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6202B1 -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 Google Patents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6202B1
KR100656202B1 KR1020030097281A KR20030097281A KR100656202B1 KR 100656202 B1 KR100656202 B1 KR 100656202B1 KR 1020030097281 A KR1020030097281 A KR 1020030097281A KR 20030097281 A KR20030097281 A KR 20030097281A KR 100656202 B1 KR100656202 B1 KR 100656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module
signal
module
broadcast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2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6074A (ko
Inventor
정태열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정태열
정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열, 정지원 filed Critical 정태열
Priority to KR10200300972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6202B1/ko
Publication of KR20050066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6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620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실에 설치된 스피커 및 텔레비전 등의 학교방송장치를 원격 제어하며 학교방송장치의 구동상태와 고장유무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DTMF 신호를 이용한 학교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수의 음성신호 입력단이 연결된 오디오 믹서와 다수의 영상신호 입력단이 연결된 비디오 믹서가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에 방송환경에 따라 특정한 채널로 송출하기 위해 RF 신호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의 채널을 하나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콤바인을 구비한 방송모듈과; 상기 콤바인과 하나의 동축케이블로 병렬 연결되어 음성방송 및 영상방송을 수신하여 방송하는 다수의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발생하는 엔코더와; 상기 방송모듈, 수신모듈 및 엔코더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를 포함하는 방송장치로서, 상기 엔코더는 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DTMF 톤 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DTMF 톤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수신기를 하나의 동축케이블로 개별 제어, 그룹제어, 구동상태 점검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멀티미디어, 학교방송, DTMF, 임피던스 정합

Description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ing multimedia using DTMF}
도 1 은 종래의 학교방송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3 은 도 2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송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도 2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음성 수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 는 도 2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영상 수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7 은 도 6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수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이용한 방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9 는 도 8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과정의 자기진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0 은 도 8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과정의 코드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11 은 도 8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과정의 원격조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어컴퓨터 110 : 진단모듈
200 : DTMF 엔코더 300 : 방송장치
400, 500, 600 : 수신모듈 410 : 분배기
420 : 복조부 430 : DTMF 디코더 회로부
440 : 음량 조정부 450 : 음성 출력부
460 : 자기진단 회로부 470 : 영상 출력부
480 : 채널 스위치 700 : 동축케이블
710, 720, 730 : 임피던스 정합부
본 발명은 학교방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실에 설치된 스피커 및 텔레비전 등의 학교방송장치를 원격 제어하며 학교방송장치의 구동상태 와 고장유무를 원격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DTMF 신호를 이용한 학교방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DTMF는 일반 전화기에서 상대방을 결정하기 위해 전화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방식의 하나로서, 전화기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삐’하고 울리는 소리가 바로 그것인데, 인간의 귀로는 모두 같은 소리로 들리지만 실제로는 각 버튼에 해당되는 고유의 주파수가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DTMF가 적용된 전화기는 사용자가 버튼을 누르면 각 버튼에 해당하는 두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의 음을 발생한다. 두개의 서로 다른 특정 주파수를 사용하는 것은, 노이즈 또는 인위적인 조작에 의해 각 버튼에 해당하는 음이 발생하여 기기가 마치 정상적인 신호인 것처럼 동작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이다. 뿐만 아니라 각 주파수 사이에도 고조파를 방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어, 다른 주파수들에 의한 간섭을 배제하고 있다.
또한, 일반적인 학교방송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성을 방송하기 위한 음성방송수단(10)과, 영상을 방송하기 위한 영상방송수단(20)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교방송장치에서 특히 음성방송수단(10)은 앰프의 출력이 2가닥의 배선으로 수신기(30, 31, 32)까지 연결되어 각 교실로 포설된 배선의 가닥수는 설치된 수신기의 2배가 설치된다.
