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195B1 - 출장 세차 전용 카트 - Google Patents

출장 세차 전용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195B1
KR101539195B1 KR1020150001993A KR20150001993A KR101539195B1 KR 101539195 B1 KR101539195 B1 KR 101539195B1 KR 1020150001993 A KR1020150001993 A KR 1020150001993A KR 20150001993 A KR20150001993 A KR 20150001993A KR 101539195 B1 KR101539195 B1 KR 1015391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ody part
unit
rear whee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1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대범
Original Assignee
(주) 유진오토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유진오토라이프 filed Critical (주) 유진오토라이프
Priority to KR1020150001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1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1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1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L11/180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9/00Other vehicles predominantly for carrying loads, e.g. load carrying vehicles convertible for an intended purpo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와 적재부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출장 세차 전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앞바퀴가 장착되는 제1 차체부; 한 쌍의 뒷바퀴가 장착되는 제2 차체부; 상기 제1 차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짐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차체부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차체부와 상기 제2 차체부 사이가 회동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방향 전환에 따라 제1 차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출장 세차 전용 카트 {The cart for car washing}
본 발명은 출장 세차 전용 카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체와 적재부를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출장 세차 전용 카트에 관한 것이다.
카트는 판매 물건을 싣고 운전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조작력으로만 구동되는 수동카트와 운전자의 조작 및 모터 등으로 구동되는 전동카트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카트는 일 측에 손잡이가 연결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과, 이 본체 프레임 위에 각종 물품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본체 프레임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는 전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노면과 접지된 상태로 회전하는 휠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휠들은 본체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측에서 2개가 1조로 구성되며, 전동모터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통상의 차동 기어를 거쳐서 전방 또는 후방측에 위치하는 2개의 휠 축에 전달되면서 이 2개의 휠이 각각 차동 제어가 가능한 상태로 전달받아서 구동하는 전륜 또는 후륜 구동 방식으로 작동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7591호(2013.07.12 등록)는 운전자 탑승이 가능하고 탑승과 함께 조향핸들에 의해 전동 구동이 가능한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모터 및 배터리와 차체를 구성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으며, 일 측으로는 한 쌍의 앞바퀴가 장착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는 앞바퀴 프레임과 일 측으로는 한 쌍의 뒷바퀴가 장착되고 타측으로는 상기 메인 프레임과 연결되는 뒷바퀴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앞바퀴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틸팅바와 조향핸들과 상기 조향핸들에 고정되어 수직 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메인샤프트와 상기 메인샤프트와 직각방향으로 상기 틸팅바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조인트에 의해 일단은 상기 메인샤프트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틸팅바와 연결되는 수평샤프트와 상기 뒷바퀴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가이드되어 인입 및 인출되며, 운전자의 탑승이 가능한 탑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2471호(2006.03.21 등록)는 전동카트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짐을 실을 수 있는 적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측에 구비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좌/우 한 쌍의 구름바퀴를 갖는 전동카트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 측에 구비되는 'ㄷ'형상의 핸들과 상기 핸들의 하단에 일 측이 용착된 핸들축 하단에 축설된 제1 스프로킷과 상기 몸체의 타측 하단에 구비되는 조향바퀴와 상기 조향바퀴의 바퀴축에 결합된 지지축에 축설되는 제2 스프로킷과 상기 제1 스프로킷과 제2 스프로킷의 외주면에 일 측이 포설된 2개의 체인들과 상기 2개의 체인들의 양 측단에 각각 끼움 결합되어 상기 2개의 체인들을 서로 연결하는 2개의 와이어를 갖는 조향장치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 카트는 방향 전환 시에 앞바퀴만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적재부에 다량의 짐을 적재한 경우에 짐의 무게 때문에 앞바퀴의 회전만으로는 전동 카트가 전체적으로 회전하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전동 카트는 카트의 운전을 조작하기 위한 운전 조작 레버, 방향을 조작하기 위한 방향 조작 레버, 속도를 조작하기 위한 속도 조작 레버 등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데 어렵고 전동 카트를 급정지시킬 때 신속하게 제어하는 데에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짐을 적재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무게 중심이 맞지 않아서 한쪽으로 쏠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87591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12471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할 때에 차체와 적재부가 동시에 방향을 전환할 수 있도록 