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86B1 -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 Google Patents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86B1
KR101539086B1 KR1020130149109A KR20130149109A KR101539086B1 KR 101539086 B1 KR101539086 B1 KR 101539086B1 KR 1020130149109 A KR1020130149109 A KR 1020130149109A KR 20130149109 A KR20130149109 A KR 20130149109A KR 101539086 B1 KR101539086 B1 KR 101539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lock
coating
slope
bloc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9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9822A (ko
Inventor
이종인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49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86B1/ko
Publication of KR2013013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 방조제, 제방 또는 댐(dam) 등 각종 수공(水工)구조물의 건설에 있어서 호안(護岸), 방파(防波) 및 세굴(洗掘)방지 목적으로 적용되는 피복블록(10)에 관한 것으로, 기립상태의 판체 다수가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형태 및 규격의 피복블록(10) 다수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면서 인접한 피복블록(10)이 상호 결속됨으로써, 견고하고 긴밀한 구조의 피복체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상호 결속되는 동일한 형태의 블록만으로도 긴밀하고 견고한 구조의 피복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체 수공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고, 방파 또는 세굴방지 등 해당 수공구조물의 성능을 제고함과 동시에,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THREE PRONGED BLOCK FOR HYDRAULIC STRUCTURES AND SHORE PROTE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파제, 방조제, 제방 또는 댐(dam) 등 각종 수공(水工)구조물의 건설에 있어서 호안(護岸), 방파(防波) 및 세굴(洗掘)방지 목적으로 적용되는 피복블록(10)에 관한 것으로, 기립상태의 판체 다수가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된 구조를 가지며, 동일한 형태 및 규격의 피복블록(10) 다수가 규칙적으로 배치되면서 인접한 피복블록(10)이 상호 결속됨으로써, 견고하고 긴밀한 구조의 피복체가 구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수공구조물용 블록은 방파제, 방조제 또는 댐 사면에 설치되어 호안 및 소파(消波)기능을 수행하거나, 교량의 교대 및 교각 주변 등에 설치되어 세굴방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recast concrete)로 제작된다.
수공구조물용 블록은 여타의 불록과 달리 파랑 또는 하천 유수에 의한 외력이 지속적으로 작용하는 바, 단순 배열 또는 조적 방식으로 설치되기 보다는 인접한 블록간 상호 결속이 가능하도록 제작 및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수공구조물용 블록 관련 종래기술로는 특허 제1257870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1257870호를 비롯한 종래의 결속식 수공구조물용 블록은 블록의 외곽에 이형부(異形部)를 형성하여 인접한 블록이 치합(齒合)되도록 하거나, 블록의 측면에 삽입형 결합부를 형성하여 인접한 블록이 결합되도록 하거나, 클램퍼(clamper)나 후크(hook) 등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인접한 블록을 연결하거나, 또는 이들 방식을 병용하여 인접한 블록간 상호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블록의 외곽부 치합 방식은 블록의 제작 편의성 및 시공 편의성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인접한 블록간 상호 결속력 확보에는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대형 파랑의 내습 및 급격한 수위변화, 홍수로 인한 하천 유량 및 유속의 급격한 변화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블록간 결속력 부족으로 인하여 전체 피복 구조체가 단일 구조물로서 거동하지 못하고 개별 블록이 독립적으로 외력에 저항하여야 하는 바, 피복 구조체의 전체 규모에 비하여 충분한 피복성능이 발현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삽입형 결합부가 적용되는 블록의 경우, 인접한 블록간 결속력 확보에 있어서는 비교적 유리하나, 복잡한 형태의 블록이 요구될 뿐 아니라 피복 구조체를 구축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블록이 요구될 수 있는 바, 그에 따라 블록의 제작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블록의 시공에 있어서도 육중한 블록을 정밀하게 이동하여야 하는 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제작 및 시공상의 문제점은 통상 수공구조물용 블록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됨을 고려할 때, 복잡한 구조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용 몰드(mold)를 블록의 형태별로 다수 제작하여야 하므로 전체 공사비가 증액되는 문제점을 야기하며, 시공시 인접한 블록을 결합하는 과정에 있어서도 블록간 측방결합을 수행하기 위하여 육중한 블록을 지면에 근접 내지 접촉된 상태에서 정밀하게 이동하여야 하므로, 고출력 및 정밀 조종이 가능한 고가의 장비 투입이 필요할 뿐 아니라, 시공 지점의 사전 정지 작업에 있어서도 고도의 정밀도를 요구하게 되는 바, 장기간의 공기 및 막대한 공사비가 소요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클램퍼(clamper)나 후크(hook) 등 별도의 체결수단을 적용하는 경우, 이들 체결수단으로서 금속제 기구가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바, 체결수단의 부식으로 인하여 피복 구조체의 내구성 확보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설령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하여도 체결수단의 적용으로 인한 자재비용 증가 등 공사비의 증액이 불가피할 뿐 아니라, 전술한 시공상의 애로점 또한 극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인접한 블록이 상호 결속되는 수공구조물용 피복블록(10)에 있어서, 기립(起立)상태의 판체인 전판(11), 측판(13) 및 중판(14)이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되어 피복블록(10)이 구성되되, 전판(11)의 전면(前面) 중심부에는 돌출판(12)이 돌출 형성되고, 전판(11)의 배면 양단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측판(13)이 각각 접합되며, 전판(11)의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측판(13)과 동일한 길이의 중판(14)이 접합되고, 상기 돌출판(12), 측판(13) 및 중판(14)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의 내부면간 거리는 상기 측판(13)의 두께와 동일하고, 다수의 피복블록(10)이 결속됨에 있어서,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인접한 피복블록(10)이 배치되되,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이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이다.
