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6570B1 -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 Google Patents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6570B1
KR101536570B1 KR1020140071192A KR20140071192A KR101536570B1 KR 101536570 B1 KR101536570 B1 KR 101536570B1 KR 1020140071192 A KR1020140071192 A KR 1020140071192A KR 20140071192 A KR20140071192 A KR 20140071192A KR 101536570 B1 KR101536570 B1 KR 101536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ape
tape
guide
supply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복
Original Assignee
하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복 filed Critical 하재복
Priority to KR102014007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6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6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6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6Surface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시 단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인 공정진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제1캐리어 테이프의 인덱스홀에 삽입되는 스프로킷돌기가 돌설되되 기설정된 피치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휠이 구비되어 상면을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는 배출레일부;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2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레일부; 상기 공급레일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 테두리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측부에 배치되되, 접착테이프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접착테이프가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안착부; 및 상기 승강안착부의 상면에 돌출된 힌지연결부에 힌지 연결되되, 측단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시 회전되어 상기 승강안착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회전가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splicing apparatus for carrier tape}
본 발명은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시 단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인 공정진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표면실장기(surface mounting device, SMD)는 크고 작은 여러 종류의 전자 부품이 내장된 캐리어 테이프를 통해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장치이다.
이때,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일면을 따라 전자부품이 내장되는 홀더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에 삽입된 전자부품의 오염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테이프가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는 긴 띠 형상으로 폭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덱스홀이 형성되며, 공급릴에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에는 접점 전극들이 형성되고, 크림 솔더를 도포한 다음 이 위에 칩 등의 전자부품이 실장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실장기에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테이프 피더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테이프 피더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공급릴로부터 풀어내며 일측으로 밀어줌에 따라 칩마운터측으로 상기 전자부품을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된 전자부품은 상기 칩마운터에 흡착되어 설정된 위치의 전극으로 이동되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덱스홀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를 상기 공급릴로부터 일정한 피치로 풀어내기 위한 것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캐리어 테이프의 규격에 따라 폭방향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릴에 권취된 캐리어 테이프가 모두 풀려나가 소진되면, 새로운 공급릴로 교체해야 한다. 이때, 전자부품의 공급이 중단되므로 상기 칩마운터의 작동을 포함한 인쇄회로기판 제조공정 전체 또는 일부분이 중단되어야 한다.
여기서, 제조공정이 다시 시작되기 위해서는 전자부품을 계속 공급하도록 소진된 공급릴에서 풀려나간 캐리어 테이프의 끝단을 새로운 공급릴에서 풀려나온 캐리어 테이프의 선단을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작업이 각 캐리어 테이프의 단부가 연결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각각의 위치를 정렬하여 고정하기 위해 상기 인덱스홀에 삽입되어 걸리는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된 캐리어 테이프를 상하로 가압하는 가압바를 구비한 공구를 사용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즉, 소진된 공급릴에서 풀려나온 캐리어 테이프의 끝단을 상기 홀더 내부의 전자부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상기 인덱스홀을 기준으로 절삭하여, 상기 고정돌기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새로운 공급릴의 캐리어 테이프의 선단을 절단된 상기 캐리어 테이프의 끝단과 정렬하여 고정시킨 후 각 단부가 연결되도록 연결테이프를 덮어주고 상기 가압바에 연결된 손잡이를 상하로 눌러 상기 연결테이프를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밀착시켜 접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공급릴의 교환 및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작업은 