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9428B1 - 상치형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상치형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9428B1
KR100539428B1 KR10-2003-0033972A KR20030033972A KR100539428B1 KR 100539428 B1 KR100539428 B1 KR 100539428B1 KR 20030033972 A KR20030033972 A KR 20030033972A KR 100539428 B1 KR100539428 B1 KR 100539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
air conditioner
air
blowout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117A (ko
Inventor
이마나카토시유키
이부키토시유키
나까키타마사모토
하세가와타까시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3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9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94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2Centrifugal or rad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Abstract

[과제]실내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상하 방향으로의 취출을 행할 수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마루(F)에 배치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이고, 열 교환기(2), 열 교환기(2)에 공기를 통과하기 위한 팬(3), 공기가 불어 나가는 취출부(5), 서브 플랩을 구비한다. 서브 플랩은 난방 시에 취출부(5)의 상방의 일부로부터의 취출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또는, 냉방 시에 취출부(5)의 하방의 일부로부터의 취출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Description

상치형 공기 조화기{Floor Mounted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실내의 마루에 설치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조화된 공기를 실내로 취출(吹出)하여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공기 조화기의 하나로써, 소위, 상치형 공기 조화기가 있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마루에 설치되는 타입의 공기 조화기이고, 주로 열 교환기, 팬, 취출부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팬에 의하여 열 교환기를 통과한 공기가 취출부로부터 실내로 불어 나감으로써,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한다.
상기와 같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경우, 실내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상하 방향으로의 취출을 행하는 것이 요구되어 진다. 예를 들면, 난방을 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하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난방 시의 따뜻한 공기가 실내의 하방으로 불어 나간 후에 방의 상방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방 전체에 온기가 널리 퍼져 실내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내의 냉방을 하는 경우에는, 실내의 상방으로 공기를 취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냉방 시의 차가운 공기가 실내의 상방으로 불어 나간 후에 방의 하방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방 전체에 냉기가 널리 퍼져 실내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취출을 행하기 위하여, 취출 방향을 하방이나 상방으로 바꾸는 것이 행해지는 것이 많지만, 이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어, 한층 더 실내의 온도 분포의 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실내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적합한 상하 방향으로의 취출을 할 수 있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청구항 1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실내의 마루에 설치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열 교환기, 열 교환기에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팬, 공기가 불어 나가는 취출부, 제한 수단을 구비한다. 제한 수단은 난방 시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또는, 냉방 시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한 수단은 난방 시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또는, 냉방 시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난방 시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보다 하방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불어 나간 따뜻한 공기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하방으로부터 방의 상방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를 따뜻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냉방 시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보다 상방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불어 나간 차가운 공기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상방으로부터 방의 하방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를 냉방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조화기에서는, 실내의 난방 시 또는 냉방 시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취출부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안내하는 플랩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한 수단은 플랩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닫고, 플랩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연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한 수단은 플랩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닫고, 플랩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연다. 난방 시에는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하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닫는 것에 의하여, 보다 하방으로부터의 취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냉방 시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여는 것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의 개폐를 행할 수 있어, 난방 시의 취출의 제한과 냉방 시의 취출의 제한의 해제(解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취출부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안내하는 플랩을 더 구비한다. 그리고, 제한 수단은 플랩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닫고, 플랩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연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한 수단은 플랩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닫고, 플랩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연다. 냉방 시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일부를 닫는 것에 의하여, 보다 상방으로의 취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난방 시에는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하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여는 것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의 개폐를 행할 수 있어, 냉방 시의 취출의 제한과 난방 시의 취출의 제한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2 또는 3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제한 수단은 취출이 제한되는 취출부의 일부에 설치되는 플랩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는 서브 플랩이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취출이 제한되는 취출부의 일부에 설치되는 플랩이 어느 방향을 향한 경우에 서브 플랩은 이 플랩과 다른 방향을 향한다. 이 때문에 플랩이 특정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취출부를 닫을 수 있는 각도에 서브 플랩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플랩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취출부의 상하 방향의 일부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취출구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4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서브 플랩은 플랩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플랩의 앞쪽 단부가 소정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플랩과 플랩에 인접하는 플랩과의 사이를 닫는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서브 플랩은 그 플랩의 앞쪽 단부가 소정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그 플랩과 그 플랩에 인접하는 플랩과의 사이를 닫는다. 이 때문에, 공기의 취출을 제한하는 취출구의 플랩에 이 서브 플랩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방향으로 플랩이 향한 때에 취출구의 일부를 닫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취출구의 일부를 닫을 수 있다.
청구항 6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5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서브 플랩은 플랩의 앞쪽 단부에 비하여 둔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서브 플랩은 서브 플랩의 중간 정도로부터 돌출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서브 플랩이 설치되고 있는 플랩에서는 서브 플랩이 취출구의 일부를 열고 있는 때에도 플랩에 의하여 공기의 안내를 방해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서브 플랩은 플랩의 앞쪽 단부에 비하여 둔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불어 나가는 공기는 서브 플랩과 플랩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 때문에, 서브 플랩이 취출구의 일부를 열고 있는 때에는, 안내되는 공기의 방향을 급격하게 바꾸지 않고 매끄럽게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2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플랩은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가지고, 변경 수단을 더 구비한다. 변경 수단은 플랩을 만곡시킴으로써 플랩에 의한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은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가지고, 만곡하는 것에 의하여 그 앞쪽 단부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랩에 안내되는 공기 흐름의 유입 각도에 따라서 플랩의 형상이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플랩의 표면에서 기류의 박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난류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청구항 1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취출부는 앞면의 양측 단부를 따라 설치된 상하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개구(開口)를 갖는다.
[제1 실시예]
〈구성〉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가정의 실내의 마루(F)에 설치되는 공기 조화기이고, 실내의 공기를 조화한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실외에 배치되는 실외기 (도시되지 않음)와 접속되어 있고, 실외기에 수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기나 실외 열 교환기와의 사이에 냉매 회로를 구성한다.
도 2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3은 단면도, 도 4는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상하 방향」이라고 할 때는, 도 1 및 도 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상하 방향 즉 실내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을 말하는 것이고 (실선 화살표(D2) 참조), 「좌우 방향」 혹은 「횡 방향」이라고 할 때에는, 도 1 및 도 2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 좌우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실선 화살표(D1) 참조). 또한, 두께 방향이라는 것은 도 3, 도 4 등에 표시된 실선 화살표(D3)로 나타내는 방향을 말하는 것으로 한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주로, 열 교환기(2), 팬(3), 케이싱(4), 분배 가이드(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열 교환기(2)〕
열 교환기(2)는 케이싱(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고, 케이싱(4) 내에 받아들여진 공기 간에 열 교환을 한다. 열 교환기(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상측 반 부분의 위치를 차지하고, 취출부(5)와 같은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열 교환기(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배면(40) 측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팬(3)〕
팬(3)은 케이싱(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팬(3)은 실내의 공기를 흡입부(6) (도 1 참조)로부터 케이싱(4) 내에 흡입한 후, 열 교환기(2)를 통하여, 취출부(5)로 보낸다. 팬(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정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된 시로코 (sirocco) 팬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기(2)의 하방에 설치된다. 또한, 팬(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흡입부(6)의 근방에 배치된다. 팬(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 케이싱(30)에 수용되어 있다. 팬 케이싱(30)은 팬(3)의 측면을 따라 팬(3)의 원주의 약 4분의 3을 둘러싸는 원호 모양의 측면(32)을 가지고 있고, 팬(3)의 측면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30)은 팬(3)의 측면의 좌측 반 부분과 우측의 하측 반 부분을 둘러싸고 있다. 또한, 팬 케이싱(30)에는 팬 케이싱 출구(31)가 설치되어 있다. 팬 케이싱 출구(31)는 팬(3)으로부터 상방의 열 교환기(2)로 향하여 공기가 나가는 부분이고, 팬 케이싱(30)에 둘러싸여 있지 않은 팬(3)의 우측의 상측 반 부분에 면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 출구(31)는 팬(3)의 회전 중심에서 우측 방향으로 편심하여 설치된다. 나아가, 팬(3)은 도 2에서 왼쪽으로 회전하여 열 교환기(2)로 공기를 보낸다 (도 2의 흰색 화살표(A1) 및 실선 화살표(A2) 참조).
