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4774A -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4774A
KR20170004774A KR1020150095567A KR20150095567A KR20170004774A KR 20170004774 A KR20170004774 A KR 20170004774A KR 1020150095567 A KR1020150095567 A KR 1020150095567A KR 20150095567 A KR20150095567 A KR 20150095567A KR 20170004774 A KR20170004774 A KR 201700047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bbing
information
content
server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4774A/ko
Publication of KR20170004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7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4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dis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을 손쉽게 할 수 있는 시스템과 방법으로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은, 서버가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더빙배역,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포함한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는 단계와; 복수의 클라이언트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해 배역을 지원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해당 배역에 대한 클라이언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각 배역이 자신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상기 서버에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DISPLAY APPARUTUS, SERVER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안내정보를 제공받아 더빙을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은 자막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전달하기 어려운 경우에 제공되는 서비스이다. 이러한 더빙의 경우 고도로 훈련된 전문인력이 필요하고, 그 전문인력이 한자리에 모여서 함께 녹음을 해야 하는 제약사항이 존재하게 된다. 또한, 전문인력이 한자리에 모여서 녹음을 수행하지 않더라도 더빙을 고정된 한 장소에서 더빙이 이뤄져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현재 외국으로부터 드라마가 수입되어 안방에서 이를 접하게 되었지만, 아직 그 내용을 전달하기 위하여 대부분 자막으로 컨텐츠의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자막으로 컨텐츠의 내용을 전달받기 어려운 사용자의 경우에는 언어적인 장벽으로 인하여 컨텐츠를 즐길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막과 함께 컨텐츠의 내용을 전달받을 수 있는 누구나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할 수 있도록 하며 더빙된 컨텐츠를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은, 서버가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더빙배역,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포함한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해 배역을 지원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배역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중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의 시작과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은,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하는 온라인통신부와;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더빙배역,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포함한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고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한 배역의 지원을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아서 배역을 결정하는 더빙관리부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중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받아서 조합하며,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는 컨텐츠처리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의 시작과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는,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더빙에 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상기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구나 더빙안내정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빙안내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자막정보,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배역정보 및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디오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배경음, 상기 컨텐츠의 효과음 및 배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더빙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및 상기 더빙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의 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빙룸에서 더빙을 수행할 상기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수행 가능한 사용자의 배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정보,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배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빙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상기 음성수신부로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며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며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빙안내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자막정보,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배역정보 및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배경음, 상기 컨텐츠의 효과음 및 배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더빙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및 상기 더빙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의 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룸에서 더빙을 수행할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수행 가능한 사용자의 배역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배역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설정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시각장애인이나 자막을 읽을 수 없는 사용자들에게 더빙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역에 맞추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역에 맞추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공용디스플레이장치는,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공용통신부와; 상기 더빙에 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공용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며,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공용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용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더빙안내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용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총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의 품질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공용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연결하는 단계와;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게와;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더빙안내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총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상기 컨텐츠의 품질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서버는,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서버통신부와; 상기 더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저장부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 및 더빙안내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며,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 사용자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더빙음성정보를 상기 서버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서버제어부를 포함하는 서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청에 의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수신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품질로 상기 더빙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서버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 및 더빙안내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 사용자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더빙음성정보를 상기 서버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의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요청에 의한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품질로 상기 더빙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막만을 제공하는 컨텐츠에 대하여 누구나 더빙을 할 수 있도록 손쉬운 방법 및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누구나 더빙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고 청취자가 더빙된 정보를 청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서버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 애플리케이션에서 더빙룸을 생성하고 더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에서 컨텐츠의 배역을 선정하는 것과 선정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에서 수신품질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에서 전송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의 배역을 결정/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사용자의 지원을 받고 선정된 사용자의 고유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더빙룸으로 해당 더빙안내정보를 제공받아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받은 여러 컨텐츠의 화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며,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에서 더빙룸을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며,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에서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단말기로 컨텐츠 및 더빙된 컨텐츠를 설정된 데이터량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서버에 더빙룸을 생성하고 관리/편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부분은 생략하였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10)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또는 위성을 통한 방송서비스(20), 네트워크를 통한 인터넷방송서비스(40) 및 컨텐츠를 저장하였다가 제공하는 컨텐츠제공 시스템(30)으로부터 더빙이 가능한 컨텐츠를 제공받아 더빙을 시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10)은 통신을 위한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하는 온라인통신부(11),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더빙배역,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포함한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고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한 배역의 지원을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아서 배역을 결정하는 더빙관리부(12) 및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중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받아서 조합하며,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는 컨텐츠처리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더빙관리부(12) 및 컨텐츠처리부(13)는 서버(200)의 구성으로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의 서버(10)는 제공받은 더빙이 가능한 컨텐츠를 분석하여 컨텐츠의 더빙 가능한 배역, 각 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 등을 확보할 수 있다.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의 서버(10)는 확보한 정보와 함께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한다(S1).
복수의 클라언트는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한다. 복수의 클라언트는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다.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복수의 클라언트 중 어느 하나의 클라이언트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서버(10)에 생성할 수도 있다. 복수의 클라이언트는 서버(10)에 접속하여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한 배역을 지원한다(S2).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의 서버(10)가 해당 배역에 대한 클라이언트를 결정한다(S3).
서버(10)가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의 시작과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제공한다. 복수의 클라이언트는 컨텐츠를 재생한다. 클라이언트는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여 재생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여 재생할 수 있다. 복수의 클라이언트의 각 배역이 자신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서버(10)에 제공한다(S4).
서버(10)가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한다(S5).
서버(10)는 작성된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더빙을 시행한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접속된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는 타이밍정보에 대응한다.
