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799B1 -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 Google Patents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799B1
KR101543799B1 KR1020090073655A KR20090073655A KR101543799B1 KR 101543799 B1 KR101543799 B1 KR 101543799B1 KR 1020090073655 A KR1020090073655 A KR 1020090073655A KR 20090073655 A KR20090073655 A KR 20090073655A KR 101543799 B1 KR101543799 B1 KR 101543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en
indexing
timing
timing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6119A (ko
Inventor
정석우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7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799B1/ko
Publication of KR2011001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 B23Q3/157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of rotary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24Tool holders for a plurality of cutting tools, e.g. tur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155Arrangements for automatic insertion or removal of tools, e.g. combined with manual hand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는, 터릿 헤드(40)를 인덱싱(indexing)하는 인덱싱 기어(42)와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센터 샤프트(20)를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100), 바디 프레임(100)의 한쪽에 설치되고 종동 타이밍 기어(51)가 노출되며 인덱싱 기어(42) 또는 센터 샤프트(20)에 종동 타이밍 기어(51)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 장치(50), 바디 프레임(100)의 외측에 설치되고 프레임(112)의 한쪽에 개방부(114)가 형성된 브래킷(110), 브래킷(110)의 외측에 설치되고 개방부(114)에 구동 타이밍 기어(72)가 배치되는 구동모터(70) 및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구동 타이밍 기어(72)에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60)를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73655
터닝센터, 툴 포스트, 모터, 타이밍 벨트, A/S, 유지보수

Description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Tool post of Turning center}
본 발명은 터닝센터(Turning center)의 툴 포스트(Tool post)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절삭공구가 장착되고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특정한 절삭공구를 이용하여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하는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닝센터에는 툴 포스트가 설치되고, 그 툴 포스트에는 다양한 형태의 절삭공구가 여러 개로 배치될 수 있으며, 터닝세터의 제어부에서 내려지는 지령에 따라 특정한 절삭공구가 가공위치로 위치를 이동하여 공작물의 가공에 이용된다.
상술한 절삭공구는 일례로서 외경가공용 바이트, 절단바이트, 센터 서포터, 드릴 공구, 탭 공구 등 다양한 형태가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드릴 공구 또는 탭 공구와 같은 특수한 공구는 구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구멍 또는 암나사를 가공할 수 있게 된다.
즉, 툴 포스트는 여러 개의 공구가 장착된 터릿을 인덱싱(indexing)할 수 있 고, 또한 특정한 공구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종래의 툴 포스트의 구성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툴 포스트는 바디 프레임(10)의 전방에 터릿 헤드(4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바디 프레임(10)의 내부에 클러치 장치(50)가 설치되며, 바디 프레임(10)의 한쪽에 구동모터(70)가 배치되고, 구동모터(70)와 클러치 장치(50)는 타이밍 벨트(60)에 의해 전동되도록 연결된다.
상술한 터릿 헤드(40)는 외경에 공구가 장착될 수 있으며, 공구는 다양한 형태의 절삭공구가 배치될 수 있고, 특히 드릴 공구 또는 탭 공구와 같은 회전공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터릿 헤드(40)는 특정한 공구를 선택하기 위해서 인덱싱(indexing)되어 각도회전 될 수 있고, 또한 상술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인덱싱에 필요한 제1 동력전달과 회전공구에 필요한 제2 동력전달을 전달받아야 하는 것이다.
또한, 구동모터(70)에는 구동 타이밍 기어(72)가 배치되고, 상술한 클러치 장치(50)에도 종동 타이밍 기어(51)가 배치되며, 구동 타이밍 기어(72)와 종동 타이밍 기어(51)는 타이밍 벨트(60)에 의해 연결되어 정확한 회전수를 전동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클러치 장치(50)는 상술한 종동 타이밍 기어(51)의 내경부에 스플라인(52)과 같은 축이 배치될 수 있고, 스플라인(52)의 축은 클러치 장치(50)의 후방에 구동 기어(53)가 배치된다.
