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9116B1 -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 Google Patents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9116B1
KR100529116B1 KR10-2002-0049178A KR20020049178A KR100529116B1 KR 100529116 B1 KR100529116 B1 KR 100529116B1 KR 20020049178 A KR20020049178 A KR 20020049178A KR 100529116 B1 KR100529116 B1 KR 100529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tide
walls
breakwater
seawater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066A (ko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혜인이엔씨
Priority to KR10-2002-0049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9116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9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91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조수간만의 차(潮位次)가 크면서도 파랑의 규모가 비교적 적은 항만에 구축되는 조위차에 상관없는 해수교환 방파제의 구조에 대한 발명인 바, 조위가 높드라도 이때의 파랑을 방파, 저항할 수 있으며 이때의 조수의 내해로의 유입량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조위가 낮을 경우에도 이에 대응되게 파랑의 저항체 구실을 함과 아울러 해수교환이 원활하도록 조위차가 큰 위치에 적합한 해수교환 방파제의 제체 구조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Seawater exchange breakwater of area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se and fall of the tide is large}
본 발명은 방파제의 제체 구조에 대한 발명으로서 방파제는 항만의 기본 시설로서 외해로 부터 밀려오는 파랑을 차단하여 항내의 수면 정온을 유지하고 항만 내의 각종 시설물을 파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시설인 바, 방파제체는 여러 구조 형태의 방파제체인 사석제, 직립제, 혼성제를 막론하고 해저면으로 부터 제체가 구축되어 해수면 상면으로 돌출되게 구축하므로 조수간만에 의하여 밀물시 외해로부터의 해수가 내해로 유입되거나 썰물시 내해의 해수가 외해로 빠져나가는 현상인 조류(潮流)가 방파제에 의하여 차단되므로 내해의 해수가 정체되어 내해 해수 수질을 악화시키므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지 못하도록 최근에는 각종 구조의 해수통수가 자유로운 해수교환 방파제가 제안 시공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제시된 내해와 외해의 해수가 조수에 의하여 원활히 교류되도록 하므로써 내해의 해수가 정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여러 구조의 해수 교환 방파제는 썰물시의 해수 높이를 기준으로 해수가 교환될 수 있도록 통상 방파제 제체 하부에 각종 구조의 해수교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 기상 상태와 지역에 따라 해수 교환기능과 상관없이 방파제체를 파랑이 월파하여 내해 해수면을 교란시키므로 내해의 정온에 장애가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해수교환 방파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조수간만의 차(潮位次)가 크면서도 파랑의 규모가 비교적 적은 항만에 구축되는 해수교환 방파제의 구조에 대한 발명인 바, 조위가 높드라도 조위차에 관계없이 계단식 파제벽을 두어 파제벽에 래습되는 파랑을 월유시켜 배출구를 통하여 수면하로 배출되게 하므로 내해측에 파랑이 전달되지 않으며 조위에 따르는 해수의 유통을 원활히 이루어 지게하는 구조에 대한 발명인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상으로 실시 구성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1)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해저면(2) 상면에 사석(3) 기초단(4)을 소정 높이와 폭으로 구비하고 이 사석(3) 기초단(4) 상면 중도부에 본 발명상으로 실시 구성되는 해수교환 방파제체 단위 구조체(10)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외해측(도면에 표기함)에 위치되는 단위 구조체(10)의 전면을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의 계단식으로 되는 다수단의 전면벽체(11)(11a)(11b)를 수직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한 상태로 입설하고 각 전면벽체(11)(11a)(11b) 전면에는 반원형 수직 돌출간(12)을 일정한 거리로 이격한 상태에서 돌설하되 전면벽체(11)(11a)의 반원형 수직 돌출간(12) 사이에는 각각 다수개의 해수 통수공(13)을 천설하여 이러한 각 전면벽체(11)(11a)(11b) 좌, 우측에는 각 전면벽체(11)(11a)(11b)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계단식 좌, 우측벽(14)(14a)으로 밀폐되고 각 전면벽체(11)(11a)(11b) 하부 배면측으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저판면(15)(15a)(15b)이 구비되되 이 각 저판면(15)(15a)(15b) 사이는 소정 높이의 공간부(16)(16a)를 두어 이 공간부(16)(16a)를 통로로 하여 외해와 내해의 해수의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각 계단식 좌, 우측벽의 전면벽체(11)(11a)쪽으로 측방 해수 통수공(17)(17a)을 천설하므로서 방파제 구축시 전면뿐만 아니라 측면으로도 해수가 교환될 수 있게 하므로 보다더 해수교환이 원활하며 최상단 전면벽체(11b)의 배면측의 저면판(15b) 선단은 수직으로 배면벽체(18)를 입설하므로서 함괴 형태로 되게하여 내부에 사석(3) 충전을 하므로써 방파제체가 외파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자중을 가지게하여 제체 안정을 도모하며 이 전면벽체(11b)와 배면벽체(18)와 계단식 좌, 우측벽(14)(14a)의 최상단 선단에 캡콘크리트(20)를 현장 타설 양생하도록 하여서 본 발명상으로 실시 구성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의 구조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상으로 구성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1)는 조위차가 높은 위치에 구축하므로써 조위차의 높이 정도에 관계없이 다수단으로 해수 통수 통로인 공간부(16)(16a)가 구비되어 있어 해수 높이에 대응되게 해수를 유입 소통시키면서도 다수단의 전면벽체(11)(11a)(11b)가 수직으로 구비되어 있어 파랑을 저지하며 측면 파랑은 반원형 수직 돌출간(12)에 부딪혀 파력이 감쇄되고 상부로부터 사석(3)에 의한 수직 하중이 가해지므로 제체가 외파에 견딜 수 있으며 비교적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제체의 안정성이 유지될 수 있는 방파제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상으로 실시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의 제체 단위 구조체를 도시한 일부 절결 사시도.
도2는 도1에서의 A-A'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단위 구조체 11, 11a, 11b. 전면벽체 12. 반원형 수직 돌출간
13. 해수 통수공 14, 14a. 계단식 좌, 우측벽 15, 15a,15b. 저면판
16, 16a. 공간부 17, 17a. 측방 해수 통수공 18. 배면벽체
20. 캡콘크리트

