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7131B1 -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7131B1
KR102177131B1 KR1020200058847A KR20200058847A KR102177131B1 KR 102177131 B1 KR102177131 B1 KR 102177131B1 KR 1020200058847 A KR1020200058847 A KR 1020200058847A KR 20200058847 A KR20200058847 A KR 20200058847A KR 102177131 B1 KR102177131 B1 KR 102177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device
broadcast
sess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7131B9 (ko
Inventor
이기원
배성한
정성한
허정훈
Original Assignee
아카데미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카데미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아카데미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200058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7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7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31B1/ko
Publication of KR102177131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7131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2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separating internal from external traffic, e.g. firewalls
    • H04L63/029Firewall traversal, e.g. tunnelling or, creating pinho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접속 요청을 지정된 포트를 이용해 수신하는 단계, 접속 요청에 따라 방송제어장비와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방송제어장비를 인터넷에서 원격 제어할 제어 디바이스로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세션 정보는 제어 디바이스와 방송제어장비 사이에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METHOD, SERVER AND SYSTEM FOR ACCESSING BROADCASTING CONTROL EQUIPMENT REMOTELY}
본 발명은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내부망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기존 포트를 통해 외부에서 방화벽으로 구분된 내부망으로 접속하여 내부망에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학교, 관공서 등은 내부 방송을 위한 방송 시스템을 구비한다. 방송 시스템은 음원소스, 믹서, 앰프, 스피커, 스피커셀렉터 등을 포함하고 이러한 방송장비를 제어하여 내부 방송을 수행하기 위한 방송제어장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학교, 관공서 등은 방송제어장비를 통해 모든 구역에 특정 음원소스를 방송하거나 선택된 구역에 선택된 음원소스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제어장비는 음원소스의 선택, 출력되는 음원의 소리크기, 음원이 출력될 스피커를 전자적으로나 기계적으로 선택(선정)하여 음원소스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을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교나 관공서 등은 방송제어장비를 통해 내부 방송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학교나 관공서 등의 행정기관은 보안상의 이유로 그 내부가 외부와 격리된 망으로 연결된다. 즉, 내부의 행정망과 외부의 인터넷은 방화벽을 통해 서로 구분되고 내부에서 외부(인터넷)로의 접속은 가능하지만 외부(인터넷)에서 내부 컴퓨터로의 접근은 제한된다.
근래에 이르러 널리 활용되는 원격제어나 화상회의 등은 네트워크상의 연결유지 기법인 터널링(tunneling) 기법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터널링 기법에는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터널링을 통해 통신 세션을 오픈하는 GRE 터널링이나 SSH(Secure Shell) 서버를 이용하여 접속 가능한 SSH 터널링 등이 알려져 있다.
방화벽 등이 설치된 학교, 관공서 등에서 이러한 터널링 기법 등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원격 제어나 화상 회의 등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학교나 관공서 내에서 별도의 포트를 제공하여야 하고 네트워크 관리 담당자에게 별도의 포트를 요청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방화벽 등으로 외부와 분리된 내부망에 별도의 포트 제공 없이 자동으로 연결 및 제어할 수 있는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내부망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기존 포트를 활용하여 별도의 포트 설정 없이 외부에서 내부망으로 접속하여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망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액세스하기 위해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인터넷상의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를 원격에서 제어 가능한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은 접속 제공 서버가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제공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공 서버가 상기 방송제어장비를 인터넷에서 원격 제어할 제어 디바이스로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방송제어장비 사이에 상기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원격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속 제공 서버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송제어장비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세션을 통해 상기 내부망에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원격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의 수신에 따라, 상기 방송제어장비가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되는 상기 방송장비는 음원소스, 믹서, 앰프, 스피커 또는 스피커셀렉터이다.
상기한 원격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오픈된 상기 지정된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지정된 포트는 80번 포트이다.
