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841B1 - 전자기기 유닛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841B1
KR101538841B1 KR1020130054284A KR20130054284A KR101538841B1 KR 101538841 B1 KR101538841 B1 KR 101538841B1 KR 1020130054284 A KR1020130054284 A KR 1020130054284A KR 20130054284 A KR20130054284 A KR 20130054284A KR 101538841 B1 KR101538841 B1 KR 10153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haft
window
window cover
cov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3011A (ko
Inventor
다이스케 하라
타카시 츠보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03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3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Programmable Controllers (AREA)

Abstract

몸체의 창구멍을 개폐하는 창커버의 탈락이나 분실을 방지하고, 창구멍 개방시에 창커버가 조작의 장해가 되지 않도록 몸체 내에 창커버를 격납한다.
전자기기 유닛(100A)의 몸체의 외면(121)에 마련된 창구멍(130A)은, 한 쌍의 지지축(31a, 31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34) 방향으로 회동하는 창커버(140A)에 의해 개방/봉쇄되고, 작은창 커버(140A)는, 한 쌍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 이것을 둘러싸는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에 의해 구성된 장원형상의 홈구멍을 가지며, 직교 개방된 창커버(140A)는, 상기 지지축과 홈구멍에 따라 몸체 내부에 삽입, 격납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유닛{ELECTRONIC DEVICE UNIT}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progra㎜able controller)와 같은 전자기기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수 점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몸체의 외면에 마련된 창구멍(窓穴)을 폐쇄 또는 개방하기 위해 마련된 창커버(caver)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와 같은 전자기기 유닛에서, 몸체 내에 수납되고, 평상시는 취급의 대상으로는 되지 않지만 예외적으로 취급 조작이 행하여지는 부품을, 창커버(이하, 작은창 커버라고 칭한다)에 의해 은폐하여 두고, 적시에 작은창 커버를 열어서 그 부품의 조작을 행하는 것은 관용 수법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사용되는 작은창 커버에는, 탄력성이 있는 성형품 커버가 그 탄력성을 이용하여 창구멍에 강제적으로 삽입되어 창구멍에 장착되고, 적시에 그 창구멍으로부터 탄력성을 이용하여 강제적으로 빼내어져서 창구멍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작은창 커버, 또는 금속판 커버를 창구멍의 외면에 나사 고정하도록 구성된 작은창 커버가 있다. 이들의 작은창 커버는, 착탈 방식의 작은창 커버로서, 여기서는 제 1의 형태의 작은창 커버라고 칭한다.
또한, 다른 작은창 커버로서, 경첩에 의해 개폐 조작할 수 있도록 작은창에 추착된 작은창 커버가 있다. 이 추착 방식의 작은창 커버를 여기서는 제 2의 형태의 작은창 커버라고 칭한다. 제 2의 형태의 작은창 커버의 변형예로서, 경첩으로 추착된 작은창 커버에 취급 대상 부품을 탑재한 캥거루 포켓(kangaroo-pocket) 방식의 작은창 커버도 존재한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의 도 6에 도시된 종래의 유닛형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의하면, 제 1의 커버 부재(101)에 의해, 외부 툴(tool) 접속 커넥터와, 런/스톱 스위치(run/stop switch)와, 아날로그 볼륨이 덮여 있고, 그 밖에, 제 2 및 제 3의 커버 부재(102, 103)에 의해, 특수 어댑터의 접속 커넥터나 배터리 접속 커넥터가 덮여 있다.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제 1, 제 2, 및 제 3의 커버 부재는, 탄력성을 갖는 수지 성형품으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인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에 감입(嵌入)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의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몸체 작은창의 덮개 구조체에 의하면, 양단에 돌기형상의 축(26)을 갖는 덮개 베이스(21)와, 돌기형상의 축(26)과 결합하여 개폐 자유롭게 한 덮개 커버(22)를 구비하고, 덮개 커버(22)에는 축(26)으로부터 착탈 자유로운 개구부(27)를 마련하고, 덮개 커버(22)의 개방동작에서 열림 위치 한계를 초과한 때에, 덮개 커버(22)가 축(26)으로부터 벗겨져서 파손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허 문헌 3의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전기기기 수납 상자에 의하면, 전기기기 수납 상자의 커버(2)에 형성된 작은창(4) 내에, 작은창문(5)을 봉형상 축부재(11)에 의해 추착하고, 열린 상태 및 닫힌 상태에서 안정 지지할 수 있는 작은창문(5)의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개2010-257211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 특개2003-114058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개2006-228914호 공보
특허 문헌 1에 나타난 종래의 유닛형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는, 연가의 수지제의 작은창 커버가 사용되고 있는데, 작은창 커버가 탈착 방식이기 때문에 작은창의 개방시에 분실하거나, 탈착 조작을 하기 어렵다는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2에 나타난 종래의 몸체 작은창의 덮개 구조체는, 작은창 커버, 즉 덮개 커버(22)의 개방동작에 의한 파손의 우려는 없지만, 탈락이나 분실의 가능성이 있음과 함께, 작은창 커버를 개방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갈고리(tab)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작은창 커버를 연 상태에서는, 작은창 커버가 방해가 된다는 과제가 있다.
