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7090A -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 Google Patents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7090A
KR20110107090A KR1020100026261A KR20100026261A KR20110107090A KR 20110107090 A KR20110107090 A KR 20110107090A KR 1020100026261 A KR1020100026261 A KR 1020100026261A KR 20100026261 A KR20100026261 A KR 20100026261A KR 20110107090 A KR20110107090 A KR 20110107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pipe
water
manhole
dome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석동
배형진
Original Assignee
(주) 선암기술연구소
배형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암기술연구소, 배형진 filed Critical (주) 선암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0002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07090A/ko
Publication of KR20110107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70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 E03F2003/065Refurbishing of sewer pipes, e.g. by coating, l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거 내부로 흐르는 상수 또는 오.우수의 내수를 우회시키는 유도장치를 유지관리 대상 관거에 설치하여 유지관리 대상 관거를 건식상태에서 공사할 수 있도록 하는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에 의하면, 배출맨홀의 관거와 유출맨홀의 관거를 내수 유도장치의 밀폐부가 확장되면서 견고하게 밀폐시켜 유지관리 대상 관거로의 내수 누수를 방지함으로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건조기간을 단축하면서 건조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공기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의 관거에 설치된 내수 유도장치에 가배수관을 연결하여 내수를 물돌리기 하므로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의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조된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의 퇴적토 준설과 관거 이음부 방수 및 피복콘크리트의 몰탈 작업 등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져 손상된 관거의 내구성이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The water guidance system and Methode maintenance of water pipe used to there of}
본 발명은 관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거 내부로 흐르는 상수 또는 오.우수의 내수를 우회시키는 내수 유도장치를 유지관리 대상 관거에 설치하여 관거 내부로 흐르는 내수를 가배수관으로 물돌리기 함으로써, 유지관리 대상 관거를 건조한 상태에서 공사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퇴적물 준설과 관거 이음부의 방수 및 손상된 관거의 내면에 철망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복콘크리트 몰탈 작업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짐으로 노후된 관거의 내구성이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관 등의 관거는 시공부실이나 일정기간 경과하면 노후되어 발생하는 균열 및 파손되는데, 이 균열 및 파손된 부분을 통해 관거 내부로 이동하는 상.하수 중 하수가 지반으로 흘러들어 토양을 오염시키고, 지하철 등 지하를 굴착하는 경우 물돌리기 잘못으로 누수에 의해 지반이 유실되어 붕괴사고의 발생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수관이나 하수관 등 지하에 매설된 관거가 노후되면 작업할 장소를 굴착하여 부수 보강하거나 또는 교체하는데, 상기 관로에 상수나 하수 등의 내수가 흐르는 상태이므로 수중작업에 의해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아울러 시공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근래에는 본 건 출원인이 특허 제494356호로 조립식 가물막이 수밀재를 이용한 관로의 물돌리기 공법을 등록받은 바 있다.