또한, 방송실과 수신기의 임피던스 정합 상태가 동일하지 못하여 교실마다
출력되는 음량의 차이가 발생하여 교실마다 일정한 음량으로 출력하는 것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수신기의 스피커에 부착된 정합 트
랜스를 동일한 규격으로 모두 교체하거가 별도의 신호감쇄기를 설치하고, 설치된 신호감쇄기를 제어하기 위한 배선을 별도로 포설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성신호는 스피커 배선으로 전달되고, 영상신호는 동축케이블로 연결된 별도의 장치를 통해 전달됨에 따라 교실 수에 대응하는 스피커용 배선과 동축케이블이 배선되므로 선로시설에 많은 예산이 투입되고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와 하나의 동축케이블에 연결된 다수의 수신모듈을 각각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한 수신기들의 그룹제어가 가능하며, 각 수신모듈들의 구동상태 점검 및 원격제어가 가능한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성방송장치와 UTP 케이블로 연결된 음성방송 수신모듈의 원격제어 및 각 수신모듈의 구동상태 점검이 가능한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동축케이블에 다수의 수신기가 연결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로부터 다수의 수신기를 원격제어하기 위한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의 음성신호 입력단이 연결 된 오디오 믹서와 다수의 영상신호 입력단이 연결된 비디오 믹서가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에 방송환경에 따라 특정한 채널로 송출하기 위해 RF 신호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의 채널을 하나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콤바인을 구비한 방송모듈과; 상기 콤바인과 하나의 동축케이블로 병렬 연결되어 음성방송 및 영상방송을 수신하여 방송하는 다수의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발생하는 엔코더와; 상기 방송모듈, 수신모듈 및 엔코더를 원격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를 포함하는 방송장치로서, 상기 엔코더는 수신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코드를 DTMF 톤 신호로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동축케이블로 전송되는 RF 신호를 복조기로 인가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상기 DTMF 톤을 해석하여 명령코드를 실행하는 DTMF 디코더 회로부;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자기진단코드에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자기진단 회로부; 및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고,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의 작동상태를 점검하는 상기 자기진단 회로부는 응답 톤 신호를 발생하는 톤 발생기; 및 상기 톤 발생기에서 발생된 응답 톤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변조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의 기능설정 및 환경설정의 코드를 나타내는 상기 DTMF 톤은 상기 수신모듈의 개별 온/오프 및 그룹 온/오프 제어를 위한 기능코드; 상기 수신모듈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진단코드; 및 상기 수신모듈의 수신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코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제어컴퓨터는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자기진단 신호를 검출하는 진단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음성신호 입력단이 연결된 오디오 믹서가 연결된 스위치와, 상기 스위치의 출력단에 방송환경에 따라 특정한 채널로 송출하기 위해 RF 신호로 변환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변조기와, 상기 변조기의 채널을 하나의 출력으로 변환하는 콤바인을 구비한 방송모듈과; 상기 콤바인과 UTP 케이블로 병렬 연결되어 음성방송을 실행하는 다수의 수신모듈과; 상기 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코드를 발생하는 엔코더와; 상기 방송모듈, 수신모듈 및 엔코더를 제어하는 제어컴퓨터를 포함하는 방송장치로서, 상기 엔코더는 DTMF 톤 신호를 이용하여 수신모듈을
제어하는 제어코드를 발생하고;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UTP 케이블의 임피던스를 정합시키는 임피던스 정합부와, 상기 DTMF 톤을 해석하여 명령코드를 실행하는 DTMF 디코더 회로부와,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자기진단코드에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자기진단 회로부와,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고,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UTP 케이블로 병렬 연결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다수의 방송채널 중에서 하나의 방송채널을 선택하 여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채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의 작동상태를 점검하는 상기 자기진단 회로부는 응답 톤 신호를 발생하는 톤 발생기; 및 상기 톤 발생기에서 발생된 응답 톤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변조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방송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상기 제어컴퓨터는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자기진단 신호를 검출하는 진단모듈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이용하여 방송하는 방법으로서, 방송을 송신하기 위한 방송모듈 제어명령과 상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의 기능 및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행되는 모듈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이 방송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방송을 송신하기 위한 환경설정, 예약환경설정 및 방송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코드를 설정하는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원격조작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종료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의 작동상태를 점검하기 위한 상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은 자기진단 대상 수신모듈의 설정과 자기진단 명령을 엔코더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 온 명령을 DTMF 톤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DTMF 톤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수신모듈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 원이 온 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소정의 DTMF 톤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리턴된 DTMF 톤 신호가 정상인 경우 수신모듈의 정상표시 및 해당 수신모듈의 오프 명령을 전송하고, DTMF 톤 신호가 리턴 되지 않은 경우 해당 수신모듈의 오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에 연결된 출력부의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상기 수신모듈의 코드설정 명령은 수신모듈의 코드 및 환경설정 명령을 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 온 명령을 DTMF 톤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톤 신호가 TV 환경설정코드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TV 모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TV 채널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TV 입력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시 수신모듈의 TV 음량조절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모듈의 재설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신모듈의 코드를 설정하기 위한 상기 톤신호가 TV환경설정코드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모듈의 개별 온/오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그룹별 온/오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체 온/오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코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어컴퓨터가 수신모듈을 원격조작하기 위한 상기 수신모듈의 원격조작 명령은 해당 수신모듈의 선택 및 전원 온/오프 명령을 DTMF 톤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DTMF 톤신호를 분석하여 수신모듈의 전원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는 단 계; 상기 신호가 오프인 경우 상기 수신모듈을 종료하고, 상기 신호가 온인 경우 상기 수신모듈에 연결된 TV/앰프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TV/앰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도 2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송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4는 도 2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음성 수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2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영상 수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는 제어컴퓨터(100)와, DTMF 엔코더(200)와 방송모듈(300)과, 다수의 수신모듈(400, 500, 600) 및 상기 방송모듈(300)과 다수의 수신모듈(400, 500, 600)이 동축케이블(700)로 연결된다.
