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153B1 -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 Google Patents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153B1
KR101538153B1 KR1020140168372A KR20140168372A KR101538153B1 KR 101538153 B1 KR101538153 B1 KR 101538153B1 KR 1020140168372 A KR1020140168372 A KR 1020140168372A KR 20140168372 A KR20140168372 A KR 20140168372A KR 101538153 B1 KR101538153 B1 KR 101538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trol
door
food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일라
김종욱
김동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
Priority to KR102014016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전파간섭이 없는 부재의 사용으로 RFID 인식률이 높고, 방수 기능이 탁월하며, 청소가 용이하고 확장성을 통해 주변기기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거함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수거함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수거함에 악취 제거를 위한 약액을 분사하여 탈취를 하는 탈취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음식물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탈취 제어와 상태 표시 및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비금속재질의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전파간섭을 제거하여 RFID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System for collecting food waste}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파간섭이 없는 부재의 사용으로 RFID 인식률이 높고, 방수 기능이 탁월하며, 청소가 용이하고 확장성을 통해 주변기기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배출과 관련하여 요금 부과는 각 음식물 쓰레기통에 배출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배출량에 대한 산정이 어려웠던 관계로 각 가정별 일률적으로 부과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요금 부과 방법은 실제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과 무관하게 일률적으로 비용이 부과되어 형평성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형평성 논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이다. 이러한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는 지역 및 배출주체별(공동주택, 단독주택, 상가, 기타)로 일반 음식물 쓰레기의 발생량을 정확하게 집계 및 계량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배출량에 따라 차등적으로 요금을 부과하도록 한 방식이다.
종량제 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이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49076호(2012.05.16)(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66551호(2012.07.11)(발명의 명칭: 충전카드식 쓰레기처리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0990456호(2010.10.21)(발명의 명칭: RFID를 이용한 생활쓰레기 수거방법),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623372호(2012.06.14)(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0859012호(2008.09.10)(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30122호(2012.03.27)(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 장치),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12670호(2012.02.10)(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및 제어방법),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1-0138854호(2011.12.28. 공개)(발명의 명칭: 쓰레기 수거 장치),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1-0002945호(2011.12.29)(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처리 시스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155425호(2012.06.05)(발명의 명칭: 쓰레기처리 관제시스템에 사용되는 쓰레기수거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85016(2011.07.27)(종량제 쓰레기 결제 시스템 및 결제 방법),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26721호(2012.03.07)(발명의 명칭: 충전카드를 이용한 종량제 쓰레기 처리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9-0036488호(2009.04.14)(발명의 명칭: 음식 물류 쓰레기 배출수수료 부과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8-0010106(2008.01.30)(발명의 명칭: 전자카드 개폐형 음식물쓰레기 수거통),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03234(2012.05.09)(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 장치),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00257(2011.01.10)(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155269호(2012.06.04)(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수거기의 호퍼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1145908호(2012.05.07)(발명의 명칭: 음식물류 폐기물 종량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113174호(2012.01.31)(발명의 명칭: 음식 물류 폐기물 수거장치), 대한민국특허청 특허등록번호 0947312호(2010.03.05)(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0869348호(2008.11.12)(발명의 명칭: 음식물 쓰레기용 수거용기)에 개시되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49076호(2012.05.16.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66551호(2012.07.11.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0990456호(2010.10.21. 공고)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623372호(2012.06.14.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0859012호(2008.09.10. 공고)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30122호(2012.03.27. 공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2-0012670호(2012.02.10. 공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1-0138854호(2011.12.28. 공개) 대한민국 공개번호 10-2011-0002945호(2011.12.29.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155425호(2012.06.05.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85016호(2011.07.27.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26721호(2012.03.07.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9-0036488호(2009.04.14.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08-0010106호(2008.01.30.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2-0003234호(2012.05.09. 공개)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00257호(2011.01.10. 공개)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55269호(2012.06.04.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45908호(2012.05.07.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113174호(2012.01.31.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947312호(2010.03.05. 공고)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0869348호(2008.11.12. 