한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잡이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구비한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한 쌍의 앞바퀴가 장착되는 제1 차체부; 한 쌍의 뒷바퀴가 장착되는 제2 차체부; 상기 제1 차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짐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차체부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차체부와 상기 제2 차체부 사이가 회동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방향 전환에 따라 제1 차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 회동부를 포함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축이 상기 제2 차체부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부; 및 상기 제1 차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 배터리에 대한 전원 충전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충전량을 표시하기 위한 충전량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차체부는, 상기 모터부의 양측과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 일측 사이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2개의 체인부재; 상기 체인부재와 연결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바퀴회동부재; 및 상기 바퀴회동부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의 상하운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바퀴회동부재는, 상기 제2 차체부의 측면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형성된 제1 바; 일측이 상기 제1 바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뒷바퀴와 연결 형성되며, 회동하면서 상기 뒷바퀴를 상하로 움직이기기 위한 제2 바; 및 상기 제2 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바퀴회동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를 상기 제1 바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바; 및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2 바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차체부는,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 차체부는, 상기 한 쌍의 뒷바퀴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을 위치시키기 위한 발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1 차체부 또는 상기 제2 차체부에 형성된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 상기 제1 차체부 또는 상기 제2 차체부에 형성된 바퀴의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브레이크 암; 및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 암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장 세차 전용 카트의 방향 전환 시에 차체부와 적재부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와 브레이크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손잡이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다가 브레이크 작동 시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정지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부와 전원공급부를 제1 차체부와 제2 차체부에 각각 장착함으로써, 출장 세차 전용 카트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2 차체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2 차체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좌우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 전용 카트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제1 차체부(100), 제2 차체부(200), 적재부(300), 손잡이부(400), 좌우 회동부(500)를 포함한다.
제1 차체부(100)는, 상부에 적재부(300)를 포함하며, 한 쌍의 앞바퀴(100a)를 장착한 형태로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의 전방에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차체부(100)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를 사용 시에 한 쌍의 앞바퀴(100a)가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완충부재를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차체부(100)는, 방지바(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방지바는, 제1 차체부(100)의 양 측면에 하부 방향으로 일정 길이만큼 각각 형성되어, 좌우 회동부(500)가 좌우로 회전 시에 제2 차체부(200)의 측면과 접촉하도록 하여 좌우 회동부(5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따라서 좌우 회동부(5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되어, 제1 차체부(100)가 제2 차체부(200)와 분리되거나, 방향 전환 시 넘어지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지바는, 표면에 형성되어, 좌우 회동부(500)가 좌우로 회동 시에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고무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차체부(200)는, 한 쌍의 뒷바퀴(200a)를 장착하며,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의 후방에 형성되어 제1 차체부(100)의 움직임에 따라 움직인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차체부(200)는, 제2 차체부(2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제1 차체부(100)의 하부와 부딪치는 경우에 손상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부재(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지부재는 고무패드, 실리콘 등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적재부(300)는, 상부에 손잡이부(400)를 포함하며, 제1 차체부(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짐을 적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적재부(300)는, 양 측과 상부가 막힌 형태로 형성되어, 짐을 내부에 적재하여 주행 시에 짐이 빠지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손잡이부(400)는, 적재부(300)의 상부에 연결 형성되어, 제1 차체부(100)의 방향을 전환한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400)는, 적재부(300)의 측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400)는, 일정 높이에서 가운데 부분을 연결해주고 측면을 2개로 형성함으로써, 안정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손잡이부(400)는,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높이(예를 들어, 90cm~120cm 등)로 형성할 수 있다.
