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5957B1 -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 Google Patents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5957B1
KR101895957B1 KR1020170097859A KR20170097859A KR101895957B1 KR 101895957 B1 KR101895957 B1 KR 101895957B1 KR 1020170097859 A KR1020170097859 A KR 1020170097859A KR 20170097859 A KR20170097859 A KR 20170097859A KR 101895957 B1 KR101895957 B1 KR 101895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banner
plate
winch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걸
Original Assignee
이재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걸 filed Critical 이재걸
Priority to KR1020170097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5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5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5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68Modular articulated structures, e.g. stands, and articulation mean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2015/0093Tensioned structu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isplays For Variable Information Using Movabl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100)의 구성과 효과는 다음과 같다.
지반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의 전면(F)에 부착된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110)에 장착되어 상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장착된 승강판(140)과, 상기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C)을 홀딩시키는 게시대(190)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11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롯(111)과, 상기 기둥(1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110) 내부에서 구르는 롤(161)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슬롯(111)으로 연결축(165)이 돌출된 블록(16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165)에 상기 승강판(140)이 연결되고, 상기 기둥(110)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블록(160)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거친 후 상기 기둥(110)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와, 상기 기둥(1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W)가 감기는 윈치(M)를 포함한다.
따라서, 배경기술에 비해서 좁은 설치 면적이 가능하고, 세로쓰기로 인쇄된 현수막의 게시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PLACARD NOTICE DEVICE OF VERTICAL TYPE}
본 발명은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세로형으로 현수막을 걸 수 있기 때문에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고, 야간에도 조명에 의해서 현수막을 공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일반적인 현수막 게시장치(1)의 구성과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현수막 게시장치(1)는 현수막(C)을 가로로 게시할 수 있도록, 양측에 지지되는 기둥(10)이 구성되고, 상기 기둥(10) 사이에는 지지판(20)이 개재되어 상호 연결되므로 양측 기둥(10)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10)의 대향면에는 현수막(C)을 홀딩하는 게시대(30)가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일측 기둥(10)에는 상기 게시대(30) 중 맨 상부의 것을 올릴 수 있도록 윈치(winch, 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며, 상기 게시대(30)들은 상호 걸려서 상방으로 순차적으로 올라가고, 순차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게시대(30) 중 맨 상부의 것과 윈치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므로 윈치가 와이어를 감게 되면 게시대(30)는 상승하게 되고, 풀게 되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현수막 게시장치(1)를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서 맨 상부에 배치되는 게시대(30)를 작업자의 가슴 높이만큼 올린 후에 양측의 게시대(30)에 현수막(C)을 홀딩시킨다. 이때, 일측 게시대(30)는 회전하므로 현수막(C)을 팽팽하게 인장시킬 수 있다.
그러고 나서, 다음 게시대(30)를 올려서 상기 기재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현수막(C)을 홀딩시킨다. 이런 식으로 다수의 게시대(30)에 현수막(C)을 홀딩시킨 후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서 순차대로 상승시키므로 현수막(C)을 게시하는 작업은 완료된다.
그런데 이러한 현수막 게시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현수막(C)을 수평 상태로 게시하므로 양측에 기둥(10)이 필요하게 되어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할 수밖에 없었다.
둘째, 문구가 세로로 작성된 현수막(C)을 게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야간에 현수막(C)을 공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상기 지지판(20)의 전면에 광고 시트를 부착하여 홍보 기능을 하지만, 야간에는 상기 광고 시트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여름에 현수막(C)이 양측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30℃ 이상의 온도가 지속될 경우, 현수막(C)은 신장 되면서 느슨하게 처지게 된다. 따라서, 외양이 보기 흉하고 인쇄된 문구를 제대로 공지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문헌 1)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45051호 (2009년 06월 18일)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는 다음 사항을 해결하고자 한다.