〔케이싱(4)〕
케이싱(4)은 열 교환기(2)나 팬(3) 등을 수용하는, 상하 방향(D2)으로 길쭉한 상자 모양의 부재이다. 케이싱(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40)의 모서리(42)가 목귀질되어 있다. 케이싱(4)의 앞면(41)은 앞면 패널(43), 홈부(44), 경사면(45)을 갖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부(5), 흡입부(6), 수평 플랩부(7), 및 수직 플랩부(8)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앞면(41)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 후, 취출부(5), 흡입부(6), 수평 플랩부(7), 및 수직 플랩부(8)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면 패널(43)은 케이싱(4)의 앞면에 케이싱(4)의 상하 방향(D2)의 대략 전체에 걸쳐 설치되는 평탄한 부분이다. 또한, 앞면 패널(43)의 상부에는 표시부(46)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46)는 실내 온도, 실외 온도나 운전의 설정 등의 정보를 표시한다.
홈부(44)는 앞면 패널(43)의 측단 (側段)을 따라 설치된 상하 방향(D2)으로 길쭉한 홈이고, 앞면 패널(4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홈부(44)는 측면(440)과 곡면(44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측면(440)은 앞면 패널(43)과 연속하여 있고, 앞면 패널(43)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곡면(441)은 측면(440)과 연속하여 있고, 나아가 경사면(45)과 연속하고 있다.
경사면(45)은 홈부(44)의 측방 (側方)에 인접하여 앞면의 상하 방향(D2) 전체에 걸쳐 설치된 경사진 면이다. 경사면(45)은 앞면(41)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취출부(5)>
취출부(5)는 케이싱(4)의 앞면(41)의 상측 반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열 교환기(2)에 의해 열 교환된 공기가 불어 나간다. 취출부(5)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앞면(41)의 양측단을 따라 설치된 높이 방향(D2)으로 길쭉한 형상을 가지는 장방형의 개구(開口)이다.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경사면(45)의 상측 반 부분에 설치되어 있고, 앞면 패널(43)과 홈부(44)를 사이에 두고, 좌측으로 제1 취출구(51)가 설치되고, 우측으로 제2 취출구(52)가 설치되어 있다. 각각의 취출구(51, 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50)에 의해 상부(S1), 중부(S2) 및 하부(S3)의 세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취출부(5)를 구성하는 취출구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횡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취출구라도 좋다. 예를 들면, 상하 방향(D2)으로 2 이상의 취출구가 양 경사면(45)을 따라 배치되어도 좋고, 횡 방향(D1)으로 2 이상 인접하여 설치되는 취출구의 세트가 횡 방향(D1)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도 좋다.
<흡입부(6)>
흡입부(6)는 실내의 공기를 케이싱(4) 내로 흡입하는 부분이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의 앞면(41)의 하측 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부(6)는 제1 흡입구(61), 제2 흡입구(62), 및 측면 흡입구(66, 67)에 의하여 구성된다.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는 홈부(44)의 측면(440)에 설치된 개구이고, 좌측의 홈부(44)에 제1 흡입구(61)가, 우측의 홈부(44)에 제2 흡입구(62)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구(6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개의 개구(63, 64, 65)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가장 위에 배치되는 개구(63)는 팬(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다른 두 개의 개구(64, 65)는 팬(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흡입구(61)는 팬(3)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2 흡입구(62)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각각의 흡입구(61, 62)가 배치되는 위치는 팬(3)에 엄밀하게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각각의 흡입구(61, 62)의 일부가 팬(3)에 걸쳐지는 정도의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게다가, 각각의 흡입구(61, 62)는 팬(3)의 상하로 나누어 배치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상방향에만, 혹은 하방향에만 배치되어도 좋다.
측면 흡입구(66, 67)는 각각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측면(47)의 하방에 각각 설치되는, 도 4에 도시된 상하 방향(D2)으로 길쭉한 개구이다. 측면 흡입구(66, 67)는 두께 방향(D3)으로는 팬(3)과 앞면(41)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 4에서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좌측의 측면(47)에 설치되어 있는 측면 흡입구(66)을 도시하고 있지만, 우측의 측면(47)에 설치되는 측면 흡입구(67)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제1 흡입구, 제2 흡입구 및 측면 흡입구(66, 67)에 대향하여, 케이싱(4)의 하방을 덮는 필터(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수평 플랩부(7)>
도 5는 수평 플랩부(7)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측면도이다.
수평 플랩부(7)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랩(70), 서브 플랩(71), 플랩 구동 기구(72)에 의해 구성된다.
메인 플랩(7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의 양방의 상하 방향(D2)으로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취출구(51, 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상하 방향(D2)으로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 중부(S2), 하부(S3)에 각각 상하 방향(D2)으로 4매씩, 하나의 취출구에서 합계 12매의 메인 플랩(70)이 설치되어 있다. 메인 플랩(70)은 탄성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얇은 장방 형상을 가진다. 메인 플랩(70)은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있고, 그 배면(40) 측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메인 플랩(70)은 전체가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중앙 부분 등 메인 플랩(70)의 일부분이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메인 플랩(70)은 탄성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메인 플랩(70)을 두께가 얇은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으로 하여 탄성을 갖도록 한 것이라도 좋다.
플랩 구동 기구(72)는 메인 플랩(70)을 만곡시키는 것에 의하여 메인 플랩(70)에 의한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하는 기구이고, 복수의 메인 플랩(70)을 연결하는 링크 기구(73)과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구성된다. 링크 기구(7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메인 플랩(70)의 앞쪽 끝 부근에 고정되는 막대 모양의 부재이고, 상하 방향(D2)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하여 복수의 메인 플랩(70)의 앞쪽 끝을 일체적으로 상하로 이동시킨다. 구동 장치는 링크 기구(73)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또한, 플랩 구동 기구(72)는 메인 플랩(70)을 만곡시키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메인 플랩(70)을 횡 방향(D1)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이라도 좋다. 이 경우, 메인 플랩(70)은 만곡하지 않는 것이라도 좋고,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공기의 안내 방향을 바꿀 수 있다.
