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7117B1 -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 Google Patents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7117B1
KR101297117B1 KR1020130021536A KR20130021536A KR101297117B1 KR 101297117 B1 KR101297117 B1 KR 101297117B1 KR 1020130021536 A KR1020130021536 A KR 1020130021536A KR 20130021536 A KR20130021536 A KR 20130021536A KR 101297117 B1 KR101297117 B1 KR 101297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erver
address
audio
inpu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봉
Original Assignee
국제시스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제시스템(주) filed Critical 국제시스템(주)
Priority to KR1020130021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7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7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7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7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 H04H60/81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 H04H60/82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other than for broadcast, e.g. the Internet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system itself the transmission system being the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는 인터넷 프로토콜(IP)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오디오 방송 시스템의 메인 방송서버와 통신하여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으며, 설정영역 내에 분산배치되어 있는 각종 오디오방송기기들이 병렬 접속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증폭/제어하는 앰프가 일체화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는 전면 컨트롤패널과 후면 접속패널을 갖는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고, 메인 방송서버와 연결된 메인 입력케이블이 접속하게 되며,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입력포트와; 본체 하우징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스피커와 연결된 복수개의 스피커 케이블이 접속하게 되며, 각 스피커 케이블로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복수개의 출력포트와;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입력포트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포트로 전달하게 되는 앰프모듈과;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면 컨트롤패널과 앰프모듈에 각각 연결되고, 전면 컨트롤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앰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IP network middle server with audio broadcasting amp}
본 발명은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인터넷 프로토콜(IP)에 의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오디오 방송 시스템의 메인 방송서버와 통신하여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으며, 설정영역 내에 분산배치되어 있는 각종 오디오방송기기들이 병렬 접속되고, 스피커로 출력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증폭/제어하는 앰프가 일체화되어 있는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에 관한 것이다.
기업 또는 학교 등의 단체에서는 구성원들에게 주요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하여, 오디오 방송시스템을 구축하여 방송 메시지를 송출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학교 방송실은 주요 일과 통보, 화재 훈련 통보 또는 듣기평가 수행을 위하여 구내 오디오 방송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교실에 구비된 스피커에 해당 방송을 송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오디오 방송시스템은 오디오 방송신호를 생성하여 메인 방송서버, 메인 방송서버와 연결되어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는 앰프, 앰프에 연결되는 스피커로 구성되는데, 기업 또는 학교의 각 구역에 앰프와 스피커에 배치되어 각 구역에 위치한 구성원에게 오디오 방송이 전달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오디오 방송시스템은 기업 또는 학교의 각 구역에 위치한 스피커를 통해 동일한 오디오 방송이 일괄적으로 전달되는 구조여서 각 구역별 상황이나 조건에 맞추어진 오디오 방송을 개별적으로 각 구역에 위치한 스피커를 전달할 수 없는 단점이 있어 이를 개선하는 기술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입력포트나 출력포트에 IP주소가 할당되고, 메인 방송서버로부터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아 구역별 개별 오디오 방송이나 스피커별 개별 오디오 방송이 가능하여 적응성 및 확장성이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오디오 방송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서 동작이 활성화되는 구성의 제공으로 전력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피커에 연결된 스피커선 세트의 합선시 해당 스피커와 앰프모듈 간 연결이 퓨즈에 의해 끊어지도록 하여 앰프모듈이나 입력포트에 연결된 메인 방송서버가 합선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보호되어 고장이 방지될 수 있고, 스피커선이 합선되지 않은 스피커로는 계속해서 오디오 방송이 출력될 수 있어 오디오 방송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전면 컨트롤패널과 후면 접속패널을 갖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고, 메인 방송서버와 연결된 메인 입력케이블이 접속하게 되며, 상기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입력포트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스피커와 연결된 복수개의 스피커 케이블이 접속하게 되며, 각 스피커 케이블로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복수개의 출력포트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입력포트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포트로 전달하게 되는 앰프모듈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컨트롤패널과 앰프모듈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면 