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0560B1 -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 Google Patents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0560B1
KR102500560B1 KR1020220110649A KR20220110649A KR102500560B1 KR 102500560 B1 KR102500560 B1 KR 102500560B1 KR 1020220110649 A KR1020220110649 A KR 1020220110649A KR 20220110649 A KR20220110649 A KR 20220110649A KR 102500560 B1 KR102500560 B1 KR 102500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ydrophilic
side plates
pair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0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규
장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장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장현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이엔씨
Priority to KR1020220110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0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0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0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9Polyhedrons, tetrapods or similar bodies, whether or not threaded on st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11Hard structures, e.g. dams, dykes or breakwaters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으로서,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의 폭이 같은 사각형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기준 블록;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축소 블록; 및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확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조합하여 좌우로는 전방부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도록 연속 배치하여 호안의 선형에 맞게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는 상측으로 갈수록 뒤쪽으로 물러나는 계단식으로 적층 설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전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요철은 이웃하는 블록의 전방부 측면의 복수의 요철과 서로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호안(하안, 해안 등)의 직선 및 곡선의 다양한 형상의 잘 맞게 설치할 수 있고,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여 블록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HYDROPHILIC SHORE BLOCK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COASTAL EROSION AND SEA WAVES, HYDROPHILIC SHORE BLOCK FORMWORK, AND HYDROPHILIC SHORE BLOCK}
본 발명은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친수 호안 블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조합하여 호안의 직선 또는 곡선 선형에 맞게 배치할 수 있고, 내부공간을 이용하여 파력을 감쇄시켜 호안을 보호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친수 호안 블록에 관한 발명이다.
호수, 하천, 바다 등의 호안, 하안, 해안 등의 선형은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파도, 물의 흐름, 이동하는 선박에 의한 파동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고 있다.
따라서 호안(하안, 해안 등)을 보호하고 수변 공간을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호안의 선형에 맞게 블록을 설치하고, 동시에 파력을 적절히 감쇄하여 호안을 보호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다양한 호안 블록이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2373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도 1a 내지 1c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상부 좌, 우에 전후로 형성되는 연설홈(11)이 구비된 다수개의 기초블록(10); 상부 좌, 우에 전후로 형성되는 고정홈(21)과, 상하로 관통되어 하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중앙 유공부(22)와, 상하로 관통되어 하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측면 유공부(23)와, 공극조정부(24)가 구비된 다수개의 기본블록(20); 하부에 공극조정부(31)가 구비된 마감블록(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청구항 1 참조)'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소파기능 향상에 의한 해안제방이나 하천제방 등의 유실방지와 선착장이나 물량장 등에서 발생하는 항주파를 최소화하여 보다 안전한 선박들의 계류가 가능하도록 소파 성능이 향상되고, 적층되는 호안블록의 상하공간 즉 내부 공극을 극대화시켜 소파 기능 향상시키도록 하는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가장 하측에 설치하는 기초블록(10)과, 중간에 설치하는 기본블록(20)과 최 상측에 설치하는 마감블록(30)을 별도로 제작하여 설치하여야 하고, 호안의 다양한 곡선 형상에 대응할 수 없으며, 블록의 형상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제작 비용과 제작 시간이 증가할 뿐 아니라, 설치 후 중간의 일부 블록이 훼손되었들 때 훼손된 블록을 교체하는 작업이 어려운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34342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도 2a, 2b 참조)'이 개시되어 있다. 이 종래기술은 '전면에 내측 방향으로 소정 깊이를 갖는 유공부(120)가 형성된 블록몸체(100), 상기 블록몸체(100) 일측에 삽입부(200), 타측에 상기 삽입부(20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복수의 상기 블록몸체(100)가 서로 이어지게 반구 형상의 돌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블록몸체(100)의 상면과 하면은 각각 평탄면(110)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부(300)의 돌출길이(D2)는 상기 삽입부(200)의 삽입깊이(D1)보다 더 돌출되어 다수의 상기 블록몸체(100)가 이형블록 없이도 연결 부분의 틈새가 존재하지 않게 해안선의 형상을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고정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청구항 1 참조)'이다.
