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073B1 -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073B1
KR101544073B1 KR1020150003485A KR20150003485A KR101544073B1 KR 101544073 B1 KR101544073 B1 KR 101544073B1 KR 1020150003485 A KR1020150003485 A KR 1020150003485A KR 20150003485 A KR20150003485 A KR 20150003485A KR 101544073 B1 KR101544073 B1 KR 10154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support
unit
bar
plac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3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규익
Original Assignee
염규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규익 filed Critical 염규익
Priority to KR1020150003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0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8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including movable parts, e.g. movable by the w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Abstract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의 거치작업이 간편하고, 미사용시에는 고정유닛을 접어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대; 지주대에 설치되고, 현수막의 일단이 결합되며, 지주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유닛; 및 지주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현수막의 타단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막 게시대{A Vertical Bulletin Board of Placard}
본 발명은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현수막의 거치작업이 간편하고, 미사용시에는 고정유닛을 접어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을 기둥에 철사나 끈등으로 집속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널리 알려져있으나, 이와같이 현수막을 고정시킬 경우에는 현수막의 수평이 잘 맞지 않게 되고, 현수막 걸이봉으로 사용되는 각목이 강풍이나 충견등에 쉽게 절단되어 도시 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통행인이나 차량에 위험요소로 작용될 수 있는단점이 있으며, 특히, 현수막을 게양하지 않는 경우에도 거치대가 지주대로부터 돌출된 상태로 방치되기 때문에 도로 또는 공원 등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도로나 공원 등을 사용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7751호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목적의 현수막 게양대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현수막 게양대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걸이대가 회전 또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필요에 따라 걸이대를 회전시켜 접철하거나 고정부재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 게양대는 걸이대를 고정부재에 대하여 현수막의 게양이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것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800051호 (2008년01월25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55285호 (2004년06월26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57894호 (2004년07월23일 등록) 국내등록실용신안 제20-0388711호 (2005년06월24일 등록)
본 발명은 현수막의 거치작업이 간편하고, 미사용시에는 고정유닛을 접어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대; 지주대에 설치되고, 현수막의 일단이 결합되며, 지주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이동되는 이동유닛; 및 지주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현수막의 타단을 고정 지지하는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지주대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에는 "┼"자 형상으로 개방부가 형성되며, 개방부의 측면에는 이동유닛에 구비된 바퀴가 이동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유닛은, 지주대의 상부에 축 결합되고, 체인이 경유 되도록 회전되는 도르래; 지주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외부 동력에 의해 체인을 이동시키는 회전부; 체인의 중간에 설치 고정되고, 체인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체; 이동체의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이동체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연결봉; 및 연결봉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현수막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고정봉;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유닛은, 지주대의 하부 양측에 설치 고정되는 브라켓; 브라켓에 축 결합되고, 축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대; 지지대의 전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봉; 및 회전봉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현수막의 타단을 지지하며, 회전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고정봉;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는 현수막의 거치작업이 간편하고, 미사용시에는 고정유닛을 접어 사용함으로써, 보행자의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다양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에 현수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고정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고정유닛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개략적인 제어부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등의 용어는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편의상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 도면상의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는 경우, 실제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부는 하부로 명명될 수 있고, 하부는 상부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에 현수막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고정유닛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고정유닛이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개략적인 제어부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10)는 지주대(100), 이동유닛(200), 고정유닛(300), 풍량감지센서(500), 빗물감지센서(6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주대(100)는 지면에 설치 고정되고, 현수막 게시대(10)의 전체 구성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지주대(10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에는 "┼"자 형상으로 개방부(110)가 형성되며, 개방부(110)의 측면에는 이동유닛(200)에 구비된 바퀴(231)가 이동되도록 레일(120)이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레일(120)은 지주대(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바퀴(231)가 외부충격에 의해 지주대(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지주대(100)는 상단부에 한국의 기와지붕을 설치하여 외국인 보행자에게 한국 전통적인 미를 알리면서 현수막에 게시된 광고 등의 시선을 끌도록 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은 현수막(20)이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유닛(200)은 도르래(210), 회전부(220), 이동체(230), 연결봉(240) 및 제1 고정봉(250)을 포함할 수 있다.
