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050B1 -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 Google Patents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050B1
KR101539050B1 KR1020140056706A KR20140056706A KR101539050B1 KR 101539050 B1 KR101539050 B1 KR 101539050B1 KR 1020140056706 A KR1020140056706 A KR 1020140056706A KR 20140056706 A KR20140056706 A KR 20140056706A KR 101539050 B1 KR101539050 B1 KR 101539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df
trfe
film
pvdf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6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태
박천호
문용주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56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9050B1/ko
Priority to US14/710,264 priority patent/US20150325228A1/en
Priority to US14/710,250 priority patent/US201503222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6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 B06B1/0688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piezoelectric effect or with electrostriction with foil-type piezoelectric elements, e.g.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artial melting of at least one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4Treatments to modify a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roperty, e.g. polarisation characteristics, vibration characteristics or mode tuning
    • H10N30/045Treatments to modify a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property, e.g. polarisation characteristics, vibration characteristics or mode tuning by polaris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N30/09Forming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s
    • H10N30/098Forming 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2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 H10N30/206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with electrical input and mechanical output, e.g. functioning as actuators or vibrators using only longitudinal or thickness displacement, e.g. d33 or d31 type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5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having a stacked or multilayer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30/00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devices
    • H10N3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N30/85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active materials
    • H10N30/857Macromolecular com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12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containing fluorine
    • B29K2027/16PVDF, i.e. polyvinylidene fluo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8Wide strips, e.g. films, web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3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nsducers F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단결정 P(VDF-TrFE) 막과, 단결정 P(VDF-TrFE) 막의 상, 하면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과, 단결정 P(VDF-TrFE) 막과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두께 1㎛ 내외의 얇고 균일한 접착층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ULTRASONIC TRANSDUCER USING FERROELECTRIC POLYMER}
본 발명은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두께 1㎛ 내외의 얇고 균일한 접착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통상의 P(VDF-TrFE) 막에 비해 고온에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한 단결정 P(VDF-TrFE) 막을 사용하여 초음파 변환기를 제작하고자 할 때, 단결정 P(VDTrFE) 막은 통상의 P(VDF-TrFE) 막에 비해 매우 잘 부러지고, 접착력이 좋지 않으며, 표면 거칠기가 큰 단점이 있다.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기술의 일례로서, 미국 특허등록 제US 5254296호는 "PVDF 필름의 압전 및 유전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미국 특허등록 제US 7923064호는 "전자활성 폴리머 제조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미국 특허등록 제US 7454024호는 "고주파 트랜스듀서의 디자인과 제작을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두께 1㎛ 내외의 얇고 균일한 접착층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P(VDF-TrFE) 막: 상기 P(VDF-TrFE) 막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상기 P(VDF-TrFE) 막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 및 상기 P(VDF-TrFE) 막과 상부 전극 사이 및 P(VDF-TrFE) 막과 하부 전극 사이에 이들의 접합층을 형성하는 PVDF 기반의 폴리머 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를 제공한다.
또한, P(VDF-TrFE) 막은 용융온도가 섭씨 150도~160도인 폴리머 막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DF-TrFE) 막은 스트레칭 공정을 통해 단결정으로 만들어진 단결정 P(VDF-TrFE) 막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은 P(VDF-TrFE) 막 보다 융점이 낮은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은 P(VDF-TrFE-CFE), P(VDF-TrFE-CTFE), P(VDF-TFE), P(VDF-HFA), P(VDF-TFE-HF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P(VDF-TrFE) 막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각 P(VDF-TrFE) 막 사이에는 이들의 접합층을 형성하는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DF-TrFE) 막은 P(VDFx-TrFE(1-x))에서 x가70~80 %인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알루미늄, 금, 구리, 니켈, 크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 밑에는 받침재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전극과 받침재료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 위에는 임피던스 결합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전극과 임피던스 결합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P(VDF-TrFE) 막은 P(VDF-TrFE) 분발을 MEK용액에 넣어 P(VDF-TrFE) 용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P(VDF-TrFE)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후 기판에서 P(VDF-TrFE) 막을 제거하는 제2단계; P(VDF-TrFE) 막에 열을 가하면서 스트레칭하는 제3단계; 스트레칭 과정을 거친 P(VDF-TrFE) 막을 어닐링하는 제4단계; 및 어닐링 과정을 거친 P(VDF-TrFE) 막을 폴링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단계에서 P(VDF-TrFE) 용액은 필터링 과정을 통해 설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주고 용해가 덜된 입자와 불순물을 제거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에 의하면,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면서 두께 1㎛ 내외의 얇고 균일한 접착층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의 용융온도보다 약 섭씨 5~10도 낮은 온도에서 접합가능하다.