상기의 개별 더빙컨텐츠는 하기의 더빙음성정보에 대응한다. 다만, 사용자의 더빙음성을 컨텐츠와 조합하여 개별 더빙컨텐츠가 만들어지기도 하며 사용자의 더빙음성 자체가 개별 더빙컨텐츠일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1 내지 103), 서버(200)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고 청취자(104 내지 109)가 더빙된 정보를 청취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서버(200)에서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여 디스플레이장치(101)에 설치하고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한다. 더빙참여자1(101)은 더빙룸으로부터 자막이 있는 컨텐츠를 포함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제공받아 하나의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고, 수행된 더빙음성정보(개별 더빙컨텐츠)를 서버(200)의 더빙룸으로 전송한다. 서버(200)는 더빙이 수행된 더빙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청취자(104 내지 109)에게 전송하여 더빙된 컨텐츠를 청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더빙음성정보를 포함하고 있지 않고 자막만 포함하고 있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할 수 있는 더빙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시각장애인 및 자막을 읽지 못하는 사용자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자국의 언어로 더빙 음성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여기서 서버(200)는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장치(101 내지 103)는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TV, 태블릿PC, 사용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음성을 송수신할 수 있는 기기이며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청취자(104 내지 109)는 사용자단말기나 스마트TV, 태블릿PC로도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1 내지 104)에서 서버(200)를 이용하여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일 예로, 사용자(100 내지 106)는 얼마 후에 방송되는 중국의 드라마인 삼국지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 결과 자막만이 제공되고 자국의 언어로 제공되는 음성정보는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서버(200)에 접속(①)하여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②). 사용자(100 내지 106)는 다운로드 받은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사용자(100 내지 106)는 실행된 더빙 애플리케이션에서 해당 컨텐츠인 삼국지를 선택하고 더빙룸을 생성하고 설정정보세팅 및 사용자정보에 대한 입력을 하여 서버(200)의 생성된 더빙룸으로 전송한다(③). 서버(200)는 더빙룸의 변경사항에 대한 표시정보를 포함하여 더빙룸정보를 사용자(101 내지 104)에게 전송한다(④). 사용자(100 내지 106)는 수신품질설정, 컨텐츠의 품질을 설정 및 삼국지의 배역에 대한 설정을 입력(③)하면 서버(200)는 더빙룸을 네트워크에 공개한다. 서버(200)의 네트워크에 접속(⑤)하여 관심있는 사용자(100 내지 106)는 더빙룸을 클릭한다. 사용자(100 내지 106)가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가지고 있다면 더빙룸으로 바로 접속을 되지만 사용자(100 내지 106)가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갖고 있지 않다면 서버(200)에 접속하여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하도록 유도되고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하여 더빙룸에 접속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100 내지 106)는 더빙룸에 접속되면 수신품질설정을 입력하게 된다(⑤). 수신품질설정을 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100 내지 106)에게 기설정된 기본설정값이 주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사용자(100 내지 106)는 더빙룸에 표시된 삼국지의 배역 중에 하나를 선택한다. 사용자(101 내지 104)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선택한 배역정보와 함께 사용자의 고유정보 즉,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의 고유정보를 서버(200)의 더빙룸으로 전송한다(⑤). 사용자(100 내지 106)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서버(200)로부터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⑥). 모든 사용자(100 내지 106)가 배역선정을 완료하면 삼국지 컨텐츠의 더빙을 시작하게 된다. 사용자(100 내지 106)는 삼국지 컨텐츠가 실시간 방송이라면 방송시간에 따라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제공(⑥)받아 설명 또는 자막을 읽는 음성을 포함하는 더빙을 하여 더빙된 더빙음성정보를 서버(200)의 더빙룸으로 전송한다(⑤). 이에 서버(200)는 삼국지 컨텐츠의 더빙된 더빙음성정보를 청취를 원하여 더빙룸에 연결되어 있는 청취자의 디스플레이장치 또는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그래서 청취자는 더빙음성정보를 제공받아 삼국지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도 6은 도 5의 동작을 구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통신부(120), 디스플레이부(130), 음성수신부(140) 및 제어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구성으로 저장부(150)와 음성출력부 (160)를 더 포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100)는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영상처리부(미도시) 또는 제어부(11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통신부(12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미도시)로부터 출력되는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디스플레이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3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부(130)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 및 색보정 과정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영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패널에 영상이 표시되게 하는 패널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자세한 구현 방식에 있어 한정되지 않는다.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통해 외부의 입력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신호는 디코딩(decoding),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스케일링(scaling) 등의 영상 처리 과정을 거쳐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30)는 더빙에 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음성수신부(140)는 마이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음성수신부(140)는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기 설정된 프로세스 중에서, 입력되는 음성/소리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수신부(140)가 수신하여 처리하는 "음성"은 입력되는 음성을 의미한다. 영상처리부(미도시)가 영상신호를 처리할 때에 해당 영상신호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영상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는 영상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음성수신부(140)는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50)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저장부(1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저장부(150)는 서버(200, 도 5참조)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음성출력부(160)는 더빙음성을 포함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로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내부의 전반적인 구성을 제어하는 배역을 한다. 제어부(110)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고,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처리부(미도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어부(110)는 영상처리를 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빙안내정보는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자막정보,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배역정보 및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정보는 컨텐츠의 배경음, 컨텐츠의 효과음 및 배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더빙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정보는 컨텐츠의 영상,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및 더빙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는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의 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일 수 있다.
제어부(110)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하며 서버에서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더빙룸에서 더빙을 수행할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수행 가능한 사용자의 배역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의 정보, 선택된 사용자의 배역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컨텐츠의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 사용자 더빙음성을 음성수신부(140)로 수신하여 서버(200)로 전송하며,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음성정보를 음성출력부(160)로 출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디스플레이장치(100)에서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한다(S11).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제어부(110)는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S12).
제어부(110)는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표시한다(S13).
도 8a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버(200)에 접속하여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한다. 사용자는 검색된 결과에 의해 서버(200)로부터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디스플레이장치(100)로 다운로드 한다(S21).
사용자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디스플레이장치(100)에 설치한다(S22).
사용자는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여 실행시킨다(S23).
사용자는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한다(S24).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생성한 더빙룸에 대한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25).
사용자는 더빙룸에서 더빙을 수행할 컨텐츠를 선택한다(S26).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수행 가능한 사용자 배역을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S27). 사용자는 수신한 더빙이 수행 가능한 사용자 배역을 편집/설정하여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더빙이 수행 가능한 사용자 배역이 30명이라면 더빙을 수행할 사용자의 모집을 30명이나 해야 하며 컨텐츠가 많은 디스플레이장치(100)로 전송되어야 하므로 데이터전송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된다. 그러므로 한 사용자가 복수의 배역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설정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을 설정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배역을 선택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배역에 관한 정보 즉, 사용자 배역을 선택한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설정정보 및 사용자의 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S28). 사용자의 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하게 하는 사용자만의 고유정보로 디스플레이장치(100)의 고유번호(Wi-Fi MAC address, Bluetooth MAC address, 기기의 고유번호 등) 또는 사용자 아이디 등일 수 있다.