공고)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들은 음식물 쓰레기에 대해서 종량제 방식으로 수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RFID인식률이 낮고, 물청소시 방수에 취약하며, 투입구 청소가 불편하고, 음식물 쓰레기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효율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며, 키 입력신호의 인식률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파간섭이 없는 부재의 사용으로 RFID 인식률이 높고, 방수 기능이 탁월하며, 청소가 용이하고 확장성을 통해 주변기기의 연결이 용이하도록 한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터치 키 입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는 내부에 수거함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수거함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수거함에 악취 제거를 위한 약액을 분사하여 탈취를 하는 탈취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음식물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탈취 제어와 상태 표시 및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약액 분사와 커버 개폐를 제어하며, 상태에 대한 음성 안내와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정보 전송 제어에 따라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태 정보 및 계량 정보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비금속재질의 브래킷으로 고정되며, 전파간섭의 제거로 RFID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장치는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며, 그 둘레에 방수를 위한 방수 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방수 부재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갖으며,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부는 정전식 터치 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입력부는 터치 키 형상을 포함하고 관리자가 접촉하여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에 의해 발생한 신호 인식시 환경 변화에 의해 입력 신호가 변동되는 것을 보상하는 환경 변화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를 내장하여 노출을 방지하는 스위치 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홈은 도어 내측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는 사용자가 음식물을 본체에 내장된 수거함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통신부는 CDMA방식으로 센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주변기기와의 연결 확장성을 위해 intel quark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제어부는 원격에 위치한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탈취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탈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파간섭이 없는 부재의 사용으로 RFID 인식률을 높일 수 있으며, 도어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의 둘레에 방수 부재를 장착함으로써 방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를 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청소에 용이함을 도모해주며, 입출력 모듈의 확장성으로 주변기기의 연결에 용이함을 도모해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탈취부를 이용하여 악취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터치 키 인식에 보상 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환경 변화에 대해서도 터치 키 입력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도어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1에 설치된 방수 부재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도어의 내부에 설치된 제어장치 및 그 주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키 입력부의 실시 예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1)는 내부에 수거함(20)이 내장되는 본체(10)가 구비되며,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수거함(20)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30)가 마련된다.
아울러 본체(10)에는 도어(40)가 연결되고, 본체(10)의 상부에는 투입구(71)를 개폐하기 위한 상부 커버(70)가 구비된다.
도어(40)를 열고 수거함(20)을 본체(10)로부터 인출하거나 본체의 소정 위치에 위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허가받지 않은 자가 도어(40)를 임의로 개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체(10)의 내부에는 도어 록/언록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부 커버(70)의 하부에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는 투입구(71)가 설치된다. 아울러 투입구(71)는 원형으로 구현하여, 청소에 용이함을 도모하도록 한다. 여기서 투입구가 원형이 아니고 사각형상 등과 같이 모서리가 존재하는 형상일 경우, 청소시 모서리 부분의 청소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유발한다.
상기 본체(10)의 외부에는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된 제어장치(50)의 제어에 따라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해주거나 감지한 중량 정보나 요금 부과 정보 등을 표시해주는 표시부(60)가 구비된다. 표시부(60)는 상기 제어장치(50)의 제어에 따라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표시부(60)는 전방에서 보았을 때 약간 경사를 갖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표시부(60)에 표시되는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수거함(20)에 악취 제거를 위한 약액을 분사하여 탈취를 하는 탈취부(101)가 장착된다. 탈취부(101)는 악취 제거용 약액이 수용된 약액통; 상기 약액통에 수용된 약액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 상기 펌프에 의해 펌핑된 약액을 수거함(20)에 분사하는 노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내부 소정 위치 즉, 도어(40)의 내면에는 음식물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탈취 제어와 상태 표시 및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장치(50)가 장착된다.
그리고 제어장치(50)의 둘레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를 위한 방수 부재(110)가 설치된다. 이러한 방수 부재(110)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갖으며,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어장치(5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공하는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부(51)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부(51)는 상기 도어(40)에 브래킷(102)에 의해 고정된다. 여기서 브래킷(102)은 비금속재질로 이루어져 전파간섭을 제거하여 RFID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킨다. 상기 인식부(51)는 RF안테나와 RF리더기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장치(50)는 상기 약액 분사와 커버 개폐를 제어하며, 상태에 대한 음성 안내와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52)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부(52)는 주변기기와의 연결 확장성을 위해 intel quark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52)는 통신부(53)와 연결되어, 원격에 위치한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탈취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탈취부(101)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통신부(53)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 CDMA방식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부(53)는 상기 제어부(52)의 정보 전송 제어에 따라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태 정보 및 계량 정보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고, 상기 센터로부터 원격 탈취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52)에 전달한다.