또한, PVDF 기반의 폴리머의 부분 용융에 의한 본딩이 가능하다.
또한, 접착층으로 사용되는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은 단순 접착층 뿐만 아니라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 쌍극자로 인해 초음파 변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 접착제의 사용 시 접착층이 센싱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단점을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이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따른 단결정 P(VDF-TrFE) 막의 제조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조과정을 거쳐 제조된 단결정 P(VDF-TrFE) 막의 X선 회절 측정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는, 단결정 P(VDF-TrFE) 막(10)이 1층 구조이거나 또는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먼저, 단결정 P(VDF-TrFE) 막(10)이 1층 구조인 경우의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는, 1층으로 구성되는 단결정 P(VDF-TrFE) 막(10)과, 단결정 P(VDF-TrFE) 막(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11)과 단결정 P(VDF-TrFE) 막(10)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12)과, 단결정 P(VDF-TrFE) 막(10)과 상부 전극(11) 사이 및 단결정 P(VDF-TrFE) 막(10)과 하부 전극(12) 사이에 이들의 접합을 위해 형성되는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단결정 P(VDF-TrFE) 막(10)과, 최상단 단결정 P(VDF-TrFE) 막(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11)과 최하단 단결정 P(VDF-TrFE) 막(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12)과, 각 복수의 단결정 P(VDF-TrFE) 막(10) 사이와 최상단 단결정 P(VDF-TrFE) 막(10)과 상부 전극(11) 사이 및 최하단 단결정 P(VDF-TrFE) 막(10)과 하부 전극(12) 사이에 이들의 접합을 위해 형성되는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단결정 P(VDF-TrFE) 막(10)은 도 1과 같이 3층의 다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결정 P(VDF-TrFE) 막(10)을 3층 이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단결정 P(VDF-TrFE) 막(10)은 다른 PVDF 기반의 폴리머 막도 사용할 수 있겠지만 분극이 정렬이 되어 있지 않지 않기 때문에 그 것만을 가지고는 사용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단결정 P(VDF-TrFE) 막(10)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단결정 P(VDF-TrFE) 막(10)과 상부 전극(11) 및 단결정 P(VDF-TrFE) 막(10)과 하부 전극(12)을 견고하게 접합하는 역할을 한다. 뿐만 아니라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 쌍극자(electric dipole)로 인해 초음파 변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대략 1㎛ 두께 내외의 접착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단결정 P(VDF-TrFE) 막(10)보다는 융점이 약 20~40 도 가량 낮다.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P(VDF-TrFE-CFE), P(VDF-TrFE-CTFE), P(VDF-TFE), P(VDF-HFA), P(VDF-TFE-HF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된다. P(VDF-TrFE-CFE), P(VDF-TrFE-CTFE), P(VDF-TFE), P(VDF-HFA), P(VDF-TFE-HFP)들은 P(VDF-TrFE) 보다는 낮은 녹는점(melting point)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을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이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용융온도(melting temperature)가 섭씨 120도 내외 또는 이하인 폴리머 막이다.
결국, 상기한 재료들에 의해 만들어진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P(VDF-TrFE) 보다는 녹는점이 낮기 때문에 다른 층을 이루는 재질보다 먼저 녹으면서 접착제의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복수의 층을 이루는 단결정 P(VDF-TrFE) 막(10) 사이 또는 단결정 P(VDF-TrFE) 막(10)과 전극 사이를 효과적으로 견고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을 사용한 이유는, 열(약 섭씨 110도)과 압력을 이용하게 되면, 이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이 부분적으로 녹게 되는데, 이를 이용하여 위 아래의 물질을 좀 더 강하게 접착시켜주는 접착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단결정 P(VDF-TrFE) 막(10)은 상변화 없이 그대로 유지 하게 되며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만 부분적으로 녹게 된다. 접착층으로 사용된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단순 접착층의 역할 뿐만 아니라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 쌍극자(electric dipole)로 인해 초음파 변화기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과 같이 상부 전극(11)과 하부 전극(12) 사이의 단결정 P(VDF-TrFE) 막(10)이 3층 구조일 경우에는 각 단결정 P(VDF-TrFE) 막(10) 사이에도 이들의 접합을 위한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이 형성된다.