제어컴퓨터(100)는 각 수신장소에 설치된 수신모듈(400, 500, 600)의 음성출력부(450)와, 영상출력부(470)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제어코드와 방송할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방송모듈(300)로 송출하고, 방송모듈(300)의 신호 입력단을 통해 연결된 다수의 음성신호, 영상신호 및 멀티미디어 정보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코드는 수신모듈(400)의 음성출력부(450) 및/또는 영상출력부(470)
의 기능을 제어하는 기능코드와 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코드로 구분된다. 상기 제어 코드는 숫자와 문자를 이용한 16진 코드로 구성되며, 2자리 또는 3자리수의 코드로 확장할 수 있으며, 이런 코드를 복수로 송출하여 기능을 확장할 수 도 있다.
상기 기능코드는 제어컴퓨터(100)에서 각각의 수신장소에 설치된 음성출력부(450) 및/또는 영상출력부(470)를 원격 제어하기 위한 명령코드로서, 수신모듈의 개별(예를 들면, 학교의 개별학급, 아파트의 개별 호 등) 온/오프 명령코드, 수신모듈의 그룹별(예를 들면, 학교의 학년, 아파트의 1개 동) 온/오프 명령코드, 수신모듈의 전체(예를 들면, 학교의 전 학년, 아파트의 전체 동) 온/오프 명령코드,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코드 및 음성출력부(450) 및/또는 영상출력부(470)의 기능(예를 들면, 음량조정, TV 모델, TV 채널, TV 입력모드 등)을 제어하는 명령코드로 구성된다. 상기 영상출력부(470)의 기능을 제어하는 명령코드는 TV를 제작하는 제작사에서 제공하는 원격조정용 코드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환경코드는 영상출력부(470)의 기본적인 환경을 미리 설정된 값으로 입력하여 제어코드와 동기된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TV종류, 케이블TV, VHF 채널, UHF 채널, TV 입력단자 선택 등을 미리 코드화하여 설정한 명령코드이다.
또한, 제어컴퓨터(100)는 방송장치에 연결된 모든 수신모듈의 기능제어, 환경설정 및 원격조작을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과, 방송환경설정, 예약 및 예약방송설정, 직접방송, 시보방송 등을 관리하는 방송프로그램이 설치되며, 상기 방송프로그램은 이미 공지된 방송프로그램을 사용한다.
진단모듈(110)은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송출된 자기진단 명령을 수행한 수신모듈(400, 500, 600)로부터 피드백(Feed Back)되는 자기진단 톤을 수신하여 제어 컴퓨터로 전송한다.
DTMF 엔코더(200)는 제어컴퓨터(100)의 RS-232C 또는 USB를 통해 연결되고,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되는 코드화된 제어명령을 DTMF 톤 신호로 변환하여 방송모듈(300)의 스위치(350)를 거쳐 동축케이블(700)을 통해 수신모듈(400, 500, 600)로 송출한다. 즉 DTMF 엔코더(200)는 0 ~ 9, A,B, C, D, *, #의 16가지 코드를 이용하여 수신모듈의 선택과 기능을 제어하는 코드를 DTMF 톤 신호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DTMF 엔코더(200)가 1학년 전체의 영상출력부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1"과 "*"를 DTMF 톤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이와 반대로 2학년 전체의 영상출력부 전원을 오프 시키는 경우 "2"와 "#"을 DTMF 톤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제어대상 및 제어명령이 증가하는 경우 예를 들면 2 년 12반의 영상출력부 전원 온, TV채널 11번 설정인 경우 "212*A11"을 DTMF 톤 신호로 출력한다.