첫째, 설치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둘째, 문구가 세로로 작성된 현수막을 게시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셋째, 야간에 현수막을 공지시킬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넷째, 상기 지지판의 전면에 광고 시트를 부착하여 홍보 기능을 하지만, 야간에는 상기 광고 시트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다섯째, 여름에 현수막이 양측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30℃ 이상의 온도가 지속될 경우, 현수막은 신장되면서 느슨하게 처지게 되므로, 외양이 보기 흉하고 인쇄된 문구를 제대로 공지할 수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지반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기둥과, 상기 기둥의 전면에 부착된 고정판과,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에 장착되어 상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장착된 승강판과, 상기 고정판과 승강판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을 홀딩시키는 게시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롯과, 상기 기둥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 내부에서 구르는 롤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슬롯으로 연결축이 돌출된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축에 상기 승강판이 연결되고, 상기 기둥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롤러와, 상기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거친 후 상기 기둥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와, 상기 기둥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가 감기는 윈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의 후면에 부착된 고정판과, 상기 기둥의 후면에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롯과, 상기 기둥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기둥 내부에서 구르는 롤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기둥의 후면에 형성된 상기 슬롯으로 돌출된 연결축이 구성된 블록과,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판과, 상기 고정판과 승강판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을 홀딩시키는 게시대와, 상기 블록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또다른 와이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은 상기 기둥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둥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개방부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형 채널 형상인 레일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레일은 개방부가 슬롯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고, 상기 블록은 상기 레일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롤은 레일의 내측면에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의 상단에 고정되고 측방에 빛이 통과하는 투과판이 형성된 박스형의 광고부와, 상기 광고부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하는 발광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광고부의 하단에 장착되어 하방을 비추는 라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둥의 양측에 장착된 라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윈치는 전동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고, 상기 게시대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승강판과 고정판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이 양측방을 향하는 베이스 바(base bar)와, 상기 베이스 바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양측방을 향하는 홀딩 바(holding bar)와, 상기 홀딩 바의 회동되는 지점의 상대측을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ㄷ형의 잠금쇠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에 장착된 게시대의 잠금쇠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로드셀과,상기 로드셀과 윈치에 접속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판에 장착된 게시대의 홀딩 바가 상기 로드셀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윈치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로드셀에서 홀딩 바가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윈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는 상기 해결수단에 의해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첫째, 단일 개의 기둥에 현수막을 세로로 게시하는 구조로 인해서 2개의 기둥을 필요로 하는 배경기술에 비해서 좁은 설치 면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세로쓰기로 인쇄된 현수막을 용이하게 게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광고부는 발광수단에 의해서 야간에도 공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넷째, 게시된 현수막을 라이트로 조사시키므로 야간에도 공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다섯째, 여름철에 고온에 의해서 현수막이 신장되어 느슨해지는 경우, 자동으로 윈치가 작동하도록 하여 현수막을 인장시키므로 항상 팽팽하게 펴진 상태의 현수막을 게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기둥의 전후방으로 게시대를 설치하는 경우 전후방으로 현수막을 게시하여 홍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동일 내용의 현수막을 전후방으로 게시하는 경우, 전방으로만 게시하는 것보다 많은 사람들이게 홍보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배경기술에 의한 현수막 게시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광고부 하단에 라이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기둥에 라이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를 측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상부 게시부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상부 게시부 및 하부 게시부에 구성되는 게시대로서, 홀딩바가 외측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홀딩바에 현수막을 홀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양측에 상부 게시부 및 하부 게시부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하부 게시부에 현수막에 홀딩된 상태에서 현수막이 상부 게시부의 상승에 의해서 상방으로 인장되므로 로드셀이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와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광고부 하단에 라이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기둥에 라이트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도 2를 측방에서 본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상부 게시부를 도시한 국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F-F'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와 함께 본원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100)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반에 지지되어 세워지도록 형성된 단일 개의 기둥(110)이 구성된다. 상기 기둥(110)은 하단에 플랜지(118)가 형성되므로 지반에 지지된 기초볼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110)의 전면(F)에 고정판(120)이 부착되는데 현수막(C)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배치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110)에 장착되어 상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장착된 승강판(140)이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은, 후술하는 게시대(190)가 좌우측방으로 길게 형성된 것이므로 좌우측방으로 길게 형성된 직방형의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C)을 홀딩시키는 게시대(190)가 구성된다.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에 각각 구성되는 상기 게시대(190)는 좌우측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가 구성될 수도 있고, 단일 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에서처럼, 상기 기둥(11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상하방으로 길게 형성된 슬롯(111)이 전후방으로 관통되고, 상기 기둥(1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110) 내부에서 구르는 롤(161)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슬롯(111)으로 연결축(165)이 돌출된 블록(16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축(165)에 상기 승강판(140)이 연결된다. 상기 슬롯(111)은 기둥(110)의 강도를 위해서 상하방으로 관통되지는 않도록 한다. 즉, 양측 단부로는 개방되지 않고 전후방으로만 관통된다.
