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64B1 -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64B1
KR101534564B1 KR1020140088909A KR20140088909A KR101534564B1 KR 101534564 B1 KR101534564 B1 KR 101534564B1 KR 1020140088909 A KR1020140088909 A KR 1020140088909A KR 20140088909 A KR20140088909 A KR 20140088909A KR 101534564 B1 KR101534564 B1 KR 101534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integrated
video
contro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8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삼식
Original Assignee
(주)신화유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화유디텍 filed Critical (주)신화유디텍
Priority to KR1020140088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에 설치되며, 화면에 선택 가능한 옵션 항목을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현장에서 사용자가 방송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와;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중 특정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 및 다수의 오디오 기기와 연결되어 선택된 오디오를 원격 명령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는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운영컴퓨터와; 상기 운영 컴퓨터와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는 전체 방송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며,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에는 화재수신반의 화재신호가 비상패널, EM 스위치를 통하여 RS-485통신방식이나, 접점신호로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에 신호를 주어 비상방송이 가능하며, 상기 운영 컴퓨터은 스피커 수신부과 인터넷 프토토콜로 통신되며,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 수신부의 각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전파하며, 스피커 수신부는 음성 증폭기를 내장하는 광통합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multimedia Unity Control System}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 믹서나 오디오방송 시스템 등과 같은 장비를 현장에서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직접제어 가능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통합방송장치는 오디오 프로세서; 시스템 통합 메인 콘트롤러; 디지털 파워앰프; Zone 컨트롤러(셀렉터)로 구분되어 있어, 장치가 복잡하고, 설치 공간이 많이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종래의 송수신장치로서 각종의 멀티미디어방송장치가 제안되고 있는데, 예컨대 특허문헌 1(특허공개번호 특2000-0061422호(2000.10.16)에 있어서 구내통합망장치가 있다.
이 구내통합망 장치를 도시된 블록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이는 집단 주거지를 위한 구내 통합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컴퓨터, 음성안내방송장치, 영상모니터, 방송수신장치, 구내교환기 등의 관리실 설비들과 스피커, 전화기, TV수상기, 홈컴퓨터, 홈오토메이션, 유틸리티 등의 개별주거용 댁내설비들 사이의 신호 및 데이터 교환을 수행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실 설비들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대한 변조 및 채널 할당 기능을 수행하는 정합장치; 상기 정합장치에 일단이 연결되고 메인분배반에서 전송선로를 거쳐 복수의 구내분배반으로 분기되는 전송수단; 그리고 상기 구내분배반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댁내 설비들을 위한 입출력 신호를 처리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공지기술의 특허문헌 1에 의하면, 구내 통합망 장치는 각각 독립적으로 설치되는 방송, 통신 및 각종 자동화 관련 시설물을 통합하여 시스템의 중복을 방지하고 작동의 효율성을 높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특허공개번호 특1998-0072072호(1998.10.26)에 있어서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장치를 설명하면, 학교 방송 장치는 크게 제어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방송실에 설치되는 제어 컴퓨터와 송신모듈 및 각 교실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신모듈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모듈과 각각의 수신모듈은 동축 케이블로 접속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 제어 컴퓨터인 멀티미디어 컴퓨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송신모듈은 각 교실에 설치된 특정 텔레비젼 또는 파워앰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코드와 방송할 오디오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모듈로 송출하는데, 다중방송을 위해 송신모듈의 신호 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는 RF 신호로 변조된 후, 혼합되어 동축 케이블을 통해 수신모듈로 송출된다.
한편, 수신모듈은 동축 케이블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한 후, 복원된 제어코드가 자신의 설정코드와 일치하면 해당 제어명령에 따라 텔레비젼 또는 파워앰프를 구동하여 수신된 오디오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며, 또한 텔레비젼과 파워앰프 및 방재용 적외선 열감지 센서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모듈로 송출한다.
