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4670B1 -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4670B1
KR100914670B1 KR1020090016133A KR20090016133A KR100914670B1 KR 100914670 B1 KR100914670 B1 KR 100914670B1 KR 1020090016133 A KR1020090016133 A KR 1020090016133A KR 20090016133 A KR20090016133 A KR 20090016133A KR 100914670 B1 KR100914670 B1 KR 10091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ground
water
lower cover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6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봉주
Original Assignee
손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봉주 filed Critical 손봉주
Priority to KR1020090016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누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커버와 결합되되 연결구멍이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간의 조립에 의하여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를 지나는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외부를 수밀시키도록 이루어진 몸체 ; 하단부가 상기 연결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물을 지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상 안내관 ; 상기 지상 안내관의 상단부에 상기 지상 안내관의 상단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누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수 배출공과 직교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캡 ; 상기 누수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EARLY PERCEPTION APPARATUS OF LEAKAGE AT THE UNDERGROUND PIPING}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조기에 찾아내기 위한 누수 조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이를 굴착작업을 하지 않고서도 정확히 그 누수 위치를 찾아낼 수 있는 누수 조기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 상수도관의 공사 부실 내지 노후화 등으로 인하여 상수도관에 상당한 양의 누수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수도관의 누수로 인하여 연간 평균 4901억원이 낭비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상수도관의 누수는, 가뭄이 지속될 경우 물 부족을 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단지 비용의 문제가 아니라 공공의 복지와 관련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상수도관로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지상에서는 이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장기간 누수 지점이나 누수 여부를 확인할 수 없기에 장기간 상수도관로로부터 누수되는 물이 낭비될 수 밖에 없다.
아울러 상수도관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수도물이 지상으로 올라와 지면이 젖는 경우도 발생하나, 이와 같은 경우를 일반적이라 볼 수 없으며, 또한 이렇게 지면에 표시가 생기기 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려 엄청난 양의 물이 낭비되곤 한다.
아울러 지면에 젖은 표시가 생긴 경우에도 그 젖은 표시의 직하부에 상수도관이 존재할 가능성은 그리 높지 않다. 즉, 지면에 젖은 표시가 생긴 경우에도 누수되는 지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당히 넓은 면적의 땅을 파헤치고 나서야 누수되는 지점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보수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아울러 종래에 이와 같은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 내지 누수 위치를 알기 위하여 여러가지 기술들(청음봉, 전자누수탐지기, 누수탐지관 등)이 제안되었지만 아직까지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기술적인 개념상으로는 가능하다 할 수 있지만, 여러가지 설비들이 매설되어 있는 지중을 정확히 감지할 수 없는 결과 탁상공론에 그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누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특히 본원발명은 상수도관로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된 물이 지상 안내관을 따라 상부로 올라온 후 누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누수 발생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누수 배출공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누수 배출공으로 누수되는 양을 확인한 후 즉각 보수할 필요가 있으면 즉각 굴착 작업을 진행하여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그 양이 미비하다고 판단되면 밸브 부재를 조작하여 누수 배출공을 닫아 더이상 외부로 누수가 배출되는 것을 막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누수 지점에 대한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누수가 발생한 지점 여러 개를 확인한 후 일시에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보수 공사비를 경감시킬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커버와 결합되되 연결구멍이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간의 조립에 의하여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를 지나는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외부를 수밀시키도록 이루어진 몸체 ; 하단부가 상기 연결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물을 지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상 안내관 ; 상기 지상 안내관의 상단부에 상기 지상 안내관의 상단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누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수 배출공과 직교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캡 ; 상기 누수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상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패킹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패킹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보조 금속띠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보조 금속띠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 보조 금속띠, 상기 하부 커버, 상기 하부 패킹, 상기 상부 패킹, 상기 상부 커버, 상기 상부 보조 금속띠를 순서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일단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에 의하여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가 수밀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를 조기에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누수 위치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원발명은 상수도관로에 누수가 발생할 경우 누수된 물이 지상 안내관을 따라 상부로 올라온 후 누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누수 발생을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은 누수 배출공이 수평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보행자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은 누수 배출공으로 누수되는 양을 확인한 후 즉각 보수할 필요가 있으면 즉각 굴착 작업을 진행하여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그 양이 미비하다고 판단되면 밸브 부재를 조작하여 누수 배출공을 닫아 더이상 외부로 누수가 배출되는 것을 막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누수 지점에 대한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여, 누수가 발생한 지점 여러 개를 확인한 후 일시에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보수 공사비를 경감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 종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주요부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캡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크게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20)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몸체에 결합되는 지상 안내관(17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는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1)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부위는 대부분 관과 관을 서로 연결하는 부위에서 발생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안되는 것이다. 즉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 전체에 대하여 누수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시하지 않고, 누수가 예상되는 부위를 미리 예측하여 그 부위에만 본 장치를 부분적으로 설치함으로써 누수 발생을 감지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20) 등으로 구성되는 몸체에 의하여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1)를 감싸서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1)를 수밀시킨다.
