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9934B1 -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Google Patents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9934B1 KR101669934B1 KR1020140045797A KR20140045797A KR101669934B1 KR 101669934 B1 KR101669934 B1 KR 101669934B1 KR 1020140045797 A KR1020140045797 A KR 1020140045797A KR 20140045797 A KR20140045797 A KR 20140045797A KR 101669934 B1 KR101669934 B1 KR 1016699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key
- block
- semicircular
- revetm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안 비탈면에 피복하여 파랑을 소파시키는 것은 물론, 진입파랑이 호안블록에 형성된 통수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해양의 자연현상을 감상할 수 있는 호안블록에 관한 발명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형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면차단벽 및 상기 차단벽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단에 접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후면차단벽 및 상기 후면차단벽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반원형 기둥벽체와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양측면 받침판 상면에 형성되는 파랑분출공간부; 상기 전면물유입구에서 후면물유입구 측으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과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파랑이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 기둥벽체통수공;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에 숫키와 숫키, 암키와 암키, 숫키와 암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결합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탈면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파랑을 소파하면서 외부로 분출을 하도록 하여 내방객에게 해양의 자연현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사각 형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면차단벽 및 상기 차단벽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단에 접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후면차단벽 및 상기 후면차단벽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반원형 기둥벽체와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양측면 받침판 상면에 형성되는 파랑분출공간부; 상기 전면물유입구에서 후면물유입구 측으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과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파랑이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 기둥벽체통수공;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에 숫키와 숫키, 암키와 암키, 숫키와 암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결합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탈면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파랑을 소파하면서 외부로 분출을 하도록 하여 내방객에게 해양의 자연현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안의 비탈면을 보호하기 위한 호안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안 비탈면에 피복하여 파랑을 소파시키는 것은 물론, 진입파랑이 호안블록에 형성된 통수공을 통해 외부로 분출되어 해양의 자연현상을 감상할 수 있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범람을 방지하고 파랑을 소파시키기 위해 구축하는 사석제 호안에는 비탈면에는 피복석을 피복하여 보호하였으나, 피복석의 특성상 채취 과정에서 1㎥ 급 이상의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여 최근에는 일정한 형태의 소형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하여 피복하기도 한다.
그러나, 종래 콘크리트 블록은 비탈면의 기초사석의 유실을 방지하는 역할은 가능하지만 파랑의 진입 시 파랑을 소파하여 소진시킴으로써 파랑이 바위에 부딪치는 자연현상을 보여주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최근 해양자연을 감상하고자 하는 관광객과 여가활용 장소로 해안을 찾는 관광객이 늘어남에 따라 파랑을 소파하여 호안의 안전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내방객에게 친수성과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 과제로 떠 오르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실2000-001719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비탈면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파랑을 소파하면서 외부로 분수 형태로 분출을 하도록 함으로써, 내방객에게 해양의 자연현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놀거리, 쉴거리 및 학습 목적으로 활용하여 다기능 친수시설을 제공하는데 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각 형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면차단벽 및 상기 차단벽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단에 접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후면차단벽 및 상기 후면차단벽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반원형 기둥벽체와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양측면 받침판 상면에 형성되는 파랑분출공간부; 상기 전면물유입구에서 후면물유입구 측으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과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파랑이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 기둥벽체통수공;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에 숫키와 숫키, 암키와 암키, 숫키와 암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결합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과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 측면에는 각각 측면 기둥벽체통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물유입구와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물유입구의 바닥면 받침판에는 하부통수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받침판의 저면 양측에는 부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부벽에는 받침판에 형성된 결합키와 동일한 형태의 결합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호안블록의 암수의 결합키와 암수의 결합키가 접하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키 공간부에는 쐐기블록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 구축공법에 따르면, 호안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호안의 비탈면 최하단에 하단의 호안블록을 경사지게 축설하고, 상기 축설된 하단의 호안블록 상단에 마찬가지로 호안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단의 호안블록을 경사지게 축설하되, 상기 하단의 호안블록과 상단의 호안블록이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도록 축설함으로써 하단 호안블록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 끝단과 상단 호안블록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의 끝단이 만나 문양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하단의 호안블록이 축설된 후 하단의 호안블록과 동일 높이로 사석을 채워 호안을 구축한 후 상단의 호안블록을 축설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 구축공법에 따르면, 상기 결합키가 암키와 암키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암키의 결합키와 암키의 결합키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키 공간부에는 쐐기블록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탈면을 보호하는 것은 물론, 파랑을 소파하면서 파랑이 외부로 분출을 하도록 하여 내방객에게 해양의 자연현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A-A' 선단면도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결합키가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기둥벽체통수공이 형성된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B-B' 선단면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부벽이 부가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결합키가 암키와 암키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부벽이 부가된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A-A' 선단면도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결합키가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기둥벽체통수공이 형성된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B-B' 선단면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부벽이 부가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결합키가 암키와 암키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부벽이 부가된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A-A' 선단면도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결합키가 다른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서 기둥벽체통수공이 형성된 호안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B-B' 선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은 받침판(110)과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 및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 그리고 기둥벽체통수공(140)과 파랑분출공간부(150) 및 결합키(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받침판(110)은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사각 형태로 마련된다.
