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128B1 -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 Google Patents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128B1
KR101539128B1 KR1020107016088A KR20107016088A KR101539128B1 KR 101539128 B1 KR101539128 B1 KR 101539128B1 KR 1020107016088 A KR1020107016088 A KR 1020107016088A KR 20107016088 A KR20107016088 A KR 20107016088A KR 101539128 B1 KR101539128 B1 KR 101539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ic acid
copolymer
alkyl ester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6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3528A (ko
Inventor
마사토요 요시나카
유이치로 모리미츠
신지 고바야시
마사키 고스기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코세 filed Critical 스미또모 세이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13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1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6/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 C08F216/12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by an ether radical
    • C08F216/125Monomers containing two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g. trimethylolpropane triallyl ether or pentaerythritol triallyl e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6Preparations for styling the hair, e.g. by temporary shaping or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08F220/1818C13or longer chain (meth)acrylate, e.g. stearyl (meth)acryl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메트)아크릴산 95.42 ∼ 97.48 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43 ∼ 4.30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0.08 ∼ 0.3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당해 공중합체를 배합한 화장료. 본 발명의 공중합체에 의하면, 비교적 고농도인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온도 및 전해질 농도에 영향받지 않고 높은 점도를 갖는 중화 점조 수용액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공중합체를 화장료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METH)ACRYLIC ACID/ALKYL (METH)ACRYLATE ESTER COPOLYMER AND COSMETIC PREPARA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 등의 수계 증점제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등의 수계 증점제, 파프제 등의 보습제, 유화제나 현탁물 등의 현탁 안정제 등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로는, 다양한 공중합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정량의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특정량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 30) 를 반응시킨 공중합체 (특허문헌 1 참조), 특정량의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특정량의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가 10 ∼ 30) 와 가교제를 반응시킨 공중합체 (특허문헌 2 참조), 올레핀계 불포화 카르복실산 단량체와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알킬기의 탄소수가 8 ∼ 30) 를 반응시킨 공중합체 (특허문헌 3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통상, 물 등에 용해시킨 후, 알칼리로 중화시켜 0.1 ∼ 1 질량% 정도의 중화 점조 수용액으로 함으로써 상기 각 용도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중화 점조 수용액은, 제품을 구성하는 다양한 원료나 첨가물로서 전해질이 공존하는 경우, 그들이 비교적 저농도이어도, 점도가 저하되거나 온도 의존성이 커짐으로써, 배합한 제품의 시간 경과적 안정성을 악화시켜 버리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투과율이 저하되거나 공중합체의 일부가 석출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특히 최근에, 화장료의 분야에서는, 상품의 차별화를 도모하기 위한 전해질의 유효 성분이나 미네랄 성분을 고배합한 것이나, 투명감이 높은 양호한 외관, 끈적거림이 없는 사용감과 같은 특성을 갖는 화장료가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제조 비용 저감의 요청으로부터, 다양한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제조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 증점제의 제안이 요망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1-619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232107호 미국 특허 제5004598호 명세서
본 발명은 비교적 고농도인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그 농도나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점도를 갖는 중화 점조 수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관한 것이다.
항 1. (메트)아크릴산 95.42 ∼ 97.48 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43 ∼ 4.30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0.08 ∼ 0.3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이하의 특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1) 당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가 40000 mPa·s 이상이고, 25 ℃ 에서의 점도와 50 ℃ 에서의 점도의 비가 1 : 0.8 ∼ 1 : 1.2 이다.
2) 당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와, 염화나트륨을 0.5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의 비가 1 : 0.75 ∼ 1 : 1.25 이다.
항 2.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 메타크릴산베헤닐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항 1 에 기재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항 3.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및 폴리알릴사카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항 1 또는 2 에 기재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항 4. 항 1 ∼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배합한 화장료.
항 5. 추가로 전해질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 4 에 기재된 화장료.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고농도인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온도 및 전해질 농도에 영향받지 않고 높은 점도를 갖는 중화 점조 수용액을 형성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을 총칭하여 (메트)아크릴산이라고 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과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공중합체를 의미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중화 점조 수용액의 중화란, 당해 액의 pH 가 6.5 ∼ 7.5 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95.42 ∼ 97.48 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43 ∼ 4.30 질량%,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0.08 ∼ 0.3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란, (메트)아크릴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고급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말하고,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과 스테아릴알코올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과 에이코사놀의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과 베헤닐알코올의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과 테트라코사놀의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트)아크릴산에이코사닐, (메트)아크릴산베헤닐 및 (메트)아크릴산테트라코사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 (즉, 이들 성분 단독인 것 혹은 그들의 혼합물) 이거나, 또는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에이코사닐, (메트)아크릴산베헤닐 및 (메트)아크릴산테트라코사닐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2 ∼ 4 종의 혼합물을 들 수 있고, (메트)아크릴산스테아릴, (메트)아크릴산에이코사닐, (메트)아크릴산베헤닐 및 (메트)아크릴산테트라코사닐의 4 종의 혼합물을 바람직한 것으로서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중화 점조 수용액 및 전해질 존재하에 있어서의 당해 액의 점도 특성이나 질감이 우수한 점에서, 메타크릴산스테아릴,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 메타크릴산베헤닐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메타크릴산베헤닐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가 사용된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는, 예를 들어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브렘마 VMA70 등의 시판품을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트)아크릴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조합은, 각각 단독인 것을 조합해도 되고, 어느 일방 또는 양자에 대해 2 종 이상인 것을 병용하여 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어 에틸렌성 불포화기가 알릴기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이들 중에서도 펜타에리트리톨디알릴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알릴에테르 및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알릴에테르 등의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나,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그리고 폴리알릴사카로오스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중합시의 (메트)아크릴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비에 특징이 있다. 이하에, 각각의 사용량비를 설명한다. 단, 사용량비는 (메트)아크릴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총 사용량을 100 질량% 로 하였을 때의 값이다.
