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72691A - 구내 유선방송장치 - Google Patents

구내 유선방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72691A
KR20030072691A KR1020020011845A KR20020011845A KR20030072691A KR 20030072691 A KR20030072691 A KR 20030072691A KR 1020020011845 A KR1020020011845 A KR 1020020011845A KR 20020011845 A KR20020011845 A KR 20020011845A KR 20030072691 A KR20030072691 A KR 200300726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video
signals
broadcast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열
Original Assignee
양희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희열 filed Critical 양희열
Priority to KR102002001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72691A/ko
Publication of KR20030072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2691A/ko

Link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내 유선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송용 서버시스템과 이를 수신하는 다수의 방송수신용 시스템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때, 다채널의 A/V 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해서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정보 및 제어신호 등은 랜 케이블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각 방송 수신시스템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외부 A/V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A/V, 문자신호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각 채널별로 입력받아 하나의 라인으로 혼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혼합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랜을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버와, 각 방송서버 및 각각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랜을 통해 인터페이스 하는 허브와,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A/V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영상/문자, 음성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접속된 A/V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A/V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의실방송장치,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A/V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노트북 컴퓨터의 USB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USB 전송장치와,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A/V신호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접속된 음성출력 또는 영상출력단을 통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A/V 입출력제어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내 유선방송장치 {Apparatus for private broadcasting by cable}
본 발명은 구내방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각 클라이언트 시스템에 정보를 전송할 때 음성/영상(Audio/Video : 이하 'A/V'라 약칭함)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해서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정보 및 제어신호는 랜케이블(UTP : Unshielded Twisted Pair)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하여 방송장비의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기업체등의 유선 방송시스템은 구내방송실에서 교실 또는 각 부서에 설치된 텔레비전 및 스피커 등의 수신장비를 통해 음성신호 뿐만아니라 영상 및 문자 정보등의 멀티미디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선 방송장치의 경우 영상신호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를 통하여 전달되고, 음성신호는 별도의 전선을 통해서 스피커로 전달된다. 이러한 경우는 수신부에 대응하는 수많은 동축케이블과 스피커용 전선을 필요로 하게 된다. 이렇게 복잡한 배선은 선로의 배선의 과다한 비용과 함께 단선 합선 등에 의한 고장의 원인이 늘어나 방송시스템의 신뢰성을 하락 시킨다.
상기한 유선방송시스템의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270447 호"(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방송장치)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제어신호를 단일 동축케이블에 고주파(RF : Radio Frequency)신호로 송신하는 방식을 도입하게 되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방송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학교방송장치는 크게 방송실에 설치되는 제어 컴퓨터(10)와 송신모듈(20) 및 각 교실에 설치되는 다수의 수신모듈(40)로 구성되며, 상기 송신모듈(20)과 각각의 수신모듈(40)은 동축케이블(30)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는 제어 컴퓨터인 멀티미디어 컴퓨터(10)의 출력신호에 따라 송신모듈(20)은 각 교실에 설치된 특정 텔레비전 또는 파워앰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코드와 방송할 오디오,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수신모듈(40)로 송출하는데, 다중방송을 위해 송신모듈(20)의 신호 입력단을 통해 인가되는 다수의 오디오,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는 RF 신호로 변조된 후, 혼합되어 동축케이블(30)을 통해 수신모듈(40)로 송출된다.