또한, 도 4에서처럼, 상기 기둥(110)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롤러(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되고, 상기 블록(160)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거친 후 상기 기둥(110)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W)가 감기는 윈치(M)가 구성된다. 상기 윈치(M)는 핸들이 구성된 수동식도 가능하고 전동기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식도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윈치(M)가 와이어(W)를 감게 되면 승강판(140)은 상승하게 되고 풀게 되면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블록(160)을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기둥(110)은 도 6에서처럼, 상기 기둥(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둥(1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개방부(117)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형 채널 형상인 레일(115)이 구성된다. 상기 레일(115)은 개방부(117)가 상기 슬롯(111)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고,상기 블록(160)은 상기 레일(115)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롤(161)은 레일(115)의 내측면에 안내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도 2 및 도 4에서처럼, 상기 기둥(110)의 상단에 고정되고 측방에 빛이 통과하는 투과판(171)이 형성된 박스형의 광고부(17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고부(17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하는 발광수단(도시하지 않음)이 구성되는데, 형광등, 백열전구, 네온등, 수은등, 엘이디등 등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할 수 있는 것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광고부(170)의 하단에 장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하방을 비추는 라이트(183)가 구성되므로 현수막(C)을 야간에도 공지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는 도 3에서처럼 상기 기둥(110)의 양측에 라이트(187)가 장착되므로 현수막(C)의 후방에서 비추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에 장착되는 상부 게시부 및 하부 게시부에 구성되는 게시대로서, 홀딩바가 외측방으로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홀딩바에 현수막을 홀딩시킨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함께 상기 게시대(19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게시대(190)는 승강판(140)에 구성된 것이나 고정판(120)에 고정된 것 모두 동일한 구조의 것으로서, 상기 승강판(140)과 고정판(120)에 부착되고 길이 방향이 양측방을 향하는 베이스 바(191, base bar)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바(191)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양측방을 향하는 홀딩 바(195, holding bar)가 구성된다. 상기 홀딩 바(195)가 회동하도록 장착되기 위해서는 ㄷ형의 고정쇠(193)가 베이스 바(191)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쇠(193)에 홀딩 바(195)가 수용되어 핀이음되므로 외측과 내측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딩 바(195)의 회동되는 지점의 상대측을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191)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ㄷ형의 잠금쇠(197)가 구성된다. 따라서, 도 7에서처럼 상기 잠금쇠(197)를 바깥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홀딩 바(195)는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고, 도 8에서처럼 현수막(C)의 단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홀딩 바(195)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잠금쇠(197)를 고정쇠(193) 쪽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홀딩 바(195)의 벌어짐을 방지하게 되어 현수막(C)의 홀딩이 가능하게 된다.