방송모듈(300)은 다수의 음성신호를 입력하는 오디오 믹서(310)와, 다수의 영상신호를 입력하는 비디오 믹서(320)와, VTR(330)과, 위성 텔레비전 또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튜너(340)가 입력되고, 오디오 믹서(310), 비디오 믹서(320), VTR(330), 튜너(340)의 출력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350)와 스위치(350)의 출력단에 방송환경에 따라 특정한 채널로 송출하기 위해 RF 신호로 변환하는 다수의 변조기(360a, 360b, 360c)와, 변조기(360a, 360b, 360c)의 채널을 하나의 출력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콤바인(370)을 포함한다.
또한, 오디오 믹서(310)의 입력단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카세트 테입과, CD에서 재생되는 스테레오 음향 신호가 인가되고, 비디오 믹서(320)의 입력단에는 비디오 카메라, 멀티미디어 재생장치 등의 영상신호가 입력된다. 이러한 방송모듈(30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을 사용한다.
수신모듈(400)은 동축케이블(700)에 병렬 연결되고, 방송모듈(300)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복조기(420)로 인가하는 분배기(410)와, 분배기(410)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420)와, 복조기(420)로부터 복조된 신호중에서 DTMF 톤 신호를 검출하고, 상기 DTMF 톤 신호를 해석하여 명령코드를 실행하는 DTMF 디코더 회로부(430)와,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자기진단코드에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자기진단 회로부(460)와, DTMF 디코더 회로부(4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고 방송모듈(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50) 및/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영상출력부(470)를 구비한다.
DTMF 디코더 회로부(430)는 메모리가 구비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미도시)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DTMF 톤 신호를 해독하고, 기능코드 및 환경코드의 정보와 상기 기능코드 및 환경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 및 설치된다. 또한, 해독된 DTMF 톤 신호에 따라 영상출력부(470)를 구동하기 위한 적외선 신호가 적외선 송신부(미도시)를 통해 출력된다. 상기 적외선 신호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공지된 TV 제어용 코드를 사용한다.
음성 출력부(450)는 스피커로서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 연결되고,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된다.
자기진단 회로부(460)는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출력된 자기진단 코드가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서 검출되면 톤 발생기(461)에서 상기 자기진단 코드에 대한 응답 톤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응답 톤 신호를 변조기(462)에서 RF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컴퓨터(100)로 전송한다.
영상 출력부(470)는 TV로서 전송되는 영상신호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며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 연결되어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된다. 영상 출력부(470)는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영상 출력부(470)의 음량조정, 영상이 출력되는 TV 채널(예를 들면, 케이블 TV 채널, VHF 채널, UHF 채널 등)설정, 및 TV채널/외부입력/비디오출력 등의 TV 입력단자가 선택 및 설정된다. 상기 제어신호는 이미 공지된 적외선을 신호로 이용하여 전송한다.
미설명 부호 440은 DTMF 디코더 회로부(430)와 음성출력부(450) 사이에 연결되고, 음성출력부(450)로 출력되는 음성신호의 출력크기를 조절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의 수신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의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상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는 제어컴퓨터(100)와, DTMF 엔코더(200)와 방송모듈(300)과, 다수의 수신모듈(400, 500, 600) 및 상기 방송모듈(300)과 다수 의 수신모듈(400, 500, 600)이 통신케이블(701)로 연결되고, 상기 통신케이블과 임피던스 정합부(710, 720, 730)를 포함한다.
수신모듈(400)은 통신케이블(701)로부터 임피던스를 정합하여 톤 신호를 검출하는 임피던스 정합부(710)와, 상기 DTMF 톤 신호를 해석하여 명령코드를 실행하는 DTMF 디코더 회로부(430)와,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된 자기진단코드에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자기진단 회로부(460)와, DTMF 디코더 회로부(4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고 방송모듈(30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음성출력부(450)와,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채널 스위치(480)를 구비한다.
채널 스위치(480)는 DTMF 디코더 회로부(4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통신케이블(701)로 전송되는 방송채널을 선택하여 음량조정부(440)로 전송한다. 즉 둘 이상의 방송채널을 포함하는 통신케이블(701)에서 지정된 방송채널을 선택하는 구성이다.
