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1487B1 -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1487B1
KR102541487B1 KR1020220170199A KR20220170199A KR102541487B1 KR 102541487 B1 KR102541487 B1 KR 102541487B1 KR 1020220170199 A KR1020220170199 A KR 1020220170199A KR 20220170199 A KR20220170199 A KR 20220170199A KR 102541487 B1 KR102541487 B1 KR 102541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line
speaker
control device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0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오영
Original Assignee
(주)파브미디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브미디어 filed Critical (주)파브미디어
Priority to KR1020220170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12Arrangements for observation, testing or troubleshoo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5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emergency or urg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8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broadcast information itself
    • H04H20/88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30/00Signal processing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30/01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oun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제1 내지 제N 채널 각각의 2선식 앰프와 스피커 단 사이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상기 제1 회로 또는 상기 앰프와 스피커 단과 접점을 구성하는 제2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는 조절된 음량에 따른 스위치의 단락을 통해 음량을 결정하되, 비상시 제1 회로가 단락되고 제2 회로를 통해 상기 앰프와 스피커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실 내부에서 각 채널 별 음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선로 공사 없이 다양한 음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Audio output control device for a plurality of broadcast transmission spaces}
본 발명은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로 오디오 출력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관 방송 시스템은 학교, 기업체, 빌딩, 아파트 등 공중 설비에 대한 안내방송, 음악방송 등에 사용되는 다목적 방송 시스템으로 전관방송 시스템은 전관방송 제어장치와, 오디오 매트릭스와, 파워 앰프와, 릴레이 그룹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전관 방송 시스템은 앰프에 연결된 회로로 개별 출력 볼륨제어가 불가능하여 스피커가 설치된 각 구역 별로 별도의 감쇄기를 통한 볼륨 제어를 수행하는데 따라서 각 구역에 개별적인 볼륨 감쇄기(ATT, Attenuator)를 설치한 2선식 스피커 배선 시스템의 경우 비상 신호 입력 시 화재 방송 등 비상 방송이 출력이 제한되거나 작은 볼륨으로 출력됨에 따라 위급 상황에 대한 대처를 지연시킬 수 있다.
또는, 각 스피커 선로의 단락(short)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스피커 선로에서는 비상방송이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행 기술로 선행특허문헌 1(한국등록특허공보 KR10-2015326 (2019.08.22))는 스피커 선로의 각 채널 별로 대용량 가변저항을 연결하고 이들을 앰프 장치의 출력 채널에 병렬 연결하여 구성함으로써 정상상태에서 각 스피커 라인의 전기적 특성에 적응적으로 설정하며 스피커 선로의 일부에서 단락이 발생하더라도 대용량 저항소자가 임계 한도까지는 전류 증가를 수인해주어 다른 층의 비상방송은 사운드의 크기만 약간 감쇄될 뿐 방송 자체는 작동할 수 있도록 해주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제어실에 설치되어 비상신호 접점 입력 시 전채 채널에 대한 비상방송을 최대로 출력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실 내부에서 각 채널 별 음량 출력 현황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감쇄기의 개별 작업에 따른 별도 선로 공사 없이 출력 제어가 가능한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제1 내지 제N 채널 각각의 2선식 앰프와 스피커 단 사이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상기 제1 회로 또는 상기 앰프와 스피커 단과 접점을 구성하는 제2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는 조절된 음량에 따른 스위치의 단락을 통해 음량을 결정하되, 비상시 제1 회로가 단락되고 제2 회로를 통해 상기 앰프와 스피커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앰프와 스피커는 출력 라인과 공통 라인으로 구성된 입출력 라인을 갖고,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출력 라인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앰프와 스피커는 출력 라인과 공통 라인으로 구성된 입출력 라인을 갖고,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출력 라인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 라인은 병렬 연결되는 제1 라인과 제2 라인으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제1 라인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2 라인의 단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한다.
