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5795B1 -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 Google Patents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5795B1
KR100745795B1 KR1020060083306A KR20060083306A KR100745795B1 KR 100745795 B1 KR100745795 B1 KR 100745795B1 KR 1020060083306 A KR1020060083306 A KR 1020060083306A KR 20060083306 A KR20060083306 A KR 20060083306A KR 100745795 B1 KR100745795 B1 KR 100745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late portion
water supply
upper plate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3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봉호
Original Assignee
전봉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호 filed Critical 전봉호
Priority to KR10200600833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57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5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5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일측에 물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보조물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의 조립홈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판부와;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의 물공급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하판부의 물배출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물저장부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물저장부의 둘레를 따라 상판부, 하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측판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물공급구는 단면적이 크고, 물배출구는 단면적을 작게 해 일단 블록 내부에 공급된 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담수 능력을 향상시켜 수해 를 방지할 수 있다.
제방, 블록, 물, 저장, 콘크리트

Description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PREFABRICATED LEVEE BLOCK FOR PREVENTING OF FLOOD DAMAGE}
도 1은 종래의 조립식 제방 블록을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을 나타낸 부분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조립식 제방 블록의 측판부에 측면물공급구와 측면물배출구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조립식 제방 블록의 계단 형으로 조립되는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조립식 제방 블록의 물저장부에 중량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상판부 11 : 물공급구
12 : 조립홈 13 : 보조물공급구
20 : 하판부 21 : 물배출구
22 : 조립돌기 30 : 물저장부
40 : 측판부 41 : 측면물공급구
42 : 측면물배출구 43 : 물흐름유도홈
50 : 중량부재 60 : 폐기물
본 발명은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제방은 하천의 범람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 가에 설치되는 것으로 종래에는 이러한 제방을 돌망태나 흙 등을 쌓아 설치했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제방은 붕괴의 위험성이 많아 최근에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제방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화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제방 블록에 관한 기술로 각종 방향표지만, 광고판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된 형태의 '조립식 옹벽 블록'(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1122호)가 안출되었다.
또, 내부가 빈 형태로 되어 있고, 내부에 폐기물을 채워 넣도록 한 '조립식 블럭'(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15453호)가 안출되기도 하였다.
위와 같은 제방 블록들은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이 개구부에 구 조적으로 안전성을 가하기 위해 폐기물(60)이나 흙, 돌 등을 채워 넣도록 하였다.
그런데, 청계천과 같이 폭이 좁은 하천에 집중호우로 인해 한꺼번에 많은 물이 공급되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위와 같은 제방 블록들은 별도로 물을 저장하는 기능을 갖지 못해 하천의 범람을 막을 수 없었다.
즉, 여분의 물 저장공간을 갖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 블록 내부의 빈 공간에 채워진 자갈, 흙, 폐기물이 급류에 의해 밖으로 빠져나와 급류와 함께 유실되므로 하류의 오염을 발생시키고, 제방의 지지력이 약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블록 자체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해 집중 호우시 하천의 물이 불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하려는 목적이 있다.
특히, 물공급구는 단면적이 크고, 물배출구는 단면적을 작게 해 일단 블록 내부에 공급된 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담수 능력을 향상시켜 수해 방지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려는 목적도 있다.
또한,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해 다양한 방식의 조립이 가능하게 하려는 목적도 있다.
본 발명은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은, 내부에 물저장부가 형성되어 있어 범람하려는 물을 저장해 수해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특히, 물의 저장 속도는 빠른 반면 배출 속도는 느려 저장된 물의 배출이 늦어 하천 쪽으로 물이 유입되는 속도를 늦춰 하천의 범람을 막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일측에 물공급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보조물공급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홈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물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의 조립홈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하판부와; 상판부와 하판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의 물공급구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하판부의 물배출구를 통해 물이 배출되는 물저장부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물저장부의 둘레를 따라 상판부, 하판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측판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은 콘크리트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물저장부(30)가 형성되어 있으며, 물저장부(30)를 기준으로 상부에 상판부(10), 하부에 하판부(20), 측면 둘레에 측판부(40)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상판부(10)는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일측에 물공급구(1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타측에 보조물공급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홈(12)이 형성되어 있다.