한편, 수신모듈(40)은 동축케이블(3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복조한 후, 복원된 제어코드가 자신의 설정코드와 일치하면 해당 제어명령에 따라 텔레비전 또는 파워앰프를 구동하여 수신된 오디오, 비디오 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출력하며, 또한 텔레비전과 파워앰프 및 방재용 적외선 열감지 센서의 동작상태를 검출하고 그 결과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송신모듈(20)로 송출한다.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필요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나의 동축케이블을 이용하여 배선을 간략화 했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유선방송장치는 제어신호를 RF신호로 변환하는데 필요한 별도의 변조기와 복조기가 필요하고, 제어신호를 동축케이블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전송해야 하므로 케이블분기기와 선로노이즈에 의한 감쇄현상에 의해서 제어신호의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각 강의실의 방송수신장치는 인터넷을 인터페이스할 수 없으므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디지탈 방송을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방송용 서버시스템과 이를 수신하는 다수의 방송수신용 시스템간의 정보를 송수신할 때, 다채널의 A/V 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해서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정보 및 제어신호 등은 랜 케이블(UTP)을 통해서 디지털신호로 전송하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방송 서버시스템에서 각 방송 수신시스템을 원격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방송장치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유선방송장치의 전체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주방송실 및 부방송실 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강의실서버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음성/영상 입출력제어장치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주방송실서버200 : 부방송실서버
101,201,318 : 텔레비전102,202,311 : 비디오카세트레코드
103, 203, 313 : 캠코더104,204 : 마이크
105,205 : 리모트앰프111∼115 : 변조기
120 : 컨바이너130 : 서버컴퓨터
131 : 리모트앰프 입력부132 : 출력정보 검출부
133,314,331 : 랜카드300 : 동축케이블
301 : 허브310 : 강의실 방송장치
312 : 실물화상기315 : 음성/영상 입출력카드
316 : 강의실컴퓨터317 : 음성제어부
320 : USB 전송장치321 : 노트북컴퓨터
330 : 음성/영상 입출력제어장치
332 : 중앙처리장치333 : 음성/영상 입출력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구내 유선방송장치는 각종 A/V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A/V신호 및 문자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된 방송실의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방송신호를 음성, 문자 및 영상신호로 디스플레이 및 음성출력하는 방송 수신장치로 구성된 구내방송장치에 있어서, 상기다수의 외부 A/V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A/V, 문자신호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각 채널별로 입력받아 하나의 라인으로 혼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혼합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랜(LAN)을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버와, 상기 각 방송서버 및 각각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랜을 통해 인터페이스 하는 허브와,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A/V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영상/문자, 음성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접속된 A/V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A/V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의실방송장치,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A/V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노트북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USB 전송장치와,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A/V신호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접속된 음성출력 또는 영상출력단을 통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A/V 입출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내 유선방송장치의 전체 구성도로서, 텔레비전(101), 비디오카세트레코더(VTR)(102) 또는 캠코더(103)등의 외부 재생장치로부터 재생 출력된 A/V, 문자신호와 마이크(104) 및 리모트앰프(105)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각 채널별로 입력받아 하나의 동축케이블로 전송하도록 혼합하고, 상기 혼합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랜을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주방송실서버(100)와, 텔레비전(201), 비디오카세트레코더(VTR)(202) 또는 캠코더(203)등의 외부 재생장치로부터 재생 출력된 A/V, 문자신호와 마이크(204) 및 리모트앰프(205)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각 채널별로 입력받아 하나의 라인으로 혼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혼합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랜을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다수개의 부방송실서버(200)와, 상기 주방송실서버(100), 상기 각 부방송실서버(200) 또는 각각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랜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허브(301)와, 상기 허브(301)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주방송실서버(100) 또는 각 부방송실서버(200)로부터 전송된 A/V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A/V 및 문자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접속된 외부 A/V재생장치(311)(312)(313)에서 재생된 A/V신호를 출력하도록 각 강의실에 구비하는 다수개의 강의실방송장치(310)와, 상기 허브(301)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주방송실서버(100) 또는 부방송실서버(200)로부터 전송된 A/V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노트북 컴퓨터(321)의 USB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USB 전송장치(320)와, 상기 허브(301)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주방송실서버(100) 또는 각 부방송실서버(200)로부터 전송된 A/V신호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접속된 음성출력 또는 영상출력단을 통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A/V 입출력제어장치(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주방송실서버(100)와 각 부방송실서버(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104)(204)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 및 방송하고자 하는 방송수신장치(310)(320)(330) 그룹을 선택하는 리모트앰프(105)(205)와, 상기 다수의외부 A/V 재생장치(101∼103)(201∼203)로부터 재생된 A/V신호 및 상기 리모트 앰프(105)(205)를 통해 출력된 음성신호를 채널별로 변조하는 각각의 변조기(111∼115)와, 상기 각 변조기(111∼115)로부터 변조된 A/V 신호를 하나의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라인을 통해 출력하도록 혼합하는 컨바이너(120)와, 상기 리모트앰프(105)(205)를 통해 선택된 방송수신장치 그룹신호를 검출하는 리모트앰프입력부(131)와, 상기 컨바이너(120)를 통해 출력되는 A/V, 문자신호의 정보를 검출하는 출력정보 검출부(132)와, 상기 출력정보 검출부(132)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컨바이너(120)를 통하여 출력되는 A/V, 문자신호 및 방송시스템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리모트앰프 입력부(131)를 통해 검출한 방송수신장치 그룹 선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방송수신 장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버 컴퓨터(130)와, 상기 서버 컴퓨터(130)에 접속되어 허브(301)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랜 카드(133)로 구성된다. 한편, 주방송실서버(100) 및 각각의 부방송실서버(200)에서 입력된 외부 재생장치는 각각 별도의 고유채널을 설정하도록 한다.
