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6394Y1 -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 Google Patents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6394Y1
KR200306394Y1 KR20-2002-0034371U KR20020034371U KR200306394Y1 KR 200306394 Y1 KR200306394 Y1 KR 200306394Y1 KR 20020034371 U KR20020034371 U KR 20020034371U KR 200306394 Y1 KR200306394 Y1 KR 2003063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eawater
block
sea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34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 회 양
Original Assignee
원 회 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 회 양 filed Critical 원 회 양
Priority to KR20-2002-0034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63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63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63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2201/00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r methods of hydraulic engin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2B2201/50Devices for sequentially discharging constant liquid quantities, e.g. into different irrigation chan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파제의 제체구조에 대한 고안으로서 방파제체를 외해의 해수 및 내해의 해수가 조류에 의하여 교환되게 하여 내해의 해수를 청정상태로 유지 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월파되는 파랑 또한 차단하여 내해의 수중으로 유출되게 하여 내해의 해수면 정온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방파제의 제체구조에 대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Breakwater frame structure for overflow cut-off and seawater exchange}
본 고안은 방파제의 제체구조에 대한 것으로써, 외해로부터 끊임없이 래습하는 파랑을 저지하여 항내 해수면의 정온을 유지하도록 하므로써 선박의 정박, 화물의 선적, 하역등의 작업시 안전을 도모하여 각종 항내 수역시설을 보호하기 위한 시설구조물인 바, 이러한 목적의 방파제체 구조는 항만 현장조건, 위치, 방파제체의 규모에 따라 취하는 구조형식도 다양한데, 크게 케이슨을 사용한 직립식, 사석으로 구축되는 사석제, 이들을 혼합한 혼성제등으로 구분되며, 항만의 규모와 필요에 따라 천단고(캡콘크리트까지의 제체 높이)를 파랑이 월파됨을 허용하는 높이로 구축하는 경우와 월파가 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형식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천단고를 높게하면 그에 상응되게 공사비의 증가와 공기가 지연되므로 월파를 허용하는 천단고를 가지는 구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방파제는 공사비 등의 증가요인 때문에 월파를 허용하고 있으나 방파제를 월파한 파랑이 내해측으로 유입될 시 내해의 정온 유지에 지장이 있어 월파는 바람직하지 못하므로 저렴한 공사비용으로서도 월파를 차단하여 내해의 정온을 유지할 수 있는 방파제체의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인 바, 본 고안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하는 고안을 2002년 5월 1일자 실용신안등록 출원번호 제20-2002-13324호로 본 고안 명칭과 동일한 명칭인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라는 명칭으로 선출원한 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 고안에 대한 요지를 약술하면, 외해에서 밀려오는 파랑이 경사면에 포설된 소파블럭에 부딛혀 일부 소산되나 일부가 상부로 치솟아 월파가 발생되는 바 소파블럭 저면에 파랑 흡수기능을 하기 위한 다수개의 해수통수공과 통수공으로 유입된 해수가 내해측으로 통과되도록 박스형의 단위 블럭체를 포설하되 이 단위블럭체의 내해측선단에 반원형 주벽을 연설하여 월파되는 파랑이 이 반원형 주벽에 부딛혀 내해의 수면하로 유입되게하고 조위차에 의한 내해와 외해의 해수는 단위 블럭체의 내부를 통과하여 해수교환이 되는 구조로 월파차단은 물론 자연적으로 해수교환이 이루어지는 구조로써 월파가 되드라도 방파제의 내해측에 월파된 파랑이 일단 저지되도록 파랑저지 원호주벽을 구비하여 월파되는 파랑이 이 파랑 저지 원호주벽에 부딛혀 내해의 수면하로 유입되도록 하므로서 내해의 정온을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내해와 