단결정 P(VDF-TrFE) 막(10)은, PVDF 기반의 폴리머로 불소를 함유하고 있어 접착력이 좋지 않으나, 본 발명에서는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단결정 P(VDF-TrFE) 막(10)은 P(VDFx-TrFE(1-x))에서 x가70~80 %인 고분자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결정 P(VDF-TrFE) 막(10: Single-crystalline P(VDF-TrFE))은, 스트레칭(Stretching) 공정을 통하여 단결정(single-crystalline)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단결정 P(VDF-TrFE) 막"이라 한다. 또한, 단결정 P(VDF-TrFE) 막(10)은, 스트레칭 공정을 통하여 단결정으로 만들어진 것이기 때문에 "stretched P(VDF-TrFE)"라고 할 수도 있다.
상부 전극(11) 및 하부 전극(12)은, 알루미늄, 금, 구리, 니켈, 크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참고로 P(VDF-TrFE)는, PVDF 기반의 고분자 중에서 두 개의 단분자 VDF (vinylidene fluoride)와 TrFE (trifluoroethylene)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다른 압전 고분자보다 높은 압전 특성을 보여주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압전 고분자 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도 1과 같이 하부 전극(12) 밑에는 각 압전재료들의 층착을 위한 기판 등과 같은 받침재료(14)가 설치된다. 받침재료(14)는 실리콘 기판, PVDF 기판 또는 금속 기판일 수 있다. 하부 전극(12)과 받침재료(14) 사이에는 절연층(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전극(11) 위에는 임피던스 결합층(15)이 형성된다. 임피던스 결합층(15)과 상부 전극(11) 사이는 접착층(17)에 의해 접합된다. 참고로 P(VDF-TrFE)의 퀴리온도(Curie temp.)= 섭씨 122도 이고, 용융온도(melting temp.)= 섭씨 150도 이다.
다음은 단결정 P(VDF-TrFE) 막의 제조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결정 P(VDF-TrFE) 막의 제조과정은, 용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S100)와,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후 기판에서 P(VDF-TrFE) 막을 제거하는 제2단계(S200)와, 스트레칭(Stretching)하는 제3단계(S300)와, 어닐링(Annealing)하는 제4단계(S400)와, 폴링(Poling)하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1단계(S100)는, P(VDF-TrFE)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로서 P(VDF-TrFE) 파우더를 에틸메틸케톤(MEK)용액에 투입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한편, P(VDF-TrFE) 용액은 설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주고 용해가 덜된 입자와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링 과정을 거친다.
제2단계(S200)는, P(VDF-TrFE)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한 다음 P(VDF-TrFE) 용액이 건조되면 기판에서 P(VDF-TrFE) 막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이때, 건조시 자연건조 또는 N2 등과 같은 가스를 불어넣을 수 있다.
제3단계(S300)는, P(VDF-TrFE) 막에 온풍을 가하면서 대략 5시간 동안 스트레칭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롤러에 지지된 P(VDF-TrFE) 막을 한쪽 방향으로 잡아당긴다. 당기는 과정에서 P(VDF-TrFE) 막에 온풍을 공급하여 스트레칭이 극대화될 수 있게 한다.
제4단계(S400)는, 스트레칭 과정을 거친 P(VDF-TrFE) 막을 어닐링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프리 스탠딩(free-standing) P(VDF-TrFE) 막을 섭씨 140도로 풀림 한다. 어닐링 과정을 통해 P(VDF-TrFE) 막의 결정 입자를 극대화하여 압전특성을 높일 수 있다.
제5단계(S500)는, 전기장을 가하여 극성을 만들기 위해 폴링을 하는 단계이다. 압전소자는 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대부분 소자제조 후 동작되기 전에 폴링(poling)단계를 거치는데, 이는 온도와 전압을 인가하여 압전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본 발명의 단결정 P(VDF-TrFE) 막은, 통상의 P(VDF-TrFE) 막에 비해 두께는 더 얇아지고 표면은 더 거친 특성을 가진다.
