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642B1 -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 Google Patents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642B1
KR101542642B1 KR1020120005495A KR20120005495A KR101542642B1 KR 101542642 B1 KR101542642 B1 KR 101542642B1 KR 1020120005495 A KR1020120005495 A KR 1020120005495A KR 20120005495 A KR20120005495 A KR 20120005495A KR 101542642 B1 KR101542642 B1 KR 101542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crylic acid
meth
aliphatic alcohol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5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4728A (ko
Inventor
이광진
김건수
김윤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20005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642B1/ko
Publication of KR20130084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47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 코어 50 내지 70중량%; 및 (B) 상기 코어를 감싸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 및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되, 쉘의 중심부로부터 쉘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그 제조방법,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Environment-friendly acrylic copolymer latex having excellent storage stability and impact strength and acryl so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에 관한 것으로서, 유동성, 저장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친환경 가소제에 대한 용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의 분체,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아크릴졸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졸은 수지 분체 및 충전제를 가소제에 분산시켜 졸 상태로 제조한 것으로 폴리염화비닐수지가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소 폐기시 발행하는 염화수소 가스로 인하여 오존층 파괴와 산성비,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연소시 염화수소 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플라스틱 졸로서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한 아크릴졸이 제안되었다.
상업적으로 플라스틱 졸에 널리 사용되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는 용해성이 좋고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제공하나 환경 호르몬 배출 때문에 유럽 등지에서는 규제물질로 분류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환경에 무해한 친환경 가소제가 제품으로 시판되고 있으나, 종래 아크릴졸 적용시 용해성이 떨어지고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공개특허 2008-0041819호에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코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개시하고 있으나, 벽지, 코팅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여 개선이 필요한 단점이 있으며, 국내공개특허 2007-0044603호에는 평균입경이 최소 0.3㎛, 중량평균분자량이 200,000 내지 3,000,000인 코어-쉘 구조의 공중합체 라텍스의 1차 입자를 제조하고, 이의 라텍스를 분무 건조하여 평균입경이 최대 100㎛인 분말상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2차 입자와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는데, 이는 제조단계가 복잡하여 제조 비용이 매우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WO 2002/094940호는 가열시 화학반응에 의하여 가소제에 대하여 비상용으로부터 상용성으로 변하는 중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가열 후 블렌드 아웃(blend out)이 없고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성형품을 제조하는데, 아크릴졸 컴파운드 제조시 다량의 지방산을 함유한다. 또한, 미국공개특허 2002/0165323 A1에는 코어-쉘 비율을 조절하여 저장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아크릴졸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나, 이는 친환경 가소제에 적용할 수 없고 기계적 강도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동성, 저장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친환경 가소제에 대한 용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의 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을 제조할 수 있는 친환경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 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쉘의 중심부로부터 쉘의 외각으로 갈수록 가소제와 친하지 않은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N-aliphatic alcohol substituted acrylamide)의 구성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디언트(gradient) 구조의 쉘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그 제조방법은 유동성, 저장안정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며, 특히 친환경 가소제에 대한 용해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래디언트 쉘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 코어 50 내지 70중량%; 및 (B) 상기 코어를 감싸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 및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되, 쉘의 중심부로부터 쉘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하기와 같은 코어 및 쉘로 되어 있다.
(A) 코어
코어 부분은 친가소제 특성을 가지며 아크릴졸 필름 제조 후 가소제 용출 현상을 해결하고 우수한 필름 형성 특성을 제공하는 조성으로서, 50 내지 7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코어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10 내지 80중량% 및 C2-C8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구성된다.
(B) 쉘
쉘 부분은 가소제와 친하지 않은 N-아크릴아마이드를 쉘 외각으로 갈수록 구성 비율이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를 제조하여 아크릴졸 유도성과 저장 안정성에 기여하는 부분이다. 친환경 가소제 적용시 필름의 저장안정성과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그래디언트 쉘을 제공하는 조성으로 30 내지 5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쉘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30 내지 90중량% 및 C2-C8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로 이루어진 프리에멀젼(S-1) 혼합물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쉘 외각으로 갈수록 구성 비율이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쉘 구조를 제조한다.
아크릴졸 필름 제조시 가열에 의한 N-아크릴아마이드 자기가교화 반응(하기에 도시)에 의하여 필름 강도 향상에 기여한다.
