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20506A -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20506A
KR20100020506A KR1020100006752A KR20100006752A KR20100020506A KR 20100020506 A KR20100020506 A KR 20100020506A KR 1020100006752 A KR1020100006752 A KR 1020100006752A KR 20100006752 A KR20100006752 A KR 20100006752A KR 20100020506 A KR20100020506 A KR 201000205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controller
remote
speaker
broad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원
Original Assignee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filed Critical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Priority to KR1020100006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20506A/ko
Publication of KR20100020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05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1/00Details of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mplification
    • H03G1/02Remote control of amplification, tone or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6Arranging circuit leads; Relieving strain on circuit le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9/00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 H04R29/007Monitoring arrangements; Testing arrangements for public address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이 설치된 장소 이외의 원격지에서 스피커 및 앰프를 리모트 앰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을 위해 방송실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케이블의 포설량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가 부여된 다수개의 앰프(M) 및 다수개의 스피커(N)를 M×N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GUI환경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C)가 구비되며 이 컨트롤러(C)가 컴퓨터와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와 리모트 앰프(10)를 통신선으로 연결하되, 리모트 앰프(10)에는 주 제어장치(11)와 오디오 입력부(12),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 앰프 선택부(14) 및 스피커 선택부(15)로 구성되며, 오디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음원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를 거쳐 컨트롤러(C)로 전송하도록 하며, 앰프 선택부(14)와 스피커 선택부(15)를 통해 방송실에 설치된 컨트롤러(C)를 제어하여 앰프(M) 및 스피커(N)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호출하여 스피커 그룹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 방송실의 컨트롤러까지 통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프로토콜 통신방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스피커 및 앰프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음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음원 전달용 케이블을 포설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미 마련된 매트릭스회로를 통해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 스피커와 앰프의 신규 그룹을 생성하거나 제어하도록 하여 방송을 위해 방송실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 이외에 추가로 다른 장소에 리모트 앰프를 설치할 시에는 방송실까지 통신선을 포설할 필요없이 인접한 리모트 앰프와 연결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스피커 및 앰프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The remote control method by communications of the indoor broadcasting speaker and amlifier controller}
본 발명은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이 설치된 장소 이외의 원격지에서 스피커 및 앰프를 리모트 앰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을 위해 방송실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케이블의 포설량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를 통신방식의 원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를 이용한 방송시스템은 학교와 빌딩 및 아파트 등 다수의 구획된 공간을 갖는 건물에서 각 공간에 있는 사람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각 공간에 스피커를 설치하고, 이들 스피커로 적정크기의 음성신호를 공급하는 앰프 컨트롤러와 음원발생부를 방송실에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송시스템 중에서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특허공보 제10-0417495호의 구성을 도 1을 통해 살펴보면, 각각 고유의 아이다가 부여된 다수개의 앰프 및 다수개의 스피커를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하는 연결 선택부로 연결하고, 컴퓨터의 GUI환경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 선택부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스피커 및 앰프의 각종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상기 연결 선택부와 접속됨과 아울러 컴퓨터와 연결되도록 내/외장형으로 설치하여, 비상시에도 앰프와 스피커 각각의 아이디 변경만으로 앰프와 스피커의 연결을 수정 설정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송시스템은 방송이 필요한 각 공간에 선택적으로 방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장점은 있지만, 방송시스템의 모든 조작이 방송실 내부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방송실 이외의 원격지에서는 방송 및 제어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원격지에서 방송을 하기위해서는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수만큼의 전기 신호선을 포설하고, 각종 음원을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을 별도로 포설하였다.