컨트롤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앰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에서 상기 메인 방송서버는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가 상기 메인 입력케이블을 통해 하나 이상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입력포트는 설정된 IP주소를 가져 상기 메인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방송신호 중에서 자신의 IP주소와 동일한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만을 전달받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메인 방송서버는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가 상기 메인 입력케이블을 통해 하나 이상 전송되도록 하되,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는 서로 다른 IP주소가 할당되어 상기 메인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방송신호 중에서 자신의 IP주소와 동일한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만을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IP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IP주소 정보를 상기 메인 방송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메인 방송서버의 오디오 방송신호에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에서 상기 컨트롤러는 DHCP 서버모듈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는 상기 앰프모듈과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원공급모듈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포트에 접속된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감지하여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될 시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전원제어모듈을 포함하여 저전력으로 운용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는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앰프모듈과 출력포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세트(set)를 이루는 출력포트 각 쌍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퓨즈를 더 포함하여, 각 퓨즈가 연결된 출력포트 한쌍에 접속된 스피커선 한쌍의 합선시 해당 퓨즈가 끊어지면서 상기 앰프모듈과 해당 출력포트 한쌍 사이를 단선시켜 상기 앰프모듈과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메인 방송서버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에 의하면, IP주소가 할당되는 입력포트나 출력포트를 통해 IP주소가 할당된 메인 방송서버의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아 구역별 개별 오디오 방송이나 스피커별 개별 오디오 방송을 수행할 수 있음에 따라, 적응성 및 확장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는 전원제어모듈을 통해 오디오 방송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서 동작이 활성화되도록 함에 따라,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피커에 연결된 스피커선 세트의 합선시 해당 스피커와 앰프모듈 간 연결이 퓨즈에 의해 끊어지는 구성의 제공으로, 앰프모듈이나 입력포트에 연결된 메인 방송서버가 합선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보호되어 고장이 방지될 수 있고, 스피커선이 합선되지 않은 스피커로는 계속해서 오디오 방송이 출력될 수 있어 오디오 방송 안정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의 입력포트에 IP주소가 할당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의 출력포트에 IP주소가 할당되는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의 저전력 제어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오디오 방송 시스템, IP 네트워크, 방송서버, 앰프, 스피커, 퓨즈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도 1에서와 같이 본체 하우징(10), 입력포트(20), 복수개의 출력포트(30), 앰프모듈(40), 컨트롤러(50), 전원공급모듈(60), 전원제어모듈(7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체 하우징(10)은 전면 컨트롤패널(11)과 후면 접속패널(12)을 갖는 것으로, 입력포트(20), 복수개의 출력포트(30), 앰프모듈(40), 컨트롤러(50), 전원공급모듈(60), 전원제어모듈(70)이 설치된다.
입력포트(20)는 본체 하우징(10)의 후면 접속패널(12)에 배치되는 것으로, 메인 방송서버(200)와 연결된 메인 입력케이블이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입력포트(20)는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복수개의 출력포트(30)는 본체 하우징(10)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스피커(300)와 연결된 복수개의 스피커 케이블이 접속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출력포트(30)는 각 스피커 케이블로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앰프모듈(40)은 본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입력포트(20)와 출력포트(3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입력포트(20)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포트(30)로 전달하게 된다.
컨트롤러(50)는 본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전면 컨트롤패널(11)과 앰프모듈(40)에 각각 연결되는 것으로, 전면 컨트롤패널(11)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앰프모듈(4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50)는 DHCP 서버모듈로 구성되어 입력포트(20)와 출력포트(3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IP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IP주소 정보를 메인 방송서버(200)로 전달하여 메인 방송서버(200)의 오디오 방송신호에 입력포트(20)와 출력포트(30)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모듈(60)은 앰프모듈(40)과 컨트롤러(5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전원제어모듈(70)은 본체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되어 입력포트(20)에 연결되는 것으로, 입력포트(20)에 접속된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감지하여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될 시 전원공급모듈(60)을 활성화시키게 된다. 또한, 전원제어모듈(70)은 앰프모듈(40)을 활성화시켜 오디오 방송신호가 증폭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전원제어모듈(7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저전력으로 운용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입력포트(20)가 설정된 IP주소를 가지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메인 방송서버(200)는 도 3에서와 같이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를 메인 입력케이블을 통해 하나 이상 유니캐스팅 전송되도록 한다. 