여기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는 받침판(110)의 상면 중앙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의 전면차단벽(122)과 전면차단벽(122)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물유입구(124)를 포함한다.
여기서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는 받침판(110)의 상면 중앙측에서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반원형의 후면차단벽(132)과 후면차단벽(132)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물유입구(134)를 포함한다. 그리고,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차단벽(132)은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차단벽(122)의 후단과 서로 접하도록 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기둥벽체통수공(140)은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물유입구(124)에서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차단벽(132)을 관통하여 후면물유입구(134)까지 형성된다.
또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물유입구(124) 바닥면 받침판(110)과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물유입구(134) 바닥면 받침판(110)에는 하부통수공(126)(136)이 각각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차단벽(122)과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차단벽(132) 측면에는 각각 전면물유입구(124) 및 후면물유입구(134)와 연통되도록 측면 기둥벽체통수공(128)(138)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파랑분출공간부(150)는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와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양측면, 받침판(110) 상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결합키(160)는 호안블록(100)의 결합 시 결속력이 양호하도록 받침판(1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양측의 결합키(160)는 숫키와 숫키, 암키와 암키, 숫키와 암키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암키의 결합키(160)와 암키의 결합키(160)가 서로 접하는 경우에는 결합키 공간부(162)가 형성되며, 결합키 공간부(162)에 삽입 결합되는 쐐기블록(164)이 구비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부벽이 부가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은 받침판(110)의 저면 양측에 소정의 길이로 부벽(150)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부벽(150)에는 받침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키(140)와 동일한 형태의 결합키(140)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아울러,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차단벽(122)과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차단벽(132)에는 각각 모따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은 호안의 제방 비탈면 기초사석 위에 구축되는데, 마운드 위에 설치된 받침블록을 받침대 삼아 구축함으로써 침하의 염려를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의 결합키가 암키와 암키가 서로 접하여 결합되는 경우를 도시한 일부 예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에 부벽이 부가된 호안블록이 호안에 구축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축설되는 호안블록(100)과 호안블록(100)은 받침판(110)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160)를 서로 대접되도록 결합하는 바, 암키에는 숫키, 숫키에는 암키가 결합되도록 결합하여 다수단으로 축설한다.
이는 제방 비탈면의 경사도가 1:1.5 정도일 때가 적당하며, 경사도가 1:1 정도일 경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부벽(170)이 형성된 호안블록(100)을 축설하는 바, 부벽(170)의 사이에는 사석을 채움하여 축설한다.
이때, 호안의 비탈면 최하단에 하단 호안블록(100)을 결합 축설하고 하단 호안블록(100)의 상단에는 상단 호안블록(100)을 축설하되, 하단 호안블록(100)과 상단 호안블록(100)이 어긋나도록 축설함으로써, 하단 호안블록(100)의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차단벽(132)과 상단 호안블록(100)의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차단벽(132)의 끝단이 만나면서 전체적으로 장구 형태의 문양을 이룬다. 또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의 전면차단벽(122)과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후면차단벽(132) 측면에 형성된 파랑분출공간부(150)도 한 공간에 모여져 독창적인 문양을 형성한다.
한편, 경사도가 1:1 정도가 되어 부벽(150)이 형성된 호안블록(100)을 축설하는 경우에는 제방의 비탈면을 미리 구축하지 않고, 하단의 호안블록(100)이 축설된 후 하단의 호안블록(100)과 동일 높이로 사석을 채워 비탈면의 일부를 구축한다. 그리고, 다시 하단의 호안블록(100) 상단에 상단 호안블록(100)을 구축한 후 다시 사석을 채워 비탈면의 일부를 구축하는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비탈면 최상단 어깨부에는 비탈면과 동일한 호안블록(100)을 거치하되, 비탈면과 연결이 잘 되도록 변곡부에 바닥 콘크리트를 조성하고 상치 캡콘크리트(200)와 인접하는 부위에 호안블록(100)을 설치한다.