또한, 상술한 클러치 장치(50)는 유압의 작용에 따라 종동 타이밍 기어(51)의 동력을 선택적으로 스플라인(52) 또는 구동 기어(53)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디 프레임(10)의 안쪽에는 센터 샤프트(20)가 배치되고, 센터 샤프트(20)는 조인트(30)에 의해 상술한 스플라인(52)과 직결되며, 상술한 센터 샤프트(20)는 상술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디 프레임(10)의 한쪽에는 아이들 샤프트(8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아이들 샤프트(80)의 한쪽에는 종동 기어(82)가 배치되며, 아이들 샤프트(80)의 다른 한쪽에는 인덱싱 구동 기어(84)가 배치된다.
상술한 구동 기어(53)는 상술한 종동 기어(82)와 맞물리고, 상술한 인덱싱 구동 기어(84)는 터릿 헤드(40)의 한쪽에 배치되는 인덱싱 기어(42)와 맞물리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툴 포스트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터릿 헤드(40)가 인덱싱하는 제1 동력전달 또는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동력전달이 이루어진다.
먼저, 상술한 제1 동력전달을 설명한다.
클러치 장치(50)에서 종동 타이밍 기어(51)의 동력이 구동 기어(53)와 연결되고 스플라인(52)과 동력전달이 단절된다.
이후 구동 기어(53)의 동력은 종동 기어(82)와 인덱싱 구동 기어(84)를 거처서 인덱싱 기어(42)를 회전시키고 이로써 터릿 헤드(40)가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구동모터(70)는 수치제어가 가능한 서보모터로서 터릿 헤드(40)는 특정한 공구가 가공위치로 각도 회전되어 이동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인덱싱되는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술한 터릿 헤드(40)는 특정한 위치로 인덱싱된 위치가 커빅 커플링과 유압작용 등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제2 동력전달을 설명한다.
클러치 장치(50)에서 종동 타이밍 기어(51)의 동력이 스플라인(52)과 연결되고 구동 기어(53)는 동력전달이 단절된다.
이후 스플라인(52)은 센터 샤프트(20)를 회전시키며 센터 샤프트(20)는 터릿 헤드(40)에 설치되는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툴 포스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타이밍 벨트(60)는 다른 부속품에 비교하여 비교적 수명이 짧아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소모품이다.
즉, 타이밍 벨트(60)가 절손되거나 절손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적절한 시기에 교체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툴 포스트에서 타이밍 벨트(60)는 바디 프레임(10)의 한 중앙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타이밍 벨트(60)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하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60)를 분리하거나 조립하고자 할 때에 관련된 부속품을 모두 분해하여야 한다.
즉,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 프레임(10)에서 클러치 장치(50)와 구동모터(70)를 분해하고, 타이밍 벨트(60)를 벗겨 내거나 씌우게 된다.
타이밍 벨트(60)를 조립하는 과정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클러치 장치(50)가 바디 프레임(10)에서 분해된 상태에서 타이밍 벨트(60)의 일부를 바디 프레임(10)의 내부로 넣고 이후 클러치 장치(50)의 종동 타이밍 기어(51)에 타이밍 벨트(60)가 씌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클러치 장치(50)를 바디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이후 구동모터(70)의 구동 타이밍 기어(72)에 상술한 타이밍 벨트(60)를 씌우고 구동모터(70)를 바디 프레임(10)에 고정시킨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60)는 타이밍 벨트(60)가 겉에서 쉽게 보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므로 타이밍 벨트(60)를 점검하거나 교체할 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타이밍 벨트(60)의 양호/불량의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없고, 이로써 타이밍 벨트의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공작물의 가공 중에 타이밍 벨트의 절손으로 인하여 안전사고의 발생 및 공작물의 비정상적인 가공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60)를 교체할 때마다 클러치 장치(50)와 구동모터(70)를 함께 분해 조립하여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타이밍 벨트를 겉으로 드러나도록 배치하여 타이밍 벨트의 상태를 육안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이밍 벨트를 교체함에 있어서 과도하게 관련 부속품을 분해조립하지 않도록 하여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는, 터릿 헤드를 인덱싱(indexing)하는 인덱싱 기어와 터릿 헤드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센터 샤프트를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 상기 바디 프레임의 한쪽에 설치되고 종동 타이밍 기어가 노출되며 상기 인덱싱 기어 또는 상기 센터 샤프트에 상기 종동 타이밍 기어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 장치; 상기 바디 프레임의 외측에 설치되고 프레임의 한쪽에 개방부가 형성된 브래킷: 상기 브래킷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에 구동 타이밍 기어가 배치되는 구동모터; 및 상기 종동 타이밍 기어와 상기 구동 타이밍 기어에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인덱싱 기어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 군;이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기어 군은. 상기 클러치 장치의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제1 종동 아이들 기어; 상기 인덱싱 기어에 맞물리는 제2 구동 아이들 기어; 상기 제1 종동 아이들 기어에 단일 축으로 연결되는 제1 구동 아이들 기어; 상기 제2 구동아이들 기어에 단일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 아이들 기어에 맞물리는 제2 종동 아이들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는 타이밍 벨트가 겉으로 드러나도록 배치됨으로써 타이밍 벨트의 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판단할 수 있고, 이로써 타이밍 벨트의 상태가 불량할 경우에는 공작물의 가공 전에 미리 타이밍 벨트를 교체하도록 하여 공작물의 가공도중에 타이밍 벨트의 절손으로 인한 폐해를 미리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는 타이밍 벨트를 교체함에 있어 서 관련 부속품을 분해 조립하지 않고도 타이밍 벨트를 벗기거나 씌울 수 있어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고, 종래의 툴 포스트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고,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며,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서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모터와 타이밍 벨트를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는 바디 프레임(100)의 전방에 터릿 헤드(40)가 설치되고, 후방에 클러치 장치(50)와 구동모터(70)가 설치된다.