상기한 원격 접속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과 상기 제어 명령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약속된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세션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제어장비를 원격에서 접속 가능토록 하는 접속 제공 서버는 방화벽에 의해 구분된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통신 유닛; 설정된 통신 세션을 특정할 수 있는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상기 방송제어장비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세션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로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방송제어장비 사이에 상기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한 접속 제공 서버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는 방송제어장비에 설정된 세션 정보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시스템은 상기한 접속 제공 서버; 및 상기 접속 제공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 가능한 방송제어장비;를 포함한다.
상기한 원격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장비는 상기 접속 제공 서버와 설정된 세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세션을 통해 내부망에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어 명령에 따라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며, 제어되는 상기 방송장비는 음원소스, 믹서, 앰프, 스피커 또는 스피커셀렉터이다.
상기한 원격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장비는 상기 접속 제공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 오픈된 지정된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지정된 포트는 80번 포트이다.
상기한 원격 접속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과 상기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상기 접속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접속 요청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약속된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세션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은 내부망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액세스할 수 있는 기존 포트를 활용하여 별도의 포트 설정 없이 외부에서 내부망으로 접속하여 방송장비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은 내부망에서 외부 인터넷으로 액세스하기 위해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활용하여 인터넷상의 제어 디바이스를 통해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를 원격에서 제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방송제어장비를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접속 제공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방송제어장비를 원격에서 접속하고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방송제어장비(500)를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는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원격 방송제어장비(500)의 원격 접속 시스템은 인터넷(400)에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200)가 방화벽(300)에 의해 구분된 내부망(600)의 방송제어장비(500)에 접속하고 방송제어장비(500)를 통해 연결된 방송장비(700)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도 1의 예와 같이, 원격 접속 시스템은 인터넷(400)을 통해 연결되는 접속 제공 서버(100), 하나 이상의 제어 디바이스(200) 및 방화벽(300)과 내부망(600)을 통해 연결되는 방송제어장비(500) 및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700)를 포함한다. 방화벽(300) 외부의 접속 제공 서버(100)나 제어 디바이스(200)는 방화벽(300)을 통해 내부망(600)의 방송제어장비(500)에 접속하거나 연결될 수 있다.
접속 제공 서버(100)는 제어 디바이스(200)에 방화벽(300)으로 구분된 방송제어장비(500)로의 접속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버이다. 접속 제공 서버(100)는 방송제어장비(500)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특정(정의, 식별)할 수 있는 세션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세션 정보를 인터넷(400)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200)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접속 제공 서버(100)는 방송제어장비(500)에 대해 웹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세션 정보는 제어 디바이스(2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에 이미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접속 제공 서버(1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인터넷(400)에 연결되어 인터넷(400)을 통해 방화벽(300)으로 구분되고 내부망(600)에 연결되는 방송제어장비(500)를 제어할 수 있는 디바이스이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에 이미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방송제어장비(500)에 접속(액세스)하여 방송제어장비(5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휴대폰, 스마트폰, 태블릿 PC, 개인용 PC, 노트북 등과 같이 응용(앱)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접속 제공 서버(100)로부터 세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방송제어장비(500)에 접속하여 방송제어장비(5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인터넷(400)을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방화벽(300)은 기업, 관공서, 학교 등에 설치되어 기업, 관공서, 학교 등에 구성되는 내부망(600)과 인터넷(400)을 구분하고 내부망(600)과 인터넷(400) 사이의 각종 통신 패킷을 필터링한다. 예를 들어, 방화벽(300)은 인터넷(400)을 통해 외부 디바이스의 내부 접근을 차단하고 내부망(600)에서 인터넷(400)으로의 액세스를 설정된 보안정책에 따라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방화벽(300)은 내부망(600)에서 인터넷(400) 접속을 위한 특정 포트를 오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화벽(300)은 내부망(600)의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폰 등에서 방화벽(300) 외부와 웹서비스 등의 인터넷(400) 접속에 이용되는 80번 포트를 오픈하여 내부의 사용자에 의한 인터넷(400) 접속을 허용할 수 있다. 인터넷(400) 검색 등에 이용되는 80번 포트는 방화벽(300)에서 일반적으로 오픈된다.