즉, 하부 커버(120)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패킹(130)이 마련되며, 하부 커버(120)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보조 금속띠(110)가 마련된다.
아울러 상부 커버(150)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패킹(140)이 마련되며, 상부 커버(150)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보조 금속띠(160)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하부 커버(120)와 상부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체결볼트(11) 및 체결너트(12)에 의하여 수밀 가능하게 조립한다.
즉, 체결볼트(11)가 하부 보조 금속띠(110), 하부 커버(120)의 가장자리, 하부 패킹(130), 상부 패킹(140), 상부 커버(150)의 가장자리, 상부 보조 금속띠(160)를 순서대로 관통한 후 그 상단부에 체결너트(12)가 나사 체결되어, 하부 커버(120) 및 상부 커버(150)의 가장자리를 압착한다.
이에 의하여 하부 패킹(130) 및 상부 패킹(140)이 압착되어,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20)의 가장자리가 서로 수밀됨은 물론, 상수도관로(1)가 지나가는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20)의 가장자리 부분 또한 수밀된다.
하부 커버(120)와 상부 커버(150)의 조립에 의하여 몸체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며, 그 빈 공간을 상수도관로(1)가 지나가게 되며, 아울러 몸체 내부의 빈 공간은 상수도관로(1)가 설치된 상태에서도 여전히 빈 공간이 남아 있다.
실제로 본 실시예를 설치할 경우에는 하부 커버(120)가 먼저 설치된 후, 하부 커버(120) 상부의 상수도관로(1)를 시공하고, 이후 상부 커버(150)를 조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감지 대상인 상수도관로(1)의 평면도상 형태가 T자 이음 형태이므로, 상부 커버(150) 및 하부 커버(120) 등의 몸체의 형태 또한 T자 이음을 덮을 수 있는 형태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라서는 감지 대상인 상수도관로(1)가 직선상 형태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부 커버(150) 및 하부 커버(120) 등의 몸체의 형태 또한 이에 적합하게 변형되어야 함은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부 커버(150)에는 연결구멍(151)이 형성되어 있다.
연결구멍(151)에는 지상 안내관(170)의 하단부가 연결된다.
따라서 감지 대상인 상수도관로(1)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20)에 둘러쌓인 공간은 수밀되어 있으므로, 누수된 물은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20)에 둘러쌓인 공간으로 누수된 후, 연결구멍(151)을 지나 지상 안내관(170)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지상 안내관(170)은 몸체 내부의 물을 지상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는 지상 안내관(170)의 상부에 연결관(180)을 장착한 후 다시 연결관(180)에 캡(190)을 장착하였다.
연결관(180)은 지상 안내관(170)과 캡(190)을 연결하기 위한 용도일 뿐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상 안내관(170)의 상단 및 하단은 각각 나사 결합에 의하여 다른 부재와 연결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는 실시예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또한 본 실시예에서 지상 안내관(170)은 하나의 관 형태로서 도시하였지만, 지상 안내관(170)은 여러 개의 관이 서로 연결된 것일 수도 있음은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연결관(180)은 하단부에 지상 안내관(170)의 상단부와 나사 체결되기 위한 암나사공이 형성되며, 아울러 연결관(180)의 상부는 개방되되 캡(190)이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그 내주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캡(190)은 그 외주면에 수나사가 체결되어 연결관(18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 체결된다.