또는 상기, 피복블록(10)의 측판(13) 및 중판(14)에는 개구부(15)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13)과 중판(14)의 단부(端部)에는 개구부(15)와 피복블록(10) 외부를 연통하는 통수공(16)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이자, 상기 피복블록(10)의 측판(13) 및 중판(14)에는 개구부(15)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13)과 중판(14)의 표면에는 개구부(15)와 피복블록(10) 외부를 연통하는 연결홈(17)이 요입(凹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이다.
또한, 상기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을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에 있어서, 기립(起立)상태의 판체인 경사판(21), 외판(23) 및 내판(24)이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되되,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판(21)의 전면(前面) 중심부에는 돌출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전판(11)의 배면 양단에는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외판(23)이 각각 접합되며, 경사판(21)의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외판(23)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말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내판(24)이 접합되고,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의 내부면간 거리는 상기 외판(23)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된 지지블록(20)을 피복계획 사면의 하단에 다수 배열하여 설치하되, 인접한 지지블록(20)의 돌출부(22)가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일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을 타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에 결합하는 단계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단부에 상호 결속된 다수의 피복블록(10)을 설치하되 다수의 피복블록(10)을 결속함에 있어서,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인접한 피복블록(10)을 배치하고,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을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하며,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전판(11) 표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경사판(21) 경사면에 밀착하고,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돌출부(22) 선단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내판(24)의 경사면에 밀착하며,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중판(14) 말단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돌출부(22) 선단면에 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을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상호 결속되는 동일한 형태의 블록만으로도 긴밀하고 견고한 구조의 피복체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구축할 수 있으며, 이로써 전체 수공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고, 방파 또는 세굴방지 등 해당 수공구조물의 성능을 제고함과 동시에, 공기를 단축하고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배치되는 블록을 결속하는 별도의 체결 부품 없이도, 특유의 삼지형 구조를 통한 긴밀하고 견고한 블록간 상호 결속이 가능하며, 측면에 인접한 블록의 배치 방향을 교대로 변경하면서 안정적인 결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상하로 인접한 단(段)의 블록간에도 긴밀한 결속이 가능하여, 다양한 방향에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효과적인 대처가 가능하다.
또한, 동일한 형태 및 규격의 블록만으로도 전술한 안정적이고 견고한 피복체의 구축이 가능하므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 기성품으로 제작시 블록의 규격화 및 공정관리가 용이하고 제작 비용을 획기적으로 감축할 수 있어, 전체 공사비를 절감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면 피복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사면 피복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 피복블록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피복블록의 부분절단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지지블록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피복블록 및 지지블록 결합방식 설명도
도 7은 통수공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설명도
도 8은 연결홈이 적용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설명도
도 9는 도 8 실시예의 설치상태 평단면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사면 피복체를 예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사면 피복체는 상호 결속된 다수의 피복블록(10)과 역시 상호 결속된 다수의 지지블록(20)으로 구성된다.
