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5105B1 -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5105B1
KR100475105B1 KR1020040023291A KR20040023291A KR100475105B1 KR 100475105 B1 KR100475105 B1 KR 100475105B1 KR 1020040023291 A KR1020040023291 A KR 1020040023291A KR 20040023291 A KR20040023291 A KR 20040023291A KR 100475105 B1 KR100475105 B1 KR 10047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late
underwater
retaining wall
underwater ecological
wall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달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일 이알에스
Priority to KR1020040023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51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51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수의 상하방향으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입토사의 적절한 퇴적을 유도하여 토사의 유실을 억제하며,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서곤충, 어패류, 파충류 등의 서식, 산란처를 제공하며, 제방토사와 하천의 상호교류를 일정량 허용하여, 수중생태계를 복원, 유지 및 보존할 수 있도록 한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수중의 최하단이 정리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기초콘크리트층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단에 다수개가 적층 설치되며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중생태블록과; 상기 수중생태블록상에 설치되며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천단블록으로 구성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와,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상에 수중생태블록을 설치하고, 상기 수중생태블록의 후방벽 배면에 흡출방지재를 설치하며, 상기 흡출방지재의 배면에 뒷채움잡석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Underwater ecology block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급류에 의한 세굴 등의 피해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어류의 자유로운 출입을 도모하고, 하천경관을 크게 향상시키도록 한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석축 또는 콘크리트 옹벽 등을 설치하여 수중생태계를 차단시키는 역기능을 초래하였으며, 최근 상자형 밀폐식 구조체가 개발되었으나 이 역시 수중생태계의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함으로써 결국, 초화류가 왕성하게 생장하지 못하고 고사하거나 홍수에 유실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석축, 콘크리트 옹벽 등은 하천수와 제방토사가 접할 수 있는 공간을 차단하는 차단벽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제방사면 토충내의 소동물은 물론 하천수변 곤충류의 서식, 산란처를 훼손하고, 수변식물의 서식을 곤란하게 만드는 등의 생태계의 복원과 역행하는 역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집중호우로 유랑이 급격히 증가하고 유속이 빨라지는 경우에도 옹벽 이상의 치수기능을 지니면서도 지중생태계와 수중생태계가 자유스럽게 상호 교류할 수 있도록 하여 하천수와 지하수가 상황에 따라 손쉽게 상호 교류함으로써 수변식물, 수변곤충류, 초화류가 공생함으로써 어류, 조류 등에게도 양호한 서식 산란처를 제공할 수 있는 공법을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하천수의 상하방향으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유입토사의 적절한 퇴적을 유도하여 토사의 유실을 억제하며,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서곤충, 어패류, 파충류 등의 서식, 산란처를 제공하며, 제방토사와 하천의 상호교류를 일정량 허용하여, 수중생태계를 복원, 유지 및 보존할 수 있도록 한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는 수중의 최하단이 정리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기초콘크리트층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의 상단에 다수개가 적층 설치되며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중생태블록과; 상기 수중생태블록상에 설치되며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천단블록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은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상에 수중생태블록을 설치하고, 상기 수중생태블록의 후방벽 배면에 흡출방지재를 설치하며, 상기 흡출방지재의 배면에 뒷채움잡석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의 전면판을 전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천단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천단블록을 전개한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는 수중의 최하단이 정리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기초콘크리트층(B)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의 상단에 다수개가 적층 설치되며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중생태블록(S)과; 상기 수중생태블록(S)상에 설치되며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천단블록(F)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중생태블록(S)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X자 형상으로 일정두께로 형성되는 전면판(100), 전면판(100)의 중앙부에서 배면으로 소정의 단면과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전면판(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보(200)와, 중앙보(200)의 후단에서 전면판(100)과 평행면으로 소정의 단면과 두께로 형성되는 후방벽(3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100)은 소정의 단면 두께로 형성되므로, 전면에는 중앙평면부(110), 상부좌우측평면부(120, 122), 하부좌우측평면부(130, 132) 등 5개소의 평면부(110, 120, 122, 130, 132)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중생태블록(S)을 수중에 연속적으로 적층 설치하였을 때 전후방으로 물을 자유스럽게 통과시키고, 유속을 감쇄시키기 위해 전면판(100) 주위에는 6각형상의 상하좌우개구부(147)들이 형성되는 바, 상기 상하좌우개구부(140, 142, 144, 146) 주변의 부재 전면은 유속의 저항을 줄이고자 절개단면으로 형성된다.
