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045Y1 -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 Google Patents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045Y1
KR200259045Y1 KR2020010027102U KR20010027102U KR200259045Y1 KR 200259045 Y1 KR200259045 Y1 KR 200259045Y1 KR 2020010027102 U KR2020010027102 U KR 2020010027102U KR 20010027102 U KR20010027102 U KR 20010027102U KR 200259045 Y1 KR200259045 Y1 KR 200259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iver
present
inclined surfac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7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2020010027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045Y1/ko

Links

Landscapes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등의 제방이나 경사면에 축조하는 호안용 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정방형의 블럭(B) 전면부는 다수단으로 되는 반원의 요철부(1)로 이루어지고, 상측과 하측에는 소정 높이의 단(3)(3a)을 형성하여, 그 각각의 양측면을 모따기 하므로서 각각 경사면(4)(4a)(4b)(4c)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경사면(4)(4a)(4b)(4c)에 삽입공(5)(5a)(5b)(5c)을 천공하며, 배면에는 다수개의 지지간(2)을 구성하므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블럭(B)간에 조립이 쉽고 사석(10a)의 유실등을 방지하며, 동일한 형상의 블럭(B)으로 하천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유수의 흐름에 맞도록 변형,조적할 수 있는 호안용 블럭(B)에 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A covering block of the inclined plane for a river bank.}
본 고안은 강이나 하천등의 양안에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되는 경사면이나, 홍수등에 의하여 불어난 유수가 월유하여 저지대가 침수되는 자연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구축하는 제방의 경사법면에 피복하여, 상기 경사면의 붕괴방지를 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블럭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부에 반원형 요철을 수평적으로 다수단 형성되게 하고, 연결봉에 의해 블럭간의 조립이 견고한 조립이 되도록 하여 유수의 흐름에 의한 제방의 양안 경사면의 세굴과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하천제방 법면보호 블럭의 구조에 관한 고안이다.
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치수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더 중요해짐에 따라, 하천등의 제방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이 다양화 해지고 있는데, 일반적으로 하천의 경사면은 자연적으로 형성된 모래, 자갈등으로 되는 하안이 대부분이며, 이러한 하안 경사면은 유수의 흐름에 의한 경사면 토양의 세굴 또는 유실등으로 인해 하천 본래의 형태가 변형되고, 그로인해 홍수시 유수의 범람으로 농경지등이 침수되는등의 자연재해가 발생되는 등의 하천으로서의 안전성을 상실하는 상태에 이르기까지 하므로, 근래에는 하천경사법면에 콘크리트로 성형한 일정한 형상의 블럭들을 조적하여 경사법면등을 보호하여 왔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유수의 유속은 하천의 직선부에서 흐를때 보다 곡선부에서 더 빨라지게 되는바, 하천의 직선부에서 유수의 흐름을 제어하기에 적합한 형상의 블럭을 곡선부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면 곡선부를 흐르는 빠른 유속을 저지하지못하여 이 곡선부의 경사면에 대한 토양의 세굴, 유실현상이 심화되고, 직선부에 조적하는 블럭과 곡선부에 조적하는 블럭을 그에 맞는 다른 블럭으로 조적시에는 두 종류의 블럭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므로 그에 따른 블럭제작에 대한 불편함이 따를수 있고, 일반적인 블럭은 블럭간의 조적상태를 유지시키는 별다른 수단이 없어 조적된 블럭의 이탈이 생길 수 있어 하천 경사면의 안전성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하나의 블럭으로 직선부와 곡선부의 유수의 흐름 특성에 대응되도록 조적할 수 있게 블럭의 구조를 구성하며, 블럭의 조립이 쉬우며, 조적한 블럭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단위블럭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단위블럭을 상,하,좌,우로 조적할 시 각 단위블럭과 블럭의 모서리에 'X'자 형태로 대접되는 연결봉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절결 배면도
도 3은 하천의 직선부와 곡선부 법면에 따라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블럭의 정면에 형성된 요철부의 방향을 달리하여 조적함을 나타내는 하천의 평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가-가' 선 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의 나-나'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B. 블럭 1. 요철부
2. 지지간 3,3a. 단
4,4a,4b,4c. 경사면 5,5a,5b,5c. 삽입공
6,6a. 연결봉 7. 공간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일정한 길이의 가로와 세로와 두께로 되는 정방형의 블럭(B) 전면부에 다수단의 반원형 요철부(1)를 수평으로 다수단 형성하고, 블럭(B)의 배면에는 소정 직경과 길이로 되는 다수개(도면상으로는 4개)의 지지간(2)을 단위블럭(B)의 직각방향으로 돌설하여, 블럭(B)을 조적시 상기의 지지간(2)이 하천 경사면(10)의 토양(10a)속에 매설되도록 하므로서, 하천 경사면과 블럭(B)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블럭(B) 상측과 하측면에는 일정한 높이의 단(3)(3a)을 구성하여 그 각 단(3)(3a)의 양측 모서리를 모따기하므로서 형성되는 경사면(4)(4a)(4b)(4c)에 각각 소정 깊이의 삽입공(5)(5a)(5b)(5c)을 천설하여, 블럭(B)을 조적시 별도로 구비되는 철재등으로 되는 연결봉(6)(6a)을 삽입하여 조적되는 단위블럭(B)과 블럭(B)의 상,하,좌,우 조립이 가능하도록 단위블럭(B)의 구조를 구성하므로서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피복용 단위블럭의 구조가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호안용 블럭을 하천등의 제방경사법면에 조적시, 도 2에서와 같이 상,하,좌,우로 조적되는 각 단위블럭(B)의 4모서리 경사면에 천설된 삽입공(5)(5a)(5b)(5c)에 연결봉(6)(6a)을 삽입하여 연결한 다음, 각각의 모서리의 경사면(4)(4a)(4b)(4c)이 맞닿아 형성된 공간부(7)에 콘크리트를 채우므로서 블럭(B)간의 조립이 마무리되며, 또한 상기와 같이 블럭(B)을 조적시에는 하천의 직선부와 곡선부에 조적하는 블럭(B)의 요철부(1)의 방향을 달리하여 조적하게 되는바, 실시예로 하천의 직선부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블럭(B)의 요철부(1)를 유수의 흐름에 직각방향으로 되도록 조적하여 유수가 블럭(B)의 요철부(1)에 부딪치게 하므로서 유속을 약화시키고, 하천의 곡선부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블럭(B)의 요철부(1)를 유수의 방향과 일치하도록 수평이 되게 조적하므로서 유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흘러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호안용 블럭(B)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블럭(B)과 블럭(B)간의 조립이 용이하고, 블럭(B)과 블럭(B)은 서로 연결봉(6)(6a)에 의하여 서로 결속되어 있으므로 블럭(B)의 조적상태가 견고하며, 블럭(B)의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간(2)이 제방 경사면(10)의 토양(10a) 속에 매설되므로서 제방(10)을 감싸안는 역활을 하여 사석(10a)의 유실등을 방지하며, 동일한 형상의블럭(B)으로 하천의 직선부와 곡선부의 유수의 흐름에 맞도록 하나의 단위블럭(B)의 요철부(1)의 방향을 변경하여 조적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2)

