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3072Y1 -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 Google Patents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3072Y1
KR200303072Y1 KR20-2002-0031685U KR20020031685U KR200303072Y1 KR 200303072 Y1 KR200303072 Y1 KR 200303072Y1 KR 20020031685 U KR20020031685 U KR 20020031685U KR 200303072 Y1 KR200303072 Y1 KR 2003030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post
anchor
fix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1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인술
Original Assignee
(주)드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테크 filed Critical (주)드림테크
Priority to KR20-2002-0031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30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30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30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37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supported by a pos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2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fram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18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5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 G09F2007/186Means for attaching 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to a supporting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suspended, e.g. secured to the cei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막을 상단에서 고정하는 현수막걸이장치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구성하여, 현수막의 게시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승강장치의 구성을 견고히 함으로서 바람에 의한 현수막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현수막이 장착되는 승강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함은 물론,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승강장치에 장착된 현수막 걸이장치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는,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현수막을 고정하는 현수막 걸이장치;와,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부착되어,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포스트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포스트 상에 설치되는 구동볼트;와, 상기 구동볼트의 양 측단부에서 삽입되며, 상기 포스트에 고정 부착됨으로서, 상기 구동볼트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베어링;과, 상기 구동볼트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볼트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 중 수직기어의 축에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볼트의 외주면과 나사 결합되고,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고정 부착되어 상기 구동볼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홀더;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A hanger equipment for hanging banner vertically}
본 고안은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으로서, 현수막을 상단에서 고정하는 현수막걸이장치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승강장치를 구성하여, 현수막의 게시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승강장치의 구성을 견고히 함으로서 바람에 의한 현수막의 요동을 최소화하여, 현수막이 장착되는 승강장치의 파손을 최소화함은 물론, 불필요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승강장치에 장착된 현수막 걸이장치의 상하 이동이 용이하게 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관한 것이다.
현수막은 천으로 이루어져 선전 및 광고문구가 인쇄된 가운데 장방형으로 길쭉하게 제작되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러한 현수막의 설치는 관할기관에서 지정하는 장소에 제한적으로 설치되어 일반인들로 하여금 선전효과를 주고 있다.
상술한 현수막은 통상 길이가 수m 내외의 천으로 제작되고, 천 양끝단에 원주형태의 봉 또는 사각목을 부착한 다음 지정된 장소에서 양측으로 설치된 지주대 또는 상하에 가로대가 형성된 세로형 지주대로서의 포스트에 게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수막이 지주대로서의 포스트에 세로로 게시되는 경우, 현수막을 게시하고 제거하는 과정에서 작업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현수막의 게시 및 제거 작업을 어렵게 하고, 또한, 추락에 의한 사고 발생의 위험성을 항상 가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31546호에서, 지중에 그 하단이 매설되게 지주를 설치하고, 설치된 지주의 내부에는 상, 하단에 각각 구동체인이 무한궤도운동 가능하도록 스프라킷을 굴대 설치하여, 상기 구동체인에는 현수막의 상단을 협지하기 위한 다수의 홀더가 하부에 설치된 승강구를 연결 고정하며, 상기 지주의 하부에는 가로대를 설치하여 지중에 매설되는 다수의 안내관을 연통되게 하고, 상기 각각의 안내관내에는, 선단에 코일스프링을 개재하여 홀더를 설치한 연결구를 그 길이가 신축 가능하게 설치하여서, 승강구를 지주를 따라 상하 이동시킴으로서 세로형 게시대에서 현수막의 게시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등록실용신안 제20-0231546호에 개시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는 종래에 사용되던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서의 현수막 게시 작업의 어려움 및 사고를 어느 정도 방지하였으나, 현수막을 지지하는 승강구가 지주의 내측에 스프라킷에 의하여 무한궤도 운동하는 구동체인에 고정되기 때문에, 바람에 의하여 현수막이요동되는 경우, 구동체인 또한 쉽게 요동됨으로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가질 뿐 아니라, 바람에 의한 승강구의 요동으로 인해 구동체인이 정상 동작하지 못하게 되고, 심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 또한 가지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현수막의 상단부가 고정되며, 고정된 현수막의 상단부가 상하 이동되도록 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서, 바람에 의한 현수막의 요동을 방지하며, 외력에 의하여 승강 동작이 방해됨 없이 견고한 고정력과 용이한 상하 이동 능력을 제공하는 승강장치가 구비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1는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의 정면도,
