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398B1 -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398B1
KR101604398B1 KR1020150019391A KR20150019391A KR101604398B1 KR 101604398 B1 KR101604398 B1 KR 101604398B1 KR 1020150019391 A KR1020150019391 A KR 1020150019391A KR 20150019391 A KR20150019391 A KR 20150019391A KR 101604398 B1 KR101604398 B1 KR 101604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packer
smoke
cov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권
임경묵
Original Assignee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나스텍이앤씨 filed Critical (주)나스텍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19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 G01M3/2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01M3/2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special tracer materials, e.g. dye, fluorescent material, radioactive material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for weld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for containers, e.g. radi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2Test plugs for closing off the end of a pi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은, 맨홀 내측으로 맨홀패커를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맨홀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맨홀 중단을 밀폐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중 맨홀패커가 장착된 지점의 상부에 연막재를 투입하여,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에 연막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부를 맨홀뚜껑으로 덮는 제4 단계; 및 상기 맨홀 내부의 연막이 외부로 누연되는지를 확인하여, 틈새 및 크랙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장치는, 맨홀의 내부공간 중 하수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패커; 상기 맨홀패커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의 중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맨홀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막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Method and device for water-proofing test of manhole}
본 발명은 지상으로 노출된 맨홀부위 및 맨홀뚜껑 안착부위 등에 크랙이나 틈새가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맨홀 내부에 연막을 발생시켜 맨홀 내부의 연막이 어느 부위로 누연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크랙이나 틈새의 발생지점을 검사할 수 있는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흄관, 합성수지로된 염화비닐관, 도관과 같이 지하에 매설된 맨홀이나 관로들은 관 자체의 노후화, 지하 지반의 침하 또는 지상으로부터의 토압의 변동에 의해 균열, 파손 또는 접속부의 분리와 같은 흠결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흠결부분을 통해 관로 내부의 오폐수가 외부로 유출되어 토양을 오염시키게 되거나 또는, 맨홀이 침수되었을 때 관로 내부에 침입수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맨홀의 누수를 검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및 장비들이 개시된 바 있다. 그 중에서 과거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누수검사는 맨홀의 하부에 양측으로 통하는 관의 입구와 출구를 밀폐부재를 이용해 막고, 다시 맨홀의 상부를 마찬가지로 밀폐부재를 이용해 막은 후, 맨홀내부에 물을 채워 외부의 시험관과 연결시켜 일정시간동안 시험관의 수위가 변하는가를 확인하여 누수여부를 판단하는 검사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수밀검사방법은, 수밀검사 시 사용된 물이 버려지므로 물의 낭비가 심하고, 크랙이나 틈새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들어서는 맨홀 내에 부압을 발생시켜 맨홀의 수밀성을 검사하는 부공기압 시험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맨홀의 수밀을 검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일반적으로 맨홀(10)의 천정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맨홀(10)의 개구부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안착프레임(20)이 결합되며, 원반 형상의 맨홀뚜껑(30)이 상기 안착프레임(20)을 덮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맨홀뚜껑(30)이 안착프레임(20)으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맨홀뚜껑(30)은 끝단이 상기 맨홀뚜껑(30)의 가장자리를 관통한 후 안착프레임(20)에 형성된 볼트체결공(50)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볼트에 의해 안착프레임(20)에 결합된다.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맨홀(10)의 수밀을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맨홀(10)에 연결된 하수관(60)을 별도의 패커(70)로 막고 맨홀(10) 내부에 검사액을 도포한 후, 컴프레서(80)를 이용하여 맨홀(10)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한다. 이때, 맨홀(10)이나 맨홀뚜껑(30) 등에 크랙이나 틈새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기포가 발생되므로, 사용자는 기포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크랙이나 틈새의 발생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부공기압 시험방법은, 조사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장비의 이동성이 낮아 하천변에 위치한 맨홀을 검사하는데 부적합하며, 조사기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맨홀(10) 내부에 형성된 진공압에 의해 맨홀(10) 자체가 손상될 수도 있으며, 실제 현장에서는 맨홀 내에 진공압력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지 아니하여 실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된다는 단점도 있다.
더욱이, 맨홀(10) 내에 진공압을 형성할 때에는 별도의 압력덮개를 맨홀뚜껑(30) 위에 덮으므로, 맨홀뚜껑(30)과 안착프레임(20) 사이나 볼트체결공(50) 등에 틈새나 크랙이 발생되었는지는 검사할 수 없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다.
