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4963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4963A
KR20000034963A KR1019990042544A KR19990042544A KR20000034963A KR 20000034963 A KR20000034963 A KR 20000034963A KR 1019990042544 A KR1019990042544 A KR 1019990042544A KR 19990042544 A KR19990042544 A KR 19990042544A KR 20000034963 A KR20000034963 A KR 20000034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wind direction
air
air conditioner
b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5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3327B1 (ko
Inventor
오제키마사오
이이지마히로유키
와카야마다케시
타니타츠야
고야쥰이치
모리코지
야마자키노리마츠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34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3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구 및 취출구가 좌우에 병설되는 전면패널과, 흡입구의 내측에 흡입구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실내측 열교환기와, 이 실내측 열교환기의 후측에 설치되고, 흡입구에서 흡인한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거쳐서 취출구에서 되돌리는 송풍기와, 취출구에 설치되고, 이 취출구에서 되돌려진 공기의 토출방향을 좌오로 바꾸는 루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취출구의 거의 중앙의 상하에 지지되어 풍향을 좌우로 변환할수 있게 대상으로 배치된 복수매의 풍향변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흡입구에서 떨어진쪽에 추가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풍향변으로 되는 공기조화기이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전면 패널의 취출구에서 피조화실내(被調和室內)에 공기를 불어내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런 종류의 공기조화기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7-151351호 공보에 나타나 있다. 즉, 이 공보에 나타난 공기조화기는 소위 일체형의 공기조화기이며, 전면 패널에는 흡입구와 취출구가 병설되어, 흡입구의 내측에는 실내측 열교환기가 대응하여 설치되어 잇고 , 동시에 실내측 열교환기의 후방에는 시로코 송풍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실내측 열교환기의 후측에는 케이싱이 설치되며, 이 케이싱 내에는 소정의 인벌류트 형상의 내벽을 가지는 케이싱 공간과, 그 측방에 연통하고, 취출구의 후방에 위치하는 취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상기 시로코 송풍기는 이 케이싱공간내에 설치되고, 흡입구에서 피조화실내의 공기를 흡인하여, 실내측 열교환기와 열교환시킨후, 측방의 취출공간을 거쳐서 취출구에서 피조화실 내로 불어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취출구에는 종방향의 풍향변(從風向邊)을 가진 루버( 從 louver)가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취부되어, 이 종 루버를 회전운동시켜 종 풍향변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취출구에서 불어내는 공기의 방향을 좌우로 변경하여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싱 공간에서 취출공간으로 토출된 공기는, 시로코 송풍기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취출공간의 측벽이나 천정면에 되돌아오면서 취출구 방향으로 편향되므로, 아무리 해도 측벽을 따라 취출구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류가 많게 된다.
그 때문에, 취출구에 설치된 종 루버의 방향을 조정해도, 종루버와 측벽사이에서 곧바로 전방으로 흘러서 취출구에서 유출하는 공기가 많게 되어, 취출공기를 좌 방향의 조정이 실질적으로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취출구에서 불어내는 공기를, 루버에 의하여 원활하게 편향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와 같은 공기조화기에서는 냉방시에 취출구에서 저온의 냉기가 피조화실 내로 불어나오므로, 취출구를 둘러싼 전면 패널의 벽면온도가 현저하게 저하한다. 한편으로 전면 패널은 외기에 접촉하고 있어서, 이 외기 중의 수분이 저온의 벽면에 결로수(結露水)가 되어 응결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부터 취출구를 둘러 싼 벽면의 이면 쪽에는 발포 우레탄 등의 단열재를 붙이고 있었지만, 장마철과 같은 다습환경에 있어서는 아무래도 취출구 주변의 벽면에 결로수가 생긴다. 그래서, 이 결로수는 벽면을 따라서 흘러내려 뭉친 뒤, 끝내는 바닥에 방울져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면 패널의 취출구 주변에 생기는 결로수를 원활히 처리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취출구로부터의 송풍의 상하각은 취출구의 선단측에 설치한 풍향판을 회전운동시킴으로 써 변경이 가능하며, 또한, 취출구는 풍향판에 의하여 전폐하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종래에는 풍향판의 일련의 동작으로 송풍각도의 조정과 취출구의 전페가 되어있었기 때문에, 운전 중임에도 불구하고 취출구가 풍향판에 의하여 준비없이 닫히어, 취출구의 주변에 대량의 결로가 생기고, 소음의 증대나 운전효율의 저하를 일으키고 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취출구가 풍향판에 의해 준비없이 닫히고 마는 불합리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정면도임.