서브 플랩(71)은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에 배치된 메인 플랩(70)에 장착되고 있고, 난방 시에 취출부(5)의 상부(S1)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한다. 또한, 도 6에서는, 제2 취출구(52)에 배치된 서브 플랩(71)을 도시하고 있다.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과 대략 동일한 횡 방향의 길이를 가지는 'く'의 자형으로 꺾여진 판상 부재이고, 메인 플랩(70)의 상측에 일단(710)이 메인 플랩(70)의 중간 정도로부터 돌출하도록, 타단(711)은 메인 플랩(70)의 앞쪽 단부를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서브 플랩(71)의 일단(710)은 메인 플랩(70)에 대하여 상하 방향(D2)으로 메인 플랩(70)의 앞쪽 단부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 서브 플랩(7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플랩(70)이 플랩 구동 기구(72)에 의하여 하방으로 만곡한 경우에, 인접하는 메인 플랩(70)의 앞쪽 단부(700)로 일단(710)이 근접하는 것에 의하여, 인접하는 메인 플랩(70)과의 사이를 닫는다. 메인 플랩(70)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플랩(71)의 일단(710)이 메인 플랩(70)을 따르는 것 같은 상태가 된다. 이 경우, 서브 플랩(71)의 일단(710)은 인접하는 메인 플랩(70)과의 사이를 여는 것에 의하여,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를 연다.
또한, 서브 플랩(71)은 'く'의 자형으로 꺽여진 판상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장방형의 판상 부재를 메인 플랩(7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설치한 것, 혹은 메인 플랩(70)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라도 좋다.
<수직 플랩부(8)>
수직 플랩부(8)는 취출부(5)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횡 방향(D1)으로 안내하는 부분이고, 수직 플랩(80)과 플랩 각도 변경 기구(81)에 의하여 구성된다.
수직 플랩(8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취출구(51, 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횡 방향(D1)으로 안내한다. 수직 플랩(80)은 각각의 취출구(51, 52)와 대략 동일한 형상의 판상 부재에 의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1은 수직 플랩(80)이 각각의 취출구(51, 52)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수직 플랩(8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직 방향으로 평행한 회전축(800)을 중심으로 수평면 내에서 회동(回動)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플랩 각도 변경 기구(81)는 수직 플랩(80)의 배치 각도를 변경하는 기구이고, 플랩 모터(82)와 스위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플랩 모터(82)는 플랩을 회전시킨다. 스위치는 플랩 모터(82)에 의하여 수직 플랩(80)의 배치 각도를 바꾸어, 불어 나가는 공기의 안내 방향의 광협을 설정한다.
〔분배 가이드(9)〕
분배 가이드(9)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4)의 상측 반 부분에 설치되고,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균등하게 공기를 분배한다. 분배 가이드(9)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 교환기(2)와 앞면 패널(43)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가이드면(91)과 제2 가이드면(92)을 가지는 산 모양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제1 가이드면(91)은 제1 취출구(51)로 보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1 통풍 경로(P1)를 형성한다. 제2 가이드면(92)은 제2 취출구(52)로 보내지는 공기가 통과하는 제2 통풍 경로(P2)를 형성한다. 제1 가이드면(91)과 제2 가이드면(92)이 접합하는 정점(93)은 열 교환기(2) 측에 설치되어 있고, 도 2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상방으로 갈수록, 제2 취출구(52) 측의 횡 방향(D1)으로 경사진다. 즉, 정점(9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제1 취출구(51) 측의 횡 방향(D1)으로 경사져 있고, 제2 통풍 경로(P2)의 입구는 제1 통풍 경로(P1)의 입구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다. 분배 가이드(9)의 단부(94)는 앞면 패널(43)의 뒤측에 접착되어 있고, 제1 가이드면(91)과 제2 가이드면(92)과 앞면 패널(43)의 뒤측으로 둘러싸이는 부분은 속이 비어 있다. 또한, 분배 가이드(9)는 발포 (發泡) 폴리에틸렌 등의 단열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열재로서 그 밖에도 고무,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염화비닐 등의 발포재나 단열성의 섬유재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동작〉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특징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케이싱(4)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
우선, 케이싱(4)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팬(3)이 회전하면 실내의 공기가 제1 흡입구(61), 제2 흡입구(62) 및 측면 흡입구(66, 67) (도 1 참조)로부터 케이싱(4) 내로 취입된다. 취입된 공기는 팬(3)의 회전에 의하여, 케이싱 출구(31)로부터 팬(3)의 상방으로 보내져서 열 교환기(2)를 통과하고, 제1 취출구(51) 및 제2 취출구(52)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어진다. 이 팬(3)으로부터 상방으로 보내지는 공기는 곧게 상승하는 것이 아니라, 팬(3)의 회전 방향에 의한 영향을 받아 도 2에 있어서의 좌측으로 기울어져 상승한다 (도면 중 흰색 화살표(A1) 참조). 여기서, 제1 취출구(51)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팬(3)의 좌측 위에 위치하고 있다. 이 위치는 팬(3)으로부터 상방으로 보내지는 공기의 흐름이 팬(3)의 회전의 영향을 받아 기울어지는 측에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분배 가이드(9)가 없는 경우에는, 좌측에 배치된 제1 취출구(51)로 많은 공기가 보내지고, 제2 취출구(52)에는 제1 취출구(51)보다 적은 공기가 보내지게 된다. 분배 가이드(9)는 좌측에 많이 흐르려고 하는 공기를 제2 가이드면(92)에 의하여 오른 편으로 기울도록 안내하여 우측으로 흐르기 쉽게 한다. 즉, 분배 가이드(9)는 제1 취출구(51)의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를 제2 취출구(52)의 방향으로 안내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분배 가이드(9)는 공기가 흐르는 방향의 균형을 잡아,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로 보내지는 공기의 풍량을 대략 균등하게 한다.
〔상하 방향으로의 공기의 취출〕
다음으로, 제1 취출구(51) 및 제2 취출구(52)로부터의 상하 방향(D2)으로의 취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난방 시에 있어서는, 따뜻한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메인 플랩(70)이 플랩 구동 기구(7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혹은 수동으로 방향을 바꾸어, 도 7과 같이 하방를 향하고 있다. 이 때,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에 배치되어 있는 메인 플랩(70)에서는 서브 플랩(71)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서브 플랩(71)의 일단(710)이 메인 플랩(70)의 중간 정도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하나 위에 인접하는 메인 플랩(70)의 앞쪽 단부(700)와 근접한다. 즉, 각각의 메인 플랩(70)의 사이가 돌출하는 서브 플랩(71)에 의하여 막힌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플랩(70)이 하방을 향하고 있는 때에는,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는 닫혀지고, 공기의 취출이 제한된다. 서브 플랩(71)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중부(S2)와 하부(S3)에서는 공기의 취출은 제한되지 않고, 하방으로 향하여 공기가 불어 나간다. 따라서, 도면 중의 실선 화살표(A3)와 같이, 따뜻한 공기는 취출구의 중부(S2)와 하부(S3)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불어 나가고, 상부(S1)로부터는 불어 나가지 않고, 혹은, 극히 적은 풍량의 공기가 불어 나갈뿐이다.
냉방 시에 있어서는, 차가운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메인 플랩(70)이 플랩 구동 기구(72)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혹은 수동으로 방향을 바꾸고, 도 8과 같이 상방을 향한다. 이 때, 메인 플랩(70)은 상방으로 향하여 만곡하여 있고, 상부(S1)에서는,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을 따른 상태가 된다. 즉, 메인 플랩(70)의 앞쪽 단부(700)와 서브 플랩(71)의 돌출 부분에 의하여 형성되는 'く'의 자형의 형상이, 상방으로 향한 메인 플랩(70)의 만곡과 근사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인 플랩(70)이 상방을 향한 때에는, 각각의 메인 플랩(70)의 사이가 열린다. 즉,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가 열리고, 공기가 상방으로 향하여 불어 나간다. 그리고, 서브 플랩(71)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중부(S2)와 하부(S3)에서는 당연히 상방으로 공기가 불어 나간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A4)와 같이, 차가운 공기는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 중부(S2), 하부(S3) 모두로부터 상방으로 향하여 불어 나간다.