KR 10-0682340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맨홀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지 아니하더라도 맨홀 수밀검사를 할 수 있고, 맨홀뚜껑 주변에 틈새나 크랙이 발생되었는지도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공정이 간단하여 조사비용 및 조사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은, 맨홀 내측으로 맨홀패커를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맨홀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맨홀 중단을 밀폐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중 맨홀패커가 장착된 지점의 상부에 연막재를 투입하여,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에 연막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부를 맨홀뚜껑으로 덮는 제4 단계; 및 상기 맨홀 내부의 연막이 외부로 누연되는지를 확인하여, 틈새 및 크랙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연막이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모든 지점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중 맨홀패커가 장착된 지점의 상부에 서큘레이터를 투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맨홀 및 맨홀뚜껑의 상부에 연막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연막 발생 시 이를 영상 또는 음향으로 자동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장치는, 맨홀의 내부공간 중 하수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패커; 상기 맨홀패커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의 중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맨홀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막재;를 포함한다.
상기 맨홀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막재에서 발생된 연무를 유동시키는 서큘레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막재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 내부에 마련된 사다리에 거치되는 거치케이스를 더 포함한다.
상기 맨홀 상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맨홀뚜껑 상면보다 높은 지점에 장착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의 상면 또는 상기 맨홀뚜껑 주변으로 연막이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연막감지센서와, 상기 연막감지센서에 의해 연막 누출이 감지되었을 때 누연신호를 영상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맨홀뚜껑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바와, 상기 가압바(8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체결슬롯을 관통한 후 상기 맨홀의 상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바를 상기 맨홀뚜껑의 상면에 압착시키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이용하면, 맨홀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하지 아니하더라도 맨홀 수밀검사를 할 수 있고, 맨홀뚜껑 주변에 틈새나 크랙이 발생되었는지도 검사할 수 있으며, 검사공정이 간단하여 조사비용 및 조사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맨홀의 수밀을 검사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을 이용하여 맨홀 수밀을 검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도 6은 맨홀뚜껑 및 가압바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은, 맨홀뚜껑을 덮은 상태에서 맨홀 내부에 연막을 발생시킨 후 연막이 어느 부위로 누출되는지를 관찰함으로써 맨홀 및 맨홀뚜껑의 수밀성을 검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맨홀의 내부는 하수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연결되므로, 상기 맨홀과 하수관이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맨홀에 연막을 발생시키면 상기 연막이 하수관을 통해 각 가정으로 유입되어 각종 민원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맨홀 내에 발생된 연막이 하수관으로 전파되면, 맨홀의 상부나 맨홀뚜껑을 통해 누출되는 연막의 양이 매우 적어지므로 맨홀의 수밀성을 판단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을 이용할 때에는 맨홀 내부에 발생된 연막이 하수관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맨홀의 중단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은, 맨홀 내측으로 맨홀패커를 삽입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맨홀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맨홀 중단을 밀폐시키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중 맨홀패커가 장착된 지점의 상부에 연막재를 투입하여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에 연막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부를 맨홀뚜껑으로 덮는 제4 단계(S40)와, 상기 맨홀 내부의 연막이 외부로 누연되는지를 확인하여 틈새 및 크랙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5 단계(S50)로 구성된다. 따라서 맨홀 내부공간에 발생된 연막은 상기 맨홀패커에 막혀 하수관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맨홀 내부를 채우게 된다. 