선 등록된 특허는, 두 개의 맨홀에 형성된 연결공에 수밀재로 감싼 가배수관을 결합하여 밀봉한 후, 관로를 교체하거나 보강하는 구성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이점은 있으나, 단열에 있어서 관로 내부로 물돌리기를 하면 관로 내부에 기 부설된 가배수관으로 인해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장비투입 및 작업자의 접근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므로 작업능률이 저하되면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가배수관에 감싸진 수밀재의 구성이 복잡하면서 수밀재와 맨홀의 연결공 직경 차이에 따라 수밀재가 연결공 내면을 견고하게 폐쇄시키지 못함과 아울러 수밀재와 연결공 사이의 공간을 통해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맨홀의 관거와 유출맨홀의 관거를 내수 유도장치의 밀폐부가 확장되면서 견고하게 밀폐시켜 유지관리 대상 관거로의 내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출맨홀의 관거와 유출맨홀의 관거를 각각 밀폐시킨 내수 유도장치에 가배수관을 연결하여 물돌리기를 하고, 유지관리 대상 관거를 건조시킨 후,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보수작업이 이루어져 작업능률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의 퇴적토 준설과 관거 이음부 방수 및 피복콘크리트의 몰탈 작업 등의 유지보수가 이루어져 손상된 관거의 내구성이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는,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의 각 관거를 밀폐시키면서 가배수관을 연결하여 관거 내부로 이동하는 내수의 방향을 가배수관으로 전환시켜 배수되도록 하는 내수 유도장치로서,
상기 각 맨홀의 일측 관거와 타측 관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가배수관과 연결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T'형 배관과;
상기 배관의 유입관 및 유출관에 장착되어 맨홀의 일측 관거와 타측 관거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폐부와;
상기 배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관 및 유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은,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의 각 관거를밀폐부가 폐쇄시키도록 내수 유도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에 설치된 각 내수 유도장치의 배출관을 가배수관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내수 유도장치의 작동잭 작동으로 회전하는 수문에 의해 유출관을 폐쇄시켜 내수가 가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가배수관으로 물돌리기 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를 유지보수하는 단계와;
상기 내수 유도장치의 작동잭 작동으로 회전하는 수문에 의해 유출관을 개방시켜 유지보수 된 관거 내부로 내수가 배수되도록 물돌리기 하는 단계와;
상기 가배수관 및 내수 유도장치를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에 의하면, 배출맨홀의 관거와 유출맨홀의 관거를 내수 유도장치의 밀폐부가 확장되면서 견고하게 밀폐시켜 유지관리 대상 관거로의 내수 누수를 방지함으로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건조기간을 단축하면서 건식 상태를 유지하여 작업자의 안전성 확보 및 공기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에 의하면,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의 관거에 설치된 내수 유도장치에 가배수관을 연결하여 내수를 물돌리기 하므로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에 의하면, 내수 유도장치에 의해 가배수관으로 물돌리기 한 후,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퇴적물 준설과 관거 이음부의 방수 및 손상된 관거의 내면에 철망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피복콘크리트 몰탈 작업으로 유지보수가 이루어짐으로 노후된 관거의 내구성이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과정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을 가배수관으로 물돌리기 하는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유지보수 상태도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보수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 내수 유도장치는, 유지관리 대상 관거(10)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배출맨홀(20)과 유출맨홀(30)의 각 관거를 밀폐시키면서 가배수관(40)을 연결하여 관거 내부로 이동하는 내수의 방향을 가배수관(40)으로 전환시켜 배수되도록 하는 내수 유도장치(100)로서, 상기 각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와 타측 관거(22)(32)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가배수관(40)과 연결하는 배출관(113)이 형성된 'T'형 배관(110)이 구성되고, 상기 배관(110)의 유입관(111) 및 유출관(112)에 장착되어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와 타측 관거(22)(32)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폐부(120)가 구성되며, 상기 배관(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관(113) 및 유출관(112)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밀폐부(120)는, 상기 배관(110)의 유출관(112)에 장착되어 맨홀(20)(30)의 타측 관거(22)(32)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121)가 구비되고, 상기 배관(110)의 유입관(111)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를 밀폐하는 제2밀폐부(122)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제1밀폐부(121)는, 상기 유출관(112) 외주면에 고정되어 제1밀폐부재(121b)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재(121a)가 형성되고, 상기 밀림방지부재(121a)에 밀착되면서 맨홀(20)(30)의 타측 관거(22)(32)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제1밀폐부재(121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밀폐부(122)는, 상기 