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322U - 오디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322U
KR20220000322U KR2020200002763U KR20200002763U KR20220000322U KR 20220000322 U KR20220000322 U KR 20220000322U KR 2020200002763 U KR2020200002763 U KR 2020200002763U KR 20200002763 U KR20200002763 U KR 20200002763U KR 20220000322 U KR20220000322 U KR 202200003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unit
speaker
input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7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희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2000027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0322U/ko
Publication of KR202200003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32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5Management of the audio stream, e.g. setting of volume, audio stream pat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02Manually-operated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3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for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Otolaryng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 입력부, 및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대응하는 오디오 케이블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그리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스피커부에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AUDIO SYSTEM}
본 개시는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관방송에 사용되는 오디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빌딩이나 관공서, 학교, 항만, 공항 등의 대형시설물에 구축되는 음향설비이다. 전관방송 시스템은 평상시에는 일반 공지 방송이나 안내 방송을 출력하고, 비상 시 비상 경고음 내지 대피 안내 방송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편, 선박은 물 위를 운행하여 사람과 화물을 수송하는 구조물로서 사람이나 물건 등을 대량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선박의 크기가 대형화되는 추세에 따라,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의 선내/외에는, 효율적으로 선박의 운용 상황, 안내 사항 등을 선내에 안내하기 위한 전관방송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상에는 선박 내 통로, 선실, 공공 장소, 및 기술실에 여러 유형의 오디오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선박, 해양 플랜트 등과 같은 해양 구조물에는 각종 전기 설비들이 많이 사용되기 때문에 이에 필요한 케이블의 설치 및 포설이 따르게 된다. 그러나, 설계나 생산 단계에서 예상치 못한 케이블의 변경이 요구되는 경우가 있다.
실시 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새로운 케이블의 설치와 포설 없이도 이미 설치되고 포설된 오디오 시스템의 구역을 변경하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복수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 입력부, 및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대응하는 오디오 케이블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그리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스피커부에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는, 푸쉬스위치(Push Switch), 택트스위치(Tact Switch), 토글스위치(Toggle Switch), 슬라이드스위치(Slide Switch), 라커스위치(Rocker Switch), 딥스위치(Dip Switch), 및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스피커부는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 및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는 스피커부의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신호를 출력하고, 스피커부는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이 조절되도록, 볼륨 조절 신호에 따라 볼륨 조절부 내부의 저항을 조절할 수 있다.
스위치부는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제1 오디오 케이블과 볼륨 조절부가 연결되거나 또는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제2 오디오 케이블과 볼륨 조절부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는, 스피커부에 대한 정보를 나타내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부에 대한 정보는, 스피커부가 설치된 위치, 스피커가 설치된 구역, 스피커부의 볼륨에 대한 정보, 스피커부가 연결되어 있는 오디오 케이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 장치는 복수 개로 구성되고,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모두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설계나 생산 단계에서 별도의 회로를 구성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계에서 구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구역을 용이하게 변경함으로써 한정된 장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많은 비용과 노동을 필요로 하는 선로의 새로운 설치나 포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구역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저렴한 비용으로 구역의 용도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가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가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10)의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10)은 오디오 장치(100) 및 스피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도 1에는 하나의 스피커부(150) 만이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오디오 장치(100)에 복수의 스피커부(150)가 연결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소스 단자(1001a), 볼륨 조절 단자(1001b), 및 전원 공급 단자(1001c)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오디오 소스 단자(1001a)를 통해 오디오 장치(100)에 연결된 스피커부(150)에 오디오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볼륨 조절 단자(1001b)를 통해 오디오 장치(100)에 연결된 스피커부(150)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는 전원 공급 단자(1001c)를 통해 오디오 장치(100)에 연결된 스피커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단자(1001a)로부터 스피커부(150)에 전달되는 오디오 신호는 안내 방송, 긴급 방송 등과 같이 오디오 시스템이 설치된 장소에 맞게 운영자에 의해 제작된 음원일 수 있으며, 라디오 방송 등과 같이 외부에서 수신되는 음원이 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볼륨 조절 단자(1001b)를 통해 스피커부(150)에 출력되는 볼륨 조절 신호에 따라 스피커부(150) 내부의 저항이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부(15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의 세기가 조절된다.
전원 공급 단자(1001c)를 통해 스피커부(15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스피커부(15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피커부(150)에 과도한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는 전원 공급 단자(1001c)에 연결된 스피커부(150) 내부의 케이블 상의 퓨즈가 끊어질 수 있다.
스피커부(150)는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청각적으로 출력한다. 스피커부(150)는 볼륨 조절부(151), 앰프(amp)(153), 및 스피커(155)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00)로부터 출력되는 볼륨 조절 신호에 의해 볼륨 조절부(151) 내부의 저항이 변경되고, 이에 따라 스피커(155)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음향의 볼륨을 조절할 수 있다.
앰프(153)는 오디오 소스 단자(1001a)를 통해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5)로 전달한다.