〔횡 방향으로의 공기의 취출〕
다음으로, 제1 취출구(51) 및 제2 취출구(52)로부터의 횡 방향(D1)으로의 취출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것처럼 열 교환기(2)에서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로부터 실내로 불어내진다.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케이싱(4)의 횡 방향(D1)으로 거리를 두고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취출구(51, 52)로부터 횡 방향(D1)으로 폭넓게 불어내진다.
또한, 공기의 취출의 좌우 방향(D1)의 각도는 미리 플랩 각도 변경 기구(81)에 의하여 설정할 수 있다. 플랩 각도 변경 기구(81)는 플랩 모터(82)에 의하여 수직 플랩(80)의 설치 각도를 절환하고, 불어 나가는 공기의 안내 방향의 광협을 절환한다. 여기서, 불어 나가는 공기의 안내 방향의 광협이라는 것은 제1 취출구(51)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방향과 제2 취출구(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방향이 이루는 각의 크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도 9(a)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실내의 모서리 부분의 벽에 대하여 45도로 배치되는 경우에는, 불어 나가는 공기의 안내 방향이 흰색 화살표(A5)와 같이 벽에 따른 각도가 되도록 수직 플랩의 각도를 설정하는 것이 좋다. 또한, 도 9(b)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방의 측면의 중앙의 벽을 따라 배치되는 경우에는, 불어 나가는 공기의 안내 방향을 방의 모서리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보다 넓게 하는 것이 좋다 (흰색 화살표(A6) 참조). 또한, 도 9(c)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방의 구석에 벽을 따라 배치되는 때에는, 불어 나가는 공기의 안내 방향을 흰색 화살표(A7)와 같이 한쪽의 벽에 맞추어 벽을 따른 각도로 하는 것이 좋다. 덧붙여 이상과 같은 수직 플랩(80)의 배치 각도의 절환(切煥)은, 플랩 각도 변경 기구(81)의 스위치의 절환에 의하여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배치되는 실내 공간의 넓이에 따라, 취출하는 횡 방향(D1)의 넓이를 최적으로 할 수 있다.
〈특징〉
〔제1 취출구(51)과 제2 취출구(52)에 관한 특징〕
(1)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열 교환기(2)에서 열 교환된 공기는 제1 취출구(51) 및 제2 취출구(52)로부터 불어 나간다.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는 앞면 패널(43)과 홈부(44)를 사이에 두고 앞면(41)의 양측 단부를 따라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15에 도시된, 중앙에 하나의 취출구(110)가 설치된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와 비교하여, 횡 방향(D1)으로 보다 폭넓게 취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불어 나간 공기를 실내로 충분히 두루 미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의 온도 분포를 개선하고, 실내의 구석구석까지 공기 조화를 할 수 있다.
상기의 효과에 대하여,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와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의하여 실내의 공기 조화를 한 경우의 실내의 온도 분포를 서모그래프(thermograph)에 의하여 표시한 비교 데이터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다. 도 10은 난방 시의 데이터이고, 도 11은 냉방 시의 데이터이다. 여기에서는, 각각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 100)는 실내의 각부 부분에 벽(W1, W2)에 대하여 45도의 각도로 배치되고, 실내의 중앙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곡선은, 같은 온도 범위에 있는 영역을 도시한 것이고, 0.7°C 간격으로 나누어져 있다.
우선, 도 10에 기초하여, 난방 시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설명한다.
도 10(a)은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 따른 온도 분포이다. 이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A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의 일방향으로 향하여 공기가 불어 나가고 있다.
실내의 마루(F) 부근의 온도 분포에 대해서는, 동일한 온도 영역의 띠모양의 영역이 공기의 취출 방향으로 교차하여 분포하고 있다. 이 중 가장 따뜻한 영역(T1)은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로부터 가장 떨어진 벽(W3)을 따라 분포하고 있고, 마루(F)의 면적의 약 20%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이 영역(T1)은 30. 7°C 이하 30. 4°C 이상의 온도이고, 도면 내에 해칭(hatching)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이 위치로부터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 측의 벽(W2)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온도가 저하되고 있다.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벽(W1, W2) 중 공기의 취출 방향에 가까운 쪽의 벽(W1)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공기의 취출에 먼 쪽의 벽(W2)에서는, 상기 가장 따뜻한 영역(T1)보다 온도가 낮은 영역(T2)이 벽(W2)의 면적을 거의 차지하고 있다. 또한, 마루(F)에서는 영역(T1)보다 온도가 낮은 영역(T3)이 그 면적의 대략 반을 차지하고 있다. 이 데이터로부터,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서는, 취출구로부터 불어 나간 난방된 공기는 공기의 취출 방향에 위치하는 벽(W3) 부근으로 치우쳐서 따뜻하게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0(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의한 온도 분포이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A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 방향(D1)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내고 있다.
우선, 마루(F) 부근의 온도 분포에 대해서는, 도 10(a)의 영역(T1)의 온도 이상의 온도의 영역(T4)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된 두 개의 벽(W1, W2)을 따라서,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반대측의 벽(W3, W4)까지 분포하고 있고, 마루(F)의 면적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다. 이 영역(T4) 내에서도,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된 두 개의 벽(W1, W2) 부근이 가장 따뜻하다. 그리고, 각각의 벽(W1, W2)으로부터 방의 중앙 부분으로 향하여 단계적으로 온도가 저하되고있다. 또한, 영역(T4)과 영역(T4)보다 한단계 낮은 온도의 영역이 마루(F)의 면적의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되어 있는 쪽의 두 개의 벽(W1, W2)의 온도 분포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고, 영역(T1)의 온도 이상의 온도의 영역(T5)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취출구로부터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된 두 개의 벽(W1, W2)의 하방을 따라,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반대측의 벽면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한, 도 10(b)에 있어서는, 도 10(a)에서의 해칭을 가한 30. 7°C 이하 30. 4°C 이상의 영역(T1)을 기준으로서 이 온도 이상의 영역에 대하여, 같은 패턴의 햇칭을 가하고 있다. 이 데이터로부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취출구로부터 불어 나간 난방된 공기가 실내를 좌우로부터 폭넓게 지반으로부터 따뜻하게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좌우 2방향의 방의 벽면으로부터 방의 중앙을 향하여, 감싸는 듯한 공기의 흐름이 실현되고 있어, 실내의 온도 분포가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냉방 시에 있어서의 온도 분포를 설명한다.
도 11(a)는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 의한 온도 분포이다. 이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서는, 난방 시와 마찬가지로, 방의 일방향으로 향하여 공기가 불어 나가고 있다.