좌우 회동부(500)는, 제1 차체부(100)와 제2 차체부(200) 사이가 회동되도록 설치하며, 손잡이부(400)의 방향 전환에 따라 제1 차체부(100)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모터부(700), 전원공급부(800), 충전량 표시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부(700)는, 회전축이 제2 차체부(200)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며, 전원공급부(8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하면서 뒷바퀴(200a)에 구동력을 부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700)는, 제2 차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뒷바퀴(200a)의 앞쪽에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700)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양방향 모터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번갈아 회전하면서 전진하거나 후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모터부(700)는, 체인 또는 벨트 등으로 뒷바퀴(200a)와 연결하여, 회전력을 뒷바퀴(200a)로 전달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800)는, 제1 차체부(100)의 하부에 전방으로 형성되어, 모터부(70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800)는, 제1 차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되, 한 쌍의 앞바퀴(100a)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전원공급부(800)는, 충전식 배터리로 형성되어, 모터부(70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 경우에 충전 장치에 접속하여 충전하며, 충전된 전원을 모터부(700)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량 표시부(900)는, 손잡이부(300)에 형성되어, 전원공급부(800)의 충전 식 배터리에 대한 전원 충전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충전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충전량 표시부(900)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감지하는 충전량 감지수단과 충전량 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충전량을 입력받아 이에 대응되는 표시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제어수단으로부터 표시신호를 입력받아 배터리의 충전량을 표시하는 충전량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충전량 표시수단은 LED 또는 LCD로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좌우로 방향 전환 시에 제1 차체부(100)와 적재부(300)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방향으로 쉽게 회전할 수 있으며, 모터부(700)가 제2 차체부(200)의 하부에 형성되고 전원공급부(800)가 제1 차체부(100)의 하부에 각각 장착되기 때문에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의 전체 무게 중심을 잡아주어, 적재부(300)에 짐을 싣지 않아도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가 한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제2 차체부를 제1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차체부(200)는, 체인부재(210), 바퀴회동부재(220), 완충부재(230)를 포함한다.
체인부재(210)는, 모터부(700)의 양측과 뒷바퀴(200a)의 회전축 일측 사이 각각에 형성되며, 모터부(700)의 회전에 따라 뒷바퀴(200a)를 구동시킨다.
바퀴회동부재(220)는, 체인부재(210)와 연결 형성되고, 뒷바퀴(200a)의 회전축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며, 완충부재(230)의 완충작용에 따라 뒷바퀴(200a)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바퀴회동부재(220)는, 제1 바(221), 제2 바(222), 베어링(2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221)는, 제2 차체부(200)의 측면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바(221)는, 제2 차체부(200)의 측면에 위치시킨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바(222)는, 일측이 제1 바(221)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뒷바퀴(200a)와 연결 형성되며, 회동하면서 뒷바퀴(200a)를 상하로 움직이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바(222)는, 완충부재(230)가 힘을 받는 경우에 완충부재(230)가 압축되면서 상부로 움직이며, 완충부재(230)에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에 완충부재(230)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이동하면서 하부로 움직일 수 있다.
베어링(223)은, 제2 바(222)의 일측에 형성되며, 제1 바(221)와 제2 바(222)사이를 회동시킨다.
완충부재(230)는, 바퀴회동부재(220)에 고정 형성되며, 뒷바퀴(200a)의 상하운동을 완충시켜 외부로부터 받는 충격을 완화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완충부재(230)는, 외부로부터 힘을 받으면 탄성 압축되며, 가해지는 힘이 해제되는 경우에 원래대로 팽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바퀴회동부재(220)는, 제1 고정바(224), 제2 고정바(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바(224)는, 제1 바(221)의 후부에 형성되며, 완충부재(230)의 상부를 제1 바(221)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고정바(224)는, 완충부재(230)의 상부를 위치시킨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 고정바(225)는, 제2 바(222)의 일측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완충부재(230)의 하부를 제2 바(222)에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2 고정바(225)는, 완충부재(230)의 하부를 위치시킨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제2 차체부를 제2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차체부(200)는, 시트부재(240), 발판부재(250)을 포함한다.
