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9819B1 -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9819B1
KR101529819B1 KR1020140034748A KR20140034748A KR101529819B1 KR 101529819 B1 KR101529819 B1 KR 101529819B1 KR 1020140034748 A KR1020140034748 A KR 1020140034748A KR 20140034748 A KR20140034748 A KR 20140034748A KR 101529819 B1 KR101529819 B1 KR 101529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invalidation
interlock
inner door
switch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8839A (ko
Inventor
이치로우 사쿠마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18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9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9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8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 G11B15/682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 G11B15/6835Automatic cassette changing arrangements; automatic tape changing arrangements with fixed magazines having fixed cassette storage cells, e.g. in racks the cassettes being transferred to a fixed recorder or player using a moving carri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8Control systems for magazines

Landscapes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과제] 단순한 구성으로 인터록을 무효화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셀은 복수의 자기 테이프를 격납한다. 운반 기구는 셀에 격납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의 이동을 관리한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한 압박이 제거되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터록 스위치(200)는,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면, 운반 기구에의 전기 공급을 차단한다. 무효화 버튼(101)은, 조작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하여,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Description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LIBRAR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버 등의 연산 처리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기록·보존하기 위해서, 데이터의 자기 테이프에 기록을 하는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가 있다. 그리고, 최근의 데이터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다수의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를 하나의 하우징에 통합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명령을 받은 로봇 기구가 각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에 대한 테이프의 출납을 행한다.
그리고,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테이프 라이브러리의 메인터넌스를 행하는 작업원 등의 조작자(이하에서는, 단순히 「조작자」라고 함)가 동작 중인 로봇 기구에 손을 대는 일이 없도록 장치의 도어에는 인터록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록 기구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도어가 열리면, 로봇 기구의 전원이 차단되어, 로봇 기구를 정지시킨다.
조작자는, 라이브러리 장치에 장해가 발생한 경우 등에, 장치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 도어를 열면, 로봇 기구의 전원이 차단된다. 그래서, 조작자는, 로봇 기구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지그를 사용하여 인터록 스위치를 일시적으로 온으로 하여, 인터록을 무효화하여, 로봇 기구의 상태를 확인하고 있었다. 전원이 복구된 로봇 기구는 이니셜라이즈 동작을 행한 후에 통상의 동작으로 옮겨가기 때문에, 로봇 기구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서 조작자는 이니셜라이즈 동작이 끝날 때까지 대기하고 있었다. 또한, 이니셜라이즈 동작이 행해지면, 로봇 기구의 상태가 장해 발생시와는 변화되어 버리기 때문에, 조작자는 장해 발생 그대로의 상태를 확인하기가 곤란했다.
또한, 최근 보다 많은 테이프를 관리하기 위해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를 여러 대 연결하여, 장치 사이에서 테이프를 이동하는 운반 기구를 설치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여러 대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연결된 장치는, 종래에는 어느 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도어를 열면, 인터록 기구에 의해 도어가 열린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로봇 기구와 함께 운반 기구의 전원도 차단되어 정지된다. 이 때문에, 도어가 열려 있지 않은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 사이에서의 기억 매체의 이동을 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장치 동작의 계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회로 등을 이용하여 제어하여, 논리적으로 인터록을 무효화하는 종래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16448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6-1291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공개 2005-175125호 공보
그러나, 제어에 의해 논리적으로 인터록을 무효화하는 종래 기술에서는, 인터록의 제어용 회로 등을 갖는 기구를 새롭게 설치하여야만 한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을 이용한 경우, 새롭게 제어용의 기구를 제조하지 않으면 안 되어 제조비가 증가하여 버린다. 또한, 제어용 기구의 제조 및 조립이 인터록 기구와는 별도로 발생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또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무효화 기구에 대하여 시험을 할 필요가 있지만, 논리적인 무효화인 경우에는 시험 방법이 복잡하게 되어, 이 점 때문에도 비용이 증대되어 버린다.
개시한 기술은 상기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인터록을 무효화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은,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 격납 선반은 복수의 기억 매체를 격납한다. 관리부는, 상기 격납 선반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기억 매체의 이동을 관리한다. 스위치 캠은, 압박 부재에 의한 압박이 제거되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한다. 전원 차단부는, 상기 스위치 캠이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관리부에의 전기 공급을 차단한다. 이동 방지부는, 조작자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상기 스위치 캠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한다.