마루(F) 부근의 온도 분포에 대해서는, 가장 온도가 낮은 영역(T6)은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서 가장 떨어진 벽(W3) 부근의 중앙에 분포하고 있다. 또한, 이 영역은, 22. 1°C 이상 22. 8°C 이하의 온도 영역이고, 마루(F) 면적의 약 10%를 차지한다. 그리고, 이 위치로부터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 측의 벽(W2)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가 배치되어 있는 벽(W1, W2) 중 공기의 취출에 가까운 쪽의 벽(W1)에 대해서는, 마루(F) 부근에서 가장 온도가 낮은 영역(T6) 이하의 온도의 영역(T7)이 천정을 따라 분포하고 있고, 마루(F)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상승하고 있다.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가 배치되어 있는 벽(W1, W2) 중 공기의 취출과 먼 쪽의 벽(W2)에서는, 상기의 마루(F) 부근에서 가장 온도가 낮은 영역(T6)보다 온도가 높은 영역(T8)이 그 면적을 대부분 차지하고 있다. 이 데이터로부터,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에서는, 취출구로부터 불어 나간 냉방된 공기는 공기의 취출 방향에 위치하는 벽의 중앙 부근으로 치우쳐서 냉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의한 온도 분포이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난방 시와 마찬가지로, 횡 방향으로 서로 다른 두 개의 방향으로 공기가 불어 나가고 있다.
우선, 마루(F) 부근의 온도 분포에 대해서는, 도 11(a)의 영역(T6)의 온도 이하의 영역(T9)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되어 있는 벽(W2)으로부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반대 측의 벽(W3)을 향하여 분포하고 있고, 마루(F) 면적의 약 75%를 차지하고 있다. 우측의 벽(W1)은 도 11(a)의 영역(T6)의 온도 이하의 영역(T10)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가까운 쪽의 가로 반 부분과 남은 반 부분의 상부에 분포하고 있다. 좌측의 벽(W2)에 관해서는, 도 11(a)의 영역(T6) 이하의 온도의 영역(T11)가 벽(W2)의 면적의 거의 전부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도 11(b)에서는, 도 11(a)에 있어서 해칭을 가한 22. 1°C 이상 22. 8°C 이하의 영역(T6)를 기준으로 하고, 이 온도 이하의 온도의 영역에 대하여, 동일한 패턴의 해칭을 가하고 있다. 이 데이터로부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취출구로부터 불어 나간 냉방된 공기는 종래형 공기 조화기(100)보다 폭넓은 범위를 냉방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냉방 시에 있어서도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0)보다 방 전체를 충분히 냉방하고 있고, 실내의 온도 분포가 개선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2)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6)가 취출부(5)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공기의 흡입에 의하여 생기는 기류가 공기의 취출과 충돌하는 일이 없고, 공기의 취출이 저해되지 않는다. 따라서, 불어 나간 공기는 보다 멀리까지 두루 미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실내 전체에 보다 충분히 공기를 두루 미치게 할 수가 있다.
(3)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로부터 좌우 방향(D1)의 벽면을 따라 공기가 불어 나간다. 즉, 거주자가 있는 방의 중앙 부근에는 직접 공기를 불어내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불어 나간 공기가 직접 거주자에 닿는 것에 의한 거주자의 불쾌감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중앙에는 직접 공기를 불어내지 않는다고 하여도, 상기의 온도 분포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벽면을 따라 불어 나간 공기는 좌우로부터 방을 감싸고, 방의 중앙 부근도 충분히 난방 혹은 냉방 할 수가 있다.
(4)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팬(3)은 흡입부(6)와 마찬가지로 케이싱(4)의 하방에 수용되어 있고, 흡입부(6)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팬(3)이 흡입부(6)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흡입부(6)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팬(3)의 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팬(3)에 소요되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5)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 배치되는 팬(3)에서는, 송풍 능력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팬(3)의 치수, 특히 지름 방향의 치수가 증대한다. 이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케이싱(4)이 대형화되고, 실내에서 장애가 될 수가 있다. 특히,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두께가 증가하면, 방의 거주 공간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돌출하여 장애가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팬(3)은 정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의 지름이 증대하여도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두께 방향(D3)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를 박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게 된다.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에 관한 특징〕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를 각각 구성하는 개구(63, 64, 6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D2)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고, 개구(63)는 측면의 팬(3)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고, 개구(64, 65)는 팬(3)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는 팬(3)에 대향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흡입구의 개구가 팬(3)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는 경우와 비교하여, 개구로부터 실내로 누설되는 팬(3)의 소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거주자가 잘못하여 개구로부터 손을 넣은 경우, 팬(3)이 회전하고 있기 때문에, 손이 말려들어 가는 등 위험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팬(3)의 바로 정면에는 개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주자가 개구에 손을 넣었다 하여도 팬(3)에 손이 말려들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또한,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에 더하여, 측면(47)에 측면 흡입구(66, 67)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그리고, 측면 흡입구(66, 67)는 측면(47)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 흡입구(66, 67)로부터 누설되는 팬의 소리는 통상 거주 공간으로 되어 있는 정면 방향에는 직접 닿기가 어렵게 되어 있다. 게다가 정면에서 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미관을 손상시킬 우려도 적다.
〔수직 플랩부(8)에 관한 특징〕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플랩 각도 변경 기구(81)에 의해 수직 플랩(80)의 배치 각도를 변경하는 것으로써, 공기가 불어 나가는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실내에 공기를 두루 미치게 하는데 최적인 방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도록 할 수 있다. 즉,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배치되는 장소에 따라, 수직 플랩(80)의 각도의 광협을 변경하고, 실내의 벽을 따라 취출을 함으로써, 상술한 온도 분포 데이터에 나타난 것과 같은 좌우로부터 방 전체를 감싸는 듯한 공기의 취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다.
〔케이싱(4)의 배면의 목귀질에 관한 특징〕
상치형 공기 조화기(1)를 실내의 모서리 부분에 방의 중앙 방향 부근으로 향하여 배치하는 경우 (도 9(a) 참조),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배면(40)과 방의 벽면과의 사이에 틈새가 생긴다. 이 틈새가 커지면 상치형 공기 조화기(1)가 실내의 거주 공간으로 돌출하여, 거주 공간을 좁혀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실내의 모서리에 배치하는 경우에 실내의 벽면과 접촉하는 배면(40)의 모서리(42)가 목귀질 되어 있어, 실내의 모서리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을 배치할 수가 있어 상기의 틈새를 작게 할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는 실내의 모서리 부분에 수납되어 잘 배치할 수 있다. 또, 이러한 효과로부터 거주자에게 제품의 두께를 한층 더 얇게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분배 가이드(9)에 관한 특징〕
(1)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분배 가이드(9)가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균등하게 공기를 분배한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풍량을 균등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불어 나가는 공기의 풍량의 치우침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실내에서 좌우로 보다 균일한 온도 분포를 실현할 수 있고, 거주자에게 있어서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덧붙여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가 횡 방향(D1)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배 가이드(9)에 의한 풍량의 균일화의 효과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 특히 효과적이다.
(2)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분배 가이드(9)는 단열성의 재료로 형성되고, 열 교환기(2)와 앞면 패널(43)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분배 가이드(9)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외부와 내부의 사이에서의 열의 출입을 저감할 수 있고, 단열재를 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전용의 단열재를 생략할 수 있어 부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수평 플랩부(7)에 관한 특징〕
(1)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서브 플랩(71)은 난방 시에 있어서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한다. 이 때문에,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보다 낮은 위치로부터의 공기의 취출량이 증대하여, 방의 마루(F)에 가까운 위치가 잘 따뜻해 진다. 이것은, 상술한 도 10(b)에 있어서의 벽면의 온도 분포로부터도 분명하다. 그리고, 불어 나간 따뜻한 공기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하방으로부터 방의 상방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방의 낮은 위치로부터 높은 위치까지의 넓은 범위를 따뜻하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실내의 난방 시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하방의 팬(3)으로부터 상방의 취출구로 공기가 보내지기 때문에, 케이싱(4)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상향이다. 이 때문에, 취출구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는 상방을 향하여 불어 나가기 쉽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방에의 취출을 제한하는 수평 플랩의 효과는 보다 높다고 할 수 있다.