도 2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우측면도임.
도 3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좌측면도임.
도 4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평면도임.
도 5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종단측면도임.
도 6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종단평면도임.
도 7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의 평단면도임.
도 8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의 취출구 부분의 종단측면도임.
도 9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취출구 부분의 배면도임.
도 10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전면 패널의 취출구 부분의 확대 종단측면도임.
도 11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취출구 부분의 확대 평단면도임.
도 12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종 루버의 정면도임.
도 13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종 루버의 측면도임.
도 14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종 루버의 평면도임.
도 15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종 루버의 하면도임.
도 16 은 도 12의 A―A선 단면도임.
도 17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케이싱 및 시로코 팬의 정면도임.
도 18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취부판의 정면도임.
도 19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취부판의 측면도임.
도 20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취부판의 하면도임.
도 21 은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쿠션 고무의 정면도임.
도 22 는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쿠션 고무의 배면도임.
도 23 은 도 21의 B―B선 단면도임.
*부호의 설명*
AC 공기조화기
1 기판 2 냉각장치
3 외상 4 전면 패널
5 구획벽 6 실내측 통풍 경로
7 실외측 통풍 경로 8 실외측 열교환기
9 송풍기 모터 10 프로펠러 송풍기
11 회전축 12 압축기
14 실내측 열교환기 15 시로코 팬
16 케이싱 18 취출구
19 종 루버 20 횡 루버
24A, 24B, 24C, 24D 취출구 상하벽, 좌우 측벽
26, 27 단열재 28 홈
29 횡 풍향판 31 연결부재
32 연결 핀 33 홈
34 승월부 36 상변(邊)
37 하변 38, 39, 41 종 풍향변
42 선회부 43 설부
본 발명은, 흡입구 및 취출구가 좌우에 병설되는 전면 패널과, 흡입구의 내측에 흡입구와 서로 마주하여 설치된 실내측 열교환기와, 이 실내측 열교환기의 후측에 설치되고, 흡입구에서 흡입한 공기를 상기 실내 열교환기를 거쳐서 취출구에서 되돌리는 송풍기와, 취출구에 설치되고 이 취출구에서 되돌려진 공기의 토출방향을 좌우로 바꾸는 루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취출구의 거의 중앙의 상하에 지지되어 풍향을 좌우로 변화할 수 있게 대상으로 배치된 복수매의 풍향변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흡입구에서 떨어쪽에 추가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의 풍향변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흡입구에서 떨어진 쪽에, 풍향변을 적어도 1 개 추가 형성하였으므로, 송풍기에서 토출되어 취출구에서 곧 바로 전방으로 유출하려는 공기를 , 추가된 풍향변에 의하여, 해당 풍향변의 지향방향으로 원활하게 편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된다.
특히, 루버는, 기존의 본체에 풍향변을 추가하는 것 만으로 형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취출구 주변의 구조는 하등의 변경이 불필요하므로, 설계변경으로 인한 비용의 상승도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공기조화기에서, 취출구를 통(筒)상의 부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면에 흡수성의 단열재를 설치하고, 취출구의 하벽에 취출구의 외주에 설치된 단열재에 연결되는 홈을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를 둘러싼 상하벽 및 좌우 측벽의 이면에 흡수성의 단열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벽에 홈을 형성하여, 하벽 이면의 단열재를 이 홈에 대응 시켰으므로, 취출구를 둘러싼 상하벽 및 좌우 측벽에 부착된 결로수는 하벽에 집약된 후, 하벽에 형성한 홈을 통과하여 단열재에 흡수 되도록 된다.
그리고, 흡수된 결로수는 이윽고 증발되어가므로, 취출구 부분에서 결로수가 바닥에 방울져 떨어지는 불합리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하벽에 홈을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 달성되기 때문에, 생산비용도 낮게 억제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취부된 복수의 풍향판을 회전운동 시킴으로써, 소정의 송풍 범위로 취출구에서의 송풍각도를 조정하고, 또한, 당해 취출구를 전폐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각 풍향판의 전폐위치가 송풍범위와는 구별하여 규정되어 있는 것이다.