즉, 도 1의 피복체가 방파제, 방조제 또는 하천 제방 등의 사면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도 2에서와 같이, 다수의 피복블록(10)이 평면상 인접한 피복블록(10)간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결속되어 사면에 설치되고, 사면의 하단에는 지지블록(20)이 배열되어 사면 피복체를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피복블록(10)은 도 3에서와 같이, 기립(起立)상태의 판체인 전판(11), 측판(13) 및 중판(14)이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되어 구성되는데, 전판(11)의 전면(前面) 중심부에는 돌출판(12)이 돌출 형성되고, 전판(11)의 배면 양단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측판(13)이 각각 접합되며, 전판(11)의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측판(13)과 동일한 길이의 중판(14)이 접합된다.
또한, 본 발명 피복블록(10)의 돌출판(12), 측판(13) 및 중판(14)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의 내부면간 거리는 상기 측판(13) 및 중판(14)의 두께와 동일하도록 구성되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독특한 구조의 인접 피복블록(10)간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한쌍의 피복블록(10)이 상호 결속되는 상태를 상정한 도 3에서와 같이,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인접한 피복블록(10)을 배치하되,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을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피복블록(10)간 결속을 수행하게 되고,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이러한 인접 피복블록(10)간 결속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피복체의 1열 또는 1단을 형성하게 되며, 그 위에 동일한 방식으로 피복블록(10) 결속체를 배열하여 피복면을 순차적으로 확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도 1 및 도 2 상부에 도시된 평면도에서와 같이, 상, 하로 인접한 피복블록(10)에서는 피복블록(10)의 전판(11) 표면이 상호 밀착됨과 동시에, 하부 피복블록(10) 열(列)의 전판(11)간 이격부에 상부 피복블록(10) 열의 돌출판(12)이 결합되고, 상부 피복블록(10) 열의 전판(11)간 이격부에는 하부 피복블록(10) 열의 돌출판(12)이 결합되는 긴밀한 결합구조가 형성되어, 피복블록(10)간 견고한 측방 결속 뿐 아니라 견고한 상, 하 결속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다.
한편, 상, 하 피복블록(10)간 긴밀한 결속을 위하여, 전판(11)의 두께와 돌출판(12)의 길이를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피복체의 상, 하열을 형성하는 피복블록(10)간 결합부의 불요(不要) 유격(裕隔)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복블록(10)의 측판(13) 및 중판(14) 또는 전판(11)에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개구부(15)를 절개 형성하여 피복블록(10)을 방파제 또는 방조제 등 해양 수공구조물에 적용할 경우 개구부(15)가 소파(消波)용 유수실(遊水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구부(15)는 본 발명 피복블록(10)이 하천 및 호소용 수공구조물에 적용될 경우, 개구부(15)에 토사를 충전하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피복블록(10)의 중량은 필요시 증대할 수 있도록 하되 콘크리트 등 자재는 절감할 수 있도록 활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 피복블록(10)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평면상 삼지형의 구조를 가지며,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측방으로 인접한 피복블록(10)은 평면상 180도 회전되어 각 피복블록(10)의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즉, 일측 피복블록(10)의 돌출판(12)이 외해 또는 하천쪽을 향하면 타측 피복블록(10)의 돌출판(12)은 육상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이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되는 방식으로 결속되는 바, 피복블록(10)간 연결부위가 블록의 외곽부에 편중되는 것이 아니라 피복블록(10) 내부를 종횡하면서 형성될 뿐 아니라, 피복블록(10)간 결속부위에 충분한 접촉면적이 확보되므로, 종래 수공구조물용 블록에 비하여 월등한 블록간 결속력이 발현되고, 따라서 전체 피복체가 단일 구조물과 유사하게 거동하게 되므로, 하천 호안 구조물에 적용시 호안성능 및 내구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특히 방파제용 피복 구조물에 적용시 상대적으로 소형의 피복블록(10)을 적용하여도 대형 블록에 육박하는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복블록(10)은 방파제, 방조제 또는 제방 등 수변부 사면이 형성되는 구조물에 주로 적용되는 바, 평지가 아닌 경사면에 설치되며, 따라서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해당 사면의 하단부에 피복블록(10)이 결속되어 구축되는 피복체의 활동(sliding)을 억제하는 지지블록(20)을 설치함으로써, 일층 안정적인 피복체를 구축할 수 있다.