외해의 해수교환이 이루어지도록한 고안으로써 상기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은 목적과 원리는 동일하나 많은 수리 모형실험 결과 파랑의 유출구가 작아 원주벽이 파력에 대한 저항력이 높아져 이러한 파압이 제체에 가해지면 제체 안정성에 악영항을 미치므로 제체 안정유지가 어렵고 높은 파랑시 제체가 내해측으로 밀리는 위험한 현상이 발생하며 유출위치가 수면과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내해에 전달파가 발생하여 정온 유지가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어 본 고안은 이를 해소하도록 관로 구조체의 보강과 개선 구조에 대한 고안을 안출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상으로 실시 구성되는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의 부분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방파제의 단위 블럭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의 A-A' 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방파제 2. 해저면 3,3a. 사석 4. 기초단
5. 기초단 경사면 B. 단위 전면블럭 6. 전면 경사벽
7. 관로 7a. 해수 통수관로 8. 상면 9. 하면
10,22. 좌측벽 11,23. 우측벽 12. 해수통수공 Ba. 단위 본체블럭
20. 전면벽 21. 배면벽 23a. 연결부 24. 해수 입수구
25. 해수 유출구 26. 원호형 주벽 27. 해수 유출공 28. 가로 연결벽
29. 사석 세굴방지블럭 29a. 사석 포설블럭 30. 캡콘크리트
31. 콘크리트 뚜껑판
본 고안은 본 고안 출원인의 선출원고안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파랑의 파고가 높은 지역에서도 월파되는 파랑을 차단하여 내해의 수면하로 파랑이 유입되도록 안출한 고안인 바,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1)의 제체구조는 해저면(2)상면에 소정폭과 높이로 사석(3) 기초단(4)을 구비하고 이 사석기초단(4)의 외해측 기초단 경사면(5)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되는 전면경사벽(6)을 가지고 내부가 관로(7)가 되도록 상면(8)과 하면(9)과 좌측벽(10)과 우측벽(11)을 가지고 전면경사벽(6)과 상면(8)에 다수개의 사각 해수통수공(12)이 다수개 천설되게한 단위 전면블럭(B)과 연설되는 단위 본체블럭(Ba)을 연설하되 이 단위 본체블럭(Ba)의 구조는 하부가 사석기초단(4) 하측으로 매입되는 전면벽(20)과 배면벽(21)과 좌측벽(22)과 우측벽(23)을 가지고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중공블럭 형태로 되되 이 단위 본체블럭(Ba)의 전면벽(20) 상측부는 단위 전면블럭(B)의 관로(7)와 연통되도록 해수입수구(24)가 개방되고 단위 본체블럭(Ba)의 배면벽(21)의 상측부 또한 입수된 해수가 내해로 유출되는 해수유출구(25)가 구비되며 이 단위 본체블럭(Ba)의 좌, 우측벽(22)(23)의 내해측 선단은 연결벽(23a)(일측만 도시됨)으로 연장하여 상측으로 캡콘크리트(30)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원호형 주벽(26)을 연설하되 이 원호형 주벽(26) 전체면에 해수유출공(27)을 다수개 천설하며 이러한 원호형 주벽(26)이 연결되게 하는 좌, 우측의 연결벽(23a)상단은 소정 두께의 가로 연결벽(28)으로 지지되게함과 아울러 원호형 주벽(26) 하측의 사석기초단(4) 표면에 유입되는 파랑의 파력에 의하여 사석기초단(4)의 사석(3)의 세굴을 방지하도록 사석 세굴방지블럭(29)을 포설하고 이러한 구조의 단위 본체블럭(Ba)을 사석기초단(4)에 시공할 시에 이 단위 본체블럭(Ba) 내부에도 해수유입구(24) 하단 높이보다 다소 낮은 높이로 사석(3a)을 충전하고 이 사석(3a)면 상면에 해수입수구(24) 하단높이와 일치되는 두께의 사석 포설블럭(29)을 포설하며 이러한 단위 본체블럭(Ba)의 좌, 우측벽(22)(23) 상단에 콘크리트 뚜껑판(31)을 매설하므로서 사석 포설블럭(29a)과 뚜껑판(31) 사이에 해수 통수관로(7a)가 되게 하며 이 콘크리트 뚜껑판(31) 상면에 캡콘크리트(30)를 타설 양생하여서 이러한 방파제의 단위 구조체를 좌, 우로 방파제의 길이만큼 병설하고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외해측 경사면 전면에 테트라포드(40)를 정적 또는 난적하여서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1)의 제체구조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상으로 실시구성되는 방파제(1)로 시공하였을 시 단위 전면블럭(B)의 전면 경사벽(6)과 상면(8)에 천설된 다수개의 해수통수공(12)을 통하여 파랑이 단위 전면블럭(B)의 내부관로(7)로 유입되어 단위 본체블럭(Ba)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해수통수관로(7a)를 통과하여 원호형 주벽(26) 내측 하측면에 부딛히면서 내해의 해수 수중으로 유입되게하며 한편 캡콘크리트(30)를 월파하는 파랑은 원호형 주벽(26) 내측 상측면에 부딛혀서 낙하하여 내해측 해수 수중으로 유출되고 이 때 원호형 주벽(26) 하단의 사석기초단(4) 표면에는 사석 세굴방지블럭(29)이 포설되어 있어 원호형 주벽(26) 내벽에 부딛혀 수중으로 유입되는 파랑의 파력을 사석 세굴방지블럭(29)이 차단하므로 사석기초단의 붕괴유실이 없어 장기간이 경과하여도 제체가 안정되는 한편 극히 일부 파랑은 원호형 주벽(26)에 천설된 해수 유출공(27)을 통과하여 내해로 유입되나 그 량이 작아 내해의 해수면 정온을 유지함과 아울러 내해와 외해의 해수는 관로(7)(7a) 및 단위 전면블럭(B)의 해수통수공(12)을 통하여 원활하게 해수가 교환되게 되며 또한 단위 전면블럭(B)의 하면(9) 선단이 단위 본체블럭(Ba)의 전면벽(20) 상측에 계지되게 조립되므로 파력에 의하여 단위 전면블럭(B)이 밀리지 않고 견고히 조립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Claims (1)

