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3593Y1 -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 Google Patents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3593Y1
KR200183593Y1 KR2019990029796U KR19990029796U KR200183593Y1 KR 200183593 Y1 KR200183593 Y1 KR 200183593Y1 KR 2019990029796 U KR2019990029796 U KR 2019990029796U KR 19990029796 U KR19990029796 U KR 19990029796U KR 200183593 Y1 KR200183593 Y1 KR 200183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block
covering block
covering
l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7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원회
Original Assignee
양원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회 filed Critical 양원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3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3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을 피복하는 피복블럭에 대한 것으로서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을 이루는 사석과 사석 사이에 피복블럭의 배면이 삽설 고정될 수 있도록 피복블럭 배면에 다수개의 고정간을 배향으로 돌설하고 정면에는 요철면을 수평 또는 수직으로 돌설한 구조로 피복블럭을 구성하고 이 피복블럭으로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을 피복하도록 한 고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A covering block of the coast line of embankment or waterways}
본 고안은 호안 또는 하천의 유수(流水)가 직접 접하는 표면에 피복하여 하천의 제방을 보호하거나 호안의 법면을 보호하기 위하여 피복하는 피복석을 대신하여 콘크리트로 일정한 크기와 구조를 부여하여 하천 또는 호안의 조건에 따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 또는 호안 피복블럭에 대하여 안출한 고안으로서 종래 하천 또는 호안에는 일정한 경사도를 유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자연석인 피복석으로 일정하게 평탄면이 되도록 피복하거나 호안일 경우에는 법면의 붕괴, 유실등의 방지 및 파도의 소파를 겸할 수 있도록 인공적으로 피복블럭을 제조하여 피복하되 표면에 요철부를 두어서 이 요철면에 파도가 부딪혀 반사, 회절되도록 하여 호안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호안이나 하천제방에 사용되는 피복블럭으로서의 조건은 제방일 경우 제방법면의 침식, 또는 붕괴방지는 물론 유수의 유속제어 및 곡각 지점등에 집중되는 수압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시설이 요구되고 호안의 피복시에는 해안으로 밀려오는 파랑을 소파할 수 있고 파랑의 월파로 인한 내륙의 침수가 야기되지 못하게 하는 시설등이 구비되어야 하며 최근에는 친수성과 시설의 안전 견고성이 중요시되는 바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복블럭은 법면에 단순히 거치하여 놓는 시공으로서 경사법면에 강제 고정하는 별다른 수단이나 구조가 없어 홍수 또는 태풍 등의 파랑에 의하여 붕괴, 유실의 우려가 다대한 불안정한 시공을 하여왔다
도 1 은 하천 제방(堤防)에 본 고안상의 피복블럭을 조절하여 피복한 상태 횡단면예시도
도 2 는 호안법면에 본 고안상의 피복블럭을 조적하여 피복한 상태 횡단면 예시도
도 3 은 도 2 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 는 도 2 에서와 같이 호안에 사용할 시의 피복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5 는 도 1 에서와 같이 하천 제방에 사용할시의 피복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6 은 도 4 또는 도 5 의 피복블럭의 또다른 실시예로서의 피복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L.하천 WB.호안
1.하천 또는 호안 피복블럭 2.요면 3.철면
4.수면 5,5a,5b. 고정간 6,6a,6b.숫키
7.암키 8,8a,8b,8c.통수공 9.볼트관통공
10.볼트 11.너트 12.사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유수 또는 파랑에 의하여 유실의 우려를 제거하고 보다 견고한 시설로서 시공할 수 있도록 하천 또는 호안 법면에 공용으로 사용되는 피복블럭을 안출한 바 특히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피복블럭으로 피복시공을 할 시 시공순서가 종래와는 정반대로 일정한 법면에 본 발명상의 피복블럭을 먼저 상하좌우로 평면적으로 일정한 경사각도로 결합조립하고 그 피복블럭의 후면 공간에 사석등을 채우는 시공순서로 시공하여 정밀하고 견고한 피복면이 되면서 한편으로 피복블럭의 배면일부가 사석과 사석사이에 삽입개재되도록하므로서 보다 견고한 피복법면이 유지될 수 있게 안출한 발명으로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하천 또는 호안 피복블럭(1)은 일측면이 요면(2)과 철면(3)으로 구성되어 호안(WB)에 조적하였을 경우에는 요철면(2)(3)이 수면(4)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고 이 요철면(2)(3)의 배면에는 일정한 길이와 폭으로 3개의 고정간(5)(5a)(5b)을 배향으로 돌설하고 3개의 고정간(5)(5a)(5b)일측 중도부에는 숫키(6)(6a)(6b)가 돌설되고 고정간(5)(5a)(5b)(5c)의 타측 중도부에는 숫키(6)(6a)(6b)가 빈틈없이 삽입되도록 하는 크기의 암키(7)(도면에는 1개만 도시했지만 실제는 3 개의 암키)가 요입되게 하고 철면(3) 최상단 중도부에 일정한 직경의 통수공(8)(8a)이 천설되고 3 개의 고정간(5)(5b)중도부에는 볼트관통공(9)이 각각 천설되게 하여서 본 고안상으로 실시되는 일실시예로서의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1)이 구성되고 이러한 피복블럭(1)과 블럭을 좌우로 연설할 시에는 볼트(10)를 볼트관통공(9)에 삽입하여 너트(11)로 조여서 견고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그런데 또다른 실시예로서 하천의 제방법면(L)에 피복하게 될 피복블럭(1a)은 호안에 사용되는 피복블럭(1)과는 반대로 요철면(2)(3)의 길이방향과 3 개의 고정간(5)(5a)(5b)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각으로 교호로 연설되게 하고 철면(3) 의상단에는 2개씩의 통수공(8)(8a)(8b)(8c)이 천설되게 하여서 하천제방 피복블럭(1a)이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12)는 사석이다.
상기와 같이 호안 피복블럭(1)으로 호안법면에 피복하면 피복블럭(1)외면에 가로로 형성된 요철면(2)(3)에 파도가 부딪치면서 회절 반사되면서 소파가 되고 따라서 월파가 되지 않고 피복블럭(1)의 배면에 돌설된 3 개의 고정간(5)(5a)(5b)이 사석사이에 박혀서 고정되게 되므로 피복블럭(1) 사석면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피복블럭(1)의 유실이 없고 이러한 효과는 하천제방(2)에 피복되는 피복블럭(1a) 또한 동일하며 피복블럭(1a)의 외면에 형성된 요철면(2)(3)은 수면에 대하여 수직방향dm로 돌설 형성되어 있어 수면이 이 수직으로 돌설된 요철면(2)(3)에 직각으로 부딪히게 되어 특히 곡각지점에서는 부딪히는 저항력이 커지므로 급한 유속을 어느정도 늦출 수 있어 그 만큼 위험을 감소할 수 있으며 호안이나 하천 공히 질서정연한 외관으로 친수 공간으로서의 효과 또한 누릴 수 있다.