도2는 상기 도1의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3은 상기 현수막 게시대에 장착되는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현수막걸이장치의 사시도,
도4는 상기 현수막걸이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5는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현수막걸이장치의 사시도,
도6은 상기 도5의 현수막걸이장치의 결합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50 : 현수막
100, 200 : 현수막걸이장치
10 : 포스트 11 : 구동볼트
12 : 홀더 13 : 수평기어
14 : 수직기어 15 : 핸들
20 : 베어링
230 : 제1지지봉 131 : 고정플랜지
210 : 제2지지봉 220 : 앵커
230 : 제1지지봉 30, 235 : 절개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는,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현수막을 고정하는 현수막 걸이장치;와,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부착되어,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포스트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포스트상에 설치되는 구동볼트;와, 상기 구동볼트의 양측단부에서 삽입되며, 상기 포스트에 고정 부착됨으로서, 상기 구동볼트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베어링;과, 상기 구동볼트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볼트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의 수직기어의 축에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볼트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고정 부착되어 상기 구동볼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홀더;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포스트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가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볼트가 포스트의 측부면상에서 상하부에 각각 부착되는 베어링에 양측단부가 삽입됨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구동볼트의 하부에 베벨기어와 구동부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비, 바람 및 안전사고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케이스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가 포스트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포스트의 측면 상에는 상기 홀더가 상하 이동될 수 있는 절개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는 상기 승강장치와 상기 포스트의 하부에 각각 고정부착됨으로서 현수막을 지지 게시한다.
상기 구동볼트는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술한 홀더는 나사산이 내측면에 형성된 너트구멍과, 승강장치가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포스트의 절개부를 통해 포스트 외부로 돌출되어 포스트의 절개부를 따라 이동됨으로서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상하 이동되도록 부착되는 돌출부로 구성된다.
상기 홀더는 너트구멍에 의하여 상기 구동볼트의 외주면 상에 끼워져 나사 결합된다.
상술한 베벨기어는 상기 구동볼트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수평기어와, 상기 수평기어에 수직으로 맞물리어 결합되는 수직기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헤리컬기어, 스트레이트베벨기어, 스파이어럴 베벨기어 등으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손잡이 형태의 핸들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하여 수동으로 동작되거나 또는 전기에 의하여 동작되는 전동모터일 수 있다.
상술한 현수막 걸이장치는, 상기 승강장치에 또는 상기 포스트에 각각 부착되는 고정부본체;와, 상기 고정부 본체의 양 측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본체에 고정되는 앵커로드를 가지며,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구멍에 끼워져서 고정부 본체에 결합되며, 현수막의 일단에 부착된 고정봉이 삽입되고, 고정봉으로부터 현수막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절개부를 가지는 지지봉;으로 구성된다.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앵커로드의 외주면 상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가지고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에는, 상기 앵커의 과도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플랜지;와 상기 앵커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봉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가 더 구성되며, 상기 앵커에는 상기 제동부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본체는, 내부가 빈 관상 구조를 가지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앵커로드가 삽입되는 앵커로드 삽입구멍을 가지는 앵커지지부가 더 구성되어, 상기 앵커로드가 상기 구멍으로 삽입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앵커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부 주위면과 상기 앵커로드의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승강장치는 구동부에 의해 전달되는 회전력이 수직기어에 의해 수평기어로 전달됨으로서 구동볼트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볼트의 회전에 따라 구동볼트에 삽입된 홀더가 상하 이동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더에 고정 부착된 현수막걸이장치가 포스트 상에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홀더가 구동볼트의 상단부 및 하단부로 위치되는 경우, 구동볼트가 멈추지 않고 계속 회전되어 홀더에 상향 또는 하향의 이동력을 받게 됨으로서 구동볼트에 구성된 베어링에 과도한 힘을 작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볼트의 상단부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홀더 안착부를 구비하고, 구동볼트의 하단부에는 일정 위치에 도달되면, 모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마그네틱 스위치 등의 정지스위치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동볼트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홀더 안착부 또한 정지스위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하,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상기 승강장치가 포스트의 내부에 설치됨을 가정하였다.