특허문헌 2에 의하면, 방송실에서 교실까지 설치된 동축 케이블을 통해 파워앰프와 텔레비젼과 같은 부하장치를 원격 제어하고, 영상, 음성 및 문자정보를 구동된 부하장치로 송출하여 방송하며, 상기 동축 케이블을 통해 원격지에서 부하장치의 구동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를 제공하는 기술 등이 공지되어 있다.
US6,526,575 B1 KR 10-087174 B1 KR 10-2003-0076943 A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방송 시스템에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불편함을 해소하면서 더욱 편리하게 사용자의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가 하는 과제는, 오디오 믹서나 오디오방송 시스템 등과 같은 장비를 현장에서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사용자가 직접 통합 제어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터치 패널을 이용하고, 각 항목별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화면에 구현해 놓음으로써, 사용자가 조작에 편리함을 도모해주기 위한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방송 시스템에 대한 제어 시 우선권을 현장에 부여하여 현장의 직접 제어가 최우선적으로 제어 권한을 갖도록 하여, 제어에 편리함을 도모하도록 한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은, 현장에 설치되며, 화면에 선택 가능한 옵션 항목을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현장에서 사용자가 방송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와;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중 특정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 및 다수의 오디오 기기와 연결되어 선택된 오디오를 원격 명령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는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에서 출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오디오 컨트롤러에 오디오 선택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전달되는 오디오의 출력을 제어하는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은,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와 상기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상호 연결하여 양방향 통신을 구현해주는 데이터 인터페이스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은, 상기 오디오 컨트롤러와 원격 제어기와 다수의 스피커 컨트롤러 및 상기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채널별로 분배해주는 데이터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는, 사용자가 화면에 펼쳐진 파노라마 형태의 메뉴를 직접 접촉하여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는,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옵션 항목,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 항목, 멀티미디어 제어를 위한 제어 항목, 전원 제어를 위한 항목이 파노라마 형태의 메뉴로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디오 믹서나 오디오방송 시스템 등과 같은 장비를 현장에서 사용자가 편리하게 실시간으로 직접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로 터치 패널을 이용하고, 각 항목별 조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뉴를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화면에 구현해 놓음으로써, 사용자에게 조작의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멀티미디어 통합 방송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1의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도 1의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의 상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의 구성도로서,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 데이터 인터페이스기(200),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 데이터분배기(400),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은, 부가적으로 서브 모니터(710), 비상 패널(720),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730), 카세트 플레이어(740), 튜너(750), 디지털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810), 카메라(820), 노트북(830) 및 엔코더(840), 원격 제어기(910), 스피커 컨트롤러(920), 증폭기(9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는 현장에 설치되며, 화면에 선택 가능한 옵션 항목을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현장에서 사용자가 화면상에서 방송 시스템을 직접 제어라는 제어명령을 입력받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한다.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는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즉, 디지털비디오 디스크 플레이어(800, 도시하지않음)/카메라(820)/노트북(830)에서 출력된 음성 및 영상 파일을 엔코딩하는 엔코더(840)의 출력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중 특정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는 상기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입력모듈(610), 상기 오디오/비디오 입력모듈(610)을 통해 입력된 오디오/비디오 소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모듈(620), 상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모듈(620)로부터 선택된 오디오/비디오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출력모듈(630)과 운영컴퓨터를(700) 포함한다.