접속 제공 서버(100), 제어 디바이스(200), 방화벽(300)은 인터넷(400)을 통해 각종 인터넷(400) 기반의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제공 서버(100), 제어 디바이스(200), 방화벽(300)(나아가, 방송제어장비(500)) 등은 IP(Internet Protocol) 통신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방송제어장비(500)는 방송장비(700)를 제어한다. 관공서, 학교, 기업 등과 같이 방화벽(300)을 통해 인터넷(400)과 구분되고 내부망(600)에 설치되는 방송제어장비(500)는 관공서, 학교, 기업 등에서의 방송을 제어할 수 있다.
방송제어장비(500)는 방송 출력, 차단, 방송 위치 선택 등을 위한 각종 입력 수단(입력 버튼)을 구비하여 제어(버튼)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연결된 방송장비(700)들로 출력하고 선택된 음원소스로부터의 음성이나 음향을 선택된 스피커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제어장비(500)는 입력 수단에 의한 직접적인 제어 입력 이외에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에 따라 방송장비(700)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방송제어장비(500)는 방화벽(300)을 경유하여 접속 제공 서버(100)와 인터넷(400)을 통해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방송제어장비(500)는 예를 들면 80번 포트를 이용해 접속 제공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고 접속 제공 서버(100)와 통신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는 방송제어장비(500)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
방송제어장비(500)는 또한 서버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접속 제공 서버(100)와 설정되는 통신 세션을 이용해 접속 제공 서버(100)나 제어 디바이스(200)와 데이터 통신 가능하다. 서버로 동작하는 방송제어장비(500)는 외부 인터넷(400) 접속을 위해 방화벽(300)에서 오픈된 80번 포트를 이용해 제어 디바이스(200) 등으로부터 통신 패킷을 수신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제어장비(500)는 서버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웹서비스 등의 인터넷(400) 접속을 위해 오픈된 80번 포트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제어 디바이스(200))와 통신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방송장비(700)는 방송 신호의 생성, 분배 및/또는 출력 등에 이용되는 기기이다. 방송장비(700)는 방송제어장비(500)에 연결되어 방송제어장비(5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음원, 음향 신호를 제어,변경,차단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방송장비(700)는 예를 들어, 테이프, 마이크, CD, DVD, USB 메모리 등의 음원소스, 여러 음향(음원) 신호를 믹싱하는 믹서, 음향 신호를 증폭하는 앰프, 연결된 여러 스피커 중 수신되는 선택 신호에 따라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셀렉터,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진동 신호로 출력하는 스피커 등일 수 있다. 또한 방송제어장비(500)는 상기 방송장비들중 하나이상과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내부망(600)은 관공서, 학교, 기업체 내에 구성되고 방화벽(300)을 통해 인터넷(400)과 분리된 네트워크이다. 내부망(600)은 유선랜, 와이파이, 광랜, 블루투스 등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부망(600)에는 방송제어장비(500) 외에도 다른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이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2는 접속 제공 서버(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방송제어장비(500)를 원격에서(방화벽(300) 외부 인터넷(400)에서) 접속 가능토록 하는 접속 제공 서버(100)는 통신 유닛(110), 저장 유닛(130), 연결 유닛(150) 및 제어 유닛(170)을 포함한다. 여기서, 도 2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각 블록의 기능 수행에 필요한 하드웨어를 접속 제공 서버(100)가 가질 수 있다.