도1은 본원 고안에 따른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1)를 나타내며, 도2는, 상기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1)의 내부에 장착되어 게시된 현수막의 상단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상기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1)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1)는, 하부가 지중에 매설, 또는, 지중에 매설된 기초에 융착, 볼트 체결 등에 의해 고정되는 포스트(10)를 가진다. 상기 포스트(10)에는 포스트(10)의 외측부상으로 돌출되어 상부 현수막걸이장치(200)가 부착되는 홀더(12)가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승강장치가 내부에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포스트(10)의 외측면 상에는 상기 홀더(12)의 돌출부가 포스트(10)의 외측면 상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있도록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는 절개부(30)가 포스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상기 홀더(12)는 나사산이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구멍을 가지며, 포스트(10)의 절개부(30)를 통해 포스트(10) 외부로 돌출되어 상부 현수막 걸이장치(200)가 고정 부착되는 돌출부(16)를 갖는다.
포스트(10)의 하부에는 하부 현수막걸이장치(100)가 포스트(10)의 외주면 상에 융착 또는 볼트 체결에 의하여 고정 부착됨으로서 게시된 현수막(50)을 하부에서 고정한다.
홀더(12)의 돌출부(16)에 고정 부착된 현수막 걸이장치(200)는 승강장치에 의하여 상하 이동되는 홀더(12)를 따라 포스트(10) 상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현수막(50)의 게시 및 제거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승강장치는 상기 홀더(12)의 너트구멍에 삽입됨으로서 상기 홀더(12)를 지지함과 동시에 홀더(12)를 상하 이동시킬 수 있도록 길이 전체를 따라 외주면상에 나사산을 가지고서 포스트(10)의 내측에서 절개부를 따라 세로방향으로 고정되는 구동볼트(11)와, 구동볼트(11)의 양 단부에는 상기 포스트(10)의 내측면에 고정 부착되고, 구동볼트의 양측단부에 각각 끼워짐으로서 구동볼트(11)를 포스트(10)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베어링(20)과, 구동볼트(11)의 하부 측단부에 결합 구성되는 베벨기어와 상기 베벨기어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상기 베벨기어의 일 구성요소로서 수평기어(13)는구동볼트(1)의 하부 측단부에 삽입되어 고정 부착되며, 상기 수평기어(13)는 베벨기어의 다른 구성요소로서 수직기어(14)와 맞물림으로서 수직기어(14)의 수직 회전 운동이 수평기어(13)에 의하여 구동볼트(11)의 수평회전 운동으로 변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수직기어(14)의 축상에는 구동부로서의 핸들(15)이 구성된다. 상술한 구동부는 수직기어(14)의 축상에 모터축이 결합되는 전동모터(도면에 미도시)일 수 있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구동부로서의 핸들(15) 또는 모터에 의하여 구동볼트(11)가 회전하게 되고, 구동볼트(11)의 회전에 따라 구동볼트(11)에 끼워진 홀더(12)가 구동볼트(11)를 따라 상하 이동되게 됨으로서 홀더(12)에 부착된 현수막걸이장치(200)가 포스트(10)의 측부면에서 상하 이동되게 된다.
도3 내지 도6은 본원 고안의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설치되는 현수막 걸이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도3내지 도6의 상세한 설명에서 제1지지봉과 제3지지봉은 상술한 지지봉을 말하며, 제2지지봉과 제4지지봉은 고정부본체를 의미한다. 또한, 도3 및 도4의 브라켓은 앵커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술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설치되는 현수막걸이장치(200)는, 현수막(50) 단부에서 재봉 등에 의하여 현수막(50)에 부착됨으로서현수막(50)을 고정하는 현수막(50) 고정봉(238)이 삽입, 고정되는 제1지지봉(230)과 제1지지봉(230)을 지지하는 제2지지봉(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지지봉(230)과 제2지지봉(210)은 앵커(220)에 의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결합된다.