특히, 암수의 결합키(160)와 암수의 결합키(160)가 서로 접하여 구축이 되어 결합키 공간부(16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쐐기블록(164)이 삽입되어 양측의 호안블록(100)이 결합되도록 한다.
이렇게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이 축설된 해안의 비탈면에 파랑이 치게 되면, 물과 접하는 하단의 호안블록(100)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물유입구(124)로 유입되어 기둥벽체통수공(140)을 통해 상측의 후면물유입구(134) 측으로 분출된다.
또한, 파랑의 일부는 전면차단벽(122)과 후면차단벽(132)에 형성된 측면 기둥벽체통수공(128)(138)을 통해 분출되기도 한다.
아울러, 호안블록(100)의 저면에 구축된 제방의 비탈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수압은 받침판(110)에 형성된 하부통수공(126)(136)으로 인해 호안블록(100)에 가해지는 압력이 줄어들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호안블록(100)이 수중에 잠긴 상태로 축설되는 경우에는 호안블록(100)의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120)와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130)의 사이 및 기둥벽체통수공(140)은 어류가 대피하거나 이동을 할 수 있는 어도(魚道)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100)은 원지반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우, 경사면과 동일하게 기울어지도록 호안블록(100)의 좌우면은 수직으로 되면서도 상하는 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마름모꼴 형태로 제작 거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안블록(100)은 조립과정에서 단위 호안블록(100)의 문양과는 전혀 다른 형태의 문양이 도출되므로 새로운 디자인 장식효과가 있으며, 해안 관광지를 찾는 내방객에게 파랑이 분출되는 자연 현상 그대로의 현상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함으로 친수성 및 해양 체험 및 볼거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0 : 호안블록 110 : 받침판
120 :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 122 : 전면차단벽
124 : 전면물유입구 126,136 : 하부통수공
128,138 : 측면 기둥벽체통수공 130 :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
132 : 후면차단벽 134 : 후면물유입구
140 : 기둥벽체통수공 150 : 파랑분출공간부
160 : 결합키 162 : 결합키 공간부
164 : 쐐기블록 170 :부벽
120 :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 122 : 전면차단벽
124 : 전면물유입구 126,136 : 하부통수공
128,138 : 측면 기둥벽체통수공 130 :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
132 : 후면차단벽 134 : 후면물유입구
140 : 기둥벽체통수공 150 : 파랑분출공간부
160 : 결합키 162 : 결합키 공간부
164 : 쐐기블록 170 :부벽
Claims (10)
- 사각 형태의 받침판;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전면차단벽 및 상기 전면차단벽의 전면에 마련되는 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단에 접하도록 상기 받침판의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후면으로 개방되어 반원형으로 형성되는 후면차단벽 및 상기 후면차단벽의 후면에 마련되는 후면물유입구를 포함하는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
상기 전면반원형 기둥벽체와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양측면 받침판 상면에 형성되는 파랑분출공간부;
상기 전면물유입구에서 후면물유입구 측으로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과 상기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파랑이 유입되도록 하는 중앙 기둥벽체통수공;
상기 받침판의 양측면에 숫키와 숫키, 암키와 암키, 숫키와 암키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결합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의 측면과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의 측면에는 측면 기둥벽체통수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물유입구와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물유입구의 바닥면 받침판에는 하부통수공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의 저면 양측에는 부벽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부벽에는 받침판에 형성된 결합키와 동일한 형태의 결합키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의 암수의 결합키와 암수의 결합키가 접하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키 공간부에는 쐐기블록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호안블록의 암수의 결합키와 암수의 결합키가 접하여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키 공간부에는 쐐기블록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호안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호안의 비탈면 최하단에 하단의 호안블록을 경사지게 축설하고,
상기 축설된 하단의 호안블록 상단에 마찬가지로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호안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단을 축설하되,