다시, 각 풍향판을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운동 시키는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에 돌출 설치된 연결 핀과, 취출구를 구성하는 벽면에 형성되어 연결핀이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된 원호상의 홈을 구비하며, 이 홈은, 송품범위에 있어서 연결 핀이 연결되는 홈부와, 전폐위치에 있어서 연결 핀이 연결되는 홈부와, 양 홈부를 서로 분단함과 동시에, 강제로 연결 핀이 타고넘을 수 있는 승월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판에 의하여 취출구에서의 송풍속도를 조정할수있는 송풍범위와, 취출구를 전폐하는 전폐위치가 구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의 과오로 인하여 준비없이 풍향판이 전폐위치로 되어, 취출구가 닫혀버리는 불합리함이 방지된다. 이리하여, 취출구 주변의 결로의 발생이나, 소음의 증대·운전효율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공기조화기 AC의 정면도, 도 2는 동 우측면도, 도3 은 동 좌측면도,도 4는 동 평면도, 도 5는 동 종단 측면도, 도 6은 동 종단 평면도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공기조회기 AC는 소위 일체형의 공기조화기로써, 그 본체는, 강판제의 기판 1과, 그 기판 1위에 설치되여 일체화된 냉각장치 2와, 기판 1과 냉각장치2를 피복하는 강판제의 외상 3과, 이 외상(外箱) 3의 전면을 덮는 경질 수지제의 전면 패널 4로 구성되어 있다.
기판 1상에는 강판제의 구획벽 5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구획벽 5에 의하여 본체내는 실내측 통풍경로 6과 실외측 통풍경로 7과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그 실외측 통풍경로 7의 배면측에는 실외측 열교환기 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구획벽 5에는 양지지형의 송풍기 모터 9가 취부되어 있고, 이 송풍기 모터 9의 회전축11의 한쪽 끝(후단)에 장착된 프로펠러 송풍기 10에 의하여 형성된 바람이 실외측 열교환기 8에 불어내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송풍기 모터 9의 취부구조에 관하여는 뒤에 상술한다.
12는 압축기이며, 이 압축기 12는 송풍기 모터 9의 앞에서 보아 우측에 두며, 진동을 완화하기 위하여 방진고무 13을 개재하여 기판 1위에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압축기 12는 상기 실회측 열교환기 8과 함께 냉각장치 2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한다.
다른 한편, 실내측 통풍경로 6의 저부에는 성형 단열재로 된 이슬받이그릇 22가 기판 1위에 설치되어 있고, 이 이슬받이그릇 22의 상방에 실내측 열교환기 14가, 전면 패널 4의 흡입구 4A에 서로 마주하여 면하도록 배치 설정되었다. 또, 실내측 열교환기 14의 후방에는 시로코 송풍기 1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시로코 송풍기 15의 직경은 약 180mm이며, 안쪽 길이가85mm이다.
이 시로코 송풍기15는상기 송풍기 모터 9의 회전축 11의 타단(전단)에 장착되어있고, 주위를 성형단열재로 된 케이싱 16에 의하여 둘러쌓이고 동시에, 실내측 열교환기 14와는 오리피스 17을 사이에 두고 대면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 16은 실내측 열교환기 14의 측방을 경유하여, 전면 패널4의 흡입구 4A를 향하여 우측으로 개구한 취출구 18에 연통되어 있고, 그 취출구 18의 안쪽에 대응하는 케이싱 16의 전단부에는, 풍류를 좌우 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종루버 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전면 패널 4의 취출구 18에는 풍류를 상하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횡 루버 20도 설치되어 있고, 이들 취출구 18 및 각 루버 19, 20의 구조에 대하여도 뒤에 상술한다.다시, 취출구 18의 아래측에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상자의 수납부 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상 3은 전후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폭의 치수는 440mm∼450mm, 높이 치수는 340mm∼350mm정도가 되고, 안쪽 치수는 600mm∼610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외상 3의 측면 후부의 송풍기 모터 9의 측방에 대응하는 양 측면에는 통기구 21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으로 공기조화기 AC는 창틀에 끼워 넣어, 전면 패널 4의 거의 직후의 위치에 두어 기판 1 및 외상 3의 전단부가 창틀에 고정됨으로써, 취부 된다. 그리고, 압축기 12 및 송풍기 모터 9가 운전되면, 냉방 운전시에는 실외측 열교환기 8에서 냉매가 응축하고, 실내측 열교환기 14에서 냉매가 증발하여 냉방작용을 발휘한다. 송풍기 모터 9가 운전되면, 실외측 통풍경로 7에 있어서는, 프로펠러 송풍기 10이 회전 구동 됨으로써, 상기 외상 3의 통기구 21에서 외기가 흡인되어, 압축기 12의 주위를 경과한 후, 후방의 실외측 열교환기 8에 뿜어진다.