Claims (2)

  1. 일정한 크기의 하천 제방 또는 호안 법면 피복용 블럭(1)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 일측면은 수평적으로 요면(2)과 철면(3)으로 gudtjd하고 그 배면에는 세개의 고정간(5)(5a)(5b)을 배향으로 돌설하고 세개의 고정간(5)(5a)(5b)중도부 일측에는 숫키(6)(6a)(6b)를 돌설하며 세개의 고정간(5)(5a)(5b) 타측 중도부에는 암키(7)를 요입하고 철면(3) 최상단 중도부에는 통수공(8)(8a)(8b)(8c)을 관통천설하고 고정간(5)(5b) 중도부에는 볼트관통공(9)을 천설하여서 되는 하천 또는 호안 피복블럭.
  2. 제 1 항에 있어서,
    또 다른 하나의 실시예로서
    요철면(2)(3)의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세개의 고정간(5)(5a)(5b)을 배향으로 돌설하여서 되는 하천 또는 호안 피복블럭.
KR2019990029796U 1999-12-27 1999-12-27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KR200183593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762A KR100350097B1 (ko) 1999-12-27 1999-12-27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762A Division KR100350097B1 (ko) 1999-12-27 1999-12-27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3593Y1 true KR200183593Y1 (ko) 2000-05-15

Family

ID=1963025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796U KR200183593Y1 (ko) 1999-12-27 1999-12-27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KR1019990062762A KR100350097B1 (ko) 1999-12-27 1999-12-27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762A KR100350097B1 (ko) 1999-12-27 1999-12-27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359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87B1 (ko) * 2000-12-30 2003-03-04 원 회 양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KR20210006657A (ko) * 2019-07-09 2021-01-19 (주)광성토건 폐타이어를 이용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 등의 사면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940B1 (ko) 2006-04-17 2007-10-25 민선영 친환경성 하천 제방용 호안블록
CN111411609B (zh) * 2020-03-03 2021-06-22 浙江省海洋技术服务中心 护岸混凝土块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187B1 (ko) * 2000-12-30 2003-03-04 원 회 양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KR20210006657A (ko) * 2019-07-09 2021-01-19 (주)광성토건 폐타이어를 이용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 등의 사면구조
KR102229534B1 (ko) * 2019-07-09 2021-03-18 (주)광성토건 폐타이어를 이용한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해안 등의 사면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0472A (ko) 2001-07-07
KR100350097B1 (ko) 200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2257A (en) Breakwater
US4913595A (en) Shoreline breakwater
US7717644B2 (en) Hydrophilic revetment block having seawater flow po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20090115184A (ko) 방호 유니트
JP2002526692A (ja) 沿岸構造物用の中間の鉄筋ブロック及び沿岸構造物のブロックの設置方法
WO2002026019A2 (en) Floating breakwater system
KR200183593Y1 (ko) 하천 또는 호안의 법면 피복블럭
KR100962373B1 (ko) 소파 성능이 내재된 친수호안블록
KR100374183B1 (ko) 호안 피복용 블럭
JP3544957B2 (ja) 組立式護岸構造体
KR100282982B1 (ko) 소파블럭을 이용한 호안축조공법
US5015121A (en) Offshore erosion protection assembly
KR200262742Y1 (ko) 호안 블록
KR20040006610A (ko) 월파차단을 위한 방파제 캡콘크리트 구조
JPS6255308A (ja) 洗掘防止用海水用構造物及びそ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型枠
JP3112741B2 (ja) 防波堤
KR200262769Y1 (ko) 인공어초 기능을 가진 호안
KR200344578Y1 (ko) 친환경적 호안블록
JPS636248Y2 (ko)
KR100927451B1 (ko) 링크식 방목틀
KR100441896B1 (ko) 하상 구조물의 경사면 하단부선단 보호공 구조
KR100892375B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100521903B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GB2211533A (en) A block and a surfacing formed from a plurality thereof
KR200236309Y1 (ko) 조립식 호안의 하단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2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