유입관(111)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122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관(122a)에 고정되어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에 장착되는 제2밀폐부재(122b)가 형성되며, 상기 제2밀폐부재(122b)를 이동시키는 이동부(122c)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이동부(122c)는, 상기 이동관(122a)과 배관(110)에 돌출된 한 쌍의 지지리브(122c-1)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122c-1)에 대향하게 장착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한 쌍의 체결봉(122c-2)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체결봉(122c-2)에 체결되어 이동관(122c-1)을 이동시키는 이동잭(122c-3)을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130)는, 상기 배출관(113) 및 유출관(112)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배관(1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수문(131)이 구비되고, 상기 수문(131)을 회전시키는 작동잭(132)이 구비되며, 상기 수문(131)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유출관(112) 내주면에 돌출된 밀림방지돌기(13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내수 유도장치(100)를 이용한 유지관리 대상 관거(10) 외부로 물돌리기 및 유지보수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110)의 유입관(111)과 유출관(112)에 밀폐부(120)가 장착되고, 상기 배관(110) 내부에 개폐부(130)가 설치된 내수 유도장치(100)를 유지관리 대상 관거(10)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배출맨홀(20)과 유출맨홀(30)에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장착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밀폐부(120)의 제1밀폐부(121)는 배관(110)의 유출관(112)에 장착되어 맨홀(20)(30)의 타측 관거(22)(32)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타측 관거(22)(32) 단부에 상기 제1밀폐부(121)의 제1밀폐부재(121b)가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밀폐부재(121b)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밀폐부재(121b)의 하단부는 타측 관거(22)(32) 내부로 결합되면서 상기 제1밀폐부재(121b) 상단부는 타측 관거(22)(32) 측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제1밀폐부재(121b)는 유출관(112) 외주면에 돌출된 밀림방지부재(121a)가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밀폐부(121)가 맨홀(20)(30)의 타측 관거(22)(32)에 밀착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밀폐부(122)를 상기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에 밀착시키는데, 상기 제2밀폐부(122)는 이동부(122c)의 이동잭(122c-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이동잭(122c-3)의 회전으로 이동잭(122c-3)과 나사 체결된 한 쌍의 체결봉(122c-2)은 나사산을 따라 이동잭(122c-3)으로부터 돌출됨과 동시에 상기 한 쌍의 체결봉(122c-2)은 배관(110)과 이동관(122a)에 지지리브(122c-1)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잭(122c-3)으로부터 한 쌍의 체결봉(122c-2)이 돌출되는 길이만큼 상기 이동관(122a)이 배관(110)의 유입관(111)을 따라 돌출된다.
이때, 상기 제2밀폐부(122)는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일측 관거(21)(31) 단부에 상기 제2밀폐부(122)의 제2밀폐부재(122b)가 밀착된다.
여기서, 상기 제2밀폐부재(122b)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밀폐부재(122b)의 하단부는 타측 관거(21)(31) 내부로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2밀폐부재(122b) 상단부는 타측 관거(21)(31)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2밀폐부(122)가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에 밀착된 상태에서도 이동부(122c)의 이동잭(122c-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관(122a)을 따라 제2밀폐부(122)가 더 돌출되어 제2밀폐부재(122b)가 일측 관거(21)(31)을 견고하게 폐쇄시킴과 동시에 제2밀폐부(122)가 일측 관거(21)(31)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배관(110)이 이동하면서 제1밀폐부(121)의 제1밀폐부재(121b)는 밀림방지부재(121a)가 지지하고 있으므로 타측 관거(22)(32)를 좀더 견고하게 폐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동부(122c)의 이동잭(122c-3)은 일반적인 리브 이동에 의해 작동되는 잭을 구비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의 과정으로 제1,2밀폐부(121)(122)가 맨홀(20)(30)의 타측 관거(22)(32)와 일측 관거(21)(31)를 견고하게 폐쇄하면서 내수는 일측 관거(21)와 타측 관거(32)로부터 내수 유도장치(100)(100')를 통해 흐르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맨홀(20)(30)에 장착된 내수 유도장치(100)(100')의 각 배관(110)을 가배수관(40)으로 연결하는데, 상기 가배수관(40)은 각 배관(110)의 배출관(113)에 결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맨홀(20)(30) 내부 공간이 협소하여 일체로 조립된 내수 유도장치(100)의 투입이 어려울 경우에는 내수 유도장치(100)의 각 구성을 맨홀(20)(30)에서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배수관(40)이 내수 유도장치(100)(100')를 연결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130)의 작동잭(132)을 작동시켜 리브(132')가 작동잭(132) 내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브(132')에 연결된 수문(131)이 배관(110) 내부에 돌출된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하향으로 회전하여 배출관(113)을 개방함과 동시에 유출관(112)을 폐쇄시킨다.