본원이 개시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인터록을 무효화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연결한 상태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운반 기구용 인터록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 기구의 외관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부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인터록부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5a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5b는 도 15a의 상태에서의 무효화 버튼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7a는 실시예 1에 따른 가동 클로(claw) 돌출 상태의 무효화 버튼의 단면도이다.
도 17b는 실시예 1에 따른 가동 클로 격납 상태의 무효화 버튼의 단면도이다.
도 18a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8b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9a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9b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0a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0b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1a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닫는 도중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21b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닫는 도중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1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 및 무효화 기구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운반 기구용 인터록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4는 실시예 2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외관도이다.
도 25는 실시예 2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6은 실시예 2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인터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부의 사시도이다.
도 29a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슬라이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9b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슬라이더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30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슬라이더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31은 실시예 2에 따른 누르기 전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32는 실시예 2에 따른 누르기 후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33a는 실시예 2에 따른 가동 클로가 돌출 상태인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33b는 실시예 2에 따른 가동 클로가 격납 상태인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인터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인터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실시예 2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의 인터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보수용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보수용 커버를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9는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40은 실시예 3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41은 실시예 3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이면 사시도이다.
도 42a는 실시예 3에 따른 가동 클로가 돌출 상태인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42b는 실시예 3에 따른 가동 클로가 격납 상태인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 부착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4는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낸 직후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5는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6은 실시예 3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를 누른 상태로부터 보수용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개략도이다.
도 47은 실시예 3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무효화 해제 동작의 흐름도이다.
도 48은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의 이면도이다.
도 49는 실시예 4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50a는 실시예 4에 따른 가동 클로 받음부가 무효화 해제용 블록에 눌려 있지 않은 상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50b는 실시예 4에 따른 가동 클로 받음부가 무효화 해제용 블록에 눌려 있는 상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도 51은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 부착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2는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낸 직후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3은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4는 실시예 4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를 누른 상태로부터 보수용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개략도이다.
도 55는 실시예 4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무효화 해제 동작의 흐름도이다.
이하에, 본원이 개시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실시예에 의해 본원이 개시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은 연결한 상태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는, 자기 테이프를 격납하는 셀이라고 불리는 격납 선반인 셀(2)을 갖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2개 연결되어 있다. 어느 쪽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나 동일한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연결되어 있는 개개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로 하여 설명한다.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는 셀(2)을 갖고 있다. 또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는 로봇 기구(3), 운반 기구(4), 외측 도어(5), 내측 도어(6), 보수용 커버(7),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 및 로봇 기구용 인터록 기구(9)를 갖고 있다.
셀(2)은 자기 테이프를 격납하는 격납 선반이다.
로봇 기구(3)는, 서버 등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같은 하우징 내의 셀(2)에 자기 테이프를 출납한다. 또한, 로봇 기구(3)는 테이프 드라이브 장치에 자기 테이프를 출납한다.
운반 기구(4)는, 서버 등의 정보 처리 장치로부터의 지시를 받아, 각 하우징 사이에서 자기 테이프를 운반한다.
외측 도어(5)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가장 바깥쪽의 도어이다.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내부 기구에 액세스하는 경우, 보수자 등 조작자는 우선 외측 도어(5)를 연다. 단, 외측 도어(5)를 연 것만으로는, 조작자는 아직 셀(2)이나 로봇 기구(3) 등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내부 기구에 액세스할 수 없다.
내측 도어(6)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안쪽의 도어이다. 조작자는, 내측 도어(6)를 엶으로써, 셀(2)이나 로봇 기구(3) 등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내부 기구에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일반 사용자는 내측 도어(6)를 여는 일은 없고, 통상은 메인터넌스 등을 하기 위해서, 보수자 등이 내측 도어(6)를 연다. 이하에서는, 내측 도어(6)가 닫혀 있는 상태를 「내측 도어 닫음시」, 내측 도어(6)가 열려 있는 상태를 「내측 도어 열음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보수용 커버(7)는, 인터록 기구 등의 내부의 기구를 일반 사용자에게 닿지 않게 하기 위한 커버이다. 조작자는 보수용 커버(7)를 벗겨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메인터넌스를 행한다.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는, 내측 도어(6)가 열렸을 때에, 조작자의 안전을 위해, 운반 기구(4)에의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정지하는 기구이다.