숙련된 작업자라 할지라도 단시간 내에 수행하기 힘들었으며, 전자부품의 크기와 비례하여 캐리어 테이프도 소형화되는 추세이므로 작업의 난이도가 점차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표면실장기가 고속화됨에 따라 생산현장에서 하루 수백 번 이상의 공급릴 교체작업이 이루어지는데 공급릴의 교체 및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을 위해 수시로 작업자가 공급릴의 소진을 확인하고 공급릴 교체 및 캐리어 테이프를 연결하는 작업을 수행해야했을 뿐만 아니라, 공급릴의 교체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빈번하게 생산공정이 중단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6-0109566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부품을 공급하는 캐리어 테이프의 교체시 단부를 연결하여 연속적인 공정진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생산성이 향상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캐리어 테이프의 인덱스홀에 삽입되는 스프로킷돌기가 돌설되되 기설정된 피치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휠이 구비되어 상면을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는 배출레일부;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2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레일부; 상기 공급레일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 테두리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측부에 배치되되, 접착테이프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접착테이프가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안착부; 및 상기 승강안착부의 상면에 돌출된 힌지연결부에 힌지 연결되되, 측단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시 회전되어 상기 승강안착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회전가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회전가압부의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힌지축의 상하방향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된 승강가이드홈과 상기 힌지축의 상하방향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홈의 단부에 라운드지게 연결된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급레일부는 제1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되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상부레일부와, 상기 상부레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가 배치되는 하부레일부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부를 따라 공급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의 첨단을 상승시켜 상기 배출레일부로 이송되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의 종단 높이와 일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되되,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대상단부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정렬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레일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의 상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의 연결된 단부를 가압하도록 외주가 상기 배출레일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압착롤러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승강안착부의 상부에 회전가압부가 힌지 연결되되, 회전가압부의 양측에 돌설된 가이드돌기가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의 가이드홈에 의해 가이드됨에 따라 승강안착부의 승강과 함께 회전가압부가 회전되어 승강안착부의 상면을 가압하므로 승강안착부에 안착된 접착테이프가 각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대상단부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둘째, 상기 공급레일부는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어 정상상태 작업시 상부레일부를 따라 제1캐리어 테이프가 공급되는 중에도 하부레일부에 제2캐리어 테이프를 배치하여 연결작업을 준비할 수 있어 공정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며, 제1캐리어 테이프 소진시 승강안착부의 상승과 동시에 접착테이프가 제2캐리어 테이프 및 제1캐리어 테이프에 가압 접착되므로 연결작업 자동화를 위한 기반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상기 승강정렬부는 각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대상단부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됨에 따라 연결통로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각 연결대상단부 높이를 일치시키므로 승강안착부의 상승에 따른 연결작업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공급레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구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공급레일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예시도이다.
여기서, 도 4a 내지 도 4c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의 구동을 승강정렬부의 상승, 승강안착부의 상승, 회전가압부의 승강 및 회전 모습을 특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4d는 제1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가 접착테이프에 의해 연결된 후 승강안착부가 하강한 상태를 상측방향에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는 배출레일부(20), 공급레일부(30), 가이드부(90), 승강안착부(40), 그리고 회전가압부(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는 캐리어 테이프가 권취된 공급릴과 테이프 피더(미도시) 사이에 구비되며, 공급릴에 권취된 캐리어 테이프가 소진되면 기존 캐리어 테이프의 종단에 새 캐리어 테이프 첨단을 연결해 주는 장치이다.