아울러 상기 제어장치(50)에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54)를 포함한다. 이러한 키 입력부(54)는 정전식 터치 키(Touch key)를 이용한다. 상기 키 입력부(54)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키 형상을 포함하고 관리자가 접촉하여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54a); 상기 터치 입력부(54a)에 의해 발생한 신호 인식시 환경 변화에 의해 입력 신호가 변동되는 것을 보상하는 환경 변화 보상부(54b)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도어(40)의 내면에는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103)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도어(40)의 내면 소정위치에는 상기 전원 스위치(103)를 내장하여 노출을 방지하는 스위치 홈(104)이 마련된다. 전원 스위치(103)를 스위치 홈(104)에 내장시키는 비 노출구조를 이용함으로써, 작업 도중이나 기타 수리 도중에 전원 스위치(103)가 조작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1)는 캐노피(canopy)(80)를 장착하여, 외부의 이물질이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캐노피(80)는 본체(10)에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50)는 바람직하게 상부 커버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52)에 전달하는 상부 커버 감지부, 도어(40)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상기 제어부(52)에 전달하는 도어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장치(50)는 상기 제어부(52)의 제어에 따라 기기 상태 및 사용자의 사용 안내 음성을 스피커로 출력하는 음성 안내부(55); 제어 프로그램과 제어시 발생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57)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를 정해진 위치에 설치하고, 본체(10)의 도어(40) 내측에 구비된 전원 스위치(103)를 온 시켜 구동용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장치(50)의 제어부(52)는 초기화를 수행한다. 여기서 전원 스위치(103)는 스위치 홈(104)에 내장되어 비 노출 상태가 된다. 초기화 후에는 자가 진단을 통해 문제가 발생한 부분이 있는 지를 확인한다. 예컨대, 수거함(20)이 없거나 설치된 수거함(20)에 음식물쓰레기가 가득 차 더 이상 사용이 불가능한지 등을 확인하여, 수거함(20)에 내장되지 않거나 수거함(20)을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표시부(60)를 통해 사용 불가를 표시해준다. 이후 통신부(53)를 통해 사용 불가 정보를 센터(관리공단 서버)로 전송한다. 여기서 통신부(53)는 CDMA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를 센터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52)는 intel quark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프로세서의 사용으로 주변기기와의 연결 확장성을 높이게 된다.
한편, 자가 진단을 수행한 후 기기를 정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태이면, 대기 상태로 전환을 하고, 사용자가 인식되는지를 확인한다.
정상적인 대기상태에서 사용자는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위해 휴대한 RFID태그(카드)를 태깅 위치에 접촉시킨다. RFID 카드가 접촉되면 RFID카드 리더기를 포함하는 인식부(51)에서 RFID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여 사용자 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제어부(52)에 전송한다. 여기서 기기가 RFID 태그 방식일 경우 인식부가 RFID 리더기가 될 수 있으나. 기기가 카드 사용 방식일 경우 인식부는 카드 리더기로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식부(51)에 포함된 RF 안테나와 RFID 리더기 그리고 제어장치의 전반적인 구성을 도어(40)의 내측에 브래킷(102)을 사용하여 장착하게 되는 데, 이때 브래킷(102)을 비금속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재질)로 사용함으로써, 전파간섭 방해를 제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파간섭 방해를 제거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RFID의 인식률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52)는 수신한 사용자 정보를 통신부(53)를 통해 센터로 전송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게 된다. 즉, 등록된 사용자인지 아니면 등록되지 않은 사용자인지를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인증시 통신을 통해 센터와 접속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 방식은 사용자 인증을 위한 통신이 필요하므로 사용자 인증 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 정보를 미리 메모리(57)에 저장해 놓고, 인증시 실시간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메모리(57)의 용량이 매우 커야하는 제약이 따른다.
