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572B1 -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 Google Patents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572B1
KR101538572B1 KR1020140006981A KR20140006981A KR101538572B1 KR 101538572 B1 KR101538572 B1 KR 101538572B1 KR 1020140006981 A KR1020140006981 A KR 1020140006981A KR 20140006981 A KR20140006981 A KR 20140006981A KR 101538572 B1 KR101538572 B1 KR 101538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oking
port
foo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6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용
Original Assignee
정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운용 filed Critical 정운용
Priority to KR1020140006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5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2Control mechanisms for pressure-coo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 세 하게는 음식의 종류나 취향에 따라, 조리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일 수 있도록 커피나 차를 포함하는 다양한 음식의 조리를 위한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음식 조리용 포트에 있어서, 음식 수용부(10), 손잡이(12)와 개폐용 도어(14), 압력조절장치(300)와 결합을 위한 고무패킹(16)을 포함하는 결합부(18) 및 전기공급부(19) 를 포함하는 조리용 포트 본체(100);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0), 조리용 포트 본체(100) 후면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22), 압축기(24) 및 팽창밸브(26)를 포함하는 냉각장치(200); 및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상단과 결합되는 포트 결합부(30), 밀폐용 고무패킹(31), 압력표시장치(32), 압력조절나사(34), 공기 흡·배기구(36) 및 눈금표시(38)를 포함하는 압력조절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Food Cooking Port Including Pressure and Temperature Adjusting Devices}
본 고안은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식의 종류나 취향에 따라, 조리 온도와 압력을 조절하여 커피나 차를 포함하는 다양한 음식의 조리를 위한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 하 는 음식 조리용 포트에 관한 것이다.
커피와 차 및 식품에서 유효성분을 추출할 경우에 1기압(760mmhg)에서 가열함으로써 유효성분을 추출하는데, 높은 온도에서 유효성분이 파괴되기 원치않는 경우,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조리를 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커피는 90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경우, 과도한 카페인의 추출로 맛과 품질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어, 이를 훈련하기 위하여 별도의 바리스타 과정을 거쳐야 하기도 한다. 따라서, 일반인이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여 커피나 기타 음식을 조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증기 압력 과 대기압이 같아질 때, 액체 표면에서는 쉬지 않고, 증발과 응축이 일어나며, 증발과 응축하는 속도가 같을 경우 증기가 가지는 기압을 증기 압력이라고 하는데. 물이 끓는다는 것은 대기의 압력과 물의 증기압력이 같아지는 것을 말한다. 다음의 표는 외부 압력변화에 따른 물의 끓는 점을 나타낸 표이다.
외부압력760(mmhg) (1기압) 의 물의 끓는 점은 100℃
외부압력787(mmhg) 물의 끓는 점은 100℃
외부압력733(mmhg) 물의 끓는 점은 100℃
외부압력633(mmhg) 물의 끓는 점은 99℃
외부압력433(mmhg) 물의 끓는 점은 85℃
외부압력355(mmhg) 물의 끓는 점은 80℃
외부압력289(mmhg) 물의 끓는 점은 75℃
외부압력234(mmhg) 물의 끓는 점은 70℃
외부압력188(mmhg) 물의 끓는 점은 65℃
외부압력150(mmhg) 물의 끓는 점은 60℃에서 끓는다.
온도가 높아지면서 분자들의 운동이 매우 활발해지면서 분자들이 서로의 인력을 이기고 떨어져 나와 끓게 되는 것이다. 또한, 같은 물질이어도 대기의 압력이 낮으면 빠르게 물의 증기압과 같아져서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된다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온도가 상승하면 공기가 팽창하여 압력이 증가하고, 온도가 내려가면 공기가 수축하고 압력이 수축하여 더 낮은 온도에서 끓을 수 있다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물을 평균적인 대기압에서 100℃까지 가열하여 끓인 후, 빈 용기에 이 끓인 물을 조금 넣고 뚜껑을 막은 후, 차가운 물을 용기 바깥쪽에 부으면 용기에 가득 차 있던 수증기가 차가운 물에 의해 냉각되어 물방울로 응결된다. 이때, 용기 안의 압력은 줄어들게 되고, 끓는 점을 낮아지게 된다. 낮아진 끓는 점으로 인해 낮은 온도에서도 끓게 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물은 1기압일 때 100℃에서 끓고, 1기압보다 낮은 경우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게 되며, 압력이 1기압보다 높을 때, 100℃보다 높은 온도에서 끓게 된다.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본 발명자는 공기의 양을 줄이거나 늘려 압력을 조절하고, 온도 조절을 통해 공기의 부피를 조절함으로써, 물의 끓는 점을 달리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음식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를 개발하게 되었다.