사용자는 더빙룸에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배역을 선정한다(S29).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의 사용자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30).
사용자 배역이 모두 선정되면 서버(200)는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컨텐츠와 함께 배역에 맞추어 해당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에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배역에 맞추어 수신된 컨텐츠와 더빙안내정보를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한다(S31).
사용자는 더빙안내정보에 따라서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다. 이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음성수신부(140)인 마이크는 사용자의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한다(S32).
디스플레이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의 더빙음성정보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다른 사용자가 수행한 더빙음성정보를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한다(S33).
서버(200)는 청취를 위해 더빙룸에 접속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청취자에게 적어도 한 명이 수행한 더빙음성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디스플레이장치(100)의 동작에 대응하는 동작을 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서버(200)의 구성은 도 9의 블록도에 나타나 있다.
서버(200)는 서버통신부(220), 서버저장부(230) 및 서버제어부(210)를 포함한다. 서버통신부(22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서버제어부(21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서버(2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서버(200)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서버통신부(22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서버통신부(220)는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서버저장부(230)는 서버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버저장부(23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서버저장부(230)는 더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서버제어부(21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부터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 및 더빙안내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하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 사용자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더빙음성정보를 서버통신부(22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의 서버(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서버(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부터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S41).
서버(200)는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 및 더빙안내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S42).
서버(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 사용자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한다(S43).
서버(200)는 수신된 더빙음성정보를 서버통신부()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 전송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서버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서버(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의 다운로드 요청을 수신한다. 서버(200)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여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S51).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요청에 대응하여 서버(200)는 해당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을 생성한다(S52).
서버(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부터 사용자 배역에 대한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수신한다(S53).
서버(200)는 사용자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 및 더빙안내정보를 해당 디스플레이장치로 전송한다(S54).
서버(200)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수행한 사용자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한다(S55).
서버(200)는 수신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품질로 수신된 더빙음성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서버통신부(22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 전송한다(S56).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 애플리케이션에서 더빙룸(300)을 생성하고 더빙할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2는 사용자에 의해 설치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킨 후 더빙룸(300)을 생성하기 위한 메뉴를 선택하여 표시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더빙룸(300)이다.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버튼(310) 또는 오브젝트가 마련되어 있다. 일 예로 이 버튼(310)을 선택하면 컨텐츠를 제공하는 제공처를 선택할 수 있게 선택한 버튼(310)과 동일한 크기로 적어도 하나의 제공처가 표시된다. 사용자가 포인터 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제공처인 A사의 버튼(310)과 겹치거나 지칭하여 선택하면 우측으로 제공처인 A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컨텐츠의 제목(312)을 표시한다. 사용자는 제공되는 컨텐츠의 제목 중 더빙을 원하는 하나를 선택하고 더빙을 수행할 수 있는 더빙룸을 생성하기 위해 우측의 더빙룸만들기 버튼(316) 또는 오브젝트를 선택하여 더빙룸(300)을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더빙룸(300)을 생성할 수도 있지만 더빙된 컨텐츠를 열어서 더빙음성과 함께 컨텐츠를 시청 또는 청취할 수도 있다. 좌측 하단의 더빙된 컨텐츠의 버튼(314) 또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더빙되어 있는 컨텐츠를 선택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에서 컨텐츠의 배역을 선정하는 것과 선정상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3에는 더빙룸(300)을 생성하면 네트워크에 더빙룸(300)을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게 되는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배역이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면 결정된 배역에 대한 선정을 하게 된다. 이를 테면 더빙을 하려는 컨텐츠는 삼국지 중 적벽대전이며 6월25일 17시 30분에 시작하여 18시 30분까지 방송되는 중국드라마이다. 이 드라마에서 배역으로 유비, 관우, 장비, 제갈량 그리고 조조의 배역을 선정하도록 마련된 더빙룸(300)이 표시되어 있다. 배역이 표시된 우측의 동일라인에는 사용자가 배역에 대하여 더빙을 수행하려는 경우 신청/지원할 수 있는 신청/지원버튼(322) 또는 신청/지원오브젝트가 마련되어 있다. 사용자는 신청/지원하려는 배역에 대응하는 신청/지원버튼(322) 또는 신청/지원오브젝트를 선택할 수 있다. 더빙룸(3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존재하는 경우 신청/지원하는 사용자를 결정하는 과정이 있을 수도 있으나 더빙룸(300)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없다면 사용자가 신청/지원하면 바로 배역에 대한 더빙수행자로 선정될 수도 있다. 어느 한 사용자가 유비배역을 지원하여 선정이 되면 이후 다른 사용자가 뒤늦게 더빙룸(300)에 참여하였을 경우 유비배역을 지원하려는 경우 선정상태의 버튼(324) 또는 오브젝트가 선정완료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으며 유비배역 우측에 표시되는 지원버튼(322) 또는 오브젝트가 선택할 수 없도록 비활성화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의 배역에 대하여 모르는 경우 배역에 대한 정보를 얻고 사용자 자신에게 어울리는 배역 또는 원하는 배역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배역버튼(320)을 선택하면 선택한 배역에 대한 배역의 정보 및 이력 등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3에는 사용자가 조조배역의 버튼(320)을 선택하여 조조배역에 대한 정보 및 이력이 팝업창(326)의 형태로 조조배역버튼 우측에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배역에 대한 정보를 얻으면 조조배역버튼(320)을 다시 한번 선택하여 조조배역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창이 사라지고 조조배역버튼(320) 우측에 신청버튼(322)과 그 우측에 선정상태버튼(324)이 표시된다. 사용자가 신청버튼(322)을 선택한 경우 배역에 대한 정보 및 이력이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배역버튼(320)을 선택하여도 배역에 대한 정보 및 이력이 표시될 수도 있고 신청버튼(322)을 선택하는 경우에도 배역에 대한 정보 및 이력이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배역을 신청하여 선정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는 배역에 대하여 신청을 취소할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배역 신청자인 해당 사용자는 선정상태를 알리는 버튼(324)이 선정완료로 표시되지 않고 배역취소로 표시되어 선택하면 배역을 취소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의 실시 예는 작은 창으로 마련되어 구현될 수 있으며 버튼, 창 또는 오브젝트로 마련되어 선택되었을 때는 그 색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도 있으며, 활성 및 비활성으로 선택에 대한 가능 유무를 알릴 수도 있다.