상기와 같이 설치될 경우에는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는 단순히 컨트롤러에서 이미 결정된 그룹에 대해서만 방송할 수 있었고, 인접한 다른 장소에서 추가로 방송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전기 신호선과 음원 전달용 케이블을 방송실까지 재포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방송실 이외의 원격지에서 방송을 하기 위해서는 수없이 많은 신호선과 케이블을 다시 포설해야 함으로써 공사시간과 비용이 과도하게 발생하는 폐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장소만을 선정하여 방송을 보낼 수 없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 방송실의 컨트롤러까지 통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프로토콜 통신방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스피커 및 앰프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음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음원 전달용 케이블을 포설할 필요가 없는 방송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이미 마련된 매트릭스회로를 통해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 스피커와 앰프의 신규 그룹을 생성하거나 제어하도록 하여 방송을 위해 방송실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불식시켜 편리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 이외에 추가로 다른 장소에 리모트 앰프를 설치할 시에는 방송실까지 통신선을 포설할 필요없이 인접한 리모트 앰프와 연결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스피커 및 앰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각각 고유의 아이디가 부여된 다수개의 앰프(M) 및 다수개의 스피커(N)를 M×N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GUI환경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C)가 구비되며 이 컨트롤러(C)가 컴퓨터와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방송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와 리모트 앰프(10)를 통신선으로 연결하되, 리모트 앰프(10)에는 주 제어장치(11)와 오디오 입력부(12),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 앰프 선택부(14) 및 스피커 선택부(15)로 구성되며, 오디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음원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를 거쳐 컨트롤러(C)로 전송하도록 하며, 앰프 선택부(14)와 스피커 선택부(15)를 통해 방송실에 설치된 컨트롤러(C)를 제어하여 앰프(M) 및 스피커(N)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호출하여 스피커 그룹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하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 방송실의 컨트롤러까지 통신선으로 연결함으로써 프로토콜 통신방식을 통해 다양한 형태로 스피커 및 앰프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하며, 각종 음원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음원 전달용 케이블을 포설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미 마련된 매트릭스회로를 통해 원격지의 리모트 앰프에서 스피커와 앰프의 신규 그룹을 생성하거나 제어하도록 하여 방송을 위해 방송실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원격지 이외에 추가로 다른 장소에 리모트 앰프를 설치할 시에는 방송실까지 통신선을 포설할 필요없이 인접한 리모트 앰프와 연결하여 제어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중심의 효율적인 스피커 및 앰프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방송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 리모트 앰프의 구조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방송시스템 구성도
본 발명은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이 설치된 장소 이외의 원격지에서 스피커 및 앰프를 리모트 앰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송을 위해 방송실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한 케이블의 포설량을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 리모트 앰프의 구조를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형태의 방송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의 컨트롤러와 리모트 앰프가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방식으로 상호 연결되어 원격지에서도 제어를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매트릭스(Matrix)회로 환경을 이용한 윈도우 GUI 환경에서 사용자가 쉽게 앰프와 스피커의 연결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현한 멀티캐스트(Multicast)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앰프(M)와 스피커(N)의 연결을 PC상에서 개별 혹은 그룹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각각의 스피커(N)를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고유 아이디를 부여하고 PC와 양방향 통신을 통한 스피커(N)의 이상 유무의 확인이 가능하도록 한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N) 및 앰프(M) 제어구조를 갖는 방송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메인앰프의 동작 장애가 발생될 경우 PC상에서 마우스의 One Click으로 메인앰프의 출력을 차단함과 동시에 예비앰프로 신속히 전환할 수 있어 수작업을 통해 앰프를 이설할 필요가 없을 뿐 아니라 기타의 비상시에도 쉽게 설정을 변경, 수정할 수 있게 되며, 특히 학교 등과 같은 교육기관에서 매 학기 신설되는 학급 혹은 특별실 등을 GUI 환경에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적용되는 매트릭스회로로 연결된 방송시스템은 방송실 내에서의 제어는 가능하였지만 방송실 이외의 공간, 즉 학교일 경우 교무실이나 행정실 등에서는 신규그룹을 설정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방송실에 설치된 컨트롤러(C)와 별도의 공간에 마련된 리모트 앰프(10)를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방식으로 연결하여 원격지에서도 신규그룹을 생성하여 별도의 방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학교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학교뿐만 아니라, 아파트와 빌딩 및 공장, 회사 등과 같이 선별적으로 방송할 필요가 있고, 방송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여러 곳이 필요한 경우에 공히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방송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 반드시 사용되는 리모트 앰프(10)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리모트 앰프(10)는 주 제어장치(11)와 오디오 입력부(12),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 앰프 선택부(14) 및 스피커 선택부(15)로 구성되며, 리모트 앰프(10)와 컨트롤러(C)는 통신케이블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는다.
