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8488B1 -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 Google Patents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8488B1
KR101038488B1 KR1020100060951A KR20100060951A KR101038488B1 KR 101038488 B1 KR101038488 B1 KR 101038488B1 KR 1020100060951 A KR1020100060951 A KR 1020100060951A KR 20100060951 A KR20100060951 A KR 20100060951A KR 101038488 B1 KR101038488 B1 KR 101038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ow rate
bank
block
bank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광석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6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84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8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8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2Stream regulation, e.g. breaking up subaqueous rock, cleaning the beds of waterways, directing the water flow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와 같이 하천을 횡단하여 배치되는 하천횡단구조물이 제방비탈면에 연결될 때,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하는 수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켜 수류의 유속과 침식력을 줄임으로써, 하천횡단구조물의 직하류에서 수류의 침식력에 따른 세굴 현상 및 호안 블록의 파손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제방의 손상 및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식생을 조성하기에 용이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연결 호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제방비탈면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이고,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며, 중앙부분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제방비탈면의 표면까지 곡선으로 이어지는 오목한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유속저감부(10)가 제방비탈면에 설치되며; 유속저감부(10)의 종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는 호안 블록(21)이 배치되어 있어; 상류에서부터 흘러온 수류가 유속저감부(10)의 곡선진 단부를 따라 흐르면서 운동에너지가 소실되고 유속이 저감되어 침식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쪽 제방비탈면에 설치된 호안 블록(21)에 닿게 되어 세굴 현상 발생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호안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CONNECTING REVETMENT STRUCTURE USING FLOW VELOCITY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보와 같이 하천을 횡단하여 배치되는 하천횡단구조물이 하천 제방과 접속하게 되는 접속부에서의 연결 호안 구조에 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천횡단구조물이 연결되는 하천 제방의 비탈진 측면("제방비탈면")에서,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하는 수류의 운동에너지를 저감시켜 수류의 유속과 침식력을 줄임으로써, 하천횡단구조물의 직하류에서 수류의 침식력에 따른 세굴 현상 및 호안 블록의 파손을 억제하고, 그에 따라 제방의 손상 및 붕괴를 방지함과 동시에 식생을 조성하기에 용이한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연결 호안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보 또는 낙차공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이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천을 횡단하여 보, 낙차공 등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100)이 설치될 때,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양단부는, 경사진 비탈면을 가지는 제방(200)과 접속하게 된다. 그런데 제방(200)과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양단이 접속하게 되는 접속부와 그 하류에서는, 수류가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하면서 유속이 증가하고 3차원적인 거동을 하게 된다. 유속이 증가된 수류는 큰 침식력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수류가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에 위치하는 제방비탈면 부분(도 1에서 A로 표시된 부분)을 지속적으로 타격함으로 인하여 세굴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비록 제방비탈면에 호안 블록이나 호안 암석 등과 같은 호안 구조물이 설치되더라도, 큰 유속과 침식력을 가진 수류가 지속적으로 호안 구조물을 타격함으로써, 호안 구조물의 세굴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된다. 결국 세굴에 대한 저항력을 상실한 호안 구조물의 일부분이 탈락되어, 제방비탈면의 토사가 수류에 직접 노출되고, 제방비탈면의 세굴되는 범위와 깊이가 점차 확장되면서 제방이 붕괴에 이르게 된다.
특히, 최근에는 이상홍수로 인한 수류의 흐름 강도가 강해짐으로써, 국부적인 유속증가를 고려하지 못한 기존의 거의 모든 제방에서 하천횡단구조물과 제방비탈면이 접속되는 접속부의 세굴현상이 발생하고 있고 그로 인하여 제방이 붕괴되는 피해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홍수량이 증가할 때 급격하게 증가하는 유속을 제어하지 못해, 이로 인한 세굴 현상이 심하게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유속 제어나 세굴 현상의 방지를 위한 효과적으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여 피해가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하천횡단구조물과 제방비탈면이 연결되는 접속부에서의 수류 흐름양상이 복잡하지만 제방의 세굴 위험성이 높다는 점이 충분히 예측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여 제방비탈면의 세굴을 방지함으로써 제방이 완전 붕괴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인명 및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대책이 조속히 수립될 필요가 있다.