스피커(155)는 앰프(153)로부터 전달받은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피커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동일한 오디오 소스 출력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부(150)는 하나의 루프 내에 위치된다고 표현한다.
예를 들어, 선박은 용도에 따라 복수 개의 구역, 예컨대 휴식을 위한 구역, 식사를 위한 구역, 유흥을 위한 구역, 생활을 위한 구역, 선박의 항해에 필요한 기관실 구역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역에 따라 스피커의 위치 및 필요한 스피커의 개수 등이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각 구역에 위치되는 스피커의 위치 및 개수가 함께 고려되어 케이블이 미리 설치되고 포설되어 있을 수 있다.
다만, 후발적인 이유로 설계 단계에서 계획된 구역의 용도와 실제 용도 간에 차이가 생기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식사를 위한 구역이 휴식을 위한 구역과 유흥을 위한 구역으로 나뉘는 경우에, 구역을 분리하기 위해서는 미리 설치되고 포설되어 있는 케이블을 이외에 새로운 케이블을 다시 설치하고 다시 포설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오디오 시스템에서는 스피커부(150)에 하나의 오디오 소스 단자(1001a)를 가지는 오디오 장치(100)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구역을 변경하는 것은 이미 설치된 케이블을 재설치하고 재포설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구역의 변경에는 구역의 용도를 변경하거나 구역을 재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과도한 노동이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2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오디오 장치(200)는 사용자 입력부(210), 오디오 소스 입력부(212), 표시부(214), 인터페이스부(216), 제어부(218), 및 전원 공급부(220)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1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오디오 장치(200)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전원 공급 신호, 스피커부(150)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입력부(212)에는 스피커부(150)를 통해 출력하고자 하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는 복수 개일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입력부(212)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및 오디오 I(Input) 포트(port) 등일 수 있다.
표시부(214)는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되는 스피커부(150)에 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스피커부(150)에 대한 정보는, 예를 들어, 스피커부(150)가 설치된 위치, 스피커가 설치된 구역, 스피커의 볼륨에 대한 정보, 스피커부(150)가 연결되어 있는 오디오 소스 입력부(21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14)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214)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 입력부(210)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16)는 복수의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16)는 오디오 소스 입력부(212)에 입력된 오디오 소스를 출력하기 위한 오디오 소스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입력부(212)에 입력된 오디오 소스가 복수 개인 경우에, 인터페이스부(216)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오디오 소스 단자 중 대응하는 오디오 소스 단자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216)는 사용자 입력부(210)에 의해 생성된 볼륨 조절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볼륨 조절 단자, 스피커부(1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18)는 오디오 장치(2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8)는 사용자 입력부(210)에 의해 생성된 전원 공급 신호에 따라 전원 공급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8)는 전원 공급부(220)로 하여금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전원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218)는 사용자 입력부(210)에 의해 생성된 볼륨 조절 신호를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18)는 표시부(214)로 하여금 스피커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0)는 제어부(218)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오디오 장치(2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220)는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전원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부(220)는 배터리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 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2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회로도이다.
오디오 시스템(20)은, 오디오 장치(200) 및 스피커 장치(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도 3에서 오디오 장치(200)에는 일 예시의 인터페이스부(216) 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3의 오디오 장치(200)는 2개의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2001a´)가 도시되었으나, 오디오 소스 단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도 3에는 하나의 스피커 장치(300) 만이 도시되었으나, 하나의 오디오 장치(200)에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가 연결될 수도 있다.
오디오 장치(200)의 인터페이스부(216)는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볼륨 조절 단자(2001b), 전원 공급 단자(2001c)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및 오디오 소스 단자(2001a´)는 별개의 단자로서, 각각 별개의 오디오 신호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구역 내에서는 동일한 오디오가 출력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구역의 용도에 따라 그 구역에서 출력되는 오디오는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오디오 소스 단자(2001a)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부는 하나의 루프 내에 위치하며, 오디오 소스 단자(2001a´)에 연결되어 있는 스피커부는 상기 루프와 상이한 하나의 루프 내에 위치한다. 예컨대, 오디오 소스 단자(2001a)에는 휴식을 위한 구역에 출력되는 오디오 소스가 입력될 수 있고, 오디오 소스 단자(2001a´)에는 식사를 위한 구역에 출력되는 오디오 소스가 입력될 수 있다.
스피커 장치(300)는 스위치부(250) 및 스피커부(150)를 포함한다.
스위치부(250)의 스위치는 각 회로 상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2001a´)와 스피커부(15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스위치부(250)는 복수의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2001a´) 중 어느 하나를 스피커부(150)에 연결할 수 있다.
스위치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는, 푸쉬스위치(Push Switch), 택트스위치(Tact Switch), 토글스위치(Toggle Switch), 슬라이드스위치(Slide Switch), 라커스위치(Rocker Switch), 딥스위치(Dip Switch), 로터리 스위치(Rotary Switch) 등일 수 있다.
스피커부(150)는 스위치부(250)를 통해 전달받은 오디오 소스 단자(2001a, 2001a') 중 하나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것이다.