상기 운영컴퓨터(700)와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는 전체 방송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며,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는 화재수신반(780, 도시하지않음)의 화재신호가 비상패널(720), EM 스위치(770, 도시하지않음)를 통하여 RS-485통신방식이나, 접점신호로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 신호를 주어 비상방송이 가능하며, 상기 운영컴퓨터(700)는 스피커 수신부(940)과 인터넷 프토토콜로 통신되며,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 수신부(940)의 각 스피커(900)를 통해 음성으로 전파하며, 스피커 수신부(940)는 음성 증폭기를 내장하는 광통합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포함한다.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는 사용자의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 및 다수의 오디오 기기(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730), 카세트 플레이어(740), 튜너(75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오디오 레벨을 조정한 후 채널을 통해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사용자 명령은 오디오방송 제어 시스템(300)을 통해 제공받게 되며, 이러한 오디오방송 제어 시스템(300)는 상기 다수의 오디오 기기(730, 740, 75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및 상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를 입력받기 위한 오디오 입력모듈(510)과, 상기 오디오 입력모듈(510)에서 입력된 오디오 중 하나를 선택하고 오디오 레벨을 조정한 후 출력하는 오디오 제어모듈(520), 상기 오디오 제어모듈(520)을 통해 레벨이 조정된 오디오를 특정 채널로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모듈(530)을 포함한다.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은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에서 출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 오디오 선택 명령을 전달하고, 상기 선택 명령에 따라 전달되는 오디오의 출력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은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를 원격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은 제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메인 컨트롤 디스플레이(310)와 오디오 출력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하는 메인 컨트롤러(320)로구성된다.
여기서 메인 컨트롤러(320)는 오디오 제어를 전반적으로 담당하기 위해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듈, 음원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음원 구동 제어모듈,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를 통해 오디오 믹서를 제어하기 위한 오디오 믹서 제어모듈, 오디오의 입력 및 출력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입출력 볼륨 조정 모듈, 스피커 컨트롤러를 위한 스피커 컨트롤러 제어모듈, PC 음원 방송 출력을 위한 PC 음원 방송 출력모듈, 시보 방송 출력을 위한 시보 방송 출력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는 비디오 매트릭스(540, 도시하지않음), 비디오 스트리머, 자막편집기(550, 도시하지않음)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통합 비디오 컨트롤러가 연결되며, 이는 HD TV 방송, 유무선 TV 방송, CD 플레이어, ENG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받아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비디오 매트릭스(540, 도시하지않음)를 통해서 특정 채널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 비디오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에 문자, 비트맵, 도형 등의 오버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데이터 인터페이스기(200)는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와 상기 오디오 방송 제어시스템(300) 간의 데이터를 상호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데이터 연결 기능에 의해 양방향 통신이 구현된다.
데이터 분배기(400)는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제어기와 원격 제어기(910)와 다수의 스피커 컨트롤러(920) 및 상기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 간의 데이터를 채널별로 적절하게 분배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 분배기능을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을 통해 수행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특정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명령과 오디오 레벨 조정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선택 제어명령은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 전달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오디오/비디오기기의 오디오를 출력하도록 하며, 오디오 레벨 조정 명령은 상기 스피커 컨트롤러(920)로 전달하여 증폭기(930)를 통해 오디오가 적정한 레벨로 증폭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방송 시스템을 원격지에서 통합적으로 제어하기위해서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를 통해 제어 명령을 입력하게 된다.
여기서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는 현장에 설치되는데, 소정 크기(예를 들어, 10)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며, 사용자가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제어명령을 입력함과 아울러 조작의 편의성을 위해 각 옵션 항목을 포함한 메뉴를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 디스플레이 해준다.
따라서 기존에는 하나의 제어 창을 열고 그 하위 메뉴를 탐색하는 제어 방법을 이용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파노라마 형태로 조작을 위한 메뉴가 디스플레이 되므로, 편리하게 현장에서 방송 시스템을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파노라마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는 메뉴는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옵션 항목,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 항목, 멀티미디어제어를 위한 제어 항목, 전원 제어를 위한 항목을 포함한다.
이렇게 제어명령 입력을 위한 탐색메뉴를 파노라마 형태로 만들고, 화면에 펼쳐 놓게 되면 사용자는 일목요연하게 전체 탐색메뉴를 한눈에 인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존과 같이 제어명령을 위한 상위메뉴부터 하위메뉴까지 탐색을 하면서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에 비해 매우 편리해지게 된다.