특허 문헌 3에 나타난 종래의 전기기기 수납 상자는, 작은창 커버, 즉 작은창문(5)의 탈락, 분실의 우려는 없지만, 작은창 커버에 무리한 외력이 가하여져서 경첩부가 파손되거나, 작은창 커버를 연 상태에서는, 작은창 커버가 방해가 되는 등의 과제가 있다. 또한, 창구멍으로부터 조작되는 대상물이, 전자기기 관련의 소물부품(小物部品)이여서, 가능한 한 대상 물품의 종별마다 창구멍을 마련할려고 한 경우에는, 작은창 커버는 예를 들면 30[㎜]×22[㎜], 또는 15[㎜]×22[㎜]의 평면적이 되어, 창구멍 자체가 작기 때문에, 작은창 커버가 일체로 되어 있으면, 이것이 손가락끝 돌림의 방해가 되어, 불필요하게 창구멍을 크게 하여야 한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장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제 1의 목적은, 몸체의 창구멍을 봉쇄하는 개폐 자유로운 작은창 커버의 탈락과 분실을 방지함과 함께, 생각지 않은 외력에 의해 작은창 커버, 즉 창커버가 손상되거나, 의도하지 않게 폐쇄하지 않도록 한 창커버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의 목적은, 창커버의 개방상태에서, 창 내의 보수 점검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창커버가 그 조작의 방해를 하지 않도록 함에 의해, 창구멍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창커버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은, 보수 점검용의 창구멍을 구비하고, 내부에 전자기기 부재를 수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제 1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과, 상기 제 1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1의 홈구멍과, 상기 제 2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의 홈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중심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창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는,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상기 창구멍을 개방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창구멍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까지의 최대 치수를 y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 또한, G≥y-L≥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은, 보수 점검용의 창구멍을 구비하고, 내부에 전자기기 부재를 수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제 2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과, 상기 제 1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1의 홈구멍과, 상기 제 2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의 홈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중심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창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는,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상기 창구멍을 개방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창구멍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가상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가상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R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회동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반경(y)의 원호의 일부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단면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대향하는 단면을 구비하고, y≤R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 의하면, 창커버는,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한 쌍의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창구멍을 개방하고, 또한 창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창구멍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까지의 최대 치수를 y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 또한, G≥y-L≥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커버의 탈락이나 분실의 우려가 없고, 게다가, 창구멍의 개방시에는 창커버의 돌출 높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창커버에 장해물이 닿는 등에 의해 창커버의 지지축부분이 파손될 위험성이 적어지고, 또한, 개방된 창커버에 접촉하여 생각지 않게 창구멍을 폐쇄하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커버의 개방상태에서, 창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을 창구멍 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창구멍 내의 보수 점검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창커버가 장해가 되지 않고, 따라서 창구멍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복수의 대상물품의 종별에 응한 복수의 창커버를 마련하면, 필요 최소 한도의 창구멍을 개방하여 필요 최소한의 창구멍 개방 면적에 의해 보수 점검을 행할 수 있는 부차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 의하면, 보수 점검용의 창구멍을 구비하고, 내부에 전자기기 부재를 수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과, 상기 제 1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1의 홈구멍과, 상기 제 2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의 홈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중심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창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는,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상기 창구멍을 개방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창구멍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가상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가상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R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회동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반경(y)의 원호의 일부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단면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대향하는 단면을 구비하고, y≤R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창커버의 탈락이나 분실의 우려가 없고, 게다가, 창구멍의 개방시에는 창커버의 돌출 높이를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창커버에 장해물이 닿는 등에 의해 창커버의 지지축부분이 파손될 위험성이 적어지고, 또한, 개방된 창커버에 접촉하여 생각지 않게 창구멍을 폐쇄하는 등의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창커버의 개방상태에서, 창커버의 적어도 일부분을 창구멍 내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창구멍 내의 보수 점검 조작을 행함에 있어서 창커버가 장해가 되지 않고, 따라서 창구멍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복수의 대상물품의 종별에 응한 복수의 창커버를 마련하면, 필요 최소 한도의 창구멍을 개방하여 필요 최소한의 창구멍 개방 면적에 의해 보수 점검을 행할 수 있는 부차적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창구멍의 내면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작은창 커버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치수 구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치수 구성에서의, 편재치수비에 관한 특성 선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
실시의 형태 1.
(1) 구성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 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전자기기 유닛(100A)은, 수지제의 베이스(110)와, 수지제의 본체 커버(120A)와, 베이스(110)에 수납된 1장의 회로 기판(10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은 1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A)의 어느 한쪽 또는 상호 분산되어 수납된 복수장의 회로 기판을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베이스(110)는, 저면(111)과 사방의 베이스 주벽면(112, 113, 114, 115)을 구비하고 있다. 본체 커버(120A)는, 외면(121)과 사방의 본체 커버 주벽면122, 123, 124, 125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A)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고정 기구에 의해 상호 고정됨에 의해, 베이스(110)의 개구부와 본체 커버(120A)의 개구부가 봉쇄되어 하나의 몸체(210A)가 구성된다. 본체 커버(120A), 또는 베이스(110) 측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10a)에는, 전자기기 부재로서의 복수의 전자 회로부품(11)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카드(memory card) 또는 배터리 등의 취환 또는 교환 부품 접속용의 커넥터(12), 가변 저항이나 딥 스위치(DIP swich) 등의 조정 또는 선택 조작용의 부품(13)이 탑재되어 있다.
본체 커버(120A)의 외면(121)에 개구하는 창구멍(130A)과, 이 창구멍(130A)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창커버로서의 작은창 커버(140A)가 마련되어 있고, 전술한 커넥터(12)와 조정용 또는 선택 조작용의 부품(13)은, 이 창구멍(130A)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은창 커버(140A)는, 도 2에 의해 후술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에 의해 창구멍(130A) 내에 추착되어 있고, 회동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하여 수동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저면(111)에는, 도시하지 않는 DIN 레일용의 훅이 마련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 내의 DIN 레일에 현가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가령 도 1의 경우와는 달리 창구멍(130A)이 전자기기 유닛(100A)의 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고 하면, 같은 DIN 레일에 인접하여 현가된 다른 기기가 장해가 되어, 작은창 커버(140A)를 개방 직교 위치를 넘어서 회동시킬 수가 없는 상황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창구멍의 내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 몸체(210A)에서의 본체 커버(120A)의 외면(121)에 개구하도록 마련된 창구멍(130A)의 내면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과, 이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과 직교하는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지지축(31a)과 제 1의 훅(hook)(32a)은, 한 쌍의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 중의 일방에 돌설되고, 제 2의 지지축(31b)과 제 2의 훅(32b)은, 한 쌍의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 중의 타방에 돌설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서로의 축방향의 단부(端部)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은 동일 축선상에 배치되고, 서로의 축방향의 단부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축선은,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축(131)이 된다. 한 쌍의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은 회동 중심축(131)에 대해 직교하도록 형성되고,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은 회동 중심축에 대해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축방향의 단부에는, 창구멍(130A)의 저면을 향하여 점차 경사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35a, 35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축방향의 단부에는, 창구멍(130A)의 저면을 향하여 점차 경사하는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와, 창구멍(130A)의 외부를 향하여 점차 경사하는 제 1 및 제 2의 훅 발출(拔出) 사면부(37a, 37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에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guide rail)(33a, 33b)이 돌설되고,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에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rail)(34a, 34b)이 돌설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도면의 복잡화를 피하기 위해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으로부터의 돌출 높이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또한, 작은창 커버(140A)를, 창구멍(130A)의 폐쇄 위치로부터 거의 90도 회전시켜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은창 커버(140A)는,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과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에 끼어지지되어 창구멍 내부의 방향으로 활주하고, 창구멍(130A) 내에 일부분을 남기고 격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작은창 커버(140A)를 창구멍(130A)의 폐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창구멍(130A)의 저면에는, 메모리 카드 또는 배터리 등의 취환(取換) 또는 교환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2)(도 1 참조)에 접속되는 상대측의 커넥터의 삽입구(38)와, 가변 저항 또는 딥 스위치 등의 조정용 또는 선택용의 조작 부품(13)(도 1 참조)을 조정 또는 조작하기 위한 조정창(39)이 마련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작은창 커버의 저면부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작은창 커버(140A)를 저면측에서 올려다 본 도면이다. 도 3에서, 작은창 커버(140A)는, 판형상부(41)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와,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의 전단부(前端部)를 연결하는 연결들보(連結粱)(43)를 일체 성형한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의 외측 단면(端面)에는, 각각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도 3에는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b)만이 도시되어 있다)과, 이들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을 둘러싸는 한 쌍의 고리형상(環狀)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도 3에는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b)만이 도시되어 있다)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에 의해, 회동 중심축(131)과 직교하는 방향의 작은창 커버(140A)의 폭방향(이하, 작은창 커버의 세로폭 방향이라고 칭한다)으로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도 3에는 제 2의 홈구멍(50b)만이 도시되어 있다)을 구성하고 있다.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에서의 작은창 커버(140A)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부터의 높이 치수가, 회동 중심축(131)의 방향인 작은창 커버(140A)의 폭방향(이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이라고 칭한다)으로, 점차 작아지도록 경사하여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도 3에는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b)만이 도시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에서의 작은창 커버(140A)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전술한 한 쌍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와 마찬가지로 경사하여 늘어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도 3에는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bb)만이 도시되어 있다)와, 이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 46b)의 경사 방향이란 역방향에 경사한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도 3에는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b)만이 도시되어 있다)가 형성되어 있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의 저면부터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 높이 치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에 접하는 부위에서 가장 크고,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의 저면부터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의 높이 치수는,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와의 경계에서 가장 높고, 이 경계로부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의 저면부터의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의 높이 치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에 접하는 부위에서 가장 작고,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와의 경계에서 가장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와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와의 경계에서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의 저면부터의 높이 치수는, 동일하다.