이 경우, 중간서버(100)의 입력포트(20)는 메인 방송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방송신호 중에서 자신의 IP주소와 동일한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만을 전달받음으로써 중간서버(100)가 배치되는 각 구역별로 개별 오디오 방송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도 4에서와 같이 복수개의 출력포트(30)가 서로 다른 IP주소를 할당받도록 할 수 있는데, 이에 대응하여 메인 방송서버(200)는 도 5에서와 같이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를 메인 입력케이블을 통해 하나 이상 브로드캐스팅 전송되도록 한다. 이 경우, 중간서버(100)의 출력포트(30)는 메인 방송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방송신호 중에서 자신의 IP주소와 동일한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만을 전달받아 각각의 스피커(300)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중간서버(100)와 연결된 각 스피커(300)가 배치되는 위치별로 개별 오디오 방송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도 6에서와 같이 앰프모듈(40)과 복수개의 출력포트(30) 사이에 접속제어모듈(80)이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속제어모듈(80)은 전원제어모듈(70)와 연결된 컨트롤러(50)에 의해 제어되는 것으로, 전원제어모듈(70)에 의해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되면 컨트롤러(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접속제어모듈(80)은 앰프모듈(40)과 출력포트(3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시에는 컨트롤러(50)의 제어신호에 의해 접속제어모듈(80)은 앰프모듈(40)과 출력포트(30)를 전기적으로 비접속시키게 된다. 이를 통해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될 시에만 중간서버(100)의 출력포트(30)가 동작하므로, 저전력 기능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본체 하우징(10)에 설치되어 앰프모듈(40)과 출력포트(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퓨즈(90)를 더 구비하는데, 각 퓨즈(90)는 세트(set)를 이루는 출력포트 각 쌍에 각각 독립적으로 병렬 연결된다. 이에 따라, 각 퓨즈(90)가 연결된 출력포트(30) 한쌍에 접속된 스피커선 한쌍의 합선시 해당 퓨즈(90)가 끊어지면서 앰프모듈(40)과 해당 출력포트(30) 한쌍 사이를 단선시켜 앰프모듈(40)과, 입력포트(20)에 연결되는 메인 방송서버(200)로 과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함으로써 앰프모듈(40)과 메인 방송서버(200)가 보호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복수개의 퓨즈(90)는 본체 하우징(10)의 전면 컨트롤패널(11)에 형성된 복수개의 퓨즈 교환홀더(95)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어 앰프모듈(40)과 출력포트(3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입력포트(20)나 출력포트(30)에 IP주소가 할당되고, 메인 방송서버(200)로부터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아 구역별 개별 오디오 방송이나 스피커별 개별 오디오 방송이 가능하여 적응성 및 확장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전원제어모듈(70), 접속제어모듈(80)을 통해 저전력 오디오 방송신호가 전달되는 시점에서만 중간서버(100)의 동작이 활성화되므로 전력소모가 최소화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100)는 스피커(300)에 연결된 스피커선 세트의 합선시 해당 스피커(300)와 앰프모듈(40) 간 연결이 퓨즈(90)에 의해 끊어지도록 함에 따라, 앰프모듈(40)이나 입력포트(20)에 연결된 메인 방송서버(200)가 합선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보호되어 고장이 방지될 수 있고, 스피커선이 합선되지 않은 스피커(300)로는 계속해서 오디오 방송이 출력될 수 있어 오디오 방송 안정성이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본체 하우징 11 : 전면 컨트롤패널
12 : 후면 접속패널 20 : 입력포트
30 : 출력포트 40 : 앰프모듈
50 : 컨트롤러 60 : 전원공급모듈
70 : 전원제어모듈 80 : 접속제어모듈
90 : 퓨즈 95 : 퓨즈 교환홀더
100 :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200 : 메인 방송서버 300 : 스피커

Claims (7)

  1. 전면 컨트롤패널과 후면 접속패널을 갖는 본체 하우징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고,
    메인 방송서버와 연결된 메인 입력케이블이 접속하게 되며, 상기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받게 되는 입력포트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후면 접속패널에 배치되고, 복수개의 스피커와 연결된 복수개의 스피커 케이블이 접속하게 되며, 각 스피커 케이블로 오디오 방송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복수개의 출력포트와;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입력포트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증폭하여 상기 출력포트로 전달하게 되는 앰프모듈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전면 컨트롤패널과 앰프모듈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전면 컨트롤패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앰프모듈의 작동을 제어하게 되되,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IP주소를 할당하고, 할당된 IP주소 정보를 상기 메인 방송서버로 전달하여 상기 메인 방송서버의 오디오 방송신호에 상기 입력포트와 출력포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IP주소가 할당될 수 있도록 하는 DHCP 서버모듈로 이루어지는 컨트롤러와;
    상기 앰프모듈과 컨트롤러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전원공급모듈과;
    상기 본체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입력포트에 접속된 메인 입력케이블로부터 전달되는 오디오 방송신호를 감지하여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될 시 상기 전원공급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전원제어모듈과;
    상기 앰프모듈과 복수개의 출력포트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제어모듈과 연결된 상기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전원제어모듈에 의해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앰프모듈과 출력포트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되고, 오디오 방송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시에는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앰프모듈과 출력포트를 전기적으로 비접속시키게 되는 접속제어모듈과;