(메트)아크릴산의 사용량비는 95.42 ∼ 97.48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95.47 ∼ 97.46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5.97 ∼ 96.94 질량% 이다. (메트)아크릴산의 사용량비가 95.42 질량% 미만인 경우, 중화 점조 수용액을 조제하였을 때에, 저농도의 전해질 존재하의 점도가 현저하게 높아지고, 소정의 전해질 농도에 있어서의 점도 변화율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메트)아크릴산의 사용량비가 97.48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 중화 점조 수용액을 조제하였을 때에, 전해질 존재하에서 충분한 점도가 얻어지지 않고, 온도 및 전해질 농도에 의한 점도 변화율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사용량비는 2.43 ∼ 4.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2.91 ∼ 3.84 질량% 이다.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사용량비가 2.43 질량% 미만인 경우, 중화 점조 수용액을 조제하였을 때에, 전해질 존재하에서 충분한 점도가 얻어지지 않고, 온도 및 전해질 농도에 의한 점도 변화율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사용량비가 4.3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 중화 점조 수용액을 조제하였을 때에, 저농도의 전해질 존재하의 점도가 현저하게 높아지고, 소정의 전해질 농도에 있어서의 점도 변화율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비는 0.08 ∼ 0.30 질량% 이고, 바람직하게는 0.11 ∼ 0.24 질량%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 0.19 질량% 이다.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비가 0.08 질량% 미만인 경우, 중화 점조 수용액을 조제하였을 때에, 전해질 존재하에서 충분한 점도가 얻어지지 않고, 온도 및 전해질 농도에 의한 점도 변화율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의 사용량비가 0.30 질량% 를 초과하는 경우, 중화 점조 수용액을 조제하였을 때에, 저농도의 전해질 존재하의 점도가 높아지고, 소정의 전해질 농도에 있어서의 점도 변화율이 커서 사용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과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중합시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얻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이들 원료를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 용매 중에서 교반하고,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중합시키는 방법 등의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불활성 가스 분위기를 얻기 위한 불활성 가스로는, 예를 들어 질소 가스나 아르곤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메트)아크릴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용해시키는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용해시키지 않는 것으로서, 당해 반응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매의 구체예로는, 노르말펜탄, 노르말헥산, 노르말헵탄, 시클로펜탄 및 시클로헥산 등의 탄화수소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도 노르말헥산 및 노르말헵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탄화수소 용매는 케톤, 에스테르, 에테르 및 포화 알코올 등의 유기 용매와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유기 용매의 구체예로는,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이소프로필, 아세트산프로필, 아세트산부틸, 메틸에틸케톤, 프로피온산부틸, 시클로헥사논 등을 들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교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관점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메트)아크릴산 100 질량부에 대해 300 ∼ 5000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 개시제는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 개시제가 바람직하고, 구체예로는, α,α'-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틸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고분자량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얻어지는 관점에서, 2,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틸레이트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메트)아크릴산 1 몰에 대해 0.00003 ∼ 0.002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0003 몰 미만인 경우, 반응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않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02 몰을 초과하는 경우, 중합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반응의 제어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반응 온도는 50 ∼ 9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 ∼ 75 ℃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가 50 ℃ 미만인 경우, 반응 용액의 점도가 상승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기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반응 온도가 90 ℃ 를 초과하는 경우,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반응의 제어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 따라 상이하므로 일률적으로는 말할 수 없지만, 통상 0.5 ∼ 5 시간이다.
반응 종료 후, 반응 용액을 예를 들어 80 ∼ 130 ℃ 로 가열하여 상기 용매를 휘산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다. 가열 온도가 80 ℃ 미만인 경우, 건조에 장시간을 필요로 할 우려가 있고, 130 ℃ 를 초과하는 경우, 얻어지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가 40000 mPa·s 이상이고, 25 ℃ 에서의 점도와 50 ℃ 에서의 점도의 비 (점도 변화율) 가 1 : 0.8 ∼ 1 : 1.2 이고, 또한,
2)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와, 염화나트륨을 0.5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의 비 (점도 변화율) 가 1 : 0.75 ∼ 1 : 1.25 인 특징을 갖는다.
즉, (메트)아크릴산 95.42 ∼ 97.48 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43 ∼ 4.30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0.08 ∼ 0.30 질량% 의 각각을 단량체로 하고, 이들을 중합시켜 얻어지는, 상기 특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점도는 후술하는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을 때의 값이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는, 화장료에 사용하였을 때에,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질감을 얻기 위해 적은 첨가량으로 증점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40000 mPa·s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2000 mPa·s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와 50 ℃ 에서의 점도의 비는, 화장료에 사용하였을 때에, 기온 변동의 영향을 잘 받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1 : 0.8 ∼ 1 : 1.2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0.9 ∼ 1 : 1.1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와, 염화나트륨을 0.5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의 비는, 화장료에 사용하였을 때에, 전해질 농도가 상이한 다양한 배합 처방에 활용하기 쉽다는 관점에서, 1 : 0.75 ∼ 1 : 1.25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0.90 ∼ 1 : 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예를 들어 탈이온수 등의 순수에 용해시키고, 알칼리로 중화시켜, 당해 공중합체 농도가 1 질량% 정도이고 pH 가 6.5 ∼ 7.5 인 중화 점조 수용액으로 함으로써, 화장료 등의 증점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증점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중화시키기 위한 알칼리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고, 수산화나트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나, 트리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화장료에 대한 배합량으로는, 원하는 효과가 발휘되는 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화장료 중, 당해 공중합체를 0.01 ∼ 5.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 3.0 질량% 배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 ∼ 1.5 질량% 배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증점 효과의 관점에서, 당해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0.01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끈적거림이 없는 매끄러운 사용성의 관점에서, 당해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5 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얻어진 중화 점조 수용액은, 비교적 고농도인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그 농도나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점도를 가지며, 또한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질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이와 같은 특성을 갖는 이유는 자세하지는 않지만, 아크릴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각각 특정량 사용하는 것에서 기인되고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예를 들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도입된 서로의 탄소수 18 ∼ 24 의 알킬기가, 수용액 중에서 소수성 상호 작용에 의해 회합체를 형성하고, 그 때문에 증점성이 증가하여, 전해질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또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에 도입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가교제로서 작용하여 점도를 증가시킴과 함께, 소수성 상호 작용의 자유도가 저하되어 온도의 영향을 저감시키고 있는 것으로 추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함으로써, 비교적 고농도인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그 농도나 온도에 의존하지 않고, 안정적인 점도를 갖고,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질감을 갖는 화장료 등을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전해질이란, 수중에서 이온 해리되는 화합물을 가리킨다. 전해질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락트산, 글루콘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말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시트르산, 프탈산, 아세트산, 벤조산, 살리실산, 갈산, 디에틸바르비투르산 등의 카르복실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세린,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아미노산, 에탄술폰산, 페놀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m-자일렌술폰산 등의 유기 술폰산, 타우린 등의 아미노술폰산, 염산 등의 무기산, 등의 산제,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알칸올아민, 암모니아,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무기 염기, 등의 알칼리제, 상기 산제와 알칼리제의 중화 생성염, 예를 들어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벤조산나트륨, 벤조산칼륨, 염화암모늄,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인산2나트륨, 인산2칼륨, 황산모노에탄올아민, 1 호 규산소다, 2 호 규산소다, 3 호 규산소다, 기타,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리진산디칼륨 등의 유효 성분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화장료에 대한 안정 배합 및, 피부 도포시의 보수성, 보습성 등의 면에서, 락트산, 말산, 말레산, 시트르산, 벤조산, 살리실산, 글리신, 알라닌, 발린, 류신, 세린, 글루타민산, 아스파르트산 등의 아미노산,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시트르산나트륨, 시트르산칼륨,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리진산디칼륨이 바람직하고, 락트산,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아스코르브산 및 그 유도체, 글리시리진산디칼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 배합량은,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100 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00 ∼ 1 질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500 ∼ 5 질량부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로는, 예를 들어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크림 팩,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세안 폼, 투명 샴푸, 펄 샴푸, 바디 샴푸, 헤어 세팅 젤, 선 크림, 스타일링 젤,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전해질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비교적 저점도이기 때문에, 화장료 등의 제조 효율상, 매우 유용한 증점제라고 할 수 있다. 즉, 제품의 각종 제조 공정에 있어서, 전해질의 첨가 전 용액의 점도가 낮고, 또한 전해질을 첨가하는 공정을 보다 후단의 공정으로 함으로써, 전해질 첨가 전의 반응 공정, 이송 공정, 가열 공정, 조합 (調合) 공정 등의 작업 효율을 현격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전혀 한정되지는 않는다.