그리고, 상기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는 배출레일부(20), 공급레일부(30), 가이드부(90), 승강안착부(40), 회전가압부(50)를 지지하는 베이스프레임(5) 및 각종 부품이 설치된 베이스프레임(5)의 외부를 커버하는 커버케이스(6)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기존의 표면실장기에서 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는 레일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레일부(20)는 기설정된 피치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휠(22)이 구비되어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를 이송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로킷휠(22)의 외주에는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인덱스홀(1a)에 삽입되는 스프로킷돌기(24)가 돌설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로킷휠(22)은 상기 스프로킷돌기(24)가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상면 일측에 형성된 관통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배출레일부(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에는 일면을 따라 전자부품(미도시)이 내장되는 홀더(1b)가 구비되며 상기 홀더(1b)에 삽입된 전자부품의 오염 및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테이프(1c)가 접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는 긴 띠 형상으로 구비되되, 폭방향 가장자리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덱스홀(1a)이 형성되며, 제1공급릴(3)에 권취되어 보관 및 운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로킷휠(22)은 스탭모터(23)에 연결되어 전자부품이 내장된 홀더(1b)의 간격에 따라 기설정된 피치각도로 회전될 수 있으며, 1회 회전시 하나의 홀더 간격만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를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테이프 피더측으로 공급된 제1캐리어 테이프(1)는 커버테이프(1c)가 분리된 후 상기 홀더(1b)에 내장된 전자부품이 칩마운터(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고, 상기 전자부품이 회로기판에 설치되면 다음 홀더간격만큼 이송되어 연속적인 전자부품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레일부(30)는 제1캐리어 테이프(1)의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2캐리어 테이프(2)를 공급한다. 여기서,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제2캐리어 테이프(2)는 동일한 규격의 캐리어 테이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제1캐리어 테이프(1)는 이미 사용중인 캐리어 테이프를, 제2캐리어 테이프(2)는 새로 공급되는 캐리어 테이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는 제1공급릴(3) 및 제2공급릴(4)에 권취되어 사용되며, 상기 제1공급릴(3) 및 상기 제2공급릴(4)은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좌측에 구비된 공급릴지지프레임(1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는 일측으로 당기져 상기 각 공급릴로부터 풀릴 수 있으며,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는 상기 스프로킷휠(22)의 회전에 따라 공급레일부(30) 및 배출레일부(20)를 거쳐 테이프 피더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는 수작업이나 별도의 공급동력원을 통해 당겨져 그의 첨단이 상기 공급레일부(30)를 거쳐 연결통로(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가 소진되면 상기 연결통로(21)에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과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와 연결된 후 상기 스프로킷휠(2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배출레일부(20)를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좌측에는 공급릴지지프레임(10)이 배치되며,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우측에는 연결통로(21) 및 배출레일부(20)가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좌측과 우측은 도시된 바를 중심으로 설명한 것이며, 설계형태에 따라 방향은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90)는 상기 공급레일부(30) 및 상기 배출레일부(2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21) 테두리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의 가이드홈(91)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통로(21)는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우측단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좌측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연결통로(21)의 테두리는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우측단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좌측단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90)는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우측단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좌측단부 중 어느 일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상호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90)는 상기 연결통로(21)의 테두리에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90)의 외측면은 상기 연결통로(21)의 테두리에 결합되고, 내측면에는 가이드홈(91)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부(90)가 상기 연결통로(21)의 테두리 양측에 형성된 경우에 상호 대향 배치된 각 가이드홈(91)은 연결통로(21)의 좌우방향 중심을 기준으로 면대칭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91)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부가 상기 가이드부(90)로부터 상기 캐리어 테이프(1,2)측으로 휘어져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부(90)는 상기 연결통로(21)에 배치된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홈(91)의 상부는 후방측으로 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3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안착부(40)는 상기 가이드부(90)의 측부에 배치되되, 접착테이프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접착테이프(7)가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안착부(40)는 상기 가이드부(90)가 공급레일부(30)의 우측단부에 구비된 경우에 상기 가이드부(90)의 우측, 상기 가이드부(90)가 배출레일부(20)의 좌측단부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가이드부(90)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90)가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우측단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좌측단부에 모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각 가이드부(90)의 사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전방부는 상기 가이드부(90)의 측부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부는 상기 가이드부(90)의 후방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부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부에는 접착면이 상측을 향하도록 상기 접착테이프(7)가 안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승시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부가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접착테이프(7)가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는 하나의 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 및 다른 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연속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승에 의한 접착테이프(7)의 접착으로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테이프 공급수단은 접착테이프(7)를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면으로 공급하는 수단을 의미하며, 상기 접착테이프를 기설정된 길이로 잘라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면으로 자동으로 공급하는 테이프공급장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수작업에 의해 접착테이프(7)를 직접 공급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안착부(40)에는 안착된 접착테이프(7)의 유동을 방지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수단의 고정력은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접착력에 비해 낮게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테이프(7)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1,2)에 접착되면 고정력과 접착력의 차이로 인해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하강시 상기 접착테이프(7)가 상기 승강안착부(4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하부에는 제1승강수단(44)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승강수단(44)은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승강수단(4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안착부(40)가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승강 범위는 상기 공급레일부(30)로부터 상기 연결통로(21)측으로 이송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하부로부터 상기 연결통로(21)를 지나 상기 배출레일부(20)로 이송되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높이까지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통로(21)에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 및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이 상호 연속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안착부(40)가 상승하면,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접착테이프(7)가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 및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하면에 접착되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회전가압부(50)는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전방부 상면에 돌출된 힌지연결부(42)에 힌지 연결되되, 측단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51)가 상기 가이드홈(91)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시 회전되어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부 상면을 선택적으로 가압한다.