또한, 기존과 같은 메뉴입력 방법은 하나의 메뉴를 선택한 후 하부메뉴까지
전부 설정을 하면 현재 화면을 빠져나간 후 다시 다른 상위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이므로 조작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시간도 많이 소요되어, 실시간 제어라는 측면에서 불합리하다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과 같이 옵션 항목을 포함하는 하위 메뉴까지를 파노라마 형태로 화면에 펼쳐놓게 되면 사용자는 원하는 메뉴에 대한 제어 명령을 한 번의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화면 전환을 수행하지 않고서도 현재 화면에서 다른 제어명령을 한 번의 조작으로 입력할 수 있으므로, 조작의 편의성이 있음은 물론 신속한 제어 명령 입력이 가능하므로, 실시간 제어 명령의 입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한편,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선택과 그 선택된 오디오/비디오 기기의 오디오 레벨 등이 선택된 경우, 해당 제어 명령은 데이터 인터페이스기(200)를 통해 오디오 방송 제어시스템(300)에 전달된다.
여기서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300)은 메인 컨트롤 디스플레이(310)또는 원격 제어기(91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 및 스피커 컨트롤러 등을 제어하는 도중에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기(200)를 통해 제어 명령이 입력되면, 이것을 최우선으로 선택하고 제어 명령을 해당 기기로 전달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제어하는 것에 우선권을 부여해주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은 내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방송 우선순위에 따라, 시보 방송, 타이머, 원격제어기(리모트), BGM 순으로 방송을 수행하게 된다.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은(300)은 컴퓨터 주 제어부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체로서 후술하는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의 일 구성요소인 오디오 믹서를 원격지에서 제어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300)은 사용자 조작에 따라 음원 발생장치(CD플레이어, 카세트 플레이어 등),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 및 스피커 컨트롤러(920)를 제어한다. 상기 음원 발생장치,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와 스피커 컨트롤러를 제어하기 위해 오디오방송 제어 시스템(300)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는 데이터 분배기(400)를 통해 각각에 인가된다.
상술한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30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모리(324)에 기록되어 주 제어부(32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의 집합체이다.
이러한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300)은 기본적으로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321a), 음원 구동 제어모듈(321b), 오디오 믹서 제어모듈(321c), 입출력 볼륨 조정모듈(321d)을 포함하여, 더 나아가 스피커 컨트롤러 제어모듈(321e), PC 음원 방송 출력모듈(321f) 및 시보 방송 출력모듈(321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 모듈(321a)은 시스템 구동 명령 입력 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표시하여 주고 그 화면에서 선택 가능한 옵션항목을 통해 각종 명령을 입력받아 후술하는 제어모듈들로 건네준다.
음원 구동 제어모듈(321b)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옵션항목을 통해 선택되는 음원 발생장치(CD/TAPE 플레이어, MIC 등)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는 데이터 분배기(400)를 통해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로 인가됨으로써 선택된 음원 발생장치의 구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오디오 믹서 제어모듈(321c)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옵션항목을 통해 선택되는 채널별 출력포트에 따라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 내의 오디오 믹서의 채널별 출력포트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역시 데이터 분배기(400)를 통해 오디오 컨트롤러(500)로 전달되어 결과적으로는 오디오 믹서로 입력된 채널별 오디오 신호의 출력포트를 선택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입출력 볼륨 제어모듈(321d)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의 옵션항목을 통해 조정되는 채널별 입출력볼륨 조정명령에 따라 상기 오디오 믹서로 입력되는 채널별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조정하거나 그 믹서의 출력 오디오 신호 볼륨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역시 데이터 분배기(400)를 통해 통합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로 전달되어 볼륨조정이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상기 오디오방송 제어 시스템(300)은 스피커 컨트롤러 제어모듈(321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컨트롤러 제어모듈(321e)은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되는 옵션항목을 통해 선택되는 장소에 따라 상기 오디오 믹서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지정 장소로 선택 송출하는 스피커 컨트롤러(92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역시 데이터 분배기(400)를 통해 스피커 컨트롤러(92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방송 제어 시스템(300)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된 옵션항목을 통해 선택 가능한 PC 음원 파일을 액세스하여 상기 오디오 믹서로 직접 출력하기 위한 PC 음원 방송 출력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상에 표시되는 옵션항목을 통해 선택 가능한 시보 방송 파일을 액세스하여 상기 오디오 믹서로 직접 출력하기 위한 시보 방송 출력모듈(321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영상 소스(카메라, TV, DVD, 노트북 등)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전달경로를 선택하는데 필요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옵션항목이 함께 표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을 통해 시스템 운영자는 우선적으로 CD, TAPE와 같은 음원을 선택할 수 있다.