[측정 방법]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얻어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의 증점제로서의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소정의 염화나트륨 농도를 갖는 중화 점조 수용액 (평가 시료) 을 조제하고, 점도를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1) 평가 시료의 조제
2 ℓ용의 SUS제 비커에 순수 1960 g 을 넣고,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6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0 g 을 탁상 디스퍼 (톡슈키 화공업 주식회사 제조, T.K. 로보믹스) 매분 2000 회전 조건하에서 천천히 투입하고,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물에 담그었다. 다음으로, 내용물을 미츠보식 진공 유화 장치 (미츠보 공업 주식회사 제조, 형식 : PVQ-5) 에 옮기고, 패들 날개부 매분 60 회전, 디스퍼 날개부 매분 3000 회전의 회전수, 내온 80 ℃, 밀폐 감압 조건하에서 90 분간 교반하였다. 교반 후, 내용물을 2 ℓ용의 SUS제 비커에 옮기고, 밀봉하여 하루종일 정치 (靜置) 하에서 상온으로 되돌렸다.
얻어진 용액을 300 ㎖ 용 비커에 100 g 씩 작게 나누고, 6 질량%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5 g 을 첨가하여, 전술한 탁상 디스퍼를 사용하여 매분 3000 회전 조건하에서 1 분간 교반하고, pH (25 ℃) 가 6.5 ∼ 7.5 인 중화 점조 수용액으로 하였다.
얻어진 중화 점조 수용액에, 시료의 질량이 200 g, 또한 시료의 염화나트륨 농도가 1 질량% 가 되도록 10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순수를 첨가한 시료를 5 개, 그리고 염화나트륨 농도가 0.25 질량%, 0.5 질량% 및 0.75 질량% 가 되도록 10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및 순수를 첨가한 시료를 각각 1 개씩 조제하였다.
조제한 시료를, 전술한 탁상 디스퍼를 사용하여 매분 3000 회전 조건하에서 5 분 교반한 후, DALTON 만능 혼합 교반기 (주식회사 달톤사 제조, 형식 : 5DMV-01-r) 로 감압하 탈포하였다. 염화나트륨 농도가 1 질량% 인 탈포 후의 시료 5 개는, 각각 5 ℃, 15 ℃, 25 ℃, 40 ℃ 및 50 ℃ 의 수욕 내에서 1 일 방치하여, 평가 시료로 하였다. 또한, 염화나트륨 농도가 0.25 질량%, 0.5 질량% 및 0.75 질량% 인 시료는, 25 ℃ 의 수욕 내에서 1 일 방치하여, 평가 시료로 하였다.
(2) 점도 측정
각 평가 시료에 대해, BL 형 회전 점도계 (시바우라 시스템 주식회사 제조, DEGITAL VISMETRON) 를 사용하여, 스핀들 로터 No.4 의 회전 속도를 매분 6 회전으로 하고 1 분 후의 점도를 각 온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2 ∼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교반기, 온도계, 질소 취입관 및 냉각관을 구비한 500 ㎖ 용의 4 구 플라스크에, 아크릴산 45 g (0.625 몰),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로서의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 메타크릴산스테아릴이 10 ∼ 20 질량부, 메타크릴산에이코사닐이 10 ∼ 20 질량부, 메타크릴산베헤닐이 59 ∼ 80 질량부 및 메타크릴산테트라코사닐의 함유량이 1 질량부 이하인 혼합물) 1.35 g,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 0.05 g, 노르말헥산 150 g 및 2,2'-아조비스메틸이소부틸레이트 0.081 g (0.00035 몰) 을 주입하였다. 계속해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한 후, 반응 용기의 상부 공간, 원료 및 용매 중에 존재하고 있는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용액 중에 질소 가스를 불어넣었다. 이어서, 질소 분위기하, 60 ∼ 65 ℃ 로 유지하여 4 시간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생성된 슬러리를 90 ℃ 로 가열하여, 노르말헥산을 증류 제거하고, 다시 110 ℃, 10 mmHg 로 8 시간 감압 건조시킴으로써,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3 g 을 얻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의 사용량을 1.58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4 g 을 얻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의 사용량을 1.80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5 g 을 얻었다.
[실시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7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3 g 을 얻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의 사용량을 1.58 g,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7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4 g 을 얻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 에 있어서,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9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2 g 을 얻었다.
[실시예 7]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의 사용량을 1.80 g,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9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4 g 을 얻었다.
[실시예 8]
실시예 1 에 있어서,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14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3 g 을 얻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 있어서,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2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3 g 을 얻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의 사용량을 0.99 g,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9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2 g 을 얻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의 사용량을 2.25 g,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9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5 g 을 얻었다.