3선식 앰프 또는 스피커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3선식 라인의 비상 라인과 연결되도록 하는 제4 회로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피커의 출력 전압으로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2 라인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1 라인은 단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트랜스포머가 상기 스피커의 출력 전력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한편,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이체 정보 판단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실 내부에서 각 채널 별 음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선로 공사 없이 다양한 음량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급 상황 발생시 조절된 음량을 일원화하여 높임으로써 비상 상황의 방송에 대한 대응을 신속하게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실 내부에서 각 채널 별 음량 출력 현황 모니터링함으로써 특정 구역의 선로 노후화에 따라 방송이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량 제어를 위한 회로들의 계층적 구성을 통해 개별적 제어와 그룹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통한 볼륨 조절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통한 볼륨 조절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통한 공간 특징 별 볼륨 조절 회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컴퓨팅 장치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 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외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관 방송 시스템은 N개의 채널로 구성된 앰프(110)와 스피커(120) 및 스피커(120)와 앰프(110) 사이에서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앰프(110)의 구체적인 동작으로 프리앰프에서 조정된 신호는 전력용 앰프(110)로 전달되고, 제어 장치(130) 내 릴레이 장치(132)의 회로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가변저항에 의해 정해진 게인만큼 앰프(110)에서 조정되어지도록 한다. 이를 통해 중앙의 제어 장치(130)가 스피커(120)를 결정된 볼륨에 따른 적합한 전력으로 증폭되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4)는 볼륨의 조절과 비상 방송을 위한 접속을 설정할 수 있다. 조작부는 물리적 스위치 형태에 따라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널 혹은 CPU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13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수신하여 처리하고, 출력을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4)는 시각적으로 상태를 제시하기 위한 LED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부(134-3)를 통해 제공하며 키 컨트롤러(134-1)를 통해 볼륨 등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34-3)는 LED와 같은 다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130)의 제어에 따라 각각의 발광소자를 제어하여 스피커(120)의 고장 여부에 대응되는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34-3)는 이러한 발광소자 외 디스플레이 패널을 통해 시각화된 이미지로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으로 볼륨의 조절과 상태를 판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34)는 컴퓨팅 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직접 표시될 수 있고, 특정 공간 내 음량을 제어하는 것을 보조하거나 스피커(120)의 출력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인터페이스부(134)는 장애상황에 대한 복구나 원격 모니터링과 같은 관리 서비스를 제공해주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인터페이스부(134)는 로컬 통신을 위한 LAN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디지털 직렬 통신, 접점 라인 상에서의 통신 및 그 밖의 다양한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방식의 통신 모듈(146, CAN Control)을 포함한다. 통신 모듈은 오디오 스트리밍이나 원격 제어를 위한 명렬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그 외 외부의 입력 장치(144) (RS 232, 485)를 통해 다양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인터페이스들도 포함한다.
입력된 신호를 제어 신호로 사용할 수 있거나, 입력된 신호에 기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하고 출력할 수 있다. 그러한 제어 신호는 제어 장치의 볼륨 제어를 위해 이에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입력 장치들은 인터페이스를 통해 다양한 소스로서 음원이나, FM/AM 라디오 등을 통한 오디오 신호를 추가적인 인터페이스입력 받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제어 장치(130)를 통해 오디오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릴레이 장치(132)는 주어진 레벨의 오디오 신호가 전파되는 것이 가능한 선로와 접속되며 오디오 라인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릴레이 장치(132)의 입력 오디오 신호는 제어 장치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앰프(110)를 거쳐 증폭된 후에 대응하는 오디오 라인을 통해 스피커(120)의 출력 기대 레벨로 증폭하여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는 인터페이스부(134)로부터 볼륨 제어 출력 신호에 근거하여 음원의 출력 레벨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30)는 앰프(110)와 스피커(120) 회선과의 사이의 접속으로서 볼륨의 조절과 비상 방송에 따른 접속을 제어한다.