도 9은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양측에 상부 게시부 및 하부 게시부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도 9의 G-G'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와 함께 기둥(110)의 전후방에 게시대(190)가 장착된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을 통해서 언급한 상기 구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110)의 후방에도 현수막(C)을 걸 수 있도록 기둥(110)의 전방에 설치된 동일한 구성이 후방에도 구성된다. 즉, 상기 기둥(110)의 후면(B)에 부착되는데 현수막(C)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고정판(120)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둥(110)의 후면(B)에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롯(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1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기둥(110) 내부에서 구르는 롤(161)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기둥(110)의 후면(B)에 형성된 상기 슬롯으로 돌출된 연결축(165)이 구성된 블록(160)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축(165)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판(140)이 구성되고, 상기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C)을 홀딩시키는 게시대(190)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록(16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W)에 연결되는 또 다른 와이어가 구성되므로 상기 윈치(M)의 작동에 의해서 기둥(110)의 전방에 장착된 승강판(140)과 후방에 장착된 승강판(140)이 동시에 상하방으로 왕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둥(1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개방부(117)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형 채널 형상인 레일(115)이 구성된다. 즉, 도 10에서처럼 기둥(110)의 전후방에 형성된 슬롯(111)을 향하도록 2 개의 레일(115)이 서로 등지도록 배치되어 각각의 개방부(117)가 전후방에 형성된 슬롯(111)을 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전후방에 배치된 상기 레일(115) 상기 블록(160)이 각각 수용된다. 물론, 상기 블록(160)의 양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롤(161)이 레일(115)의 내부에 접하면서 구르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로서 하부 게시부에 현수막에 홀딩된 상태에서 현수막이 상부 게시부의 상승에 의해서 상방으로 인장되므로 로드셀이 압축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와 함께 현수막(C)이 신장되어 처진 경우 자동으로 인장시키는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언급한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의 잠금쇠(197)의 내측 상단에 로드셀(L)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드셀(L)과 윈치(M)에 접속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윈치(M)는 전동기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의 홀딩 바(195)가 상기 로드셀(L)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윈치(M)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로드셀(L)에서 홀딩 바(195)가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윈치(M)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사용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승강판(140)이 하강한 상태에서 승강판(140)에 장착된 게시대(190)에는 현수막(C)의 상단부를 홀딩시키고,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에는 현수막(C)의 하단부를 홀딩시킨다. 이때의 홀딩 과정은 도 7 및 도 8에서처럼, 상기 잠금쇠(197)를 외측으로 돌린 상태에서 홀딩바(195)를 외측으로 벌린다. 그리고 현수막(C)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끼운다. 그리고 홀딩바(195)를 역방향으로 회동시킨 후에 잠금쇠(197)를 고정쇠(193) 쪽으로 역회전시켜서 홀딩바(195)를 수용시킨다. 따라서, 현수막(C)은 각각의 게시대(190)에 홀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윈치(M)를 작동시켜서 상기 와이어(W)를 감도록 한다. 그러면, 승강판(140)이 상승하면서 현수막(C)을 수직 상태로 인장시키게 된다. 이렇게 해서 현수막(C)이 수직 상태로 펴진 상태가 되면 상기 윈치(M)가 제동되도록 하여 승강판(140)의 하강이 저지되도록 한다.
