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903B1 -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 Google Patents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903B1
KR100521903B1 KR10-2002-0052426A KR20020052426A KR100521903B1 KR 100521903 B1 KR100521903 B1 KR 100521903B1 KR 20020052426 A KR20020052426 A KR 20020052426A KR 100521903 B1 KR100521903 B1 KR 100521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isson
seawater
breakwater
vertical
sand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001A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10-2002-0052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90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9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8Foundations formed by making use of cais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파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직립 방파제체인 케이슨 방파제에 있어서의 해수교환 시설을 가지는 방파제체의 구조에 대한 발명인 바,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은 차단하여 내해의 해수면 정온을 유지하면서 외해의 해수와 내해의 해수가 파랑이나 조수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순환(교환) 되도록하는 구조의 방파제체가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 복잡한 구조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직립식 제체 구조인 케이슨을 사용하여 제체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해수교환이 용이하도록하므로써 시공이 용이하며 내해로 유입되는 해수가 내해 해수 속으로 유도 유입되도록하여 항내 정온을 유지하면서 해수가 교환될 수 있도록 안출한 고안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Seawater exchange structure of caisson breakwater}
본 발명은 방파제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직립 방파제체인 케이슨 방파제에 있어서의 해수교환 시설을 가지는 방파제체의 구조에 대한 발명인 바, 방파제는 항만의 기본 외곽 시설로써 외해로부터 래습하는 파랑을 차단저지하여 항내의 수면 정온을 유지하며 항내의 각종 시설 및 정박하고 있는 선박등을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필수 시설이지만 방파제를 축조하므로서 외해의 청정해수의 항내 진입을 차단하여 항내의 해수와 외해의 해수교환이 차단정체되어 이러한 상태로 장기간이 경과하면 항내의 수질은 부패오염되어 환경적 차원에서 심각한 사회문제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외해로부터 밀려오는 파랑은 차단하여 내해의 해수면 정온을 유지하면서 외해의 해수와 내해의 해수가 파랑이나 조수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순환(교환) 되도록하는 구조의 방파제체가 제안되고 있으나 대부분 복잡한 구조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직립식 제체 구조인 케이슨을 사용하여 제체구조를 단순화하면서도 해수교환이 용이하도록하므로써 시공이 용이하며 내해로 유입되는 해수가 내해 해수 속으로 유도 유입되도록하여 항내 정온을 유지하면서 해수가 교환될 수 있도록 안출한 고안인 바, 이를 첨부한 도면 도1, 도2를 참고로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상으로 실시 구성되는 케이슨 방파제(1)의 해수교환 시설은 해저면(2) 상면에 소정높이와 폭으로 사석(3)으로 사석기초단(4)을 형성하고 이 사석기초단(4) 상면 중앙에 소정크기의 가로 세로 높이로되는 단위케이슨(10)을 수직,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거치하되 이 단위 케이슨(10)의 구조는 케이슨(10) 내부공간에 방파제 길이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이격된 2개의 수직격벽(11)(12)을 케이슨(10) 높이와 동일하게 입설하고 이 2개의 수직격벽(11)(12) 중간부를 직각으로 지나는 수직 횡격벽(13)을 입설하며 케이슨(10)의 전면벽(10a)과 수직격벽(11) 상단부에 각각 다수개의 4각해수통수구(14)를 동일 위치에 수평적으로 천설하고 수직격벽(12)에는 케이슨(10)의 전면벽(10a)과 수직격벽(11)에 천설한 4각해수통수구(14) 하단부 높이 위치에 상단부 위치가 일치되는 통수구(14a)를 천설하며 케이슨(10)의 배면벽(10b)에도 동일한 크기의 4각해수통수구(14b)를 천설하여 이 수직격벽(12)의 4각해수통수구(14a)와 케이슨(10) 배면벽(10b) 사이에 케이슨(10) 상측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평적으로 삽입개재되는 별도로 콘크리트로 성형한 4각해수통수관(15)을 삽입하여 이 4각해수통수관(15) 선단과 케이슨(10) 배면벽(10b)의 통수구(14b)와 일치, 연통되게 한 상태에서 케이슨(10)의 전면벽과 수직격벽(11) 사이의 공간에는 사석(3a)을 채움하여 사석(3a) 상면에 4각해수통수공(14) 하단부 위치와 일치하도록 사석피복블럭(16)을 포설하며 수직격벽(11)과 (12)사이 공간에도 사석(3b)을 채움하되 사석(3b) 상면에 수직격벽(12)에 천설된 4각통수구(14a) 하단부 위치와 일치하도록 사석피복블럭(16a)을 포설하며 수직격벽(12)과 케이슨(10) 배면벽 사이의 4각해수통수관(15)을 제외한 상하 내부공간에도 사석(3c)을 채움하며 4각해수통수관(15) 저면과 사석(3c) 상면 사이에도 사석피복블럭(16b)을 피복하며 이러한 구조의 케이슨 최상단에 캡콘크리트(20)를 타설 양생하여서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의 구조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은 구조가 간단명료하면서도 케이슨 중도하부에 사석이 충전되어 있어 외부파압에대한 제체의 저항내구력이 크므로 제체가 안정되고 상부로부터 제체 내부로 유입된 파랑은 내해측의 해수 속으로 위치변위되어 조용히 유입되게 되므로 해수교환은 원활하면서도 내해측 해수면의 정온을 유지할 수 있어 매우 유용한 해수교환 방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구성되는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의 부분사시도.
도2는 도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케이슨 방파제 3, 3a, 3c. 사석 10. 단위케이슨
11, 12. 수직격벽 13. 수직횡격벽 10a. 전면벽
14, 14a, 14b. 4각해수통수구 10b. 배면벽 20. 캡콘크리트
15. 4각해수통수관 16, 16a, 16b. 사석피복블럭

