외면부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탄성 패커(14)를 포함한다.
림의 하단부 외연에는 상기 탄성 패커(14)의 하부 이탈을 막기 위한 이탈방지턱(13)이 림(12)의 반경반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 패커(14)는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반경 방향으로 팽창되고, 반대로 공기를 빼면 원래의 상태로 수축되는 고무나 실리콘과 같은 탄력 재질의 공기 주입식 체적 가변형 튜브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패커부(10)의 상단에는 커버부(20)가 구성된다. 커버부(20)는 패커부(10)보다 큰 직경으로 패커부(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 시 상기 패커부(10)와 함께 맨홀 입구(E)를 봉쇄하도록 설치된다. 커버부(20)의 상면 중앙에는 패커부(10)의 내측 공간(림의 안쪽 공간)과 통하는 원통 모양의 체결관부(22)가 형성되며, 공기 주입구(24)가 커버부(20)의 일측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커버부(20)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상기 공기 주입구(24)는 커버부(20) 하면부를 따라 배치되는 전용 관 또는 호스(도시 생략)를 통해 상기 탄성 패커(14)와 연결됨으로써 상기 공기 주입구(24)를 통해 주입된 공기가 탄성 패커(14)에 공급될 수 있으며, 공기 주입구(24)에서 공급된 공기로 탄성 패커(14)가 팽창됨으로써 커버부(20)와 맨홀 입구(E) 사이의 실링성이 확보되고 맨홀 입구(E)에 대한 커버부(20)의 결합력이 증대된다.
패커부(10)의 직경(D1)은 바람직하게, 탄성 패커(14)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패커부(10)가 맨홀 입구(E) 측에 간섭 없이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규격화된 맨홀 입구(E)의 직경(D2)보다는 작게 형성되고, 커버부(20)의 직경(D3)은 맨홀 입구(E) 주변의 지면 또는 맨홀 상단에 상기 커버부(20)의 가장자리가 걸치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기 맨홀 입구(E)의 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20)의 상부에는 본체부(30)가 구성된다. 본체부(30)는 상기 커버부(20)에 형성되며 패커부(10)의 내측 공간과 통하는 전술한 체결관부(22)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의 예시와 같은 플랜지 커플링을 통해 커버부(20)와 직결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부(30)는 상기 체결관부(22)와 직결되는 관형, 바람직하게는 원통 모양의 하우징(32) 및 하우징(32) 내측에 수용되는 송풍기(34)를 포함한다.
송풍기(34)는 관거 시설을 향하는 강한 공기유동을 발생시켜 연막재(C)에 의한 연기를 상기 커버부(20)를 통해 관거 시설에 강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송풍기(34)는 전원 인가 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340)와 모터부(340)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휀(342)으로 구성된 일반적인 구성일 수 있으며, 이때 모터부(340)는 별도의 지지 브라켓(부호 생략) 등으로 하우징(32) 내측에 동심 배치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34)를 수용하는 본체부(30)의 상기 하우징(32) 상단에는 송풍기 덮개(35)가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 덮개(35)는 바람직하게, 상기 하우징(32) 상단의 개구(32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의 예시와 같이 힌지축(330)과 이를 회전 가능하게 수용하는 힌지바디(332)로 구성된 힌지부(33)를 통해 그 외연의 일단이 상기 하우징(32)의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송풍기 덮개(35)를 닫아 하우징(32) 내측으로 먼지나 이물 등이 유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송풍기 덮개(35)를 개방하여 목적하는 시험(연막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는 도 2의 연막재 고정대 부분을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본체부(30)의 상단 개구(320) 주변에는 연막재 고정대(36)가 설치된다. 이러한 연막재 고정대(36)는 점화 시 다량의 연기를 발생시키는 막대형 연막재(C)를 송풍기(34) 구동 시 외부 공기가 강제 유입되는 상기 본체부(30)의 상단 개구(320) 주변에 고정시켜주는 수단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연막재 고정대(36)는 바람직하게, 도 6의 예시와 같이 상기 본체부(30)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라켓(360)의 단부에 집게(Gripper, 362)가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된 구성이거나, 연막재 고정대(36)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7의 예시와 같이, 상기 브라켓(360)에 집게(362)가 볼 조인트(Ball joint, 365)로 연결되어 상하는 물론 좌우로도 자유로이 각도가 조절되는 구성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부(30) 하우징(32)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연막재 고정대(36)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람의 방향에 따라 연기가 외부로 분산되지 않고 상기 하우징(32) 개구(320)를 통해 본체부(30) 내측으로 원활하게 강제 유입될 수 있는 위치로 연막재(C)를 손쉽게 이동시킬 수 있어서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연막재 고정대(36)에 고정되는 연막재(C)는 고형의 연막재(C)로서 막대형 또는 초크형일 수 있으며, 백색, 적색, 회색 등으로 착색된 발연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막재(C)가 발생시킨 연기(Smoke)는 송풍기(34)에 의해 상기 개구(320)에 작용하는 흡입력에 의해 본체부(30)로 강제 유입되고, 반대편 커버부(20) 및 패커부(10)를 통해 시험 대상 구간의 지중 관거 시설 측에 강제 배출될 수 있다.