Figure 112012004535116-pat00001
(메타)아크릴산과 공동 사용하여 아크릴졸 필름 제조시 N-아크릴아마이드와 카보닐산(carbonyl acid)와 가교반응에 의한 필름 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프리에멀젼 혼합물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를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를 중합하여 코어 50 내지 70중량%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프리에멀젼 혼합물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이 5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 형성 특성과 신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 코어 및 쉘의 구성 성분에 있어서 청구된 함량을 벗어나면 졸 저장안정성과 점도 및 필름 형성이 불량하다.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2 내지 8개의 탄소수를 가진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화합물로는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는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N-methylolacrylamide), N-에틸올아크릴아마이드(N-ethylolacrylamide), N-프로필올아크릴아마이드(N-propylolacrylamide) 및 N-부틸올아크릴아마이드(N-bu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N-methylolacrylamide)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량체 혼합물 프리에멀젼(S-1)의 주성분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MA) 및 부틸메타크릴레이트(BMA)와 같은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이다. 추가적으로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반응하여 기계적 강도 향상에 기여하는 (메타)아크릴산을 넣을 수 있다. 단량체 프리에멀젼(S-1)을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동시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을 반응기에 넣지 않고 S-1 혼합물에 동시에 투입시켜서 그래디언트 쉘(gradient shell)을 제조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그래디언트 쉘의 제조 공정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단량체 혼합물 프리에멀젼(S-1)을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동시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수용액을 프리에멀젼(S-1) 혼합물 탱크에 투입시켜 초기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농도를 낮게 후반부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농도를 높게 하여 그래디언트 쉘 구조를 만든다. 이렇게 제조하는 이유는 입자 외층(outer layer)에 가소제와 친화성이 낮은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를 많이 존재시켜 졸 점도를 낮추고 저장안정성과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0 내지 9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진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에서는 필름 형성이 불가능하며, 9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동성, 저장안정성 및 강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되며, 상기 쉘을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된다.
또한, 본 발명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 코어 50 내지 70중량%; 및 (B) 상기 코어를 감싸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 및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되, 쉘의 중심부로부터 쉘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100중량부, 및 가소제 50 내지 20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졸을 제공한다. 이 아크릴졸은 벽지를 제조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코어 제조
먼저 교반기와 온도계, 질소 투입구, 순환 콘덴서를 장착한 4구 플라스크의 반응기를 준비하여 이온수(deionized water, DDI water) 100중량부, NaHCO3 0.1중량부, 황산제일철(ferrous sulfate) 0.001중량부,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트(disodium ethylenediaminetetraacetate) 0.02중량부를 투입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상기 반응기 내부온도를 35℃로 유지시켰다. 단량체 프리에멀젼을 제조하기 위하여 이온수 40중량부, 소디움도디셀벤젠설포네이트(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SDBS) 35중량부,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MMA) 20중량부,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 n-BMA) 30중량부를 투입하여 단량체 프리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반응기 내부온도가 35℃가 되면 미리 제조한 단량체 프리에멀젼을 개시제 파라멘탄하이드로퍼옥사이드(paramenthane hydroperoxide, PMHP) 0.08중량부와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SFS) 0.10중량부를 3시간 동안 동시에 투입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단량체 프리에멀젼 투입 완료 30분 후 PMHP 0.01중량부와 소듐 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0.01중량부를 추가로 투입하고 1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쉘 제조
쉘 중합을 위하여 반응기 온도를 35℃로 유지시켰다. 반응하기 전 미리 이온교환수 15중량부, SDBS 0.15중량부, MMA 40중량부, n-BMA 9중량부를 투입하여 단량체 프리에멀젼(S-1)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단량체 프리에멀젼(S-1)과 개시제 PMHP 0.05중량부, SFS 0.05중량부를 3시간 동안 반응기에 투입하면서 동시에 N-Methylolacrylamide(NMA) 1중량부를 10% 수용액으로 희석하여 단량체 프리에멀젼(S-1)에 같은 시간 동안 투입하여 그래디언트 쉘(gradient shell) 중합을 진행하였다. 단량체 프리에멀젼 투입 완료 30분 후 개시제 PMHP 0.01중량부, SFS 0.01중량부를 추가로 투입하고 1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제조된 아크릴졸 라텍스는 분무건조기(spray-dryer)를 사용하여 100㎛ 이하의 입자로 아크릴졸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쉘 제조시 n-BMA 7중량부 및 NMA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10중량부 및 n-BMA 4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MA 30중량부 및 n-BMA 19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10중량부, n-BMA 10중량부 및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HMA) 3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MA 30중량부 및 n-BMA 19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10중량부 및 n-BMA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MA 35중량부 및 n-BMA 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30중량부 및 n-BMA 4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MA 25중량부 및 n-BMA 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10중량부, n-BMA 10중량부 및 2- EHMA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MA 25중량부, n-BMA 3중량부 및 MAA 1 중량부를 사용하여 단량체 프리에멀젼 (S-1)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10중량부, n-BMA 10중량부 및 2- EHMA 50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MA 25중량부 및 n-BMA 2중량부, MAA 1.5중량부 및 NMA 1.5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쉘 제조시 NMA를 사용하지 않고 MAA 1중량부만으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쉘 제조시 MAA를 사용하지 않고 n-BMA 4중량부 및 NMA 6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쉘 제조시 n-BMA 4중량부, MAA 3중량부 및 NMA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45중량부 및 n-BMA 5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AA를 사용하지 않고 MMA 45중량부 및 n-BMA 4중량부 및 NMA 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비교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코어 제조시 MMA 및 n-BMA를 사용하지 않고 2-EHMA 80중량부만을 사용하였으며, 쉘 제조시 MAA를 사용하지 않고 MMA 15중량부 및 n-BMA 4중량부 및 NMA 1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8 및 비교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아크릴졸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 유리전이온도:
Fox 계산식 = 1/(Tg + 273) = ∑(Wi/(Tgi+273)
상기 식에서 W1는 단량체 i의 무게분율, Tgi는 단량체 i의 고분자 유리전이온도
* 유동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100중량부, 글리콜계 가소제 EBN 140중량부, 탄산칼슘 50중량부를 믹서로 혼합하여 아크릴졸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아크릴졸을 제조한 후 24시간이 경과하면, 브룩필드 점도계 No. 6 스핀들(Brookfield Viscometer No. 6 Spindle)을 사용하여 25℃, 20rpm에서 점도를 측정하여 아크릴졸의 유동성을 평가하였다. 이 때 점도가 낮을수록 유동성이 더 우수하다.