(2)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이 하방으로 만곡한 경우에 그 메인 플랩(70)과 그 메인 플랩(70)에 인접하는 메인 플랩(70)과의 사이를 닫는다. 이 때문에, 공기의 취출을 제한하고자 하는 취출구의 메인 플랩(70)에 이 서브 플랩(71)을 설치함으로써, 취출을 제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별도로, 취출 제한용의 제어 기구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메인 플랩(70)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취출구의 일부를 닫을 수 있다. 그리고,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의 앞쪽 단부에 대하여 둔각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 플랩(70)이 상방향으로 만곡하고 서브 플랩(71)이 취출구의 일부를 열고 있는 때에는,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의 만곡에 매끄럽게 따른 상태가 된다(도 8 참조). 이 때문에,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에 안내되는 공기를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3) 본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난방 시에 하향으로 온풍이 불어 나가는 경우에는, 서브 플랩(71)이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를 닫고 있다. 따라서, 온풍은 낮은 위치로부터 불어 나가므로, 온풍이 직접 거주자에게 닿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통풍에 의한 거주자의 불쾌감이 저감된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서브 플랩(71)은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의 메인 플랩(70)에 설치되어 있고, 메인 플랩(70)이 하방으로 만곡한 경우에, 인접하는 메인 플랩(70)과의 사이를 닫는다. 그러나, 서브 플랩(71)을 각각의 취출구(51, 52)의 하부(S3)의 메인 플랩(70)에 설치하여, 메인 플랩(70)이 상방으로 만곡한 경우에 인접하는 메인 플랩(70)과의 사이를 닫도록 해도 좋다. 냉방 시에 있어서는, 차가운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도록 하기 위하여, 메인 플랩(70)을 상방으로 향한다. 이 메인 플랩(7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서브 플랩(71)이 인접하는 메인 플랩(70)과의 사이를 닫는다. 이것에 의하여, 냉방 시에는 각각의 취출구(51, 52)의 하부(S3)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할 수 있고, 높은 위치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냉방 시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 분포를 보다 개선할 수가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서브 플랩(71)은 메인 플랩(70)의 하측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여, 메인 플랩(70)이 하방으로 만곡한 경우에, 서브 플랩(71)이 메인 플랩(70)의 만곡을 따른 상태가 되어, 하방으로부터의 취출을 방해할 우려가 적게 된다.
또한, 각각의 취출구(51, 52)의 상부(S1)와 하부(S3)의 양방의 메인 플랩(70)에 서브 플랩(71)을 설치해도 좋다. 이것에 의해, 냉방 시와 난방 시의 양방에 있어서, 실내의 온도 분포를 보다 개선할 수가 있다.
[제3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팬(3)은 정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한대 배치되어 있지만, 도 12에 도시된 상치형 공기 조화기(101)와 같이, 두 대의 시로코 팬(33)을 하방의 제1 흡입구(61)와 제2 흡입구(62)의 근방에 횡 방향(D1)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즉 케이싱(4)의 측면(47)에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각각 배치해도 좋다.
팬은, 송풍 능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회전의 지름이 증대되는 경우가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1)에서는, 측면(47)으로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는 시로코 팬(33)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의 지름이 증대하여도 상치형 공기 조화기(101)의 횡 방향(D1)의 치수의 증대는 근소하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1)에서는, 횡 방향(D1)으로 복수의 시로코 팬(33)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복수의 시로코 팬(33)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하나의 시로코 팬(33) 당 요구되는 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측면(47)에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기 위하여, 시로코 팬(33)에 의하여 보내지는 공기의 흐름이 좌우 방향(D1)으로 치우치는 것이 적다. 이 때문에,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풍량을 용이하게 균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의 분배 가이드(9)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제4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각각의 흡입구(61, 62)는 각각의 취출구(51, 52)의 하방에 각각 설치되어 있지만, 흡입구를 케이싱(4)의 상측 반 부분에 설치하고, 흡입구와 각각의 취출구(51, 52)를 동일한 높이에 배치하여도 좋다. 이하, 본 실시예에서 제7 실시예까지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 103, 104, 105)에서는, 흡입구는 각각의 취출구(51, 52)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는,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41)에는 제1 흡입구(61a)와 제2 흡입구(62a)가 설치되고 있고, 제1 크로스 플로우 팬(34a), 제2 크로스 플로우 팬(34b), 열 교환기(20)를 갖춘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같다.
제1 흡입구(61a)는 높이 방향(D2)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개구이고, 제1 취출구(51)의 우측에 제1 취출구(51)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흡입구(62a)는 제1 흡입구(61a)와 동일한 형상이고, 제2 취출구(52)의 좌측에 제2 취출구(52)를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1 흡입구(61a)와 제2 흡입구(62a) 사이에는 앞면 패널(43)이 위치하고 있다.
제1 크로스 플로우 팬(34a)은 제1 취출구(51)과 제1 흡입구(61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D2)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2 크로스 플로우 팬(34b)은 제2 취출구(52)와 제2 흡입구(62a)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높이 방향(D2)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열 교환기(20)는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높이 방향(D2)으로 긴 부재이고, 케이싱(4)의 상측 반 부분에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20)는 제1 크로스 플로우 팬(34a)과 제2 크로스 플로우 팬(34b)의 사이에 V자의 정점(21)을 배면측(40)으로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에서는, 각각의 흡입구(61a, 62a), 열 교환기(20), 각각의 취출구(51, 52)가 상부에 모여 수용되어 있고, 흡입으로부터 취출까지 공기가 이동하는 거리가 짧게 되어있다. 이 때문에, 각각의 크로스 플로우 팬(34a, 34b)에 필요한 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플로우 팬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로코 팬이나 터보 팬 등을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팬을 구동하는 모터의 능력도 저감하기 때문에 모터에 소요되는 비용이 낮다. 또한, 팬에 소요되는 비용도 낮다.
나아가,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에 각각 1대씩 팬(34a, 34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의 취출구에서, 풍량의 치우침이 적다. 또한,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 때문에, 보다 쾌적한 온도 분포를 실현하는 공기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제5 실시예]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3)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41)에는 제1 흡입구(61b)와 제2 흡입구(62b)가 설치되어 있고, 한 대의 터보 팬(35)과 열 교환기(22)를 갖는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같다.
제1 흡입구(61b)와 제2 흡입구(62b)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의 흡입구(61a, 62a)와 같다.
터보 팬(35)은 케이싱(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취출구(51, 52)와 각각의 흡입구(61b, 62b)의 근방에 위치한다. 터보 팬(35)은 정면에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22)는 장방형의 판상 부재이고, 케이싱(4)의 상측 반 부분에 터보 팬(35)과 앞면 패널(43)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3)에서는, 정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는 터보 팬(35)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두께 방향(D3)의 치수의 증대를 억제 함과 동시에 충분한 정압 (靜壓)을 얻을 수 있다.
[제6 실시예]
제6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4)는, 도 1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41)에는 제1 흡입구(61c)와 제2 흡입구(62c)가 설치되어 있고, 3대의 시로코 팬(36)과 열 교환기(23)를 갖는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와 같다.
제1 흡입구(61c)와 제2 흡입구(62c)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의 흡입구(61a, 62a)와 같다.