앞선, 도 2 내지 도 3에서 미설명 도면 부호 40은 제어박스를 가리킨다. 이러한 제어박스(40)에는 전술한 송풍기(34) ON/OFF를 전원 스위치, 과전류 인가 시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여 전류가 흐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과전류로부터 송풍기(34)를 보호하는 과전류 차단기 등이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연막재(C)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구획될 수도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에 관한 도면으로서, 도 8은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도시된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정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림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전술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커버부(20) 또는 본체부(30)에 연결되는 이동식 지지부(50)를 더 포함으로써 장비의 이동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패커부(10), 커버부(20), 본체부(30)의 구성은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예에 적용된 이동식 지지부(50)는 설치 대상면 상에서의 장비의 수평 이동 및 장비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식 지지부(50)는, 커버부(20)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52)와, 지지대(5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대(54), 그리고 지지대(52)와 커버부(20) 또는 지지대(52)와 본체부(30)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승강 실린더(58)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지지대(52) 각각의 하단에는, 장비를 수평방향으로 자유자재로 이동시키거나 맨홀 입구(E)의 위치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의 회전형 캐스터(53)가 장착되고, 연결대(54)에는 장비 이동을 위해 작업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실린더(58)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복동 실린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를 통해 수행되는 지중 관거 시설에 대한 연막시험(Smoke test) 과정을 상기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의 작동과 연계하여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이동식 지지부(50)가 부착된 전술한 연막시험장비를 예로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지중 관거 시설에 대한 연막시험(Smoke test)을 위해 시험 대상 구간의 맨홀 입구에 본 발명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0 및 앞선 도 2 내지 도 9를 함께 참조하면, 유입수(Inflow)나 침입수의 침투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지중 관거 시설에 대한 연막시험(Smoke test)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먼저, 시험 구간을 설정하고 시험 구간에 속한 맨홀과 이웃하는 다른 맨홀을 확인한다. 그리고 맨홀로 내려가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각 맨홀 전방의 관로에 플러그(또는 '패커'라고도 함, P)를 설치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유수를 차단한다.
그런 다음, 두 개의 맨홀 중 유수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 측에 위치한 맨홀의 입구(E) 상측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막시험장비(1)를 정확하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승강 실린더(58)를 아래로 작동시켜 상기 상류 측 맨홀의 입구에 연막시험장비를 거치시킨 후, 탄성 패커(14)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시킴으로써 맨홀 입부에 장비가 단단히 밀착되도록 한다.
다음, 본체부(30) 상단의 송풍기 덮개(35)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돌려 외부가 공기가 유입되는 개구(320)를 오픈하고, 연막재(C)를 점화한 후 상기 본체부(30)의 연막재 고정대(36)에 고정한 다음 전원 스위치를 스위치 On시켜 송풍기(34)를 작동시키면, 연막재(C)의 연기가 외부 공기와 함께 상기 본체부(30)로 강제 유입되고 시험 대상 구간의 지중 관거 시설을 향하여 강제 배출된다.