여기서, 프로펠러 송풍기 10이 통기구 21에서 원활하게 외기를 흡인하기 위하여, 송풍기 모터 9와 프로펠러 송풍기 10의 사이, 즉, 프로펠러 송풍기 10의 후측에 충분한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회전축 11이 송풍기 모터 9에서 돌출하는 치수는, 프로펠러 송풍기 10측이 시로코 팬 15측에 비하여 길게 설정되어 있다.
한편, 실내측 송풍경로 6에 있어서는, 시로코 팬 15가 회전 구동됨으로써,실내 공기가 전면 패널 4의 흡입구 4A에서 흡인되어, 실내측 열교환기 14에서 냉각된 후, 오리피스 17을 경유하여 케이싱 16내로 도입된다. 이 실내측 열교환기 14로 냉각된 실내 공기는 케이싱 16에 유도되어, 각 루버 19, 20에 의하여 적절히 풍향이 변화되어 취출구 18에서 실내(피 공기조화실)로 불어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취출구 18의 주변의 상세한 구조를 도7∼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전면 패널 4에 통 모양으로 형성된 취출구 18을 구성하는 취출구 상벽 24A, 취출구 하벽 24B, 취출구 좌우 측벽 24C, 24D( 어느 것이나 전면 패널 4의 일부)의 이면에는, 연속 기포의 발포 우레탄 등으로 된 흡수성의 단열재 26, 27이 붙여져 있고(도 10에서는 생략), 다시 취출구 하벽 24B에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뒤 가장자리에서 U자 모양으로 잘라낸 홈 28이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 AC의냉방 운전시에는 취출구 18에서 냉기가 토출되기 때문에, 취출구 18을 둘러싼 상기 각벽 24A∼24D는 냉각된다. 상기 단열재 26, 27은 관련 각벽 24A∼24D의 온도 저하를 완화하기 위하여 설치된 것이지만, 각벽 24A∼24D는 외기에 접하고 있기 때문에, 아무래도 외기중의 수분이 결로되여 각벽 24A∼24D의 표면에 부착한다.
각벽 24A∼24D의 표면에 부착한 결로수는, 드디어 자중으로 흘러 내리고, 취출구 하벽 24B에 모여오지만, 이 취출구 하벽 24B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홈 28‥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모인 결로수는 이 홈 28‥을 통과하여, 이면에 붙여진 단열재 26에 흡입된다.
그리고, 단열재 26에 흡수된 결로수는 서서히 증발 처리된다. 이에 따라, 취출구 18의 주변의 벽에 달라 붙은 결로수가 외부에 떨어지는 불편이 해소된다.
다음, 상기 횡 루버 20은 소정의 상하 간격을 두고 배설된 합계 10매의 횡 풍향판 29…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풍향판 29…의 좌우단의 중앙이 취출구 좌우벽 24C, 24D에 회전 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각 풍향판 29‥는 취부되어 있다. 다시, 각 횡 풍향판 29‥는 실시 예에서는 상측과 하측이 5매씩 그룹으로 나뉘어, 이들 2개의 그룹의 각 횡 풍향판 29‥의 왼쪽 후단에 걸쳐서 여결부재 31이 취부되어 있다.
각 연결부재 31, 31은 각 그룹의 횡 풍향판 29‥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고, 이에 따라서, 각 그룹의 횡 풍향판 29‥는 동시에 회전운동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연결부재 31, 31에는 외측으로 돌출한 연결 핀 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취출구 좌측벽 24C에는 원호상의 홈 33, 33이 형성되어, 각 연결부재 31, 31의 연결핀 32는 홈 33, 33에 각각 이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각 홈 33, 33은 상부에 위치하는 승월부(乘越部)34에서 분단되어 있으며, 분단된 하측의 홈부 33A에 연결핀 32가 위치하는 상태로, 횡 풍향판 29‥는 약 70°의 범위(송풍 범위)로 송풍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도 10의 하측에 도시하는 그룹과 같이 연결 핀 32가 홈부 33A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횡 풍향판 29‥의 앞부분을 위로 경사시키면, 풍향은 가장 상향으로 되며, 연결 핀 32가 홈부 32A의 상단부에 위치하도록 횡 풍향판 29‥의 앞부분을 아래로 경사 시키면 ,풍향은 가장 하향으로 된다.