  1. 하천제방등의 경사면에서의 세굴 및 유실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적하는 블럭에 있어서, 일정한 길이의 가로와 세로와 두께로 되는 정방형의 블럭(B) 전면부는 수평으로 다수단의 반원형 요철부(1)로 이루어지고, 상측과 하측면에는 소정 높이의 단(3)(3a)을 형성하여, 그 각각의 양측면을 모따기 하므로서 각각 경사면(4)(4a)(4b)(4c)을 형성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경사면(4)(4a)(4b)(4c)에 삽입공(5)(5a)(5b)(5c)을 천설하며, 배면에는 다수개의 지지간(2)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의 블럭(B)을 조립시 블럭(B)간의 삽입공(5)(5a)(5b)(5c)에 연결봉(6)(6a)을 연결한 후, 각각의 경사면(4)(4a)(4b)(4c)이 맞닿아 형성되는 공간부(7)에 콘크리트를 채워서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2020010027102U 2001-09-05 2001-09-05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200259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02U KR200259045Y1 (ko) 2001-09-05 2001-09-05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7102U KR200259045Y1 (ko) 2001-09-05 2001-09-05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045Y1 true KR200259045Y1 (ko) 2001-12-31

Family

ID=73108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7102U KR200259045Y1 (ko) 2001-09-05 2001-09-05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045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16B1 (ko) 2005-10-07 2006-12-0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하안 돌출부 및 수상 구조물의 하상 쇄굴 방지 구조
KR101038488B1 (ko) * 2010-06-28 2011-06-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KR200461559Y1 (ko) * 2011-08-17 2012-07-19 임선명 세굴방지용 블록 조립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416B1 (ko) 2005-10-07 2006-12-08 전남과학대학 산학협력단 하안 돌출부 및 수상 구조물의 하상 쇄굴 방지 구조
KR101038488B1 (ko) * 2010-06-28 2011-06-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속저감에 의한 세굴방지 연결 호안 구조
KR200461559Y1 (ko) * 2011-08-17 2012-07-19 임선명 세굴방지용 블록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7150A (en) Method of constructing a seawall reinforcement or jetty structure
US5190403A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20030073611A (ko)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생태적 식생 호안공 및 식생옹벽공의 시공방법
US6666619B2 (en) Protective wall assembly
US5222342A (en) Component elements of protecting structures against erosion and process for assembling and placing the protection structure
KR10055486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 방법 및 사방 또는 호안용 구조물
KR200259045Y1 (ko)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101308822B1 (ko) 식생용 블록 및 호안용 블록의 결속구조 및 그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JPH07292692A (ja) 擁壁形成方法
KR100705934B1 (ko) 식생 블록과 앵커 블록의 간격조절장치
KR200231243Y1 (ko) 호안 식생용 블럭
JP3984427B2 (ja) 河川ダム及びこれを用いた河川システム
JPH0529217Y2 (ko)
KR200410820Y1 (ko) 하천 옹벽기초 세굴방지구조
KR100224526B1 (ko) 수중 구조물의 기초 보호용 콘크리트 블럭과 그 축조방법
KR200240443Y1 (ko) 하천제방법면 보호용 피복블럭
KR100676449B1 (ko) 호안 등에 사용되는 콘크리트 블록 및 그 시공 공구
JP4066030B2 (ja) 護岸ブロック
KR200429763Y1 (ko) 세굴방지블럭
KR200288506Y1 (ko) 하천의 중앙분리벽 및 양안 붕괴방지시설
JP2006188847A (ja) 河川・砂防構造物および河川・砂防構造物構築用ブロック材
JPH07292693A (ja) 擁壁用ブロック構造体
KR200199851Y1 (ko) 호안블럭
EP1402120A1 (en) Assembly device for use in reinforced soil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