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019B1 - 차량용 송풍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송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019B1
KR101537019B1 KR1020080083153A KR20080083153A KR101537019B1 KR 101537019 B1 KR101537019 B1 KR 101537019B1 KR 1020080083153 A KR1020080083153 A KR 1020080083153A KR 20080083153 A KR20080083153 A KR 20080083153A KR 101537019 B1 KR101537019 B1 KR 101537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housing
mounting hole
contact surface
rim
scroll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4544A (ko
Inventor
한규익
김영근
서정훈
윤길상
Original Assignee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83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01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4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4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 B60H1/00521Mounting or fastening of components in housings, e.g. heat exchangers, fans, electronic reg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14Details of air conditioning hous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 하우징의 테두리측 접촉면을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측 접촉면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하여 모터 하우징이 일정 깊이만큼 압입되더라도 경사진 양 접촉면의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실링성능이 확보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및 이를 수용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송풍팬 및 모터하우징이 수납되는 장착공을 구비하고 송풍팬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 케이스를 포함하는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장착공에 모터하우징을 삽입 장착할 때 상호 접합되는 상기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테두리 단부에는, 상기 모터하우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접촉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송풍기, 결합리브, 테두리, 돌기부, 요입부

Description

차량용 송풍장치 {BLOWER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하우징의 테두리측 접촉면을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측 접촉면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하여 모터 하우징이 일정 깊이만큼 압입되더라도 경사진 양 접촉면의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실링성능이 확보되도록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자동차의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열교환기를 통해 그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한 후,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공조장치에는 자동차 실내 또는 실외로부터 공기를 도입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송풍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기의 유동통로와 연결되는 내기유입구(11), 차량외기의 유동통로와 연결되는 외기유입구(12), 상기 내기유입구(11)와 상기 외기유입구(12) 사이에서 회동하면서 내기유입구(11)와 외기유입구(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내외기전환도어(13)를 갖는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Air Intake Case,10)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송풍팬(30)을 구비한 스크롤 케이스(Scroll Case, 20)와; 상기 송풍팬(30)을 구동시키도록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의 저면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모터(31)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1'은,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내의 유입실(15)과 상기 스크롤 케이스(20)내의 송풍실(22)을 연통시키는 벨 마우스(Bell Mouth)형 유도구를 표시한 것이다.
상기 내외기전환도어(13)는, 평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그 상부 양단부에는, 상기 에어 인테이크 케이스(10)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 축공에 삽입되어 상기 축공 외부로 돌출된 회전축(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14)은, 자동차 실내 전방에 위치하는 센터페시아(Center Fasia)상에 설치된 공조컨트롤러(Air-Conditioning Controller)의 송풍모드 선택 스위치(도시 생략)의 조작에 따라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요소 중, 상기 송풍팬(30)은, 모터축(32)에 결합되는 허브 플레이트(Hub Plate, 33)와, 상기 허브 플레이트(33)의 상면 가장자리를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블레이드(Blade, 34)와, 그리고 상기 블레이드(34)들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링(35)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허브 플레이트(33)는, 블레이드(34)들이 이루는 공간의 상부쪽으로 요입된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모터(31)는, 모터 하우징(40)에 수용되어 스크롤케이스(20)의 모터 장착구(42)에 다수의 볼트(44)를 이용하여 장착된다. 