도 3의 그래프를 통해, 스트레칭과 필터링을 모두 거친 단결정 P(VDF-TrFE) 막이 XRD 강도가 더 높기 때문에 결정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결정 P(VDF-TrFE) 막은, P(VDFx-TrFE(1-x))에서 x=0.7~0.8일 때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단결정 P(VDF-TrFE) 막은 전기 쌍극자(Electrical dipole)들이 막의 표면에 대하여 30도 기울어진 방향으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단결정 P(VDF-TrFE) 막은 단결정 재료이므로 전기적 분극의 역전 재배열 및 상변이에 대한 에너지 장벽(energy barrier)이 높아 통상의 P(VDF-TrFE) 막에 비해 고온에서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단결정 P(VDF-TrFE) 막은, P(VDF-TrFE) 막에 비해 스트레칭 과정에서 당겨진 방향으로 매우 잘 부서지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단결정 P(VDF-TrFE) 막은 통상의 P(VDF-TrFE) 막에 비해 접착력이 좋지 않으며, 스트레칭(Stretching) 공정으로 인해 표면이 약간 거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단결정 P(VDF-TrFE) 막(10)을 용이하게 접합할 수 있도록 단결정 P(VDF-TrFE) 막(10)과 상부 전극(11) 사이 및 단결정 P(VDF-TrFE) 막(10)과 하부 전극(12) 사이에 접합층으로서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의 용융온도보다 약 섭씨 5~10도 낮은 온도에서 접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PVDF 기반의 폴리머의 부분 용융에 의한 본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두께 1㎛ 내외의 얇고 균일한 접착층을 구현할 수 있다.
접착층으로 사용되는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은 단순 접착층 뿐만 아니라 내부에 존재하는 전기 쌍극자로 인해 초음파 변환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반 접착제의 사용 시 접착층이 센싱(sensing)에 전혀 기여하지 못하는 단점을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13)이 해결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단결정 P(VDF-TrFE) 막 11:상부 전극 12:하부 전극
13: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 14:받침재료 15:임피던스 결합층
16:절연층 17:접착층

Claims (14)

  1. P(VDF-TrFE) 막:
    상기 P(VDF-TrFE) 막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 전극;
    상기 P(VDF-TrFE) 막의 하면에 형성되는 하부 전극; 및
    상기 P(VDF-TrFE) 막과 상부 전극 사이 및 P(VDF-TrFE) 막과 하부 전극 사이에 이들의 접합층을 형성하는 PVDF 기반의 폴리머 막; 을 포함하고,
    상기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은,
    P(VDF-TrFE) 막 보다 융점이 낮은 저융점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P(VDF-TrFE) 막은,
    용융온도가 섭씨 150도~160도인 폴리머 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P(VDF-TrFE) 막은,
    스트레칭 공정을 통해 단결정으로 만들어진 단결정 P(VDF-TrFE) 막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은,
    P(VDF-TrFE-CFE), P(VDF-TrFE-CTFE), P(VDF-TFE), P(VDF-HFA), P(VDF-TFE-HFP)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제조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 사이의 P(VDF-TrFE) 막은,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고 복수의 층으로 구성되는 각 P(VDF-TrFE) 막 사이에는 이들의 접합층을 형성하는 PVDF 기반의 폴리머 막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P(VDF-TrFE) 막은,
    P(VDFx-TrFE(1-x))에서 x가70~80 %인 고분자임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및 하부 전극은,
    알루미늄, 금, 구리, 니켈, 크롬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금속 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들의 조합으로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 밑에는,
    받침재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하부 전극과 받침재료 사이에는,
    절연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 위에는,
    임피던스 결합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전극과 임피던스 결합층 사이에는 접착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13. 청구항 1의 P(VDF-TrFE) 막은,
    P(VDF-TrFE) 분발을 MEK용액에 넣어 P(VDF-TrFE) 용액을 준비하는 제1단계;
    P(VDF-TrFE) 용액을 기판 상에 도포하고 건조후 기판에서 P(VDF-TrFE) 막을 제거하는 제2단계;
    P(VDF-TrFE) 막에 열을 가하면서 스트레칭하는 제3단계;
    스트레칭 과정을 거친 P(VDF-TrFE) 막을 어닐링하는 제4단계; 및
    어닐링 과정을 거친 P(VDF-TrFE) 막을 폴링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의 P(VDF-TrFE) 막 제조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P(VDF-TrFE) 용액은 필터링 과정을 통해 설정 크기 이상의 입자를 걸러주고 용해가 덜된 입자와 불순물을 제거하는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의 P(VDF-TrFE) 막 제조방법.