도 14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에서 수신품질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컨텐츠의 화질, 자막의 크기, 더빙룸 정보수신, 선호 더빙형식, 컨텐츠의 설명, 배경음볼륨, 효과음볼륨 및 더빙룸타입은 사용자가 컨텐츠에 대한 품질 및 더빙룸(300)에 대한 여러 가지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준들이다.
컨텐츠의 화질은 컨텐츠를 수신하는 품질을 설정하는 것으로 상중하로 구분할 수 있도록 보여지고 있지만 시각장애인 중 완전히 실명된 시각장애인인 경우 컨텐츠의 영상 자체를 수신하지 않고 더빙음성정보만을 수신하도록 할 수도 있다.
자막의 크기는 컨텐츠에 대한 자막의 크기가 정해진 크기로 표시되지만 시력이 약하거나 하면 자막의 크기로 인하여 컨텐츠의 영상을 시청하는데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빙룸 수신정보는 더빙룸에 대한 정보를 변경되었을 때, 새로운 더빙룸(300)이 개설되었을 때, 한 컨텐츠에 대한 다른 더빙이 이루어 졌을 때 등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설정하는 것이다.
선호더빙형식은 더빙룸 수신정보와 연관될 수 있는 것으로 자막을 읽어주는 더빙형식과 설명형의 더빙형식을 설정해놓고 더빙룸 수신정보를 수신하는데 선호하는 더빙형식의 더빙룸(300)의 정보를 우선적으로 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설명형의 더빙형식의 컨텐츠를 우선적으로 표시하거나 음성으로 알리도록 할 수도 있다.
컨텐츠의 설명은 사용자가 더빙의 컨텐츠를 선택하는 경우 컨텐츠에 대한 설명 즉, 내용, 줄거리, 나오는 인물의 설명 또는 예고 등의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컨텐츠의 설명을 설정하는 것은 컨텐츠마다 설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테면 즐겨서 시청 또는 청취하는 컨텐츠에 대한 설명은 사용자가 원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수신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컨텐츠 이외의 경우 컨텐츠를 선택했을 때 컨텐츠에 대한 설명을 표시하거나 들을 수 있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배경음 볼륨 및 효과음 볼륨은 배역의 음성과는 분리되어 있는 소리로 음성을 위주로 더빙음성정보를 제공받고자 하는 경우 배경음 및 효과음을 조정할 수도 있다. 또한, 원배역의 음성 즉, 더빙되기 전의 원배역의 음성의 크기도 조정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더빙룸(300)의 타입은 더빙룸(300)에 스크립트를 위주로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다음대사가 미리 표시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에서 전송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더빙을 하려는 컨텐츠 또는 더빙룸(300)에 따라서 서버(2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 전송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설정할 수도 있다. 컨텐츠 전송에 대한 품질설정은 데이터 임계값 설정, 전송장치제한, 컨텐츠 화질 및 배역선정을 할 수 있다.
데이터 임계값 설정(340)은 서버(200)로부터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총데이터량을 제한하기 위한 설정이다. 서버(200)의 전송용량에 따라서 설정 가능한 임계설정값(340)은 그 범위를 달리할 수 있으며 예시되는 값 또한 변경될 수 있다. 서버(200)가 업데이트되는 경우에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데이터 임계값을 8로 설정하면 서버(200)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로 전송되는 총데이터량이 설정한 임계값인 8을 초과하면 컨텐츠의 화질 등급을 초과하는 데이터량에 대응하여 변경할 수 있다.
전송장치제한(342)은 서버(200)에서 컨텐츠에 따라서 보다 나은 품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더빙룸(300)에 접속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수를 제한하는 것이다. 전송장치제한(342)의 설정을 100으로 설정하는 경우 101번째 디스플레이장치가 접속을 하려는 경우 101번째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장치제한(342)으로 인하여 접속할 수 없다라는 안내문이 표시될 수 있다.
컨텐츠 화질은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n)로 전송되는 컨텐츠의 화질을 설정하는 것이다. 서버(200)의 더빙룸(300)은 더빙룸(300)에 접속된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와 전송할 총데이터량을 분석하여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n)로 전송할 컨텐츠의 화질을 변경할 수도 있다. 도 15에는 컨텐츠의 화질을 설정할 수 있도록 상중하로 표시되어 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세밀하게 컨텐츠의 해상도에 대한 픽셀수 즉, 1,920*1,080 픽셀, 1,680*1,050픽셀, 1,440*900픽셀 등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도 있다.