통신케이블(701)은 UTP 케이블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신선로를 포함하는 전화 또는 컴퓨터 LAN 통신용 케이블이다. 상기 UTP 통신 케이블은 음성방송 만을 송출하는 경우 동축케이블(700)을 대신하여 설치한다.
임피던스 정합부(710)는 통신케이블(701)에 병렬 연결된 수신모듈(400)이 방송모듈(300)로부터 DTMF 톤 신호와 방송하고자 하는 음성신호가 동일한 선로를 타고 전송되면 전체 방송선로의 임피던스 상태를 정합하여 DTMF 디코더 회로부(430)로 DTMF 톤 신호를 효율적으로 전달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이용한 방송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과정의 자
기진단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10은 도 8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과정의 코드설정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1은 도 8의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과정의 원격조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어컴퓨터(100)는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방송을 송출하기 위한 방송모듈(300)의 제어명령과 상기 방송모듈(300)로부터 송출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400)의 기능 및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화면을 출력하고, 입력수단(미도시)을 통해 방송모듈(300)과 수신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검출(S100)한다.
상기 S100단계에서 검출된 제어명령은 제어컴퓨터(100)에서 수행되는 모듈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이 방송모듈(300)의 환경설정 및 방송출력 명령인지 여부를 판단(S200)하여 방송출력인 경우 방송모듈(300)의 환경설정, 예약환경설정 및 직접방송, 시보방송을 송출(S210)한다. 상기 S210단계에서 수행되는 방송은 이미 알려진 방송프로그램을 이용한다.
상기 S200단계에서 제어명령이 수신모듈(400)의 제어명령인 경우 제어컴퓨터(100)는 수신모듈(400)의 자기진단 명령인지를 판단(S300)하여 자기진단 명령인 경우 DTMF 엔코더(200)로 자기진단 명령을 전송하고, DTMF 엔코더(200)는 DTMF 톤 신호로 변환하여 동축케이블(700) 또는 UTP 케이블(701)로 송출(S310)한다.
상기 S310단계에서 자기진단 명령은 방송모듈(300)에 연결된 수신모듈(400)을 순차적으로 점검하고, 특정 수신모듈(400)을 선택하기 위한 개별코드와 수신모듈(400)을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 온 명령을 DTMF 톤 신호로 출력(S320)한다. 예를 들면, 1학년, 2학년, 3학년 각각 10개의 반이 편성된 학교에서 1학년 10개 학급 전체의 영상출력부(470) 전원을 온 시키는 경우 10* 라는 코드를 DTMF 톤 신호로 발생한다. 또한, 1학년 1반, 2반의 영상출력부(470)만을 종료시키는 경우 101#, 102# 이라는 코드를 DTMF 톤 신호로 발생하여 특정 수신모듈만을 제어한다.
상기 S320단계에서 출력된 DTMF 톤 신호는 동축케이블(700) 또는 통신케이블(701)과 병렬 연결된 모든 수신모듈(400)로 전송되고, 수신모듈(400)의 DTMF 디코더 회로부(430)는 DTMF 톤 신호를 분석하여 자기진단 명령인지를 검출하며, 자기진단 명령인 경우 자기진단 회로(460)의 전원을 온 시킨다(S330).
상기 S330단계를 수행한 후 자기진단 회로부(430)에 전원이 온 되었는지를 판단(S340)하여 전원이 온 된 경우 톤 발생기(461)에서 응답 톤을 발생하고, 상기 응답 톤을 변조기(462)에서 RF신호로 변환하여 진단모듈(110)로 전송한다(S350).
상기 S340단계에서, 자기진단 회로부(430)의 전원이 온 되지 않은 경우 응답톤 신호를 진단모듈(110)로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S340단계와 S35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컴퓨터(100)는 수신모듈(400)로부터 전송된 응답 톤 신호가 있는지를 검출(S360)하여 응답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 은 경우 해당 수신모듈(400)의 오류를 표시(S361)한다. 상기 S360단계에서 응답 톤이 검출된 경우 제어컴퓨터(100)는 해당 수신모듈(400)의 정상을 표시하고, 수신모듈(400)의 전원 오프 명령을 출력(S370)한다.
