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851Y1 - 호안블럭 - Google Patents

호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851Y1
KR200199851Y1 KR2020000013511U KR20000013511U KR200199851Y1 KR 200199851 Y1 KR200199851 Y1 KR 200199851Y1 KR 2020000013511 U KR2020000013511 U KR 2020000013511U KR 20000013511 U KR20000013511 U KR 20000013511U KR 200199851 Y1 KR200199851 Y1 KR 2001998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drainage hole
circular
raft
raf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35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종
Original Assignee
오수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수종 filed Critical 오수종
Priority to KR20200000135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8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8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8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정방형으로 양측면에 조합홈이 형성되어 경사진 제방에 상호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호안블럭(1)에 있어서, 호안블럭(1)의 일면 중심선상에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 배수공(1a)이 형성되고, 원형 배수공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경사 배수공(1b)이 형성되며, 원형 배수공 및 경사 배수공이 형성된 양측 가장자리는 일체로 돌출턱부(1c)를 소정간격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호안블럭이 조적되는 제방의 경사각에 따라 물의 배출이 용이한 경사 배수공을 갖도록 하면서, 가장자리측에는 소정간격의 돌출턱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시켜 각 블럭의 조합에 따른 내구성 및 호안블럭의 침하시 호안블럭이 가지는 최대두께로 침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홍수 등으로 인한 재난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안블럭{Block for slope protection}
본 고안은 호안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경사진 제방에 각각의 조합에 따라 시공되는 호안블럭을 개선하여 우천시 또는 홍수시 지면으로부터 스며든 침수를 용이하게 배수시켜 지반 침하(沈下) 및 제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양의 황폐해 지는 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방 및 수로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모양의 크기를 가진 호안블럭과 돌망태 등이 설치되어 사용되었다.
상기 돌망태는 와이어 등으로 돌무더기를 감싸 지면에 고정시키는 시공방법으로 돌 틈사이로 토양의 공기 및 유입되는 물의 배수는 원활하나 시공에 따른 애로사항이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특히 연약지반에 설치된 상태에서 가혹한 홍수로 인해 제방이 유실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게 되어 임시적으로 제방을 형성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기는 하나 시공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방에 일정크기를 갖는 블럭이 시공되어 제방을 보호하고 있고, 이러한 호안블럭은 특히 홍수로 인한 제방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블럭의 시공 면이 일정하면서 조밀한 상태가 되도록 시공되는 바, 제방의 상,하측의 토질에 따라 시공된 블록 중에서 하나의 블럭이 유실되거나 이탈되면, 점차적으로 각 측면 및 저면이 밀착 고정된 각각의 호안블럭은 시간이 진행됨에 있어 유실되거나 심지어는 붕괴되는 사고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블럭의 조밀한 시공상태에 있어서 블럭의 유실은 우천시 제방과 근접되는 지면으로 스며든 물의 배출이 어렵게 되어 지반이 약화로 인해 유실의 진행이 빠르게 나타나며, 물의 배출이 원활하지 못한 관계에 따라 지반의 토양이 황폐화되는 문제점이 속출하였다.
한편, 상기 블럭의 전면은 제방작업에 있어 내구성을 감안하거나 작업자의 발판역할을 하기 위해 일정 높이의 돌부가 형성되어 있으나, 돌부의 형성은 블럭의 내구성을 위해 전면은 사각형태이되 블럭의 전면과 이웃하는 각 4면의 측면부분은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둥글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블록은 대부분 돌부를 제외한 각 가장자리부부의 두께는 에 일체로 성형된 돌부는 발을 헛디디는 사례가 빈번하여 실족사고의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으며, 돌부의 역할 이외에 큰 역할은 기대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종래의 호안블럭은 긴밀하게 조합되는 반면 경사진 제방의 하측 또는 상측 지면으로부터 우천시 과다하게 지중으로 유입된 빗물은 지질을 약하게 만들어 지반침하가 일어나게 되는 사례가 발생되는데, 이러한 경우는 호안블럭이 설치된 제방에서도 예외일수가 없다.