세굴로 인한 제방의 붕괴를 방지함에 있어서, 단순히 호안 구조물이 세굴에 대해 가지는 저항능력(세굴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서, 호안 구조물의 내력 강화시키는 방법이 있는데, 이 경우 제방비탈면을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호안 블록만으로 덮어씌우게 되어 친환경적인 호안의 형성이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식생 등이 가능한 친환경적인 호안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호안 블록 등을 통한 내력 강화 방법에 더하여,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하는 수체의 유속을 저감시켜 세굴을 일으키는 침식력을 감소시키는, 외력 저감 방법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하는 수류의 유속이 증가하고 3차원적인 거동을 하며 큰 침식력을 가지게 되는 제방비탈면과 하천횡단구조물이 접합되는 접합부에서 수류의 유속과 침식력을 저감시킴으로써, 하천횡단구조물의 직하류에 위치하는 제방비탈면의 세굴을 방지하고, 그에 따라 제방비탈면에 식생 유공 블록을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친환경적인 호안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하천을 횡단하여 배치되는 하천횡단구조물이 하천 제방비탈면과 접속하는 부분의 연결 호안 구조로서, 하천횡단구조물의 양단이 접속되는 제방비탈면에는, 제방비탈면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이고,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며, 중앙부분은 종방향으로 평평하지만 종방향의 양단부는 중앙부분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제방비탈면의 표면까지 곡선으로 이어지는 오목한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유속저감부가 설치되며; 상기 하천횡단구조물의 단부는 상기 유속저감부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유속저감부의 표면에 직교하여 접속되고; 상기 유속저감부의 종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호안 블록이 배치되어 있어; 상류에서부터 흘러온 수류가 하천횡단구조물과 제방이 접속하는 부분에서 유속저감부 쪽으로 퍼지면서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하되, 유속저감부의 표면을 따라 흐르던 수류는 곡선진 단부를 따라 흐르면서 운동에너지가 소실되고 유속이 저감되어 침식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천횡단구조물의 하류쪽 제방비탈면에 설치된 호안 블록에 닿게 되어 세굴 현상 발생이 저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호안 구조가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연결 호안 구조에서, 상기 유속저감부의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길게 연장된 선형의 무늬가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수류가 상기 무늬를 따라 흐르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유속저감부의 종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되는 호안 블록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되 일측 단부는 중앙부분에서 일측 단부로 갈수록 상면이 완만하고 오목한 곡선형태로 상승하는 곡선 상승부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은, 곡률을 가지고 상승되는 형상의 곡선 상승부가 종방향으로 하류 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오목부와 볼록부가 길게 연장된 선형의 무늬가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수류가 상기 무늬를 따라 흐르게 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종방향 일단부에는 돌출키를 형성하고,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종방향의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돌출키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여,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이 복수개로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될 때,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돌출키가 이웃하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속저감부의 종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되는 호안 블록은, 식생 유공 블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호안 블록의 외곽에서 제방비탈면에는 호안 블록의 배치 외곽 형상을 유지하는 호안 고정틀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 낙차공 등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의 양단이 접속되는 제방의 비탈면에는, 제방비탈면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인 형상의 유속저감부가 설치되어 상류로부터 흘러온 수류가 유속저감부 쪽으로 퍼지면서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속저감부의 하류쪽 종방향 단부는 제방비탈면의 표면 방향으로 상향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속저감부의 표면을 따라 흐르던 수류는 유속저감부의 곡선진 단부에 의해 비탈면 표면으로 상승하면서 흐르게 되고, 그 과정에서 수류가 가지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소실되면서 