통신 유닛(110)은 인터넷(400)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200), 방화벽(300)에 연결된 방송제어장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110)은 이더넷, 와이파이, 광랜 등을 처리하기 위한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인터넷(400)에 연결되고 인터넷 통신 패킷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유닛(110)은 방화벽(300)에 의해 인터넷(400)과 분리된 내부망(600)의 방송제어장비(5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주기적으로, 비주기적으로 또는 1회 이상 지정된 포트(예를 들어, 80번 포트)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110)은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나타내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제어 유닛(170)의 제어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세션 정보를 인터넷(400)을 통해 제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 유닛(130)은 각종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저장 유닛(130)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고 해당 데이터를 처리할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 유닛(130)은 원격 제어가 가능한 방송제어장비(500)와 설정된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저장한다. 접속 제공 서버(100)가 복수의 방송제어장비(500)를 관리하는 경우 저장 유닛(130)은 방송제어장비(500)의 식별자에 매칭되는 세션 정보들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세션 정보는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에 설정되는 통신 세션을 특정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예를 들어, 세션 정보는 방송제어장비(500)의 IP 주소, 세션 ID, 암호화 키, 복호화 키 등 통신 세션을 특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정상적인 데이터 송수신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세션 정보는 예를 들어 IP 프로토콜 및 UDP 프로토콜 상에서 구현되는 응용(세션) 프로토콜에 따른 필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에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응용 프로토콜에 따라 세션 정보는 달라질 수 있다. 응용 프로토콜은 터널링(tunneling) 프로토콜일 수 있고 원격 제어, 화상 회의 등에서 이용되는 터널링(tunneling) 프로토콜 종류에 따라 세션 정보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달라질 수 있다. 터널링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SSH 터널링, GRE 터널링, IPsec 등일 수 있다.
적어도, 세션 정보는 방송제어장비(500)와 약속된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세션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세션 정보는 제어 디바이스(200)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 디바이스(200)는 세션 정보로 특정되는 통신 세션을 활용하여 방송제어장비(500)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다.
저장 유닛(130)은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의 통신 세션을 설정하기 위한 통신 프로그램을 더 저장한다. 통신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IP 프로토콜, UDP 프로토콜 상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세션 레이어 및/또는 응용 레이어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다. 통신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약속된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세션을 방송제어장비(500)와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을 특정 가능한 세션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유닛(150)은 접속 제공 서버(100) 내의 블록 사이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150)은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이더넷, 와이파이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170)은 접속 제공 서버(10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170)은 저장 유닛(130)의 통신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통신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여 방송제어장비(500)와 사이에 통신 세션을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유닛(170)은 CPU, MPU, 중앙 처리 장치, 마이컴 등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명령어 코드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170)은 통신 유닛(110)을 통해 방송제어장비(500)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한다. 제어 유닛(170)은 접속 요청에 따라 방송제어장비(500)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접속 요청한 방송제어장비(500)에 매칭시켜 저장 유닛(130)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170)은 방송제어장비(500)의 식별자에 세션 정보를 매칭시켜 저장 유닛(130)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어 유닛(170)은 저장 유닛(130)에 저장된 세션 정보를 통신 유닛(110)을 통해 인터넷(400)에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2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유닛(170)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제어는 도 3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방송제어장비(500)를 원격에서 접속하고 제어하기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방송제어장비(500)는 웹 서버 등의 접속 제공 서버(100)로 접속 요청을 전송하고 접속 제공 서버(100)는 이를 수신(① 참조)한다.
방송제어장비(500)는 부팅에 따라, 지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방송제어장비(500)에서의 사용자 입력에 따라 1회 이상 접속 요청을 접속 제공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내부망(600)에 연결된 방송제어장비(500)는 방화벽(300)에서 허용된 지정 포트를 통해 접속 제공 서버(100)로 접속 요청을 전송한다. 지정된 포트는 내부망(600)에서 웹서비스등을 위해 이용되는 80번 포트일 수 있다. 인터넷(400)에 연결된 접속 제공 서버(100)(의 제어 유닛(170))는 접속 요청을 통신 유닛(110)을 통해 수신한다.
접속 요청의 수신에 따라 접속 제공 서버(100)(의 제어 유닛(170))는 방송제어장비(500)와 통신 세션을 설정(② 참조)한다. 예를 들어, 접속 제공 서버(100)(의 제어 유닛(170))는 저장 유닛(130)의 통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예를 들어 IP 통신(레이어)과 UDP 통신(레이어) 상에서 동작하는 응용 프로토콜에 따라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의 통신 세션을 설정한다.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의 통신 세션은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라 구성될 수 있다.