즉, 지중으로 스며든 유입수는 특히 연약지반을 붕괴시키는데, 이때 그 해당하는 위치에 시공된 블록 또한 침하현상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은 점은 특히 홍수로 인한 강이나 개울등의 범람 시 블록의 유실이 생기고, 점차적으로는 제방에 시공된 블록전체를 유실되게 하여 대형사고를 불러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의 각종 블록의 제작에 있어서 콘크리트제품으로 이루어지는 블록임을 감안하여 자연과 잘 어우러질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제품을 생산이 기대되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호안블럭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호안블럭을 개선하여 우천시 또는 홍수시 지면으로부터 스며든 침수를 용이하게 배수시켜 지반 침하 및 제방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 토양의 황폐해 지는 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정방형으로 양측면에 조합홈 이 형성되어 경사진 제방에 상호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호안블럭에 있어서, 호안블럭의 일면 중심선상에 소정직경을 갖는 배수공이 형성되고, 배수공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경사 배수공이 형성되며, 배수공 및 경사 배수공이 형성된 양측 가장자리는 일체로 돌출턱부를 소정간격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호안블럭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이 제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호안블럭 1a: 원형 배수공
1b: 경사배수공 1c: 돌출턱부
2: 배수 파이프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고안인 호안블럭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이 제방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호안블럭이 조합된 상태를 도시한 전개도이다.
정방형으로 양측면에 조합홈이 형성되어 경사진 제방에 상호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호안블럭(1)에 있어서, 호안블럭(1)의 정면측 중심선상에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 배수공(1a)이 직각되게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수공(1a)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는 경사 배수공(1b)이 관통 형성되며, 원형 배수공(1a) 및 경사 배수공(1b)이 형성된 양측 가장자리는 일체로 돌출턱부(1c)를 소정간격 돌출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호안블럭(1)의 돌출턱부(1c)는 블록의 상호 조합시 그 전개되는 형상은 일률적으로 돌출 형성되고, 돌출된 돌출턱부는 각 블록의 조합시 호안블럭이 가지는 최대두께가 맞닿아 설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호안블럭(1)의 경사면 설치시 경사 배수공(1b)은 제방 경사각(θA)의 수직각(θB)에 직각되는 경사각도(θC)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제방의 경사각도에 따라 경사 배수공(1b)의 경사각도를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호안블럭의 경사 배수공에는 소정직경의 배수 파이프(2)가 설치될 수 있으며, 경사 배수공과 이웃하는 소정직경의 원형 배수공(1a)에는 소정지경의 파이프를 꽂거나 철근을 호안블럭이 조적되는 상층단과 하층단에 연결시켜 콘크리트 타설물로 인하여 각 호안블럭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배수 파이프(2)는 경사배수공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치되고, 배수 파이프의 일단에는 지면내에서 물의 유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미설명 부호 3은 반장짜리 호안블럭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인 호안블럭의 시공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천의 제방을 형성시키기 위해 경사진 둑을 다져놓은 상태에서 통상적으로 흙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얇은 부직포를 깔아 준 상태에서 상기 호안블럭(1)을 첨부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에서부터 상층까지 별도의 운반장비를 이용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조적시켜 나간다.
상기 호안블럭(1)을 조적함에 있어 최하층단 측의 호안블럭과 최상층단의 호안블럭은 반장짜리 호안블럭(3)을 교호로 조적시켜 주고, 통상적으로 호안블럭의 최하단층은 구축용 기초블럭(도면에서 생략함)을, 상층단은, 제방의 높이에 따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수평부분(도면에서 생략함)을 형성시켜 시공을 완성하며, 상 기 호안블럭(3)의 반장짜리는 복수의 통공 또는 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반장짜리 블럭이 조합된다.