그리고, 홈부 33 A의 상단에는 승월부 34가 존재하기 때문에, 연결 핀 32의 이동은 일단 여기서 정지되지만, 홈부 33A의 상단에 연결 핀 32가 있는 상태에서 횡 풍향판 29‥의 앞부분을 다시 어래로 강하게 내리 누르면, 연결핀 32는 승월부 34를 타고 넘어, 분단된 상측의 홈부 33B에 끼어 들어가도록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도 10의 상측에 도시하는 그룹과 같이 연결핀 32가 홈부 33B에 있는 상태에서는, 각 그룹의 횡 풍향판 29‥은 서로 중합하여 밀착한다. 따라서, 양 그룹의 횡 풍향판 29…를 밀착시키면 취출구 18은 횡 루버 20에 의하여 닫힌다(전폐).
이와 같이, 연결부재 31, 31의 연결 핀 32가 홈부 33A에 있는 상태에서 횡루버 20에의하여 상하방향 의 풍향조정을 가능하게 하며, 연결핀 32가 홈 33의 승월부 34를 타고 넘어 홈부 33B로 들어간 경우에 횡 루버 20에 의하여 취출구 18이 닫히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횡 루버 20의 조작중에 부주의로 취출구 18이 닫히고 마는 불편이 해소되며, 조작 과오에 의한 취출구 18의 주변에의 결로나 소음의 증대, 운전효율의 악화등의 불편의 발생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종 루버 19는, 상하변 36, 37과, 이 상하변 36, 37사이에 걸쳐 상호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설된 상하 방향의 종 풍향변 38, 39 41과, 종 풍향변 38, 39사이의 중앙에 대응하는 부분의 상하변 36, 37에서 각각 상방 및 하방 (외방)에 돌출하는 회동축 42, 42를 구비하여, 이들이 경질 합성수지의 일체성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하의 회동축 42, 42가 취출구 18의 후측의 케이싱 16의 도시되지 않은 연결공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이에 따라, 취출구 18에서 불어내는 공기의 풍향을 좌우방향으로 변화시킨다.
여기서, 종 풍향변 38, 39 및 이들 사이의 상하변 36, 37과 선회축42, 42는 종래와 같은 구조의 종 루버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종 루버 19에는, 본체의 종 풍향변 39에서 향하여 우측의 상하변 36, 37이 경사 후방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 사이에 또 하나의 종 풍향변 41 이 추가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추가의 종 풍향변 41은 2개 이상이라도 좋다.
한편, 시로코 팬 15로 부터 도 6에 있어서 우측방향으로 불어낸 공기는, 아무래도 케이싱 16의 벽면에 따라서 흐르는 풍량이 많게 되나, 종 루버 19에 추가 설정된 종 풍향변 41은, 케이싱 16의 벽면에 따라서 흘러 오는 공기의 진행방향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이공기를 원활하게 종 풍향변 41의 지향 방향으로 편향 시킬 수가 있다. 또, 종래 구조의 종 루버의 본체에 종 풍향변 41부분을 추가할 뿐이므로, 종 루버 19 자체의 설계 변경은 최소한으로 끝남과 동시에, 케이싱 16측은 하등의 변경을 요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이러한 케이싱 16의 형상 에 대하여 도 17을 가지고 설명한다. 시로코 팬 15를 향하여 우측에는, 아래에서 올라온 시로코 팬 15측으로 만곡하면서 경도한 설부(舌部) 43이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설부 43에 의하여 케이싱 16 내는 시로코 팬 15가 위치하는 케이싱 공간 44와 취출구 18 후방에 위치하는 취출공간 46으로 구획되어 있다.
이 케이싱 공간 44와 취출공간 46과는 그들의 경계에 기립한 설부 43의 상방에 있어서 연통하여 있으며, 케이싱 공간 44의 내벽은 소정의 인벌류트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로코 팬 15의 주위에, 설부 43의 선단부에서 소정의 인벌류트상으로 넓어지는 간격이 형성되어 취출공간 46에 연속되어 있다.
상기 설부 43의 선단은 소정으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축 11에서 설부 43의 원호의 선단까지의 앙각 θ는14°로 설정되고, 또, 케이싱 공간 44의 안쪽 치수는 실시예에서는 135mm로 설정되어 있다. 또, 케이싱 16의 후벽 47의 좌단과 케이싱 16의 우측벽 48과는 거의 직각을 이루고 있고, 이에 따라 취출공간 46의 뒤 모서리부 46D는 거의 직각이며, 외상 3 내에서 취출공간 46이 최대한으로 확장된다.
시로코 팬 15가 도 17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면, 실내측 열교환기 14측(전방)으로부터 공기가 흡입되어, 반경 방향으로 토출된다. 시로코 팬 15에서 토출된 공기는, 케이싱 공간 44의 인벌류트 형상에 따라서 도 17의 우측경사 상방으로 지향되어, 이윽고 설부 43의 상측을 통과하여 취출 공간 46에 들어간다.