즉, 동일평상에서 5개의 평면부(110, 120, 122, 130, 132)와 4개의 개구부(140, 142, 144, 146), 다수개의 절개단면 등으로 형성된다.
이는 급류에 의한 세굴 등의 피해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어류의 자유로운 출입을 도모하고, 하천경과를 크게 개선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전면판(100)의 하면에는 좌우요홈부(150, 15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그에 대응하기 위한 좌우요철부(160, 162)가 형성되어, 상하층간 적층시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중앙보(200)는 단면형상이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는 바, 그 폭은 전면판(100)의 좌우개구부(144, 146)간의 최단거리 이하로 하고, 높이는 전면판(100)의 상하개구부(140, 142)간의 최단거리 이하로 하여, 4개의 개구부(140, 142, 144, 146)를 통한 물의 전후방향 흐름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는 전면판(100)의 개구부(140, 142, 144, 146)를 통한 전후방향의 통수는 물론, 중앙보(200)의 상하개구부(205, 207)를 통한 좌우방향의 통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중앙보(200)의 양단에는 단면확대부(210)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중앙보(200)의 가운데 무게중심부에는 수중생태블록(S)의 인양 설치작업을 위한 인양공(2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방벽(300)의 본체(310)의 폭과 높이는 전면판(100)의 폭과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시켜 적층작업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후방벽(300)은 중앙보(200)의 끝단으로부터 단면확대부(320), 본체(310), 요철이음부(330) 순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방벽(300)은 중앙보(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후방벽(300)의 하면에는 요홈부(340)가 상면에는 요철부(350)가 형성되어, 수중생태블록(S)의 적층시에 수중생태블록(S)의 변위를 방지토록 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이음부(330)는 좌측 요철이음부와 우측 요철이음부로 구성되며, 요철이음부(330)의 폭은 본체(310)의 폭보다 약 4mm이상 적게 하여, 설치시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전후방향으로의 통수기능을 부여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수중생태블록(S)의 구조에서 중요한 점은 전면판(100)과 후방벽(300)은 동일한 경사각을 갖는 구조이어야 하며, 그 경사각은 연직(0°) 내지 20°정도 범위내의 경사각을 갖는 정도로 한다.
즉, 수직적층이나 경사적층이 가능한 구조체이다.
또한, 최상단마감을 위한 천단블록(F)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 수중생태블록(S)의 상부개구부(140)를 마감하기 위해 천단블록(F)의 폭과 길이는 수중생태블록(S)의 폭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고, 천단블록(F)의 높이는 수중생태블록(S)의 높이의 1/2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천단블록(F)의 전면개구부(410)의 형상과 규격은 수중생태블록(S)의 하부 개구부(142)의 형상과 규격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앞판(400)의 전면개구부(410) 주위 부재의 전면은 절개되지 않는 평면으로 하고, 앞판(400)의 두께와 경사각은 수중생태블록(S)의 전면판(100)의 두께와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판(500)은 수중생태블록(S)의 중앙보(200)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양측으로 평면슬래브를 확장시켜 일정두께의 상면슬래브(510)가 형성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수중생태블록(S)이 적층된 상태에서 수중생태블록(S)의 하부로 사람이나 차량, 물건 등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천단블록(F)의 상면으로부터 다양한 법면을 조성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뒷판(600)의 단면 두께와 경사각은 수중생태블록(S)의 후방벽(300)의 단면과 두께 및 경사각이 동일하게 형성되며, 상기 앞판(400)의 저면에는 수중생태블록(S)의 상면 좌우요철부(160, 162)에 대응하기 위한 앞판(400)의 좌우요홈부(420)가 뒷판(600)의 저면에는 수중생태블록(S)의 상면 요철이음부(350)에 대응하는 뒷판(600) 요홈부(610)가 형성되며, 좌우양단의 요철이음부(620)는 수중생태블록(S)의 구조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천단블록(F)을 구조상 일체화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천단블록(F)의 상면슬래브(510)의 표면에 철근이나 볼트(520)를 삽입하여 형성시킨 후, 현장에 수중생태블록(S)상에 천단블록(F)을 설치한 후, 상기 천단블록(F)의 철근이나 볼트(520)에 연결철근을 용접 또는 체결시킨 후, 상기 체결부위를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면, 일정한 두께의 천단콘크리트층(U)을 