통신 세션의 설정에 따라, 접속 제공 서버(100)(의 제어 유닛(170))와 방송제어장비(500)는 설정된 통신 세션에 대응하는 세션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③ 참조)한다. 제어 유닛(170)은 터널링 프로토콜 등의 응용 프로토콜에서 설정된 세션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 저장하는 데, 세션 정보는 적어도 임의의 제어 디바이스(200)가 방송제어장비(500)와 접속 제공 서버(100) 사이에 설정된 기존 통신 세션을 통해 방송제어장비(500)와 통신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세션 정보는 응용 프로토콜(예를 들어, 터널링 프로토콜의 종류)의 유형에 따라 저장되는 정보가 달라질 수 있다. 세션 정보는 예를 들어, 방송제어장비(500)의 IP 주소, 세션 ID, 암호화 키, 복호화 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정보는 통신 세션의 방송제어장비(500) 식별자와 매칭하여 저장 유닛(130)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세션 정보는 주기적, 비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방송제어장비(500)의 주기적, 비주기적 접속요청에 따라 저장 유닛(130)에 저장되어 있는 방송제어장비(500)의 기존 세션 정보는 새로인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로 갱신된다.
세션 정보의 저장 이후에, 접속 제공 서버(100)(의 제어 유닛(170))는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④ 참조)한다. 제어 유닛(170)은 통신 유닛(110)을 통해 인터넷(400)에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인증 수단을 통해 접속 제공 서버(100)에 로그인 가능하고 지정된 또는 선택된 방송제어장비(500)에 대한 세션 정보를 다운로드 요청할 수 있다.
접속 제공 서버(100)(의 제어 유닛(170))는 다운로드 요청한 방송제어장비(500)에 설정된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저장 유닛(130)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세션 정보를 제어 디바이스(200)로 전송(⑤ 참조)한다. 인터넷(400)에 연결된 제어 디바이스(200)는 방화벽(300)을 통해 구분되고 내부망(600)에 연결된 방송제어장비(500)를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원격 제어 가능하다.
세션 정보를 수신한 제어 디바이스(200)는 접속 제공 서버(100)와 방송제어장비(500) 사이에 설정된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이용하여, 마치 방송제어장비(500)가 접속 제공 서버(100)와 연결된 것처럼 하여 방송제어장비(500)에 (역)접속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수신된 세션 정보에 의한 통신 세션을 이용해,방송제어장비(500)와 통신할 수 있고 제어상태정보 등을 수신하여 제어 디바이스(2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 디바이스(200)는 구비된 입력 인터페이스를 통한 제어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제어 입력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생성된 제어 명령을 설정된 통신 세션을 통해 방송제어장비(500)로 전송하고 방송제어장비(500)는 이를 수신(⑥ 참조)한다. 제어 명령은 방화벽(300)을 통해 구분된 내부망(600)에 연결되어 있는 방송제어장비(5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으로서 예를 들어, 방송제어장비(500)에 연결된 하나 또는 복수의 방송장비(700)를 제어하기 위한 명령이다.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해 방송제어장비(500)와 통신하는 제어 디바이스(200)는 응용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패킷을 방화벽(300)에서 허용된 지정 포트를 통해 송수신한다. 즉, 방송제어장비(500)는 내부망(600)에서 인터넷(400)에 연결된 접속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기 위해 이미 오픈된 지정된 포트(80번 포트)를 통해 응용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패킷(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제어 디바이스(200)로부터 방송제어장비(500)로 전송되는 제어 명령의 통신 패킷은 예를 들면 UDP 통신을 통해 이루어져, 방송제어장비(500)는 제어 명령을 UDP 통신을 통해 수신한다.