[비교예 4]
실시예 1 에 있어서,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18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3 g 을 얻었다.
[비교예 5]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1.35 g 을 메타크릴산스테아릴 1.35 g 으로 변경하고,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09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2 g 을 얻었다.
[비교예 6]
실시예 1 에 있어서, 브렘마 VMA70 (니혼 유지 주식회사 제조) 1.35 g 을 메타크릴산스테아릴 1.35 g 으로 변경하고,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의 사용량을 0.14 g 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백색 미분말 형상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43 g 을 얻었다.
실시예 1 ∼ 8 및 비교예 1 ∼ 6 에서 사용한 주요 원료와 그 사용량비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112010046477014-pct00001
Figure 112010046477014-pct00002
Figure 112010046477014-pct00003
표 2 ∼ 3 으로부터, 실시예 1 ∼ 8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전해질의 존재하에서도 온도 및 전해질 농도에 영향받지 않고 높은 점도를 갖는 중화 점조 수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 8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상기와 같은 우수한 특성을 갖는 증점제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이 나타났다.
이하에,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한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크림 팩,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세안 폼, 선 크림, 스타일링 젤,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투명 샴푸, 펄 샴푸, 바디 샴푸, 헤어 세팅 젤 등의 화장료의 조제예를 예시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에는, 의약부외품 원료 규격 2006 (약사 일보사) 수재 (收載) 의 통상 화장료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오일제, 계면 활성제, 다가 알코올, 수용성 고분자, 보습제, 미백이나 염증, 기미, 모발 손상 등에 대한 약제, 혈행 촉진제, 유연제, 각층 보호제, 자외선 방지제, 방부제, pH 조정제, 향료, 산화 방지제, 색재 및 전해질 성분 등을, 본 기술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실시예 9]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6 을 각각의 비율로 균일하게 교반 혼합하고, 추가로 성분 7 ∼ 10 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교반하고, 가용화하여 화장수를 조제하였다. 이하, 배합량의 단위 (%) 는 질량% 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1) : 0.1 %
2. 수산화나트륨 : 0.28 %
3.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 : 2.0 %
4. 시트르산 : 0.01 %
5. 인산일수소나트륨 : 0.1 %
6.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7. 에탄올 : 8.0 %
8.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데실테트라데실에테르 (30EO, 6PO) : 0.3 %
9. 방부제 : 0.1 %
10. 향료 : 적당량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화장수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1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화장수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0]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8, 성분 9 ∼ 17 을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유액을 조제하였다.
1.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EO) : 1.0 %
2. 테트라올레산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 (40PO) : 1.5 %
3.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 1.0 %
4. 스테아르산 : 0.5 %
5. 베헤닐알코올 : 1.5 %
6. 스쿠알란 : 5.0 %
7. 2-에틸헥산산세틸 : 5.0 %
8. 디메틸폴리실록산 : 0.5 %
9.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2) : 0.1 %
10. 잔탄검 : 0.1 %
11. 수산화나트륨 : 0.05 %
12. 락트산소다 : 1.0 %
13. 시트르산 : 0.01 %
14. 인산일수소나트륨 : 0.1 %
15. 1,3-부틸렌글리콜 : 7.0 %
16. 방부제 : 0.15 %
17.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유액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2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2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유액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1]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1 을 각각의 비율로 상온에서 혼합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점조 수용성 액체로 하여, 미용액을 조제하였다.
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3) : 0.2 %
2. 수산화나트륨 : 0.08 %
3.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 3.0 %
4. 시트르산나트륨 : 0.5 %
5. 에데트산 4 나트륨 : 0.1 %
6. 1,3-부틸렌글리콜 : 7.0 %
7. 글리세린 : 8.0 %
8.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9. 히알루론산나트륨 : 0.2 %
10. 방부제 : 0.15 %
11. 에탄올 : 5.0 %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미용액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3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미용액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2]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6, 성분 7 ∼ 14 를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크림을 조제하였다.
1. 펜타올레산데카글리세릴 : 3.0 %
2. 밀랍 : 2.0 %
3. 세탄올 : 2.0 %
4. 스쿠알란 : 5.0 %
5.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2.0 %
6. 디메틸폴리실록산 : 0.5 %
7. 글리세린 : 5.0 %
8. 인산L-아스코르브산마그네슘 : 3.0 %
9. 시트르산나트륨 : 0.5 %
10. 에데트산 4 나트륨 : 0.1 %
1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4) : 0.15 %
12. 수산화나트륨 : 0.06 %
13. 방부제 : 0.1 %
14.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크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4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4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크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3]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4, 성분 5 ∼ 12 를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크림 팩을 조제하였다.
1.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세틸에테르 (20EO, 4PO) : 0.8 %
2. 모노스테아르산디글리세릴 : 0.2 %
3.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1.0 %
4. 메도우폼유 : 1.0 %
5. 글리세린 : 5.0 %
6. 1,3-부틸렌글리콜 : 3.0 %
7.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5) : 0.1 %
8. 수산화나트륨 : 0.28 %
9.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3 %
10.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 : 2.0 %
11. 방부제 : 0.15 %
12.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크림 팩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5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5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크림 팩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4]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7, 성분 8 ∼ 13 을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마사지 크림을 조제하였다.
1.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20EO) : 2.0 %
2.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 4.0 %
3. 세탄올 : 2.0 %
4. 백색 바셀린 : 6.0 %
5. 스쿠알란 : 30.0 %
6.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5.0 %
7. 디메틸폴리실록산 : 0.5 %
8.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6) : 0.1 %
9. 수산화나트륨 : 0.04 %
10. 글리세린 : 5.0 %
11.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 1.0 %
12. 방부제 : 0.15 %
13.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마사지 크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마사지성 및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6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6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마사지 크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5]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7, 성분 8 ∼ 13 을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클렌징 크림을 조제하였다.
1. 모노스테아르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EO) : 2.0 %
2. 테트라올레산폴리옥시프로필렌소르비톨 (40PO) : 1.0 %
3.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 2.0 %
4. 스테아르산 : 4.0 %
5. 세탄올 : 2.0 %
6. 유동 파라핀 : 30.0 %
7.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10.0 %
8. 1,3-부틸렌글리콜 : 5.0 %
9.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7) : 0.1 %
10. 수산화나트륨 : 0.04 %
11. L-세린 : 1.0 %
12. 방부제 : 0.1 %
13.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클렌징 크림은, 높은 클렌징 기능,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7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1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클렌징 크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클렌징 기능 및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6]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0 을 각각의 비율로 상온에서 균일 혼합하고, 젤 형상으로 하여, 클렌징 젤을 조제하였다.