제어 장치(130)의 조작에 따라 앰프(110)의 신호 출력은 조절될 수 있으며 앰프(110)의 신호 출력을 입력으로 스피커(120)는 조절된 음량의 오디오 신호를 공간 내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30)는 볼륨의 조절을 위한 회로와 비상시 오디오 송출을 위한 회로를 스피커(120)의 2선식 입력과 병렬로 구성함으로써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120)는 2선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앰프(110)의 출력 역시 2선식으로 제1 라인(HOT), 제2 라인(COM)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라인의 경우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회로(132-1)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로(132-2)는 제1 회로(132-1) 또는 앰프(110)와 스피커(120) 단과 접점을 선택적으로 구성함으로써 보다 상위 계층의 제어 신호에 따른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30)를 통해 신호를 조절하는 릴레이 장치(132)는 이상의 병렬 회로로서 제1 회로(132-1)는 조절된 음량에 따른 스위치의 단락을 통해 변경되는 저항의 크기로 음량을 결정하되, 비상시 제1 회로(132-1)가 단락되고 제2 회로(132-2)를 통해 상기 앰프(110)와 스피커(120)가 연결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132-1)는 가변 저항을 통해 출력 신호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제1 회로(132-1)는 복수의 스위치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저항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하며, 특정 저항에 해당하는 스위치의 연결 및 병렬적인 스위치의 연결을 통해 보다 다양한 저항을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가변 저항을 통하여 스위치의 단락 여부에 따라 -∞, -10, -4, 0DB의 네 단계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제1 회로(132-1)는 선로 자체의 단선이나 길이 등의 환경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전류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건물에 방송 시스템을 구축할 때에 스피커(120) 설치 환경으로 스피커(120)의 개수와 거리에 따른 선로의 길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스피커(120) 라인의 임피던스가 공간마다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공간 내에 설치된 복수의 스피커(120) 각각의 합산 전력에 따라 상이한 볼륨의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즉, 가변저항의 정상 상태에서의 각각의 볼륨을 일정하게 조절하기 위해 선로의 길이를 고려한 스피커(120) 라인의 임피던스에 대응하여 그 저항 값을 상이하게 스위칭 되도록 제어 장치(130)가 동작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제1 회로(132-1)는 각 공간 별 임피던스 편차를 보상할 수 있도록 정상 상태에서 그 해당하는 스피커(120) 라인의 임피던스 값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저항 소자의 저항 값이 설정되어 해당 스피커(120) 라인에 인가되는 스피커(120) 구동 신호의 전류 값을 물리적인 선로의 길이에 영향이 없이 균일하게 조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비상상태의 비상 신호에 대한 대응을 위해 제2 회로(132-2)를 추가로 구성한다.
즉, 제1 회로(132-1)의 스위치(132-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회로(132-2)와 접점을 구성하는 제어 회로(132-22)로 다른 계층의 신호에 따라 동작 될 수 있으며 따라서 양 신호의 중복에 따른 볼륨 제어의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출력 라인은 병렬 연결되는 제1 회로(132-1)와 제2 회로(132-2)로 구성되되 해당 계층 구조에 따라 제1 회로는 제1 라인(HOT)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132-12)를 포함하고, 제2 회로는 비상 신호에 따른 최대 볼륨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제1 회로의 단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제어 회로(132-22)를 포함한다.