사용자 인증 결과 등록된 사용자가 아닐 경우에는 표시부(60)를 통해 사용 불가를 표시해주고, 이와는 달리 등록된 사용자일 경우에는 상부 커버(70)를 개방해준다. 그리고 상부 커버(70)의 개방 동작 후에는 상부 커버 감지부(도면에는 미도시)를 통해 상부 커버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상부 커버 감지부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확인 결과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부 커버(70)를 개방시키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된 반복 동작 횟수가 경과 한 후에도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지 않으면 제어부(52)는 표시부(60)를 통해 사용 불가 정보를 표시해주고, 통신부(53)를 통해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한다. 이로써 센터에서는 원격에 설치된 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사용자 인증 후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개방되면, 제어부(52)는 음성 안내부(55)를 통해 상부 커버가 개방되었으니,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함(20)에 투척하도록 하는 음성을 출력한다. 이러한 안내 음성은 스피커를 통해 외부에 송출된다.
사용자는 안내 음성을 듣고, 상부 커버(70)의 하부에 형성된 투입구(71)에 음식물쓰레기를 투척하게 되고, 이렇게 투척 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수거함(20)에 수용된다. 여기서 투입구(71)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원형으로 구현하였다. 이렇게 투입구(71)를 원형으로 구현하게 되면, 모서리가 없어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52)는 상부 커버(70)를 개방한 후 일정시간 대기하고, 그 일정시간이 지나면 음성 안내부(55)를 제어하여 상부 커버(70)를 닫는다는 안내 방송을 출력하도록 한다. 여기서 일정 시간은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수거함(20)에 투척할 수 있는 시간을 주기 위함이다. 이러한 일정 시간은 실험 등을 통해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정 시간이 지나면 제어부(52)는 중량 감지부(30)를 통해 투척 된 음식물쓰레기를 계량하면서 동시에 커버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부 커버(70)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제어를 한다. 여기서 음식물쓰레기의 계량은 상부 커버(70)를 열기 이전의 수거함(20)의 무게를 이전 중량 값으로 저장하고, 최종적으로 측정한 수거함(20)의 무게 값에서 상기 이전 중량 값을 감산하여, 그 차이 값을 현재 투척 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으로 계량한다. 여기서 계량은 주기적으로 무게 값을 측정하여 프레임 단위로 읽어들이거나 제어부(52)에서 중량 감지부(30)에 명령을 전송하여 그때만 무게를 측정하는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 커버(70)의 닫힘 동작 후에는 상부 커버 감지부를 통해 상부 커버가 정상적으로 닫혔는지를 확인한다. 이 확인 결과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커버 구동부를 재구동시켜 상부 커버(70)를 닫는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여기서 고장이 발생하거나 고의로 상부 커버(70)가 닫히는 부분에 물건을 삽입해 놓으면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게 된다. 이후 미리 설정된 반복 동작 횟수가 경과 한 후에도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닫히지 않으면 제어부(52)는 표시부(60)를 통해 사용 불가 정보를 표시해주고, 통신부(53)를 통해 사용 불가 정보를 전송한다. 이로써 센터에서는 원격에 설치된 기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으며, 신속하게 후속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계량된 음식물쓰레기의 중량과 사용자 인식정보를 함께 센터로 전송해주어, 추후 정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아울러 사용자 인증 후 상부 커버(70)가 정상적으로 닫히면, 제어부(52)는 탈취부(101)를 구동시켜 악취 제거용 약액이 음식물쓰레기 위에 분사되도록 한다.탈취부(101)는 약액 펌프 구동기를 통해 펌프를 동작하여 약액통에 수용된 약액을 펌핑하여 노즐로 전달하고, 노즐을 통해 음식물쓰레기 위해 탈취 약액을 분사하게 된다. 여기서 약액 분사량은 관리자가 키 입력부(54)를 통해 미리 설정해 놓거나, 원격의 센터에서 약액 분사량을 전송하고 통신부(53)에서 이를 수신한 후 제어부(53)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약액 분사량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센터는 기기를 사용하는 주민들이 악취 발생 민원을 제기할 경우, 해당 주민의 위치 정보와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악취가 발생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개별 계량 기기를 찾게 된다. 이후 통신을 통해 원격에서 약액 분사량과 약액 분사 명령을 전송하여, 제어부(52)에서 자동으로 약액 분사를 수행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으로서 관리자가 조작하는 키 입력부(54)를 정전식 터치 키로 구현하고, 환경에 대해 이를 보상할 수 있도록 하여, 키 감지에 정밀성을 향상하였다.