지지블록(20)은 도 2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양단에 계획 사면과 직교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기본 형태를 가지게 되며, 지지블록(20)에도 도 5에서와 같이 삼지형 구조가 적용되어 인접 지지블록(20)간 견고한 결속이 가능할 뿐 아니라,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블록(20)과 피복블록(10)간에도 견고한 결속구조가 수립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지지블록(20)은 기립(起立)상태의 판체인 경사판(21), 외판(23) 및 내판(24)이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되되,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판(21)의 전면(前面) 중심부에는 돌출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전판(11)의 배면 양단에는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외판(23)이 각각 접합되며, 경사판(21)의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외판(23)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말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내판(24)이 접합되어 구성된다.
또한, 지지블록(20)에 있어서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의 내부면간 거리는 상기 외판(23) 및 내판(24)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경사판(21)의 전면(前面)과 내판(24)의 말단에는 각각 경사면이 형성되되, 이들 경사판(21) 전면의 경사면과 내판(24) 말단의 경사면은 수직 대칭을 이루어, 도 2에서와 같이, 방파제 또는 제방 등 본 구조물의 횡단상 사면 하단부에 상협하광(上狹下廣)의 안정적인 제형(梯形) 지지체를 형성하게 된다.
제형 지지체를 결속 구축함에 있어서는 한쌍의 지지블록(20)이 상호 결속되는 상태를 상정한 도 5에서와 같이, 인접한 지지블록(20)의 돌출부(22)가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일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을 타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에 결합함으로써, 지지블록(20)간 긴밀하고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피복블록(10)과 지지블록(20)을 활용하여 사면을 피복하는 피복공법의 수행이 가능한데, 본 발명의 사면 피복공법은 우선 사면 하단부에 다수의 지지블록(20)을 상호 결속하여 배열한 후, 지지블록(20)에 피복블록(10)을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피복체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즉, 본 발명의 사면 피복공법은 지지블록(20)을 피복계획 사면의 하단에 다수 배열하여 설치하되, 인접한 지지블록(20)의 돌출부(22)가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일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을 타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에 결합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지지블록(20)간 결합을 반복하여 피복 계획 사면의 하단에 지지블록(20) 배열을 완료한 후,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단부에 상호 결속된 다수의 피복블록(10)을 설치하되 다수의 피복블록(10)을 결속함에 있어서,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인접한 피복블록(10)을 배치하고,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을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하며,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전판(11) 표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경사판(21) 경사면에 밀착하고,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돌출부(22) 선단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내판(24)의 경사면에 밀착하며,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중판(14) 말단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돌출부(22) 선단면에 밀착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이후, 이러한 피복블록(10)의 상호 결속을 열(列)별 또는 층별로 반복함으로써, 피복 면적이 첨차 확대되며, 결국 도 2에서와 같은 구조의 피복체가 완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피복블록(10)에는 다수의 개구부(15)가 형성되어 방파제 등 해양 수공구조물에 적용시 개구부(15)가 소파(消波)용 유수실(遊水室)로서 거동하게 되는데, 그 구체적인 실시예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7은 개구부(15) 내부 공간과 피복블록(10) 외부을 연결하는 통수공(16)이 천공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판(13) 및 중판(14) 뿐 아니라, 전판(11)에도 개구부(15)가 형성되었으며, 개구부(15) 상단을 관통하는 통수공(16)이 형성된다.
즉,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소파형 피복블록(10)은 측판(13) 및 중판(14)에 개구부(15)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13)과 중판(14)의 단부(端部)에는 개구부(15)와 피복블록(10) 외부를 연통하는 통수공(16)이 천공되어, 도 7의 하부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되며, 동 도면에서와 같이 통수공(16)을 통하여 개구부(15)로 입사된 파랑은 일종의 유수실 역할을 수행하는 개구부(15) 내에서 반복 반사 내지 유동되면서 상쇄간섭되어 그 에너지가 감세된다.