이때, 맨홀의 측벽이나 상부 및 맨홀뚜껑 주변에 크랙이나 틈새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크랙이나 틈새를 통해 지상으로 누출되는바, 사용자는 어느 부위에 틈새나 크랙이 형성되어 있는지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맨홀 내에서 발생된 연막이 맨홀의 내부공간 각 부위로 고르게 퍼질 수 있도록, 제3 단계(S20)에서 연막재를 맨홀 내부로 투입할 때 연막을 유동시키기 위한 서큘레이터도 함께 투입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맨홀 수밀을 검사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맨홀 수밀 검사방법을 이용하여 맨홀 수밀을 검사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는 수직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수밀 검사장치는, 맨홀(10)의 내부공간 중 하수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패커(100)와, 상기 맨홀패커(10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10)의 중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맨홀패커(100)를 팽창시키는 송풍기(200)와, 상기 맨홀(10)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100)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막재(300)를 필수 구성요소로 갖는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수밀 검사방법은 상기 언급한 맨홀(10) 수밀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맨홀(10)의 수밀성을 검사하게 되는데, 맨홀(10) 수밀을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맨홀(10)의 내부공간 중 하수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맨홀패커(100)를 설치한 후, 송풍기(200)를 이용하여 맨홀패커(100)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한다. 상기 맨홀패커(100) 내부로 공기가 주입되어 상기 맨홀패커(100)가 팽창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0)의 중단이 밀폐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맨홀패커(100)는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쉽게 팽창할 수 있도록 경량 시트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맨홀패커(100)가 천막지와 같은 합성수지 시트로 제작되면, 내측으로 공기가 주입되었을 때 쉽게 팽창되기는 하지만 맨홀(10)의 내벽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맨홀(10)의 중단이 완벽하게 밀폐되지 못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맨홀패커(100)는 맨홀(10)의 내벽 형상에 맞추어 변형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합성고무시트와 같이 일정 수준 이상의 탄성을 갖는 재료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맨홀패커(100)의 재질은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분야에서 이미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10)의 중단이 밀폐될 만큼 맨홀패커(100)가 충분히 팽창되면 상기 송풍기(200)를 제거한 후,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10)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100) 사이의 공간에 연막재(300)와 서큘레이터(50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막재(300)가 맨홀패커(100) 상에 안착되면 상기 맨홀패커(100)가 손상될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연막재(300)는 오목한 용기 형상의 거치케이스(400) 내에 안착되어 맨홀패커(100)와 이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케이스(400)는 맨홀(10) 내부에 마련된 구조물(본 실시예에서는 사다리(12))에 거치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연막재(300)가 맨홀패커(100)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연막재(300)가 독립적으로 사다리(12) 등의 구조물에 매달릴 수 있다면, 상기 거치케이스(4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한, 서큘레이터(500)는 연막재(300)에서 발생되는 연무를 맨홀(10)의 내부공간(더 명확하게는 맨홀(10)의 천정과 맨홀패커(100) 사이의 공간) 각 부위로 고르게 분산시킴으로써, 틈새 및 크랙이 어느 부위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이를 확실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일종의 송풍 유닛이다. 일반적으로 연막재(300)에서 발생되는 연무는 상승하므로, 상기 서큘레이터(500)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막재(300)의 상측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서큘레이터(500) 역시 사다리(12) 등과 같이 맨홀(10)의 내부공간에 구비된 구조물에 거치되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막재(300)와 서큘레이터(500)의 설치가 완료되면, 연막재(300)를 점화시켜 연막이 발생되도록 하고, 서큘레이터(500)를 가동시켜 연무가 유동되도록 한 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뚜껑(30)을 안착프레임(20) 상에 안착시켜 맨홀(10)의 상측 개구부를 덮는다. 맨홀(10)의 중단은 맨홀패커(100)에 의해 밀폐되어 있으므로, 연막재(300)로부터 발생된 연막은 하수관(60) 측으로 유입되지 못하고, 맨홀(10)의 천정과 맨홀패커(100) 사이를 채우게 된다.
이때, 맨홀(10)의 측벽이나 상부, 맨홀뚜껑(30)의 가장자리, 결합볼트(40)와 볼트체결공(50) 사이 등에 틈새나 크랙이 형성되어 있으면, 맨홀(10) 내부에 채워져 있던 연막은 상기 틈새 및 크랙을 통해 지상으로 누출되는바, 사용자는 누연 지점을 확인하여 틈새 및 크랙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수밀 검사방법을 이용하면, 맨홀(10) 내측면에 검사액을 도포하거나 맨홀(10)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검사시간이 매우 단축되며, 컴프레서 등과 같은 큰 장비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어느 지점에 위치한 맨홀(10)도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은 맨홀(10)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지 아니하면 맨홀(10) 내부에 진공압이 형성되지 못하므로 맨홀(10)의 수밀성 검사 자체가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수밀 검사방법은 맨홀(10) 내부가 완전히 밀폐되지 아니하더라도 즉, 맨홀패커(100)가 맨홀(10)의 중단을 완전히 밀폐시키지 못하더라도 연막이 틈새나 크랙을 통해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므로, 맨홀(10) 수밀 검사가 가능해진다는 장점도 있다.