또한, 제 1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에서의 전술한 높이 치수의 가장 큰 부위와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b)에서의 전술한 높이 치수의 가장 큰 부위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은, 제 1의 지지축(31a)의 축방향의 단부와 제 2의 지지축(31b)의 축방향의 단부와의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제 1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에서의 전술한 높이 치수의 가장 작은 부위와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b)에서의 전술한 높이 치수의 가장 작은 부위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은, 제 1의 지지축(31a)의 축방향의 단부와 제 2의 지지축(31b)의 축방향의 단부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단, 한 쌍의 지지축의 단면 간격은 지지축 단면에 마련된 감입 사면부를 고려한 치수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 1의 훅 삽입 사면부(46aa)의 가장 높이 치수가 큰 부위와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bb)의 가장 높이 치수가 큰 부위와의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은, 제 1의 훅(32a)의 축방향의 단부와 제 2의 훅(32b)의 축방향의 단부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보다도 작게 설정되고, 제 1의 훅 삽입 사면부(46aa)의 가장 높이 치수가 작은 부위와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bb)의 가장 높이 치수가 작은 부위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은, 제 1의 훅(32a)의 축방향의 단부와 제 2의 훅(32b)의 축방향의 단부 사이의 작은창 커버의 횡폭 방향의 간격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단, 한 쌍의 훅의 단면 간격은 훅 단면에 마련된 감입 사면부를 고려한 치수로 되어 있다.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에서의 작은창 커버의 이면측에는, 작은창 커버(140A)가 창구멍(130A)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의 선단부에 함함하여 맞닿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48a, 48b)가 마련되어 있다. 작은창 커버(140A)의 반지지축측(反支軸側) 단면(1402)에는, 작은창 커버(140A)를 회동시킬 때에 조작자의 손가락끝을 계합시키기 위한 조작용 홈(1403)이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서, 작은창 커버(140A)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창구멍(130A)의 내면은, 화살표(132)의 방향부터 조작자의 손가락끝을 삽입하여 작은창 커버(140A)의 반지지축측 단면(1402)을 들어 올려서, 화살표(134)의 방향으로 작은창 커버(140A)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가락구멍(指穴) 공간과, 커넥터 삽입구(38)와 조정창(39)을 구비한 내벽(126)을 갖고 있다. 도 4에는,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 중 도시되지 않은 내면에 돌설된 제 2의 지지축(31b) 및 제 2의 훅(32b)의 단면(斷面)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48a, 48b)와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의 선단부는, 사다리꼴 또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고, 작은창 커버(140A)를 폐쇄한 때에 상호 구심(求心) 동작을 행하여 작은창 커버(140A)의 위치 결정을 행하고,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1401)과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과의 간극 치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화살표(133)는, 작은창 커버(140A)를 개방할 때에, 작은창 커버(140A)의 반지지축측 단면(1402)을 경사 상방에 들어 올릴려고 한 경우에 작용하는 개방 분력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고,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의 선단부는, 이 개방 분력에 의해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1401)과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이 가압되는 것을 회피 또는 가압 분력을 경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1401)이 대향하는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의 높이 치수(h)는,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작은창 커버(140A)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T1)와,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까지의 내벽면 거리(R)와의 차분치[R-L] 이하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고, 작은창 커버(140A)가 도 4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에 대해 직교하는 개방 위치로 회동된 후, 작은창 커버(140A)가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과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에 유도되어, 작은창 커버(140A)의 적어도 일부가 창구멍(130A) 내에 격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4에서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에 대응하여,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를 마련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를,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에 대응한 위치까지 연장하고, 이것을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로 할 수도 있다.
(2) 작용 동작의 상세한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작은창 커버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에서의, 작은창 커버의 개폐 동작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서, 회로 기판(10a)을 수납한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A)는, 상호의 개구단을 봉쇄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나사(screw)에 의해 일체로 고정된다.
다음에, 작은창 커버(140A)를 창구멍(130A)에 장착할 때에는,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작은창 커버(140A)의 이면측을 도 2에 도시하는 창구멍(130A)의 개구부에 대향시켜서, 작은창 커버(140A)를 창구멍(130A)에 가볍게 결합시킨다. 이 때,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35a, 35b)는,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의 표면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 있고, 또한,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는,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36aa, 36bb)의 표면에 각각 맞닿은 상태에 있다.
다음에, 전술한 바와 같이 창구멍(130A)에 결합되어 있는 작은창 커버(140A)의 외표면, 특히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과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에 대응한 부분의 외표면을, 창구멍(130A)의 저면을 향하여 가압한다. 이에 의해,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가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35a, 35b)에 의해 압접됨과 함께, 작은창 커버(A)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가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에 의해 압접된다.
이에 의해,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35a, 35b)는,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감입 사면부(46a, 46b)를 스무스하게(smooth) 활주함과 함께,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는,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를 원활하게 활주하고, 그 결과, 작은창 커버(140A)의 판형상부(41)은 외측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한다. 작은창 커버(140A)의 판형상부(41)가 만곡함에 의해,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 및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각 축방향 선단부는, 작은창 커버(140)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 내에 강제적으로 유감(遊嵌)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은창 커버(140A)는, 본체 커버(120A)에 장착되고, 창구멍(130A)을 폐쇄한다. 도 4는 이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작은창 커버(140A)가 장착된 전자기기 유닛(100A)은,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 내의 DIN 레일에 현가되어 제어반에의 장착이 완료된다.
다음에, 유저(user)의 조작자에 의해 폐쇄 위치에 있는 작은창 커버(140A)를 개방시키는 경우에 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작은창 커버(140A)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화살표(132)의 방향부터 손가락끝을 손가락구멍 공간에 삽입하여 작은창 커버(140A)의 조작용 홈(1403)에 계합시키고, 작은창 커버(140A)의 전단부를 들어 올린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제 1 및 제 2의 훅 발출 사면부(37a, 37b)가 작은창 커버(140A)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를 가압하여 작은창 커버(140A)의 판형상부(41)를 도면의 상방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시킨다.