즉, 제어 신호는 이상의 회로 구분에 따른 식별 정보를 파라미터로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선택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1 라인의 제2 회로(132-2)와 제2 라인을 연결하는 연결 선로(132-23)를 추가로 구성함으로써 스위치(132-12)가 모두 개방된 상태에서 앰프 측의 제1 라인의 신호가 스피커측이 아닌 앰프측의 제2 라인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며 잔류 신호에 따른 노이즈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인 스피커(120)의 구조에 따른 대응이 가능하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고하면 특정 공간에 대해 3선식 스피커(120)와 연결되는 경우 제2 라인은 3선식 라인의 비상 출력 라인(EM) 과 연결되도록 하는 제4 회로(13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비상 신호로 화재신호가 없을 경우에 EM 배선선로는 제어 회로(132-22)를 통해 제2 라인과 단락되며, 제1 라인의 저항은 상술한 제1 회로의 스위칭 상태에 따라 스피커(120) 출력을 감쇄시켜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30)는 스피커(120)의 출력 전압으로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회로(132-22) 내 트랜스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격 입력에 따른 전력의 차이에 따라 보다 높은 전압으로 신호를 원거리에 송신하기 하건, 또는 특정 공간에 대해 복수의 스피커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트랜스포머를 통하여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3에서 각각의 제1 회로와 제2 회로의 단락을 결정하는 연결 회로는 병렬로 연결되되 접점에 따라 고정된 전압을 갖는 트랜스포머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특정 공간에 대해 보다 원거리의 송신이 필요한 경우 트랜스포머를 통한 제어가 필요할 수 있다. 도 5에서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2 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1 회로의 제1 스위치들 중 최 후단의 스위치를 제외하고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30)는 스피커(120)의 출력 전력에 따라 트랜스포머의 동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교적 출력의 크기가 작은(2~3W) 공간의 스피커(120)의 경우에는 가변 저항을 통해 음량을 제어하도록 하되 임계 크기 이상(바람직하게 7~30W)의 출력을 요하는 스피커(120)에 대해서는 트랜스포머를 통해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리 D에 따른 자연 감쇄에 대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트랜스포머의 경우 상술한 가변 저항의 스위치와 같에 네단계의 볼륨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되, -∞, -12, -6, 0DB의 네 단계로 차등적으로 볼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트랜스포머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단계별 감쇄 정도는 상술한 거리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변 저항의 조절 값과 상이한 값으로 차등적으로 감쇄값을 갖도록 결정된다.
제어 장치(130)는 필요한 출력 레벨에 해당하는 출력 값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는 경우는 입력되는 신호를 스위치 회로 만으로 인가하지만 임계값 이상인 경우 해당하는 레벨로 변환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제어 장치(130)는 기준 레벨과 필요 레벨 간의 차이 값을 계산하여 추가적인 트랜스포머 제어를 수행하되 해당 값을 통한 고장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 장치(130)는 스피커(120)로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트랜스포머의 전단에서 수신하여 전압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전압 신호에 대응되는 소정의 제1 레벨 및 트랜스포머 후단에서 트랜스포머를 통과하여 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의 제2 레벨의 차이를 산출한다.
레벨의 차이로 판단하되, 제1 임계값 이하인 경우이나 제1 레벨이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트랜스포머 전단의 단락을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2 레벨이 기 설정된 제1 임계값과 제2 임계값 내의 임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트랜스포머 등에 문제가 발생했을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트랜스포머의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제어 회로(132-22)는 가변 저항을 통한 제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제어 장치(130)는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3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모듈 중 하나 이상은 범용 컴퓨팅 프로세서 상에서 구현되며 따라서 프로세서(processor)(308), 입출력 I/O(302), 메모리 (memory)(304), 인터페이스(interface)(306) 및 버스(314, bus)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308), 입출력 장치(302), 메모리 (304) 및/또는 인터페이스(306)는 버스(314)를 통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버스(314)는 데이터들이 이동되는 통로(path)에 해당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308)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MPU(Micro Processor Unit), MCU(Micro Controller Unit), GPU(Graphic Processing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스, 마이크로컨트롤러,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application processor) 및 이들과 유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논리 소자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장치(302)는 키패드(keypad), 키보드,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장치(304)는 데이터 및/또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6)는 통신 네트워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306)는 유선 또는 무선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인터페이스(306)는 안테나 또는 유무선 트랜시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304)는 