1. 카르복시비닐 폴리머*1 : 0.1 %
2.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8) : 0.1 %
3. 수산화나트륨 : 0.08 %
4.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 1.0 %
5.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 0.5 %
6.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30EO) : 16.0 %
7.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5EO) : 12.0 %
8. 1,3-부틸렌글리콜 : 10.0 %
9.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10. 방부제 : 0.1 %
*1 : 스미토모 정화사 제조 아크펙 HV-501E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클렌징 젤은, 높은 클렌징 기능,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8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2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클렌징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클렌징 기능,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7]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8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9 ∼ 15 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80 ℃ 로 가온시켜 첨가하고, 혼합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냉각시켜,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1. 미리스트산 : 15.0 %
2. 팔미트산 : 5.0 %
3. 스테아르산 : 3.0 %
4. 밀랍 : 3.0 %
5.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 2.0 %
6.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 2.0 %
7. 야자유지산디에탄올아미드 : 3.0 %
8. 글리세린 : 15.0 %
9.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7) : 0.1 %
10. 수산화나트륨 : 0.04 %
11. 수산화칼륨 : 5.5 %
12.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 0.5 %
13. N-라우로일사르코신나트륨 : 10.0 %
14. 방부제 : 0.15 %
15.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세안 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7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3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세안 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8]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0, 성분 11 ∼ 16 을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선 크림을 조제하였다.
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4) : 0.1 %
2.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0.3 %
3. 수산화나트륨 : 0.28 %
4. 아스코르브산2-글루코사이드 : 2.0 %
5. 시트르산 : 0.01 %
6. 인산일수소나트륨 : 0.1 %
7. 방부제 : 0.15 %
8. 1,3-부틸렌글리콜 : 7.0 %
9. 글리세린 : 8.0 %
10.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11. 모노스테아르산소르비탄 : 0.5 %
12.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EO) : 0.5 %
13.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 0.5 %
14. 세탄올 : 2.0 %
15.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 10.0 %
16. 에탄올 : 10.0 %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선 크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4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4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선 크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19]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7 을 각각의 비율로 상온에서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균일 혼합하여, 스타일링 젤을 조제하였다.
1. 카르복시비닐 폴리머*1 : 0.1 %
2.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5) : 0.1 %
3. 수산화나트륨 : 0.08 %
4. 비닐피롤리돈·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액 (H)*2 : 10.0 %
5.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 1.0 %
6. 방부제 : 0.1 %
7.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1 : 스미토모 정화사 제조 아크펙 HV-501E
*2 : ISP 사 제조 PVP/VAE-735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스타일링 젤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화장 지속 및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5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5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스타일링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0]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9 를 각각의 비율로 상온에서 용해시키고, 교반하면서 균일 혼합하여, 아이라이너를 조제하였다.
1.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3 : 30.0 %
2. 1,3-부틸렌글리콜 : 15.0 %
3. 흑산화철 : 15.0 %
4.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1) : 0.1 %
5. 수산화나트륨 : 0.04 %
6.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2.0 %
7. 염화나트륨 : 0.5 %
8. 방부제 : 0.15 %
9.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3 : 일본 NSC 사 제조 YODOSOL GH810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아이라이너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화장 지속 및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6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아이라이너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1]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0, 성분 11 ∼ 16 을 각각의 비율로 교반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전자에 후자를 적하·교반하여 유화시킨다. 계속해서, 냉각시켜, 마스카라를 조제하였다.
1. 스테아르산 : 2.0 %
2. 카르나우바납 : 2.0 %
3. 밀랍 : 3.0 %
4.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20EO) : 1.0 %
5. 세스퀴올레산소르비탄 : 0.5 %
6. 아크릴산알킬 공중합체 에멀션*3 : 1.0 %
7. 트리에탄올아민 : 1.1 %
8. 프로필렌글리콜 : 1.0 %
9. 흑산화철 : 10.0 %
10. 카올린 : 10.0 %
1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2) : 0.2 %
12. 수산화나트륨 : 0.08 %
13.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 2.5 %
14. 염화나트륨 : 0.1 %
15. 방부제 : 0.15 %
16.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3 : 일본 NSC 사 제조 YODOSOL GH810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마스카라는, 매끄럽게 펴 발라지고, 화장 지속 및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2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2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마스카라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인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2]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1 을 각각의 비율로 첨가하여 롤러 처리에 의해 분산시켰다. 고온에서 형에 흘려 넣고, 냉각시켜 성형한 것을 용기에 충전하여 립스틱을 조제하였다.
1. 캔데릴라 왁스 : 5.0 %
2. 세레신 : 5.0 %
3. 카르나우바 왁스 : 3.0 %
4.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 3.0 %
5.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 20.0 %
6. 이소노난산이소트리데실 : 20.0 %
7. 말산디이소스테아릴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8.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3) : 1.0 %
9. 무수 규산 : 1.0 %
10. 착색료 : 20.0 %
11. 방부제 : 0.1 %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립스틱은, 매끄러운 사용감을 갖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3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립스틱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인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3]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1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12 ∼ 18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한 것을 80 ℃ 로 가온시켜, 첨가 혼합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냉각시켜, 파운데이션을 조제하였다.
1.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릴 : 1.0 %
2. 스테아르산 : 5.0 %
3. 베헤닐알코올 : 1.0 %
4. 세탄올 : 0.5 %
5. 스쿠알란 : 5.0 %
6. 산화티탄 : 4.0 %
7. 철단 : 0.5 %
8. 황산화철 : 1.0 %
9. 흑산화철 : 0.03 %
10. 탤크 : 4.0 %
11. 대두인지질 : 0.3 %
12. 1,3-부틸렌글리콜 : 8.0 %
13. 트리에탄올아민 : 1.5 %
14.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6) : 0.2 %
15. 수산화나트륨 : 0.08 %
16.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 1.0 %
17. 방부제 : 0.1 %
18.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파운데이션은, 매끄럽게 펴 발라지고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화장 지속이 우수하였다. 또한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6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6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파운데이션은, 잘 펴 발라지지 않고, 신선함이 부족하고, 화장 지속도 나빴다. 또한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나빴다.