상기한 모터 장착구(42) 에는, 둘레를 따라 요홈(46)과 간격을 두고 체결공(48)이 형성되는 홈리브(50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리브(50)에는 모터 하우징(40)이 체결공(48)을 통해 볼트(44)로 결합되는데, 이를 위해 모터 하우징(40)에는 요홈(46)에 삽입되도록 둘레에 삽입리브(5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크롤케이스(20)에 대한 종래의 모터(31) 장착방법은, 홈리브(50)와 삽입리브(52)의 치수 조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크롤케이스(20)와 모터 하우징(40)의 결합에 따른 실링유지는, 치수 조정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크롤케이스(20)와 모터 하우징(40)의 실링은 부품간 압입없이 면 접촉만 이루어지도록 볼트로 체결되기 때문에, 실링성이 완벽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모터 하우징의 테두리측 및 스크롤케이스의 결합리브측 접촉면보다 내/외측에 형성하고, 슬라이딩을 통해 압입시켜 실링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모터하우징 및 스크롤 케이스의 장착공 측면에 각각 교대로 형성된 복수의 돌기부 및 요입부로 모터 하우징을 장착공에 간단히 체결되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송풍장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구동하는 모터 및 이를 수용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송풍팬 및 모터하우징이 수납되는 장착공을 구비하고 송풍팬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케이스의 장착공에 모터하우징을 삽입 장착할 때 상호 접합되는 상기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와 상기 모터하우징의 테두리 단부에는, 상기 모터하우징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접촉면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의 테두리측 접촉면은, 상기 장착공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 접촉면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의 테두리측 접촉면은, 상기 장착공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측 접촉면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의 테두리측 접촉면은, 상기 모터하우징이 중심축을 따라 조립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측 접촉면과 슬라이딩 접촉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하우징 및 장착공 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돌기부 및 요입부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하우징을 장착공에 회전 체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하우징이 일정 깊이만큼 압입되더라도 양 접촉면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실링성능이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측 접촉면을 경사지게 형성하여 한정된 두께의 결합리브 또는 모터 하우징의 테두리에 접촉면 면적의 증대로 실링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송풍장치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송풍팬(30)을 수용하고 일측으로부터 유입된 공기가 토출구(54)를 통해 배출되도록 스크롤케이스(20)를 구비한다. 상기 스크롤케이스(20)에는, 송풍팬(30)이 수용되도록 하는 장착공(4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공(42)에는, 외부로 도출되는 결합리브(5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송풍팬(30)이 설치된 모터(31)는 모터 하우징(40)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한 모터 하우징(40)은, 장착공(42)의 결합리브(56)에 걸칠 수 있도록 테두리(5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크롤케이스(20)의 결합리브(56)와 모터 하우징(40)의 테두리(58)에는, 체결수단인 톱니형 돌기부(60a,60b) 및 요입부(62a,62b)가 상호 엇갈리게 다수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하우징(40)의 테두리(58)에 형성되는 톱니형 돌기부(60b)와 요입부(62b)는 테두리(58)의 하부 둘레에 형성된다.
상기 톱니형 돌기부(60a)와 요입부(62a)는, 모터 하우징(40)과 결합시 테두리(58)가 일정 깊이로 압입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한 돌기부(60)와 요입부(62)는, 스크롤케이스(20)의 결합리브(56)에 모터 하우징(40)의 테두리(58)를 삽입시킨 다음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서로 맞물려 결합된다. 즉, 테두리(58)측 돌기부(60a)가 결합리브(56)측 돌기부(60b)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결합된다. 이때, 테두리(58)측 돌기부(60a)는 점차 두꺼워지는 결합리브(56)측 돌기부(60b)의 저면 경사면을 따라 결합될 수 록 모터 하우징(40)을 압입하게 된다.
상기한 스크롤 케이스(20)의 장착공(42)에 장착되는 모터 하우징(40)에는, 압입되고 실링되도록 하는 실링부(60S)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실링부(60S)는, 모터 하우징(40)의 테두리(58)가 스크롤케이스(20)의 결합리브(56)에 압입될 때 실링을 증대시킨다.
상기한 실링부(60S)는, 테두리(58)측 접촉면(64) 및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으로 구성된다.