3대의 시로코 팬(36)은 케이싱(4) 내의 상방에 높이 방향(D2)으로 3대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시로코 팬(36)은 높이 방향(D2)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열 교환기(23)는 시로코 팬(36)의 측방을 둘러싸도록, 좌우 각각 1대씩, 합계 2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4)에서는, 시로코 팬(36)을 3대 갖추고 있기 때문에, 하나의 시로코 팬(36)당 필요한 능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시로코 팬(36)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시로코 팬(36)은 높이 방향(D2)으로 나란히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4)에서는, 횡 방향(D1) 및 두께 방향(D3)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제7 실시예]
제7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5)는,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면(41)에는 제1 흡입구(61d)와 제2 흡입구(62d)가 설치되어 있고, 1대의 크로스 플로우 팬(37)과 열 교환기(24)를 갖는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과 같다.
제1 흡입구(61d)와 제2 흡입구(62d)에 대해서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의 흡입구(61a, 62a)와 같다.
크로스 플로우 팬(37)은 케이싱(4) 내의 상방에 제1 취출구(51)의 근방으로부터 제2 취출구(52)의 근방에 걸쳐 설치된다. 크로스 플로우 팬(37)은 높이 방향(D2)으로 긴 원통 형상을 가지고 있고, 높이 방향(D2)으로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열 교환기(24)는 V자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높이 방향(D2)으로 긴 부재이고, 케이싱(4) 내의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열 교환기(24)는 크로스 플로우 팬(37)을 둘러싸도록, V자의 정점(25)을 케이싱(4)의 앞면(41) 측에 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5)에서는, 하나의 크로스 플로우 팬(37)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터보 팬이나 시로코 팬을 구비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팬을 구동하는 모터의 능력을 저감할 수 있고, 모터에 소요되는 비용이 저감한다.
[제8 실시예]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에서는, 팬(3)은 정면과 평행한 면내에서 회전하도록 1대 배치되어 있지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대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을 케이싱(4)의 상방에 설치된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의 근방에 설치해도 좋다. 2대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의 배치나 열 교환기(20)의 형상에 대한 자세한 것은,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2)와 같다.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6)에서는, 2대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이 각각의 취출구(51, 52)의 근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으로부터 각각의 취출구(51, 52)로 보내지는 공기의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있다. 팬의 회전 방향에 의하여 팬으로부터 보내지는 공기의 흐름에 치우침이 생기는 경우, 팬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공기의 흐름의 치우침이 커지는 수가 있다. 그러나,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106)에서는,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으로부터 각각의 취출구(51, 52)로 보내지는 공기의 이동 거리가 짧아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취출구(51, 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흐름의 치우침이 작아지고 있다.
나아가, 각각의 취출구(51, 52)에 각각 1대씩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좌우 방향(D1)으로의 공기의 흐름의 치우침은 작다. 또한, 각각의 취출구(51, 52)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의 풍량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것도 용이하다. 이 때문에, 보다 쾌적한 온도 분포를 실현할 수가 있는 공기의 취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흡입구(61, 62)와 각각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과의 거리가 멀어지기 때문에, 각각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의 공기를 흡입하는 힘이 부족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흡입구(61, 62)의 근방에 실내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방으로 보내는 보조 팬을 설치하는 것이 좋다. 이것에 의하면, 공기를 흡입하는 힘의 부족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공기를 흡입하는 힘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각각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에 의해 각각의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싱(4)의 상방에 설치된 제1 취출구(51)와 제2 취출구(52)의 근방에 설치되는 팬 및 열 교환기는, 크로스 플로우 팬(38a, 38b) 및 열 교환기(20)에 한정하지 않고, 도 13(b)에 도시되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3)의 터보 팬(35) 및 열 교환기(22), 도 13(c)에 도시된 제6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4)의 시로코 팬(36) 및 열 교환기(23), 도 13(d)에 도시되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105)의 크로스 플로우 팬(37) 및 열 교환기(24)라 하더라도 좋다.
청구항 1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한 수단은 난방 시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또는, 냉방 시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한다. 이 때문에,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난방 시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보다 하방으로부터 공기를 취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불어 나간 따뜻한 공기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하방으로부터 방의 상방으로 상승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를 따뜻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냉방 시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로부터의 취출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보다 상방으로부터 공기를 취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불어 나간 차가운 공기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상방으로부터 방의 하방으로 하강하기 때문에 보다 넓은 범위를 냉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조화기에서는, 실내의 난방 시 또는 냉방 시의 온도 분포를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한 수단은 플랩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닫고, 플랩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연다. 난방 시에는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하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닫는 것에 의하여, 보다 하방으로부터의 취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냉방 시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를 여는 것에 의하여, 상방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취출부의 상방의 일부의 개폐를 행할 수 있어, 난방 시의 취출의 제한과 냉방 시의 취출의 제한의 해제(解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제한 수단은 플랩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닫고, 플랩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연다. 냉방 시에는 공기를 상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상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일부를 닫는 것에 의하여, 보다 상방으로의 취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난방 시에는 공기를 하방으로 불어내기 위하여 플랩을 하방으로 향하게 한 것이 많지만,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는, 이 경우에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를 여는 것에 의하여 하방으로부터의 공기의 취출을 저해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취출부의 하방의 일부의 개폐를 행할 수 있어, 냉방 시의 취출의 제한과 난방 시의 취출의 제한의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취출이 제한되는 취출부의 일부에 설치되는 플랩이 있는 방향을 향한 경우에 서브 플랩이 이 플랩과 다른 방향을 향한다. 이 때문에 플랩이 특정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취출부를 닫는 것 같은 각도에 서브 플랩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플랩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취출부의 상하 방향의 일부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을 이용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취출구의 일부를 개폐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서브 플랩은 그 플랩의 앞쪽 단부가 소정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그 플랩과 그 플랩에 인접하는 플랩과의 사이를 닫는다. 이 때문에, 공기의 취출을 제한하는 취출구의 플랩에 이 서브 플랩을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 방향으로 플랩이 향한 때에 취출구의 일부를 닫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의 움직임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간이한 구성으로 취출구의 일부를 닫을 수 있다.
청구항 6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서브 플랩은 플랩의 앞쪽 단부에 비하여 둔각이 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불어 나가는 공기는 서브 플랩과 플랩에 의하여 안내된다. 이 때문에, 서브 플랩이 취출구의 일부를 열고 있는 때에는, 안내되는 공기의 방향을 급격하게 바꾸는 일 없이 매끄럽게 공기를 안내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의 기재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서는, 플랩은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가지고, 만곡하는 것에 의하여 그 앞쪽 단부의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플랩에 안내되는 공기 흐름의 유입 각도에 따라서 플랩의 형상이나 각도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가 있다. 이것에 의하여, 플랩의 표면에서 기류의 박리가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난류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외관 정면도.
도 2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수평 플랩부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수평 플랩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하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는 경우의 서브 플랩의 상태를 도시한 것.
도 8은 상향으로 공기를 불어내는 경우의 서브 플랩의 상태를 도시한 것.
도 9(a)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배치 패턴을 도시한 것.
도 9(b)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배치 패턴을 도시한 것.
도 9(c)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의 배치 패턴을 도시한 것.
도 10(a)는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의한 난방 시의 실내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것.
도 10(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의한 난방 시의 실내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것.
도 11(a)는 종래형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의한 냉방 시의 실내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것.
도 11(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의한 냉방 시의 실내의 온도 분포를 도시한 것.