[실시예 24]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5 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추가로, 성분 6 ∼ 9 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겔 형상으로 하여 클렌징 젤을 조제하였다.
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7) : 1.0 %
2.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3. 수산화칼륨 : 0.25 %
4. 염화나트륨 : 0.5 %
5. 락트산 : 0.01 %
6. 방부제 : 0.15 %
7. 에탄올 : 8.0 %
8. 1,3-부틸렌글리콜 : 5.0 %
9.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 5.0 %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클렌징 젤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7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3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클렌징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5]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6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추가로 성분 7 ∼ 12 를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겔 형상으로 하여 클렌징 젤을 조제하였다.
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7) : 0.2 %
2. 정제수 : 10.0 %
3. 트리에탄올아민 : 0.2 %
4. 염화나트륨 : 0.2 %
5. 락트산나트륨 : 0.01 %
6.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 5.0 %
7.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8.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30EO) : 16.0 %
9.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5EO) : 12.0 %
10. 1,2-펜탄디올 : 5.0 %
11. 페녹시에탄올 : 0.5 %
12. 방부제 : 0.1 %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클렌징 젤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7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5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클렌징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6]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4 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추가로 성분 5 ∼ 11 을 미리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균일한 겔 형상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클렌징 젤을 조제하였다.
1.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 20.0 %
2. 디메틸폴리실록산*4 : 1.0 %
3. 유동 파라핀 : 5.0 %
4. 폴리옥시에틸렌이소스테아르산 (10EO) : 5.0 %
5.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7) : 1.0 %
6. 수산화나트륨 : 0.3 %
7. 염화나트륨 : 0.7%
8. L-세린 : 0.5 %
9.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02 %
10. 방부제 : 0.15 %
11.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4 : 신에츠 화학 공업사 제조 실리콘 KF-96 (100CS)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클렌징 젤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7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6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클렌징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7]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3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추가로 성분 4 ∼ 9 를 미리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균일한 겔 형상이 될 때까지 교반하여 클렌징 젤을 조제하였다.
1. 트리(카프릴·카프릴산)글리세릴 : 20.0 %
2. 모노올레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6EO) : 20.0 %
3. 글리세린 : 30.0 %
4.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7) : 2.0 %
5. 수산화나트륨 : 0.6 %
6. 염화나트륨 : 2.0 %
7. 알부틴 : 0.5 %
8. 방부제 : 0.1 %
9.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클렌징 젤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7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4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클렌징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클렌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8]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8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9 ∼ 10 을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성분 11 ∼ 15 를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1. 미리스트산 : 15.0 %
2. 팔미트산 : 5.0 %
3. 스테아르산 : 3.0 %
4. 스테아르산글리세릴 : 3.0 %
5.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 2.0 %
6.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3.0 %
7. 글리세린 : 15.0 %
8. 방부제 : 0.15 %
9. 수산화칼륨 : 5.5 %
10. 정제수 : 14.5 %
1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3) : 0.1 %
12. 염화칼륨 : 0.05 %
13. 시트르산 : 0.04 %
14. 시트르산나트륨 : 0.01 %
15.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세안 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2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세안 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29]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0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11 ∼ 12 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성분 13 ∼ 16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1. 라우르산 : 2.0 %
2. 미리스트산 : 20.0 %
3. 팔미트산 : 5.0 %
4. 스테아르산 : 5.0 %
5. 야자유 지방산칼륨 : 8.0 %
6.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3.0 %
7.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 4.0 %
8. 글리세린 : 10.0 %
9. 1,3-부틸렌글리콜 : 10.0 %
10. 방부제 : 0.1 %
11. 수산화칼륨 : 6.0 %
12. 정제수 : 14.0 %
13.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2) : 0.2 %
14. 염화칼륨 : 0.1 %
15. 락트산 : 0.01 %
16.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세안 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2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1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세안 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0]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0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11 ∼ 12 를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성분 13 ∼ 16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첨가하고,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1. 라우르산 : 2.0 %
2. 미리스트산 : 20.0 %
3. 팔미트산 : 5.0 %
4. 스테아르산 : 5.0 %
5. 야자유 지방산칼륨 : 8.0 %
6.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3.0 %
7.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 4.0 %
8. 글리세린 : 10.0 %
9. 1,2-펜탄디올 : 5.0 %
10. 방부제 : 0.15 %
11. 수산화칼륨 : 6.0 %
12. 정제수 : 14.0 %
13.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3) : 0.2 %
14. 염화칼륨 : 0.1 %
15. 말산 : 0.01 %
16.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세안 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5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세안 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1]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2 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3 ∼ 10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첨가하여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1. N-라우로일글루타민산나트륨 : 10.0 %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20EO) : 2.0 %
3. 아스코르브산글루코사이드 : 2.0 %
4.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3) : 1.0 %
5. 수산화나트륨 : 0.3 %
6. 염화나트륨 : 0.5 %
7. 말산 : 0.03 %
8. 콜라겐 : 0.5 %
9. 방부제 : 0.1 %
10.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세안 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2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세안 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2]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4 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5 ∼ 10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첨가하여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세안 폼을 조제하였다.
1. 데카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 30.0 %
2. 1,3-부틸렌글리콜 : 15.0 %
3. 데실글루코사이드 : 2.5 %
4. 방부제 : 0.15 %
5.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5) : 2.0 %
6. 수산화나트륨 : 0.6 %
7. 염화나트륨 : 1.0 %
8.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 0.03 %
9. 글리시리진산디칼륨 : 0.1 %
10.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세안 폼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5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4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세안 폼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세정 효과,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3]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6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7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7 ∼ 12 를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투명 샴푸를 조제하였다.
1. 코코일메틸타우린나트륨 : 4.0 %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12EO) : 8.0 %
3.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 4.0 %
4. 코코안호아세트산나트륨 : 3.0 %
5.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5.0 %
6. 방부제 : 0.1 %
7. 시트르산 : 0.1 %
8. 1,2-펜탄디올 : 5.0 %
9.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2) : 0.5 %
10. 염화나트륨 : 0.5 %
11. 프롤린 : 0.05 %
12.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투명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2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3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투명 샴푸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4]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10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11 ∼ 16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펄 샴푸를 조제하였다.