이처럼, 본원은 단일의 기둥(110)에 현수막(C)을 수직 상태로 게시하기 때문에 배경기술에 비해서 설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세로 쓰기로 인쇄된 현수막(C)의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도 9에서처럼, 기둥(110)의 전후방에 게시대(190)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전후방으로 현수막(C)을 공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배경기술에서는 전방으로만 현수막(C)을 보여줄 수 있지만 본원은 양방으로도 현수막(C)을 알릴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게시되는 현수막(C)의 매수를 늘릴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상기 광고부(170)의 투과면(171)에 광고시트를 부착하게 되면 광고 기능을 하게 되며, 내측에 수용된 발광수단에 의해서 야간에도 광고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9에서 도시한 것처럼, 상기 광고부(170)의 하면에 장착된 라이트(183)에 의해서 현수막(C)을 조사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야간에도 현수막(C)을 홍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도 3에서처럼, 상기 기둥(110)에 라이트(187)가 장착된 경우에는 현수막(C)의 후방에서 빛을 조사하므로 역시 야간에 홍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판(140)이 상승한 상태에서 고정판(120)에 홀딩된 현수막(C)은 도 11에서처럼 하단부가 상방으로 인장되므로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의 홀딩바(195)는 상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도 11에서처럼 잠금쇠(197)에 장착된 로드셀(L)을 압축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어부가 전동기로 작동되는 윈치(M)를 작동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여름철에 외부 기온에 의해서 현수막(C)이 신장되어 느슨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의 홀딩바(195)가 하강하면서 로드셀(L)에서 이탈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윈치(M)에 전기를 인가하여 승강판(140)이 상승하도록 하여 현수막(C)을 인장시킨다. 이렇게 해서 다시 상기 홀딩바(195)가 로드셀(L)을 압축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윈치(M)로 접속된 전기를 끊어서 작동을 멈추도록 한다. 이처럼, 본원에 의하면 외부의 기온에 의해서 현수막(C)이 신장되어 느슨해지는 경우 자동으로 인장시켜서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므로 홍보 효과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례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110: 기둥
111: 슬롯 115: 레일
117: 개방부 120: 고정판
140: 승강판 160: 블록
161: 롤 165: 연결축
170: 광고부 171: 투과판
183: 라이트 187: 라이트
190: 게시대 191: 베이스 바
193: 고정쇠 195: 롤링바
197: 잠금쇠 W: 와이어
R: 롤러 M: 윈치
L:로드셀

Claims (7)

  1. 지반에 지지되도록 형성된 기둥(110)과,
    상기 기둥(110)의 전면(F)에 부착된 고정판(120)과,
    상기 고정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기둥(110)에 장착되어 상하방으로 승강하도록 장착된 승강판(140)과,
    상기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C)을 홀딩시키는 게시대(190)를 포함하고,
    상기 기둥(110)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전방을 향하여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롯(111)과,
    상기 기둥(1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기둥(110) 내부에서 구르는 롤(161)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슬롯(111)으로 연결축(165)이 돌출된 블록(160)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축(165)에 상기 승강판(140)이 연결되고,
    상기 기둥(110)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롤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블록(160)에 연결되어 상기 롤러를 거친 후 상기 기둥(110)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연장되는 와이어(W)와,
    상기 기둥(110)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W)가 감기는 윈치(M)를 포함하고,
    상기 윈치(M)는 전동기에 의해서 작동되는 것이고,
    상기 게시대(190)는,
    상기 승강판(140)과 고정판(120)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길이 방향이 양측방을 향하는 베이스 바(191, base bar)와,
    상기 베이스 바(191)의 일측에 회동하도록 장착되고 길이 방향이 양측방을 향하는 홀딩 바(195, holding bar)와,
    상기 홀딩 바(195)의 회동되는 지점의 상대측을 수용하도록 상기 베이스 바(191)에 회동하도록 장착된 ㄷ형의 잠금쇠(197)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의 잠금쇠(197)의 내측 상단에 장착된 로드셀(L)과,
    상기 로드셀(L)과 윈치(M)에 접속된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정판(120)에 장착된 게시대(190)의 홀딩 바(195)가 상기 로드셀(L)을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윈치(M)를 작동시키지 않고, 상기 로드셀(L)에서 홀딩 바(195)가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윈치(M)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의 후면(B)에 부착된 고정판(120)과,