도 8은 피복블록(10)의 측판(13) 및 중판(14)에는 개구부(15)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13)과 중판(14)의 표면에는 개구부(15)와 피복블록(10) 외부를 연통하는 연결홈(17)이 요입(凹入)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도 7의 실시예에서와 달리 피복블록(10)을 직접 관통하는 통수공(16)을 형성하는 대신, 표면에 연결홈(17)을 형성함으로써, 피복블록(10)의 구조적 강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피복블록(10)을 제작할 시 통수공(16)을 형성하기 위한 매입물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피복블록(10)을 제작함에 있어서, 피복블록(10)을 완전 관통하는 통수공(1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몰드(mold)내 해당 부위에 관체형(管體形) 매입물을 정위치에 사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고도의 공정관리가 수반될 뿐 아니라, 매입물 등 추가 자재가 소요되므로, 피복블록(10) 제작비용의 상승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바, 이에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통수공(16)대신 연결홈(17)을 형성함으로써, 피복블록(10)의 구조적 안정성과 제작 편의성을 일거에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측판(13) 및 중판(14) 뿐 아니라, 전판(11)에도 개구부(15)가 형성되었으며, 개구부(15) 상단부의 측판(13) 및 중판(14) 표면에는 연결홈(17)이 형성되고, 전판(11)의 양측 단부 및 측판(13)의 말단면에는 입상홈(18)이 요입(凹入) 형성된다.
도 9는 도 8 실시예의 피복블록(10)을 결속 설치하여 구축한 피복체의 평단면을 도시한 것으로, 동 도면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피복블록(10)의 결속시 인접한 연결홈(17)이 서로 부분 중첩되면서, S자 형태의 통수구가 형성되며, 전판(11)의 양측 단부 및 측판(13)의 말단면에 각각 형성된 입상홈(18)에 의하여 전판(11)에 형성된 개구부(15) 양측에도 통수구가 형성되어, 피복블록(10) 외부와 개구부(15) 내부간 원활한 해수 유통 및 이를 통한 소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10 : 피복블록
11 : 전판
12 : 돌출판
13 : 측판
14 : 중판
15 : 개구부
16 : 통수공
17 : 연결홈
18 : 입상홈
20 : 지지블록
21 : 경사판
22 : 돌출부
23 : 외판
24 : 내판

Claims (4)

  1. 인접한 블록이 상호 결속되는 수공구조물용 피복블록(10)에 있어서,
    기립(起立)상태의 판체인 전판(11), 측판(13) 및 중판(14)이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되어 피복블록(10)이 구성되되,
    전판(11)의 전면(前面) 중심부에는 돌출판(12)이 돌출 형성되고;
    전판(11)의 배면 양단에는 동일한 길이를 가지는 측판(13)이 각각 접합되며;
    전판(11)의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측판(13)과 동일한 길이의 중판(14)이 접합되고;
    상기 돌출판(12), 측판(13) 및 중판(14)은 모두 동일한 두께를 가지며;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의 내부면간 거리는 상기 측판(13)의 두께와 동일하고;
    다수의 피복블록(10)이 결속됨에 있어서,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인접한 피복블록(10)이 배치되되,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이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2.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복블록(10)의 측판(13) 및 중판(14)에는 개구부(15)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13)과 중판(14)의 단부(端部)에는 개구부(15)와 피복블록(10) 외부를 연통하는 통수공(16)이 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3. 청구항 1에 있어서, 피복블록(10)의 측판(13) 및 중판(14)에는 개구부(15)가 절개 형성되고;
    상기 측판(13)과 중판(14)의 표면에는 개구부(15)와 피복블록(10) 외부를 연통하는 연결홈(17)이 요입(凹入)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을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에 있어서,
    기립(起立)상태의 판체인 경사판(21), 외판(23) 및 내판(24)이 평면상 삼지형(三枝形)으로 접합되되, 경사면이 형성된 경사판(21)의 전면(前面) 중심부에는 돌출부(22)가 돌출 형성되고, 전판(11)의 배면 양단에는 동일한 길이와 두께를 가지는 외판(23)이 각각 접합되며, 경사판(21)의 배면 중심부에는 상기 외판(23)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고 말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된 내판(24)이 접합되고,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의 내부면간 거리는 상기 외판(23)의 두께와 동일하게 구성된 지지블록(20)을 피복계획 사면의 하단에 다수 배열하여 설치하되, 인접한 지지블록(20)의 돌출부(22)가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배치하고, 일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을 타측 지지블록(20)의 외판(23)과 내판(24)간 이격부에 결합하는 단계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단부에 상호 결속된 다수의 피복블록(10)을 설치하되 다수의 피복블록(10)을 결속함에 있어서, 돌출판(12)이 서로 반대쪽을 향하도록 인접한 피복블록(10)을 