유동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3,000 cps 이하 (매우 양호)
○: 3,000 초과 내지 5,000 cps (양호)
△: 5,000 이상 내지 10,000cps 미만(불량)
×: 10,000cps 이상 (매우 불량)
* 저장 안정성: 상기 유동성의 측정시 제조한 아크릴졸을 제조한 후 3시간이 경과하면, 25℃에서의 점도(V1)와 25℃에서 2일간 방치 후의 25℃에서의 점도(V2)를 브룩필드 점도계 No. 6 스핀들(Brookfield Viscometer No. 6 Spindle)을 사용하여 25℃, 4rpm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이 때 V2/V1을 계산하여 저장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저장안정성의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V2/V1 = 2 미만 (매우 양호)
○: V2/V1 = 2 이상 3 미만 (양호)
△: V2/V1 = 3 이상 4 미만 (불량)
×: V2/V1 = 4 이상 (매우 불량)
* 필름 형성: 상기 유동성의 측정 시 제조한 아크릴졸을 1mm 두께로 테프론판에 도포한 후, 80℃ 오븐에서 4시간 방치한 후 도막의 상태를 조사하였다. 이 때 필름이 투명하고 기포가 없으며 접착력이 좋은 경우에는 필름형성이 잘 되는 것을 나타낸다.
필름 형성의 평가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매우 양호
○: 양호
△: 불량
×: 매우 불량
* 기계적 특성: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100중량부, EBN 100중량부를 잘 혼합하고 탈포 과정을 수행한 후 박리가 용이한 종이 위에 2mm 두께로 도포하고 160℃ 오븐에서 30분간 겔화시켜 ASTM D638 규격의 시편을 제조한 후, 인장 및 압축 시험기(Zwick) 측정기를 사용하여 인장강도(kg/cm2)와 인장신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1 2 3 4 5
코어 MMA 20 20 10 10 10 30 10 10 20 20 20 45 0
n-BMA 30 30 40 10 50 40 10 10 30 30 30 5 0
2-EHMA - - - 30 - - 50 50 - - - - 80
MMA 40 40 30 30 35 25 25 25 40 40 40 45 15
n-BMN 9 7 19 19 4 4 3 2 9 4 4 4 4
MAA - - - - - - 1 1.5 1 0 3 0 0
NMA 1 3 1 1 1 1 1 1.5 0 6 3 1 1
유리전이
온도 (℃)
66 68 50 31 54 62 18 19 67 70 73 95 -9
유동성 ×
저장안정성 ×
필름형성 × × ×
인장강도
(kg/cm2)
85 95 75 70 78 80 72 80 42 95 92 - 20
신율(%) 280 260 270 285 275 278 325 310 230 180 170 - 270
* 주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methacrylate)
n-BMA: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methacrylate)
2-EHMA: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methacrylate)
MAA: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NMA: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N-methyloacrylamide)
상기 표 1를 보면,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1은 실시예 1과 대비하여 볼 때 인장강도와 신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쉘에서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크릴산의 사용량이 5중량%보다 과량으로 사용한 비교예 2 및 3은 실시예 1과 대비하여 볼 때, 필름형성 특성과 신율이 감소되었다. 또한 유리전이온도가 90℃ 초과인 비교예 4는 필름형성이 부가하였으며, 유리전이온도가 0℃ 미만인 비교예 5는 유동성, 저장안정성 및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 코어 50 내지 70중량%; 및
    (B) 상기 코어를 감싸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 및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되, 쉘의 중심부로부터 쉘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2 내지 8개의 탄소수를 가진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는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N-methylolacrylamide), N-에틸올아크릴아마이드(N-ethylolacrylamide), N-프로필올아크릴아마이드(N-propylolacrylamide) 및 N-부틸올아크릴아마이드(N-buthylola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는 0 내지 90℃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6.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중합하여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단량체 프리에멀젼 혼합물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은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를 중합하여 코어 50 내지 70중량%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를 포함하는 단량체 프리에멀젼 혼합물에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을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2 내지 8개의 탄소수를 가진 지방족 알코올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는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i-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는 N-메틸올아크릴아마이드(N-methylolacrylamide), N-에틸올아크릴아마이드(N-ethylolacrylamide), N-프로필올아크릴아마이드(N-propylolacrylamide) 및 N-부틸올아크릴아마이드(N-buthylolcrylamid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를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쉘을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5℃의 온도에서 2 내지 10시간 동안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의 제조방법.