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나트륨 (8EO) : 12.0 %
2.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황산암모늄 (3EO) : 10.0 %
3. 라우릴디메틸아미노아세트산베타인 : 2.0 %
4. 폴리쿼터늄-39 (9.9 % 수용액) : 1.0 %
5. 염화 O-[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3 %
6.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5.0 %
7.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 2.0 %
8. 고중합 메틸폴리실록산 에멀션*5 : 0.5 %
9. 1,3-부틸렌글리콜 : 3.0 %
10. 방부제 : 0.15 %
11.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3) : 0.5 %
12. 염화나트륨 : 0.5 %
13. 글리신 : 0.01 %
14. 말산 : 0.1 %
15. 아르기닌 : 0.01 %
16.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5 : 토오레·다우코닝사 제조 BY22-020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펄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3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5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펄 샴푸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5]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5 를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6 ∼ 9 를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바디 샴푸를 조제하였다.
1. 코코일글루타민산트리에탄올아민 : 12.0 %
2.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 (3EO) : 10.0 %
3. 폴리쿼터늄-39 (9.9 % 수용액) : 3.0 %
4. 1,3-부틸렌글리콜 : 5.0 %
5. 방부제 : 0.1 %
6.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4) : 0.25 %
7. 염화나트륨 : 0.1 %
8. 글루타민산 : 0.02 %
9.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바디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4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1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바디 샴푸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6]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6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7 ∼ 10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바디 샴푸를 조제하였다.
1. 라우로일메틸알라닌나트륨 : 13.0 %
2. 코코안호아세트산나트륨 : 5.0 %
3. 야자유 지방산칼륨 : 10.0 %
4. 야자유 지방산디에탄올아미드 : 5.0 %
5. 디스테아르산에틸렌글리콜 : 2.0 %
6. 방부제 : 0.15 %
7.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5) : 0.25 %
8. 염화나트륨 : 0.1 %
9. N-아세틸-L글루타민산 : 0.02 %
10.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바디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5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6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바디 샴푸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7]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3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고 8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4 ∼ 13 을 미리 균일하게 혼합한 것을 서서히 첨가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한다. 계속해서, 교반하면서 30 ℃ 까지 냉각시켜, 바디 샴푸를 조제하였다.
1. 미리스트산트리에탄올아민 : 10.0 %
2. 라우르산칼륨 : 15.0 %
3. 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실록산·디메틸실록산 공중합체 : 2.0 %
4. 벤토나이트 : 1.0 %
5. 글리세린 : 5.0 %
6. 프로필렌글리콜 : 5.0 %
7.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 0.3 %
8.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1) : 0.3 %
9. 수산화나트륨 : 0.1 %
10. 염화나트륨 : 0.4 %
11. 글리신 : 0.5 %
12. 방부제 : 0.1 %
13.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바디 샴푸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1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4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바디 샴푸는,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실시예 38]
이하에 나타낸 성분 1 ∼ 3 을 각각의 비율로 혼합하여 균일해질 때까지 교반하고, 성분 4 를 첨가한 후, 성분 5 를 첨가하여 교반하고, 40 ℃ 로 가온시킨다. 추가로, 성분 6 을 첨가하여 교반하고, 겔 형상으로 하여 헤어 세팅 젤을 조제하였다.
1. 정제수 : 합계로 100 % 가 되는 비율
2. 글리세린 : 4.0 %
3. 방부제 : 0.15 %
4.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실시예 6) : 1.0 %
5. 수산화나트륨 : 0.4 %
6. 폴리쿼터늄 11 (50 % 에탄올 용액) : 6.0 %
상기 처방에 의해 조제한 헤어 세팅 젤은,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우수하였다. 이에 반하여, 실시예 6 의 공중합체 대신에 비교예 6 의 공중합체를 배합한 헤어 세팅 젤은, 공중합체의 응집에 의해 사용감이 나빠지고, 화장 지속, 시간 경과적 안정성도 불충분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8 에서 얻어진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사용한 화장료는,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고 있었다. 또한, 전해질 등을 배합한 화장료 등에 있어서도 동일한 특성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의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우수한 특성을 갖는 증점제로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끈적거림이 없는 신선한 사용감을 갖는, 화장수, 유액, 미용액, 크림, 크림 팩,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젤, 세안 폼, 선 크림, 스타일링 젤,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스틱, 파운데이션, 투명 샴푸, 펄 샴푸, 바디 샴푸, 헤어 세팅 젤 등의 각종 화장료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메트)아크릴산 95.42 ∼ 97.48 질량%, 알킬기의 탄소수가 18 ∼ 24 인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2.43 ∼ 4.30 질량%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 0.08 ∼ 0.30 질량% 를 구성 성분으로 하는 하기 1) 및 2)의 특성을 갖는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로서,
    상기 (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은 적어도 (메트)아크릴산베헤닐을 50 질량% 이상 함유하는 것인,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1) 당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가 40000 mPa·s 이상이고, 25 ℃ 에서의 점도와 50 ℃ 에서의 점도의 비가 1 : 0.8 ∼ 1 : 1.2 이다.
    2) 당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1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와, 당해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1 질량% 또한 염화나트륨을 0.5 질량% 함유하는 중화 점조 수용액의 25 ℃ 에서의 점도의 비가 1 : 0.75 ∼ 1 : 1.25 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2 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 펜타에리트리톨알릴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알릴에테르 및 폴리알릴사카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인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3. 제 1 항에 기재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배합한 화장료.
  4.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로 전해질을 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5. 제 1 항에 기재된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증점제.