상기 종래기술은 파랑의 에너지를 흡수하는 소파효과의 상승은 물론, 곡선의 형상을 갖는 해안선에 대응하여 별도의 이형 블록이 없이 단일블록으로도 틈새 없이 블록 간에 용이하게 회전시켜 사용함으로써, 호안구조물의 설치에 대한 작업시간의 단축과 함께 작업비용을 현저히 낮출 수 있는 호안블록을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블록의 전면이 이격 설치됨으로써, 파도가 블록 사이로 유입되고 이 유입된 수류 흐름에 의해 배면토가 유실되거나 공동화되고, 또한 블록들 상호간의 전면이 이격됨으로써 이용자의 발이 빠지는 등 이용에 많은 불편함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96237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93434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록의 형상이 단순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절약되고, 시공이 용이하며, 파손이 방지되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록의 전체적 형상이 단순함으로써, 사용 중 적층된 블록 시스템에서 훼손된 블록만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록은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호안(하안, 해안 등)의 직선 및 곡선의 다양한 형상의 잘 맞게 설치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록 전방부 측면에 전체적으로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여 인접 블록과 밀접히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블록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하고, 블록과 블록 사이로 파도의 유입을 방지하여 배면토의 유실이나 공동화를 방지할 수 있고, 블록 이용자들의 발빠짐 등이 방지되어 이용이 편리한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록 전방부에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함으로써, 호수, 하천, 해안 등에서 발생하는 파력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블록의 후방부 하측에 전단키를 구비함으로써, 계단식으로 안정되게 적층 설치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거푸집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하나의 거푸집으로 제작할 수 있는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 일례에 따른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은,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의 폭이 같은 사각형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기준 블록;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축소 블록; 및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확대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조합하여 좌우로는 전방부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도록 연속 배치하여 호안의 선형에 맞게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는 상측으로 갈수록 뒤쪽으로 물러나는 계단식으로 적층 설치하여 형성되고, 상기 블록의 전방부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요철은 이웃하는 블록의 전방부 측면의 복수의 요철과 서로 끼워져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내부공간 내부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벽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후방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전단키를 포함하고, 상기 전단키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블록의 후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은,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의 폭이 같은 사각형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기준 블록;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축소 블록; 및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확대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블록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한 후면판, 상기 하면판의 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측면판, 상기 하면판의 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은 상기 후방측면판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의 전방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은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은 중앙의 중판과 상기 중판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은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이 회전할 때 전방측면판의 전단이 접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측면블록과 상기 전면판의 후부에 구비되는 전면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블록은 상기 전방부의 측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블록은 상기 전방부의 전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볼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친수 호안 블록은, 전술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블록의 형상이 단순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제작 비용이 절약되고, 시공이 용이하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전체적 형상이 단순함으로써, 사용 중 적층된 블록 시스템에서 훼손된 블록만을 용이하게 인출하여 교체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은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포함함으로써, 호안(하안, 해안 등)의 직선 및 곡선의 다양한 형상의 잘 맞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전방부 측면에 전체적으로 복수의 요철을 구비하여 인접 블록과 밀접히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블록 상호간에 견고한 결합력을 확보하고, 블록과 블록 사이로 파도의 유입을 방지하여 배면토의 유실이나 공동화를 방지할 수 있고, 블록 이용자들의 발빠짐 등이 방지되어 이용이 편리할 수 있다.
또한, 블록 전방부에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함으로써, 호수, 하천, 해안 등에서 발생하는 파력을 효과적으로 감쇄할 수 있다.