    상기 기둥(110)의 후면(B)에 상하방으로 길게 관통된 슬롯(도시하지 않음)과,
    상기 기둥(110)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서 기둥(110) 내부에서 구르는 롤(161)이 양측에 장착되고 상기 기둥(110)의 후면(B)에 형성된 상기 슬롯으로 돌출된 연결축(165)이 구성된 블록(160)과,
    상기 연결축(165)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승강판(140)과,
    상기 고정판(120)과 승강판(140)에 길이 방향이 좌우측을 향하도록 부착된 것으로서 현수막(C)을 홀딩시키는 게시대(190)와,
    상기 블록(160)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W)에 연결되는 또다른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은,
    상기 기둥(110)의 내부에 수용되어 기둥(110)의 내측면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개방부(117)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C형 채널 형상인 레일(115)을 포함하고,
    상기 레일(115)은 개방부(117)가 상기 슬롯(111)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고,
    상기 블록(160)은 상기 레일(115)의 내측으로 수용되고 상기 롤(161)은 레일(115)의 내측면에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의 상단에 고정되고 측방에 빛이 통과하는 투과판(171)이 형성된 박스형의 광고부(170)와,
    상기 광고부(17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전기의 인가에 의해서 발광하는 발광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부(170)의 하단에 장착되어 하방을 비추는 라이트(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110)의 양측에 장착된 라이트(18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7. 삭제
KR1020170097859A 2017-08-01 2017-08-01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KR101895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59A KR101895957B1 (ko) 2017-08-01 2017-08-01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859A KR101895957B1 (ko) 2017-08-01 2017-08-01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5957B1 true KR101895957B1 (ko) 2018-09-06

Family

ID=63593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859A KR101895957B1 (ko) 2017-08-01 2017-08-01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59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449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신명애드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200445051Y1 (ko) 2008-11-17 2009-06-25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KR101522590B1 (ko) * 2014-01-14 2015-05-27 지애드주식회사 조명등을 구비한 광고용배너 거치대
KR101544073B1 (ko) * 2015-01-09 2015-08-21 염규익 현수막 게시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0449A (ko) * 2006-11-03 2008-05-08 주식회사 신명애드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KR200445051Y1 (ko) 2008-11-17 2009-06-25 이재걸 현수막 게시장치
KR101522590B1 (ko) * 2014-01-14 2015-05-27 지애드주식회사 조명등을 구비한 광고용배너 거치대
KR101544073B1 (ko) * 2015-01-09 2015-08-21 염규익 현수막 게시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4090B1 (ko) 자동 승강식 현수막 게시장치
US20080120877A1 (en) Light box display apparatus configured for frontal access
US7000344B2 (en) Up-and-down display sign
KR101895957B1 (ko) 세로형 현수막 게시장치
KR100876908B1 (ko) 광고판 게시대 및 그 광고판 게시대의 원격제어방법
KR101025936B1 (ko) 현수막게시대
CN205354583U (zh) 广告闸杆及广告道闸
KR20080040449A (ko) 전광판을 구비한 세로형 자동 현수막 설치대
CN202013719U (zh) 多功能可旋转式广告展示架
KR200404597Y1 (ko) 전광판과 현수막을 이용한 지주형 간판
CN203338700U (zh) 高亮度双面柔性画布led灯箱
CN203338699U (zh) 大尺寸高亮度柔性画布led灯箱
KR20130102695A (ko) 현수막 게시대
KR100397826B1 (ko) 세로형 현수막 걸이대
KR101873350B1 (ko) 다이내믹 광고 장치
KR100851774B1 (ko) 간판의 조명등설치골조 제조용 고정지그
KR20160112558A (ko) 슬림하면서 스마트폰 형상으로 광고하는 배너광고대
KR20090012548A (ko) 현수막 게시대
KR101025939B1 (ko) 현수막게시대
CN203397641U (zh) 双面门开式带锁led灯箱
CN219832116U (zh) 一种新型发光字广告板
JP2011028193A (ja) 旗・広告などの標示物の演出装置
CN203644347U (zh) 带反光单面四边开启led灯箱
CN217506850U (zh) 一种标志牌型材总成
CN210312979U (zh) 一种双丝杆排线大功率系留气球用绞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