여기서, 강의실 방송장치(310)는 방송수신장치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허브(301)로부터 전송된 방송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랜카드(314)와, 상기 주방송실서버(100) 또는 부방송실서버(200)로부터 전송된 A/V, 문자신호 및 외부 접속된 VTR(311), 실물화상기(312) 또는 캠코더(313)등의 외부 A/V재생장치를 통해 재생된 A/V신호를 출력하는 A/V 입출력카드(315)와, 상기 랜카드(314) 및 A/V 입출력카드(315)를 접속하여 방송신호 및 방송시스템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외부 입력신호와 텔레비전 튜너 선택, 녹화, 재생신호 출력, 인터넷 인터페이스에 의한 원격방송을 제어하는 강의실 컴퓨터(316)와, 상기 A/V 입출력카드(315)의 제어에 의하여 음성신호 증폭, 음량조절, 뮤트(mute), 스테레오 기능을 수행하여 스피커(SPK(L), SPK(R))를 음성제어부(317)와, 상기 A/V 입출력카드(315)의 제어에 의하여 영상을 출력하는 TV(318)로 구성된다.
또한, A/V 입출력제어장치(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01)로부터 전송된 방송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랜카드(331)와, 상기 주방송실서버(100) 또는 부방송실서버(200)로부터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A/V 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신호에 의하여 음성 또는 영상출력하는 A/V 입출력부(333)와, 상기 랜카드(331)로부터 전송된 방송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A/V 입출력부(333)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33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2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원격방송을 위하여 주방송실, 부방송실에서 방송할 수 있도록 하며, 방송된 A/V신호, 문자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아날로그신호로 전송하고, 제어신호 등은 랜케이블을 통해 디지털신호로 전송하고, 전송된 음성, 영상, 문자, 제어신호는 강의실, 복도, 화장실, 특별실 등에 설치된 스피커 또는 텔레비전을 통해 출력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내 유선방송장치의 블록도 구성도로서, 방송실에 구비된 방송장치는 방송장치로 주방송실 서버(100)와 부방송실서버(200)에서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송하며, 방송수신장치로 각 강의실 방송장치(310), 노트북(321), 복도/화장실/특별실 등의 A/V입출력 제어장치(330)를 통해 각각 음성 또는 영상, 음성, 문자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노트북(321)에 방송신호를 수신할 경우에는 허브(301)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는 내장된 랜카드(도면에 미도시)를 통해 수신하며,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A/V, 문자신호는 USB 전송장치(320)에서 수신하여 노트북(321)의 USB 단자를 통해 전송한다.
도 3은 주방송실에 구축된 주방송실 서버의 상세블록 구성도로서, 주방송실서버(100)에 접속된 외부 재생장치인 TV(101), VTR(101), 캠코더(103) 또는 리모트앰프(105) 등으로부터 출력된 A/V 또는 문자신호를 변조기(111∼115)를 통해 변조하여 각 채널(CH1∼CH4)로 설정한다.
각 채널을 통해 입력된 음성, 영상 또는 문자신호를 컨바이너(120)를 통해 혼합하여 한 라인의 동축케이블(300)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서버컴퓨터(130)에는 리모트앰프입력부(131), 출력정보 검출부(132) 또는 랜카드(133)를 접속하고, 리모트앰프(105)와 동축케이블(120)에서 출력되는 음성, 영상 또는 문자신호와 각 시스템을 모니터링한다.