유속이 저감된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한 수류는 침식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천횡단구조물의 하류쪽 제방비탈면에 닿게 되고, 하천횡단구조물 하류의 제방비탈면에서 세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현저하게 저감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위와 같이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한 수류가 가지는 침식력이 감소하므로,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한 수류가 닿게 되는 제방비탈면을 피복하는데 사용되는 호안 블록으로서, 상대적으로 강도가 낮지만 식생기능이 우수한 식생 유공 블록을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식생 상태가 우수한 친환경적인 호안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위와 같이 하천횡단구조물을 월류한 수류가 가지는 침식력이 감소하므로, 세굴에 대한 제방비탈면의 저항력을 가시키기 위한 추가 비용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성이 우수하고 경제적으로 염가이기 때문에 생산성이 높은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하면, 하천횡단구조물의 단부가 접속되는 제방비탈면의 붕괴를 방지하게 되므로, 하천횡단구조물 자체의 안정성도 향상시킬 수 있고, 제방비탈면이나 하천횡단구조물의 파괴로 인한 하류 피해를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보 또는 낙차공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이 하천을 가로질러 설치된 종래의 호안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2는 하천횡단구조물의 양단이 제방비탈면에 접합되는 위치에서 제방비탈면에 본 발명의 연결 호안 구조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연결 호안 구조를 도 2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호안 구조를 도 2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에 도 2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원 E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2의 선 F-F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을 아래에서 위쪽으로 바라보는 형태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이 종방향으로 연속하여 배치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연결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는 하천횡단구조물의 양단이 제방비탈면에 접합되는 위치에서 제방비탈면에 본 발명의 연결 호안 구조가 형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호안 구조를 도 2의 화살표 C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연결 호안 구조를 상기 화살표 C에 수직한 방향 즉, 도 2의 화살표 D 방향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2의 선 B-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의 원 E 부분의 개략적인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는 편의상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일단과 일측 제방비탈면만을 도시하였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호안 구조에 있어서, 보, 낙차공 등과 같은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양단이 접속되는 제방(200)의 비탈면에는, 제방비탈면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인 형상의 유속저감부(10)가 설치된다. 즉, 하천횡단구조물의 양단이 제방비탈면에 접합되는 위치에서, 제방비탈면이 오목하게 파이고,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소정 두께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유속저감부(10)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천횡단구조물(100)의 단부는 상기 유속저감부(10)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유속저감부(10)의 표면에 직교하여 접속된다.
상기 유속저감부(10)의 형상과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유속저감부(10)는, 종방향(하천 흐름 방향)의 양단부가 곡선형태로 상승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유속저감부(10)의 중앙부분은 종방향으로 평평한데, 유속저감부(10)의 양단부는, 중앙부분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중앙부분보다 더 위쪽에 있는 제방비탈면의 표면까지 곡선으로 이어지는 오목한 곡면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유속저감부(10)는 제방(100)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위쪽에서 하천 바닥쪽으로 가면서 제방비탈면과 마찬가지로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방비탈면 내에서 하천 바닥에 대해 수직한 평면으로 유속저감부(10)가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방비탈면의 경사에 맞추어서 기울어진 형태로 유속저감부(10)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유속저감부(10)를 형성함에 있어서, 유속저감부(10)의 