시트부재(240)는, 제2 차체부(200)의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재(240)는, 제2 차체부(200)의 후방에 상부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아서 손잡이부(400)를 잡고 운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재(240)는, 하부는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는 후방으로 약 40~60도 정도로 꺾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재(240)는, 제2 차체부(200)와 분리 형성되어, 제2 차체부(200)로부터 탈부착할 수 있다. 이때, 탈부착 방법은 볼트를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시트부재(240)는, 길이를 사용자의 키에 맞게 조절하기 위한 길이조절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 각도조절수단(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수단은, 제1 기둥, 제2 기둥,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제1 기둥은, 제2 차체부(200)의 후방에 연결 형성되며, 측면에 다수 개의 제1 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2 기둥을 삽입한다.
제2 기둥은, 상부에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예를 들어, 자전거 안장, 의자 시트 등)를 형성하고, 홀과 대향하는 위치에 해당하는 측면에 다수 개의 제2 홀을 형성하며, 하부가 제1 기둥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한다.
고정수단은, 제1 홀과 제2 홀 사이를 서로 결합시켜 제1 기둥과 제2 기둥 사이를 고정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은, 체결할 수 있는 구조(예를 들어, 볼트, 스위치 등)로 형성할 수 있다.
각도조절수단은, 제1 기둥과 제2 기둥 사이에 형성되어, 제2 기둥을 상하로 회동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각도조절수단은, 제2 기둥를 회동시킨 후에 볼트 등을 삽입하여 조아주어 고정시킬 수 있다.
발판부재(250)는, 한 쌍의 뒷바퀴(200a) 사이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발을 위치 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재(250)는, 제2 차체부(200)의 하부로 형성되되, 제2 차체부(200)의 후부 양측면에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발판부재(250)을 제2 차체부(200)의 후부에 위치시킨 후에 나사를 관통 삽입하거나, 용접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재(250)는, 상부 양측면에 가로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걸림턱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턱을 제2 차체부(200)의 측면에 형성된 바 사이에 삽입하여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발판부재(250)는, 사용자의 발을 삽입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발판부재(250)는, 한 쌍의 뒷바퀴(200a) 사이, 즉 제2 차체부(200)의 하부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탑승하기 편하고, 사용자가 시트부재(240)에 앉았을 때 발을 위치시켜 안정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시트부재(240)는 제2 차체부(200)의 후방에 형성되므로, 제1 차체부(100)를 좌우로 움직이더라도 제2 차체부(200)는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차체부(100)와 같이 움직이지 않아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좌우 회동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좌우 회동부(500)는, 제1 바 부재(502), 제2 바 부재(504)를 포함한다.
제1 바 부재(502)는, 힌지축(501)을 가지면서 제1 차체부(100)에 형성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 힌지축(501)은 제1 바 부재(502)의 기 설정된 위치에 형성되며, 베어링부재(503)에 삽입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바 부재(502)는, 손잡이부(400)를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리게 되면, 힌지축(501)을 중심으로 손잡이부(40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바 부재(502)는, 제1 차체부(100)에 형성되어 있고 적재부(300)와 연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의 방향 전환 시, 제1 차체부(100)와 적재부(300)를 동시에 회전시킨다. 이때, 힌지축(501)은, 앞바퀴(100a)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제1 차체부(100)가 회전할 때 앞바퀴(100a)의 회전축과 동일하게 회전할 수 있다.