이를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본 발명자는 차나 음식의 조리시에 원하는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압력 및 온도 조절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를 개발하게 되었다.
공개특허 10-2006-0089653 : 조리용 포트 등록특허 10-1441287 : 조리용포트의 제어장치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차나 음식의 종류에 따라 일정한 온도와 압력을 유지하면서 조리할 수 있는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압력 및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는 통상의 음식 조리용 포트에 있어서, 음식 수용부(10), 손잡이(12)와 개폐용 도어(14), 압력조절장치(300)와 결합을 위한 고무패킹(16)을 포함하는 결합부(18) 및 전기공급부(19)를 포함하는 조리용 포트 본체(100);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0), 조리용 포트 본체(100) 후면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22), 압축기(24) 및 팽창밸브(26)를 포함하는 냉각장치(200); 및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상단과 결합되는 포트 결합부(30), 밀폐용 고무패킹(31), 압력표시장치(32), 압력조절나사(34), 공기 흡·배기구(36) 및 눈금표시(38)를 포함하는 압력조절장치(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개폐용 도어 (12)에는 고정 나사부 (1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조절장치(300)의 밀폐용 고무패킹(31)은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결합부(18) 및 압력조절장치(300)의 포트 결합부(30)는 고무재질로써, 나사산 으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장치(200)에는 온도조절장치(2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에도 기압을 높이거나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진공청소기원리와 타이어 바람넣는 원리를 접목하여 기압 조절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는 유효성분을 성분 파괴 없이 일정한 온도와 압력에서 추출하기 위해, 압력과 온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고품질의 맛을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압력과 온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가령, 커피를 가장 맛있게 추출하기 위해서는 통상 85 ~ 92℃ 정도의 온도에서 커피를 우려내는 것이 바람직한데, 사람마다 좋아하는 추출 온도가 다르므로, 본 고안을 사용하면 취향에 맞게 온도를 조절하여 커피를 추출하여 즐길 수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하면 공기의 팽창과 수축을 조절하여 압력을 조절하고, 끓는 점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맛과 품질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커피뿐만 아니라, 녹차를 비롯한 다양한 차 종류와 스프, 스튜 기타 다양한 음식을 원하는 온도와 압력에서 조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조리용 포트 본체(1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조리용 포트 본체 후면에 설치된 냉각장치(200)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압력조절장치(30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개인의 기호에 맞는 방법으로 다양하게 온도를 조절하면서 유효성분을 손쉽게 추출하기 위하여 용기 속에서 공기를 빼면 그 속에서는 압력이 낮아지고, 대기의 압력이 낮으면 끓는 점이 낮아져서 빠르게 끓게 되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 이점을 실현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냉각 원리를 이용하여 기화한 열을 잡는 응축 과정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온도를 낮춘다. 따라서, 온도가 올라가면 공기가 팽창하여 압력이 증가하고, 반대로 온도가 내려가면 공기가 수축하고 응결되어 공기가 수축하여 압력이 낮아져서 더 낮은 온도에서 끓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을 참조하면, 크게, 조리용 포트 본체(100), 냉각장치(200) 및 압력조절장치(300)로 구성된다.
먼저, 조리용 포트 본체(100)를 설명하면, 음식 조리용 포트에 있어서, 음식 수용부(10), 손잡이(12)와 개폐용 도어(14) 및 후술하는 압력조절장치(300)와 결합을 위한 고무패킹(16)을 포함하는 나사산으로 형성되는 결합부(18)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압력조절장치(300)는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 상단과 결합 되는 포트 결합부(30), 압력표시장치(32), 압력조절나사(34), 공기 흡·배기구(36) 및 눈금표시(38) 를 포함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300)의 밀폐용 고무패킹(36)은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냉각장치(200)는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0),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후면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22), 압축기(24) 및 팽창밸브(26)를 포함한다(도 4 참조).