도르래(210)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고, 지주대(100)의 상부 즉 개방부(110) 사이에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되며, 체인(211)이 하측에서 올라온 체인이 경유 되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가이드역할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부(220)는 지주대(100)의 하부에 설치 고정되고, 체인(211)을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체인(211)은 일단은 이동체(230)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타단은 이동체(230)의 하단에 체결 고정되며, 회전부(220)에 의해 상하 이동되면서 이동체(2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부(220)는 체인(211)이 경유 되도록 스프로킷(223) 형태로 형성되고, 스프로킷(223) 중앙에는 축이 형성되며, 축에는 핸들(221)이 결합되어 작업자가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즉, 작업자가 핸들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체인(211)에 고정된 이동체(230)가 상부로 이동되고, 반대로 핸들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동체(230)가 하부로 된다. 회전부(220)는 제어부(400)에 의해 스프로킷(223)을 자동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제1 구동부(222)를 포함 할 수 있다.
제1 구동부(222)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스프로킷(223)의 중심축과 연결되며, 제어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230)는 연결봉(240)이 고정 지지되고, 연결봉(240)을 지주대(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동체(23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지주대(100)의 개방부(110) 사이에 위치되며, 하부에는 레일(120)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231)가 설치될 수 있다.
연결봉(240)은 연결봉(24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동체(230)의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며, 이동체(230)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연결봉(240)은 현수막(20)이 체결 고정되는 제1 고정봉(250)을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봉(250)은 연결봉(240)의 전후방에 각각 구비된 고정대(241)에 삽입 고정되고, 현수막(20)의 일단을 고정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 고정봉(250)은 지주대(100)의 양측 및 전후 방향으로 4개가 설치되어 4개의 현수막(20)을 게시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양방향으로 이동하는 보행자가 어떤 방향에 있든 현수막(20)의 광고가 용이하게 볼 수 있도록 하고, 테마별로 게시되는 현수막을 걸어 보행자가 한눈에 볼 수 있도록 한다.
고정유닛(300)은 현수막(20)의 타단이 연결되고, 현수막(20)이 세로 형태로 팽팽하게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고정유닛(300)은 브라켓(310), 지지대(320), 회전봉(330) 및 제2 고정봉(34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310)은 지주대(100)의 하부 양측에 각각 설치 고정되고, 전방에서 후방방향으로 축(311)이 형성되며, 축(311)에는 지지대(320)가 일정범위 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브라켓(310)은 지지대(320)를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310)은 지주대(100)의 외측에 용접되거나 또는 볼트로 체결 고정될 수 있다.
지지대(320)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브라켓(310)의 축(311)에 결합되며, 양측 전후방에는 각각 고정편(321)이 체결 고정될 수 있다.