상기와 같이 조적된 호안블럭(1)에 형성된 경사 배수공(1b)은 제방 경사각(θA)에 대한 수직각(θB)에 직각되는 경사각도(θC)를 갖는다. 여기서 경사 배수공(1b)에는 선택적으로 소정직경의 배수 파이프(2)를 꽂아 설치하되, 배수 파이프(2)의 길이는 우천시 물이 스며드는 지반상태에 따라서 그 길이가 제각기 다르게 설치되며, 배수 파이프는 플라스틱 계열의 PVC로 제작된 파이프 또는 스틸재질의 파이프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호안블럭의 경사 배수공은 근접 형성된 원형의 배수공과 함께 경사진 제방의 경사각도에 대하여 물이 배출되기에 용이한 각도를 이루어 물의 배출을 자연스러우면서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원형 배수공은 경사 배수공과 같이 경사각을 갖지 않도록 되어 있어, 배수는 원활하지 않지만 호안블럭의 조합에 따른 배열상에서의 토양과의 공기유통이 원활하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경사 배수공측으로부터 원활한 배수는 결국 지반의 변형을 최소로 줄여 각 호반블럭의 조적된 상호 지지력을 토대로 홍수의 재해로 부터 호안블럭의 유실을 방지하여 대형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호안블럭이 조합되는 가장자리 측에 형성된 돌출턱부(1c)는 호안블럭(1)이 가지는 최대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조합된 상태의 이음매부분은 중앙에 돌출턱부(1c)가 형성된 통상의 기존 호안블럭 보다 두께가 같은 중량체로 제작된 블록일 경우 최대 두께(t)를 가져 특히 지반의 침하시 호안블럭의 저면으로 부터 돌출턱부까지의 거리범위 내에서 상호 밀착 지지되도록 하여 호안블럭의 유실되는 점을 최대한으로 늦출 수 있으며, 가장자리 측 돌출부가 가지는 또 다른 장점은 호안블럭의 가장자리를 보완하면서 자체적인 내구성 역할을 하여 하역작업에서 호안블럭의 가장자리부분이 쉽게 깨지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호안블럭은 호안블럭이 조적되는 제방의 경사각에 따라 물의 배출이 용이한 경사 배수공을 갖도록 하면서, 가장자리측에는 소정간격의 돌출부를 각각 일체로 형성시켜 각 블럭의 조합에 따른 내구성 및 호안블럭의 침하시 호안블럭이 가지는 최대두께로 침하를 최대한 방지할 수 있어 홍수 등으로 인한 재난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정방형으로 양측면에 조합홈이 형성되어 경사진 제방에 상호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호안블럭(1)에 있어서,
    호안블럭(1)의 일면 중심선상에 소정직경을 갖는 원형 배수공(1a)이 형성되고, 원형 배수공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경사 배수공(1b)이 형성되며, 원형 배수공 및 경사 배수공이 형성된 양측 가장자리는 일체로 돌출턱부(1c)를 소정간격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호안블럭(1)의 경사면 설치시 상기 경사 배수공(1b)은 제방 경사각의 수직각에 직각되는 경사각도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3. 제 1항에 있어서, 호안블럭(1)의 경사 배수공(1b)에는 배수 파이프(3)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안블럭.
KR2020000013511U 2000-05-12 2000-05-12 호안블럭 KR2001998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11U KR200199851Y1 (ko) 2000-05-12 2000-05-12 호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3511U KR200199851Y1 (ko) 2000-05-12 2000-05-12 호안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851Y1 true KR200199851Y1 (ko) 2000-10-16

Family

ID=1965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511U KR200199851Y1 (ko) 2000-05-12 2000-05-12 호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85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261B1 (ko) * 2006-11-08 2007-03-26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0261B1 (ko) * 2006-11-08 2007-03-26 주식회사 건일엔지니어링 해안선 침식방지 및 친수시설을 겸한 호안용 블록체 및이를 이용한 호안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7021877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nstruction de murs continus souterrains
US5174681A (en) Permeable breakwater
US5224794A (en) Permeable breakwater
JP4979797B2 (ja) ダムの天端高を高くするための上部構造物
CN209854656U (zh) 一种堤防
KR200199851Y1 (ko) 호안블럭
KR100957217B1 (ko) 조립식 호안블럭세트
JP4504864B2 (ja) 消波機能付き堤体補強構造
CN210134438U (zh) 一种季节性河流浸水路堤边坡防护结构
KR100461664B1 (ko) 식생 호안블록의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0231243Y1 (ko) 호안 식생용 블럭
JP3717353B2 (ja) 貯水ブロックとこれを用いた雨水貯留構造物
KR200236316Y1 (ko) 호안블럭의 구조
JP2006274797A (ja) 堤脚水路構築物を構成する排水溝ブロック、堤防強化ドレーン構造および堤防強化ドレーン工法
KR20130034340A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244464Y1 (ko) 식생용 호안블럭 연결 구조
CN213773318U (zh) 一种排桩结构、江河堤坝体
KR100707723B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방법
CN212426807U (zh) 一种道路护坡截水沟与泄水孔的排水结构
KR200406812Y1 (ko) 하천 제방 차수막 부재 시공 구조
KR100996666B1 (ko) 견고성이 보강된 하천법면용 조립식 호안블럭
KR20170075497A (ko) 비탈어깨식 사방댐 시공방법
KR100345057B1 (ko) 호안 블록 시공방법
KR200361724Y1 (ko) 식생블럭
KR101114433B1 (ko) 엘 자형 호안블록을 이용한 호안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