상기 S37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컴퓨터(100)는 연결된 모든 수신모듈(400)의 점검을 종료하였는지 판단(S380)하여 점검대상 수신모듈(400)이 더 있는 경우 상기 S320단계로 리턴하고, 점검대상 수신모듈(400)이 없는 경우 자기진단 명령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S300단계에서 제어컴퓨터(100)는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이 아닌 경우 수신모듈의 코드설정 명령인지를 판단(S400)하여 수신모듈(400)의 코드를 설정하는 명령인 경우 DTMF 엔코더(200)로 코드설정 명령을 전송하고, DTMF 엔코더(200)는 DTMF 톤 신호로 변환하여 동축케이블(700) 또는 UTP 케이블(701)로 송출(S410)한다.
상기 S410단계에서 송출된 DTMF 톤 신호는 해당 수신모듈(400)의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서 변환되어 수신모듈(400)의 음량조정부(440), 음성출력부(450) 및 영상출력부(470)의 전원을 온 시키고 TV 환경설정코드 인지를 판단(S420)한다.
상기 S420단계에서, 코드설정 명령이 TV 환경설정코드인 경우 DTMF 디코더 회로부(430)는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TV 모델코드를 입력받아서 영상출력부(470)를 설정(S421)하고,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채널코드를 입력받아서 영상출력부(470)를 설정(S422)하며,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TV 입력코드를 입력받아서 영상출력부(470)를 설정(S423)하고,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 송되는 TV 음량조절코드를 입력받아서 영상출력부(470)를 설정(S424)한다.
또한, 상기 S420단계에서, 코드설정 명령이 TV 환경설정코드가 아닌 경우 DTMF 디코더 회로부(430)는 수신모듈(400)의 전송되는 개별 온/오프 코드(S430)와, 그룹 온/오프 코드(S431)와, 전체 온/오프 코드(S432)와, 자기진단 코드(S433)를 DTMF 디코더 회로부(430)의 메모리에 저장한다. 상기 S430 단계 내지 상기 S433 단계에서는 DTMF 톤 신호에 따라 해당 수신모듈(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코드를 세팅하는 과정이다.
상기 S424단계 또는 상기 S433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컴퓨터(430)는 상기 수신모듈의 재설정 여부를 판단(S430)하여 수신모듈(400)의 환경을 재설정하는 경우 상기 S420단계로 리턴하고, 재설정하지 않는 경우 종료한다.
한편, 상기 S400단계에서 수신모듈의 코드설정 명령이 아닌 경우 제어컴퓨터(100)는 수신모듈(400)을 원격조작하기 위한 수신모듈의 원격조작 명령인지를 판단(S500)하여 해당 수신모듈(400)을 선택하기 위한 DTMF 톤 신호와 수신모듈(40))의 전원 온/오프명령을 DTM 엔코더(200)에서 DTMF 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S510)한다.
상기 S510단계에서 출력된 DTMF 톤 신호를 수신모듈(400)의 DTMF 디코더 회로부(430)에서 분석(S520)하고, 상기 S520단계에서 분석된 명령이 원격제어 명령인 경우 수신모듈(400)의 전원을 온/오프 하는 명령인지를 판단(S530)한다.
상기 S530단계에서, 상기 명령이 오프인 경우 수신모듈(400)의 전원을 차단하여 음량조정부(440), 음성출력부(450) 및 영상출력부(470)의 동작을 종료(S531) 시키고, 상기 S530단계에서 원격제어 명령이 전원 온 인 경우 수신모듈(400)에 연결된 음량조정부(440), 음성출력부(450) 및 영상출력부(470)의 전원을 온 시킨다(S540).
상기 S540단계를 수행한 후 제어컴퓨터(100)로부터 전송되는 원격제어 명령에 따라 음량조정부(440), 음성출력부(450) 및 영상출력부(470)를 설정(S550)한다.