배역(역할)선정(346)은 컨텐츠에 대한 배역을 편집할 수 있는 버튼이다. 이를 테면 삼국지 컨텐츠의 배역이 많으므로 한 명의 더빙 신청/지원자가 복수의 배역에 대하여 더빙을 할 수 있도록 배역에 대한 선정을 설정할 수 있다. 더빙 신청/지원자가 충분히 많을 경우 배역에 대한 선정을 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에서 사용자가 컨텐츠의 배역을 결정/설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5에서 배역선정의 버튼(346)을 선택하였을 경우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의 설정화면이다. 삼국지 컨텐츠의 배역이 많으므로 복수의 배역에 대하여 한 명의 더빙 신청/지원자가 더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역을 선정하는 것을 설정/결정하는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각각 배역(350)을 살펴보고 유사한 음색, 겹치지 않는 배역, 동일 장면에서의 동시 등장 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더빙신청자/지원자 1(351)가 삼국지 컨텐츠의 유비, 곽사 및 순욱의 배역(350)에 대하여 더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배역선정에 대한 설정/결정을 하는 것이다. 여기서, 더빙룸(300)은 더빙 신청자/지원자의 수를 고려하여 배역선정에 대한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더빙신청자/지원자가 10명 이내일 것으로 예상하고 배역선정에 대한 설정을 더빙신청자/지원자 한 명당 세 개의 배역(350)을 하도록 설정했으나 더빙신청자/지원자가 예상보다 많을 경우 배역의 비중 즉, 배역의 등장시간에 따라 등장시간이 긴 배역을 먼저 더빙신청자/지원자에게 선정하고 배역선정을 가장 짧은 배역부터 중복하여 배역(350)이 설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유비, 관우, 장비, 조조, 제갈량, 주유 및 손권의 배역(350)은 등장시간이 많으므로 한 명의 더빙 신청자/지원자가 담당하고 이각, 곽사 및 마초는 등장시간이 가장 적은 배역이므로 이들의 배역은 다른 배역과 함께 중복되어 배역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사용자의 지원을 받고 선정된 사용자의 고유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더빙룸(300)에서 배역(360)을 신청/지원(362)하고 선정된 상태(364)를 표시하고 있다. 신청/지원이 완료된 장비, 하우돈 및 손권 배역(360)에 대하여 더빙신청/지원(362)을 하여 배역선정이 완료된 것을 표시하고 있으며 우측에는 선정된 해당 사용자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유번호(364)가 표시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해당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화면이 아니라 해당 사용자를 제외한 다른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의 화면표시이다. 해당 사용자 디스플레이장치에는 디스플레이장치의 고유번호(364)가 표시되지 않고 더빙배역선정이 모두 완료되어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시작하기 전까지는 더빙배역에 대한 신청취소 또는 지원포기의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을 수 있다. 이 신청취소 및 지원포기의 버튼을 누르면 다른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버튼이 다시 완료에서 지원으로 변경되어 표시되게 될 것이다. 더빙룸(300)은 배역이 선정되면 선정완료됨을 알려주며 신청/지원이 되지 않도록 신청/지원버튼을 활성상태에서 비활성상태로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할 배역의 신청/지원이 완료되면 신청/지원한 디스플레이장치로 신청/지원에 대한 확인안내정보,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할 안내정보 및 더빙룸에 대한 설정이 완료되지 않은 더빙신청자/지원자에게 설정을 완료하라는 안내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고 안내정보에 따라 화면을 이동시키도록 할 수도 있으며, 더빙룸(300)은 모든 더빙수행자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시작할 수 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컨텐츠의 영상과 함께 더빙을 시작할 수 있다.
도 18 내지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 표시되는 더빙룸(300)으로 해당 더빙안내정보를 제공받아 표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터 좌측 상단 영역에는 컨텐츠의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창(370)이 위치해 있고 그 우측에는 컨텐츠의 진행시각, 각 배역에 대한 더빙수행자의 아이디가 표시되는 스크립트창(374)이 있다. 영상창(370)과 스크립트창(374)의 아래측에는 영상창(370)에 대한 상태를 알리는 상태창(372)이 있다. 상태창(372)에는 현재 대사는 15:25 ~ 15:42 관우 배역의 스크립트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더빙수행자 중 doyeon은 영상창 영역 밖의 우측하단에 running time을 보고 15:25 이전부터 준비를 하고 있다가 영상창(370)에 나타나는 영상 및 자막을 보면서 더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관우 배역의 자막은 경우에 따라서는 running time 15:25 이전에 즉, 유비의 더빙시간에 배역과 함께 다음 대사를 미리 알리게 할 수도 있다. 이를 테면 running time 15:10부터 유비의 대사가 "지금 조조의 군대의 규모는 어느 정도이며 지금은 어디까지 진출해 있는 지 알아보라고 보낸 정찰대는 돌아왔는가?"이라면 바로 관우의 대사가 "조조가 지금 양자강 북측의 강변에 도착하여 진을 형성하고 있으며 그 병력의 규모는 100만에 이른다고 합니다."라는 대사가 있다고 한다면 관우의 대사가 미리 표시되지 않는다면 더빙수행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영상창(370)에 두 줄로 나누어 대사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면서 다음 배역의 대사도 표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빙룸(300)은 해당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 더빙수행자가 대사를 해야 하는 것을 알리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테면 스크립트창(374) 및 상태창(372) 중 적어도 하나의 해당 정보를 하이라이트 시키면서 깜빡이도록 할 수 있으며, 더빙룸(300)의 화면 전체를 하이라이트 시키면서 깜빡이게 할 수도 있다. 해당 사용자가 본인이 더빙을 수행해야 하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하는 알람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면 가능하다. 해당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만 음성으로 타이밍정보를 알려줄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어색하지 않은 타이밍에 더빙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립트창(374)과 상태창(372)은 running time이 지남에 대응하여 지나간 running time에 대응하는 정보는 위로 사라지게 하면서 새로운 running time에 대응하는 정보는 밑에서 올라오도록 할 수도 있으며 스크립트창(374) 및 상태창(372) 중 적어도 하나에는 화면 및 배경음, 효과음 등에 대한 설명을 나타내는 자막 및 노래가사의 자막이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영상위주로 컨텐츠의 내용을 전달하려는 영상이 지속될 수도 있는데 시각장애인의 경우 이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없기 때문에 더빙수행자로 하여금 영상을 음성으로 바꾸어 전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영상을 설명하는 자막이 표시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창(380)이 더빙룸(300)의 상측에 표시되고 있고 상태창(382)이 더빙룸(300)의 하측에 표시되고 있다. 영상창(380)에는 현재 대사에 대한 자막이 영상의 하측영역에 표시되게 하고 있으며 다음 대사에 대하여는 상태창(382)에 타이밍정보, 배역정보와 함께 제공하여 다음대사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제공받을 수 있도록 더빙룸(300)은 해당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상태창(382)의 정보를 전송하여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영상창(380) 영역 밖의 우측하단에는 컨텐츠의 진행시간을 나타내고 있으며, 좌측에는 다음대사의 장비 배역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로 다음대사의 시작을 알려주는 타이밍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자연스러운 더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를 테면 컨텐츠의 진행시간이 15:37이 되면 장비 배역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사용자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표시되는 영상창(380) 영역 밖의 좌측하단에 5가 하이라이트되어 깜빡이면서 표시되고 순차적으로 4, 3, 2, 1을 표시하여 장비 배역을 담당하고 있는 해당 사용자에게 더빙의 순서 및 타이밍을 정확하게 알려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창(390)이 더빙룸(300)의 좌상측 영역에 표시되고 있고 채팅창(394)이 더빙룸(300)의 우상측 영역에 표시되고 있으며 상태창(382)이 더빙룸(300)의 하측에 표시되고 있다.