이 상태로부터 더욱 작은창 커버(140A)를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34)의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이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으로부터 탈출한다. 그리고 더욱 작은창 커버(140A)를 도 4에 도시하는 위치에 대해 직각의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작은창 커버(140A)는, 본체 커버(120A)의 윗면에 직립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이 직립 상태인 제 2의 각도 위치에 있는 작은창 커버(140A)를 본체 커버(120A)의 창구멍(130A) 내에 압입하면, 작은창 커버(140A)는,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과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에 유도되어, 반지지축측 단면(1402)의 부근의 일부분을 남기고, 창구멍(130A) 내에 수납된다. 이 상태에서, 작은창 커버(140A)는 완전한 개방 위치를 취하게 된다. 이 때, 조작자는 창구멍(130A)의 저면의 커넥터 삽입구(38), 조정창(39)을 통하여 필요한 조작을 행한다.
다음에, 작은창 커버(140A)를 개방 위치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이동시킬 때는, 전술한 개방 조작과는 반대의 조작을 행한다. 즉, 조작자는, 창구멍(130A)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작은창 커버(140A)의 반지지축측 단면(1403)을 손가락으로 끼운 채로 본체 커버(130A)의 외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끌어올려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의 단벽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하는 화살표(134)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작은창 커버(140A)를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를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작은창 커버(140A)를 창구멍(130A)에 더욱 압입하면,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는, 작은창 커버(140A)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를 원활하게 활주하고, 작은창 커버(140A)의 판형상부(41)은 외측으로 볼록형상으로 만곡하고,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각 축방향 선단부는, 작은창 커버(140)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 내에 강제적으로 유감된다. 이와 같이 하여 작은창 커버(140A)는, 도 4에 도시하는 폐쇄 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치수 구성에 관해 명도(明圖)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치수 구성의 상세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5에서,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회동 중심축(131))을 기준점으로 하여, 작은창 커버(140A)의 외표면까지의 치수인 외면 두께를 T1, 작은창 커버(140A)의 내표면까지의 치수인 내면 두께를 T2, 지지축측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지지축측 단면까지의 최대의 단면 거리로서의 최대 치수를 y,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까지의 내벽면 거리를 R이라고 하면, 작은창 커버(140A)의 폐쇄 위치에서의 지지축측 단면(1401)부터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까지의 거리인 간극(G)은, 적어도 하기한 식(1)에 의해 산출되는 값이 필요하게 된다.
G=y-L=√(L2+T12)-L=T1×√[(L/T1)2+1]-L … 식(1)
여기서, 간극(G)과 외면 두께(T1)와의 비율을 간극 비율(G/T1)이라고 하면, 간극 비율(G/T1)은 하기한 식(2)에 의해 표시된다.
∴ G/T1=(x2+1)-x … 식(2)
단, 편재치수비 x=L/T1>1.0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치수 구성에서의, 편재치수비에 관한 특성 선도로서, 횡축은 편재치수비(x)=L/T1의 값이고, 종축은 간극 비율(G/T1)의 값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편재치수비(x)를 크게 하면 간극 비율(G/T1)이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가령, L=T1로 하고, 편재치수비(x)=1로 한 경우에는, 간극 비율(G/T1)은 「0.41」이 되고 간극(G)이 커진다.
간극(G)이 커지면, 도전성 더스트(dust)의 침입과 그 퇴적이 발생하기 때문에, 편재치수비(x)는 「1.5」 내지 「2.5」 정도의 값으로 하여 둠과 함께,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1401)에 치수(y)를 반경으로 한 원호의 일부를 구비한 초승달형상의 두께 늘림을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한다. 여기서, y<R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두께 늘림에 의해, 폐쇄 상태에서의 중심부의 간극은, 치수 정밀도로 정하여지는 최소 한도의 값으로 단축할 수 있다. 단, 이와 같은 두께 늘림을 행하여도, 작은창 커버(140A)의 표면부에서는, 여전히 전술한 식(1)으로 산출된 간극이 발생하기 때문에, 편재치수비(x)는 가능한 한 큰 값으로 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은창 커버(140A)의 내면 두께(T2)의 크기는, 작은창 커버(140A)의 개폐 동작과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외면 두께(T1)보다는 큰 보고 두는 것에 의해,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나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를 완만한 경사로 하여, 작은창 커버(140A)의 전술한 장착 조작이나 개폐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요점과 특징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100A)은, 회로 기판(10a)과 전자 회로부품(11)을 수납한 몸체(210A)의 외면(121)에 개구하고, 보수 점검에 적합한 창구멍(130A)을 구비하고, 해당 창구멍(130A)에 대해 개폐 자유롭게 장착된, 작은창 커버(140A)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100A)으로서, 상기 몸체(210A)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개폐 조작을 행할 때에, 해당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이 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갖음과 함께, 상기 작은창 커버(140A)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에 각각이 감입하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 해당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을 둘러싸는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에 의해 구성된 장원(長圓)형상의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을 구비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를 상기 창구멍(130A)의 폐쇄 위치로부터, 직교 개방 위치로 회동시킨 후,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에 따라 상기 몸체(210A)의 내부에 압입하여, 개방 위치에서의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돌출 높이를 억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즉 회동 중심축(131))과,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과 대향하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L)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T1)보다도 큰 편재 치수로 되어 있고,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과 대향하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까지의 최대 간격(G)은,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까지의 최대 치수(y)로부터, 상기 최소 단면 거리(L)를 뺀 값 이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은,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까지의 최대 치수를 y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 또한, G≥y-L≥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최소 단면 거리(L)를 외면 두께(L1)보다도 크게 함에 의해, 최대 간극(G)을 작은 값으로 하여, 몸체 내에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간극 내에 침입하는 먼지의 퇴적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과 최대 간극(G)을 두고서 대향하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가상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L)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T1)보다도 큰 편재 치수로 되어 있고, 상기 가상 단면에는 또한, 상기 회동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방향에 소정 반경에 의한 원호형상의 두께 늘림이 행해져서 실제의 지지축측 단면으로 되고, 상기 소정 반경은,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까지의 내벽면 거리(R) 이하의 값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은,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가상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가상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R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회동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반경(y)의 원호의 일부의 형상을 구비하여 상기 가상 단면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대향하는 단면을 구비하고, y≤R의 관계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창 커버의 회동 중심점부터 작은창 커버의 두께 늘림 전(前)의 지지축측 단면까지의 치수를, 외면 두께(L1)보다도 크게 함에 의해, 작은창 커버의 두께 늘림 단면과 창구멍 내면과의 간극은, 각 부분의 치수 편차(dispersion)에 기인하는 최소 한도의 제로 치수에 접근시켜서, 몸체 내에 이물이 혼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작은창 커버의 표면부에서의 창구멍 내면과의 함몰 간극을 축소하여, 간극 내에 침입하는 먼지의 퇴적을 억제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작은창 커버(140A)가 격납되는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에는,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이 돌설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배면 레일(34a, 34b)의 높이 치수(h)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점(P)과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까지의 내벽면 거리(R)로부터, 상기 외면 두께(T1)를 뺀 상기 회동 중심점(P)의 편재 치수 이하의 치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창 커버를 몸체 내에 압입할 때에, 작은창 커버의 위치가 안정되고, 경도의 압입 치수로 하여 둠에 의해 격납 상태가 안정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배면 레일은 2개로 한하지 않고 1개만이라도 좋고, 또는 3개 이상이라도 좋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작은창 커버(140A)는, 