  1.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1)의 제체구조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석기초단(4)의 외해측 기초단 경사면(5)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의 경사면으로 되는 전면경사벽(6)을 가지고 내부가 관로(7)가 되도록 상면(8)과 하면(9)과 좌측벽(10)과 우측벽(11)을 가지고 전면경사벽(6)과 상면(8)에 다수개의 사각 해수통수공(12)이 천설되게한 단위 전면블럭(B)과, 이 단위 전면블럭(B)과 연설되는 단위 본체블럭(Ba)의 구조는 하부가 사석기초단(4) 하측으로 매입되는 전면벽(20)과 배면벽(21)과 좌측벽(22)과 우측벽(23)을 가지고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중공블럭 형태로 되되 이 단위 본체블럭(Ba)의 전면벽(20) 상측부는 단위 전면블럭(B)의 관로(7)와 연통되도록 해수입수구(24)가 개방되고 단위 본체블럭(Ba)의 배면벽(21)의 상측부 또한 입수된 해수가 내해로 유출되는 해수유출구(25)가 구비되며 이 단위 본체블럭(Ba)의 좌, 우측벽(22)(23)의 내해측 선단은 연결벽(23a)(일측만 도시됨)으로 연장하여 상측으로 캡콘크리트(30) 높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높이로 원호형 주벽(26)을 연설하되 이 원호형 주벽(26) 전체면에 해수유출공(27)을 다수개 천설하며 이러한 원호형 주벽(26)이 연결되게 하는 좌, 우측의 연결벽(23a)상단은 소정 두께의 가로 연결벽(28)으로 지지되게하여 단위 본체블럭(Ba) 상단에 콘크리트 뚜껑판(31)을 포설하고 뚜껑판(31) 상면에 캡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KR20-2002-0034371U 2002-11-18 2002-11-18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KR2003063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371U KR200306394Y1 (ko) 2002-11-18 2002-11-18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34371U KR200306394Y1 (ko) 2002-11-18 2002-11-18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6394Y1 true KR200306394Y1 (ko) 2003-03-07

Family

ID=494022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34371U KR200306394Y1 (ko) 2002-11-18 2002-11-18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639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692A (en) Septic tank drainage conduit structures
JP2016037743A (ja) 洗濯機防水パンのトラップ配管構造
KR200306394Y1 (ko) 월파차단 및 해수교환을 위한 방파제 제체구조
KR100914046B1 (ko) 담수용 생태 수로관
KR100972225B1 (ko) 하천에 설치되는 수중분수대 및 시공방법
KR100699710B1 (ko) 하천의 호안블록구조
KR101257798B1 (ko) 화단형 홍수벽
KR100521903B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100649391B1 (ko) 하천비탈면의 친환경적인 식생대 블록 설치구조
JP2008025119A (ja) 水際用ブロック
KR200340941Y1 (ko) 옹벽블록 겸용 어소블록
KR100431572B1 (ko) 경사식 해수유입 방파제
KR200297243Y1 (ko) 케이슨 방파제의 해수교환 시설
KR100805159B1 (ko) 퇴적물을 방출할 수 있는 수중보
KR100638801B1 (ko) 하천비탈면의 친환경적인 식생대 블록
KR200284989Y1 (ko) 월류에 의한 해수교환 방파제
KR20030077521A (ko) 가동형 어도
KR100529116B1 (ko) 조위차가 큰 지역의 해수교환 방파제
KR200236324Y1 (ko) 조류소통을 위한 방파제 개축구조
KR100424282B1 (ko) 수중보 내측 침전물 자동배출 시스템
KR200330345Y1 (ko) 해수 교환을 위한 직립식 월유방파제
KR200303605Y1 (ko) 직립식 방파제의 해수월류교환시설
KR100856088B1 (ko) 거품의 역류를 방지하는 배수트랩
KR200428985Y1 (ko)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KR100648957B1 (ko) 하천 제방 보호용 생태법면블록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