즉, 주방송실에서 사용자가 마이크(104)를 통해 방송할 경우 리모트앰프(105)를 사용해 방송하고자 하는 강의실 또는 기타 장소에 구비된 수신장치와 음량 등을 선택한 후 방송하게 되는데, 이때, 선택된 강의실과 음량 등을 검출하여 서버컴퓨터(130)에 전송하고, 서버컴퓨터(130)에서는 해당 강의실의 강의실서버(310)를 제어 구동하도록 랜카드(133)를 통해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컨바이너(120)에서 동축케이블(300)로 송출된 방송신호에 대한 정보는 출력정보 검출부(132)에서 검출하여 서버컴퓨터(130)에 전송하고, 서버컴퓨터(130)에서 이를 모니터링하여, 랜카드(133)를 통해 방송하고자 하는 채널을 선택하고, 강의실서버(310) 등의 방송수신장치를 제어하여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방송신호를 해당 방송수신장치를 통해 방송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서버컴퓨터(130)는 A/V 파일을 랜카드를 통해 해당 강의실 컴퓨터로 전송하여 방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등 방송장비를 직접 제어가 가능하고, 설정된 시간에 방송하도록 예약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인터넷을 통해 전송된 원격방송을 인터페이스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각 부방송실에 구비된 부방송실 서버(200)를 제어하도록 한다.
한편, 각 부방송실에는 주방송실에 구비된 주방송실서버(100)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축하며, 다수의 강의실 또는 복도, 화장실, 기타 특별실 등에 방송할 수 있도록 부방송실 서버(200)를 구축한다.
각 부방송실서버(200)에 접속된 TV(201), VTR(202), 캠코더(203), 리모트앰프(205) 등을 통해 입력된 음성, 영상, 문자신호를 주방송실서버의 채널과 중첩되지 않도록 다른 채널로 각각 설정하여 동축케이블(300)로 전송하도록 한다.
여기서, 주방송실서버(100)에 접속된 리모트앰프(105)와 부방송실서버(200)에 접속된 리모트앰프(205)에 접속된 채널의 음성신호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다른 외부 재생장치로부터의 재생신호에 우선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도 4는 강의실서버(310)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강의실컴퓨터(316)는 랜카드(314)와 A/V입출력카드(315)를 접속하여, 허브(301)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 등은 랜카드(314)를 통하여 인터페이스하며,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A/V, 문자신호는 A/V입출력카드(315)를 통해 입력받는다.
뿐만 아니라, A/V입출력카드(315)를 통해 외부에 접속된 VTR(311), 실물화상기(312), 캠코더(313) 등의 재생장치로부터의 재생 A/V신호를 입력받는다.
허브(301)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는 강의실 컴퓨터(316)에 의하여 해당 채널의 A/V, 문자신호의 수신을 제어하고, 재생되는 외부 재생장치의 출력을 제어하게 된다.
즉, A/V 외부입력신호와 TV 튜너를 선택출력하며, A/V 외부입력신호와 TV 튜너, 녹화, 재생, 인터넷 편집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랜(TCP/IP)통신에 의해 음성, 영상, 문자정보를 양방향 송수신하게 된다.
또한, 강의실 컴퓨터(316)는 접속된 각 외부 A/V재생장치 또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된 신호를 모니터링 한다. 뿐만아니라, 인터넷 인터페이스에 의한 인터넷 원격방송도 가능하도록 한다.
강의실 컴퓨터(316)는 A/V입출력카드(315)를 제어하여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방송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의 경우에는 음성제어부(317)를 통해 스피커(SPK(L),SPK(R))로 전송한다. 음성제어부(317)는 입력된 음성신호를 소정 레벨증폭하고, 음량을 조절하며, 뮤트, 스테레오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동축케이블(300)을 통해 전송된 A/V신호 또는 접속된 외부재생장치(311∼313)을 통해 전송된 A/V신호는 A/V입출력카드(315)의 제어에 의하여 TV(318)를 통해 출력한다.
도 5는 A/V 입출력제어장치(330)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랜카드(331), 중앙처리장치(332) 및 A/V 입출력부(333)를 구비하여, 외부 A/V재생장치를 연결할 필요가 없는 곳(복도, 화장실, 특별실 등)에 필요에 따라 스피커 또는 TV 만을 별도로 설치하여 방송수신하도록 한다.
즉, 랜카드(331)는 허브(301)을 통해 전송된 주방송실 또는 부방송실로부터의 방송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중앙처리장치(332)에 전송한다.