예컨대, 정전식 터치 키 방식은 크게 주파수 방식과 전압 측정 방식이 있다. 주파수 방식은 정전 센서에 전류를 흘려 일정 시간에 충방전되는 횟수를 기준으로 하여 터치시에는 충방전 되는 횟수가 줄어들게 되며 이 차이를 가지고 터치인지 아닌지를 결정한다. 하드웨어 구조가 단순하여 구현이 용이하고 감도가 높다는 장점은 있으나, 주파수성 잡음(CDMA모듈 등의 영향)에 약하고, 발진기(XTAL)의 편차에 의한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많으며, 외부 환경 요인(ESD)에 영향을 받는 단점이 있다. 전압 측정 방식은 정전 센서에 충전된 전압의 레벨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읽어내어 평균값과 기준 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터치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방식이다. ESD 직렬 저항을 통하여 높은 ESD 내성을 보유하고, 잡음에 강하며 발진기 편차에 대한 내성이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감도는 주파수 방식에 비하여 약간 떨어지는 신호 처리를 위한 소프트웨어가 필요하다는 제약이 따른다.
본 발명에서는 전압 측정 방식의 정전식 터치 키를 이용한다. 그리고 신호 감도 향상을 위해 터치 입력부(54a)를 통해 터치가 발생하여 전압이 검출되면, 환경 변화 보상부(54b)에서 환경에 대한 보상을 한 후, 최종적으로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정밀하게 터치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즉, 환경 변화 보상부(54b)는 터치 입력부(54a)를 통해 읽은 로 데이터(Raw data)와 이값을 축적하여 만든 평균값의 차이를 통하여 터치 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평균값은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항상 초기화되도록 하여 환경 변화 등의 다양한 변수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터치 키가 동작중 급격한 열 충격, 고온, 저온 등의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환경적인 요인이 발생할 경우, 전원 온/오프의 동작 없이 타임 아웃(Timeout) 기능을 이용하여 설정되어 있는 시간이 지나가게 되면 자동으로 평균값을 초기화시켜 터치 키를 인식하는 기준을 변경하여 정상 동작을 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서 물청소시 방수에 대한 안전성을 도모한 것이다. 즉, 도어(40)의 내면에 설치된 제어장치(50)의 둘레에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수를 위한 방수 부재(110)를 설치하였다. 이러한 방수 부재(110)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갖으며,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외부에서 물청소를 하거나 비가 와서 물이 본체(10)의 틈을 타고 들어오면, 방수 부재(110)에 먼저 유입되고, 방수 부재(110)의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곡 면을 타고 흘러 배수가 된다. 이로써 제어장치(50)에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람직하게 방수 부재(110)는 제어장치(50)를 기준으로 좌우측면과 상면에 구비되어, 유입되는 물이 제어장치(5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본체
20: 수거함
30: 중량 감지부
40: 도어
50: 제어장치
51: 인식부
52: 제어부
53: 통신부
54: 키 입력부
54a: 터치 입력부
54b: 환경 변화 보상부
55: 음성 안내부
60: 표시부
70: 상부 커버
71: 투입구
101: 탈취부
102: 브래킷
103: 전원 스위치
104: 스위치 홈
110: 방수 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수거함이 내장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수거함의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감지부;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수거함에 악취 제거를 위한 약액을 분사하여 탈취를 하는 탈취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음식물 처리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하며, 탈취 제어와 상태 표시 및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장치; 상기 본체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기기의 상태 정보를 표시해주는 표시부; 전원 온/오프를 위한 전원 스위치; 상기 전원 스위치를 내장하여 노출을 방지하는 스위치 홈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홈은 도어 내측에 마련되며,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가 제공하는 RFID 태그를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약액 분사와 커버 개폐를 제어하며, 상태에 대한 음성 안내와 정보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정보 전송 제어에 따라 센터와 통신을 수행하여 상태 정보 및 계량 정보를 상기 센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도어에 비금속재질의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며, 전파간섭의 제거로 RFID 태그 인식률을 향상시키며,
    상기 제어장치는 관리자가 조작하기 위한 키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키 입력부는 정전식 터치 키를 포함하며,