제어 명령을 수신한 방송제어장비(50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연결된 방송장비(700)를 제어(⑦ 참조)한다. 예를 들어, 방송제어장비(500)는 음원소스, 믹서, 앰프, 스피커 및/또는 스피커셀렉터 등의 방송장비(700)들 중 하나 이상의 방송장비(700)를 제어하여 관공서, 학교, 기업체 내의 방송을 제어할 수 있다. 방송제어장비(500)는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음원제어, 음원증폭제어, 믹서제어, 전원온오프 등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도 3의 제어 흐름을 통해, 별도의 포트의 오픈 없이 기존 설정된 통신 세션을 활용하여 제어 디바이스가 방송제어장비(5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접속 제공 서버
110 : 통신 유닛
130 : 저장 유닛
150 : 연결 유닛
170 : 제어 유닛
200 : 제어 디바이스
300 : 방화벽
400 : 인터넷
500 : 방송제어장비
600 : 내부망
700 : 방송장비

Claims (11)

  1.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으로서,
    접속 제공 서버가 방화벽에 의해 구분된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접속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접속 제공 서버가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설정되는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제공 서버가, 상기 방송제어장비를 인터넷에서 원격 제어할 제어 디바이스로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방송제어장비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세션을 이용해 상기 내부망에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방송제어장비 사이에 상기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방화벽에서는 상기 내부망에서의 인터넷 접속을 위해 지정된 포트가 오픈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지정된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접속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접속 제공 서버가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원격 접속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의 수신에 따라, 상기 방송제어장비가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되는 상기 방송장비는 음원소스, 믹서, 앰프, 스피커 또는 스피커셀렉터인,
    원격 접속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포트는 80번 포트인,
    원격 접속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요청과 상기 제어 명령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약속된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세션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방법.
  6. 방송제어장비를 원격에서 접속 가능토록 하는 접속 제공 서버로서,
    방화벽에 의해 구분된 내부망의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접속 요청을 지정된 포트를 통해 수신하는 통신 유닛;
    설정된 통신 세션을 특정할 수 있는 세션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 및
    상기 접속 요청에 따라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통신 세션을 설정하고 설정된 통신 세션의 세션 정보를 상기 방송제어장비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방송제어장비를 인터넷에서 원격 제어할 제어 디바이스로 상기 저장 유닛에 저장된 세션 정보를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방송제어장비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세션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통신 세션을 이용해 상기 내부망에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며,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제어 디바이스와 상기 방송제어장비 사이에 상기 설정된 통신 세션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이 가능토록 하는 데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방화벽에서는 상기 내부망에서의 인터넷 접속을 위해 지정된 포트가 오픈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은, 상기 지정된 포트를 통해 상기 제어 명령을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수신하는 것인,
    접속 제공 서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통신 유닛을 통해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부터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세션 정보 다운로드 요청에 대응하는 방송제어장비에 설정된 세션 정보를 상기 제어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접속 제공 서버.
  8.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시스템으로서,
    제6항의 접속 제공 서버; 및
    상기 접속 제공 서버와 인터넷을 통해 통신 가능한 상기 방송제어장비;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제어장비는 상기 수신된 제어 명령에 따라 연결된 방송장비를 제어하며,
    제어되는 상기 방송장비는 음원소스, 믹서, 앰프, 스피커 또는 스피커셀렉터인,
    원격 접속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된 포트는 80번 포트인,
    원격 접속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명령과 상기 방송제어장비로부터 상기 접속 제공 서버로 전송되는 접속 요청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을 통해 수신되고,
    상기 세션 정보는 상기 방송제어장비와 약속된 터널링 프로토콜에 따른 통신 세션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격 접속 시스템.