상술한 제1지지봉(230)은 내부가 빈 관상구조이고, 일측 단부는 현수막 고정봉(138,238)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관통된 관통부(236)가 형성된다. 또한, 제1지지봉(230)으로 현수막(50) 고정봉(238)이 삽입되는 경우 고정봉(238)에 고정된 현수막(50)이 걸림이 없이 끼워지고 제1지지봉(230)으로부터 빠져 나올 수 있도록 제1지지봉(230)의 외측면 상에는 관통부(236)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현수막(50)의 폭의 길이보다 큰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절개부(235)가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봉(230)의 양단부는 하기에 설명될 앵커(220)의 머리부(221)에 형성된 구멍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 경우 앵커(220)가 지지봉의 내 측으로 과도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플랜지(237, 237a)가 제1지지봉(230)의 양 단부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양 측부의 외주면 상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237,237a) 중 절개부의 위치에 형성되는 플랜지(237a)는 절개부(235)의 위치에서 현수막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절개된다.
상기 앵커(220)는 일측에 구멍이 형성된 평판 형상의 머리부(221)를 가지며, 머리부(221)가 형성된 타 측은 원주형상의 단부에 플랜지(223)가 형성된 앵커로드(222)를 가진다. 상기 플랜지(223)는 앵커로드(222) 단부에 너트 구멍을 가공하고, 너트 구멍에 체결되는 볼트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앵커(220)의 앵커로드(222)는 제2지지봉(21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앵커지지부(241)에 삽입 결합된다.상기 앵커지지부(241)는 일측 단부는 관통되고, 일측은 막혀있는 관상구조를 가지며, 상기 막혀진 단부에는 앵커(220)의 앵커로드(222)가 끼워질 수 있는 구멍(242)이 형성된다. 앵커(220)의 앵커로드(222)는 앵커지지부(241)의 막혀진 단부상에 형성된 구멍(242)에 삽입되고, 앵커지지부(241)의 관통된 단부상에서 코일스프링(245)이 앵커로드의 외주면으로 끼워진다. 코일스프링(245)이 끼워지면, 상술한 앵커로드(222)의 단부는 와셔 또는 원판부재 등이 융착되거나, 앵커로드(223)의 단부면 상에 너트 구멍이 형성된 경우에는 볼트가 체결됨으로서 플랜지(223)를 형성하여, 코일스프링(245)의 타 단부가 상술한 앵커지지부(241)의 막혀진 단부의 구멍 주위의 내부면과 플랜지(223) 또는 볼트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결합된다. 상술한 결합에 의하여 앵커(220)가 당겨지는 경우, 앵커(220)는 코일스프링(245)에 의하여 탄성복원력을 제공받게 됨으로서 현수막을 팽팽하게 유지하며, 현수막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완충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 제2지지봉(210)은 상술한 앵커(220)의 앵커로드(222)에 결합된 앵커지지부(241)가 고정됨으로서 상기 제1지지봉(230)을 지지하며, 외부의 현수막 게시를 위한 가로등, 안내표시판 등에 고정장착됨으로서 현수막을 게시한다
상술한 앵커(220)의 앵커로드(222)에 결합된 앵커지지부(241)가 제2지지봉(210)에 결합되기 위하여, 앵커지지부(241)의 외주면 상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2지지봉(210)의 양 측부상에는 앵커지지부(241)가 삽입 결합될 수 있도록 내주면을 따라 나사산을 가지는 구멍(211)이 각각 형성된다. 앵커지지부(241)는 코일스프링(245) 및 앵커(220)와 결합된 후에 상기 구멍에 나사결합에 의하여 고정된다.