여기서, 상기 힌지연결부(42)는 상기 가이드부(90)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홈(91)과 대면되는 상기 회전가압부(50)의 단부에는 가이드돌기(51)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가압부(50)는 상기 승강안착부(40)와 힌지연결되어 상기 승강안착부(40)와 함께 승강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가압부(50)의 승강시 상기 가이드돌기(51)는 상기 가이드홈(91)의 내부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가압부(50)가 승강하며 상기 가이드돌기(51)가 상기 가이드홈(91)의 상부에 도달하면, 라운드진 형상을 따라 상기 가이드돌기(51)가 후방으로 안내되어 상기 회전가압부(50)가 후방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부(50)는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상측을 가압할 수 있으며,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면 및 상기 접착테이프(7)는 상기 회전가압부(50) 및 상기 승강안착부(40) 사이에서 가압되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테이프(7)는 내부에 절취선(7a)이 형성되되, 상기 절취선(7a)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절곡된 부분의 하부는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부 상면에 안착되고, 상기 절곡된 부분의 상부는 상기 회전가압부(50)의 후방면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승시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절곡된 부분의 하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면에 접착되고, 상기 회전가압부(50)의 회전시 상기 접착테이프(7)가 절취선(7a)을 따라 접혀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절곡된 부분의 상부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1,2)의 상면에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절취선(7a) 상부는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상면에 접착된 커버테이프(1c,2c)를 연결하고, 하부는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면을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된 각 캐리어 테이프(1,2)는 상기 스프로킷휠(22)에 의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레일부(20)를 따라 이송되어 상기 테이프 피더(미도시)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캐리어 테이프(1,2)의 홀더(1b,2b)에 수용된 전자부품을 취출하기 위해 커버테이프(1c,2c)를 분리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절취선 상부가 상기 커버테이프(1c,2c)를 연결함에 따라 상기 커버테이프(1c,2c)가 끊어지지 않고 연속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커버테이프(1c,2c)의 분리시 상기 접착테이프(7)는 절취선을 따라 분리되어 상부는 커버테이프(1c,2c)와 함께 제거되고 하부는 상기 캐리어 테이프(1,2)의 하면을 연결하도록 남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과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커버테이프(1c,2c) 분리시에도 연결되어 연속적인 전자부품의 공급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회전가압부(50)에는 상기 승강안착부(40)와 동일하게 상기 접착테이프(7)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돌기(51)는 상기 회전가압부(50)의 힌지축(43)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홈(91)은 상기 힌지축(43)의 상하방향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된 승강가이드홈(91b)과 상기 힌지축(43)의 상하방향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홈(91b)의 단부에 라운드지게 연결된 회전가이드홈(91a)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압부(50)의 하단부는 힌지축(43)에 의해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힌지연결부(42)에 힌지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1)는 힌지축(43)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가이드홈(91a)은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우측단부로부터 상기 연결통로(21)로 공급된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 및 상기 연결통로(21)를 지나 상기 배출레일부(20)로 이송되는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승강안착부(40)가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하부로부터 상승되면, 상기 가이드돌기(51)는 상기 승강가이드홈(91b)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힌지축(43)의 이동경로 상측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부(50)가 상하방향으로 세워져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부(50)의 후면에 안착된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절취선 상부가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 및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하면에 걸리지 않고 상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안착부(40)가 계속 상승하여 상기 가이드돌기(51)가 상기 회전가이드홈(91a)에 도달하면, 상기 가이드돌기(51)가 상기 힌지축(43)의 이동경로로부터 후방으로 이탈함에 따라 상기 회전가압부(50)가 후방측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가이드돌기(51) 및 상기 가이드홈(91)은 별도의 회전동력 없이도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하이동을 동력원으로 상기 회전가압부(50)를 회전시킬 수 있으며 복잡한 회전제어 없이도 상기 가이드홈(91)의 형상에서 따라 상기 회전가압부(50)가 정확한 위치에 회전될 수 있으므로 구조의 간소화를 통해 컴팩트하면서도 정밀성이 향상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레일부(30)는 상기 제1공급릴(3)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가 