또한, 블록의 후방부 하측에 전단키를 구비함으로써, 계단식으로 안정되게 적층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에 회전 가능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을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의 블록을 하나의 거푸집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1a 내지 2b는 종래기술의 도면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의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축소 블록의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축소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확대 블록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확대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으로 호안의 선형에 맞게 곡선 및 직선으로 배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사시도
도 7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친수 호안 블록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축소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축소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확대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확대 블록의 평면도 및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으로 호안의 선형에 맞게 곡선 및 직선으로 배치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은,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의 폭이 같은 사각형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기준 블록(10);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축소 블록(20); 및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확대 블록(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은 모두 일정한 두께(상하), 폭(가로, 좌우), 길이(세로, 전후)를 갖는 것으로 두께보다는 폭이, 폭보다는 길이가 더 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준 블록(10), 축소 블록(20) 및 확대 블록(30)을 좌우로 연결 설치함과 동시에 전후로 적층 설치하여 블록만으로 호안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기준 블록(10)은 전체적으로 육각형 형상이고,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부는 후부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전방부는 전후의 폭이 같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축소 블록(20)은 전체적으로 육각형 형상이고,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부는 후부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전방부는 전방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확대 블록(30)은 전체적으로 육각형 형상이고, 중앙을 중심으로 후방부는 후부의 폭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이고, 전방부는 전방의 폭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확대 블록(30)은 전체적으로 후부의 폭이 좁고, 전방의 폭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기준 블록(10), 축소 블록(20) 및 확대 블록(30)은 조합하여 좌우로는 전방부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서로 접하도록 연속 배치하여 호안(하안, 해안 등)의 선형에 맞게 직선 또는 곡선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전후 방향으로는 상측으로 갈수록 뒤쪽으로 물러나는 계단식으로 적층 설치할 수 있다. 블록의 전방부는 전체적으로 측면이 이웃한 블록과 밀접히 접하도록 설치되고, 후방부는 대체로 서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호안의 선형이 직선인 부분에서는, 기준 블록(10)들이 서로 접하면서 연속으로 설치될 수 있다.
호안의 선형이 전방으로 볼록한 곡선인 부분에서는, 기준 블록(10)과 확대 블록(30)을 적절히 조합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예컨데, 곡율반경이 큰 경우 확대 블록(30)에 비해 기준 블록(10)을 더 많이 설치하고, 곡율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기준 블록(10)에 비해 확대 블록(30)을 더 많이 설치하거나 확대 블록(30)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호안의 선형이 전방으로 오목한 곡선인 부분에서는, 기준 블록(10)과 축소 블록(20)을 적절히 조합하면서 설치할 수 있다. 예컨데, 곡율반경이 큰 경우 축소 블록(20)에 비해 기준 블록(10)을 더 많이 설치하고, 곡율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기준 블록(10)에 비해 축소 블록(20)을 더 많이 설치하거나 축소 블록(20)만으로 설치할 수 있다.
블록들의 후방부는 대체로 서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이 이격 설치된 후방부 사이에는 토사가 충진되고, 충진된 토사는 블록과 결합되어 블록의 구조적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기준 블록(10), 축소 블록(20) 및 확대 블록(30)은 전방부의 양 측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되는 복수의 요철에 의해 이웃하는 블록과 밀접히 접하면서 서로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파력이 블록과 블록 사이를 통해 후부로 유입되지 아니하여 배면 토사의 유실이나 공동화 등이 방지되고, 블록 상호간의 결합력이 좋아 물의 흐름, 파도 등에 대해 블록의 안정성이 우수하고, 블록 전방부의 측면이 전체적으로 서로 밀접히 접하여 블록 이용자들의 발이 빠지는 등의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블록 전방부의 요철은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블록의 양 측면에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과 잘 끼워지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후방부의 양측면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나 필요한 경우 전방부와 같이 복수의 요철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블록 후방부 측면에 형성된 요철은 블록 사이에 충진된 토사와의 결합력을 증대시켜 블록의 안정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한, 확대 블록(30)이 서로 이웃하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이웃한 블록의 후방부도 요철에 의해 상호 끼워지게 설치되어 블록 상호간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전방부는 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은 파도 등을 흡수하여 파력을 감쇄시킬 수 있다.