KR1020200058847A 2020-05-18 2020-05-18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KR102177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47A KR102177131B1 (ko) 2020-05-18 2020-05-18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847A KR102177131B1 (ko) 2020-05-18 2020-05-18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131B1 true KR102177131B1 (ko) 2020-11-11
KR102177131B9 KR102177131B9 (ko) 2021-08-23

Family

ID=73451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847A KR102177131B1 (ko) 2020-05-18 2020-05-18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71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70B1 (ko) * 2022-10-25 2023-05-26 (주) 우리텍 구내 방송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763B1 (ko) * 2007-09-19 2008-04-03 주식회사 로보티어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KR20100004704A (ko) * 2008-07-04 2010-01-13 권영현 텔레폰 페이징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00020506A (ko) * 2010-01-26 2010-02-22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20110115448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원캐스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KR20120085315A (ko) * 2009-11-16 2012-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장치 간 세션 복제
KR101209108B1 (ko) * 2012-03-14 2012-12-06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마이크 방송시스템
KR101285628B1 (ko) * 2012-08-06 2013-07-12 영현정보통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이중화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
KR20130142695A (ko) * 2012-06-20 2013-12-30 (유)해양전자장비 어플리케이션 서버, 마을 방송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마을 방송 방법
KR20140065044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2226B1 (ko) * 2013-12-16 2014-11-07 제일정보통신(주)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2763B1 (ko) * 2007-09-19 2008-04-03 주식회사 로보티어 중앙제어 및 로컬제어가 가능한 아이피기반의 멀티미디어방송 시스템
KR20100004704A (ko) * 2008-07-04 2010-01-13 권영현 텔레폰 페이징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20120085315A (ko) * 2009-11-16 2012-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장치 간 세션 복제
KR20100020506A (ko) * 2010-01-26 2010-02-22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구내방송을 위한 스피커 및 앰프 컨트롤러의 통신방식을 통한 원격지 제어방법
KR20110115448A (ko) * 2010-04-15 2011-10-21 주식회사 원캐스트 구내 그룹 방송 시스템
KR101209108B1 (ko) * 2012-03-14 2012-12-06 동화전자산업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이용한 무선마이크 방송시스템
KR20130142695A (ko) * 2012-06-20 2013-12-30 (유)해양전자장비 어플리케이션 서버, 마을 방송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하는 마을 방송 방법
KR101285628B1 (ko) * 2012-08-06 2013-07-12 영현정보통신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이중화 방송장치 및 방송시스템
KR20140065044A (ko) * 2012-11-21 2014-05-29 주식회사 대경바스컴 유무선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멀티미디어 통합방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52226B1 (ko) * 2013-12-16 2014-11-07 제일정보통신(주) 스마트폰과 인터넷을 이용하여 제어 가능한 방송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4770B1 (ko) * 2022-10-25 2023-05-26 (주) 우리텍 구내 방송망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7131B9 (ko) 2021-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6761B (zh) 藍牙網狀網路及其配網鑑權方法、設備和儲存媒體
US11750589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application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ed processors
CN103299313B (zh) 传输管理设备、程序、传输管理系统及传输管理方法
US9730268B2 (en) Communication between host and accessory devices using accessory protocols via wireless transport
US8243949B2 (en) Network addressible loudspeaker and audio play
CN101288063B (zh) 无线设备发现和配置
US20150326512A1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organizations
WO2016127667A1 (zh) 设备绑定方法和装置
US10659441B2 (en) Dynamically managing, from a centralized service, valid cipher suites allowed for secured sessions
KR20110108300A (ko) 스마트폰의 관리하에서 스마트폰의 베어러 및 서버 독립 부모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735306B1 (ko) 휴대 단말기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06042749A2 (de) Drahtloser kopfhörer und verfahren zum übertragen von daten
US20100071040A1 (en) Secure server certificate trust list update for client devices
TWI632465B (zh) 利用公有雲端網路的方法、私有雲端路由伺服器及智慧型裝置客戶端
CN111901315B (zh) 一种vpn用户接入方法及系统
KR102177131B1 (ko) 방송제어장비 원격 접속 방법, 접속 제공 서버 및 접속 시스템
US20150327064A1 (en) Message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a structure of a plurality of organizations
KR20120034338A (ko) 무선 액세스 포인트의 보안 운용 방법 및 시스템
CN211791776U (zh) 一种分布式录播系统
KR20010044238A (ko) 무선망을 이용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 및 재생장치
CN116032691B (zh) 靶场互联互通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US20080177869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figuring consumer electronics device for home network using the internet
US20210027787A1 (en) Staged user enrollment using audio devices
US11323263B2 (en) Sharing of secret information for accessing a wireless computing network
US20210097023A1 (en) Decentralized Dat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