제1지지봉(220)에 구성되는 코일스프링(245)은 세로형 또는 가로형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에 게시된 현수막을 팽팽하게 당김으로서 현수막(50)의 처짐을 방지하며, 외부에서 과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완충작용을 하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245)이 압축되는 경우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됨으로서 과도한 외력이 작용하여도 코일스프링이 변형되지 않게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제1지지봉(220)에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지지봉(230)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로서의 고정플랜지(131)(도5 참조)가 더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앵커(220)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31)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의 록크핀(150)이 더 구성된다. 이 경우, 상술한 고정플랜지(131)와 접하는 앵커(220)는 도5에서와 같이 고정플랜지(131)가 접하는 면과, 고정플랜지(131)가 접하는 영역의 밖의 위치 각각에 록크핀(150)이 삽입되는 고정구멍이 더 형성된다. 상술한 록크핀(150)과 록크핀(150) 고정구멍은 제1지지봉(230)이 회전하여, 현수막(50)이 제1지지봉(230)에 감겨짐으로서 게시될 현수막(50)의 길이가 조절된 후에, 감겨진 현수막(50)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지지봉(230)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5 및 도6에서는 앵커(220)에 앵커로드와 코일 스프링에 구성되지 않은 것으로서 앵커(220)를 브라켓(140)으로 표시하였으며, 도3 및 도4의 제1지지봉(230)에는 제1지지봉(230)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플랜지(131)가 형성된 것으로 제3지지봉(130)으로 표시하였고, 도3 및 도4의 제2지지봉(210)에서 앵커지지부(141)가 구성되지 않은 것을 제3지지봉(110)으로 표시한 본원 고안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르는 현수막 걸이장치(100)를 도시하였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고안의 또 다른 구성을 가지는 현수막 걸이장치(100)는 상기 도3및 도4에 구성된 앵커(220)가 브라켓(140)과 같이 그 구조가 간소화 되며, 상술한 제1지지봉(130)에는 제동부로서의 고정플랜지(131)가 더 형성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브라켓(140)은 제1지지봉(130)이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멍과 상기 고정플랜지를 고정시키는 록크핀(150)이 삽입되는 두개의 구멍이 측면상에 형성되어, 제3지지봉(110)에 융착 또는 볼트 결합에 의하여 고정 부착된다.
도5 및 도6에서 고정플랜지(131)가 두개의 브라켓(140) 사이에 위치되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선택적 실시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여 제3지지봉(130)이 회전되면 현수막이 제3지지봉에 감기어 길이가 조절되며, 이후 록크핀(150)의 각 다리부가 브라켓(140)에 형성된 두개의 고정구멍을 통해 삽입되며, 하나의 다리부가 고정플랜지(131)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으로서 제3지지봉(130)이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하여 제3지지봉(130)에 감겨진 현수막이 풀리지 않도록 한다.
상술한 제3지지봉(130)을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제동부의 또 다른 구성은, 공지된 기술로서 외주 둘레에 기어가 형성된 고정플랜지(131)와, 상기 기어에 맞물려 고정플랜지(1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고정편(도면에 미도시)을 브라켓(140)에 힌지 결합하여 구성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1)에 현수막을 게시하는 과정은, 사용자는 핸들(15) 또는 구동모터(도면에 미도시)를 조작하여 현수막걸이장치(200)를 하부로 이동시킨 후 현수막(50)이 고정된 현수막 고정봉(138, 238)을 승강장치와 포스트(10)의 하부에 부착된 현수막걸이장치(100)의 제1 및 제3지지봉(230, 130)에 각각 삽입하여 현수막을 고정시킨 후, 현수막걸이장치(100, 200)의 제1 및 제3지지봉(230, 130)을 회전시켜 현수막(50)이 제1 및 제3지지봉(230,130)에 감기도록 함으로서 현수막의 길이를 조절한 후, 핸들(15) 또는 구동모터를 조작하여 승강장치에 부착된 현수막걸이장치(200)를 포스트(10)의 상부로 이동시켜 현수막을 게시한다.
도1에서 포스트(11)의 승강장치에는 도3의 현수막걸이장치(200)가 부착되며, 포스트의 하부에는 도5의 현수막걸이장치(300)가 부착되도록 도시하였으나, 본원 고안의 현수막걸이장치(100,200)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1)의 상부 및 하부에 구별없이 부착될 수 있다.