배치하고, 일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을 타측 피복블록(10)의 측판(13)과 중판(14)간 이격부에 결합하며,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전판(11) 표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경사판(21) 경사면에 밀착하고,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돌출부(22) 선단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내판(24)의 경사면에 밀착하며, 사면 하단 피복블록(10)의 중판(14) 말단면은 지지블록(20)의 사면측 돌출부(22) 선단면에 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을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KR1020130149109A 2013-12-03 2013-12-03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KR101539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09A KR101539086B1 (ko) 2013-12-03 2013-12-03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9109A KR101539086B1 (ko) 2013-12-03 2013-12-03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822A KR20130139822A (ko) 2013-12-23
KR101539086B1 true KR101539086B1 (ko) 2015-07-23

Family

ID=49984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9109A KR101539086B1 (ko) 2013-12-03 2013-12-03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9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51B1 (ko) * 2020-05-04 2021-03-17 주식회사 무성건설 방파제용 조립식 피복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41B2 (ja) * 1989-10-14 1995-01-30 株式会社ヤマウ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工法及び構築用ブロック
JPH09165726A (ja) * 1995-12-15 1997-06-24 Kumagai Gumi Co Ltd 波浪フィルタの築造方法及びフィルタセグメント
JPH10262489A (ja) * 1997-03-27 1998-10-06 Hokkaido Kaihatsukyoku Kaihatsu Doboku Kenkyusho ヤリイカ産卵礁機能付被覆ブロック
KR200238762Y1 (ko) * 2001-04-04 2001-10-11 원 회 양 방파제 및 방파호안용 소파블럭
JP7006241B2 (ja) 2017-12-20 2022-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41B2 (ja) * 1989-10-14 1995-01-30 株式会社ヤマウ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構築工法及び構築用ブロック
JPH09165726A (ja) * 1995-12-15 1997-06-24 Kumagai Gumi Co Ltd 波浪フィルタの築造方法及びフィルタセグメント
JPH10262489A (ja) * 1997-03-27 1998-10-06 Hokkaido Kaihatsukyoku Kaihatsu Doboku Kenkyusho ヤリイカ産卵礁機能付被覆ブロック
KR200238762Y1 (ko) * 2001-04-04 2001-10-11 원 회 양 방파제 및 방파호안용 소파블럭
JP7006241B2 (ja) 2017-12-20 2022-01-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822A (ko) 2013-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3500B1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101539086B1 (ko) 수공구조물용 삼지형 피복블록 및 이를 이용한 사면 피복공법
KR101394208B1 (ko) 친환경 하천 호안 및 법면 보호용 스톤네트 구조물
US20160017556A1 (en) Cost-efficient armor unit
JP5095030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法面形成方法
JP2012132153A (ja) 被覆ブロック、及び、マウンドの構築方法
KR100957217B1 (ko)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JP3465134B2 (ja) 組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土木構造物
KR20230012351A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CN208430481U (zh) 反滤层结构以及堤坝
JP6018804B2 (ja) セル本体の遮水構造
JPS6355564B2 (ko)
KR200395310Y1 (ko) 세굴 방지용 어소블록
KR102500560B1 (ko)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KR200344121Y1 (ko) 앵커 블록
JP2004176436A (ja) 河川構造物
JP2519602B2 (ja) 消波堤の構築方法
KR200356109Y1 (ko)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KR200262760Y1 (ko) 물고기 보호를 위한 호안기초 사각박스 구조
KR102280714B1 (ko)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양구조물
JP2696072B2 (ja) 護岸護床用ブロック
CN111379240B (zh) 无断流枯水期施工桩式丁坝构造及其施工方法
KR100224526B1 (ko) 수중 구조물의 기초 보호용 콘크리트 블럭과 그 축조방법
KR100475105B1 (ko)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211991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