상기 S550단계를 수행한 후 수신모듈(400)의 원격조작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S560)하여 수신모듈(400)의 추가 원격조작이 있는 경우 상기 S550단계로 리턴하고, 없는 경우 원격조작을 종료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TMF 톤 신호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방송장치와 연결된 다수의 수신기를 하나의 동축케이블로 개별 제어, 그룹제어, 구동상태 점검 및 원격제어가 가능하여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방송장치와 수신모듈이 이미 설치된 스피커 배선 또는 UTP 케이블로
연결된 경우 임피던스 정합부를 이용하여 효율적으로 방송신호와 DTMF 톤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각각의 배선을 다른 방송채널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4)

  1. 수신모듈의 기능제어, 환경설정 및 원격조작을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과, 방송설정, 예약, 직접방송 및 시보방송을 관리하는 방송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수신모듈의 제어신호와,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신호와, 다수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믹서와 다수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비디오 믹서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방송모듈;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수신모듈의 제어신호를 DTMF 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모듈로 출력하는 엔코더;
    상기 방송모듈과 동축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DTMF 톤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고,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수신모듈; 및
    상기 방송모듈과 수신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수신모듈의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피던스 정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동축케이블로 전송되는 RF 신호를 복조기로 인가하는 분배기;
    상기 분배기로부터 전송되는 RF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상기 DTMF 톤을 해석하여 명령코드를 실행하는 DTMF 디코더 회로부;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자기진단코드에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자기진단 회로부; 및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고,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또는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진단 회로부는 응답 톤 신호를 발생하는 톤 발생기; 및
    상기 톤 발생기에서 발생된 응답 톤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TMF 톤은 상기 수신모듈의 개별 온/오프 및 그룹 온/오프 제어를 위한 기능코드;
    상기 수신모듈의 동작상태를 점검하는 진단코드; 및
    상기 수신모듈의 수신환경을 설정하는 환경설정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는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자기진단 신호를 검출하는 진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6. 수신모듈의 기능제어, 환경설정 및 원격조작을 관리하는 관리프로그램과, 방송설정, 예약, 직접방송 및 시보방송을 관리하는 방송프로그램이 설치되고, 상기 수신모듈의 제어신호와, 방송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제어컴퓨터;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방송신호와, 다수의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오디오 믹서와 다수의 영상신호가 입력되는 비디오 믹서와 연결되어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가 출력되도록 하는 스위치를 구비한 방송모듈;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수신모듈의 제어신호를 DTMF 톤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방송모듈로 출력하는 엔코더;
    상기 방송모듈과 통신케이블로 연결되어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상기 DTMF 톤 신호에 따라 동작이 제어되고,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되도록 하는 수신모듈;
    상기 방송모듈과 수신모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통신케이블과 수신모듈의 임피던스 정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임피던스 정합부;
    상기 DTMF 톤을 해석하여 명령코드를 실행하는 DTMF 디코더 회로부;
    상기 제어컴퓨터로부터 전송된 자기진단코드에 소정의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자기진단 회로부; 및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고,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및 영상신호 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은 상기 DTMF 디코더 회로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어되고, 다수의 방송채널 중에서 하나의 방송채널을 선택하여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채널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진단 회로부는 응답 톤 신호를 발생하는 톤 발생기; 및
    상기 톤 발생기에서 발생된 응답 톤 신호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변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컴퓨터는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자기진단 신호를 검출하는 진단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른 멀티미디어 방송장치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으로서,
    방송을 송신하기 위한 방송모듈 제어명령과 상기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모듈의 기능 및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행되는 모듈을 판단하여 상기 제어명령이 방송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방송을 송신하기 위한 환경설정, 예약환경설정 및 방송을 송출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코드를 설정하는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원격조작 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어명령이 수신모듈의 제어명령인 경우 수신모듈의 종료명령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제어명령을 DTMF 톤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은 자기진단 대상 수신모듈의 설정과 자기진단 명령을 엔코더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 온 명령을 DTMF 톤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DTMF 톤 신호를 수신하여 분석하고, 수신모듈의 전원을 온 시키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이 온 되었는지 검출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이 온 된 경우 소정의 DTMF 톤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로부터 리턴된 DTMF 톤 신호가 정상인 경우 수신모듈의 정상표시 및 해당 수신모듈의 오프 명령을 전송하고, DTMF 톤 신호가 리턴 되지 않은 경우 해당 수신모듈의 오류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의 코드설정 명령은 수신모듈의 코드 및 환경설정 명령을 엔코더로 전송하여 상기 수신모듈의 전원 온 명령을 DTMF 톤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톤 신호가 TV 환경설정코드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TV 모델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TV 채널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TV 입력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시 수신모듈의 TV 음량조절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모듈의 재설정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톤신호가 TV환경설정코드 인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수신모듈의 개별 온/오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그룹별 온/오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수신모듈의 전체 온/오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모듈의 자기진단 명령코드를 입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모듈의 원격조작 명령은 해당 수신모듈의 선택 및 전원 온/오프 명령을 DTMF 톤 신호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DTMF 톤 신호를 분석하여 수신모듈의 전원 온/오프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신호가 오프인 경우 상기 수신모듈을 종료하고, 상기 신호가 온인 경우 상기 수신모듈에 연결된 TV/앰프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송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TV/앰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방법.