취출공간 46으로 들어간 공기는 케이싱 16의 우측벽 48이나 외상 3에 충돌하면서 전방으로 편향되면서, 동시에 케이싱 공간 44측에 튀어서 되돌아온 공기는 설부 43으로 다시 튀어서 돌아와 전방의 취출구 13으로 향하게 된다.
여기서, 설부 43의 높이가 낮으면, 취출공간 46측으로 되 튄 공기가 케이싱 공간 44측으로 재차 흡입되어 효율이 저하된다. 반대로, 설부 43의 높이가 높으면 , 이번에는 케이싱공간 44에서 취출공간 46에 유입하는공기를 막아버리는 형상이 되므로, 이 것도 성능 저하를 가져온다. 그래서, 실험에 의하여 회전축 11에서 설부 43의 원호의 선단까지의 앙각θ를 10°이상 27°이하로 설정하면 가장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종래는 취출공간 46의 뒤 모서리부 46D를 우측이 앞측이 되는 경사면으로 함으로써, 케이싱 공간 44에서 취출공간 46에 들어간 공기가 원활하게 전방으로 편향되도록 기도했으나, 외상 3의 폭 치수를 축소하여 소형화하는 경우, 취출공간 46이 좁혀지는 경향이 되므로, 관련 경사면의 형성은 이 취출공간 46의 축소를 조장하고, 도리어 취출공간 46내의 통풍성능을 악화시킨다.
그리고, 실험에 의하여 경사면을 형성한 경우와, 도 6과 같이 모서리부 46D를 거의 직각으로 한 경우를 비교한 결과, 소음·운전효율 함께 도 6과 같이 모서리부 46D를 거의 직각으로 한 경우의 쪽이 양호한 것이 확인되었다.
또, 실시 예에서는 시로코 팬 15의 안쪽 깊이 치수는 85mm이나, 케이싱 공간 44의 안쪽 깊이 치수는 135mm이므로 도 5,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공간 44내에 있어서 시로코 팬 15의 주위에는 충분한 간격이 형성된다. 그 때문에, 케이싱 공간 44내에 있어서의 통풍성능도 양호하게 되고, 그 위에 소음·운전효율의 향상이 이루어졌다.
여기서, 실험에 의하여 케이싱 공간 44의 안쪽 깊이 치수를 125mm로 한 것과 비교한 경우,125mm에서는 소음이 46.7dB, 풍량 340(㎥/h)이었던 것이, 135mm에서는 소음이 45.6dB, 풍량360(㎥/h)로 모두 개선되었다( 시로코 팬의 회전수는 모두 1000rpm). 더욱, 125mm의 것으로 풍량 360(㎥/h)을 얻기 위하여는 회전수를 1025rpm으로 올리지 않으면 아니 되었으나, 그 경우에는 소음이 47.2dB로 상승하고 말았다.
다음으로, 도 18∼도 23을 참조하면서 송풍기 모터 9의 취부구조를 상술한다 . 각 도에 있어서 51은 관련 송풍기 모터 9의 취부판을 도시하고 있다. 이 취부판 51은 소정폭의 강판을 굴곡하여 형성되어 있고, 하단의 취부면 52와, 이 취부면 52에서 세워져 횡방향 크랭크상으로 굴곡된 크랭크부 53과, 이 크랭크부 53의 종단인 상단에 형성된 또 하나의 취부면 5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크랭크부 53의 최외측이 되는 수직면 56에는 원공 57이 버링(burring) 형성이 되어 있으며, 다시 원공 57의 상단에서는 상측에 직사각형으로 튀어 나온 확개부 58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구획벽 5에는 상기 원공 57과 같은 형상의원공 59(확개부도 형성되어 있음)가 버링형성이 되어 있고, 이 원공 59에 대응하는 부분의 케이싱 16은 소정 곡률로 케이싱 공간 44측에 융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융기부 61에는 투공(透孔) 62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편, 도 21∼도 23에 있어서 63은 쿠션 고무이다. 이 쿠션 고무 63은 두께를 갖는 본체 64와, 이 본체 64의 중앙에 오목하게 함몰형성된 요함부 66과, 요함부 66에 연속하여 본체에 형성된 투공 67과, 본체 64의 투공 67과는 반대측 부분에서 바깥쪽으로 확개된 플랜지부(鍔部) 68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체 64의 투공 67측의 부분의 상단에는 직사각형상의 내댄 부분인 장출부(張出部)6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기 모터 9를 취부할 때에는, 우선 2개의 쿠션 고무 63을 준비하고, 각각 송풍기 모터 9의 양단에 취부한다. 이 때, 회전축 11의 양단은 각 쿠션 고무 63의 요함부 66을 통과하여 투공 67에서 돌출된다. 송풍기 모터 9의 회전축 11의 인출부분은 돌출해 있고, 이 돌출 부분은 요함부 66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플랜지부 68은 송풍기 모터 9의 양단면의 거의 전역에서 밀착한다.