상기 테두리(58)측 접촉면(64) 및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 하우징(40)의 조립방향인 중심축에 연결되는 사선(L1)처럼 경사지게 테두리(58) 및 결합리브(56)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테두리(58)측 접촉면(64) 및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은, 돌기부(60) 및 요입부(62)의 높이보다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한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은, 스크롤케이스(20)에 형성된 결합리 브(56)의 내측 상단 모서리를 가공하여 형성되고, 테두리(58)측 접촉면(64)은, 테두리(58)의 둘레 모서리를 가공하여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58)측 접촉면(64) 및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은, 스크롤 케이스(20)의 장착공(42)에 모터 하우징(40)의 장착시 면접촉을 통해 슬라이딩 된다.
또한, 상기 테두리(58)측 접촉면(64) 및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은, 슬라이딩으로 압입되면 실링성능을 증대시킨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스크롤케이스(20)의 장착공(42)를 통해 송풍팬(30)을 집어 넣은 후, 모터 하우징(40)을 결합리브(56) 위에 올려 놓는다. 그러면, 상기 결합리브(56) 위에 모터 하우징(40)이 맞물려 자연스럽게 가 결합되어 다음 체결작업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모터 하우징(40)이 스크롤 케이스(20)에 가 결합될 수 있는 것은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위에 테두리(58)측 접촉면(64)이 삽입되도록 경사져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나서, 상기한 스크롤케이스(20) 위에 가 결합 상태로 올려져 있는 모터 하우징(40)을 누르면서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모터 하우징(40)의 돌기부(60a)는, 결합리브(56)의 요입부(62b)사이를 통해 삽입된 후 돌기부(60b)의 저면 경사부분을 따라 이동한다. 상기한 돌기부(60a)는, 점차 두꺼워진 돌기부(60b)의 저면에 결합되고, 돌기부(60b)의 두께 만큼 하강한다. 즉, 상기 돌기부(60a)의 하강은 테두리(58)측 접촉면(64)이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을 슬라이딩하여 압입되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모터 하우징(40)은, 접촉면(64,66)간 실링성능이 향상된 상태로 스크롤케이스(20)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나타낸 테두리 및 결합리브측에 해당되는 접촉면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상기 모터하우징(40)의 테두리(58)측 접촉면(64)은, 상기 장착공(42)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공(42) 둘레의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보다 외측에 사선(L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상기 모터하우징(40)의 테두리(58)측 접촉면(64)이,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스크롤케이스(20)의 장착공(42)에 대한 모터 하우징(40)의 체결은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크롤케이스(20)에 장착되는 모터 하우징(40)의 결합이 요입부(60)와 돌기부(62)에 의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모터 하우징(40)은, 결합시 테두리(58)측 접촉면(64)이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을 미끄러져 일정 깊이만큼 압입된 후 결합되도록 되어 있어서, 모터 하우징(40)의 실링성능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용 송풍장치에서 스크롤케이스와 모터 하우징의 트위스트 체결시에, 결합리브측 및 테두리측에 각각 경사져 실링성능을 증대하는 접촉면을 형성하여 실링되도록 한 것으로, 차량 공조장치 산업분야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모터 하우징의 장착부위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공조장치용 송풍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나타낸 테두리 및 결합리브측에 해당되는 접촉면간 실링상태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4에 나타낸 모터 하우징의 장착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나타낸 접촉면의 다른 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스크롤케이스(Scroll Case) 30: 송풍팬
40: 모터하우징(Moter Housing) 54: 토출구
56: 결합리브(Rib) 58: 테두리
60: 돌기부 60S: 실링부
62: 요입부 64: 접촉면
66: 접촉면

Claims (5)

  1. 송풍팬(30)과, 상기 송풍팬(30)을 구동하는 모터(31) 및 이를 수용하는 모터하우징(40)과, 상기 송풍팬(30) 및 모터하우징(40)이 수납되는 장착공(42)을 구비하고 송풍팬(30)에 의해 이송되는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스크롤 케이스(20)를 포함하는 차량용 송풍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의 장착공(42)에 모터하우징(40)을 삽입 장착할 때 상호 접합되는 상기 장착공(42) 둘레의 결합리브(56)와 상기 모터하우징(40)의 테두리(58) 단부에는, 상기 모터하우징(4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경사진 접촉면(66,64)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경사진 접촉면(66,64)은, 상기 스크롤 케이스(20)와 모터하우징(40)의 장착방향을 