KR1020030097281A 2003-12-26 2003-12-26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KR1006562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281A KR100656202B1 (ko) 2003-12-26 2003-12-26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281A KR100656202B1 (ko) 2003-12-26 2003-12-26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074A KR20050066074A (ko) 2005-06-30
KR100656202B1 true KR100656202B1 (ko) 2006-12-13

Family

ID=37257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281A KR100656202B1 (ko) 2003-12-26 2003-12-26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62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57B1 (ko) * 2008-11-07 2011-06-09 정지원 음향 신호를 이용한 전기기기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84799B1 (ko) 2014-09-29 2016-01-12 (주)아이피캐스트 Ip 방송의 터미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423A (en) 1992-11-13 1994-06-28 Multimedia Systems Corporation Interactive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KR19980054679A (ko) * 1996-12-27 1998-09-25 유기범 교환기를 이용한 구내방송장치
KR19980072072A (ko) * 1998-07-20 1998-10-26 정태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US5896555A (en) 1993-12-17 1999-04-20 Sony Corporation Multiplex broadcasting of audio-video programs with DTMF signals
KR20010002336A (ko) * 1999-06-14 2001-01-15 장윤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5423A (en) 1992-11-13 1994-06-28 Multimedia Systems Corporation Interactive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US5896555A (en) 1993-12-17 1999-04-20 Sony Corporation Multiplex broadcasting of audio-video programs with DTMF signals
KR19980054679A (ko) * 1996-12-27 1998-09-25 유기범 교환기를 이용한 구내방송장치
KR19980072072A (ko) * 1998-07-20 1998-10-26 정태열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KR100270447B1 (ko) 1998-07-20 2000-12-01 장윤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학교 방송 장치
KR20010002336A (ko) * 1999-06-14 2001-01-15 장윤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KR100291979B1 (ko) 1999-06-14 2001-06-01 장윤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멀티미디어 학교방송장치의 제어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19980072072 *
1020010002336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9757B1 (ko) * 2008-11-07 2011-06-09 정지원 음향 신호를 이용한 전기기기의 원격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584799B1 (ko) 2014-09-29 2016-01-12 (주)아이피캐스트 Ip 방송의 터미널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074A (ko) 200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0024B1 (ko) 리모트 콘트롤러를 갖는 영상기기 및 이 영상기기를 통해주변 기기들을 조작하는 방법
CN101741491A (zh) 音响系统和主机盒
KR100656202B1 (ko) Dtmf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장치 및 방송방법
JPH11284757A (ja) 携帯電話リモコンシステム
KR100576527B1 (ko) 정보 전송 시스템 및 정보 전송 방법
KR20000017542U (ko) 다기능 리모콘을 이용한 방송프로그램 예약 제어장치
KR100886745B1 (ko) 멀티미디어 모듈레이터
KR100941328B1 (ko) 멀티미디어 통합 방송 시스템
JP4618791B2 (ja) 告知放送システム
KR100219672B1 (ko) 집단주택 관리 시스템의 화상 및 음성 송수신 장치
KR20030072691A (ko) 구내 유선방송장치
KR100844075B1 (ko) 네트워크 시계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방송 장치 및 이를이용한 제어 방법
KR100260496B1 (ko) 복합 영상 시스템의 제어방법 및 제어장치
JP2905651B2 (ja) ホームターミナル
KR20080045400A (ko) 데이지 체인 연결장치, 데이지 체인 연결이 가능한 티브이시스템, 및 데이지 체인을 이용한 제어 방법
KR101472905B1 (ko) 비상 방송 결합 장치
KR0116205Y1 (ko) 음성수신 장치가 부착된 리모트 콘트롤러
KR100595848B1 (ko) 타사 제품간의 리모콘 데이터 전송 장치
JPH11298622A (ja) 電源線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20020026707A (ko) 티브이의 인터넷 서비스 이용방법
JPH04266294A (ja) ホームオートメーションシステム
JP4610390B2 (ja) 告知放送システム
JPH11298478A (ja) 家庭内情報配信システム
JP2006013564A (ja) リモートコントローラ、制御方法、映像出力装置、映像出力方法、映像出力システム
KR19980014546A (ko) 텔레비전의 네트워크통신에 의한 이상점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