제2 바 부재(504)는, 베어링부재(503)를 가지면서 제2 차체부(200)의 상부에 형성되며, 힌지축(501)이 베어링부재(503)에 삽입되어 제1 바 부재(502)를 좌우로 회동하도록 한다. 이때, 베어링부재(503)는 제2 바 부재(504)의 일 말단에 형성되어, 힌지축(501)을 삽입하여 회동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상하 회동부(설명의 편의상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하 회동부는, 제1 차체부(100)의 양쪽을 지면으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변환시킨다.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가 주행하는 경로의 경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좌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상하 회동부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차체부(100) 및 적재부(300)를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하며,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가 주행하는 경로의 경사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우측으로 기울어진 경우에 상하 회동부를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제1 차체부(100) 및 적재부(300)를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하 회동부는, 베어링, 회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은, 제2 바 부재(504)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일 측에 형성되어, 회동축을 회동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베어링은, 제2 바 부재(504)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다른 일 측에 형성되어, 제2 바 부재(504)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일 측에 형성된 회동축을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회동축은, 제2 바 부재(504)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다른 일 측에 형성되며, 베어링에 삽입되어 제1 차체부(100)만 기울어지는 경우, 제2 차체부(200)만 기울어지는 경우, 제1 차체부(100)와 제2 차체부(20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어긋나는 경우에 상하 방향으로 회동한다.
일 실시 예에서, 회동축은, 제2 바 부재(504)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일 측에 형성되어, 제2 바 부재(504)의 기 설정된 위치에서 다른 일 측에 형성된 베어링에 삽입되어 회동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출장 세차 전용 카트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제1 차체부(100), 제2 차체부(200), 적재부(300), 손잡이부(400), 좌우 회동부(500), 상하 회동부(600), 모터부(700), 전원공급부(800), 충전량 표시부(900), 브레이크부(10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차체부(100), 제2 차체부(200), 적재부(300), 손잡이부(400), 좌우 회동부(500), 상하 회동부(600), 모터부(700), 전원공급부(800), 충전량 표시부(9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브레이크부(1000)는, 제1 차체부(100)에 형성된 앞바퀴(100a)를 정지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브레이크부(1000)는, 브레이크 레버(1001), 브레이크 암(1002), 와이어(1003)를 포함할 수 있다.
브레이크 레버(1001)는, 손잡이부(400)에 형성되어, 잡아당기면 연결된 와이어(1003)가 당겨지게 된다.
브레이크 암(1002)은, 브레이크 레버(1001)를 당겨 와이어(1003)가 당겨짐에 따라 제1 차체부(100)에 형성된 바퀴의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제동한다. 브레이크 레버(1001)를 놓으면 와이어(1003)를 당기던 힘이 사라지면서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던 힘이 해제된다.
와이어(1003)는, 브레이크 레버(1001)와 브레이크 암(1002)을 연결하여 브레이크 레버(1001)의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 암(1002)을 가압시키거나 원상태로 복원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브레이크부(1000)에 의해 앞바퀴(100a)를 정지시키며, 상하로 흔들리는 움직임은 앞바퀴(100a)의 측면에 형성된 완충부재의 탄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제어박스(1100), 조작스위치(1200), 브레이크스위치(1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박스(1100)는, 전원버튼(1101)을 구비하여 전원버튼(1101)을 온 시키면 전원공급부(800)에서 모터부(700)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버튼(1101)을 오프 시키면 전원공급부(800)에서 모터부(7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박스(1100)는, 오른손잡이의 경우에 손잡이부(400)의 오른쪽에 형성되어 오른손으로 전동카트(10)의 모든 동작을 조작할 수 있으며, 왼손잡이의 경우에 손잡이부(400)의 왼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박스(1100)는, 키홀더를 구비하여 키를 삽입하여 회전시키면 잠금을 해제시켜주며, 회전 단계를 나누어 형성한다. 나누어진 회전 단계에 각각 가변저항기를 연결하며, 회전하는 단계에 따라 저항값을 달리하여 전원공급부(800)로부터 전달하는 전원의 크기를 조절하여 모터부(700)로 공급함으로써,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조작스위치(1200)는, 구동 조작에 따라 전원공급부(8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모터부(700)에 정방향으로 공급하여 모터부(700)를 정방향 회전시켜 주거나,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모터부(700)를 역방향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조작스위치(1200)는, 제어박스(1100)에 형성되며, 전원공급부(800)와 연결되어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을 가지는 제1 접점부와 제2 접점부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스위치(1200)를 조작하여 전원의 방향을 바꾸어 주게 되면 모터부(700)의 구동 방향을 바꿀 수 있다.