표면에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오목한 홈과 돌출된 부분으로 이루어진 무늬를 나란하게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종방향으로 오목부(11)와 볼록부(12)가 길게 연장된 선형의 무늬가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유속저감부(10)의 표면을 갈퀴 같은 부재로 종방향으로 긁어서 오목부(11)와 볼록부(12)가 생기도록 형성할 수 있는데, 종방향의 무늬를 유속저감부(10)에 형성하게 되면, 수류가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하면서 유속저감부(10)를 따라 흐를 때, 수류가 상기 유속저감부(10) 표면의 무늬를 따라 흐르게 수평하게 종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되고, 수직방향 즉, 제방 비탈면의 높이 방향으로의 유동이 줄어들게 되어 와류 등의 발생이 억제되며 그에 따라 와류 등에 의한 세굴 현상도 줄어들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양단이, 제방비탈면에 직접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제방비탈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유속저감부(10)의 중앙부분 표면에 접속되므로, 하천을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도로 바라볼 때, 하천횡단구조물(100)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하천의 폭이 더 넓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류에서부터 흘러온 수류는 하천횡단구조물(100)과 제방(200)의 접속부에서 오목한 유속저감부(10) 쪽으로 퍼지면서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하게 되는데, 상기 유속저감부(10)의 하류쪽 종방향 단부는 제방비탈면의 표면 방향으로 상향 곡면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유속저감부(10)의 표면을 따라 흐르던 수류는 위와 같은 곡선진 단부에 의해 비탈면 표면을 따라 제방비탈면 표면 방향으로 올라가면서 흐르게 되고, 그 과정에서 수류가 가지고 있던 운동에너지가 소실되면서 유속이 저감된다. 따라서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한 수류는 호안 구조물에 대한 침식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쪽 제방비탈면에 닿게 되고, 제방비탈면에서 세굴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현저하게 저감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유속저감부(10)의 주변으로 제방비탈면에는 호안 블록(21)을 배치하게 된다. 즉,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유속저감부(10)의 종방향 상류와 하류에 일정 길이에 걸쳐 호안 블록(21)이 제방비탈면의 보호를 위하여 제방비탈면 표면에 설치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유속저감부(10)의 위쪽에도 제방비탈면 표면에 호안 블록(21)이 설치될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이 유속저감부(10)의 설치를 통해서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한 수류의 유속과 침식력이 저감되므로, 월류한 수류가 타격하게 되는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쪽 제방비탈면에는, 일반 호안 블록이 아닌 세굴 저항력이 약하지만 식생에 유리한 공지의 식생 유공 블록을 사용할 수 있다. 식생 유공 블록의 경우, 식물 등이 용이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중공이 존재하여 친환경적인 호안을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식생 기능이 없는 일반 호안 블록에 비하여 침식이나 세굴에 대한 저항력이 낮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류의 월류에 의해 큰 침식력과 세굴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에서 제방비탈면에 설치하기가 곤란하였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서는 수류가 유속저감부(10)를 따라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하면서 세굴을 일으키는 침식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류쪽의 제방비탈면에 닿게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세굴에 대한 저항력이 낮은 식생 유공 블록을 상기 유속저감부(10) 주변의 제방비탈면에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방비탈면에 식생 유공 블록을 이용하여 호안을 형성할 수 있고, 환경친화적인 호안의 형성과 시공이 가능하게 된다.
유속저감부(10) 주변의 제방비탈면에 호안 블록(21)을 배치함에 있어서, 호안 블록(21)의 유동을 방지하고 그 배치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제방비탈면 내에 콘크리트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호안 블록(21)의 배치 외곽 형상을 유지하는 호안 고정틀(22)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호안 고정틀(22)은 예를 들면, 제방비탈면에 홈을 만들고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형태로 만들 수 있다.
한편, 호안 블록(21)을 유속저감부(10)의 주변에 배치함에 있어서, 유속저감부(10)의 하류쪽, 즉 종방향으로 유속저감부(10)의 하류쪽 단부와 이어지는 제방비탈면에는, 호안 블록으로서 본 발명자가 새로이 개발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류쪽으로도 유속저감부(10)의 종방향 단부와 이어지는 제방비탈면에 상기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을 배치할 수 있다.