판형상부(41)의 양단에 마련된 한 쌍의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와, 해당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의 전단부를 연결하는 연결들보(43)를 일체 성형한 수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의 외측 단면에는, 각각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 해당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을 둘러싸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이 마련되어 있고, 이들의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은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의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부터의 높이 치수가 작아진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를 구비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를 상기 창구멍(130A)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를 가압하고, 상기 판형상부(41)가 외측으로 만곡함에 의해 강제적으로 삽입(즉, 무리 넣음)이 행하여지고, 무리 넣음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에 유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지재로 성형된 작은창 커버는, 창커버를 창구멍에 삽입할 때의 무리 넣음 치수는, 지지축의 유감 깊이와 지지축 삽입 사면의 낙차에 의해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판형상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도, 연결들보에 의해 보강되어 있기 때문에, 충분한 무리 넣음 가압력에 의해 한 쌍의 지지축을 확실하게 홈구멍에 도입하고, 일단 홈구멍에 감입한 지지축은 탈락할 수 없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몸체(210A)의 창구멍(130A)의 창구멍 내면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과 나란하게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이 돌설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에 마련된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돌설 위치까지 연장되든지, 또는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가 마련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45a, 45b)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돌설 위치에 대응한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가 또한 마련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를 상기 창구멍(130A)에 삽입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를 가압하고, 상기 판형상부(41)가 외측으로 만곡함에 의해 무리 넣음이 행하여지고, 무리 넣음이 완료되면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은,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에 유감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개방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를 가압하고, 상기 판형상부(41)가 외측으로 만곡함에 의해 무리 빼기가 행하여지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개방한 후에 재차 폐쇄할 때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선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를 가압하고, 상기 판형상부(41)가 외측으로 만곡함에 의해 무리 넣음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작은창 커버에 의한 창구멍의 폐쇄 상태는, 작은창 커버에 마련된 홈구멍에 감입하고 있는 한 쌍의 훅에 의해 지지되고, 작은창 커버를 개방할 때의 훅의 탈출 치수는, 훅의 접합 깊이와 훅 탈출 사면부의 낙차에 의해 결정되고, 필요하게 되는 개방 탈출력의 크기는, 훅의 돌설 위치와 연결들보까지의 거리를 미리 조정해 둠에 의해 적당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정밀한 금형 치수 조정을 필요로 한 지지축의 무리 넣음 감입 강도와, 훅의 무리 넣음, 무리 빼기 강도의 조정은, 작은창 커버를 성형하는 금형에 집중하고 있기 때문에, 성형 시타(試打) 단계에서 작업 효율이 향상하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돌설 위치와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연결들보(43)와의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돌설 위치와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연결들보(43)와의 거리의 반분 이상의 거리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선단에는, 각각에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와 맞닿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35a, 35b)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선단에는, 각각에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와 맞닿는 제 1 및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36a, 36b)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47a, 47b)와 맞닿을 수 있는 제 1 및 제 2의 훅 발출 사면부(37a, 37b)가 마련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및 제 2의 훅의 돌설 위치를 연결들보의 위치로부터 멀게 함과 함께, 각 훅의 선단에는 감입 사면부와 발출 사면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작은창 커버를 개폐할 때에, 작은창 커버와 훅에 무리한 힘이 작용하지 않아, 안정된 개폐 수명을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돌설 높이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돌설 높이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a, 46b)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의 최대 낙차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46aa, 46bb)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의 최대 낙차보다도 크게 설정되어도 좋고, 이들의 경우,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의 감입 깊이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의 감입 깊이보다도 크게 설정된다.
이 경우, 지지축과 홈구멍과의 감입 깊이는, 훅과 홈구멍과의 감입 깊이보다도 크게 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창 커버를 개방할 때에 한 쌍의 훅에 의해 작은창 커버의 절곡부가 격리되어 개방되고도, 한 쌍의 지지축이 홈구멍으로부터 탈락하는 일이 없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제 1 및 제 2의 홈구멍에 감입시키는 것은, 제품 조립 작업시점의 1회이고, 작은창 커버를 파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충분한 무리 넣음을 행하여도, 작은창 커버의 개폐 수명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한 쌍의 지지축(31a, 31b)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 사이의 위치로서,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상기 창구멍(130A)의 제 1의 창구멍 내면(130i)에는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이 돌설되어 있음과 함께, 작은창 커버(140A)의 회동 중심축과 평행하는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에는, 1개 또는 복수의 배면 레일(34a, 34b)이 돌설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과, 상기 1개 또는 복수의 배면 레일(34a, 34b)에 의해 끼어지지되어, 상기 몸체(210A) 내에 격납된다.
이상과 같이, 창구멍 내면에는 가이드 레일과 배면 레일이 돌설되어, 작은창 커버를 끼어지지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창구멍의 개방상태에서 작은창 커버를 안정된 상태로 격납 지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에서,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상기 제 1 및 제 2의 절곡부(42a, 42b)에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가 상기 창구멍(130A)을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의 선단 부분에 결합하여 맞닿는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48a, 48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48a, 48b)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33a, 33b)의 선단 부분은, 사다리꼴 또는 원호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를 폐쇄한 때에 상호 구심 동작을 행하여, 상기 작은창 커버(140A)의 지지축측 단면과 상기 창구멍(130A)의 제 2의 창구멍 내면(130j)과의 간극 치수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작은창 커버를 폐쇄한 때의 작은창 커버의 위치는, 작은창 커버와 가이드 레일에 마련된 접합 당접부의 구심 작용에 의해 결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작은창 커버를 개방할 때에, 개방 조작력의 분력에 의해 작은창 커버의 지지축측 단면이 창구멍의 내면에 가압되는 것을 회피·감쇄하고, 작은창 커버와 가이드 레일의 선단부와의 결합부에 가압력이 작용하여, 결합 사면으로부터의 분력에 의해 작은창 커버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함과 함께, 작은창 커버의 지지축측 단면이 창구멍의 내면에 가압되지 않음에 의해, 작은창 커버의 원활 회동이 가능해지는 특징이 있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실시의 형태 2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몸체(210A)는, 상호 나사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A)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 또는 상기 본체 커버(120A)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사방의 주벽면(112 내지 115, 122 내지 125)이 마련되고, 1장 또는 복수장의 회로 기판(10a)이 수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10) 또는 상기 본체 커버(120A)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10a)에는, 가변 저항 또는 스위치로 대표되는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13), 또는, 메모리 카드 또는 전지로 대표되는 취환 부품 또는 교환 부품에 대한 커넥터(12)의 적어도 한쪽이 탑재되고, 상기 창구멍(130A)은 상기 본체 커버(120A)의 외면(121)에 마련되고, 해당 창구멍(130A)의 내부에는 상기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13), 또는 상기 취환 부품 또는 교환 부품에 대한 커넥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이나 스위치 등에 대한 조정·선택 조작이나, 배터리나 메모리 카드에 관한 취환·교환 작업은, 본체 커버를 열지 않아도, 작은창 커버를 열어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부품이나 커넥터가 리드선으로 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이즈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실시의 형태 2.