우선 리모트 앰프(10)의 주 제어장치(11)는 방송실에 설치된 컨트롤러(C)와 양방향 통신을 통해 리모트 앰프(10)에서도 방송실의 컨트롤러(C)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 제어장치(11)에 설치되는 오디오 입력부(12)와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의 구성을 살펴보면, 마이크나 DVD 플레이어 등을 통해 발생된 음원이 오디오 입력부(12)로 입력되면 그 입력된 아날로그 신호는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를 거쳐 디지털 신호의 형태로 방송실의 컨트롤러(C)로 전송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아날로그 방식의 음원을 교실 등에 설치된 스피커(N)로 직접전송하지 않고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 후 방송실의 컨트롤러(C)를 통해 교실에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리모트 앰프(10)와 교실의 스피커 사이에 별도의 음원전달용 케이블을 포설하지 않아도 됨으로써 시공상 편리함뿐만 아니라 설치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리모트 앰프(10)에는 앰프 선택부(14)와 스피커 선택부(15)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 앰프 및 스피커 선택부(14, 15)와 연결된 컴퓨터를 통해 GUI환경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하여 앰프 및 스피커 선택부(14, 15)를 조작함으로써 방송실의 컨트롤러(C)를 제어하여 신규 그룹을 설정하여 원하는 장소에만 방송을 내보낼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설치 및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우선 방송실에는 앰프(M)와 컨트롤러(C)를 설치하고, 각 교실 등에는 스피커(N)를 설치하여 컨트롤러(C)를 통해 앰프(M)와 스피커(N)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호출하여 스피커(N) 그룹을 임의로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한 다음, 교무실과 행정실 등에 리모트 앰프(10)를 설치하여 상기 방송실에 설치된 컨트롤러(C)와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방식으로 제어되도록 통신선로를 포설한다.
위와 같이 설치된 방송시스템을 통해 교무실이나 행정실 등에서 리모트 앰프(10)를 조작하게 되면 방송실의 컨트롤러(C)와 통신을 하게 되는바, 기본적인 통신방식은 RS-485C를 이용하도록 하되, 어떠한 통신방식을 이용하여도 무방하며, 리모트 앰프(10)의 조작을 통해 컨트롤러(C)를 제어하여 앰프(M)와 스피커(N)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호출하여 스피커(N) 그룹을 신규로 생성하여 교무실이나 행정실 등에서 손쉽게 방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 예와 동일한 형태로 설치되는바, 방송실에는 앰프(M)와 컨트롤러(C)가 설치되고, 각 교실에는 스피커(N)가 설치되며, 교무실에는 리모트 앰프(10)가 설치되어 있는 본 발명의 방송시스템에서 교무실 이외의 장소인 리모트 앰프(10')에 추가적으로 설치하기 위해서는 방송실의 컨트롤러(C)와 직접적으로 연결하여도 되지만, 교무실과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장소가 더 가까울 경우에는 가까운 거리에 있는 리모트 앰프(10)와 연결하여도 리모트 앰프(10')의 추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리모트 앰프(10, 10')끼리의 연결을 위해서는 리모트 앰프(10)에 설치된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에 연결잭을 증설한 후 근거리에 있는 리모트 앰프(10')를 연결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의 포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M: 앰프 N: 스피커
C: 컨트롤러 10: 리모트 앰프
11: 주 제어장치 12: 오디오 입력부
13: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 14: 앰프 선택부
15: 스피커 선택부

Claims (2)

  1. 각각 고유의 아이디가 부여된 다수개의 앰프(M) 및 다수개의 스피커(N)를 M×N 매트릭스 회로를 사용하여 컴퓨터의 GUI환경에서 사용자가 키보드나 마우스를 통해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컨트롤러(C)가 구비되며 이 컨트롤러(C)가 컴퓨터와 연계하여 작동되도록 구성된 방송시스템의 원격지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C)와 리모트 앰프(10)를 통신선으로 연결하되, 리모트 앰프(10)에는 주 제어장치(11)와 오디오 입력부(12),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 앰프 선택부(14) 및 스피커 선택부(15)로 구성되며, 오디오 입력부(12)로부터 입력된 음원 신호가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도록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를 거쳐 컨트롤러(C)로 전송하도록 하며, 앰프 선택부(14)와 스피커 선택부(15)를 통해 방송실에 설치된 컨트롤러(C)를 제어하여 앰프(M) 