Claims (2)

  1. 케이슨 방파제(1)의 해수교환 시설의 구조를 구축함에 있어서, 사석기초단(4) 상면 중앙에 거치되는 케이슨(10) 내부공간에 등간격으로 2개의 수직격벽(11)(12) 중간부를 직각으로 지나는 수직 횡격벽(13)을 입설하며 케이슨(10)의 전면벽(10a)과 수직격벽(11) 상단부에 각각 다수개의 4각해수통수구(14)를 동일 위치에 수평적으로 천설하고 수직격벽(12)에는 케이슨(10)의 전면벽(10a)과 수직격벽(11)에 천설한 4각해수통수구(14) 하단부 높이 위치에 상단부 위치가 일치되는 통수구(14a)를 천설하며 케이슨(10)의 배면벽(10b)에도 동일한 크기의 4각해수통수구(14b)를 천설하여 이 수직격벽(12)의 4각해수통수구(14a)와 케이슨(10) 배면벽(10b) 사이에 케이슨(10) 상측 공간으로부터 하방으로 수평적으로 삽입개재되는 4각해수통수관(15)을 삽입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2. 제 1 항에 있어서, 케이슨(10)의 전면벽과 수직격벽(11) 사이의 공간에는 사석(3a)을 채움하여 사석(3a) 상면에 4각해수통수공(14) 하단부 위치와 일치하도록 사석피복블럭(16)을 포설하며 수직격벽(11)과 (12)사이 공간에도 사석(3b)을 채움하되 사석(3b) 상면에 수직격벽(12)에 천설된 4각통수구(14a) 하단부 위치와 일치하도록 사석피복블럭(16a)을 포설하며 수직격벽(12)과 케이슨(10) 배면벽 사이의 4각해수통수관(15)을 제외한 상하 내부공간에도 사석(3c)을 채움하며 4각해수통수관(15) 저면과 사석(3c) 상면 사이에도 사석피복블럭(16b)을 피복하며 이러한 구조의 케이슨 최상단에 캡콘크리트(20)를 타설 양생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10-2002-0052426A 2002-09-02 2002-09-02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100521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26A KR100521903B1 (ko) 2002-09-02 2002-09-02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426A KR100521903B1 (ko) 2002-09-02 2002-09-02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286U Division KR200297243Y1 (ko) 2002-09-03 2002-09-03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01A KR20040021001A (ko) 2004-03-10
KR100521903B1 true KR100521903B1 (ko) 2005-10-14

Family

ID=37325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426A KR100521903B1 (ko) 2002-09-02 2002-09-02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9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81Y1 (ko) 2009-01-23 2012-03-23 주현승 해수 소통을 위한 방파제용 케이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1979B1 (ko) 2022-11-08 2023-08-29 홍군희 촛대바위형 소파블록과 이를 이용한 방파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5941A (en) * 1975-11-28 1977-05-31 Nippon Pressed Concrete Kk Breakwater
KR100197794B1 (ko) * 1996-05-25 1999-06-15 최승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을 최소화하고 잡음의 영향을 줄여주기 위한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97765Y1 (ko) * 2000-04-26 2000-09-15 양원회 해수 순환 방파제
KR200201513Y1 (ko) * 2000-05-29 2000-11-01 양원회 해수 순환 방파제
JP2001317029A (ja) * 2000-05-02 2001-11-16 Genkai Ryo 消波機能と海水循環機能を有する直立ブロック防波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65941A (en) * 1975-11-28 1977-05-31 Nippon Pressed Concrete Kk Breakwater
KR100197794B1 (ko) * 1996-05-25 1999-06-15 최승원 무선통신시스템에서 간섭을 최소화하고 잡음의 영향을 줄여주기 위한 신호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197765Y1 (ko) * 2000-04-26 2000-09-15 양원회 해수 순환 방파제
JP2001317029A (ja) * 2000-05-02 2001-11-16 Genkai Ryo 消波機能と海水循環機能を有する直立ブロック防波堤
KR200201513Y1 (ko) * 2000-05-29 2000-11-01 양원회 해수 순환 방파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9381Y1 (ko) 2009-01-23 2012-03-23 주현승 해수 소통을 위한 방파제용 케이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01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7644B2 (en) Hydrophilic revetment block having seawater flow po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2103878U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防波堤结构
KR100521903B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200297243Y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101257798B1 (ko) 화단형 홍수벽
KR200201513Y1 (ko) 해수 순환 방파제
KR100374176B1 (ko) 해수교환방파제
KR101669934B1 (ko)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ITMI931223A1 (it) Sistema ambientale integrato, dissipatore di energia multifase
CN110939100A (zh) 一种防波堤构件及其应用
JP3739498B2 (ja) 護岸構造
KR100619574B1 (ko) 직립제 및 혼성제 혼용 방파제 구조
KR200340950Y1 (ko) 부력을 이용한 경량방파제
KR100554612B1 (ko) 호안구조
KR200284920Y1 (ko) 해수 교환 방파제
KR100491111B1 (ko) 해수 교환 방파제
KR200342307Y1 (ko)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 구조
KR200330345Y1 (ko) 해수 교환을 위한 직립식 월유방파제
KR200205594Y1 (ko) 직립식 방파제 두부구조
KR200236324Y1 (ko) 조류소통을 위한 방파제 개축구조
KR100374187B1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KR100529116B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KR200303605Y1 (ko) 직립식 방파제의 해수월류교환시설
KR200306394Y1 (ko)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KR200226344Y1 (ko) 하부 골조에 단위 소파블럭이 계지 조립되는 호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2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