도 12는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도 13(a)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도 13(b)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도 13(c)는 제6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도 13(d)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도 14는 제8 실시예에 따른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도 15는 종래의 상치형 공기 조화기를 도시한 것.
[부호의 설명]
1               상치형 공기 조화기
2               열 교환기
3               팬
5               취출부
41               앞면
70 메인 플랩(플랩)
71               서브 플랩(제한 수단)
72               플랩 구동 기구(변경 수단)
D2               상하 방향, 높이 방향
F               마루

Claims (8)

  1. 실내의 마루(F)에 배치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에 있어서,
    열 교환기(2),
    상기 열 교환기(2)에 공기를 통하게 하기 위한 팬(3),
    상기 공기가 불어 나가는 취출부(5),
    난방 시에 상기 취출부(5)의 상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하거나, 또는, 냉방 시에 상기 취출부(5)의 하방의 일부로부터 취출하는 것을 다른 부분에 비하여 제한하는 제한 수단(71)
    을 구비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D2)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취출부(5)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안내하는 플랩(flap, 7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한 수단(71)은 상기 플랩(70)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상기 취출부(5)의 상방의 일부를 닫고, 상기 플랩(70)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상기 취출부(5)의 상방의 일부를 여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하 방향(D2)으로 복수 개 설치되어 상기 취출부(5)로부터 불어 나가는 공기를 안내하는 플랩(7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한 수단(71)은 상기 플랩(70)이 상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상기 취출부(5)의 하방의 일부를 닫고, 상기 플랩(70)이 하방으로 향한 경우에는 상기 취출부(5)의 하방의 일부를 여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 수단(71)은 취출이 제한되는 상기 취출부(5)의 일부에 설치되는 상기 플랩(70)에 대하여 상하 방향(D2)으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설치되는 서브 플랩(71)인
    상치형 공기 조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랩(71)은 상기 플랩(70)의 중간부로부터 일부가 돌출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랩(70)의 앞쪽 단부가 소정 방향으로 향한 경우에 상기 플랩(70)과 상기 플랩(70)에 인접하는 플랩(70)과의 사이를 닫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플랩(71)은 상기 플랩(70)의 앞쪽 단부에 비하여 둔각이 되도록 설치되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랩(70)은 적어도 일부에 탄성을 가지고,
    상기 플랩(70)을 만곡시킴으로써 상기 플랩(70)에 의한 상기 공기의 안내 방향을 변경하는 변경 수단(72)을 더 갖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부(5)는 앞면(41)의 양측 단부를 따라 설치된 상하 방향(D2)으로 긴 형상을 가지는 개구(開口)를 갖는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2003-0033972A 2002-05-29 2003-05-28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1005394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155581A JP3742927B2 (ja) 2002-05-29 2002-05-29 床置き形空気調和機
JPJP-P-2002-00155581 2002-05-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117A KR20030093117A (ko) 2003-12-06
KR100539428B1 true KR100539428B1 (ko) 2005-12-27

Family

ID=2977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972A KR100539428B1 (ko) 2002-05-29 2003-05-28 상치형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742927B2 (ko)
KR (1) KR100539428B1 (ko)
CN (1) CN2788064Y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9104A (zh) * 2015-09-29 2018-06-08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64B1 (ko) * 2004-02-03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3840577B2 (ja) * 2004-08-25 2006-11-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床置き型空気調和機
KR100858162B1 (ko) * 2004-08-25 2008-09-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상치형 공기 조화기
JP2006214603A (ja) * 2005-02-01 2006-08-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KR100837659B1 (ko) * 2006-02-09 2008-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744458B1 (ko) * 2006-02-09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2008151477A (ja) * 2006-12-20 2008-07-03 Daikin Ind Ltd 床置型空気調和機
CN101922761A (zh) * 2010-08-30 2010-12-22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立式空调室内机及空调装置
CN108954794B (zh) * 2018-08-31 2023-11-10 四川长虹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贯流风扇换热组件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10254A (ja) * 1988-06-08 1989-12-14 Fujita Corp ダクトにおける冷温風吹出調整装置
JPH0271027A (ja) * 1988-04-22 1990-03-09 Hitachi Ltd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JPH06288606A (ja) * 1993-04-02 1994-10-18 Toshiba Corp 高分子ゲル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流体制御装置
JP2000161763A (ja) * 1998-11-30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00013088U (ko) * 1998-12-23 2000-07-15 전주범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00056582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20020033877A (ko) * 2000-10-30 2002-05-08 황한규 에어콘의 에어 흡입 및 토출구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8869U (ko) * 1974-05-27 1975-12-10
JPS5653336A (en) * 1979-10-05 1981-05-12 Matsushita Refrig Co Air conditioner
JPS6366735U (ko) * 1986-10-22 1988-05-06
JPS6454168A (en) * 1987-04-14 1989-03-01 Mitsubishi Electric Corp Wind deflector of air conditioner
JPH07117066B2 (ja) * 1987-12-26 1995-12-18 日本電装株式会社 横流ファン装置
JPH0736810Y2 (ja) * 1988-08-08 1995-08-23 豊田合成株式会社 空調用グリル
JPH02120652U (ko) * 1989-03-09 1990-09-28
JPH1062005A (ja) * 1996-08-20 1998-03-06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1027A (ja) * 1988-04-22 1990-03-09 Hitachi Ltd 空気調和機及び空気調和方法
JPH01310254A (ja) * 1988-06-08 1989-12-14 Fujita Corp ダクトにおける冷温風吹出調整装置
JPH06288606A (ja) * 1993-04-02 1994-10-18 Toshiba Corp 高分子ゲル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た流体制御装置
JP2000161763A (ja) * 1998-11-30 2000-06-16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00013088U (ko) * 1998-12-23 2000-07-15 전주범 분리형 에어컨의 실내기
KR20000056582A (ko) * 1999-02-24 2000-09-15 구자홍 공기 조화기의 흡토출구 개폐 장치
KR20020033877A (ko) * 2000-10-30 2002-05-08 황한규 에어콘의 에어 흡입 및 토출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39104A (zh) * 2015-09-29 2018-06-08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CN108139104B (zh) * 2015-09-29 2019-01-22 大金工业株式会社 空调装置的室内机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742927B2 (ja) 2006-02-08
CN2788064Y (zh) 2006-06-14
KR20030093117A (ko) 2003-12-06
JP2003343874A (ja)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068050B (zh) 用于柜式空调器的导风装置和柜式空调器
KR100539428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CN111919071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US20070130980A1 (en) Air Conditioner
JP2005315537A (ja) 空気調和機
EP1795819A1 (en) Air conditioner
JP4354673B2 (ja) 床置き形空気調和機
WO2019229879A1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JP2003343871A (ja) 床置き形空気調和機
KR100606528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20190052388A (ko) 공기조화기
JP3279490B2 (ja) 天井カセット形空気調和装置
CN115218278B (zh) 导风组件及空调器
KR100517598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KR20190052387A (ko) 공기조화기
KR10076619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20000034963A (ko) 공기 조화기
KR100825617B1 (ko) 상치형 공기 조화기
KR20190027270A (ko) 공기조화기
CN111936796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JP2001349573A (ja) 空気調和装置
CN111936798B (zh) 顶棚嵌入式空调机
KR100517625B1 (ko) 액자형 공기조화기 및 그에 따른 운전방법
KR102454072B1 (ko) 공기조화기
KR102451314B1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