형성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시공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은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700)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700)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에 수중생태블록(S)을 설치하고, 상기 수중생태블록(S)의 후방벽(300)의 배면에 흡출방지재(710)를 설치하며, 상기 흡출방지재(710)의 배면에 뒷채움잡석(720)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중생태블록(S)의 최상층에는 천단블록(F)을 설치하고, 상기 천단블록(F)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U)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시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천단콘크리트층(U) 형성단계는 천단블록(F)의 상면슬래브(510)의 표면에 노출되는 철근이나 볼트(520)에 별도의 연결수평철근을 용접 또는 체결시킨 후, 그 체결부위에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은 기초지반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700)을 포설하고 다짐한 후, 상기 기초잡석(700)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고,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에 수중생태블록(S)을 설치하고, 상기 수중생태블록(S)의 후방벽(300) 배면에 흡출방지재(710)를 설치한 후, 뒷채움잡석(720)을 채우고 다짐한 후, 상기 순서로 계획고까지 연속 적층한 후 최상단에는 필요에 따라 천단블록(F)을 설치하고, 상기 천단블록(F)의 표면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U)을 형성하면 일련의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은 완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수중생태블록을 연속적으로 적층시킬 경우에는 X자 형상의 전면판에 형성되는 6각형상의 전면개구부를 통해 하천수의 상하방향으로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유입토사의 유실을 억제하고, 수생식물의 서식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수서곤충, 어패류, 파충류 등의 서식, 산란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중앙보 상하면에 형성되는 커다란 개구부는 전면개구부를 통해서 유입되거나 하천의 상류로부터 유입되는 하천수의 지속적이고 완만한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유입토사의 적정한 퇴적을 유도할 뿐만 아니라 내부공간에서 어류, 조류, 곤충류 등의 서식 산란처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급류가 배면의 제방토사를 침식, 유실시키는 것을 예방하며 요철이음부를 통한 최소한의 통수를 허용하여 제방토사와 하천의 상호교류를 일정량 허용함으로써 수중생태계를 복원 유지시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본 발명을 구성하는 수중생태블록은 1ton 이상의 중량물로 축조되므로 견고한 옹벽 기능은 물론 수생식물, 수서곤충류, 어패류, 파충류 등 다양한 수중생태 환경을 복원 보존시킬 수 있는 생태환경기능을 겸비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을 도시한 저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이 상호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수중생태블록의 전면판을 전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천단블록을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의 천단블록을 전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생태 옹벽구조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면판 110 : 중앙평면부
120 : 상부좌측평면부 122 : 상부우측평면부
130 : 하부좌측평면부 132 : 하부우측평면부
140 : 상부개구부 142 : 하부개구부
144 : 좌측개구부 146 : 우측개구부
147 : 6각형 개구부 150 : 좌측요홈부
152 : 우측요홈부 160 : 좌측요철부
162 : 우측요철부 200 : 중앙보
205 : 상부개구부 207 : 하부개구부
210 : 단면확대부 220 : 인양공
300 : 후방벽 310 : 후방벽본체
320 : 단면확대부 330 : 요철이음부
340 : 요홈부 350 : 요철부
400 : 앞판 410 : 전면개구부
420 : 좌측요홈부 422 : 우측요홈부
500 : 중앙판 510 : 상면슬래브
520 : 철근 또는 볼트 600 : 뒷판
610 : 요홈부 620 : 좌우요철이음부
700 : 기초잡석 710 : 흡출방지재
720 : 뒷채움잡석 B : 기초콘크리트층
F : 천단블록 S : 수중생태블록
U : 천단콘크리트층

Claims (25)

  1. 수중의 최하단이 정리됨과 동시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기초콘크리트층(B)과;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의 상단에 다수개가 적층 설치되며,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전면판(100)과; 상기 전면판(100)의 중앙부에서 배면으로 소정의 단면과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전면판(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보(200)와; 상기 중앙보(200)의 후단에서 전면판(100)과 평행면을 이루면서 소정의 단면과 두께로 형성되는 후방벽(300)으로 구성되는 수중생태블록(S)과;