향해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40)의 테두리(58)측 접촉면(64)은, 상기 모터하우징(40)이 중심축을 따라 조립방향으로 가압될 때 상기 장착공(42) 둘레의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과 슬라이딩 접촉되면서 실링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40) 및 장착공(42) 측면에는, 각각 복수의 돌기부(60) 및 요입부(62)가 교대로 형성되어 상기 모터하우징(40)을 장착공(42)에 회전 체결할 시에, 상기 돌기부(60)가 상기 요입부(62) 사이의 돌기부(60a)의 저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맞물려 압착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40)의 테두리(58)측 접촉면(64)은, 상기 장착공(42)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공(42) 둘레의 결합리브(56) 접촉면(66)보다 내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40)의 테두리(58)측 접촉면(64)은, 상기 장착공(42)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장착공 둘레의 결합리브(56)측 접촉면(66)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송풍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080083153A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송풍장치 KR101537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153A KR101537019B1 (ko)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송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153A KR101537019B1 (ko)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송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544A KR20100024544A (ko) 2010-03-08
KR101537019B1 true KR101537019B1 (ko) 2015-07-15

Family

ID=4217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153A KR101537019B1 (ko) 2008-08-26 2008-08-26 차량용 송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0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8784A (ja) * 2017-07-20 2019-02-07 株式会社Soken 空調装置
KR102175795B1 (ko) * 2018-11-13 2020-11-06 디와이오토 주식회사 케이스 결합 구조가 개선된 전기차 배터리팩용 냉각팬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221A (ja) * 1994-10-31 1996-05-21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11321284A (ja) * 1998-05-19 1999-11-24 Denso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3080922A (ja) * 2001-06-25 2003-03-19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の取付構造
JP2004098983A (ja) * 2002-09-12 2004-04-02 Denso Corp 空調装置のブロ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221A (ja) * 1994-10-31 1996-05-21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H11321284A (ja) * 1998-05-19 1999-11-24 Denso Corp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3080922A (ja) * 2001-06-25 2003-03-19 Calsonic Kansei Corp モータの取付構造
JP2004098983A (ja) * 2002-09-12 2004-04-02 Denso Corp 空調装置のブロ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4544A (ko) 2010-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337669B2 (ja) 車両用電動送風ファン装置
KR20040101528A (ko) 원심 송풍기 및 원심 송풍기를 구비한 공기 조화 장치
CN105156344A (zh) 一种蜗壳风机组合结构及立式空调器
KR20100041278A (ko) 원심팬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2009191759A (ja) 電動送風機
KR101230113B1 (ko) 차량용 이중 팬 환기 조립체
US6786816B2 (en) Inside/outside air switching device for vehicular air conditioning unit
US20030035731A1 (en) Dry vacuum pump
KR101537019B1 (ko) 차량용 송풍장치
KR101461987B1 (ko) 차량용 송풍장치
JP3498347B2 (ja) 送風装置
KR101211520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장치
JP4889390B2 (ja) 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5588484A (en) Refrigeration fan system
JPH11101194A (ja) 遠心送風機及び該遠心送風機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3968878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380038Y1 (ko) 양흡입식 원심 송풍기
JPH08338396A (ja) 遠心式送風機
JP2002371996A (ja) 送風機及び送風機を有する換気扇
JP2001342998A (ja) 自動車用送風装置
KR100749061B1 (ko) 공기조화기
KR20000034963A (ko) 공기 조화기
KR100246385B1 (ko) 냉난방 겸용 에어콘
KR101427238B1 (ko) 자동차 공조장치의 송풍유니트
KR101288466B1 (ko) 차량용 송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