도 20은 동시에 더빙을 진행하는 경우에 채팅창(394)을 만들어서 컨텐츠의 더빙을 하면서 또는 더빙된 컨텐츠와 더빙음성정보를 시청 및 청취하면서 의견을 나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테면 더빙을 자막을 읽는 것으로 한정하면 더빙을 수행하는 더빙수행자의 연기력에 따라 컨텐츠의 내용이 전달되는 정도가 달라질 수도 있다. 이는 연기학습을 하지 않은 더빙수행자일 경우 확연히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영상을 말로 설명하고 배역들의 대화를 자막 그대로가 아닌 설명으로 더빙을 진행한다면 컨텐츠의 더빙과정과 청취과정에서 지루할 수 있는 부분을 해소시켜줄 수 있을 것이므로 채팅창을 이용하여 더빙수행자와 청취자가 모두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에 대하여 관련된 것에 대하여 자유스럽게 얘기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도 5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에서 제공받은 여러 컨텐츠의 화질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더빙룸(300)에서 더빙수행자와 청취자에게 제공하는 컨텐츠의 화질을 예시하는 화면으로 더빙수행자와 청취자 모두가 컨텐츠의 수신품질을 설정할 때 도 21의 예시도를 보고 설정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더빙수행자와 청취자에게 전송하는 총데이터량 혹은 전송장치의 수에 대한 제한 시 도 21의 예시도와 같이 컨텐츠의 화질을 낮추어서 전송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가 될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에서 더빙룸(300)을 생성하여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와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복수의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지 106)가 외부의 네트워크 서버에 접속한 후 더빙룸(300)을 생성하고 서버의 더빙룸(300)에 접속한 청취자의 디스플레이장치 혹은 사용자단말기로 더빙음성정보를 전송하여 많은 청취자에게 더빙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실시 예이다.
도 22는 소수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의 사용자들이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를 이용하여 더빙룸(300)을 생성하고 원하는 컨텐츠를 이용하여 원컨텐츠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는 등의 더빙을 이용한 컨텐츠의 생성 및 더빙을 이용한 놀이, 더빙 학습 등을 위하여 고려될 수 있는 실시 예이다.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는 스마트TV, 태블릿PC 혹은 사용자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들이 한 집에 모여서 더빙 놀이를 하는 경우라면 스마트TV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2에는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각의 사용자가 서로 다른 각각의 집에서 스마트TV를 이용하여 더빙 놀이를 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하나의 사용자는 서버(200)로부터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에 더빙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사용자들이 원하는 컨텐츠를 선택하며 더빙룸(300)을 생성한다.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606)들은 서버(200, 도 5참조) 또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로부터 더빙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와 통신연결을 한다.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606)들은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에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해 생성한 더빙룸(300)에 참여한다. 더빙룸(300)을 생성한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사용자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를 이용하여 더빙룸(300)에 참여할 수도 있고, 본인의 사용자단말기를 이용하여 더빙룸(300)에 참여할 수도 있다.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은 컨텐츠에 대한 더빙 가능한 더빙배역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전송한다. 이에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는 선택 가능한 더빙배역을 각각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 각각의 사용자들은 원하는 더빙배역을 선택하여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으로 전공한다. 복수의 사용자 중 어느 사용자가 더빙배역을 먼저 선택하였다면 이에 대한 정보가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으로 전송되며 수신된 더빙배역정보에 기초하여 선택된 더빙배역이 신청/지원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전송하고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더빙배역을 선택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가 아닌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에는 선택된 더빙배역에 대하여 비활성화가 되어 표시될 것이고 더빙배역을 선택한 사용자의 사용자단말기에는 더빙배역을 취소할 수 있는 선택버튼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텐츠의 모든 더빙배역에 대하여 선정이 완료되면,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시작할 수 있다는 안내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 각각은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단말기의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만을 더빙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독립적으로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더빙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만 재생되도록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은 컨텐츠의 재생을 건너뛰기 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은 빨리감기 재생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에서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컨텐츠를 동시에 재생하고 각각의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에 더빙을 수행하도록 하여 각 배역에 대한 수행도를 평가하는 놀이로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진행하는 것이다. 이를 테면 더빙에 대한 평가기준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들은 평가기준에 따라 더빙의 수행도가 평가되도록 할 수도 있다. 더빙에 대한 평가기준은 자막에 대한 이행 및 싱크로율이 될 수 있으며, 더빙배역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타이밍정보에 대한 이행 및 싱크로율이 될 수도 있다. 이렇게 놀이로 더빙을 하는 모드를 더빙 시작하기 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더빙룸에 옵션으로 마련되어 실시간모드, 독립적모드 및 놀이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의 사용자들은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으로부터 해당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제공받아 더빙을 수행할 수 있다. 더빙은 자막에 충실하게 진행하는 더빙과 설명을 위주로 하는 더빙 그리고 자막과 설명을 적절히 사용하는 더빙 등 여러 형식으로 할 수 있으며 이 형식은 더빙룸(300)을 생성할 때 더빙룸(300)의 카테고리를 지정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의견을 얻어 더빙룸(300)의 형식을 선정 또는 변경할 수도 있다.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는 사용자로부터 더빙된 더빙음성정보를 컨텐츠의 재생 타이밍정보와 함께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더빙룸(300)은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부터 수신된 더빙음성정보를 컨텐츠에 대응시켜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더빙 전의 컨텐츠와 컨텐츠의 타이밍정보에 맞추어 더빙음성정보를 제공해 줄 수도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는 공용통신부(520), 공용디스플레이부(530), 공용저장부(550), 공용음성수신부(560), 공용사용자입력부(540) 및 공용제어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외부입력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여 공용제어부(510)에 전달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다양한 외부입력 케이블이 접속됨으로써 해당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를 유선으로 수신하며, 또는 무선으로 수신되는 신호를 미리 정해진 무선통신규격에 따라서 수신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각 케이블이 개별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커넥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접속된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 예를 들면 HDMI, USB, 컴포넌트(component) 규격에 따른 방송신호, 영상신호, 데이터신호 등을 수신하거나, 또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외부입력으로부터의 신호/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뿐 아니라,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설계 방식에 따라서,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나 방송신호의 튜닝을 위한 튜너(미도시)와 같은 다양한 부가적인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외부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것 이외에도,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정보/데이터/신호를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공용통신부(520)는 외부장치로 신호를 수신하는 구성으로만 한정할 수 없으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페이스(interface)로 구현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복수의 제어장치로부터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블루투스(Bluetooth), IR(Infrared),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 