회전봉(3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고정편(321)의 일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제2 고정봉(34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봉(330)은 일단에 제2 구동부(331)의 축과 연결되어 제2 구동부(33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제2 구동부(331)는 제어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어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봉(330)으로 회전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구동부(222) 및 제2 구동부(331)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회전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봉(340)은 일정 길이를 갖는 봉 형태로 형성되고, 회전봉(330)과 일정거리 이격되게 고정되며, 현수막(20)의 타단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제2 고정봉(340)은 회전봉(3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되고, 늘어진 현수막을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현수막(20)의 일단이 이동유닛(2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유닛(200)이 지주대(100)의 상부로 이동되면 이동유닛(200)과 고정유닛(300) 사이에 늘어진 현수막을 수직 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칠 수 있다.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바람에 의해 휘날리는 현수막이 고정 지지되어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풍량감지센서(500)는 지주대(100)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바람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풍량감지센서(500)는 바람개비 형태로 형성되고, 바람의 에 의해 회전되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풍량감지센서(500)는 제어부(400)와 연결되고, 기 설정된 바람의 세기보다 큰 값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빗물감지센서(600) 지주대(100)의 상단에 체결 고정되고, 빗물을 감지하는 센서판이 구비될 수 있다. 빗물감지센서(600)는 기 설정된 빗물보다 많은 양의 빗물이 감지되면 제어부(400)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풍량감지센서(500) 및 빗물감지센서(600)에서 발생된 신호는 원거리 무선통신부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즉, 태풍 또는 비가 오는 지역을 빠르게 감지하여 주변에 있는 지주대에 설치된 현수막들을 원거리 무선통신부(410)를 이용하여 현수막(20)을 내리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풍량감지센서(500) 또는 빗물감지센서(6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제1 구동부(222) 또는 제2 구동부(33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작업자의 휴대용 단말기와 원거리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작업자가 언제 어디서든 현수막 게시대(1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예상치 못한 태풍이 몰아치면 작업자가 현수막을 내리기 위해 현장으로 나가야 하는데 태풍에 의해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작업자가 휴대용 단말기로 제어부(400)와 연결된 제1 구동부(222) 또는 제2 구동부(331)를 작동시켜 현수막(20)이 내려오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현수막 게시대의 작동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지주대(100)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 고정하고, 이동유닛(200)을 고정유닛(300)과 근접하게 위치되도록 회전부(220)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수막(20)의 일단이 이동유닛(200)에 구비된 제1 고정봉(250)에 끼워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고정유닛(300)에 구비된 제2 고정봉(340)에 끼워 고정되도록 한다.
다음, 회전부(220)를 작동시켜 이동유닛(200)을 지주대(100)의 상부로 이동시키면서 현수막(20)이 수직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렇게 설치된 현수막(20)은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팽팽하게 만들도록 제2 구동부(331)를 작동시켜 회전봉(330)을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봉(330)에 연결된 제2 고정봉(340)이 회전봉(33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늘어진 현수막(20)의 일부를 회전봉(330)에 감기도록 한다.
한편, 현수막 게시대(10)에서 현수막(20)을 제거할 때에는 제1 구동부(222)를 작동시켜 이동유닛(200)이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고정유닛(300)과 근접하게 위치되면 제1 구동부(222)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여 이동유닛(200)이 멈추도록 한다. 그리고 제1 고정봉(250) 및 제2 고정봉(340)에서 각각 현수막(20)을 이탈시켜 분리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유닛(300)은 브라켓(310)의 축(311)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동유닛(200)은 다시 상부로 이동시켜 보행자의 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태풍 또는 비가 내리게 되면 풍량감지센서(500) 또는 빗물감지센서(600)가 작동되어 제어부(400)로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제어부(400)는 제1 구동부(222) 또는 제2 구동부(331)를 작동시켜 현수막(20)이 내려오도록 한다. 이때, 이동유닛(200)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면, 현수막의 하부가 바닥에 끌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유닛(300)에 구비된 제2 구동부(331)가 동시에 작동되고, 제2 구동부(331)의 작동에 의해 회전봉(330)을 회전시키면서 하측 방향으로 내려오는 현수막(20)이 회전봉(330)에 감기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현수막 게시대 20; 현수막