도 7에는 도 2의 선 F-F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 내지 도 10에는 각각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개략적인 사시도와 연결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은 두께를 가지며 콘크리트, 모르타르 등으로 제작된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되, 일측 단부는 중앙부분에서 일측 단부로 갈수록 상면이 완만하고 오목한 곡선형태로 상승하는 곡선 상승부(230)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다. 즉, 곡률을 가지고 상승되는 형상의 곡선 상승부(230)가 일측 단부(종방향으로 하류쪽에 위치하는 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 상면의 표면에는 볼록부(232)와 오목부(231)로 이루어진 무늬가 길게 연장되어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록부(232)와 오목부(231)로 이루어진 무늬를 형성하면, 앞서 유속저감부(1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수류가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을 따라 흐를 때, 수류가 종방향의 무늬를 따라 수평하게 흐르도록 유도되고, 수직방향 즉, 제방비탈면의 높이 방향으로의 유동이 줄어들게 되어 와류 등의 발생이 억제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이러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은 도 7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하천의 흐름 방향 즉, 종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하여 배치되는데, 각각의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곡선 상승부(230)가 종방향으로 하류 쪽에 위치하도록 연속 배치된다. 즉, 마치 물결이 이는 형상으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이 연속 배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종방향 연속 배치를 위하여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종방향 일안부에는 돌출키(235)가 형성되고, 종방향의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돌출키(235)가 끼워지는 끼움부(236)가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바닥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내부에 종방향으로 관통공(237)을 형성하여, 복수개의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이 연속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연통하고 있는 관통공(237)에 철근이나 긴장재 등을 삽입하여 복수개의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 간의 결합을 더욱 일체화시킬 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연결 호안 구조에서, 유속저감부(10)의 종방향 양단부에 잇대어서 하류에(필요한 경우에는 상류에도) 위와 같은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을 설치하게 되면,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상류에서는 수류가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곡률을 가지고 상승되는 형상의 곡선 상승부(230)를 따라 곡선 형태로 흘러서 유속이 줄어들고, 이러한 상태에서 유속저감부(10)를 지나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하고, 후속하여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에서도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상기 곡선 상승부(230)에 충돌하여 그 곡률에 따라 표면에서 돌출되어 흐르면서 유속이 줄어들게 된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유속저감부(10)의 설치에 의한 수류의 유속 감소 및 침식력 저하의 효과를 더욱 배가시키게 된다.
100: 하천횡단구조물 200: 제방 10: 유속저감부

Claims (7)

  1. 하천을 횡단하여 배치되는 하천횡단구조물(100)이 하천 제방비탈면과 접속하는 부분의 연결 호안 구조로서,
    하천횡단구조물(100)의 양단이 접속되는 제방비탈면에는, 제방비탈면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파이고, 오목하게 파인 부분에 두께를 가지고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형성되며, 중앙부분은 종방향으로 평평하지만, 종방향의 양단부는 중앙부분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제방비탈면의 표면까지 상향 곡선으로 이어지는 오목한 곡면 형상을 가지고 있는 유속저감부(10)가 설치되며;
    상기 하천횡단구조물(100)의 단부는 상기 유속저감부(10)의 중앙부분에서 상기 유속저감부(10)의 표면에 직교하여 접속되고;
    상기 유속저감부(10)의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오목부(11)와 볼록부(12)가 길게 연장된 선형의 무늬가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수류가 상기 무늬를 따라 수평하게 흐르도록 유도되며;
    상기 유속저감부(10)의 종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는 상류와 하류에 길게 복수개의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이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은,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져 있되 일측 단부는 중앙부분에서 일측 단부로 갈수록 상면이 완만하고 오목한 곡률을 가지고 곡면형태로 상승하는 곡선 상승부(230)로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고 있고,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표면에는 종방향으로 오목부(231)와 볼록부(232)가 길게 연장된 선형의 무늬가 나란하게 복수개 형성되어 수류가 상기 무늬를 따라 흐르도록 유도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종방향 일단부에는 돌출키(23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종방향의 타단부에는 이웃하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돌출키(235)가 끼워지는 끼움부(236)가 형성되어 있어,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이 복수개로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될 때,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돌출키(235)가 이웃하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끼움부(236)에 끼워지는 형태로 결합되어, 상기 곡선 상승부(230)가 종방향으로 하류 쪽에 위치하도록 복수개가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되며;
    상류에서부터 흘러온 수류가 하천횡단구조물(100)과 제방(200)의 접속하는 부분에서 유속저감부(10) 쪽으로 퍼지면서 하천횡단구조물(100)을 월류하되, 유속저감부(10)의 표면을 따라 흐르던 수류는, 제방비탈면의 표면까지 이어지는 유속저감부(10)의 곡선진 단부를 따라 흐르면서 운동에너지가 소실되고 유속이 저감되어 침식력이 약화된 상태로, 하천횡단구조물(100)의 하류쪽 제방비탈면에 설치된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에 닿게 되어 세굴 현상 발생이 저감되고;
    수류가 연속 배치되어 있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곡선 상승부(230)와 연속하여 충돌하여 그 곡률을 따라 표면에서 돌출되어 흐르면서 유속이 줄어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호안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저감부(10)의 종방향 양단부에 연속하여 제방비탈면에 배치되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은, 식생 유공 블록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호안 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외곽에서 제방비탈면에는, 상기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23)의 배치 외곽 형상을 유지하는 호안 고정틀(2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호안 구조.