이송되되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상부레일부(31)와, 상기 상부레일부(31)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공급릴(4)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배치되는 하부레일부(3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공급릴지지프레임(10)은 상기 제1공급릴(3) 및 상기 제2공급릴(4)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공급릴(3)은 상기 제2공급릴(4)의 상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레일부(31)의 상면은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상면과 연속되는 높이범위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상부레일부(31)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는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스프로킷휠(22)의 회전력에 의해 당겨져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레일부(31)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개폐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레일부(31)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개방하면 상기 하부레일부(32)가 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상기 제2공급릴(4)로부터 풀어,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상기 연결통로(21)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레일부(32)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통로(21) 및 상기 공급릴지지프레임(10) 사이를 연결하는 공급레일부(30)가 상하 다단으로 구비되므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상하로 분리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잔여량과 무관하게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를 연결통로(21)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잔여량을 수시로 확인하여 소진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준비하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가 원하는 시간에 제2캐리어 테이프(2)을 배치하여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연결작업을 세팅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도 6을 참조하면, 표면실장기에는 내장된 전자부품별로 다양한 캐리어 테이프가 설치된다. 이때, 전자부품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각 캐리어 테이프의 소진시간과 무관하게 일괄적으로 연결작업을 준비할 수 있으므로 작업 효율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소진시 상기 승강안착부(40)를 승강시키기만 하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에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 지연을 최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소진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1)를 구비하여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소진시 상기 승강안착부(40)가 상승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캐리어 테이프 연결작업의 자동화를 위한 기반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레일부(31)가 상하로 회전되어 개폐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를 통한 실장 공정이 진행되는 도중에도 손쉽게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하부레일부(32)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공정의 지연시간을 최소화하여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연결된 후에는 상기 제1공급릴(3)을 상기 공급릴지지프레임(10)으로부터 분리하고, 상기 제2공급릴(4)를 상기 제1공급릴(3)의 자리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레일부(31)를 상측으로 회전시켜 개방하여, 하부레일부(32)에 배치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상부레일부(3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릴지지프레임(10)에서 상기 제2공급릴(4)이 분리된 자리에는 새로운 공급릴을 결합하고, 새로운 공급릴에 감긴 캐리어 테이프를 풀어 상기 하부레일부(32)에 배치함으로써 차번 연결작업을 준비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레일부(32)를 따라 공급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을 상승시켜 상기 배출레일부(20)로 이송되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 높이와 일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되되,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연결대상단부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정렬부(60)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상부레일부(31)는 상기 배출레일부(20)와 동일한 높이 범위를 따라 형성되되, 정상공정 상태에서 상기 제1공급릴(3)로부터 인출된 제1캐리어 테이프(1)는 상기 상부레일부(31), 상기 연결통로(21) 및 상기 배출레일부(20)를 거쳐 테이프 피더측으로 이송될 수 있으며, 홀더 내부의 전자부품을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레일부(32)에는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배치되며,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에 연결되기 위해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상기 연결통로(2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정렬부(60)는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연결대상단부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대상단부라는 말은 상호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 