100; 지주대 110; 개방부
120; 레일 200; 이동유닛
210; 도르래 211; 체인
220; 회전부 221; 핸들
222; 제1 구동부 223; 스프로킷
230; 이동체 231; 바퀴
240; 연결봉 241; 고정대
250; 제1 고정봉 300; 고정유닛
310; 브라켓 311; 축
320; 지지대 321; 고정편
330; 회전봉 331; 제2 구동부
340; 제2 고정봉 400; 제어부
410; 무선통신부 500; 풍량감지센서
600; 빗물감지센서

Claims (4)

  1.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간에는 "┼"자 형상으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방부의 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이 구비된 지주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축 결합되어 체인이 경유 되도록 회전되는 도르래와, 상기 지주대의 하부에 설치되고 외부 동력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체인을 이동시키도록 스프로킷 형태로 이루어진 회전부와, 상기 체인과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바퀴가 구비되어 상기 체인의 이동에 따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의 양측에 각각 체결 고정되고 상기 이동체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전후방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현수막의 일단을 지지하는 제1 고정봉을 포함하는 이동유닛; 및
    상기 지주대의 하부 양측에 설치 고정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축 결합되고 축을 기준으로 하부 방향으로 회전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전후방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과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현수막의 타단을 지지하되 상기 현수막을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봉과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2 고정봉과,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는 고정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게시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03485A 2015-01-09 2015-01-09 현수막 게시대 KR10154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85A KR101544073B1 (ko) 2015-01-09 2015-01-09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3485A KR101544073B1 (ko) 2015-01-09 2015-01-09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073B1 true KR101544073B1 (ko) 2015-08-21

Family

ID=54060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3485A KR101544073B1 (ko) 2015-01-09 2015-01-09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57B1 (ko) * 2017-08-01 2018-09-06 이재걸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KR102381881B1 (ko) * 2020-11-07 2022-03-31 이양우 도로용 자동 기 게양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72Y1 (ko) 2002-10-24 2003-02-06 (주)드림테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200366869Y1 (ko) 2004-08-25 2004-11-08 (주)녹색기업 현수막 게시대
KR200404124Y1 (ko) 2005-10-05 2005-12-19 광 호 이 현수막 세로 게시대
KR100883057B1 (ko) * 2007-08-03 2009-02-11 주식회사 동부휀스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3072Y1 (ko) 2002-10-24 2003-02-06 (주)드림테크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200366869Y1 (ko) 2004-08-25 2004-11-08 (주)녹색기업 현수막 게시대
KR200404124Y1 (ko) 2005-10-05 2005-12-19 광 호 이 현수막 세로 게시대
KR100883057B1 (ko) * 2007-08-03 2009-02-11 주식회사 동부휀스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957B1 (ko) * 2017-08-01 2018-09-06 이재걸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KR102381881B1 (ko) * 2020-11-07 2022-03-31 이양우 도로용 자동 기 게양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7238B2 (ja) 横断歩道用シェルター
KR101544073B1 (ko) 현수막 게시대
ES2337754A1 (es) Barrera publicitaria complementaria a los mastiles de control de accesos de vehiculos.
KR101448581B1 (ko) 터널진입 차단장치
CN203603548U (zh) 一种多功能可移动座体
KR200390938Y1 (ko) 회전식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100883057B1 (ko) 세로형 현수막 설치대
KR20100055697A (ko) 현수막게시대
CN205194260U (zh) 一种前框整体移动升降的换画灯箱
KR20150115180A (ko) 차량 통과 높이 제한 표시장치
CN104929390A (zh) 一种单支撑立柱折叠式移动平台
CN111505983B (zh) 一种控制电动路标提供方向指引的装置
CN204185753U (zh) 一种铣刨机遮阳棚
CN103195268A (zh) 一种避雨装置
CN103485294B (zh) 一种道闸机及用于道闸机的闸杆
CN206376360U (zh) 可伸缩电动阳台
KR100356225B1 (ko) 이동식 비상 안전등
CN207600758U (zh) 一种新型移动式汽车检测显示器的推行平台
CN211818471U (zh) 一种多功能风动旗杆
CN108978509A (zh) 一种用于提醒的设备
KR101728215B1 (ko) 폴형 옥내외 전광판 회전장치
CN204077313U (zh) 一种汽车窗帘生产设备
CN217956584U (zh) 一种电力施工电缆保护装置
CN106703203A (zh) 一种可移动节能环保折叠房
CN211576513U (zh) 一种导流罩冲击试验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