캡(190)은 지상 안내관(170)의 상단부를 밀봉하기 위한 것으로서, 직접 연결관(180) 내지 지상 안내관(170)에 고정 조립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은 나사 형태 의 조립을 통하여 캡(190)에 형성된 누수 배출공(19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즉 누수 배출공(191)은 항상 지면보다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며, 재포장 등을 통하여 지면의 위치가 높아지는 경우에도 캡(190)을 돌려 누수 배출공(19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캡(190)의 상면에는 이와 같은 캡(190)의 나사 체결과 나사 회전에 의한 상하 이동을 위하여 "+"자의 조작부(194)가 형성되어 있다. 물론 조작부(194)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캡(190)에는 지상 안내관(170)을 통하여 누수된 물이 올라올 경우 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캡(190)의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누수 배출공(19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 누수된 물은 누수 배출공(191)을 통하여 배출된다.
또한 캡(190)에는 누수 배출공(191)으로 물이 배출되는 경우 이를 개폐하기 위한 밸브 부재(193)가 마련된다.
즉, 누수 배출공(191)가 직교되는 암나사공(192)을 형성한 후, 상기 암나사공(192)에 나사 형태의 밸브 부재(193)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 부재(193)를 하부로 전진시키면 누수 배출공(191)을 차단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도 5는 누수 배출공(191)이 열린 상태이며, 도 6은 밸브 부재(193)에 의하여 누수 배출공(191)이 차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물론 밸브 부재(193)의 상면에는 밸브 부재(193)의 나사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조작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 람직하다.
아울러 이러한 밸브 부재(193)는 상기와 같은 형태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누수 조기 감지 장치 및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가 설치된 상태에서, 오랜 시간의 경과로 인하여 상수도관로에 누수가 발생하면, 그 누수된 물은 지상 안내관을 따라 상부로 올라온 후 누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된다.
따라서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를 거의 즉각적으로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그 누수 위치를 정확히 찾아낼 수 있다.
또한 누수 배출공을 통하여 누수되는 물은 수평방향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통행 등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누수가 발생되면, 관리자는 누수 배출공으로 누수되는 양을 확인한 후 즉각 보수할 필요가 있으면 즉각 굴착 작업을 진행하여 보수 작업을 진행하고, 그 양이 미비하면 밸브 부재를 조작하여 누수 배출공을 닫아 더이상 외부로 누수가 배출되는 것을 막고 일정한 시간이 경과한 후 해당 누수 지점에 대한 보수 작업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밸브 부재의 조작에 의하여 누수가 발생한 지점 여러 개를 확인한 후 일시에 보수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전체적인 보수 공사비를 경감시킬 수 있다.
한편, 캡의 상면 등은 지상으로 노출된 부위이므로, 캡의 상면에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의 연결 형태를 표시한다면, 지상에서도 캡의 상면에 표시된 상수 도관로의 연결 형태를 확인하여,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의 전체적인 배치 형태를 알 수 있다. 이는 본 장치가 상수도관로의 연결지점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상수도관로의 연결지점마다 본 장치에 의하여 그 부위의 위치가 확인되고, 또한 본 장치에 그 연결 형태가 표시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도 7은 도 1의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상 안내관(170)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미리 보온재(13) 등으로 지상 안내관(170) 등에 대한 보온 시공을 하였다.
도 8은 도 7의 실시예의 변형예이다.