더 나아가,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과 같이 맨홀(10)의 내부에 진공압을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맨홀뚜껑(30) 상면에 별도의 압력덮개를 추가 장착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맨홀뚜껑(30)에 압력덮개가 장착되면 상기 맨홀뚜껑(30) 및 그 주변에 틈새나 크랙이 형성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이를 검사할 수 없다는 결정적인 단점이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수밀 검사방법을 이용하면, 맨홀뚜껑(30) 및 그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틈새나 크랙을 찾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부공기압 시험방법과 비교하였을 때 목적 및 효과면에 있어 전혀 상이한 검사방법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맨홀뚜껑(30) 및 그 주변으로 누출되는 연무를 작업자가 직접 육안으로 확인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누출되는 연무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오랜 시간동안 맨홀뚜껑(30) 및 그 주변을 지켜보고 있어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연무 검사장치는, 상기 맨홀(10) 상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맨홀뚜껑(30) 상면보다 높은 지점에 장착되는 발광부(610) 및 수광부(620)로 구성되어 상기 맨홀(10)의 상면 또는 상기 맨홀뚜껑(30) 주변으로 연막이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연막감지센서(600)와, 상기 연막감지센서(600)에 의해 연막 누출이 감지되었을 때 이를 촬영하는 카메라(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막감지센서(600)와 카메라(700)가 추가로 구비되면, 작업자가 일일이 누연 지점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기록하지 아니하더라도 상기 카메라(700)가 찍은 사진을 보고 누연지점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막감지센서(600)가 누연을 감지하였을 때 이를 출력하는 출력유닛이 카메라(700)인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출력유닛은 누연 발생 시 이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알람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출력유닛이 알람으로 적용되면, 사용자는 처음부터 맨홀뚜껑(30) 주변에 대기하고 있을 필요 없이 누연이 발생되었을 때에만 맨홀뚜껑(30) 주변으로 와서 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노동력이 절감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맨홀뚜껑(30) 및 가압바(800)의 분해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맨홀뚜껑(30)은 중량이 매우 크게 제작되므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프레임(20) 상에 안착되었을 때 안착프레임(20)으로부터 쉽게 탈거되지 아니한다. 그러나 맨홀(10)의 내부압력의 예기치 아니하게 상승하거나 상기 맨홀뚜껑(30)에 큰 외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맨홀뚜껑(30)이 들어 올려져 맨홀(10) 내의 연막이 순간적으로 다량 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맨홀(10) 수밀 검사장치는, 상기 맨홀뚜껑(30)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바(800)와, 상기 가압바(8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체결슬롯(810)을 관통한 후 상기 맨홀(10)의 상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바(800)를 상기 맨홀뚜껑(30)의 상면에 압착시키는 체결볼트(82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압바(800)와 체결볼트(820)가 추가로 구비되면, 상기 맨홀뚜껑(30)은 가압바(800)에 의해 하향 압착되므로 안착프레임(20)으로부터 탈거되는 현상이 발생되지 아니하게 되고, 이에 따라 맨홀(10) 수밀 검사를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 맨홀 12 : 사다리
20 : 안착프레임 30 : 맨홀뚜껑
40 : 결합볼트 50 : 볼트체결공
60 : 하수관 100 : 맨홀패커
200 : 송풍기 300 : 연막재
400 : 거치케이스 500 : 서큘레이터
600 : 연막감지센서 610 : 발광부
620 : 수광부 700 : 카메라

Claims (8)

  1. 맨홀 내측으로 맨홀패커를 삽입하는 제1 단계;
    상기 맨홀패커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킴으로써 맨홀 중단을 밀폐시키는 제2 단계;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중 맨홀패커가 장착된 지점의 상부에 연막재를 투입하여,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에 연막을 발생시키는 제3 단계;
    상기 맨홀의 상측 개구부를 맨홀뚜껑으로 덮는 제4 단계; 및
    상기 맨홀 내부의 연막이 외부로 누연되는지를 확인하여, 틈새 및 크랙의 위치를 판단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연막이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모든 지점으로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상기 맨홀의 내부공간 중 맨홀패커가 장착된 지점의 상부에 서큘레이터를 투입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수밀 검사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는, 상기 맨홀 및 맨홀뚜껑의 상부에 연막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연막 발생 시 이를 영상 또는 음향으로 자동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수밀 검사방법.