및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정렬부(60)의 하부에는 제2승강수단(6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승강수단(62)은 유압 실린더나 모터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승강수단(62)은 상기 제1승강수단(44)과 독립적으로 구동되어 상기 승강정렬부(6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가 소진되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이 상기 연결통로(21)에 배치되면, 상기 승강정렬부(60)는 제2승강수단(62)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을 상승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정렬부(6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인덱스홀(1a,2a)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정렬돌기(61)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정렬돌기(61)는 상기 인덱스홀(1a,2a)의 간격에 대응하여 복수개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후방부 테두리를 따라 인덱스홀(1a,2a)이 형성되며, 전방부에는 전자부품이 수용되는 홀더(1b,2b)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를 커버하도록 전방부 상면을 따라 커버테이프(1c,2c)가 접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전방부는 상기 승강안착부(40)의 후방부 상면에 배치되고, 후방부는 상기 승강정렬부(60)의 상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정렬부(60)는 하강된 상태의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레일부(32)를 통해 상기 연결통로(21)로 공급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하면은 상기 승강정렬부(60)에 의해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면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 사이에 접착테이프(7)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정렬부(60)의 좌측에 돌설된 정렬돌기(61)는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인덱스홀(2a)에 삽입되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과 연결될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 위치를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승강정렬부(60)가 상승하면 좌측의 정렬돌기가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인덱스홀(2a)에 삽입되어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구속한 상태에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상승시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 높이와 일치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정렬부(60) 우측의 정렬돌기가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인덱스홀(1a)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의 높이 일치되고, 연결대상단부의 위치가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안착부(40)가 상승하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접착테이프(7)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승강정렬부(60)는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연결대상단부 하부에 배치되어 승강됨에 따라 연결통로(21)에 상하로 이격되어 배치된 연결대상단부 높이를 일치시키며, 단부가 겹쳐지지 않도록 정렬시키므로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상승에 따른 접착테이프(7)의 접착이 보다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급레일부(30) 및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상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덮개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7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에 연결되어 상기 공급레일부(30) 및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70)에는 감지센서(71)와 압착롤러(7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센서(71)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71)는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상부레일부(31) 입구측에 대향되는 지점 및 상기 상부레일부(31)의 출구측에 대향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전자부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71)의 감지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안착부(40)의 승강을 위한 제1승강수단(44) 및 상기 승강정렬부(60)의 승강을 위한 제2승강수단(6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휠(22)의 회전을 위한 스탭모터(23)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70)의 하부에는 상기 감지센서(71)의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상부레일부(31)를 따라 이송되는 제1캐리어 테이프(1)를 절삭하도록 제어되는 절삭장치(8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부에는 여유부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여유부는 전자부품이 수납되지 않고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가 공급릴(3)에 권취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급릴(3)의 롤에 부착되는 부분으로, 제1캐리어 테이프(1)에서 전자부품이 수납되지 않은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레일부(30)의 입구측에 구비된 상기 감지센서(71)는 상기 상부레일부(31)를 따라 이송되는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전자부품을 감지하여, 일정한 피치간격 이상에서도 전자부품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로 감지신호를 송출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수신된 