도 8은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가 차도의 직하부에 위치할 경우 지상 안내관(170)을 차도로부터 벗어나도록 설치하고,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상부에는 위치 표시 부재(14)를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누수 배출공(191)은 차도로부터 벗어난 상태에 위치하며, 누수가 발생할 경우 위치 표시 부재(14)의 위치를 통하여 누수가 발생한 위치를 확인하도록 하였다.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내지 조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내지 조정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용한다면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지중에 매설된 상수도관로의 누수 여부 및 누수 위치를 조기에 찾아내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가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에 설치된 상태의 개략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주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2의 캡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1의 변형예,
도 8은 도 7의 변형예.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하부 보조 금속띠 120 : 하부 커버
130 : 하부 패킹 140 : 상부 패킹
150 : 상부 커버 151 : 연결구멍
160 : 상부 보조 금속띠 170 : 지상 안내관
180 : 연결관 190 : 캡
191 : 누수 배출공

Claims (4)

  1. 하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커버와 결합되되 연결구멍이 형성된 상부 커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간의 조립에 의하여 상기 하부 커버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를 지나는 감지 대상인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외부를 수밀시키도록 이루어진 몸체 ;
    하단부가 상기 연결구멍에 연결되어 상기 몸체 내부의 물을 지상으로 안내하기 위한 지상 안내관 ;
    상기 지상 안내관의 상단부에 상기 지상 안내관의 상단부를 밀봉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일측에 수평 방향으로 누수 배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누수 배출공과 직교되는 암나사공이 형성된 캡 ;
    상기 누수 배출공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암나사공에 나사 결합되는 밸브 부재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 상수도관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패킹이 마련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패킹이 마련되며, 상기 하부 커버의 하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하부 보조 금속띠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커버의 상면에 그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보조 금속띠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 보조 금속띠, 상기 하부 커버, 상기 하부 패킹, 상기 상부 패킹, 상기 상부 커버, 상기 상부 보조 금속띠를 순서대로 관통하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의 일단에 나사체결되는 체결너트에 의하여 상기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커버가 수밀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매설 상수도관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KR1020090016133A 2009-02-26 2009-02-26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KR10091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33A KR100914670B1 (ko) 2009-02-26 2009-02-26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6133A KR100914670B1 (ko) 2009-02-26 2009-02-26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4670B1 true KR100914670B1 (ko) 2009-08-28

Family

ID=41210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6133A KR100914670B1 (ko) 2009-02-26 2009-02-26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46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0224A (zh) * 2022-07-14 2022-08-16 湖北工业大学 一种土木建设用仪器测试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634A (en) * 1987-09-08 1989-03-14 Hiroshi Tanaka Leak detecting and preventing device in piping connection part
JP2001133354A (ja) * 1999-11-01 2001-05-18 Hiromi Shimada 配管の漏れ試験用治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68634A (en) * 1987-09-08 1989-03-14 Hiroshi Tanaka Leak detecting and preventing device in piping connection part
JP2001133354A (ja) * 1999-11-01 2001-05-18 Hiromi Shimada 配管の漏れ試験用治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910224A (zh) * 2022-07-14 2022-08-16 湖北工业大学 一种土木建设用仪器测试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137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0927464B1 (ko) 배관재 연결부 감지장치
KR101107202B1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JP5469655B2 (ja) 地中埋設水道管の漏水検知装置及び漏水検知方法
EP0549680A1 (en) HYDROSTATIC CONTROL APPARATUS.
KR102181151B1 (ko) 누수 감지 소화전
KR100978103B1 (ko) 하수도관의 누수 안전진단장치
US6006773A (en) Installation method for pipe layout with opposing incline
KR100914670B1 (ko) 지중 매설 상수도관로의 누수 조기 감지 장치
KR101058141B1 (ko) 배관재 연결부의 누설감지용 감지장치
KR100730653B1 (ko) 상ㆍ하수관로의 시공 및 준공검사를 위한 맨홀의 진공압 시험 장치
KR101412605B1 (ko) 관 이음장치
US8776822B2 (en) Inflow protection device for air relief valves on water-carrying pipelines
US11859756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leaks in pipelines
KR101138739B1 (ko) 지하수 상부 보호공의 배관 연결장치
KR20160008327A (ko) 부단수 누수방지대
KR100801684B1 (ko) 감지수단이 구비된 분류식 하수관거
KR101577963B1 (ko) 상수도 누수탐지장치
WO2014075900A1 (en) Device for inserting a tool into a water pipe
FI84743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foerhindra av laeckage i roerledning foeranledda vattenskador i byggnader.
KR100965307B1 (ko) 경광 누수감지기
KR20080109455A (ko) 파손 감지 및 관로 위치 파악이 용이한 감지관
KR101613360B1 (ko) 유체 바이패스용 이형관 및 이를 이용한 유체 관로 보수 공법
RU2554689C1 (ru) Подводный трубопровод
RU2820483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колодцев от попадания грунтов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