KR1020100060951A 2010-06-28 2010-06-28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KR101038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51A KR101038488B1 (ko) 2010-06-28 2010-06-28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951A KR101038488B1 (ko) 2010-06-28 2010-06-28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38488B1 true KR101038488B1 (ko) 2011-06-02

Family

ID=4440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951A KR101038488B1 (ko) 2010-06-28 2010-06-28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84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1952A (zh) * 2013-12-13 2015-06-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 适用于深滩圈围的龙口保护结构及其合龙方法
KR101898870B1 (ko) * 2017-12-14 2018-09-14 (주)아이엘케이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591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Solid Co Ltd 水域環境における水の浄化方法
KR200259045Y1 (ko) * 2001-09-05 2001-12-31 원 회 양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20020059045A (ko) * 2000-12-30 2002-07-12 안민혁 스캔형 노광장치
KR100879482B1 (ko) * 2008-03-11 2009-01-20 덕산콘크리트(주) 생태복원용 식생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24591A (ja) * 1995-02-21 1996-09-03 Nippon Solid Co Ltd 水域環境における水の浄化方法
KR20020059045A (ko) * 2000-12-30 2002-07-12 안민혁 스캔형 노광장치
KR200259045Y1 (ko) * 2001-09-05 2001-12-31 원 회 양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100879482B1 (ko) * 2008-03-11 2009-01-20 덕산콘크리트(주) 생태복원용 식생호안블록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11952A (zh) * 2013-12-13 2015-06-17 上海勘测设计研究院 适用于深滩圈围的龙口保护结构及其合龙方法
KR101898870B1 (ko) * 2017-12-14 2018-09-14 (주)아이엘케이 이동식 돌발침수대응 유선형 물돌이 차수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0501B1 (ko) 환경친화형 친수호안블록 및 그 시공방법
CN204039977U (zh) 一种抗震消浪护坡
KR101038488B1 (ko)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CN108978578A (zh) 一种基于分流束流理论的山前公路水毁防治方法及导流坝
KR100870034B1 (ko) 라운드 개비온
US6588978B2 (en) Block assembly for protecting embankment
CN103758080B (zh) 架空式消浪观景平台结构
CN203668883U (zh) 架空式消浪观景平台结构
KR101023690B1 (ko) 수류의 유속과 침식력을 저감할 수 있는 유속저감형 호안 블록
CN109914359A (zh) 一种拱坝表孔出口消能的组合结构
CN102828489A (zh) 摆桩定河床主流的系统
CN109006033A (zh) 护坡块
CN210561974U (zh) 一种多功能海堤体系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CN112301946A (zh) 一种高路基低河床水毁防治结构
CN208777255U (zh) 基于分流束流理论的公路水毁导流坝
CN218116319U (zh) 斜坡顶生态空腔块体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CN212270819U (zh) 一种高路基低河床水毁防治结构
CN217536852U (zh) 一种流域突发环境事件应急挡水土坝
CN203247541U (zh) 抗浪、减流、促淤、固沙的齿形结构块体
CN216712932U (zh) 一种新型河道生态沟渠
KR200438545Y1 (ko) 식생옹벽블럭
CN218562248U (zh) 一种水利水电工程的淤地坝结构
CN210975738U (zh) 防护型坝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