물공급구(11)의 위치는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물공급구(11)의 위치는 조립홈(12) 설치 위치 즉, 조립홈(12)의 하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홈(12)의 설치 간격은 가로, 세로가 모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판부(10)의 가로, 세로의 길이는 조립홈(12)의 설치 간격에 맞추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립홈(12)의 설치 간격에 맞추어 엇갈려서도 조립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물공급구(13)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물공급구(11)보다 크게 형성해 대부분의 물이 보조물공급구(13)를 통해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물공급구(13)의 형성 이유는 급수 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하판부(20)는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10)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물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10)의 조립홈(12)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돌기(22)가 형성되어 있다.
물배출구(21)의 위치는 임의적으로 설정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처럼 조립돌기(22) 설치 위치, 즉, 조립돌기(22)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립돌기(22)의 설치 간격은 조립홈(12)의 설치 간격과 동일하고, 설치 위치 역시 평면도 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를 보면 상판부(10)의 조립홈(12)과 하판부(20)의 조립돌기(22)가 서로 맞물려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도 2에서는 조립홈(12)과 조립돌기(2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 한 칸씩 엇갈려 조립하였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각기 조립홈(12)과 조립돌기(22)에 위치시킨 물공급구(11)와 물배출구(21)의 배치인데, 도 2를 보면 물공급구(11)와 물배출구(21)는 4열로 된 조립홈(12), 조립돌기(22) 중 뒷부분 세 군데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결국, 맨 앞과 맨 뒤의 물배출구(21)를 통해서는 물이 배출되지 않아 물의 배출 속도를 늦춰 물저장부(30)에 물이 저장된 상태에서 천천히 배수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한편, 물공급구(11)와 물배출구(21)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에 동일한 크기와 개소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물 공급은 물공급구(11)와 보조물공급구(13)를 통해 이루어지고, 물의 배출은 물배출구(21)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물공급구(11)와 물배출구(21)의 개소가 같으므로 물의 공급은 빠른 시간에 많이 이루어지는 반면, 물의 배출은 더디게 진행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물저장부(30)는 상판부(10)와 하판부(20)의 사이의 내부 공간으로 상판부(10)의 물공급구(11)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하판부(20)의 물배출구(21)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물저장부(30)에 합성수지로 된 중량부재(50)를 설치해 무게중심을 잘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량부재(50)의 설치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측판부(40)는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물저장부(30)의 둘레를 따라 상판부(10), 하판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측판부(40)는 상판부(10)와 하판부(20) 둘레를 서로 연결해주도록 콘크리트로 되어 있다.
이러한 측판부(40)의 대부분은 지중이나 인접한 블록에 맞닿게 되므로 별도의 가공 및 타공이 필요 없다.
단지, 도 4와 같이 하천에 접하는 부분에는 추가적인 측면물공급구(41)와 측 면물배출구(42)를 형성할 수 있다.
상판부(10)에 형성된 물공급구(11)가 범람하는 물이 유입되는 역할을 한다면, 측면물공급구(41)는 범람 전의 물이 유입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즉, 물이 범람하기 전에 측면물공급구(41)로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측면물공급구(41)와 측면물배출구(42)는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유입은 빠르게, 배출은 더디게 하기 위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면물공급구(41)는 다수개로,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하고, 측면물배출구(42)는 적은 개수로 작은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측판부(40)에는 블록들이 다수 개 조립된 상태에서 물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도록 물흐름유도홈(43)을 형성할 수도 있다.
특히 물흐름유도홈(43)은 측면물공급구(41)와 측면물배출구(42)와 연결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방 블록이 조립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상부 제방 블록의 하판부(20) 조립돌기(22)가, 하부 제방 블록의 상판부(10) 조립홈(12)에 삽입됨으로써 조립된다.
이러한 형태로 다단을 하천 양 측면에 제방 블록이 조립된 상태에서 하천의 수량이 늘게 되면 제방 블록을 넘어 넘치려 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방 블록은 내부에 물저장부(30)가 형성되어 있어 어느 정도의 물이 물저장부(30)로 유입되어 범람 시간을 늦춰주게 된다.
특히, 물의 유입 속도는 빠르고 배출 속도는 늦어 범람 시간을 많이 늦춰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해, 블록 자체에 물을 저장하는 공간을 형성해 집중 호우시 하천의 물이 불어 범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물공급구는 단면적이 크고, 물배출구는 단면적을 작게 해 일단 블록 내부에 공급된 물이 서서히 배출되도록 하여 담수 능력을 향상시켜 수해 방지 기능이이 향상된다.
또한, 조립돌기와 조립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해 다양한 방식의 조립이 가능해진다.