Claims (1)

  1. 조위차가 높은 지역에 구축되는 해수교환 방파제(1)의 제체를 다수개의 단위 구조체(10)를 연결하여 구축하되 이 단위 구조체(10)의 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단위 구조체(10)의 전면을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폭의 계단식으로 되는 다수단의 전면벽체(11)(11a)(11b)를 수직으로 소정 거리로 이격한 상태로 입설하고 각 전면벽체(11)(11a)(11b) 전면에는 반원형 수직 돌출간(12)을 일정한 거리로 이격한 상태에서 돌설하되 전면벽체(11)(11a)의 반원형 수직 돌출간(12) 사이에는 각각 다수개의 해수 통수공(13)을 천설하며 이러한 각 전면벽체(11)(11a)(11b) 좌, 우측에는 각 전면벽체(11)(11a)(11b)와 직각으로 연결되는 계단식 좌, 우측벽(14)(14a)으로 밀폐되고 각 전면벽체(11)(11a)(11b) 하부 배면측으로 직각으로 연결되는 저판면(15)(15a)(15b)이 구비되되 이 각 저판면(15)(15a)(15b) 사이는 소정 높이의 공간부(16)(16a)를 두며 각 계단식 좌, 우측벽의 전면벽체(11)(11a)쪽으로 측방 해수 통수공(17)(17a)을 천설하고 최상단 전면벽체(11b)의 배면측의 저면판(15b) 선단은 수직으로 배면벽체(18)를 입설하여 내부에 사석(3) 충전을 하며 이 전면벽체와 배면벽체(18)와 계단식 좌, 우측벽(14)(14a)의 최상단 선단에 캡콘크리트(20)를 현장 타설 양생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KR10-2002-0049178A 2002-08-20 2002-08-20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KR100529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178A KR100529116B1 (ko) 2002-08-20 2002-08-20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178A KR100529116B1 (ko) 2002-08-20 2002-08-20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941U Division KR200297224Y1 (ko) 2002-08-21 2002-08-21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066A KR20040017066A (ko) 2004-02-26
KR100529116B1 true KR100529116B1 (ko) 2005-11-15

Family

ID=3732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178A KR100529116B1 (ko) 2002-08-20 2002-08-20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9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9040B1 (ko) * 2013-09-11 2014-03-27 김석문 방파제 구조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4827A (ja) * 1987-11-10 1989-05-17 Citizen Watch Co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2104808A (ja) * 1988-10-11 1990-04-17 Unyusho Daisan Kowan Kensetsu Kyokucho 消波式階段護岸ブロック
KR200224547Y1 (ko) * 2000-12-19 2001-05-15 양원회 다단계의 계단식 경사면을 가진 호안의 조립구조
KR200238750Y1 (ko) * 2001-04-02 2001-10-10 원 회 양 방파제 상치콘크리트 상단에 구비되는 월파방지와 조망용계단시설
KR200300435Y1 (ko) * 2002-09-11 2003-01-14 원 회 양 다층 직립식 방파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4827A (ja) * 1987-11-10 1989-05-17 Citizen Watch Co Ltd カラー液晶表示装置
JPH02104808A (ja) * 1988-10-11 1990-04-17 Unyusho Daisan Kowan Kensetsu Kyokucho 消波式階段護岸ブロック
KR200224547Y1 (ko) * 2000-12-19 2001-05-15 양원회 다단계의 계단식 경사면을 가진 호안의 조립구조
KR200238750Y1 (ko) * 2001-04-02 2001-10-10 원 회 양 방파제 상치콘크리트 상단에 구비되는 월파방지와 조망용계단시설
KR200300435Y1 (ko) * 2002-09-11 2003-01-14 원 회 양 다층 직립식 방파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066A (ko)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4013B2 (en) Prefabricated breakwater
WO2006109912A1 (en) Hydrophilic revetment block having seawater flow po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214832375U (zh) 一种生态浮动防洪护岸
KR100529116B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97224Y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JP7285392B2 (ja) L型ケーソン構造
KR100906114B1 (ko) 소파블럭 직립 적치식 방파제 및 설치방법
KR100706288B1 (ko) 호안구조물 양압력 해소용 에어파이프 설치구조
KR100584665B1 (ko) 깊은 심해에 시공되는 계단식 방파제
KR100745795B1 (ko)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KR100374176B1 (ko) 해수교환방파제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CN210459092U (zh) 透空防波堤
KR20090021904A (ko) 골조식 소파기능을 가지는 방파제 블럭
KR200235686Y1 (ko) 도로하천 제방 물고기 보호용 호안블럭
KR100521903B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200330345Y1 (ko) 해수 교환을 위한 직립식 월유방파제
KR200297243Y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200352921Y1 (ko) 해수유통 케이슨 방파제
KR100554612B1 (ko) 호안구조
KR200317703Y1 (ko) 해수 교환기능과 소파기능을 가지는 직립식 방파제
KR100892375B1 (ko) 조립식 호안블록
KR20080107144A (ko) 골조식 선박 접안시설
KR200284996Y1 (ko) 중공블럭을 이용한 해수교환 방파제
JP2000087399A (ja) 遮水壁体を有する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