감지신호에 대응하여 절삭장치(80)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를 절삭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장치(8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5)에 연결되되 단부에 절삭날(81)이 구비되며, 상기 절삭날(81)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 높이에서 진퇴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를 절삭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프로킷휠(22)의 회전량에 따른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이송량을 산출하여,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절삭된 종단이 상기 연결통로(21)에 배치되면 상기 제2승강수단(6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이 기배치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과 연속되도록 상기 스프로킷휠(22)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스프로킷휠(22)의 제어를 통해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 및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이 연속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승강수단(62)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승강정렬부(60)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승강수단(62)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승강정렬부(60)가 상승하여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종단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첨단이 정렬되면, 상기 제1승강수단(44)을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안착부(40)가 상승하여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가 연결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안착부(40) 및 상기 승강정렬부(60)가 하강하도록 상기 제1승강수단(44) 및 상기 제2승강수단(62)를 제어하여,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가압을 해제함과 함께 상기 정렬돌기(61)에 의한 구속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프로킷휠(22)의 회전시켜 상호 연결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를 상기 배출레일부(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연결통로(21) 내에 제2캐리어 테이프(2)가 배치된 상태로 정상상태의 공정이 진행될 수 있으며, 제1캐리어 테이프(1)의 소진시 승강안착부(40) 및 승강정렬부(60)가 승강과 동시에 각 캐리어 테이프(1,2)의 단부가 정렬되어 연결되므로 테이프 연결을 위한 공정지연이 최소화되고, 표면실장기를 통한 전자부품 실장 공정의 생산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각 승강수단(44,62)의 구동을 통한 상기 승강안착부(40) 및 상기 승강정렬부(60)의 승강은 상기 캐리어 테이프(1,2)를 홀더 간격만큼 이송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로킷휠(22)이 피치각도만큼 회전되고 정지되는 사이 간격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착롤러(72)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의 연결된 단부를 가압하도록 외주가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착롤러(72)는 외주를 따라 실리콘이나 고무 등 탄성적인 소재로 구비된 압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1)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2)는 상기 배출레일부(20)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며 상기 압착롤러(72) 및 상기 배출레일부(20)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테이프(7)의 접착이 한층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는 표면실장기의 공급부(200)에 병렬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의 하부에는 카드형 단자가 구비되어 상기 공급부(20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급부(200)는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100)에 스탭모터(23)나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 공급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의 구동을 위한 공압이나 음압을 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1: 제1캐리어 테이프
2: 제2캐리어 테이프 3: 제1공급릴
4: 제2공급릴 5: 베이스프레임
6: 커버케이스 7: 접착테이프
7a: 절취선 10: 공급릴지지프레임
20: 배출레일부 21: 연결통로
22: 스프로킷휠 23: 스탭모터
24: 스프로킷돌기 30: 공급레일부
31: 상부레일부 32: 하부레일부
40: 승강안착부 42: 힌지연결부
43: 힌지축 44: 제1승강수단
50: 회전가압부 51: 가이드돌기
60: 승강정렬부 61: 정렬돌기
62: 제2승강수단 70: 덮개부
71: 감지센서 72: 압착롤러
80: 절단부 81: 커터
90: 가이드부 91: 가이드홈
91a: 회전가이드홈 91b: 승강가이드홈

Claims (5)

  1. 제1캐리어 테이프의 인덱스홀에 삽입되는 스프로킷돌기가 돌설되되 기설정된 피치각도로 회전되는 스프로킷휠이 구비되어 상면을 따라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는 배출레일부;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의 단부에 연결되기 위한 제2캐리어 테이프를 공급하는 공급레일부;
    상기 공급레일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 테두리에 배치되되, 내측면에 상부가 라운드진 형상의 가이드홈이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의 측부에 배치되되, 접착테이프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된 접착테이프가 안착되어 선택적으로 승강되는 승강안착부; 및