만약 운영자가 옵션항목을 통해 CD1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면 음원 구동 제어모듈(321b)은 그에 응답하여 CD1 플레이어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CD1 플레이어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믹서로 입력된다.
오디오 믹서로 입력되는 채널별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실시 예로든 CD1의 입력볼륨을 조정하기 위해 사용자의 제어명령이 입력되면 입출력 볼륨 제어모듈(321d)은 그에 따른 입력볼륨 조정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 역시 데이터 분배기(400)를 통해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로 인가됨으로써, 볼륨 조정용 앰프를 제어하여 운영자 요구에 맞게 입력 오디오 신호의 볼륨을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 운영자는 상기 오디오 믹서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전파하기 위한 장소를 선택 지정할 수 있다.
즉, 운영자가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100) 또는 메인 컨트롤 디스플레이(310)를 통해 지정 장소(예를 들어, 본 시스템이 교내 전관방송에 적용된 경우, 1학년 1반, 2학년 2반, 실험실, 음악실, 강당)를 선택하면, 스피커 컨트롤러 제어모듈(321e)은 그에 따른 지정 장소 선택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한다.
이러한 신호는 스피커 컨트롤러(920)로 전달됨으로써, 운영자가 선택한 장소의 스피커로만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의 출력 오디오 신호를 송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는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300)으로부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에서 직접 전송되는 PC 음원 파일 또는 DVD 음원 파일, 그리고 시보 방송파일, 그리고 다양한 음원 발생장치에서 재생된 음원을 상기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300)의 제어에 따라 선택 출력하거나 볼륨 레벨을 조정하여 출력한다.
참고로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는 이미 본원 출원인에 의해 대한민국 특허청에 선 출원된 장치이다.
이러한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는 오디오 입력모듈(510), 오디오 제어모듈(520) 및 오디오 출력모듈(530)로 이루어지며, 오디오 제어모듈(520)은 다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오디오 믹서(522),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 및 조작패널(523)로 구성 가능하다.
참고로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의 오디오 믹서(522)는 16개의 오디오 입력채널(CH)을 가지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 3에서는 하나의 오디오 입력 채널(MIC, LINE)만을 도시하였다.
그리고 마이크 단과 라인 입력단이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상기 오디오 믹서(522)는 채널별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의 볼륨레벨을 후술하는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로부터 인가되는 채널별 디지털 볼륨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시키기 위한 볼륨 조정용 앰프(522d), 인가되는 채널별 디지털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볼륨 조정용 앰프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출력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복수 그룹의 아날로그 스위치들(SW1)(SW2)을 포함한다.
볼륨 조정용 앰프들은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로부터 인가되는 채널별 디지털 볼륨 제어신호에 따라 궤한 저항이 선택되어 증폭률이 가변되는 OP앰프로 구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그룹의 아날로그 스위치들(SW1)(SW2)은 각 채널별(CH)로 존재하며, 각 채널(CH)별로 존재하는 독립된 그룹의 아날로그 스위치들은 출력포트와 동수로 존재한다.
즉, 1의 아날로그 스위치가 채널(M) 수에 맞게 존재하여 후술하는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의 제어부(521b)에 의해 스위칭 제어된다.