상술한 본원 고안은, 견고한 고정력과 용이한 이동 능력을 제공하는 승강장치를 포스트 내측에 구비함으로서 승강장치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변형됨이 없게 되어 승강장치에 의한 현수막 걸이장치의 상하 이동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현수막의 게시 및 제거 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본원 고안은 상술한 승강장치의 견고성에 의하여 현수막이 요동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승강장치의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서 설치된 현수막 게시대에 소요되는 유지보수비를 현격히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포스트;와, 상기 포스트의 상하부에 장착되어 현수막을 고정하는 현수막 걸이장치;와,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부착되어,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장치;로 구성되는 현수막 게시대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포스트상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포스트 상에 설치되는 구동볼트;
    상기 구동볼트의 양 측단부에서 삽입되며, 상기 포스트에 고정 부착됨으로서, 상기 구동볼트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베어링;
    상기 구동볼트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볼트의 하부 단부에 결합되는 베벨기어;
    상기 베벨기어의 수직기어의 축에 연결된 구동부; 및,
    상기 구동볼트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현수막의 상단부를 고정하는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가 고정 부착되어 상기 구동볼트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하로 이동됨으로서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를 상기 포스트 상에서 상하 이동시키는 홀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막 걸이장치는,
    상기 승강장치에 또는 상기 포스트에 각각 부착되는 고정부본체;
    상기 고정부 본체의 양 측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본체에 고정되는 앵커로드를 가지며, 원형의 구멍이 형성된 앵커; 및,
    상기 앵커의 구멍에 끼워져서 고정부 본체에 결합되며, 현수막의 일단에 부착된 고정봉이 삽입되고, 고정봉으로부터 현수막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절개부를 가지는 지지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상기 앵커로드의 단부에 형성된 플랜지와, 상기 앵커로드의 외주면 상에 삽입되는 코일 스프링을 더 가지며,
    상기 고정부본체는,
    내부가 빈 관상 구조를 가지며 일측 단부에는 상기 앵커로드가 삽입되는 앵커로드 삽입구멍을 가지는 앵커지지부가 더 구성되어,
    상기 앵커로드가 상기 앵커로드 삽입구멍으로 삽입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상기 앵커지지부에 형성된 구멍의 내부 주위면과 상기 앵커로드의 플랜지에 의해 지지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4. 제2항 또는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에는, 상기 앵커의 과도 삽입을 방지하기 위한 다수의 플랜지;와 상기 앵커에 끼워진 후 상기 지지봉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제동부;가 더 구성되며,
    상기 앵커에는 상기 제동부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 걸이장치.
KR20-2002-0031685U 2002-10-24 2002-10-24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KR2003030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685U KR200303072Y1 (ko) 2002-10-24 2002-10-24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1685U KR200303072Y1 (ko) 2002-10-24 2002-10-24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3072Y1 true KR200303072Y1 (ko) 2003-02-06

Family

ID=49330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1685U KR200303072Y1 (ko) 2002-10-24 2002-10-24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307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073B1 (ko) 2015-01-09 2015-08-21 염규익 현수막 게시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4073B1 (ko) 2015-01-09 2015-08-21 염규익 현수막 게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14017A (ja) 高所設置機器用の昇降装置
US6618973B2 (en) Banner holder
US6758159B2 (en) Apparatus for supporting flags, banners and the like
KR101823467B1 (ko) 도로시설물용 기둥식 설치대의 강성 보강장치
KR100927443B1 (ko) 자동풍압조절현수막게시대
KR200303072Y1 (ko) 세로형 현수막 게시대
CN207762844U (zh) 便于维修的可升降路灯杆
KR200287319Y1 (ko) 현수막 설치구조
KR100964739B1 (ko) 풍압에 대응하는 현수막 게시대
US7231884B1 (en) Pennant display with pole mountable collar
KR200416899Y1 (ko) 주유소용 현수막 게시대
JP2009052242A (ja) 自動復帰式道路標識
KR200334499Y1 (ko) 현수막 게시용 지지장치
EP0179499A2 (fr) Panneau publicitaire amovible pour conteneurs et moyens de transport assimilés
KR100356314B1 (ko) 현수막 게시대 걸이 장치
KR0138437Y1 (ko) 깃발 게양장치
KR200466666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200496220Y1 (ko) 에어간판용 회전기구
KR100976955B1 (ko) 승하강식 배너거치대
KR200423207Y1 (ko) 현수막 게시장치
KR100991706B1 (ko) 현수막 설치대
KR200195594Y1 (ko) 현수막 게시 장치
KR100522971B1 (ko) 현수막 걸이 설치대
CA2047503C (en) Universal banner display apparatus
GB2061703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curing articles to po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70928

Effective date: 20080626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