연기는 상기 송풍기(34)가 발생시키는 강한 송풍력에 의해 공기에 실려 시험 구간의 지중 관거 시설을 빠른 속도로 유동하며, 도중 크랙이나 오접 등 문제가 있는 경우 해당 부분을 통해 외부로 누출된다. 이때 작업자는 누출되는 연기의 위치로부터 문제의 지점(크랙이나 오접 등이 발생된 지점)을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본체부와 맨홀 커버부가 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비 이동 시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장비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본체부와 맨홀 커버부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동 후 현장 조립 방식으로 장비를 취급해야 하므로, 장비 이동 및 이를 위한 장비의 분해, 조립에 시간적 손실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는, 커버부와 본체부가 한 몸체로 이루어진 일체형으로 구성으로서, 종래와 같은 분해, 조립 등이 필요 없어 시간 절약이 가능하고 현장 즉시 사용이 가능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동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여 사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10 : 패커부
12 : 림(rim) 13 : 이탈방지턱
14 : 턴성 패커 20 : 커버부
22 : 체결관부 24 : 공기 주입구
30 : 본체부 32 : 하우징
33 : 힌지부 34 : 송풍기
36 : 연막재 고정대 35 : 송풍기 덮개
40 : 제어박스 50 : 이동식 지지부
52 : 지지대 53 :캐스터
54 : 연결대 55 : 손잡이
58 : 승강 실린더 320 : 개구
330 : 힌지축 332 : 힌지바디
340 : 모터부 342 : 휀
360 : 브라켓 362 : 집게
365 : 볼 조인트 C : 연막재
E : 맨홀 입구 P : 플러그

Claims (9)

  1. 막대형 연막재로부터 발생된 연기를 지중 관거 시설에 강제로 주입하여 유입수(Inflow)나 침입수의 침투 경로를 파악함에 있어 사용하는 장비로서,
    탄성 패커를 포함하는 링 또는 환형의 패커부;
    상기 패커부의 상단에 패커부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기 패커부와 함께 맨홀 입구를 봉쇄하도록 설치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연막재가 발생시킨 연기를 상기 커버부를 통해 관거 시설에 강제 배출시키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관형의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커버부에 형성되며 패커부의 내측 공간과 통하는 체결관부에 직결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단 개구 주변에 상기 연막재 고정을 위한 적어도 둘 이상의 연막재 고정대가 설치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장비 이동을 위해 상기 커버부 또는 본체부에 연결되는 이동식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부는 장비의 수평 이동 및 장비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지지부는,
    상기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 배치되며 각각의 하단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캐스터가 장착된 한 쌍의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호 연결하며 손잡이를 구비하는 연결대와,
    상기 지지대와 커버부 또는 상기 지지대와 본체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승강 실린더를 포함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상단에 상기 상단 개구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송풍기 덮개가 설치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상면으로 노출되도록 커버부에 공기 주입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기 주입구는 전용 관 또는 호스로 상기 탄성 패커와 연결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커가 팽창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패커부가 맨홀 입구 측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패커부의 직경은 맨홀 입구 직경보다 작고,
    맨홀 입구 주변의 지면 또는 맨홀 상단에 상기 커버부의 가장자리가 걸치는 형태로 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의 직경은 적어도 상기 맨홀 입구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막재 고정대는 상기 본체부의 외면에 부착되는 브라켓의 단부에 집게(Gripper)가 상하로 틸팅 가능하게 부착된 것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패커는 공기 주입식 체적 가변형 탄성 패커인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KR1020200104709A 2020-08-20 2020-08-20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KR102534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09A KR102534811B1 (ko) 2020-08-20 2020-08-20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4709A KR102534811B1 (ko) 2020-08-20 2020-08-20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23154A true KR20220023154A (ko) 2022-03-02