상술한 볼륨 조정용 앰프(522d)와 복수 그룹의 아날로드 스위치들(SW1)(SW2) 외에 오디오 믹서(522)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입력앰프(522a)와,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 중 저음을 필터링하기 위한 고역 필터(HPF)(522b), 그리고 조작 패널(523)을 통해 입력 볼륨 및 EQ 볼륨을 조정하기 위한 앰프들(522c)(522e)을 더 포함한다.
더 나아가 상기 오디오 믹서(522)는 상기 아날로그 스위치(SW2)를 통해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로부터 인가되는 디지털출력볼륨 제어신호에 따라 가변 출력하기 위한 볼륨 조정용 앰프(522f)를 더 포함하여 출력 볼륨을 조정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조작 패널(523)은 채널별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볼륨 조정 스위치들(523c)과, 상기 볼륨 레벨 조정된 각 채널별 오디오 신호의 출력경로를 선택하기 위한 출력경로 선택 스위치들(SW1)을 포함한다.
이러한 조작패널(523)은 마이크 단(MIC)과 라인 입력단(LINE)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채널별 입력 오디오 신홀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들(523a)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조작패널(523) 중 미설명된 참조부호(523b)는 고음 처리된 마이크 오디오 신호와 고음 처리 이전의 마이크 오디오 신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한편, 상기 오디오 믹서(522)를 제어하는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는 호스트컴퓨터, 즉 상기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300)으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채널별 디지털 볼륨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채널별 입력 오디오 신호의 볼륨 레벨을 조정하고, 상기 오디오방송 제어 시스템(300)으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채널별 디지털 볼륨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오디오 믹서(522)로 입력된 채널별 오디오 신호의 출력포트를 선택 제어한다.
이러한 오디오 믹서 제어부(521)는 호스트 컴퓨터와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여 주는 호스트 인터페이스(521a)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인가되는 명령에 따라 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제어부(521b) 및 비상시 상기 오디오 믹서(522) 내의 아날로그 스위치들(SW2)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데이터와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들을 저장한 메모리(521c)를 포함한다.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600)는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따라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고, 그 선택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중 오디오만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500)에 전달하며, 비디오는 별도의 채널을 통해 비디오 출력 장비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별도의 기록매체 없이도 PC에 저장된 다양한 형태의 음원을 재생하여 지정 장소로 송출하거나 시보 방송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어 명령이 매우 편리하며, 메뉴를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보여주게 되므로, 조작이 용이함은 물론 다양한 제어명령을 신속하게 입력할 수 있으므로, 실시간 방송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
200: 데이터 인터페이스기
300: 오디오방송 제어시스템
400: 데이터 분배기
500: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
600: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
700: 운영 컴퓨터,(도시하지않음)
900: 스피커,(도시하지 않음)
920: 스피커 컨트롤러

Claims (6)

  1.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현장에 설치되며, 화면에 선택 가능한 옵션 항목을 파노라마 형태로 펼쳐서 디스플레이해주고, 상기 현장에서 사용자가 방송 시스템을 직접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와;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와 연결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다수의 오디오/비디오 소스 중 특정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와; 상기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 및 다수의 오디오 기기와 연결되어 선택된 오디오를 원격 명령에 따라 조정하여 출력하는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와;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 오디오/비디오 소스 선택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를 제어하는 운영컴퓨터와; 상기 운영 컴퓨터와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는 전체 방송 시스템을 통합, 제어하며,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에는 화재수신반의 화재신호가 비상패널, EM 스위치를 통하여 RS-485통신방식이나, 접점신호로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에 신호를 주어 비상방송이 가능하며, 상기 운영 컴퓨터는 스피커 수신부와 인터넷 프토토콜로 통신되며,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 수신부의 각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전파하며, 스피커 수신부는 음성 증폭기를 내장하는 광통합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에서 발생한 제어명령에 최우선 권을 부여해주고,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에는 비디오 매트릭스; 비디오 스트리머; 자막편집기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통합 비디오 컨트롤러가 연결되며, 이는 HD TV 방송, 유무선 TV 방송, CD 플레이어, ENG 카메라에서 출력되는 영상/음성신호를 받아서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고, 비디오 매트릭스를 통해서 특정 채널로 디지털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하며, 비디오 편집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에 문자, 비트맵, 도형 등의 오버레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와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간의 제어 명령 데이터를 상호 연결해주어 양방향 통신을 구현해주는 데이터 인터페이스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오디오 컨트롤러와 원격 제어기와 다수의 스피커 컨트롤러 및 상기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채널별로 분배해주는 데이터 분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는, 사용자가 화면에 펼쳐진 파노라마 형태의 메뉴를 접촉하여 조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제어명령 입력부는, 오디오/비디오 기기를 선택하기 위한 옵션 항목, 오디오/비디오 소스를 선택하기 위한 셀렉터 항목, 멀티미디어 제어를 위한 제어 항목, 전원 제어를 위한 항목이 파노라마 형태의 메뉴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시스템.