  6. 삭제
KR1020107016088A 2007-12-28 2008-12-19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KR1015391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40497 2007-12-28
JPJP-P-2007-340497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528A KR20100113528A (ko) 2010-10-21
KR101539128B1 true KR101539128B1 (ko) 2015-07-23

Family

ID=40824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6088A KR101539128B1 (ko) 2007-12-28 2008-12-19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217127B2 (ko)
EP (1) EP2226339B1 (ko)
JP (1) JP5528118B2 (ko)
KR (1) KR101539128B1 (ko)
CN (1) CN101910222B (ko)
CA (1) CA2709528C (ko)
HK (1) HK1151307A1 (ko)
TW (1) TWI410254B (ko)
WO (1) WO20090844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5008A (ja) * 2008-03-27 2009-10-15 Kose Corp 皮膚外用剤
JP5539769B2 (ja) * 2010-03-29 2014-07-02 株式会社コーセー 含水ゲルシート
JP2011213676A (ja) * 2010-03-31 2011-10-27 Kose Corp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5604161B2 (ja) * 2010-04-12 2014-10-08 株式会社ファンケル 日焼け止め化粧料
JP2012144466A (ja) * 2011-01-11 2012-08-02 Mikimoto Pharmaceut Co Ltd エマルジョン
IN2015DN00698A (ko) * 2012-07-05 2015-06-26 Sumitomo Seika Chemicals
CN104470987B (zh) * 2012-08-03 2016-07-20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组合物
US20140161755A1 (en) * 2012-12-10 2014-06-12 L'oreal Clear cleansing composition
JP6280740B2 (ja) * 2013-12-27 2018-02-14 花王株式会社 毛髪化粧料
JP6999416B2 (ja) 2015-07-09 2022-02-04 住友精化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正極用バインダー
EP3437630B1 (en) * 2016-03-31 2020-11-11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Gel composition, cosmetic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gel composition
US10973750B2 (en) 2016-03-31 2021-04-13 Fujifilm Wako Pure Chemical Corporation Copolymer, thickening agent containing said copolymer, and cosmetic preparation in which said copolymer is blended
KR102343732B1 (ko) 2016-03-31 2021-12-27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젤 조성물, 화장료, 및 젤 조성물의 제조방법
JP6309595B1 (ja) * 2016-11-09 2018-04-11 株式会社 資生堂 ジェル状毛髪用組成物
EP3932980A4 (en) * 2019-03-01 2023-01-18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VISCOUS COMPOSITION
US20220056256A1 (en) * 2019-03-01 2022-02-24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Viscous composition
CN113508158B (zh) * 2019-03-01 2023-07-04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组合物
WO2021200136A1 (ja) * 2020-03-31 2021-10-07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組成物
WO2023026766A1 (ja) * 2021-08-26 2023-03-02 住友精化株式会社 粘性組成物
WO2023171609A1 (ja) * 2022-03-07 2023-09-14 住友精化株式会社 (メタ)アクリル酸/(メタ)アクリル酸アルキルエステル架橋共重合体及びその用途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107A (ja) * 1983-06-13 1984-12-26 ザ・ビ−・エフ・グツドリツチ・カンパニ− ポリマ−及び該ポリマ−を含むプリントペ−スト組成物
US5004598A (en) * 1986-11-10 1991-04-02 The B. F. Goodrich Company Stable and quick-breaking topical skin compositions
JPH0439312A (ja) * 1990-06-06 1992-02-10 Showa Denko Kk 架橋型アクリル酸系ポリマー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H09291105A (ja) * 1996-01-08 1997-11-11 Basf Ag 水不溶性ポリマーの製造法およびポリマー分散液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351A (en) 1974-07-02 1976-02-24 The B. F. Goodrich Company Polymerization of carboxylic acid monomers and alkyl acrylate esters in chlorofluoroethane
CH606154A5 (ko) * 1974-07-02 1978-11-15 Goodrich Co B F
JPH1053625A (ja) 1996-06-05 1998-02-24 Shiseido Co Ltd アクリル酸系ポリマー及びこれを配合した乳化組成物
US5736125A (en) 1997-01-10 1998-04-07 National Starch And Chemical Investment Holding Corporation Compositions containing copolymers as a thickening agent
FR2780884B1 (fr) 1998-07-08 2002-07-19 Oreal Procede de photostabilisation de filtres solaires derives du dibenzoylmethane, compositions cosmetiques filtrantes photostabilisees ainsi obtenues et leurs utilisations
FR2783159B1 (fr) 1998-09-16 2000-11-17 Oreal Emulsion comprenant un compose epaississant hydrophile et un copolymere epaississant, compositions comprenant ladite emulsion, et utilisations
US7101928B1 (en) 1999-09-17 2006-09-05 Landec Corporation Polymeric thickeners for oil-containing compositions
JP4219857B2 (ja) 2004-06-08 2009-02-04 株式会社資生堂 まつ毛用化粧料
DE602005001295T2 (de) 2004-06-08 2008-01-31 Shiseido Co. Ltd. Kosmetische Zusammensetzung enthaltend ein spezifisches Terpolymer
JP4759236B2 (ja) * 2004-07-28 2011-08-31 住友精化株式会社 カルボキシル基含有水溶性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32107A (ja) * 1983-06-13 1984-12-26 ザ・ビ−・エフ・グツドリツチ・カンパニ− ポリマ−及び該ポリマ−を含むプリントペ−スト組成物
US5004598A (en) * 1986-11-10 1991-04-02 The B. F. Goodrich Company Stable and quick-breaking topical skin compositions
JPH0439312A (ja) * 1990-06-06 1992-02-10 Showa Denko Kk 架橋型アクリル酸系ポリマー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料
JPH09291105A (ja) * 1996-01-08 1997-11-11 Basf Ag 水不溶性ポリマーの製造法およびポリマー分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10254B (zh) 2013-10-01
JP5528118B2 (ja) 2014-06-25
CN101910222B (zh) 2014-10-29
HK1151307A1 (en) 2012-01-27
EP2226339A4 (en) 2011-02-16
JPWO2009084469A1 (ja) 2011-05-19
EP2226339B1 (en) 2014-03-26
CA2709528A1 (en) 2009-07-02
US20100267845A1 (en) 2010-10-21
CN101910222A (zh) 2010-12-08
US8217127B2 (en) 2012-07-10
KR20100113528A (ko) 2010-10-21
WO2009084469A1 (ja) 2009-07-09
CA2709528C (en) 2014-11-25
EP2226339A1 (en) 2010-09-08
TW200940104A (en)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128B1 (ko) (메트)아크릴산/(메트)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공중합체 및, 그것을 배합한 화장료
US8309667B2 (en) Water-soluble copolymer having alkyl-modified carboxyl groups
KR101293347B1 (ko) 알킬 변성 카복실기 함유 수용성 공중합체
US20030083388A1 (en) Heat-induced gelling foaming composition and foam obtained
JP4732674B2 (ja) 特に化粧品用途の、水溶性単位とlcstを有する単位とを含むポリマーを含む起泡性エマルション及び起泡性組成物
JP2011213676A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JP6885396B2 (ja) 共重合体、該共重合体を含有する増粘剤および該共重合体を配合した化粧料
JP2009286748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EP3448528B1 (en) Crosslinked polyorganosiloxane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2000086439A (ja) ジェル状化粧料
JP3996303B2 (ja) マクロモノマー
US20230172817A1 (en) O/w emulsion and w/o emulsion inverted therefrom, and personal care composition containing same
JP2000016914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