공지의 근거리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모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유선통신을 위한 공지의 통신포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UI를 선택하기 위한 제어신호 이외에, 디스플레이의 조작을 위한 명령, 데이터의 송수신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공용통신부(520)는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단말기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공용디스플레이부(530)는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공용디스플레이부(530)의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 바, 액정(liquid crystal), 플라즈마(plasma),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면전도 전자총(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tube), 나노 크리스탈(nano-crysta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공용디스플레이부(530)는 그 구현 방식에 따라서 부가적인 구성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공용디스플레이부(530)가 액정 방식인 경우, 공용디스플레이부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이에 광을 공급하는 백라이트유닛(미도시)과, 패널(미도시)을 구동시키는 패널구동기판(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공용디스플레이부(530)는 영상처리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공용디스플레이부(530)가 영상을 표시하는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나, LCD, PDP, OLED 등의 방식을 포함한다. 이 경우, 공용디스플레이부(530)는 LCD패널, PDP패널, OLED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용디스플레이부(530)는 더빙에 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공용저장부(550)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에 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데이터들이 남아있어야 하며, 사용자의 변동 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쓰기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Writable ROM)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공용저장부(550)는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또는 EPROM 또는 EEPROM 중 어느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공용음성수신부(560)는 마이크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공용음성수신부(560)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기 설정된 프로세스 중에서, 입력되는 음성/소리에 대한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공용음성수신부(560)가 수신하여 처리하는 "음성"은 입력되는 음성을 의미한다. 영상처리부(미도시)가 영상신호를 처리할 때에 해당 영상신호는 음성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는 바, 영상신호에 포함된 음성데이터는 영상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될 수도 있다. 공용음성수신부(560)는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공용사용자입력부(540)는 사용자의 조작 및 입력에 따라서 기 설정된 다양한 제어 커맨드 또는 정보를 공용제어부(510)에 전달할 수 있다. 공용사용자입력부(540)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 외측에 설치된 메뉴 키(menu-key) 또는 입력 패널(panel)이나,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와 분리 이격된 리모트 컨트롤러(remote controll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공용사용자입력부(540)는 공용디스플레이부(530)와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공용디스플레이부(530)가 터치스크린(touch-screen)인 경우에 사용자는 공용디스플레이부(530)에 표시된 입력메뉴(미도시)를 터치함으로써 기 설정된 커맨드를 공용제어부(510)에 전달할 수 있다.
공용사용자입력부(540)는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모션은 터치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공용사용자입력부(540)는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을 직접 수신할 수도 있고, 혹은 사용자의 모션 및 음성에 관한 정보를 외부장치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공용음성출력부(570)은 더빙음성을 포함하는 음성정보를 출력할 수 있도록 스피커로 마련될 수 있다.
공용제어부(510)는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 내부 구성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공용제어부(51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와 통신을 연결하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더빙룸(300)을 생성하고,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공용제어부(51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공용제어부(51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전송하는 총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조정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는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와 통신을 연결한다(S61).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는 사용자에 의해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협업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한다(S62).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는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택한다(S63).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부터 수신한다(S64).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배역에 맞추어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한다(S65).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500)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어흐름도이다.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와 통신을 연결한다(S71).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한다(S72).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택한다(S73).
복수의 단말기(600 내지 606)로부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명정보 및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수신한다(S74).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한다(S75).
복수의 사용자단말기(600 내지 606)로 전송하는 총데이터량에 기초하여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하는 컨텐츠의 품질을 조정한다(S76).
수신된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해당 사용자단말기로 전송한다(S77).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용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500)에서 디스플레이장치(600 내지 606) 및 사용자단말기(700 내지 710)로 컨텐츠 및 더빙된 컨텐츠를 설정된 데이터량에 따라 전송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300)이 개설된 공용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500)에서는 더빙을 수행하는 사용자 1 내지 4와 더빙음성정보를 수신하는 청취자 1 내지 6으로 컨텐츠 및 더빙음성정보를 전송하게 되는데 공용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500)는 사용자 1 내지 4(600 내지 606)와 청취자 1 내지 6(700 내지 710)으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량을 확인한다. 공용디스플레이장치 및 서버(500)는 설정임계값을 확인하여 초과되는 지를 확인하여 초과되는 것으로 확인되면 컨텐츠의 화질을 낮추어서 전송하게 된다. 이는 더빙룸(300)에 접속하고 있는 사용자와 청취자에게 버퍼링이 없도록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와 청취자가 모두 만족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800내지 806) 또는 사용자단말기(1000)를 이용하여 서버(900)에 더빙룸(300)을 생성하고 관리/편집하는 것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서버(900)를 관리하는 사용자의 경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더빙룸(300)을 직접 서버를 조작하여 더빙룸(300)을 생성할 수 있지만 다른 디스플레이장치나 사용자단말기 또는 다른 기기를 이용하여 서버(900)를 관리하고 더빙룸(300)을 생성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서버(900)에 접속(①)하여 서버(900)로부터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한다(②).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더빙룸(300)을 생성하여 서버(900)로 더빙룸(300)의 생성정보를 전송한다(③). 서버(900)는 더비룸(300)을 생성하고 이를 네트워크에 더빙을 하려는 다른 사용자가 접속할 수 있도록 마련한다. 더빙을 하려는 사용자가 서버(900)로 접속을 한다(⑤). 서버(900)는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복수의 더빙 사용자들에게 전송한다(⑥). 복수의 더빙 사용자들은 배역을 선택하고 선택한 정보를 서버(900)로 전송한다(⑤). 복수의 더빙 사용자들로부터 수신된 배역정보를 더빙룸(300)에 적용하며 더빙룸(300)의 표시정보를 복수의 더빙 사용자 및 더빙룸(300)의 개설자인 사용자에게 전송한다(④, ⑥).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복수의 사용자들은 서버(900)로부터 더빙안내정보를 수신하여 더빙을 수행하고 수행된 개별 더빙컨텐츠를 서버로 전송한다(⑤). 서버는 개별 더빙컨텐츠를 수신하고 수신된 복수의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한다. 서버(900)는 작성된 더빙컨텐츠를 더빙룸(300)에 접속하고 있는 더빙 사용자를 포함한 복수의 사용자에게 작성된 더빙컨텐츠를 전송한다(④, ⑥).