및 스피커(N)에 부여된 고유 아이디를 호출하여 스피커 그룹을 신규로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리모트 앰프(10)가 설치된 이외의 장소에 추가적으로 리모트 앰프(10')를 설치할 시, 컨트롤러(C) 보다 리모트 앰프(10)가 더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리모트 앰프(10)에 설치된 음성 및 데이터 변환장치(13)에 연결잭을 증설한 후 근거리에 있는 리모트 앰프(10')를 연결함으로써 통신 케이블의 포설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1020100006752A 2010-01-26 2010-01-26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201000205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752A KR20100020506A (ko) 2010-01-26 2010-01-26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752A KR20100020506A (ko) 2010-01-26 2010-01-26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0506A true KR20100020506A (ko) 2010-02-22

Family

ID=42090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752A KR20100020506A (ko) 2010-01-26 2010-01-26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2050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395B1 (ko) * 2011-08-18 2012-01-17 최성국 신호케이블의 구조가 개선되어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WO2013018979A1 (ko) * 2011-07-29 2013-02-07 아카데미정보통신(주)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KR101536982B1 (ko) * 2014-11-28 2015-07-15 최대종 앰프의 바이패스용 볼륨 조절이 가능한 방송시스템
KR102177131B1 (ko) * 2020-05-18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18979A1 (ko) * 2011-07-29 2013-02-07 아카데미정보통신(주)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CN103718481A (zh) * 2011-07-29 2014-04-09 阿卡德米信息通信股份有限公司 利用三维矩阵电路的音响以及图像控制系统
KR101105395B1 (ko) * 2011-08-18 2012-01-17 최성국 신호케이블의 구조가 개선되어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101536982B1 (ko) * 2014-11-28 2015-07-15 최대종 앰프의 바이패스용 볼륨 조절이 가능한 방송시스템
KR102177131B1 (ko) * 2020-05-18 2020-11-11 아카데미정보통신(주)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4775B2 (en) Distributed intercom system
KR101017018B1 (ko) 디지털 매트릭스 앰프를 이용한 다원화방송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530451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のオーディオコンポーネンツの簡略化された相互接続および制御のための方法と装置
KR20100020506A (ko)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101104622B1 (ko) 자동으로 채널을 부여하는 무선마이크 시스템
KR101080801B1 (ko) 입체적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음향 및 영상 제어 시스템
KR100923488B1 (ko)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KR20050017806A (ko) 통합 스피커 제어 시스템
KR101132745B1 (ko) 이더넷을 통해 연결되는 회의용 마이크시스템
KR20110138584A (ko) 전관 방송 장치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CN105119895A (zh) 一种基于媒体矩阵的网络音频传输系统
RU2658652C1 (ru) Система двухсторонней станционной парковой связи
KR100888252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시스템
KR100974446B1 (ko) 방송서버와 로컬피씨의 유에스비 포트에 연결되는방송장치로 구성된 방송시스템.
KR102377125B1 (ko) 자동 원격 이중화 방송 시스템
KR101534564B1 (ko)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KR200359120Y1 (ko) 아파트 방송 제어시스템
KR200302580Y1 (ko) 복수의 음성 및 스피커그룹 제어시스템
KR100817789B1 (ko) Plc 스피커 시스템
KR102389693B1 (ko) 백색 소음기를 이용한 소음 방지 시스템
KR100879754B1 (ko) 식별자를 이용한 공중 방송 스피커 시스템
KR102126674B1 (ko) 네트워크 기반의 멀티 스피커를 이용한 방송 플랫폼 및 그 운영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