KR1020140056706A 2014-05-12 2014-05-12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KR101539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06A KR101539050B1 (ko) 2014-05-12 2014-05-12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US14/710,264 US20150325228A1 (en) 2014-05-12 2015-05-12 Ultrasonic transducer using ferroelectric polymer
US14/710,250 US20150322220A1 (en) 2014-05-12 2015-05-12 Ultrasonic transducer using ferroelectric poly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6706A KR101539050B1 (ko) 2014-05-12 2014-05-12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9050B1 true KR101539050B1 (ko) 2015-07-23

Family

ID=5387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6706A KR101539050B1 (ko) 2014-05-12 2014-05-12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150325228A1 (ko)
KR (1) KR101539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41059B1 (en) * 2014-12-31 2019-09-11 LG Display Co., Ltd. Multilayer actuator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WO2018102666A1 (en) 2016-12-01 2018-06-07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Functional substrates for printed electronic devices
US10527843B2 (en) 2017-05-12 2020-01-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Ultra-sonic self-cleaning system
US11285660B2 (en) * 2017-05-12 2022-03-29 Arkema France Method of making relaxor ferroelectric fluoropolymers
FR3070042B1 (fr) 2017-08-09 2020-08-21 Arkema France Transistor organique a effet de champ contenant une couche dielectrique a haute permittivite dielectrique et stable en temperature
FR3070041B1 (fr) * 2017-08-09 2019-08-30 Arkema France Formulations a base de fluoropolymeres electroactifs et leurs applications
JP6995669B2 (ja) * 2018-03-05 2022-01-14 株式会社クレハ 圧電体フィルム、圧電体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圧電体デバイス
US11309484B2 (en) * 2019-01-13 2022-04-19 Littelfuse, Inc. PVDF piezoelectric reliability and electrode adhesion improvement
CN110752286B (zh) * 2019-10-25 2023-04-0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压电薄膜及其制备方法和压电薄膜传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407A (ja) * 1993-08-31 1995-03-17 Toray Ind Inc 圧電性高分子膜、表面波圧電素子および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KR100824745B1 (ko) * 2006-12-28 2008-04-24 요업기술원 압전단결정과 압전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압전체 및 이의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5522B (en) * 1979-04-03 1983-03-16 Standard Telephones Cables Ltd Piezo-electric film manufacture
US4302633A (en) * 1980-03-28 1981-11-24 Hosiden Electronics Co., Ltd. Electrode plate electret of electro-acoustic transduc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0089770B1 (en) * 1982-03-18 1987-03-11 British Telecommunications Piezoelectric and pyroelectric film
US4668449A (en) * 1984-09-11 1987-05-26 Raychem Corporation Articles comprising stabilized piezoelectric vinylidene fluoride polymers
AU1590099A (en) * 1997-11-18 1999-06-07 Penn State Research Foundation, The Ferroelectric relaxor polym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4407A (ja) * 1993-08-31 1995-03-17 Toray Ind Inc 圧電性高分子膜、表面波圧電素子および超音波トランスデューサ
KR100824745B1 (ko) * 2006-12-28 2008-04-24 요업기술원 압전단결정과 압전폴리머를 이용한 복합 압전체 및 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322220A1 (en) 2015-11-12
US20150325228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9050B1 (ko) 강유전 고분자를 이용한 초음파 변환기
CN103548164B (zh) 压电元件用下部电极及具备它的压电元件
WO2014157050A1 (ja) 圧電振動子、超音波プローブ、圧電振動子製造方法および超音波プローブ製造方法
JP2008232896A (ja) 薄膜赤外線検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684335A (zh) 超声波探头及其制造方法、以及压电振动子及其制造方法
JP6043673B2 (ja) 電気音響変換用高分子複合圧電体
JP6922128B2 (ja) 薄膜キャパシ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5728890B2 (ja)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065022B2 (ja) 誘電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5853846B2 (ja)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I755445B (zh) 膜構造體及其製造方法
JP2010013327A (ja) ペロブスカイト型酸化物単結晶の微細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複合圧電材料、積層型圧電振動子、超音波探触子、並びに、超音波診断装置
TW202209716A (zh) 高分子壓電薄膜
WO2023145808A1 (ja) 結晶、積層構造体、電子デバイス、電子機器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Li et al. Micro-patterning of PZT thick film by lift-off using ZnO as a sacrificial layer
CN104882277A (zh) 层状复合结构可调控电容和压电应力调控介电的方法
KR101435913B1 (ko) 에너지 하베스터 층상구조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752602B (zh) 具备pzt膜的传感器元件的制造方法
JP2013201346A (ja) 圧電素子及び圧電素子の製造方法
JP5861404B2 (ja)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934746B2 (ja) 圧電膜を有する積層基板、圧電膜を有する素子および圧電膜を有する積層基板の製造方法
JP2013225546A (ja) 圧電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281742A (ja) 半導体素子、半導体センサーおよび半導体記憶素子
JP6973745B2 (ja) Pzt薄膜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113614B1 (ko) 압전체 후막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