KR102534811B1 KR102534811B1 (ko) 2023-05-18

Family

ID=8081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4709A KR102534811B1 (ko) 2020-08-20 2020-08-20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4811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253Y2 (ja) * 1991-02-18 1995-10-09 株式会社カンツール 下水道管路点検装置
KR0127514Y1 (ko) * 1995-05-10 1998-12-01 이효계 하수관의 오접확인기구
JP3074988U (ja) * 2000-07-19 2001-01-30 ペンタフ株式会社 送煙補助装置
KR100730653B1 (ko) * 2006-08-14 2007-06-20 (주)흥광산업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KR20080003255A (ko) * 2006-06-30 2008-01-07 류재용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958388B1 (ko) 2008-06-04 2010-05-17 주식회사 구마건설 유압을 이용한 관로 수밀 검사용 이중 패커 장치
KR101315188B1 (ko) * 2013-07-19 2013-10-07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KR101668837B1 (ko) 2014-10-17 2016-10-25 대원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고수압용 파이프 내압시험 장치 및 내압시험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4988B2 (ja) * 1992-11-30 2000-08-07 安藤電気株式会社 Icテスタ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3253Y2 (ja) * 1991-02-18 1995-10-09 株式会社カンツール 下水道管路点検装置
KR0127514Y1 (ko) * 1995-05-10 1998-12-01 이효계 하수관의 오접확인기구
JP3074988U (ja) * 2000-07-19 2001-01-30 ペンタフ株式会社 送煙補助装置
KR20080003255A (ko) * 2006-06-30 2008-01-07 류재용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730653B1 (ko) * 2006-08-14 2007-06-20 (주)흥광산업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KR100958388B1 (ko) 2008-06-04 2010-05-17 주식회사 구마건설 유압을 이용한 관로 수밀 검사용 이중 패커 장치
KR101315188B1 (ko) * 2013-07-19 2013-10-07 코오롱워터앤에너지 주식회사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거 점검장치
KR101668837B1 (ko) 2014-10-17 2016-10-25 대원인더스트리얼 주식회사 고수압용 파이프 내압시험 장치 및 내압시험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4811B1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8821B1 (ko) 균일 팽창이 가능한 패커를 구비하는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WO2014073914A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20110107090A (ko)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KR101245258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CN112762269A (zh) 一种修复地下管道的施工方法
KR102534811B1 (ko) 관거 검사용 연막시험장비
KR100653914B1 (ko) 비굴착 관로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수공법
KR100853578B1 (ko) 하수관로 부분보수장치
KR101360172B1 (ko)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WO2011081252A1 (ko) 부단수 할정자관 및 그를 이용한 누수 방지 방법
KR101658740B1 (ko) 관로공사 물막이용 수문 조립체
JP3807795B2 (ja) 管接続構造
KR101507467B1 (ko) 팽창압력을 이용한 물돌리기용 호스 연결부재 및 이를 구비한 물돌리기 장치
KR20180065230A (ko) 벌룬셔터 및 그를 포함하는 원격 배관설비 관리 시스템
KR101245259B1 (ko) 하수관의 본관과 가지관이 연결된 부위를 보수하기 위한 비굴착 하수관 보수 방법 및 장치
KR200369219Y1 (ko) 관로용 비굴착식 부분 보수장치
KR100542194B1 (ko) 하수관의 가지관 연결부위 보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라이닝공법
CN113124258A (zh) 一种大型箱涵不断水封堵装置及使用该装置的修复方法
KR101752289B1 (ko) 압송장치를 이용한 물돌리기 시스템
KR102543834B1 (ko) 하수관거 차수장치 구조체
US202302355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ing pipe while maintaining flow therethrough
KR101419773B1 (ko) 관로진단 및 보수를 위한 물막이 공법
KR200224134Y1 (ko) 지중관체 보수장비
RU2787004C1 (ru) Способ ремонта участка трубопровода
JP2018003589A (ja) 止水プラ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