그리고, 회전축 11의 시로코 팬 15측의 끝부를 구획벽 5의 원공 59내에 삽입하고, 쿠션 고무 63의 본체 64를 원공 59내에 끼워맞춤과 동시에, 플랜지부 68을 구획벽 5에 밀착시킨다. 다음으로, 회전축 11의 프로펠러 송풍기 10측의 끝부를 취부판 51의 원공 57 내로 삽입하고, 쿠션 고무 63의 본체 64를 원공 57 내로 끼워맞춤하여 장출부 69를 확개부 58에 맞혀 넣고, 동시에 플랜지부 68을 크랭크부 53의 수직면 56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취부판 51의 취부면 52를 기판 1에 고정하고, 취부면 54를 구획벽 5에 고정함으로써, 송풍기 모터 9를 양단부에 지지한다. 그 후, 각 송풍기 10, 15를 회전축 11에 취부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회전축 11이 송풍기 모터 9에서 돌출하는 치수는, 프로펠러송풍기 10 측이 시로코 팬15 측에 비하여 길게 설정되어 있음으로, 송풍기 모터 9가 운전되면, 돌출치수 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편심량의 차가 발생하여, 그에 따라 진동·소음이 증대하려 하나, 쿠션 고무 63, 63의 각 플랜지부 68, 68은 송풍기 모터 9의 양단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밀착되여 있으므로, 이러한 진동은 효과적으로 흡수되어, 구획벽 5나 취부판 51에 전달하기 어렵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기 AC의 폭 치수를 축소하면서, 운전효율을 개선하고, 또한, 소음과 진동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에는 냉방 운전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4방 전환밸브 등을 이용하여, 냉매의 순환 사이클을 바꾸어, 실내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응축하고, 실외 열교환기에서 냉매가 증발하도록 하면 난방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면 패널에 병설된 흡입구 및 취출구와, 흡입구의 내측에 배설된 실내측 열교환기와, 이 실내측 열교환기의 뒤 측에 설치되고, 실내측 열교환기를 거쳐서 흡입구에서 흡인한 공기를 취출구 방향으로 토출하는 송풍기와, 취출구에 설치된 루버 등을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루버를, 풍향을 좌우로 바꾸는 복수매의 풍향변과, 이들 풍향변 간의 거의 중앙에 있어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회동축을 구비한 본체로 구성되어있고, 동시에 이 본체의 송풍기와 반대측에는, 풍향변을 적어도 1개를 추가 형성하였음으로, 송풍기에서 토출되어 취출구에서 곧바로 전방으로 유출하려고 하는 공기를, 추가된 풍향변에 의하여, 당해 풍향변의 지향방향으로 원활하게 편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루버는, 기존의 본체에 풍향변을 추가하는 것 만으로 형성할수 있음과 동시에, 취출구 주변의 구조는 하등의 변경이 불필요하므로, 설계변경에 의한 비용의 상승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를 둘러싼 상하벽 및 좌우측 벽의 이면에 흡수성 단열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하벽에는 홈을 형성하고, 하벽 이면의 단열재를 이 홈에 대응시켰기 때문에, 취출구를 둘러싼 상하벽 및 좌우 측벽에 부착된 결로수는 하벽에 집약된 후, 하벽에 형성된 홈을 통과하여 단열재에 흡수되게 된다.