도 2는 조리용 포트 본체(100)를 나타낸 것으로서, 가령, 커피나 녹차 등을 추출하는 경우에는 음식 수용부 (10)에 커피나 녹차 및 물을 음식 수용부 (10)에 넣고, 개폐용 도어 (12)를 닫고 원하는 추출 온도와 압력으로 커피나 녹차를 우려낼 수 있다.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개폐용 도어(12)에는 고정나사부(16)를 더 포함하므로써, 도어가 밀폐되도록 할 수 있으며, 도어 가장자리는 고무패킹(12)으로 마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후면에 설치되는 냉각장치(200)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의 냉각장치(200)는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에 증발기(20)가 설치되고,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후면 외부에 응축기(22)와 압축기(24) 및 팽창밸브(26)가 설치된다.
냉장고의 냉각원리를 이용한 것인데, 밀폐상태의 내부 사이클에서 냉매가 "증발→압축→응축→팽창" 과정을 무한 반복하며 냉각이 진행되는 것이다. 냉매의 증발은 냉장고 내부에 위치한 증발기라고 불리는 열교환기 내부에서 이뤄지며, 외부에서는 공기가 흐르면서 냉각되게 된다. 증기압축 사이클은 냉매와 공기가 서로 섞이는 물질전달 과정은 없으며, 열전달만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본 고안에서도,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에 증발기(20)가 설치되어, 증발이 이루어지고,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후면 외부에 응축기(22)와 압축기(24) 및 팽창밸브(26)가 설치되어, 압축 및 응축과 팽창이 진행되어 냉각된다. 용기 안에 설치된 증발기(20)에서 압력이 낮아진 냉매가 기화하여 냉장고 안은 저온이 되며, 기체 냉매가 압축기에서 고압으로 압축되어 고압 기체 냉매가 응축기에서 액화되어 열을 잃게 되며, 액체 냉매가 이동하여 팽창밸브를 지나면서 압력이 낮아지고, 압력이 낮아진 냉매가 기화되어 증발기(20)를 포함하는 본체 내부의 온도가 낮아지게 되며, 이 과정이 순환된다. 상기 냉각장치(200)에는 온도조절장치(28)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조리용 본체(100)의 상단에 결합 되는 압력조절장치(300)로써, 조리용 본체(100)의 결합부(18)와 압력조절장치(300)의 포트 결합부(30)가 나사산으로 결합 된다. 결합시 밀폐가 잘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결합부(18) 및 포트 결합부(18)에는 고무패킹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압력조절장치(300)는 조리용 본체(100)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써, 피스톤처럼, 압력조절나사(34)와 고무 패킹 (31)를 이용하여, 압력을 조절한다. 압력 조절이 공기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공기 흡·배기구(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압력표시 장치(32)는 조리용 본체(100) 내부의 압력을 표시하여, 원하는 압력으로 커피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압력조절장치(300)의 밀폐용 고무패킹(36)은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본 발명은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의 온도가 내려가면 공기가 수축하고 응결되어, 압력이 낮아짐으로써, 100℃보다 낮은 온도에서 끓을 수 있게 됨으로써, 차나 커피를 포함하는 다양한 요리를 특성에 맞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 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고안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고 안에 의하여 본 고안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100 : 조리용 포트 본체
10 : 음식 수용부 12 : 손잡이
14 : 개폐용 도어 16 : 고무패킹
17 : 고정나사부 18 : 결합부
19 : 전기공급부
200 : 냉각장치
20 : 증발기 22 : 응축기
24 : 압축기 26 : 팽창밸브
28 : 온도조절장치
300 : 압력조절장치
30 : 포트 결합부 31 : 밀폐용 고무패킹
32 : 압력표시장치 34 : 압력조절나사
36 : 공기 흡·배기구 38 : 눈금표시

Claims (5)


  1. 음식 조리용 포트에 있어서,
    음식 수용부(10), 손잡이(12)와 개폐용 도어(14), 압력조절장치(300)와 결합을 위한 고무패킹(16)을 포함하는 결합부(18) 및 전기 공급부 (19)를 포함하는 조리용 포트 본체(100);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20), 조리용 포트 본체(100) 후면 외부에 설치되는 응축기(22), 압축기(24) 및 팽창밸브(26)를 포함하는 냉각장치(200); 및
    상기 조리용 포트 본체(100) 상단과 결합 되는 포트 결합부(30), 밀폐용 고무패킹(31), 압력표시장치(32), 압력조절나사(34), 공기 흡·배기구(36) 및 눈금표시(38)를 포함하는 압력 조절장치(300);