브레이크스위치(1300)는, 브레이크 레버(1001)의 뒤쪽에 형성되어, 브레이크 레버(1001)를 당기는 경우에 회동하면서 스위치온 시켜 전원공급부(800)에서 모터부(7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브레이크 레버(1001)를 잡을 때에 브레이크(100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모터부(7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모터부(700)가 가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출장 세차 전용 카트(10)는, 손잡이부(400)와 브레이크(1000)를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손잡이부(400)를 통해 방향을 전환하다가 브레이크(1000) 작동 시 모터부(700)로 전달되는 전원 공급을 차단하여 정지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출장 세차 전용 카트
100 : 제1 차체부
100a : 앞바퀴
200 : 제2 차체부
200a : 뒷바퀴
210 : 체인부재
220 : 바퀴회동부재
221 : 제1 바
222 : 제2 바
223 : 베어링
224 : 제1 고정바
225 : 제2 고정바
230 : 완충부재
240 : 시트부재
250 : 발판부재
300 : 적재부
400 : 손잡이부
500 : 좌우 회동부
501 : 힌지축
502 : 제1 바 부재
503 : 베어링부재
504 : 제2 바 부재
700 : 모터부
800 : 전원공급부
900 : 충전량 표시부
1000 : 브레이크부
1001 : 브레이크 레버
1002 : 브레이크 암
1003 : 와이어
1100 : 제어박스
1101 : 전원버튼
1200 : 조작스위치
1300 : 브레이크스위치

Claims (10)

  1. 한 쌍의 앞바퀴가 장착되는 제1 차체부;
    한 쌍의 뒷바퀴가 장착되는 제2 차체부;
    상기 제1 차체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짐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부;
    상기 적재부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제1 차체부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손잡이부; 및
    상기 제1 차체부와 상기 제2 차체부 사이가 회동되도록 설치하며, 상기 손잡이부의 방향 전환에 따라 상기 제1 차체부를 좌우 방향으로 회동시키기 위한 좌우 회동부를 포함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축이 상기 제2 차체부의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뒷바퀴에 구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모터부; 및
    상기 제1 차체부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부의 충전 배터리에 대한 전원 충전량을 감지하며, 감지된 충전량을 표시하기 위한 충전량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체부는,
    상기 모터부의 양측과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 일측 사이 각각에 형성되어, 상기 모터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뒷바퀴를 구동시키기 위한 2개의 체인부재;
    상기 체인부재와 연결 형성되고 상기 뒷바퀴의 회전축 다른 일측에 연결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를 상하로 움직이기 위한 바퀴회동부재; 및
    상기 바퀴회동부재에 고정 형성되어, 상기 뒷바퀴의 상하운동을 완충시키기 위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회동부재는,
    상기 제2 차체부의 측면에 하부방향으로 고정 형성된 제1 바;
    일측이 상기 제1 바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다른 일측이 상기 뒷바퀴와 연결 형성되며, 회동하면서 상기 뒷바퀴를 상하로 움직이기기 위한 제2 바; 및
    상기 제2 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제2 바를 회동시키기 위한 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회동부재는,
    상기 완충부재의 상부를 상기 제1 바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바; 및
    상기 완충부재의 하부를 상기 제2 바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체부는,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앉기 위한 시트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체부는,
    상기 한 쌍의 뒷바퀴 사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발을 위치시키기 위한 발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체부에 형성된 바퀴를 정지시키기 위한 브레이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는,
    상기 손잡이부에 형성된 브레이크 레버;
    상기 제1 차체부에 형성된 바퀴의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기 위한 브레이크 암; 및
    상기 브레이크 레버와 상기 브레이크 암을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장 세차 전용 카트.