또한, 바디 프레임(100)에는 상술한 터릿 헤드(40)를 인덱싱(indexing)하는 인덱싱 기어(42)가 설치되고, 상술한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센터 샤프트(20)가 설치된다.
즉, 상술한 클러치 장치(50)에 의해 구동모터(70)의 동력은 터릿 헤드(40)에 전달되는데 이때, 터릿 헤드(40)의 인덱싱을 실시하는 제1 동력전달과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이 있다.
또한, 상술한 클러치 장치(50)는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한쪽에 설치되고 특히 종동 타이밍 기어(51)가 후방 쪽으로 노출되며, 그 종동 타이머 기어(51)의 동력은 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상술한 인덱싱 기어(42) 또는 상술한 센터 샤프트(20)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디 프레임(100)의 외측에 브래킷(110)이 설치되고, 그 브래킷(110)은 프레임(112)이 대략 디귿(ㄷ)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느 한쪽에 개방부(114)가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술한 브래킷(110)의 한쪽에 상술한 구동모터(70)가 설치되고, 특히 구동모터(70)의 구동축에 설치되는 구동 타이밍 기어(72)가 상술한 개방부(114)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상술한 구동 타이밍 기어(72)에 타이밍 벨트(60)가 설치되는데, 여기서 타이밍 벨트(60)는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노출되게 배치되는 것이고 작업자의 의지에 따라 타이밍 벨트(60)를 벗겨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동 기어(53)와 상술한 인덱싱 기어(42)의 사이에 감속기어 군(140)이 더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감속기어 군(140)은 구동 기어(53)에서 출력되는 회전속도를 감속시켜서 상술한 인덱싱 기어(42)를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술한 감속기어 군(140)은 제1 종동 아이들 기어(120)와 제1 구동 아이들 기어(122)가 단일 축으로 연결되고, 제2 종동 아이들 기어(130)와 제2 구동아이들 기어(132)가 단일 축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술한 제1 종동 아이들 기어(120)는 상술한 클러치 장치(50)의 구동기어(53)에 맞물리고, 상술한 제2 구동 아이들 기어(132)는 상술한 인덱싱 기어(42)에 맞물린다.
다른 한편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터릿 헤드(40)에는 여러 가지 형태의 공구가 배치될 수 있고, 그러한 공구 중에서도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회전되는 드릴 공구(44) 또는 탭 공구가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드릴 공구(44) 또는 탭 공구에는 도면에 구체적으로 나타내지 않았으나 터릿 헤드(40)의 내부에 베벨기어와 같은 기어 열이 배치될 수 있고, 상술한 센터 샤프트(20)를 통하여 전동되는 동력은 상술한 기어 열에 의해 상술한 드릴 공구(44) 또는 탭 공구에 동력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브래킷(110)의 프레임(112)에는 설치 홀(116)이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설치 홀(116)에 상술한 구동모터(70)가 볼트와 같은 체결요소에 의해 체결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설치 홀(116)의 길이방향은 상술한 클러치 장치(5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술한 타이밍 벨트(60)를 설치할 때에 구동모터(70)를 느슨하게 조립한 상태에서 구동모터(70)를 이동시켜 타이밍 벨트(60)를 좀 더 쉽게 설치할 수 있고, 아울러 구동모터(70)를 단단하게 조일 때에 외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조임으로써 타이밍 벨트(60)의 장력도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바디 프레임(100)의 한쪽에 시트(118)가 형성될 수 있고, 특히, 그 시트(118)는 상술한 브래킷(110)이 안착될 때에 위치 결정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포스트의 작용을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터릿 헤드(40)의 인덱싱을 실시하는 제1 동력전달과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이 있다.