    상기 승강안착부의 상면에 돌출된 힌지연결부에 힌지 연결되되, 측단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됨에 따라 승강시 회전되어 상기 승강안착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는 회전가압부를 포함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회전가압부의 힌지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되,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힌지축의 상하방향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된 승강가이드홈과 상기 힌지축의 상하방향 이동경로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승강가이드홈의 단부에 라운드지게 연결된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레일부는 제1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가 이송되되 일측이 힌지 연결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상부레일부와, 상기 상부레일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제2공급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가 배치되는 하부레일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레일부를 따라 공급된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의 첨단을 상승시켜 상기 배출레일부로 이송되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의 종단 높이와 일치되도록 선택적으로 승강되되, 상기 각 캐리어 테이프의 연결대상단부 하부에 배치되는 승강정렬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레일부 및 상기 배출레일부의 상측에는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덮개부가 구비되되,
    상기 덮개부에는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에 적재된 전자부품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상기 제1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제2캐리어 테이프의 연결된 단부를 가압하도록 외주가 상기 배출레일부의 상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압착롤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KR1020140071192A 2014-06-12 2014-06-12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KR101536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92A KR101536570B1 (ko) 2014-06-12 2014-06-12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192A KR101536570B1 (ko) 2014-06-12 2014-06-12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6570B1 true KR101536570B1 (ko) 2015-07-14

Family

ID=53793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192A KR101536570B1 (ko) 2014-06-12 2014-06-12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65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429A (zh) * 2016-10-20 2019-06-04 株式会社富士 拼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9399A (ja) * 1988-06-08 1989-12-13 Sony Corp 部品供給テープの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H06179412A (ja) * 1992-12-10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ピング電子部品の接続装置
JP2011233600A (ja) * 2010-04-23 2011-11-17 Panasonic Corp 治具、貼着方法
JP2013201208A (ja) * 2012-03-23 2013-10-03 Panasonic Corp キャリアテープスプライシング装置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スプライシ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09399A (ja) * 1988-06-08 1989-12-13 Sony Corp 部品供給テープの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H06179412A (ja) * 1992-12-10 1994-06-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ーピング電子部品の接続装置
JP2011233600A (ja) * 2010-04-23 2011-11-17 Panasonic Corp 治具、貼着方法
JP2013201208A (ja) * 2012-03-23 2013-10-03 Panasonic Corp キャリアテープスプライシング装置およびキャリアテープスプライシング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45429A (zh) * 2016-10-20 2019-06-04 株式会社富士 拼接装置
CN109845429B (zh) * 2016-10-20 2020-11-03 株式会社富士 拼接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11562B (zh) 供料器装置
JP5877891B2 (ja) テープ自動セット装置
JP5781686B2 (ja) 作業ヘッド、および、トップテープ剥離装置
CN105501589B (zh) 贴标机器人、贴标机及贴标机的贴标方法
CN104249906B (zh) 吸取机构及采用该吸取机构的贴合装置
EP2938177B1 (en) Automatic tape processing apparatus and automatic tape setting apparatus
CN100591196C (zh) Acf粘贴装置及平板显示器装置
KR101531389B1 (ko) 필름 공급 및 부착 장치, 이를 구비한 반도체 칩 패키지 제조 장치, 및 반도체 칩 패키지 제조 방법
KR102316831B1 (ko) 연속 필름 공급장치
CN107150906A (zh) 工件分离系统及工件分离方法
US9623991B2 (en) Automatic packing machine
KR101933298B1 (ko) 접착필름용 접착시트 부착장치
KR101823926B1 (ko) 캐리어 테이프의 자동 공급 장치
KR101395368B1 (ko)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공급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성인쇄회로기판용 테이프 자동 부착장치
KR101536570B1 (ko) 캐리어 테이프용 스플라이싱 장치
JPH04243757A (ja) チップ部品連の自動接続装置
CN216610104U (zh) 耳机充电盒自动贴泡沫设备
JP2009167007A (ja) 粘着テープ供給ユニット
CN110620006A (zh) 一种绕线设备
KR101690581B1 (ko) 부품 공급 유닛
CN106852111B (zh) 暴露元件的元件供给装置及相应的装配系统和装配方法
KR101566927B1 (ko) 부품실장기의 컨베이어장치
CN211518565U (zh) 供料系统及具有其的成型机
CN211895394U (zh) 料带分装机、料带分装机系统
JP2006264906A (ja) テープ貼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