도 4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가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a, 300a´, 300a½)들은 제1 루프(L1) 내에 위치되고, 오디오 장치(200) 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b, 300b´, 300b½)들은 제2 루프(L2) 내에 위치된다. 제1 루프(L1)와 제2 루프(L2)는 별개의 구역일 수 있으며, 상이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250a, 250a´, 250a½)는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케이블 1(C1)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부(150a, 150a´, 150a½)는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케이블 1(C1)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부(250b, 250b´, 250b½)는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케이블 2(C2)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피커부(150b, 150b´, 150b½)는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케이블 2(C2)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1 루프(L1) 및 제2 루프(L2) 내의 복수의 스피커 장치들은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케이블 3(C3)에 출력하는 볼륨 조절 신호에 의해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1 루프(L1) 및 제2 루프(L2) 내의 복수의 스피커 장치들은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케이블 4(C4)에 공급하는 전원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가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경우를 도시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도 5에서, 스피커 장치(300a½)의 스위치부(250a½)는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케이블 2(C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스피커부(150a½)는 오디오 장치(200)가 인터페이스부(216)를 통해 케이블 2(C2)로 출력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a, 300a´)들은 제1 루프(L1) 내에 위치되고, 오디오 장치(200)에 연결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300b, 300b´, 300b½, 300a½)들은 제2 루프(L2) 내에 위치된다.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20)은 케이블의 변경 없이도 스위치부(250a, 250a´, 250a½, 250b, 250b´, 250b½)의 스위칭만으로 복수의 스위치 장치(300a, 300a´, 300a½, 300b, 300b´, 300b½)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 단계에서 구역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미리 설계된 구역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함으로써 장소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은, 새로운 선로의 설치나 포설을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구역을 변경할 수 있으므로, 저렴한 비용으로 구역의 용도 변경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로 변형 및 개량한 형태 또한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복수의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소스 입력부,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신호를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대응하는 오디오 케이블에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오디오 장치, 그리고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오디오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스피커부에 입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를 포함하는 오디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부는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볼륨 조절부,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앰프, 및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음향으로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스피커부의 음향의 볼륨을 조절하는 볼륨 조절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스피커부는 출력되는 음향의 볼륨이 조절되도록, 상기 볼륨 조절 신호에 따라 상기 볼륨 조절부 내부의 저항을 조절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제1 오디오 케이블과 상기 볼륨 조절부가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복수의 오디오 케이블 중 제2 오디오 케이블과 상기 볼륨 조절부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오디오 시스템.
KR2020200002763U 2020-07-28 2020-07-28 오디오 시스템 KR2022000032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63U KR20220000322U (ko) 2020-07-28 2020-07-28 오디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763U KR20220000322U (ko) 2020-07-28 2020-07-28 오디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322U true KR20220000322U (ko) 2022-02-04

Family

ID=80254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763U KR20220000322U (ko) 2020-07-28 2020-07-28 오디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0032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87B1 (ko) * 2022-12-08 2023-06-13 (주)파브미디어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1487B1 (ko) * 2022-12-08 2023-06-13 (주)파브미디어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3902B2 (en) Multi-channel broadcasting system using digital matrix amplifi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0505535B1 (ko) 스피커의 출력제어장치
KR20220000322U (ko) 오디오 시스템
KR20210040525A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KR20070103579A (ko) 전관방송 시스템
KR20130068862A (ko) 복수개의 스피커를 운용하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US9524294B2 (en) Circuitry for a commentator and/or simultaneous translator system, operating unit and commentator and/or simultaneous translator system
US20100195845A1 (en) Networked intercom node for a networked audio distribution system
KR100417495B1 (ko) 매트릭스 회로를 통한 스피커 및 앰프 제어구조를 갖는방송시스템
KR20130060781A (ko) 파워앰프와 스피커간의 풀 매트릭스 방식을 이용한 다중화 방송 시스템
KR101017681B1 (ko) 디지털 네트워크 방송 시스템
KR100923488B1 (ko) 지역방송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관방송시스템
US20140173433A1 (en) System for controlling sounds and images through three-dimensional matrix circuit
KR100671940B1 (ko) 중앙 방송과 국부 방송의 통합이 가능한 방송 장치
KR20120015051A (ko) 선박 알람 방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755205B1 (ko) 중 고등 학교 방송 및 소방 시스템
KR200477095Y1 (ko) 비상방송용 기기의 설치구조
KR102633023B1 (ko) 매트릭스 다원화 방송을 이용한 소비전력 제어 시스템
KR200427297Y1 (ko) 양방향 구내 방송용 제어장치
CN110495141A (zh) 用于飞机的用于传输模拟音频信号的组件和方法
KR100393397B1 (ko) 멀티 입출력 제어시스템
KR102049464B1 (ko) 에너지 절약형 방송장치
JP2001045598A (ja) 放送装置における遠隔操作器用接続ラインの検査装置
CN210721080U (zh) 电子语音装置
KR20060040872A (ko) 마이크 선택 제어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