상기 블록의 내부공간 내부에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벽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벽체는 블록 전방부의 상하 플렌지를 상호 결합하여 블록의 구조적 강성을 증대시키고, 동시에 내부공간을 적절히 구획함으로서, 유입된 파도가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파력의 감쇄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벽체는 상하 플렌지의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거나, 또는 내부 일부에만 설치될 수 있다. 벽체가 전방 단부까지 연장되지 아니하고 내부에만 설치되는 경우 파도의 흡수 효율이 증가하고, 결과적으로 월파방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블록의 후방부 하면에 하측으로 돌출된 전단키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키는 그 하측에 설치되는 블록의 후단에 걸리게 함으로써, 계단식으로 설치된 블록의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전단키는 횡방향으로 직선,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길이가 짧은 직선, 곡선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에 대해 설명한다. 블록에 대해서는 전술한 예가 참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예와 동일한 경우에는 기재가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은,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의 폭이 같은 사각형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기준 블록(10);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축소 블록(20); 및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확대 블록(30);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은 블록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면판(42), 상기 하면판(4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한 후면판(44), 상기 하면판(42)의 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측면판(45), 상기 하면판(42)의 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47), 및 상기 하면판(42)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판(4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면판(42)은 사각형 또는 상기 블록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면판(42)에는 전술한 전단키를 형성하기 위한 요부가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후면판(44)은 하면판(42)의 후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나,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측면판(45)은 하면판(42)의 후방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측면판(45)은 상기 후면판(44)의 양측에 결합되고 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측면판(45)은 전방의 폭이 넓게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은 하면판(42)의 전방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은 상기 후방측면판(45)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다. 전방측면판(47)은 후방측면판(45)의 전단에 힌지로 결합되거나, 굽힙이 가능한 부재로 결합될 수 있다. 힌지로 결합되는 경우 힌지쪽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지 않도록 합성수지, 실리콘 등의 재질이 힌지를 덮는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은 전방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기준 블록(10), 축소 블록(20) 및 확대 블록(30)을 모두 제작할 수 있다. 즉, 하나의 거푸집으로 모든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은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의 요철은 양측이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의 복수의 요철에 끼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요철은 곡선(물결) 형상이거나, 사다리꼴 형상이거나, 삼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후방측면판(45)도 필요한 경우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후방측면판(45)의 요철은 서로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웃한 블록의 복수의 요철에 끼워지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48)은 중앙의 중판과 상기 중판의 양측에 연장 구비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할 수 있다. 중판은 직선 또는 곡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판은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이 회전할 때 전방측면판(47)의 전단이 밀접하게 접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방측면판(47)의 회전은 내측으로 6도, 외측으로 6도 정도 회전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측판의 곡선 형상은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다.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의 내측에 구비되는 측면블록(472)과 상기 전면판(48)의 후부에 구비되는 전면블록(48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블록(472)은 상기 전방부의 측면에 전방 및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블록(482)은 상기 전방부의 전면에 전방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친수 호안 블록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친수 호안 블록은 전술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 즉, 블록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면판(42), 상기 하면판(42)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한 후면판(44), 상기 하면판(42)의 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측면판(45), 상기 하면판(42)의 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47), 및 상기 하면판(42)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판(48)을 포함하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적절히 경화한 후 탈형하여 블록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47)의 각도를 조정하여 기준 블록(10), 축소 블록(20) 및 확대 블록(30)을 제작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상면판을 더 포함하고, 상면판은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의 상측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블록은 콘크리트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에는 필요한 경우 철근, 철선, 철근망, 섬유, 혼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강성, 내구성 등이 추가 필요한 경우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기준 블록
20: 축소 블록
30: 확대 블록
12, 22, 32: 후방부
14, 24, 34: 전방부
15, 25, 35: 벽체
17, 27, 37: 전단키
42: 하면판
44: 후면판
45: 후방측면판
47: 전방측면판
472: 측면블록
48: 전면판
482: 전면블록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후의 폭이 같은 사각형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기준 블록;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축소 블록; 및 후방이 좁은 사다리꼴 형상의 후방부와, 상기 후방부의 전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전방이 넓은 사다리꼴 형상의 전방부를 포함하는 확대 블록;을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블록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하면판, 상기 하면판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후면을 형성하기 위한 후면판, 상기 하면판의 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후방측면판, 상기 하면판의 전방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양 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방측면판, 및 상기 하면판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의 전면을 형성하기 위한 전면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은 상기 후방측면판의 전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의 전방의 폭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기준 블록, 축소 블록 및 확대 블록을 제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은 복수의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은 중앙의 중판과 상기 중판의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판은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이 회전할 때 전방측면판의 전단이 접하도록 호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방측면판의 내측에 구비되는 측면블록과 상기 전면판의 후부에 구비되는 전면블록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면블록은 상기 전방부의 측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전면블록은 상기 전방부의 전면에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9. 청구항 5 내지 8 중 어느 한 항의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에 의해 제작된 친수 호안 블록.