  13. (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80중량% 및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20 내지 90중량%로 이루어진 코어 50 내지 70중량%; 및
    (B) 상기 코어를 감싸며,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 내지 90중량%,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5 내지 69중량% 및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 단독 또는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와 (메타)아크릴산 혼합물 1 내지 5중량%로 이루어지되, 쉘의 중심부로부터 쉘의 외각으로 갈수록 N-지방족 알코올 치환 아크릴아마이드의 구성비율이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그래디언트 구조의 쉘 30 내지 50중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14. 제 13항에 따른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100중량부, 및 가소제 50 내지 20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졸.
  15. 제 14항에 있어서, 벽지를 제조하는 데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졸.
KR1020120005495A 2012-01-18 2012-01-18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KR101542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95A KR101542642B1 (ko) 2012-01-18 2012-01-18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5495A KR101542642B1 (ko) 2012-01-18 2012-01-18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28A KR20130084728A (ko) 2013-07-26
KR101542642B1 true KR101542642B1 (ko) 2015-08-06

Family

ID=48995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5495A KR101542642B1 (ko) 2012-01-18 2012-01-18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6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39778B (zh) * 2014-01-08 2016-02-17 天津大学 一种核壳结构聚丙烯酰胺微球调剖驱油剂及其制备方法
CN110055823A (zh) * 2018-01-18 2019-07-26 浙江信豪科技有限公司 一种壁纸专用丙烯酸树脂乳液和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703B1 (ko) 1995-12-30 2005-02-02 고려화학 주식회사 내후성및내충격성이우수한코어-쉘유화중합체의제조방법
KR101022790B1 (ko) 2010-06-30 2011-03-17 대상 주식회사 수성 도료용 접착 소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703B1 (ko) 1995-12-30 2005-02-02 고려화학 주식회사 내후성및내충격성이우수한코어-쉘유화중합체의제조방법
KR101022790B1 (ko) 2010-06-30 2011-03-17 대상 주식회사 수성 도료용 접착 소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4728A (ko) 2013-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24231A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pvc 조성물
KR101537843B1 (ko) 아크릴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JP6348615B2 (ja) アクリル系加工助剤及びこれを含む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101542642B1 (ko) 저장안정성과 강도가 우수한 친환경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및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졸
JP6397579B2 (ja) 塩化ビニルービニルアセテート共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6874154B2 (ja) 塩化ビニル系樹脂ラテックス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1219427A (en) containing an aliphatic-aromatic copolyester, an epoxy-containing polymer chain extender and a cocatalyst and characterized by not easily causing pyrolysis by still maintain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fter multiple high-temperature processes
KR101997521B1 (ko) 아크릴계 가공조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2007031610A (ja) 蓄熱性アクリル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蓄熱性シート状成形体
KR101540542B1 (ko)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계 충격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KR20210031393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101489554B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라텍스, 이의 제조방법, 아크릴계 공중합체 분체, 및 친환경 아크릴졸
KR101912893B1 (ko) 난연성 초산비닐고분자 에멀션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난연스티로폼
KR101433998B1 (ko) 비발포성 염화비닐계 페이스트 수지 및 그 제조방법
JPH11124483A (ja) プラスチゾル組成物及び成形物
JP6306304B2 (ja) ペースト用樹脂組成物、並びにペースト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8079616A (ja) 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樹脂組成物およびセラミックグリーンシート成形用材料
KR20190018147A (ko) 중합체 조성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KR20180040293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JP2000103930A (ja) カレンダー成形用アクリル樹脂組成物、及び成形物
KR102160702B1 (ko) 아크릴계 충격 보강제 및 이를 포함하는 폴리유산 수지 조성물
KR101869457B1 (ko) 고형분이 높은 염화비닐계 페이스트용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CN105153732B (zh) 用作膨胀材料的缩水甘油酯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6322435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体
JP2003155339A (ja) 軟化剤及びそれを含有してなる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