(1) 구성 및 작용의 상세한 설명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에 의한 도 1, 도 4의 경우와의 상위점을 중심으로 하여, 그 구성과 작은창 커버의 개폐 조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7에서, 전자기기 유닛(100B)은, 수지제의 베이스(110)와, 수지제의 본체 커버(120B)와, 베이스(110) 또는 본체 커버(120B)의 어느 한쪽 또는 상호 분산되어 수납된 1장 또는 복수장의 회로 기판(10a, 10b, 10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110)는, 도시하지 않은 저면(111)과 사방의 주벽면(도 1에서 부호 112 내지 115에 상당한다)을 구비함과 함께, 본체 커버(120B)는, 외면(121)과 사방의 주벽면(도 1에서 부호 122 내지 125에 상당한다)을 구비하고 있고,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B)는, 도시하지 않은 나사 고정 기구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호의 개구면이 봉쇄된 몸체(210B)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 커버(120B) 또는 베이스(110)측에 미리 고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10a)에는, 복수의 전자 회로부품(11)과, 도시하지 않은 메모리 카드 또는 배터리 등의 취환 부품 또는 교환 부품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2), 가변 저항 또는 딥 스위치 등의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13), 및 프로그램 툴(program tool) 또는 설정 표시 기기로 대표되는 외부 기기를 시리얼 신호 회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통신용 커넥터(14)가 탑재되어 있다.
본체 커버(120B)의 외면(121)에는, 창구멍(130A)과, 이 창구멍(130A)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창커버로서의 작은창 커버(140A)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커넥터(12)와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13)은, 이 창구멍(130A)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 커버(120B)의 외면(121)에는 창구멍(130B)과, 이 창구멍(130B)을 개방 또는 폐쇄하기 위한 작은창 커버(140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통신용 커넥터(14)는, 이 창구멍(130B)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작은창 커버(140A)는, 도 2에 의해 전술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에 의해 창구멍(130A) 내에 추착되고 수동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작은창 커버(140B)는, 도 2에 의해 전술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에 의해 창구멍(130B) 내에 추착되고 개별적으로 수동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110)의 저면(111)에는, 도시하지 않은 DIN 레일용의 훅이 마련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제어반 내의 DIN 레일에 현가하여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창구멍(130A, 130B)이 전자기기 유닛(100B)의 측면 위치에 배치되어 있면, 동일한 DIN 레일에 인접하여 현가된 다른 기기가 장해가 되어, 작은창 커버(140A, 140B)를 개방 직교 위치를 넘어서 회동할 수가 없는 상황이 된다.
다음에, 도 8에서, 작은창 커버(140B)의 좌측면에서는, 제 2의 절곡부(42b)와,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b)과,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b)과,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46b)가 도시되어 있고,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b)과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b)에 의해 형성된 제 2의 홈구멍(50b)에는,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35b)을 갖는 제 2의 지지축(31b)이 유감하고 있다. 작은창 커버(140B)의 우측면 위치에서의 제 1의 지지축(31a)과 제 1의 홈구멍(50a)의 관계도,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2의 지지축(31b)과 제 2의 홈구멍(50b)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작은창 커버(140B)의 우측면에서는, 제 1의 절곡부(42a)와,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과,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과, 제 1의 훅 삽입 사면부(46aa)와, 제 1의 훅 탈출 사면부(47a)가 나타나고 있고,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과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에 의해 구성된 제 1의 홈구멍(50a)에는, 제 1의 훅 감입 사면(36a)과 제 1의 훅 발출 사면부(37a)를 갖는 제 2의 훅(32a)이 유감하고 있다. 작은창 커버(140B)의 좌측면 위치에서의 제 2의 훅(32b)과 제 2의 홈구멍(50b)의 관계도, 도 8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제 1의 훅(32a)과 제 1의 홈구멍(50a)의 관계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 4와 도 8은, 단면 방향이 다른 것이고,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과 제 1 및 제 2의 훅(32a, 32b)과 작은창 커버(140A, 140B)와의 상대 관계는, 도 8의 경우도 도 4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창구멍(130A)은 교환 부품용 커넥터와 조정 부품 또는 조작 부품을 대상으로 하고, 창구멍(130B)은 통신용 커넥터를 대상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의 용도는 적절하게 분산 또는 통합할 수 있음과 함께, 창구멍의 치수나 배치에 대해서도 적재 적소의 설계를 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다양한 옵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다양한 특수 어댑터의 하나를 창구멍 내의 커넥터에 접속하거나, 작은창 커버의 회동 중심축을 도 1에서 주벽면(123) 또는 주벽면(125)과 평행한 방향에 마련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A, 120B)가 각각에 사방의 주벽(112 내지 115, 122 내지 125)을 갖는 것으로 하였지만, 예를 들면 베이스(110)는 사방의 주벽을 갖지 않고 저면(111)만을 형성하고, 1장의 회로 기판이 사방의 주벽을 갖는 본체 커버(120A, 120B) 내에 조립되도록 하여도 좋고.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본체 커버(120A, 120B)는 사방의 주벽을 갖지 않고 외면(121)만을 형성하고, 1장의 회로 기판을 사방의 주벽을 갖는 베이스(110) 내에 조립하도록 하여, 창구멍은 본체 커버의 외면에 마련하고, 이 창구멍을 개폐하는 작은창 커버는 베이스 측에 마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2) 실시 형태 2의 요점과 특징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100B)은, 회로 기판(10a)과 전자 회로부품(11)을 수납하는 몸체(210B)의 외면(121)에, 보수 점검에 적합한 창구멍(130A, 130B)을 마련하고, 해당 창구멍(130A, 130B)에 대해 개폐 자유롭게 장착된 작은창 커버(140A, 140B)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100B)으로서, 상기 몸체(210B)는, 상기 작은창 커버(140A, 140B)의 개폐 조작을 행할 때에, 해당 작은창 커버(140A, 140B)의 회동 중심이 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을 갖음과 함께, 상기 작은창 커버(140A, 140B)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에 각각이 감입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과, 해당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44a, 44b)을 둘러싸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45a, 45b)에 의해 구성된 장원형상의 제 1 및 제 2의 홈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작은창 커버(140A, 140B)를 상기 창구멍(130A, 130B)의 폐쇄 위치로부터, 직교 개방 위치로 회동시킨 후, 상기 작은창 커버(140A, 140B)의 적어도 일부분을,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31a, 31b)과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50a, 50b)에 따라 상기 몸체(210B)의 내부에 압입하여, 개방 위치에서의 상기 작은창 커버(140A, 140B)의 돌출 높이를 억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몸체(210B)는, 상호 나사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된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B)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 또는 상기 본체 커버(120B)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사방의 주벽면(112 내지 115, 122 내지 125)이 마련되어, 1장 또는 복수장의 회로 기판(10a 내지 10c)이 수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10) 또는 상기 본체 커버(120B)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10a)에는, 가변 저항 또는 스위치로 대표되는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13), 또는, 메모리 카드 또는 전지로 대표되는 취환 부품 또는 교환 부품에 대한 커넥터(12)의 적어도 한쪽이 탑재되고, 상기 창구멍(130A)은 상기 본체 커버(120B)의 외면(121)에 마련되고, 해당 창구멍(130A)의 내부에는 상기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13), 또는 상기 취환 부품 또는 교환 부품에 대한 커넥터(1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가변 저항이나 스위치 등에 대한 조정·선택 조작이나, 배터리나 메모리 카드에 관한 취환·교환 작업은, 본체 커버를 열지 않아도, 작은창 커버를 열어서 간단하게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부품이나 커넥터가 리드선으로 인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노이즈 오동작이 발생하기 어려운 특징이 있다.