    상기 키 입력부는 관리자가 접촉하여 기능을 입력하기 위한 터치 입력부; 상기 터치 입력부에 의해 발생한 신호 인식시 환경 변화에 의해 입력 신호가 변동되는 것을 보상하는 환경 변화 보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환경 변화 보상부는 상기 터치 입력부를 통해 읽은 로 데이터(Raw data)와 이 값을 축적하여 만든 평균값의 차이를 통하여 터치 여부를 판단하도록 하며, 상기 평균값은 전원을 인가하였을 때 또는 기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초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내측에 제어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장치의 둘레에는 방수를 위한 방수 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갖으며, 앵글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식물쓰레기를 본체에 내장된 수거함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투입구는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CDMA방식으로 센터와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변기기와의 연결 확장성을 위해 intel quark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원격에 위치한 센터로부터 전송되는 원격 탈취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탈취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KR1020140168372A 2014-11-28 2014-11-28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KR10153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72A KR101538153B1 (ko) 2014-11-28 2014-11-28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8372A KR101538153B1 (ko) 2014-11-28 2014-11-28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8153B1 true KR101538153B1 (ko) 2015-07-22

Family

ID=53874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8372A KR101538153B1 (ko) 2014-11-28 2014-11-28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15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40B1 (ko) * 2009-07-13 2010-01-06 이성호 터치입력수단이 내장된 표시장치
KR101302962B1 (ko) * 2013-07-12 2013-09-03 주식회사 에이텍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378131B1 (ko) * 2013-04-15 2014-03-27 주식회사 한썸 종량제를 지원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처리 방법
KR101412527B1 (ko) * 2014-04-14 2014-06-26 (주) 지디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5340B1 (ko) * 2009-07-13 2010-01-06 이성호 터치입력수단이 내장된 표시장치
KR101378131B1 (ko) * 2013-04-15 2014-03-27 주식회사 한썸 종량제를 지원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감량처리 방법
KR101302962B1 (ko) * 2013-07-12 2013-09-03 주식회사 에이텍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12527B1 (ko) * 2014-04-14 2014-06-26 (주) 지디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2847B (zh) 智能垃圾分类回收箱
EP2228774B1 (en) Touch-free biometric-enabled dispenser
RU2399364C2 (ru) Посудомоечная машина с коромыслом-разбрызгивателем
EP1824369B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nd identifying product in washrooms
US7530195B2 (en) Electrocution animal trap with a sender
KR100859012B1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CN101080189B (zh) 用于分配和识别盥洗室中的产品的设备
CN109230031A (zh) 垃圾分类回收系统
KR101412527B1 (ko)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KR101302962B1 (ko) Rfid 음식물 개별 계량기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70979A1 (en) Apparatus for dispensing sheet material
CN108861238A (zh) 一种具有识别垃圾分类功能的垃圾桶
KR100993983B1 (ko) 음식물쓰레기 배출량 비례 수거장치
CN105083821B (zh) 智能垃圾桶及其自动开关方法
KR101017284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KR101899780B1 (ko) 상부 중량측정 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CN108691458B (zh) 一种门锁、门锁控制方法及装置
KR20140068706A (ko) 음식물 쓰레기 수거장치, 그것의 제어 방법 및 사후 관리 방법
KR101371230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98412B1 (ko) 음식물쓰레기 수거/처리장치 및 그 운용 시스템
KR101538153B1 (ko) 음식물 종량제 처리기
WO2008048257A2 (en) Multi-functional trash receptacle
CN108584215A (zh) 一种智能的垃圾桶设备
KR101074854B1 (ko) 쓰레기 수거 장치
KR101829718B1 (ko) 이중덮개방식 및 에어커텐을 이용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수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