상기 하단의 호안블록과 상단의 호안블록이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도록 축설함으로써 하단 호안블록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 끝단과 상단 호안블록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의 끝단이 만나 문양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키가 암키와 암키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암키의 결합키와 암키의 결합키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키 공간부에는 쐐기블록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제 4항의 호안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호안의 비탈면 최하단에 하단의 호안블록을 경사지게 축설하고,
상기 축설된 하단의 호안블록 상단에 마찬가지로 제 4항의 호안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키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여 상단의 호안블록을 경사지게 축설하되,
상기 하단의 호안블록과 상단의 호안블록이 서로 어긋나게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하도록 축설함으로써 하단 호안블록 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후면차단벽 끝단과 상단 호안블록 전면 반원형 기둥벽체의 전면차단벽의 끝단이 만나 문양을 이루도록 하며,
상기 하단의 호안블록이 축설된 후 하단의 호안블록과 동일 높이로 사석을 채워 호안을 구축한 후 상단의 호안블록을 축설하는 작업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키가 암키와 암키가 결합되는 경우, 상기 암키의 결합키와 암키의 결합키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결합키 공간부에는 쐐기블록이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5797A KR101669934B1 (ko) | 2014-04-17 | 2014-04-17 |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5797A KR101669934B1 (ko) | 2014-04-17 | 2014-04-17 |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0079A KR20150120079A (ko) | 2015-10-27 |
KR101669934B1 true KR101669934B1 (ko) | 2016-11-09 |
Family
ID=54428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5797A KR101669934B1 (ko) | 2014-04-17 | 2014-04-17 |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993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0525B1 (ko) * | 2021-09-14 | 2022-01-13 | 주식회사 세기엔지니어링 | 해수 통수 및 파력 감쇄 성능을 강화한 파력 감쇄 블록 및 설치 공법 |
KR102571983B1 (ko) * | 2022-11-08 | 2023-08-29 | 홍군희 | 파형 벽체와 수직 기둥체가 조립되는 소파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파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00358B2 (ja) * | 1993-06-18 | 1996-05-29 | 北海道開発局旭川開発建設部長 | 護岸ブロック及び護岸構造物 |
JP2519173B2 (ja) * | 1993-12-17 | 1996-07-31 | 開発工建株式会社 | コンクリ―ト護岸ブロックとこのコンクリ―ト護岸ブロックの敷設方法 |
JP3851697B2 (ja) * | 1997-01-29 | 2006-11-29 | 日本興業株式会社 |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落差工 |
JPH1181275A (ja) * | 1997-09-12 | 1999-03-26 | Paritei Jipangu:Kk | 河川保護ブロック及び河川の保護方法 |
-
2014
- 2014-04-17 KR KR1020140045797A patent/KR101669934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20079A (ko) | 2015-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17644B2 (en) | Hydrophilic revetment block having seawater flow port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669934B1 (ko) | 장구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
KR20100036595A (ko) | 방파제용 조립식 호안블록을 이용한 방파제의 시공방법 | |
KR101239000B1 (ko) | 사석이 제거된 방파제구조물 | |
CN202359724U (zh) | 一种砌块及多功能墙体 | |
CN202610831U (zh) | 一种类h形砌块及挡土墙 | |
JP5322068B1 (ja) | 潜堤の構築方法 | |
KR20120000137A (ko) | 생태하천의 친환경적 호안 구조 | |
KR20150120078A (ko) | 파도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
CN205917651U (zh) | 一种装配式海岸防浪堤坝 | |
KR200279944Y1 (ko) | 소파기능을 가진 옹벽식 호안구조 | |
KR102438233B1 (ko) | 말뚝기둥 지지 방식 소파블록, 이를 이용한 방파제 및 그 시공 방법 | |
KR20150120077A (ko) | 터널형 파랑 분출 호안블록과 이를 이용한 호안구축공법 | |
KR200303564Y1 (ko) | 옹벽식 소파 호안구조 | |
JP4927355B2 (ja) | 傾斜堤の構築方法 | |
KR100770559B1 (ko) | 옹벽축조 구조물 | |
KR100521903B1 (ko) |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 |
KR20110005277U (ko) | 식생옹벽블록 | |
KR100554612B1 (ko) | 호안구조 | |
CN105780725A (zh) | 一种水上建堤方法 | |
KR200303600Y1 (ko) | 직립식 방파제의 조류소통시설구조 | |
CN204040299U (zh) | 一种异形砌块及挡土墙 | |
KR200364522Y1 (ko) | 계단이 구비된 호안 | |
KR20110098883A (ko) | 식생옹벽블록 및 그 시공방법 | |
KR20110131472A (ko) | 세굴방지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 세굴방지블록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