중앙처리장치(332)에서는 랜카드(331)를 통해 전송된 제어신호에 의하여 A/V 입출력부(333)를 제어하므로, 튜닝, RF신호수신, 복조 등의 과정을 통해 접속된 스피커 또는 TV로 해당 채널의 음성, 영상 또는 문자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신호전송수단을 랜(UTP)을 통해 A/V 또는 문자신호, 제어신호 등을 전송하는 등 전송수단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고안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내 유선방송장치는 기업체, 학교, 군부대, 각종 교육기관 및 공공기관 등의 사용이 가능하며, 방송용 서버시스템과 이를 수신하는 다수의 클라이언트 시스템간의 정보 송수신할 때, 다 채널의A/V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해서 송수신하고, 멀티미디어 정보 및 제어신호 등은 랜 케이블(UTP)을 통해서 전송하도록 하며, 뿐만 아니라, 방송용 서버시스템에서 각 방송수신장치를 원격 제어하도록 하므로서, 기존에 설치된 동축케이블과 랜 케이블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랜 케이블을 통해 제어신호를 송수신하므로 방송장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각종 음성/영상(A/V)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음성/영상 및 문자신호를 전송하도록 구비된 방송실의 전송장치와, 상기 전송장치로부터 전송된 해당 방송신호를 음성, 문자 및 영상신호로 디스플레이 및 음성출력하는 방송 수신장치로 구성된 구내방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외부 음성/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음성/영상, 문자신호 또는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각 채널별로 입력받아 하나의 라인으로 혼합하여 전송하고, 상기 혼합 전송되는 신호를 모니터링 함과 아울러 랜(LAN)을 통해 상기 방송수신장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송서버;
    상기 각 방송서버 및 각각의 방송수신장치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를 랜을 통해 인터페이스하는 허브;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영상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영상/문자, 음성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접속된 음성/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음성/영상을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강의실방송장치;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영상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노트북 컴퓨터의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를 통해 전송하는 USB 전송장치; 및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제어신호 및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영상신호 및 문자신호를 입력받아 접속된 음성출력 또는 영상출력단을 통해 해당 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영상 입출력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방송실서버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증폭 및 방송하고자 하는 수신장치 그룹을 선택하는 리모트앰프;
    상기 다수의 외부 음성/영상 재생장치로부터 재생된 음성/영상신호 및 상기 리모트 앰프를 통해 출력된 음성신호를 채널별로 변조하는 각각의 변조기;
    상기 변조기로부터 출력된 변조 음성/영상을 하나의 라인을 통해 출력하도록 혼합하는 컨바이너;
    상기 리모트앰프를 통해 선택된 수신장치 그룹신호를 입력하는 리모트앰프입력부;
    상기 컨바이너를 통해 출력되는 음성/영상, 문자신호의 정보를 검출하는 출력정보 검출부;
    상기 출력정보 검출부를 통해 입력된 신호에 의하여 상기 컨바이너를 통하여 출력되는 A/V, 문자신호 및 방송시스템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리모트앰프 입력부를 통해 검출한 방송수신 그룹 선택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해당 방송수신 장치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서버 컴퓨터; 및
    상기 서버 컴퓨터에 접속되어 허브로부터 입출력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랜 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의실 방송장치는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방송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랜카드;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영상, 문자신호 및 외부 접속된 음성/영상재생장치를 통해 재생된 음성/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영상 입출력카드; 및
    상기 랜카드 및 음성/영상 입출력카드를 접속하여 방송신호 및 방송시스템을 모니터링함과 아울러 외부입력신호와 텔레비전 튜너 선택, 녹화, 재생신호 출력, 인터넷 인터페이스에 의한 원격방송을 제어하는 강의실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영상 입출력제어장치는
    상기 허브로부터 전송된 방송 제어신호를 인터페이스 하는 랜카드;
    상기 방송서버로부터 전송된 음성/영상 신호를 입력하여 제어신호에 의하여 음성 또는 영상출력하는 음성/영상 입출력부; 및
    상기 랜카드로부터 전송된 방송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음성/영상 입출력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송서버에서 강의실방송장치, USB 전송장치 및 음성/영상입출력제어장치로의 음성/영상신호는 동축케이블을 통해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영상 입출력제어장치는
    필요에 따라 음성신호, 영상신호, 문자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혼합하여 선택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버에 접속된 각 외부기기로부터 재생 입력된 음성, 영상신호 중 상기 리모트 앰프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가장 높은 우선순위로 설정하여 방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버는
    주방송실서버와 다수개의 부방송실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서버는
    랜카드를 통해 제어신호, 음성/영상, 및 문자신호, 멀티미디어 신호를 상기 방송수신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구내 유선방송장치.