여기서, 상기 수문(131)의 외경이 밀폐부(120)의 내경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되어 유출관(112)을 용이하게 폐쇄할 수 있으며, 상기 유출관(112)을 폐쇄시킨 수문(131)이 배출맨홀(20)로 유입되어 유출맨홀(30)로 이동되는 내수의 수압에 의한 유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수문(131)을 지지하는 밀림방지돌기(133)가 지지하여 내수의 수압에 의한 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유출관(112)이 폐쇄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맨홀(20)의 전방에 위치한 일측 관거(21)로 배수되는 내수는, 배관(110)의 유입관(111)으로 유입되면서 배출관(113)을 통해 가배수관(40)으로 배수된 후, 유출맨홀(30)의 일측 관거(31)로 배수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배관(110)의 유출관(112)을 수문(131)이 견고하게 폐쇄하고 있으므로 유지관리 대상 관거(10)로 내수가 배수되지 않아 유지관리 대상 관거(10)를 건조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 대상 관거(10)가 건조된 상태에서 작업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가배수관(40)으로 배수되는 내수는 압송펌프(P)의 압력으로 흡입하여 유출맨홀(30)의 일측 관거(31)로 용이하게 배수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가배수관(40)으로 내수가 배수되면서 유지관리 대상 관거(10)가 건조되면, 배출맨홀(20)과 유출맨홀(30) 사이의 유지관리 대상 관거(10)에 형성된 맨홀(10')을 통해 송풍장비를 투입하여 배기작업을 하고, 작업자와 점검장비를 투입하여 다수의 유지관리 대상 관거(10) 내부를 점검한 후,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지관리 대상 관거(10) 내부의 퇴적물의 준설을 실시하고, 다수의 유지관리 대상 관거(10)의 이음부가 이격되거나 손상된 부분을 치핑한 상태에서 차수판(10a)을 결합하고, 상기 차수판(10a) 내부에 링(10b)을 결합한 후, 충진재(10c)를 충진하여 차수판(10a)이 견고하게 내수의 유출이나 외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방수작업을 한다.
또한, 상기 유지관리 대상 관거(10) 내부의 손상된 구체내면을 치핑한 후, 철망(M')을 고정핀(M")으로 매설하고 피복콘크리트로 몰탈(M)하여 보수보강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의 과정으로 유지관리 대상 관거(10)의 유지보수작업이 완료되면,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따라 개폐부(130)의 작동잭(132)을 작동시켜 리브(132')가 작동잭(132) 외부로 돌출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리브(132')에 연결된 수문(131)이 배출맨홀(20)에 설치된 배관(110)의 힌지축(110')을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용이하게 유출관(112)을 개방함과 동시에 배출관(113)을 폐쇄시키며, 개방된 유출관(112)을 통해 배관(110)의 유입관(111)으로 유입되는 내수는 유지보수된 유지관리 대상 관거(10)를 경유하여 유출맨홀(30)의 일측 관거(31)로 배수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맨홀(20)의 배관(110)과 유지보수된 유지관리 대상 관거(10) 및 유출맨홀(30)의 배관(110)으로 내수를 배수하면서, 별도의 장비를 이용하여 내수 유도장치(100)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가배수관(40)을 배관(110)의 배출관(113)에서 분리하여 철거하고, 제2밀폐부(122)의 이동잭(122c-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이동잭(122c-3)의 회전으로 이동잭(122c-3)과 나사 체결된 한 쌍의 체결봉(122c-2)은 나사산을 따라 이동잭(122c-3) 내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잭(122c-3) 내부로 이동하는 길이만큼 상기 이동관(122a)이 배관(110)의 유입관(111)을 따라 이동하면서 제2밀폐부(122)의 제2밀폐부재(122b)가 각 맨홀(20)(30)의 일측 관거(21)(31)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제2밀폐부재(122b)가 일측 관거(21)(31)로부터 분리되면, 각 맨홀(20)(30) 내부에서 장비에 의해 배관(110)을 타측 관거(22)(32)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관(110)의 유출관(112)에 장착된 제1밀폐부(121)의 제1밀폐부재(121b)가 각 맨홀(20)(30)의 타측 관거(22)(32)로부터 분리되며, 이 상태에서 내수 유도장치(100)를 각 맨홀(20)(30) 외부로 분리하여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내수 유도장치 110: 배관
111: 유입관 112: 유출관
113: 배출관 120: 밀폐부