먼저 터릿 헤드(40)를 인덱싱을 제1 동력전달을 설명한다.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클러치 장치(50)가 작동하여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구동기어(53)가 연결되고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스플라인(52)은 단절된다.
이후, 구동기어(53)는 감속기어 군(140)에서 감속되어 인덱싱 기어(42)를 회전시키면서 터릿 헤드(40)의 인덱싱을 실시한다.
여기서, 터릿 헤드(40)는 특정한 공구가 가공위치로 이동이 완료된 후에는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고, 일례로서 터릿 헤드(40)와 바디 프레임(10)의 접하는 쪽에 커빅 커플링이 배치되어 그 커빅 커플링의 치차에 의해 맞물려서 터릿 헤드(40)의 회전이 억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유압에 의해 터릿 헤드(40)가 진퇴되어 상술한 커빅 커플링의 치차가 맞물리거나 맞물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후 구동모터(70)의 구동에 의해 구동력은 타이밍 벨트(60)를 통하여 클러치 장치(50)에 전달되고, 다시 클러치 장치(50)에서 감속기어 군(140)에 동력이 전달되며, 그 동력에 의해 상술한 터릿 헤드(40)가 인덱싱되는 것이다.
이하,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 동력전달을 설명한다.
제어부의 지령에 의해 클러치 장치(50)가 작동하여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스플라인(52)이 연결되고,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구동기어(53)는 단절된다.
이후 구동모터(70)의 구동에 의해 구동력은 타이밍 벨트(60)를 통하여 클러치 장치(50)에 전달되고, 다시 클러치 장치(50)에서 센터 샤프트(20)를 구동시키며, 센터 샤프트(20)의 동력은 터릿 헤드(40)의 내부에 배열되는 기어 열에 의해 회전공구인 드릴 공구(44)에 전달되어 드릴이 회전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포스트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이밍 벨트(60)가 외부로 노출되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타이밍 벨트(60)의 양부여부를 쉽게 판단할 수 있고, 타이밍 벨트(60)가 불량으로 판단되면 곧바로 타이밍 벨트(60)를 교체하여 공작물의 가공 도중에 비정상적인 종 료 또는 가공물의 비정상적인 가공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타이밍 벨트(60)를 교체함에 있어서 종동 타이밍 기어(51)에서 타이밍 벨트(60)를 쉽게 벗겨낼 수 있고, 또한 타이밍 벨트(60)는 프레임(110)의 개방부(114)를 통과하여 구동 타이밍 기어(72)에서도 쉽게 벗겨 낼 수 있는 것이다.