KR1020020011845A 2002-03-06 2002-03-06 구내 유선방송장치 KR2003007269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845A KR20030072691A (ko) 2002-03-06 2002-03-06 구내 유선방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1845A KR20030072691A (ko) 2002-03-06 2002-03-06 구내 유선방송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770U Division KR200276739Y1 (ko) 2002-03-15 2002-03-15 구내 유선방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2691A true KR20030072691A (ko) 2003-09-19

Family

ID=32223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1845A KR20030072691A (ko) 2002-03-06 2002-03-06 구내 유선방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7269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84B1 (ko) * 2006-07-07 2008-02-14 동광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양방향 구내 방송장치
KR100881076B1 (ko) * 2008-07-30 2009-01-30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방송시스템
KR100883537B1 (ko) * 2008-01-24 2009-02-13 (주)진명아이앤씨 연결 구간 진단이 가능한 디지털 네트워크 믹서 장치 및 그연결 구간 진단 방법
KR100944180B1 (ko) * 2008-12-30 2010-02-25 주식회사 바이콤 구내 방송 시스템 및 구내용 방송 수신 모듈의 선택적 방송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1280A (ja) * 1991-01-09 1992-09-07 Nec Corp 教育支援システム
WO1995010917A1 (en) * 1993-10-14 1995-04-20 Megavision International Pty. Ltd. Multimedia enabled network
KR970072810A (ko) * 1996-04-15 1997-11-07 최명섭 서버 신호 제어 장치
JPH10112724A (ja) * 1996-10-07 1998-04-28 Hitachi Ltd 家庭内av−lanシステム
KR20010002336A (ko) * 1999-06-14 2001-01-15 장윤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1280A (ja) * 1991-01-09 1992-09-07 Nec Corp 教育支援システム
WO1995010917A1 (en) * 1993-10-14 1995-04-20 Megavision International Pty. Ltd. Multimedia enabled network
KR970072810A (ko) * 1996-04-15 1997-11-07 최명섭 서버 신호 제어 장치
JPH10112724A (ja) * 1996-10-07 1998-04-28 Hitachi Ltd 家庭内av−lanシステム
KR20010002336A (ko) * 1999-06-14 2001-01-15 장윤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3284B1 (ko) * 2006-07-07 2008-02-14 동광전자 주식회사 모듈형 양방향 구내 방송장치
KR100883537B1 (ko) * 2008-01-24 2009-02-13 (주)진명아이앤씨 연결 구간 진단이 가능한 디지털 네트워크 믹서 장치 및 그연결 구간 진단 방법
KR100881076B1 (ko) * 2008-07-30 2009-01-30 아카데미정보통신 (주) 방송시스템
KR100944180B1 (ko) * 2008-12-30 2010-02-25 주식회사 바이콤 구내 방송 시스템 및 구내용 방송 수신 모듈의 선택적 방송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71615B1 (en) Control apparatus for systematically operating audio and/or video sets
US5602580A (en) Video communication controller using FM sideband transmission
US66369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signals over twisted-pair wires
KR100983334B1 (ko) 무선 방송 시스템 및 스피커 제어 장치
KR102307739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출력장치의 제어가 가능한 전관방송 시스템
US7339492B1 (en) Multi-media wireless system
KR20030072691A (ko) 구내 유선방송장치
KR200276739Y1 (ko) 구내 유선방송장치
US7236600B1 (en) Transmission of power and/or signalling between an audio distribution unit and a plurality of remote audio transducers
US2009029007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 video production
KR100944180B1 (ko) 구내 방송 시스템 및 구내용 방송 수신 모듈의 선택적 방송방법
KR100270447B1 (ko)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KR100741508B1 (ko) 통합방송 시스템
KR100291979B1 (ko)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KR100886745B1 (ko) 멀티미디어 모듈레이터
JPH10336614A (ja) 集合住宅マルチメディアシステム
KR101594431B1 (ko) 스마트 교실 구축을 위한 융합 종합 방송 시스템
US4427995A (en) Fail-safe CATV system center facility
KR200181444Y1 (ko) 모니터 감시회로
JP4618791B2 (ja) 告知放送システム
KR101490079B1 (ko) 다중매체의 hd급 디지털 방송 통합전송 제어시스템
KR100411967B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547222B1 (ko) 통합형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56202B1 (ko)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KR200411700Y1 (ko) 통합방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119

Effective date: 2006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