    상기 본체 하우징에 설치되어 상기 앰프모듈과 출력포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세트(set)를 이루는 출력포트 각 쌍에 각각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복수개의 퓨즈를 포함하여
    각 퓨즈가 연결된 출력포트 한쌍에 접속된 스피커선 한쌍의 합선시 해당 퓨즈가 끊어지면서 상기 앰프모듈과 해당 출력포트 한쌍 사이를 단선시켜 상기 앰프모듈과 상기 입력포트에 연결되는 메인 방송서버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메인 방송서버가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를 상기 메인 입력케이블을 통해 하나 이상 유니캐스팅 전송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입력포트에 IP주소를 할당하여 설정된 IP주소를 갖는 상기 입력포트를 통해 상기 메인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방송신호 중에서 자신의 IP주소와 동일한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만을 전달받게 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 방송서버가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를 상기 메인 입력케이블을 통해 하나 이상 브로드캐스팅 전송시키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복수개의 출력포트에 서로 다른 IP주소를 할당하여 상기 메인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오디오 방송신호 중에서 자신의 IP주소와 동일한 IP주소가 할당된 오디오 방송신호만을 전달받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21536A 2013-02-27 2013-02-27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KR101297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36A KR101297117B1 (ko) 2013-02-27 2013-02-27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1536A KR101297117B1 (ko) 2013-02-27 2013-02-27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7117B1 true KR101297117B1 (ko) 2013-08-21

Family

ID=49220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1536A KR101297117B1 (ko) 2013-02-27 2013-02-27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7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64B1 (ko) * 2014-07-15 2015-07-09 (주)신화유디텍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76A (ko) * 2002-07-23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4579A (ko) * 2004-10-19 2006-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방송 스트림 데이터전송 방법
KR20070048856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아이큐브 가정내의 tv 신호 또는 동영상 신호에 대한 원격지 수신시스템과, 홈 네트워크상의 튜너와, 홈네트워크와 원격지에위치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가정내의 tv 신호또는 동영상 신호에 대한 원격지 재생을 관리하는 ip관리서버
KR20080072403A (ko) * 2007-02-02 2008-08-06 이두열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방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9376A (ko) * 2002-07-23 2004-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티브이의 전원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60034579A (ko) * 2004-10-19 2006-04-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Ip 기반 방송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방송 스트림 데이터전송 방법
KR20070048856A (ko) * 2005-11-07 2007-05-10 주식회사 아이큐브 가정내의 tv 신호 또는 동영상 신호에 대한 원격지 수신시스템과, 홈 네트워크상의 튜너와, 홈네트워크와 원격지에위치하는 외부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가정내의 tv 신호또는 동영상 신호에 대한 원격지 재생을 관리하는 ip관리서버
KR20080072403A (ko) * 2007-02-02 2008-08-06 이두열 인터넷을 이용한 가정용 방송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4564B1 (ko) * 2014-07-15 2015-07-09 (주)신화유디텍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midt et al. Base deployment for multicast listener support in Proxy Mobile IPv6 (PMIPv6) Domains
US20070066316A1 (en) Multi-channel Internet protocol smart devices
US8536733B2 (en) Master and slave power outlet system
US20110254366A1 (en) Data transmission device
AU2017268383B2 (en) Self-powered loudspeaker for sound masking
KR101297117B1 (ko) 오디오 방송용 앰프일체형 ip 네트워크 중간서버
NL2006494C2 (en) Isolator device for passing through a signal.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US201600884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on-demand audio processing, a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CN101764654A (zh) 使用多个无线转发实现可寻址广播的定压广播系统
KR200395538Y1 (ko) 직류 전원 분배반
KR100722531B1 (ko) 직류 전원 분배반
CN110089133B (zh) 用于监测至少一个扬声器线的方法和装置
KR20220000322U (ko) 오디오 시스템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US10912019B2 (en) Distributed wireless intercom audio routing over ethernet with synchronization and roaming
US1095105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lligent power distribution
CN210431441U (zh) 一种公共广播播放器
US20130064389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modular on-demand audio processing, amplification and distribution
ES2733819T3 (es) Sistema de comunicaciones para la comunicación de voz
KR101801551B1 (ko) 전력선 통신 장치
KR20080025769A (ko) Plc 스피커 시스템
KR20240003909A (ko) 원격 스피커 제어시스템의 비상방송장치
US20030223594A1 (en) Muting circuit for computer having dual audio boards
KR20210091474A (ko) 부하 회로 단락시 송출기 보호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