상기 몸체(210B)는, 상호 나사 고정 또는 결합 고정된 베이스(110)와 본체 커버(120B)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110) 또는 상기 본체 커버(120B)의 한쪽 또는 양쪽에는, 사방의 주벽면(112 내지 115, 122 내지 125)이 마련되어, 1장 또는 복수장의 회로 기판(10a 내지 10c)이 수납 고정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110) 또는 상기 본체 커버(120B)의 한쪽에 고정되어 있는 회로 기판(10a)에는, 프로그램 툴 또는 설정 표시 기기로 대표되는 외부 기기를 시리얼 신호 회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통신용 커넥터(14)가 마련되고, 상기 창구멍(130B)은 상기 본체 커버(120B)의 외면(121)에 마련되고, 해당 창구멍(130B)의 내부에는 상기한 외부 기기를 접속하기 위한 상기 통신용 커넥터(14)가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베이스와 본체 커버의 어느 한쪽에는 프로그램 툴 또는 설정 표시 기기로 대표되는 외부 기기를 시리얼 신호 회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통신용 커넥터가 마련되고, 본체 커버의 외면에 마련된 창구멍의 내부에는 해당 통신용 커넥터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필요에 응하여 적시에 사용되는 외부 기기는, 본체 커버를 열지 않아도, 작은창 커버를 열어서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외부 기기를 접속하지 않을 때에는 작은창 커버에 의해 통신용 커넥터를 봉쇄하여 둘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 의한 전자기기 유닛은, 청구항 제 1 내지 11에 기재된 발명에 관한 구성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각 실시의 형태를 자유롭게 조합시키거나, 각 실시의 형태를 적절히, 변형,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10a 내지 10c : 회로 기판
11 : 전자 회로부품
12 : 커넥터
13 : 조정 부품 또는 선택 조작 부품
14 : 통신용 커넥터
31a : 제 1의 지지축
31b : 제 2의 지지축
32a : 제 1의 훅
32b : 제 2의 훅
33a : 제 1의 가이드 레일
33b : 제 2의 가이드 레일
34a : 제 1의 배면 레일
34b : 제 2의 배면 레일
35a : 제 1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
35b :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
36a : 제 1의 훅 감입 사면부
36b :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
37a : 제 1의 훅 발출 사면부
37b : 제 2의 훅 발출 사면부
38 : 커넥터 삽입구
39 : 조정창
41 : 판형상부
42a : 제 1의 절곡부
42b : 제 2의 절곡부
43 : 연결들보
44a :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
44b :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
45a :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
45b :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면
46a : 제 1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
46b :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
46aa : 제 1의 훅 삽입 사면부
46bb :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
47a : 제 1의 훅 탈출 사면부
47b :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
48a : 제 1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
48b :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
50a : 제 1의 홈구멍
50b : 제 2의 홈구멍
100A, 100B : 전자기기 유닛
110 : 베이스
111 : 저면
112, 113, 114, 115 : 베이스 주벽면
120A, 120B : 본체 커버
121 : 외면
122, 123, 124, 125 : 본체 커버의 주벽면
126 : 내벽
130A, 130B : 창구멍
131 : 회동 중심축
130i : 제 1의 창구멍 내면
130j : 제 2의 창구멍 내면
140A, 140B : 창커버(작은창 커버)
1401 : 창커버의 지지축측 단면
1402 : 창커버의 반지지축측 단면
1403 : 조작용 홈
210A, 210B : 몸체
G : 최대 간격
h : 높이 치수
L : 최소 단면 거리
P : 회동 중심점
R : 내벽면 거리
T1 : 외면 두께
y : 최대 치수

Claims (13)

  1. 보수 점검용의 창구멍을 구비하고, 내부에 전자기기 부재를 수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제 1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과,
    상기 제 1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1의 홈구멍과, 상기 제 2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의 홈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중심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창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는,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상기 창구멍을 개방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창구멍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상기 단면까지의 최대 치수를 y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 또한, G≥y-L≥0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2. 보수 점검용의 창구멍을 구비하고, 내부에 전자기기 부재를 수납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제 1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는 제 1 및 제 2의 지지축과,
    상기 제 1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1의 홈구멍과, 상기 제 2의 지지축에 결합할 수 있는 제 2의 홈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중심을 회동 중심점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 창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는,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함에 의해 상기 창구멍을 개방하고, 또한 상기 창구멍을 개방한 상태에서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창구멍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 전자기기 유닛으로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을 P,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대향하는 상기 창커버의 가상 단면까지의 최소 단면 거리를 L,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커버의 외면까지의 외면 두께를 T1,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가상 단면과의 간격을 G,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까지의 거리를 R로 하였을 때,
    상기 창커버는, L>T1의 관계를 충족시키고, 또한, 상기 회동 중심점(P)을 중심으로 한 소정의 반경(y)의 원호의 일부의 형상을 구비하고 상기 가상 단면부터 상기 창구멍의 내면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대향하는 단면을 구비하고, y≤R의 관계를 충족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마련된 배면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창구멍의 내면부터의 상기 배면 레일의 높이 치수(h)는,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점(P)과 상기 창구멍의 내면까지의 거리(R)로부터, 상기 외면 두께(T1)를 뺀 값 이하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창커버는, 판형상부와, 상기 판형상부의 한쪽의 단부에 형성된 제 1의 절곡부와, 상기 한쪽의 단부에 대향하는 상기 판형상부의 다른쪽의 단부에 형성된 제 2의 절곡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절곡부는,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절곡부는,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홈구멍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2의 홈구멍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는,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측의 외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1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는,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측의 외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구멍에 상기 창커버를 장착할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단부가 상기한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를 각각 가압하여 상기 판형상부를 만곡시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의 단부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를 넘어가게 하여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 마련되고, 제 2의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대치하는 제 1 및 제 2의 훅과,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측의 외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1의 훅 삽입 사면부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측의 외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1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측의 내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1의 훅 탈출 사면부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볼록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부터의 높이 치수가, 상기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측의 내측을 향하여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된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와,
    상기 창구멍에 상기 창커버를 장착할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의 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를 각각 가압하여 상기 판형상부를 만곡시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의 단부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를 넘어가게 하여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에 결합시키고,
    상기 창커버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을 잇는 가상선을 회동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시켜서 상기 창구멍을 개방할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의 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를 가압하여 상기 판형상부를 만곡시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의 단부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으로부터 탈출시키고,