Claims (6)

  1. 제방 블록에 있어서,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일측에 물공급구(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 보조물공급구(13)가 형성되어 있고,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홈(12)이 형성되어 있는 상판부(10)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상판부(10)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측에 물배출구(21)가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10)의 조립홈(12)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저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돌기(22)가 형성되어 있는 하판부(20)와;
    상기 상판부(10)와 하판부(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판부(10)의 물공급구(11)를 통해 물이 유입되고, 하판부(20)의 물배출구(21)를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되어 있는 물저장부(30)와;
    콘크리트 재질로 되어 있고, 상기 물저장부(30)의 둘레를 따라 상판부(10), 하판부(20)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측판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구(11)는 조립홈(12)에 형성되어 있고, 물배출구(21)는 조립돌기(22)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저장부(30)에 합성수지로 된 중량부재(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40)의 상부 일측에 측면물공급구(41)가 형성되어 있고, 측판부(40)의 하부 일측에 측면물배출구(42)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물공급구(41)의 전체 단면적은 측면물배출구(42)의 전체 단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40)에 수직 방향으로 물흐름유도홈(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KR1020060083306A 2006-08-31 2006-08-31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KR100745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306A KR100745795B1 (ko) 2006-08-31 2006-08-31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306A KR100745795B1 (ko) 2006-08-31 2006-08-31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5795B1 true KR100745795B1 (ko) 2007-08-03

Family

ID=3860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306A KR100745795B1 (ko) 2006-08-31 2006-08-31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579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39B1 (ko) 2008-08-07 2012-04-13 전봉호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KR101816832B1 (ko) * 2016-07-12 2018-01-11 대림산업 주식회사 가물막이댐의 증고를 위한 자립형 이동식 차수구조물
CN113250138A (zh) * 2021-06-02 2021-08-13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拼接的防洪模块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993Y1 (ko) 2001-09-12 2002-03-15 주식회사 다룸 원지반 식생 환경블록
KR200290673Y1 (ko) 2002-07-12 2002-10-04 코리콤주식회사 벽체형 조립식 블록
KR200290722Y1 (ko) 2002-05-27 2002-10-04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고강도플래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을 이용한블럭식 보강토 옹벽
KR20050035408A (ko) * 2003-10-13 2005-04-18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7993Y1 (ko) 2001-09-12 2002-03-15 주식회사 다룸 원지반 식생 환경블록
KR200290722Y1 (ko) 2002-05-27 2002-10-04 주식회사 건양기술공사 건축사사무소 고강도플래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을 이용한블럭식 보강토 옹벽
KR200290673Y1 (ko) 2002-07-12 2002-10-04 코리콤주식회사 벽체형 조립식 블록
KR20050035408A (ko) * 2003-10-13 2005-04-18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전면 구배 조정수단이 구비된 식재 옹벽블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39B1 (ko) 2008-08-07 2012-04-13 전봉호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KR101816832B1 (ko) * 2016-07-12 2018-01-11 대림산업 주식회사 가물막이댐의 증고를 위한 자립형 이동식 차수구조물
CN113250138A (zh) * 2021-06-02 2021-08-13 中印恒盛(北京)贸易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拼接的防洪模块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152B1 (ko) 하천의 범람 및 월파를 방지하는 부력식 물막이 블록의 차수 장치
KR100745795B1 (ko) 수해 방지용 조립식 제방 블록
JP4979797B2 (ja)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JP4835940B2 (ja) 堤脚保護擁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JP2020012356A (ja) 氾濫防止機構を備えた堤防
KR101019677B1 (ko) 친환경 가동식 홍수방지벽
JP2005220610A (ja) 連流型スリット砂防ダム
JP2008240385A (ja) 河水貯水施設
JP4097222B2 (ja) 河川・砂防構造物および河川・砂防構造物構築用ブロック材
KR200318120Y1 (ko) 사각 블록과 계단 블록을 이용한 하천 제방의유실방지법면 보호구조
KR100541841B1 (ko) 하천제방블록의 체결구조
KR101373030B1 (ko) 부력식 수류저감벽체를 구비한 호안 블록
KR200259043Y1 (ko) 우수침수용 수로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101134039B1 (ko) 담수능력이 있는 적층식 제방블록
KR100510884B1 (ko) 자연석을 이용한 취입보 설치공법
KR200327422Y1 (ko) 하천제방 보호용 법면블록
JP2012041744A (ja) 河川における水害防止方法および防止構造
KR100654304B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RU2776485C1 (ru) Противопаводковая плотина
KR200297220Y1 (ko) 식생호안블럭
KR100933510B1 (ko) 조력발전용 복층형 수문 구조물
KR100934098B1 (ko) 식생공간과 어류집을 구비한 호안 겸용 옹벽블록
KR200408221Y1 (ko) 친환경적인 하천 호안 시설물
KR100372098B1 (ko) 방파제용 후위 유수지 케이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