    상기 수중생태블록(S) 최상단에 필요시에만 선택적으로 설치되며,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앞판(400)과; 상기 앞판(4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평활면을 가지는 중앙판(500)과; 상기 중앙판(5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앞판(400)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뒷판(600)으로 구성되는 천단블록(F)과;
    상기 천단블록(F)상에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천단콘크리트층(U)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은 소정의 단면 두께로 형성되되, 전면에는 중앙평면부(110)와 상부 좌우측평면부(120, 122) 및 하부 좌우측평면부(130, 132)등 5개소의 평면부(110, 120, 122, 130, 132)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에는 4개소의 상하좌우 개구부(140, 142, 144, 146)가 형성되며, 상기 상하좌우 개구부(140, 142, 144, 146)의 주변의 부재의 전면에는 절개단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의 하면에는 좌우요홈부(150, 152)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좌우요홈부(150, 152)에 대응하기 위한 좌우요철부(160, 16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보(200)는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폭은 전면판(100)의 좌우개구부(144, 146)간의 최단거리 이하로 형성되고, 높이는 전면판(100)의 상하개구부(140, 142)간의 최단거리 이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보(200)의 양단에는 단면확대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중앙보(200)의 가운데 무게중심부에는 인양공(22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300)의 본체(310)의 폭과 높이는 전면판(100)의 폭과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300)은 중앙보(200)의 끝단으로부터 단면확대부(320)와 본체(310) 및 요철이음부(330) 순으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중앙보(200)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0. 제 1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벽(300)의 하면에는 요홈부(340)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상기 요홈부(340)에 대응하는 요철부(350)가 형성되어, 적층된 수중생태블록(S)의 변위가 방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이음부(330)는 좌측 요철이음부와 우측 요철이음부로 구성되며, 상기 요철이음부(330)의 폭은 본체(310)의 폭보다 일정길이 적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100)과 후방벽(300)은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은 수직내지 20°까지의 범위 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3. 삭제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천단블록(F)의 폭과 길이는 수중생태블록(S)의 폭과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높이는 수중생태블록(S)의 높이의 1/2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400)에는 전면개구부(410)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개구부(410)는 수중생태블록(S)의 하부개구부(142)의 단면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400)에는 그 전면개구부(410)의 주위는 평활면으로 형성되고, 두께와 경사각은 수중생태블록(S)의 전면판(100)의 두께와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판(500)은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양측으로 일정한 두께로 확장되는 상면슬래브(51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뒷판(600)의 단면과 두께 및 경사각은 수중생태블록(S)의 후방벽(300) 단면과 두께 및 경사각과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1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400)의 저면에는 수중생태블록(S)의 상면 좌우요철부(160, 162)에 대응되도록 좌우요홈부(420, 422)가 형성되고, 뒷판(600)의 저면에는 수중생태블록(S)의 상면 요철이음부(350)에 대응되도록 요홈부(610)가 형성되며, 좌우 양단의 요홈부(620)는 수중생태블록(S)의 요철이음부(330)의 구조와 동일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20.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슬래브(510)의 노출표면에는 철근이나 볼트(520)등을 매입하여 천단콘크리트층(U)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21. 기초지반의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기초잡석(700)을 포설하고 다짐하는 단계;