    상기 창커버를 상기 회동 중심축으로 하고 회동시켜서 상기 창구멍을 폐쇄할 때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의 단부가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를 각각 가압하여 상기 판형상부를 만곡시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의 단부를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를 넘어가게 하여 각각 상기 제 1 및 제 2의 홈구멍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형상부는, 상기 한쪽의 단부와 다른쪽의 단부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서 상기 제 1의 절곡부와 상기 제 2의 절곡부를 연결한 연결들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지지축은, 상기 창커버가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연결들보와 상기 제 1의 절곡부와의 연결부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제 1의 홈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제 2의 지지축은, 상기 창커버가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연결들보와 상기 제 2의 절곡부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제 2의 홈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제 1의 훅 축은, 상기 창커버가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연결들보와 상기 제 1의 절곡부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의 1/2 이상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제 1의 홈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제 2의 훅은, 상기 창커버가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연결들보와 상기 제 2의 절곡부와의 연결부로부터 상기 소정의 거리의 1/2 이상의 거리를 둔 위치에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제 2의 홈구멍에 결합하고,
    상기 제 1의 지지축의 단부는, 상기 제 1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 1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지지축의 단부는, 상기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 2의 지지축 감입 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의 훅의 단부는, 상기 제 1의 훅 삽입 사면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 1의 훅 감입 사면부와, 상기 제 1의 훅 탈출 사면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 1의 훅 발출 사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2의 훅의 단부는, 상기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 2의 훅 감입 사면부와, 상기 제 2의 훅 탈출 사면부에 맞닿을 수 있는 제 2의 훅 발출 사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 1의 소정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소정의 간격은, 상기 제 1의 소정의 간격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과의 최대 낙차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과의 최대 낙차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삽입 사면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과의 최대 낙차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훅 삽입 사면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지지축 감입 오목면과의 최대 낙차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돌설되고, 상기 제 1의 지지축과 상기 제 1의 훅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회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1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축에 대해 직교하는 상기 창구멍의 다른쪽의 내면에 돌설되고, 상기 제 2의 지지축과 상기 제 2의 훅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회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제 2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창커버의 상기 회동 중심축에 대해 평행한 상기 창구멍의 내면에 돌설되고, 상기 회동 중심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늘어나는 배면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는,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과 상기 배면 레일에 의해 끼어지지되어, 상기 창구멍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창커버의 상기 제 1의 절곡부는, 상기 창커버가 상기 제 1의 가이드 레일의 선단 부분에 맞닿을 수 있는 제 1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을 구비하고,
    상기 창커버의 상기 제 2의 절곡부는, 상기 제 2의 가이드 레일의 선단 부분에 맞닿을 수 있는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는, 사다리꼴 또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의 선단부는, 사다리꼴 또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창커버가 상기 창구멍을 폐쇄하고 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 당접 오목부와 상기 제 1 및 제 2의 가이드 레일의 선단부가 맞닿아 있음에 의해, 상기 창커버의 단면과 상기 창구멍의 내면과의 간극이 소정의 치수로 유지되도록 구심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은창 커버를 갖는 전자기기 유닛.
  1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분리 가능하게 상호 고정되는 베이스와 본체 커버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베이스 또는 상기 본체 커버중의 적어도 한쪽에는, 상기 전자기기 부재로서의 회로 기판이 수납되어 있고,
    상기 회로 기판은, 가변 저항 또는 스위치 등을 조정 또는 선택하기 위한 조작 부품과, 메모리 카드 또는 전지 등의 취환 부품 또는 교환 부품에 대한 커넥터와, 외부 기기를 시리얼 신호 회선으로 접속하기 위한 통신용 커넥터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의 부품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 커버의 외면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창구멍에 의해 개구하고, 내부에는 상기 적어도 상기 어느 하나의 부품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창구멍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상기 창커버에 의해 폐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유닛.
KR1020130054284A 2013-02-15 2013-05-14 전자기기 유닛 KR101538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027340A JP5523596B1 (ja) 2013-02-15 2013-02-15 電子機器ユニット
JPJP-P-2013-027340 2013-02-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3011A KR20140103011A (ko) 2014-08-25
KR101538841B1 true KR101538841B1 (ko) 2015-07-22

Family

ID=5117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284A KR101538841B1 (ko) 2013-02-15 2013-05-14 전자기기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523596B1 (ko)
KR (1) KR101538841B1 (ko)
CN (1) CN103997863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4276U (ja) * 1983-04-18 1984-11-02 東芝映像機器株式会社 キヤビネツトにおける扉の案内構造
JPS6240879U (ko) * 1985-08-29 1987-03-11
KR19990024833A (ko) * 1997-09-08 1999-04-06 주성표 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덮개 개폐장치
KR100431508B1 (ko) * 2000-07-03 2004-05-1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의 개폐지지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63170U (ja) * 1992-01-31 1993-08-20 山武ハネウエル株式会社 筐体の扉構造
JP4016503B2 (ja) * 1998-09-24 2007-12-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開閉蓋を有する電子機器
CN2720500Y (zh) * 2004-06-12 2005-08-2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脑面板
CN201781135U (zh) * 2010-07-27 2011-03-30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装置
CN102026507B (zh) * 2010-12-16 2013-09-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具有翻盖装置的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4276U (ja) * 1983-04-18 1984-11-02 東芝映像機器株式会社 キヤビネツトにおける扉の案内構造
JPS6240879U (ko) * 1985-08-29 1987-03-11
KR19990024833A (ko) * 1997-09-08 1999-04-06 주성표 퍼스널 컴퓨터 본체의 덮개 개폐장치
KR100431508B1 (ko) * 2000-07-03 2004-05-14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덮개체의 개폐지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97863A (zh) 2014-08-20
JP2014157895A (ja) 2014-08-28
CN103997863B (zh) 2017-05-10
KR20140103011A (ko) 2014-08-25
JP5523596B1 (ja) 2014-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1609B1 (en) Connector
KR101575907B1 (ko) 소켓 커넥터
US8837125B2 (en) Electric apparatus
US7128601B2 (en) Wire cover for connectors
US20160212863A1 (en) Housing assembly and solid state drive having the same
EP2131415A1 (en) A battery with pair of handle assemblies
EP2706830A2 (en) Cover and casing provided with a cover
CN110031943A (zh) 光收发器
RU2562958C2 (ru) Передняя панель для розетки
EP3018767B1 (en) Panel mount header connector
US20100024304A1 (en) Battery cover latch mechanism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KR20100117593A (ko) 커넥터 커버
JP2012161176A (ja) コントローラ支持装置、及びコントローラの充電システム
KR101586088B1 (ko) 소켓 커넥터
JP2006202630A (ja) プラグの抜け止め具、及びプラグの抜け止め機構
US6203363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removable battery terminal
KR101538841B1 (ko) 전자기기 유닛
US11575226B2 (en) Pass-through plug
US6460947B1 (en) Interchangable battery pack for a portable computer
JP4468244B2 (ja) 充電器
JP5444401B2 (ja) 筐体の取付け構造
CN204108934U (zh) 电气设备拆卸用附件以及电气设备组件
JP5147193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3701885B2 (ja) 扉取付構造
US20040210915A1 (en) Screwless optical disc drive hou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