    를 포함하는 압력 및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2. 제1항에 있어서,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개폐용 도어 (12)에는 고정 나사부(17)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및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조절장치(300)의 밀폐용 고무패킹(31)은 2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및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4. 제1항에 있어서,
    조리용 포트 본체(100)의 결합부(18) 및 압력조절장치(300)의 포트 결합부(30)는 고무재질로써, 나사산으로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및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200)에는 온도조절장치(28)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 및 온도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KR1020140006981A 2014-01-21 2014-01-21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KR101538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981A KR101538572B1 (ko) 2014-01-21 2014-01-21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6981A KR101538572B1 (ko) 2014-01-21 2014-01-21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572B1 true KR101538572B1 (ko) 2015-07-22

Family

ID=5387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6981A KR101538572B1 (ko) 2014-01-21 2014-01-21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8638A1 (it) * 2019-10-14 2021-04-14 Vitaeco S R L Forno statico perfeziona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732A (ja) * 1994-04-15 1995-10-31 Sharp Corp 冷却機能付き加熱調理器
JPH1189711A (ja) * 1997-09-19 1999-04-06 Zojirushi Vacuum Bottle Co 定圧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6732A (ja) * 1994-04-15 1995-10-31 Sharp Corp 冷却機能付き加熱調理器
JPH1189711A (ja) * 1997-09-19 1999-04-06 Zojirushi Vacuum Bottle Co 定圧調理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8638A1 (it) * 2019-10-14 2021-04-14 Vitaeco S R L Forno statico perfezionat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3678B2 (ja) 飲料を抽出する装置
TWI649055B (zh) 低壓烹飪方法和適用於該方法的炊具容器
CN107847069A (zh) 压力烹饪装置
EP2606776B1 (en) Pressurized steam cooker
CN105286625A (zh) 一种烹饪方法及使用该烹饪方法的电饭煲
CN108851966A (zh) 一种电压力锅及烹饪方法
DK2615953T3 (en) Cooking device for vacuum cooking techniques
CN104219981A (zh) 烹饪平底锅、系统和方法
CN204909033U (zh) 一种热管式均温加热锅
KR101538572B1 (ko) 압력 및 온도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음식 조리용 포트
JP2008259500A (ja) コーヒー焙煎豆の保存方法
KR100758031B1 (ko) 인삼 증숙 발효 약탕기
KR20100008869U (ko) 골육수 제조장치
JP4250201B1 (ja) 液体加熱加圧保温容器
CN207136771U (zh) 压力烤煨锅
CN1989380A (zh) 具有可被抽真空的存放格的家用致冷器具
CN208491691U (zh) 烹饪器具
CN209629430U (zh) 一种蒸汽不外排的可折叠硅胶磁感电饭煲
KR200345314Y1 (ko) 전기냉장솥
TWI249990B (en) Block agricultural product, especially referring to multistage type vacuum cooling process of bamboo shoots
CN109527974A (zh) 一种蒸汽不外排的可折叠硅胶磁感电饭煲
JP2015071022A (ja) 簡単に出来る水たてコ−ヒ−器
CN103043306A (zh) 一种水加热形成真空保质保鲜的方法
CH712522A2 (it) Apparecchio sottovuoto per il trattamento di alimenti a bassa temperatura.
CN219846069U (zh) 一种自调节防烫蒸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