    상기 기초잡석(700)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기초콘크리트층(B)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초콘크리트층(B)상에 전체적으로 X자 형상으로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전면판(100)과; 상기 전면판(100)의 중앙부에서 배면으로 소정의 단면과 길이를 갖는 형상으로 전면판(100)과 일체로 형성되는 중앙보(200)와; 상기 중앙보(200)의 후단에서 전면판(100)과 평행면을 이루면서 소정의 단면과 두께로 형성되는 후방벽(300)으로 이루어지는 수중생태블록(S)을 설치하고,
    상기 수중생태블록(S)의 후방벽(300) 배면에 흡출방지재(710)를 설치하며, 상기 흡출방지재(710)의 배면에 뒷채움잡석(720)을 채우고 다짐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
  22. 삭제
  23. 삭제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생태블록(S)의 최상층에는 하부에 개구부를 갖는 앞판(400)과; 상기 앞판(4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직사각형 단면형상으로 평활면을 가지는 중앙판(500)과; 상기 중앙판(500)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앞판(400)과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뒷판(600)으로 이루어지는 천단블록(F)을 설치하고, 상기 천단블록(F)상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시켜 천단콘크리트층(U)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시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
  25. 제 24항에 있어서,
    상기 천단콘크리트층(U) 형성단계는 천단블록(F)의 상면슬래브(510)의 표면에 철근이나 볼트(520)를 삽입한 후 연결철근을 상기 철근이나 볼트(520)에 용접 또는 체결시킨 후, 일정 두께의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시공방법.
KR1020040023291A 2004-04-06 2004-04-06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10047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291A KR100475105B1 (ko) 2004-04-06 2004-04-06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291A KR100475105B1 (ko) 2004-04-06 2004-04-06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404U Division KR200356109Y1 (ko) 2004-04-06 2004-04-06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5105B1 true KR100475105B1 (ko) 2005-03-14

Family

ID=37228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291A KR100475105B1 (ko) 2004-04-06 2004-04-06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51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08495B1 (en) Levee system
EP0583500B1 (en) Erosion protection device
KR100442566B1 (ko) 생태블럭 및 그를 이용한 생태적 식생 호안공 및 식생옹벽공의 시공방법
JP5095030B1 (ja) 法面形成用ブロック及び法面構造及び法面形成方法
KR100475105B1 (ko)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및 그의 시공방법
KR200247955Y1 (ko) 토목공사용 다기능 블록
KR200356109Y1 (ko) 수중생태 옹벽구조체
KR100828222B1 (ko) 육각형상의 다기능 블럭
KR102276932B1 (ko) 세굴 보호 및 생태 복원용 호안 블록 및 이를 포함하는 호안 구조물
KR200422445Y1 (ko) 사면보호용 식생블록 구조체
JP4226150B2 (ja) 土木構造物用三角柱枠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641287B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KR100705934B1 (ko) 식생 블록과 앵커 블록의 간격조절장치
JPH06280239A (ja) 組立式魚道
JP3462474B2 (ja) 生態系に配慮した護岸構造及び生態系護岸用ブロック
KR100475103B1 (ko) 하천의 저수로 호안 식생대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82370A (ko) 조경용 비탈면 보강 블럭
KR20060118938A (ko) 적층 조립식 방파제
JP2002250043A (ja) 壁面保護ブロック
KR20010070795A (ko) 토목공사용 다기능 블록
JP2810374B2 (ja) 非コンクリート柔構造部材とこの柔構造部材による臨海施設の構築方法
JP3066635B2 (ja) 護岸用敷石プレート
JP3249048B2 (ja) 橋梁式魚道
JP3493163B2 (ja) 土石囲繞枠材の施工方法
KR200364410Y1 (ko) 사방 또는 호안 공사용 조립식 프레임 축조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