121: 제1밀폐부 122: 제2밀폐부
130: 개폐부 131: 수문
132: 작동잭 133: 밀림방지돌기

Claims (8)

  1.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의 각 관거를 밀폐시키면서 가배수관을 연결하여 관거 내부로 이동하는 내수의 방향을 가배수관으로 전환시켜 배수되도록 하는 내수 유도장치로서,
    상기 각 맨홀의 일측 관거와 타측 관거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면서 가배수관과 연결하는 배출관이 형성된 'T'형 배관과;
    상기 배관의 유입관 및 유출관에 장착되어 맨홀의 일측 관거와 타측 관거를 밀폐시키도록 하는 밀폐부와;
    상기 배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배출관 및 유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부는,
    상기 배관의 유출관에 장착되어 맨홀의 타측 관거를 밀폐하는 제1밀폐부와;
    상기 배관의 유입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맨홀의 일측 관거를 밀폐하는 제2밀폐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밀폐부는,
    상기 유출관 외주면에 고정되어 제1밀폐부재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부재와;
    상기 밀림방지부재에 밀착되면서 맨홀의 타측 관거에 장착되어 밀폐하는 제1밀폐부재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제2밀폐부는,
    상기 유입관 외주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관과;
    상기 이동관에 고정되어 맨홀의 일측 관거에 장착되는 제2밀폐부재와;
    상기 제2밀폐부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이동부는,
    상기 이동관과 배관에 돌출된 한 쌍의 지지리브와;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에 대향하게 장착되어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된 한 쌍의 체결봉과;
    상기 한 쌍의 체결봉에 체결되어 이동관을 이동시키는 이동잭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개폐부는,
    상기 배출관 및 유출관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도록 배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수문과;
    상기 수문을 회전시키는 작동잭과;
    상기 수문의 밀림을 방지하도록 유출관 내주면에 돌출된 밀림방지돌기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
  7. 유지관리 대상 관거의 전.후방에 위치하는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의 각 관거를밀폐부가 폐쇄시키도록 내수 유도장치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배출맨홀과 유출맨홀에 설치된 각 내수 유도장치의 배출관을 가배수관으로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내수 유도장치의 작동잭 작동으로 회전하는 수문에 의해 유출관을 폐쇄시켜 내수가 가배수관으로 배수되도록 가배수관으로 물돌리기 하는 단계와;
    상기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를 건조시킨 상태에서 유지관리 대상 관거 내부를 유지보수하는 단계와;
    상기 내수 유도장치의 작동잭 작동으로 회전하는 수문에 의해 유출관을 개방시켜 유지보수 된 관거 내부로 내수가 배수되도록 물돌리기 하는 단계와;
    상기 가배수관 및 내수 유도장치를 철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내수 유도장치의 이동잭 회전으로 밀폐부가 돌출되어 각 맨홀의 관거를 밀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 유도장치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KR1020100026261A 2010-03-24 2010-03-24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KR201101070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61A KR20110107090A (ko) 2010-03-24 2010-03-24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261A KR20110107090A (ko) 2010-03-24 2010-03-24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7090A true KR20110107090A (ko) 2011-09-30

Family