즉, 타이밍 벨트(60)를 교체하기 위해서 종래의 툴 포스트에서처럼 과도하게 클러치 장치(50)와 구동모터(70)를 완전하게 분해하지 않고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툴 포스트에서는 쉽게 타이밍 벨트(70)를 교체할 수 있는 것이고 이로써 작업자의 노동력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술한 구동모터(70)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도 구동모터(70)가 외측으로 노출되게 설치됨으로써 과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도 쉽게 교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는 타이밍 벨트의 점검과 유지보수를 쉽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3은 종래의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서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모터와 타이밍 벨트를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서 동력이 전달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에서 주요 구성요소인 구동모터와 타이밍 벨트를 프레임에서 분리하여 보인 예시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바디 프레임 20: 센터 샤프트
30: 조인트 40: 터릿 헤드
42: 인덱싱 기어 44: 드릴 공구
50: 클러치 장치 51: 종동 타이밍 기어
52: 스플라인 53: 구동 기어
60: 타이밍 벨트 70: 구동모터
72: 구동 타이밍 기어 80: 아이들 샤프트
82: 종동 기어 84: 인덱싱 구동 기어
100: 바디 프레임 110: 브래킷
112: 프레임 114: 개방부
116: 설치 홀 118: 시트
120: 제1 종동 아이들 기어 122: 제1 구동 아이들 기어
130: 제2 종동 아이들 기어 132: 제2 구동 아이들 기어
140: 감속기어 군

Claims (3)

  1. 터릿 헤드(40)를 인덱싱(indexing)하는 인덱싱 기어(42)와 터릿 헤드(40)에 설치된 회전공구에 동력을 전달하는 센터 샤프트(20)를 포함하는 바디 프레임(100);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한쪽에 설치되고 종동 타이밍 기어(51)가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외측에 노출되며 상기 인덱싱 기어(42) 또는 상기 센터 샤프트(20)에 상기 종동 타이밍 기어(51)의 동력전달을 제어하는 클러치 장치(50);
    상기 바디 프레임(100)의 외측에 설치되고 프레임(112)의 한쪽에 디귿자 형상으로 개방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클러치 장치(50)를 향하는 방향으로 길게 설치 홀(116)이 형성된 브래킷(110):
    상기 브래킷(110)의 상기 설치 홀(116)에 볼트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개방부(114)에 구동 타이밍 기어(72)가 배치되는 구동모터(70); 및
    상기 종동 타이밍 기어(51)와 상기 구동 타이밍 기어(72)에 설치되는 타이밍 벨트(60);
    를 포함하는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53)와 상기 인덱싱 기어(42)의 사이에 배치되어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감속기어 군(14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기어 군(140)은.
    상기 클러치 장치(50)의 구동기어(53)에 맞물리는 제1 종동 아이들 기어(120);
    상기 인덱싱 기어(42)에 맞물리는 제2 구동 아이들 기어(132);
    상기 제1 종동 아이들 기어(120)에 단일 축으로 연결되는 제1 구동 아이들 기어(122);
    상기 제2 구동아이들 기어(132)에 단일 축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 아이들 기어(122)에 맞물리는 제2 종동 아이들 기어(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KR1020090073655A 2009-08-11 2009-08-11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KR101543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55A KR101543799B1 (ko) 2009-08-11 2009-08-11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3655A KR101543799B1 (ko) 2009-08-11 2009-08-11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19A KR20110016119A (ko) 2011-02-17
KR101543799B1 true KR101543799B1 (ko) 2015-11-20

Family

ID=43774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3655A KR101543799B1 (ko) 2009-08-11 2009-08-11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7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119A (ja) 2001-07-11 2003-01-29 Okuma Corp タレット刃物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5119A (ja) 2001-07-11 2003-01-29 Okuma Corp タレット刃物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6119A (ko) 2011-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8525B1 (en) Cutter
JP2010076027A (ja) 据えぐり加工装置
CN112236261A (zh) 用于修复受损螺纹的方法和工具
JP3917851B2 (ja) 弁箱付き弁座の溶接結合部切削装置
KR101543799B1 (ko) 터닝센터의 툴 포스트
JPH02224941A (ja) アタッチメント着脱装置
JP2011079085A (ja) 多軸ヘッド
CN102528470B (zh) 一种双面直角铣头
JP5728316B2 (ja) 多軸工作機械
JP4071080B2 (ja) 軸送り装置
JP5242314B2 (ja) 据えぐり加工機のアタッチメントクランプ装置
TWI469837B (zh) Composite function side milling cutter seat
CN213195641U (zh) 一种剥皮机刀盘
KR102222775B1 (ko) 터렛 장치용 인덱싱 클램프 모듈
KR100579286B1 (ko) 도어 자동 볼팅장치
KR101014785B1 (ko) 터렛공구대
EP1693144A1 (en) Bevel gearing assembly with a polygonal profiled shaft, for tool-holding turrets
JP2010089125A (ja) 溶接ノズル・チップ交換装置
CN204018826U (zh) 直角铣头装置
CN219633219U (zh) 一种机床的动力头传动装置
CN115780872B (zh) 一种刀架锻件加工设备
CN113211150B (zh) 刀塔及其旋转动力头
CN220930002U (zh) 一种切丝机安全销快速拆装结构
JP4721894B2 (ja) 切削加工装置
KR101157323B1 (ko) 벨트로 동력을 전달하는 터렛공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