상기의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공용디스플레이장치를 이용하여 더빙룸을 개설하고 누구나 더빙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며, 해당 배역에 대한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바탕으로 더빙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여 청취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청취자는 많은 컨텐츠에 대하여 더빙된 컨텐츠를 즐길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 예를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 예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 : 더빙시스템 11 : 온라인통신부
12 : 더빙관리부 13 : 컨텐츠처리부
20 : 방송시스템 30 : 컨텐츠제공시스템
40 : 인터넷방송시스템 50 : 방송위성
60 : 네트워크 100 : 디스플레이장치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디스플레이부 140 : 음성수신부
150 : 저장부 160 : 음성출력부
200 : 서버 210 : 서버제어부
220 : 서버통신부 230 : 서버저장부
300 : 더빙룸 500 : 공용디스플레이장치
510 : 공용제어부 520 : 공용통신부
530 : 공용디스플레이부 540 : 공용사용자입력부
550: 공용저장부 560 : 공용음성수신부
570 : 음성출력부

Claims (38)

  1.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더빙배역,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포함한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에 접속한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해 배역을 지원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해당 배역에 대한 클라이언트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중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서버가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서버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의 시작과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역할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방법.
  7.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하는 온라인통신부와;
    더빙대상 동영상을 특정하는 정보, 더빙배역,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를 포함한 협업 더빙정보를 온라인 접근 가능하도록 마련하고 해당 더빙대상 동영상에 대한 배역의 지원을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로부터 받아서 배역을 결정하는 더빙관리부와;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 중 해당 클라이언트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구간에 대해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받아서 조합하며,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작성하는 컨텐츠처리부를 포함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복수의 클라이언트로 해당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의 시작과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더빙역할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관리부는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며 상기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동영상 컨텐츠의 온라인 협업 더빙시스템.
  1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수행될 더빙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와;
    상기 더빙에 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수신하는 음성수신부와;
    상기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정보를 선택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며, 상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안내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자막정보,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배역정보 및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배경음, 상기 컨텐츠의 효과음 및 배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더빙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및 상기 더빙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의 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하며 상기 서버에서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더빙룸에서 더빙을 수행할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수행 가능한 사용자의 배역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의 정보,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배역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 설정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의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에 의한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상기 음성수신부로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상기 음성출력부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며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를 재생하며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6.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컨텐츠의 정보를 선택하는 단계와;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의 배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배역에 대응하는 정보를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안내정보를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해당 사용자의 배역에 맞추어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안내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위한 자막정보, 오디오정보, 영상정보, 배역정보 및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배경음, 상기 컨텐츠의 효과음 및 배역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더빙음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상기 컨텐츠의 영상,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영상 및 상기 더빙안내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해당 더빙배역의 시간적 더빙구간의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배역에 대응하는 더빙의 시작 및 종료 중 적어도 하나를 알리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1.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다운로드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컨텐츠의 더빙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협업 더빙정보의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룸에서 더빙을 수행할 상기 컨텐츠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더빙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에 대한 더빙 중 수행 가능한 사용자의 배역을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4.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배역을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정보, 상기 선택된 사용자의 배역에 관한 정보 및 컨텐츠에 대한 수신품질설정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5.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의 사용자의 배역에 대한 선정상태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6.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해당 배역의 더빙을 시행한 개별 더빙컨텐츠를 수신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개별 더빙컨텐츠를 조합하여 조합된 더빙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역에 맞추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건너뛰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3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배역에 맞추어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더빙배역에 대응하는 더빙구간 이외의 더빙구간을 빨리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50095567A 2015-07-03 2015-07-03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47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67A KR20170004774A (ko) 2015-07-03 2015-07-03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567A KR20170004774A (ko) 2015-07-03 2015-07-03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774A true KR20170004774A (ko) 2017-01-11

Family

ID=57833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567A KR20170004774A (ko) 2015-07-03 2015-07-03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477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673A (ko) 2017-11-10 2019-05-20 조한성 스마트 연기영상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66032A (zh) * 2019-08-09 2019-10-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和视频播放方法、装置
WO2022179530A1 (zh) * 2021-02-24 2022-09-01 花瓣云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配音的方法、相关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3673A (ko) 2017-11-10 2019-05-20 조한성 스마트 연기영상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366032A (zh) * 2019-08-09 2019-10-22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视频数据处理方法、装置和视频播放方法、装置
WO2022179530A1 (zh) * 2021-02-24 2022-09-01 花瓣云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配音的方法、相关设备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040B2 (en) Program recording system, communication terminal, as well as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839570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display device, output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thod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supply method
CN102845076B (zh) 显示装置、控制装置、电视接收机、显示装置的控制方法、程序及记录介质
KR20090102392A (ko) 영상 시스템 및 컨텐츠에 따라 영상기기를 설정하는 방법,이를 적용한 영상기기 및 서버
KR20170046138A (ko) 무선 스피커 시스템
US20140118468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apting a television for multimedia conferencing
JP2007300594A (ja) テレビを用いた音声−画像通信方法及び該方法を用いるテレビ
JP2005286855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WO2011125831A1 (ja) 携帯情報処理装置
KR20040014967A (ko) 동기화된 개인용 비디오 레코더
JP5359199B2 (ja) コメント配信システム、端末、コメント出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70004774A (ko) 디스플레이장치, 서버 및 그 제어방법
US20100121919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sharing information interactively among two or more users
JP4735571B2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US20070171307A1 (en) Media playback system with real-time camera image display and method thereof
US20090119709A1 (en) Method for providing communication using electronic program guide (epg) and image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JP2014128029A (ja) 通信装置及びその再生方法
KR101534564B1 (ko) 멀티미디어 통합 제어 시스템
JP200726709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17075837A (zh) 一种显示设备及eARC外设的音量调节方法
JP2015177458A (ja) 映像出力装置及び映像出力装置に接続された外部機器の電源制御方法
JP2015136123A (ja) 電子機器
CN117812340A (zh) 一种显示设备及双应用显示方法
JP2008113116A (ja) テレビジョン放送視聴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