ID=4550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261A KR20110107090A (ko) 2010-03-24 2010-03-24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0709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04B1 (ko) * 2012-11-30 2013-06-28 (주)알파에코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1360172B1 (ko) * 2013-06-27 2014-02-12 주식회사 비젼개발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101476369B1 (ko) * 2013-07-12 2014-12-29 주식회사 비젼개발 손상된 맨홀에서도 가능한 자연유하식 물돌리기 장치 및 물돌리기 방법
KR101594306B1 (ko) * 2015-08-17 2016-02-17 반도건설주식회사 차집 관거의 하수관로 보수용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돌리기 공법
CN108824596A (zh) * 2018-04-28 2018-11-1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重力式排放的流体管网改造方法
KR102025841B1 (ko) * 2019-01-18 2019-09-26 (주)화성건설 하수관의 보수공사를 위한 배수장치
CN112377716A (zh) * 2020-09-24 2021-02-19 宁波市鄞州世纪耀达市政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非开挖修复方法及其装置
CN112942540A (zh) * 2021-02-04 2021-06-11 鸿川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4575437A (zh) * 2022-03-22 2022-06-03 辉阳集团有限公司 市政工程道路排水系统及施工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9504B1 (ko) * 2012-11-30 2013-06-28 (주)알파에코 하수관거 유지보수를 위한 물막이 바이패스 시스템 및 그 물막이 바이패스 방법
KR101360172B1 (ko) * 2013-06-27 2014-02-12 주식회사 비젼개발 맨홀 차오름식 물돌리기 방법 및 물돌리기 장치
KR101476369B1 (ko) * 2013-07-12 2014-12-29 주식회사 비젼개발 손상된 맨홀에서도 가능한 자연유하식 물돌리기 장치 및 물돌리기 방법
KR101594306B1 (ko) * 2015-08-17 2016-02-17 반도건설주식회사 차집 관거의 하수관로 보수용 물돌리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돌리기 공법
CN108824596A (zh) * 2018-04-28 2018-11-16 上海建工四建集团有限公司 重力式排放的流体管网改造方法
KR102025841B1 (ko) * 2019-01-18 2019-09-26 (주)화성건설 하수관의 보수공사를 위한 배수장치
CN112377716A (zh) * 2020-09-24 2021-02-19 宁波市鄞州世纪耀达市政建设有限公司 一种管道非开挖修复方法及其装置
CN112942540A (zh) * 2021-02-04 2021-06-11 鸿川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管道施工装置及施工方法
CN114575437A (zh) * 2022-03-22 2022-06-03 辉阳集团有限公司 市政工程道路排水系统及施工方法
CN114575437B (zh) * 2022-03-22 2023-11-07 辉阳集团有限公司 市政工程道路排水系统及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7090A (ko) 내수 유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거의 유지관리 공법
CN106836516B (zh) 一种卫生间管道集成防水底盘
KR100886461B1 (ko) 하수관거 차수로봇용 가물막이 수밀패널
CN104878771A (zh) 真空管井降水系统的施工方法
CN104196108B (zh) 一种管道与检查井井座连接的辅助装置
KR101658740B1 (ko) 관로공사 물막이용 수문 조립체
CN209099168U (zh) 一种箱梁伸缩缝防排水装置
JP3592658B2 (ja) 排水路の形成方法および排水路装置
KR100934194B1 (ko) 부압을 이용한 라이너 튜브 보수장치 및 방법
CA3035851A1 (en) An arrangement for a sewerage system comprising a french drain
KR102242347B1 (ko) 밸브실이 구비된 일체식 통합맨홀
CN213597162U (zh) 一种不易漏水的污水检查井
CN209636932U (zh) 加固地下排水方沟的预制管片结构
KR100494356B1 (ko) 조립식 가물막이 수밀재를 이용한 관로의 물돌리기 공법
KR101086827B1 (ko) 가물막이 수밀 패널 위치 제어가 가능한 하수관거 차수 로봇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2538893A (zh) 一种现状水池侧壁开洞穿管的结构及其施工方法
CN208056254U (zh) 一种同层排水地漏装置
KR101530519B1 (ko) 분리형 방수맨홀
KR101729735B1 (ko) 차집관거 물돌리기 공법용 수위상승장치
KR101368886B1 (ko) 관로용 유압식 가동수문
KR20220018284A (ko) 건축물 방수공사를 시행하기 위한 피스톤 타입 지하수 배수장치
KR200335039Y1 (ko) 건축물 방수공사용 피스톤 타입 지하수 배수장치
KR200333384Y1 (ko) 자주식 가물막이 수밀재
JP6517892B2 (ja) 止水プラグ装置
KR100990982B1 (ko) 지중 배관용 신축장치 일체형 맨홀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