KR1020150001993A 2015-01-07 2015-01-07 출장 세차 전용 카트 KR1015391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93A KR101539195B1 (ko) 2015-01-07 2015-01-07 출장 세차 전용 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1993A KR101539195B1 (ko) 2015-01-07 2015-01-07 출장 세차 전용 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195B1 true KR101539195B1 (ko) 2015-07-27

Family

ID=538751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1993A KR101539195B1 (ko) 2015-01-07 2015-01-07 출장 세차 전용 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1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120A (ko) 2019-02-21 2020-08-31 부대범 출장 세차시스템
KR20210062961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카트 전자적인 조향제어가 가능한 전동보드
KR20220102256A (ko) 2021-01-13 2022-07-20 권봉길 출장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407A (ja) * 1992-09-21 1994-04-15 Sanyo Electric Co Ltd 電動車
KR20130058958A (ko) * 2011-11-28 2013-06-05 라파엘 주식회사 탑승 가능한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
KR101440828B1 (ko) * 2014-06-24 2014-09-17 (주)조은정밀 승용형 개인용 골프카트
KR101440827B1 (ko) * 2014-06-24 2014-09-17 (주)조은정밀 탑승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5407A (ja) * 1992-09-21 1994-04-15 Sanyo Electric Co Ltd 電動車
KR20130058958A (ko) * 2011-11-28 2013-06-05 라파엘 주식회사 탑승 가능한 손수레 이송용 전동카트
KR101440828B1 (ko) * 2014-06-24 2014-09-17 (주)조은정밀 승용형 개인용 골프카트
KR101440827B1 (ko) * 2014-06-24 2014-09-17 (주)조은정밀 탑승 가능한 개인용 골프카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2120A (ko) 2019-02-21 2020-08-31 부대범 출장 세차시스템
KR20210062961A (ko) * 2019-11-22 2021-06-01 주식회사 디카트 전자적인 조향제어가 가능한 전동보드
KR102309537B1 (ko) 2019-11-22 2021-10-07 주식회사 디카트 전자적인 조향제어가 가능한 전동보드
KR20220102256A (ko) 2021-01-13 2022-07-20 권봉길 출장 세차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22478B2 (en) Hands-free electric scooter
JP5062361B2 (ja) 移動体
WO2018041148A1 (zh) 一种载人翻滚双轮车及其操作方法
JP2019526483A (ja) カート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KR101539195B1 (ko) 출장 세차 전용 카트
JP2010125969A (ja) 移動体
EP1584546A2 (en) Tandem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KR20110093171A (ko) 3륜 전동스쿠터
JP6925923B2 (ja) 電動車両
JP2010167808A (ja) 移動体
KR101042918B1 (ko) 이륜형 자동 균형 전기자동차
JP2007331515A (ja) フロント荷台三輪自転車
KR20140046621A (ko) 퍼스널 모빌리티 차량
KR101849490B1 (ko) 다용도 전동 보드
KR101485300B1 (ko) 전동 카트
JP2014004291A (ja) 乗用姿勢制御装置を備えた乗用車両
JP4450334B1 (ja) 自転車
JP2008087539A (ja) 電動運搬車
KR101393452B1 (ko) 탑승형 자세 균형 이동장치
KR101994985B1 (ko) 킥보드
CN201316362Y (zh) 越野电动轮椅
CN110696953A (zh) 一种双手杆平衡车
JP5893199B1 (ja) 走行台車
CN218617006U (zh) 卡丁车车架及其开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