KR1020140088909A 2014-07-15 2014-07-15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534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09A KR101534564B1 (ko) 2014-07-15 2014-07-15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8909A KR101534564B1 (ko) 2014-07-15 2014-07-15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564B1 true KR101534564B1 (ko) 2015-07-09

Family

ID=5379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8909A KR101534564B1 (ko) 2014-07-15 2014-07-15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709A (zh) * 2022-03-24 2022-06-24 北京本家文化传播有限公司 智能展览音响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31A (ko) * 2000-11-17 2001-06-05 장병화 지능화 방송 시스템
KR200350113Y1 (ko) * 2004-02-05 2004-05-12 여동도 통합방송시스템의 자동감지 디지털 중앙방송제어장치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1297117B1 (ko) * 2013-02-27 2013-08-21 국제시스템(주)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131A (ko) * 2000-11-17 2001-06-05 장병화 지능화 방송 시스템
KR200350113Y1 (ko) * 2004-02-05 2004-05-12 여동도 통합방송시스템의 자동감지 디지털 중앙방송제어장치
KR20080009371A (ko) * 2006-07-24 2008-01-29 주식회사 우리별텔레콤 원격 제어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및 시설관리시스템
KR101297117B1 (ko) * 2013-02-27 2013-08-21 국제시스템(주)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66709A (zh) * 2022-03-24 2022-06-24 北京本家文化传播有限公司 智能展览音响控制系统
CN114666709B (zh) * 2022-03-24 2024-04-12 北京本家文化传播有限公司 智能展览音响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31140A1 (en) Video/sound output device and external speaker control device
KR20130048794A (ko) 마스터 볼륨 제어 및 개별 볼륨 제어의 동적 조절
JP2010252295A (ja) オーディオミキサ
US20100115562A1 (en) Audio system and main box
KR101534564B1 (ko)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WO20211591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d transmitting live media
JP2914731B2 (ja) 多重ゾーン・オーディオ・システム
KR20170004774A (ko)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100609408B1 (ko) 오디오 방송 제어 시스템
KR101520609B1 (ko) 멀티미디어 데이터 광 송출 시스템
KR20100020506A (ko)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100313850B1 (ko) 영상신호전송장치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KR100531301B1 (ko) 다기능 원격 제어장치
JP2016174226A (ja) 音声無線伝送システム、スピーカ機器、及びソース機器
JP4514540B2 (ja) スピーカ装置、デジタル音声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音声再生システム
KR101011031B1 (ko) 멀티미디어기기 통합제어장치
JP6547715B2 (ja) 制御端末装置、オーディオシステム、およびオーディオシステム制御方法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JP2006005743A (ja) 音響調整設備
KR101000123B1 (ko) 방송 가이드 기능을 포함하는 에이치디 방송 시스템
US20080229378A1 (en) System and Method of Distributing Audio and Video Signals
TWI502923B (zh) 影音陣列切換系統及其方法
KR100917713B1 (ko) 비디오매트릭스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20030072691A (ko) 구내 유선방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