그리고, 흡수된 결로수는 이윽고 증발되어 감으로, 취출구 부분에서 결로수가 바닥면에 방울져 떨어지는 부적절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하벽에 홈을 형성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로 달성되기 때문에, 생산 비용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풍향판에 의하여 취출구로 부터의 송풍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송풍 범위와, 취출구를 전폐하는 전폐위치가 구별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과오로 인하여 준비없이 풍향판이 전폐위치가 되어, 취출구가 닫히고 마는 불합리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말미암아, 취출구 주변의 결로의 발생과, 소음의 증대, 운전효율의 저하를 미연에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4)

  1. 흡입구 및 취출구가 좌우에 병설된 전면(全面) 패널과, 상기 흡입구의 내측에 상기 흡입구와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실내측 열교환기와, 이 실내측 열교환기의 후측에 설치되고, 상기 흡입구에서 흡입한 공기를 전기 실내 열교환기를 거쳐서 상기 취출구에서 되돌려 보내는 송풍기와, 상기 취출구에 설치된 이 취출구에서 되 돌려지는 공기 의 토출방향을 좌우로 바꾸는 루버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이 루버는, 전기 취출구의 거의 중앙의 상하에 지지되고 풍향을 좌우로 바꿀 수 있도록 대상에 배치된 복수매의 풍향변을 가지는 본체와, 이 본체의 상기 흡입구에서 떨어진 측에 적어도 1개 이상의 추가로 형성된 풍향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2. 상기 취출구를 통상(筒狀)의 부재로 형성함과 동시에, 외주면에 흡습성의 단열재를 설치하고, 상기 취출구의 하벽에 상기 취출구의 외주에 설치된 단열재에 연결되는 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조화기.
  3. 상기 취출구에의 선단측에 풍향을 상하로 변경하는 복수의 풍향판을 설치하고, 당해 풍향판을 회전 운동 시킴으로 써, 소정의 송풍범위로 상기의 취출구의 송풍각도를 조정함과 동시에, 상기 취출구를 상기 풍향판으로 닫을 때에, 각 풍향판을 각각 합쳐서 상기 취출구를 전폐할 수 있는 크기로 규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공기조화기.
  4. 각 풍향판을 연결하여 동시에 회전 운동시키는 연결부재와이 연결부재에 돌출하여 설비된 연결 핀과, 취출구를 구성하는 벽면에 형성된 상기 연결핀이 이동이 자재하게 연결된 원호상의 홈을 구비하고, 이 홈은, 송풍 범위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핀이 연결하는 와, 전폐 위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 핀이 연결하는 홈부와, 양 홈부를 분단함과 동시에, 강제로 상기 연결 핀이 타넘을 수 있는 타넘기 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3의 공기조화기.
KR1019990042544A 1998-11-30 1999-10-04 공기 조화기 KR100563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39912 1998-11-30
JP10339912A JP2000161763A (ja) 1998-11-30 1998-11-30 空気調和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963A true KR20000034963A (ko) 2000-06-26
KR100563327B1 KR100563327B1 (ko) 2006-03-27

Family

ID=1833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544A KR100563327B1 (ko) 1998-11-30 1999-10-0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161763A (ko)
KR (1) KR100563327B1 (ko)
CN (1) CN1154809C (ko)
HK (1) HK10256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2927B2 (ja) * 2002-05-29 2006-02-0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形空気調和機
DE102009060589A1 (de) * 2009-12-23 2011-12-08 Faiveley Transport Leipzig Gmbh & Co. Kg Lamellenklappe
FR2968068B1 (fr) * 2010-11-25 2014-11-21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distribution d'air a ailettes de guidage d'air a deformations complementaires pour assurer l'etancheite
CN107498756B (zh) * 2017-08-18 2023-03-21 广州市科思未来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内饰件基材加热导风装置
JP7246911B2 (ja) * 2018-12-17 2023-03-28 シャープ株式会社 空気調和機
CN110779091B (zh) * 2019-08-28 2021-10-26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的控制方法、系统及空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3327B1 (ko) 2006-03-27
JP2000161763A (ja) 2000-06-16
CN1154809C (zh) 2004-06-23
CN1256387A (zh) 2000-06-14
HK1025624A1 (en) 200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182B1 (ko) 송풍 장치 및 공기 조화 장치
WO2012046438A1 (ja) 空気調和機
KR101718221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919071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9990070390A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KR100563327B1 (ko) 공기 조화기
WO2019171462A1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100539428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683566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블로어 유니트
KR10076619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432744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측 구조
JP2000161698A (ja) 空気調和機
JP2000161697A (ja) 空気調和機
KR19990070389A (ko) 창문형 에어콘의 팬케이싱
JP2000161708A (ja) 空気調和機
CN111936796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CN111936798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US20230204227A1 (en) Air conditioner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KR100364765B1 (ko) 공기조화기
JP2000161704A (ja) 空気調和機
KR200142344Y1 (ko) 창문형 공기 조화기
KR20180072514A (ko) 공기 조화기
KR20000001854U (ko) 창문형 에어컨의 시로코팬 정압 손실 방지장치
KR20000021347U (ko) 창문형 에어컨의 블레이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