프로세서(308)의 동작을 향상시키되,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한 휘발성의 동작 메모리로서, 고속의 디램 및/또는 에스램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304) 내에는 여기에 설명된 일부 또는 모든 모듈의 기능을 제공하는 프로그래밍 및 데이터 구성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상술한 학습 방법의 선택된 양태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304)에 저장된 상술한 획득 방법을 수행하는 각 단계를 포함하는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로드하고 프로세서가 각 단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 모듈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모듈에 저장되고, 제어모듈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전관 방송의 음량 조절을 위한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로서,
    제1 내지 제N 채널 각각의 2선식 앰프와 스피커 단 사이에서 음량을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제1 회로;
    상기 제1 회로 또는 상기 앰프와 스피커 단과 접점을 구성하는 제2 회로; 및
    상기 제1 회로는 조절된 음량에 따른 스위치의 단락을 통해 음량을 결정하되, 비상시 제1 회로가 단락되고 제2 회로를 통해 상기 앰프와 스피커가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앰프와 스피커는 제1 라인과 제2 라인으로 구성된 입출력 라인을 갖고,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제1 라인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인은 병렬 연결되는 상기 제1 회로와 제2 회로로 구성되되,
    상기 제1 회로는 상기 제1 라인의 저항을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로는 상기 제1 라인과 상기 제2 라인의 단락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3선식 앰프 또는 스피커와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제2 라인은 상기 3선식 라인의 비상 라인과 연결되도록 하는 제4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의 출력 전압으로 전압을 조절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포머는 상기 제2 회로의 출력 전압을 조절하는 경우 상기 제1 회로는 단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트랜스포머가 상기 스피커의 출력 전력에 따라 동작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7. 삭제
KR1020220170199A 2022-12-08 2022-12-08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KR102541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199A KR102541487B1 (ko) 2022-12-08 2022-12-08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0199A KR102541487B1 (ko) 2022-12-08 2022-12-08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1487B1 true KR102541487B1 (ko) 2023-06-13

Family

ID=86762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0199A KR102541487B1 (ko) 2022-12-08 2022-12-08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14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200A (ko) * 2016-03-03 2017-05-17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KR20200138499A (ko) * 2019-05-30 2020-12-10 최대종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KR20220000322U (ko) * 2020-07-28 2022-0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디오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200A (ko) * 2016-03-03 2017-05-17 주식회사 에스트론 전관방송 시스템에 부가되는 스피커 스위치 및 제어기
KR20200138499A (ko) * 2019-05-30 2020-12-10 최대종 스피커 라인체커 기능을 갖는 비상방송 시스템
KR20220000322U (ko) * 2020-07-28 2022-02-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오디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9724B2 (en) Paging system
KR20090101470A (ko) 보청기 조정 장치, 보청기, 및 프로그램
CN110187861B (zh) 一种音量调节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183339B1 (ko) 장애진단을 통한 앰프와 스피커 보호용 스위칭 장치 및 그 방법
KR102299799B1 (ko)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송 시스템
JP2008167445A (ja) 室内雰囲気の創造システム
KR102541487B1 (ko) 복수의 방송 송출 공간 별 오디오 출력 제어 장치
KR101965825B1 (ko) 스피커 자가 진단제어 스마트 방송시스템
AU2017268383A1 (en) Self-powered loudspeaker for sound masking
JPS6229327A (ja) 集合住宅情報システム
TWI519164B (zh) 用於未遮蔽雙絞線主動接收器之視訊放大之線路分接方法
US20130147599A1 (en) Wireless control of emergency notification devices
JP2009232301A (ja) モニタ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
KR101894748B1 (ko) 로컬용 오디오 앰프 시스템
KR102268600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방송 시스템
JP3490733B2 (ja) 音像定位装置
KR101937304B1 (ko) 진단제어 및 원격운영 스마트 방송시스템
KR102253862B1 (ko) 디지털 회로부를 아날로그 회로부에 연동하여 제어하는 디지털 전관방송 장치
JP4063280B2 (ja) 音量調節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88252B1 (ko) 스피커의 개별제어 시스템
US20180139087A1 (en) Multi-mode configurable network audio
Marcu et al. Cost effective remote control system for analog audio mixers
KR102015326B1 (ko) 대용량 가변저항 병렬연결 기반의 비상방송을 위한 스피커 라인 체커 장치
US11902142B2 (en) IoT panel for diagnostics and monitoring of LAN cable conductors
US20240187329A1 (en) IoT Panel for Diagnostics and Monitoring of LAN Cable Conduc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