KR1020220110649A 2022-09-01 2022-09-01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KR102500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49A KR102500560B1 (ko) 2022-09-01 2022-09-01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0649A KR102500560B1 (ko) 2022-09-01 2022-09-01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0560B1 true KR102500560B1 (ko) 2023-02-16

Family

ID=85326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0649A KR102500560B1 (ko) 2022-09-01 2022-09-01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056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23Y1 (ko) * 2005-03-08 2005-06-13 한숙희 자연형 식생블록
KR100526753B1 (ko) * 2005-03-29 2005-11-08 (주)이젠리버시스템 생태복원을 위한 자연형 하천의 비탈면 축조구조
KR20090121864A (ko) * 2008-05-23 2009-11-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1934342B1 (ko) 2017-12-19 2019-03-25 손병진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6423Y1 (ko) * 2005-03-08 2005-06-13 한숙희 자연형 식생블록
KR100526753B1 (ko) * 2005-03-29 2005-11-08 (주)이젠리버시스템 생태복원을 위한 자연형 하천의 비탈면 축조구조
KR20090121864A (ko) * 2008-05-23 2009-11-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0962373B1 (ko) 2008-05-23 2010-06-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1934342B1 (ko) 2017-12-19 2019-03-25 손병진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83500B1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101934342B1 (ko) 해안침식과 월파 방지가 가능한 관절형 호안블록
KR20120112878A (ko) 방호 유니트
AU2011235846A1 (en) Breakwater structure
KR102500560B1 (ko) 해안침식 및 월파 방지가 가능한 친수 호안 블록 시스템, 친수 호안 블록 거푸집 및 친수 호안 블록
KR101694524B1 (ko) 항만구조물의 케이슨
JP4904582B2 (ja) 長周期波低減対策構造物
US9915049B2 (en) Cost-efficient armor unit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US6811352B1 (en) Revetment for a bank
JP3544957B2 (ja) 組立式護岸構造体
KR200183593Y1 (ko)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KR100282982B1 (ko) 소파블럭을 이용한 호안축조공법
KR100689266B1 (ko) 콘크리트 기성제품을 이용한 조립식 방파제
CN211221243U (zh) 一种空心井字扰流混凝土护面块体及其模具、防波堤护面
KR100541072B1 (ko) 하천 제방의 누수 방지를 위한 차수 구조물
KR101038488B1 (ko)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KR200262742Y1 (ko) 호안 블록
AU2006313645B2 (en) Harbour structure and method for building said structure
KR101133501B1 (ko) 경사면을 보호하기 위한 소파용 친수블럭
JP3112741B2 (ja) 防波堤
CN208949833U (zh) 组合一体护坡
JP3790639B2 (ja) 消波構造体と消波方法
JP4767433B2 (ja) 海水交換型防波堤
JP3315203B2 (ja) 水制工並びに根固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