  4. 삭제
  5. 맨홀의 내부공간 중 하수의 수위보다 높은 지점에 설치되는 맨홀패커;
    상기 맨홀패커 내부로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맨홀의 중단이 밀폐되도록 상기 맨홀패커를 팽창시키는 송풍기;
    상기 맨홀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연무를 발생시키는 연막재; 및
    상기 맨홀의 천정과 상기 맨홀패커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연막재에서 발생된 연무를 유동시키는 서큘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수밀 검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막재가 내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오목한 용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맨홀 내부에 마련된 사다리에 거치되는 거치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수밀 검사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맨홀 상면을 사이에 두고 맨홀뚜껑 상면보다 높은 지점에 장착되는 발광부 및 수광부를 구비하여 상기 맨홀의 상면 또는 상기 맨홀뚜껑 주변으로 연막이 누출되는지의 여부를 감지하는 연막감지센서와, 상기 연막감지센서에 의해 연막 누출이 감지되었을 때 누연신호를 영상 또는 음향으로 출력하는 출력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수밀 검사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맨홀뚜껑의 상면을 가로지르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는 가압바(800)와, 상기 가압바(80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체결슬롯을 관통한 후 상기 맨홀의 상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가압바(800)를 상기 맨홀뚜껑의 상면에 압착시키는 체결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맨홀 수밀 검사장치.
KR1020150019391A 2015-02-09 2015-02-09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KR101604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91A KR101604398B1 (ko) 2015-02-09 2015-02-09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391A KR101604398B1 (ko) 2015-02-09 2015-02-09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398B1 true KR101604398B1 (ko) 2016-03-17

Family

ID=55651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391A KR101604398B1 (ko) 2015-02-09 2015-02-09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3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19B1 (ko) * 2016-12-19 2017-04-11 안희섭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976033B1 (ko) 2018-12-13 2019-05-09 (주) 자연과환경 높이조절식 부공기압 시험 방법
KR102557366B1 (ko) * 2022-06-08 2023-07-20 (주)화인테크 하수관로 송연 조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371A (ja) * 1998-07-16 2000-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スト検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5371A (ja) * 1998-07-16 2000-02-02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スト検出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5819B1 (ko) * 2016-12-19 2017-04-11 안희섭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KR101976033B1 (ko) 2018-12-13 2019-05-09 (주) 자연과환경 높이조절식 부공기압 시험 방법
KR102557366B1 (ko) * 2022-06-08 2023-07-20 (주)화인테크 하수관로 송연 조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1217B2 (en) Re-usable main drain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KR101604398B1 (ko) 맨홀 수밀 검사방법 및 검사장치
US7946439B1 (en) Protective steel membrane system and method of erection for secondary containment for an above ground storage tank
US20150241296A1 (en) Tool for leak point identification and new methods for identification, close visual inspection and repair of leaking pipelines
KR200430020Y1 (ko)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FI20106145A0 (fi) Menetelmä ja laitteisto putkiliitoksen koeponnistamiseksi
US34005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pipelines
KR20140015935A (ko) 배관 연결부 누설검사장치
JP2013125003A (ja) 地中埋設水道管の漏水検知装置及び漏水検知方法
KR20140051707A (ko) 가스 배관의 가스 누출감지 및 포집장치
KR100730653B1 (ko)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KR101725819B1 (ko) 연막을 이용한 하수관의 오접 및 크랙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US4413503A (en) Method of detecting leaks in a large storage tank
KR20080003255A (ko) 매설관로의 누설 시험장치 및 방법
KR100682340B1 (ko) 맨홀의 누수 검사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검사장비
KR101955718B1 (ko) 누수 확인용 내시경 점검구
KR102309964B1 (ko) 맨홀 부공기압 시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험방법
JP2002005780A (ja) 埋設配管欠陥箇所検出装置
KR101403664B1 (ko) 하수관 검사를 위한 차단 플러그
JPH02212733A (ja) 排水管の漏洩テスト方法
US20240053219A1 (en) Inspection of tanks using liner and vacuum
KR101976033B1 (ko) 높이조절식 부공기압 시험 방법
JPS63285438A (ja) 液中空気漏れ試験方法
US202302355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lining pipe while maintaining flow therethrough
KR100914670B1 (ko)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