로봇 기구용 인터록 기구(9)는, 내측 도어(6)가 열렸을 때에, 조작자의 안전을 위해, 로봇 기구(3)에의 전기 공급을 차단하여 정지하는 기구이다.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 및 로봇 기구용 인터록 기구(9)는 같은 식의 구성을 갖고 있다. 그래서, 이하에서는,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를 예로,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기구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를 단순히 「인터록 기구(8)」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내측 도어(6)를 닫은 상태에서, 내측 도어(6)에서 셀(2)로 향하는 방향, 즉 Y 방향을 「안쪽」이라고 하고, 셀(2)에서 내측 도어(6)로 향하는 방향, 즉 Y 방향의 역방향을「역Y 방향」 또는 「앞쪽」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설치면에서 천장으로 향하는 방향, 즉 Z 방향을 「상측」이라고 하고,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천장에서 설치면으로 향하는 방향, 즉 Z 방향의 역방향을 「역Z 방향」 또는 「하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내측 도어(6)를 닫은 상태에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를 향하여 왼쪽 방향, 즉 X 방향을 「좌측」이라고 하고, X 방향의 역방향을 「역X 방향」 또는 「우측」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운반 기구용 인터록 부분의 확대도이다. 내측 도어(6)에는, 내측 도어 클로 연결 부재(62)가 마련되어 있다. 내측 도어 클로 연결 부재(62)는 보수용 커버(7)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수용 커버(7)는 내측 도어(6)를 닫은 채로 벗겨낼 수 있다. 조작자는, 내측 도어(6)를 닫은 채로 보수용 커버(7)를 벗겨냄으로써, 인터록 기구(8)를 동작시키지 않고서, 인터록 기구(8)의 보수용 커버(7)의 뒤쪽, 즉 보수용 커버(7)에서 보아 안쪽 방향 어느 액세스 가능한 앞면에 설치된 기구를 조작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 기구의 외관도이다. 도 3은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낸 상태이다. 내측 도어(6)의 내측 도어 클로 연결 부재(62)의 안쪽 방향으로는, 판형의 내측 도어 클로(61)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의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벗기면, 도 3 상태의 인터록 기구(8)가 출현한다. 인터록 기구(8)의 액세스 가능한 앞면에는, 인터록 커버(82)와 무효화 버튼(101)이 배치되어 있다.
인터록 커버(82)는, 도 3의 앞쪽으로부터 인터록 기구(8)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이다. 인터록 커버(82)에는, 내측 도어 클로(61)의 X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도어 클로(61)는, 내측 도어(6)가 닫히면, 인터록 커버(82)의 슬릿을 통과하여 내부에 삽입된다.
무효화 버튼(101)은 인터록을 무효화하기 위한 버튼이다. 무효화 버튼(101)의 상세한 점에 관해서는 후에 설명한다.
또한, 인터록 기구(8)의 안쪽은 인터록 베이스(81)로 덮여 있다. 인터록 베이스(81)는, 안쪽에서 인터록 기구(8)의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인터록 커버(82)를 벗겨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인터록 기구(8)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록 스위치 캠(83), 무효화 버튼(101) 및 슬라이더(103)를 갖고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 클로(61)에 눌려, Y 방향으로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운반 기구(4)에의 전기 공급이 차단된다.
슬라이더(103)는, 무효화 버튼(101)이 눌려 있는 상태에서, 내측 도어(6)를 닫았을 때에 무효화 버튼(101)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는 기구이다.
또한, 무효화 버튼(101)은, Z 방향으로 돌출하는 무효화 레버(110)를 갖고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 무효화 버튼(101) 및 슬라이더(103)는 인터록 베이스(81)에 수납되어 있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인터록 기구(8)의 A-A 측의 부분을 인터록부라고 한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인터록 기구(8)의 B-B 측의 부분을 무효화 기구라고 한다. 여기서는, 이해하기 쉽도록, 인터록부와 무효화 기구를 분리하여 설명하고, 그 후, 각각이 조합된 경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6~도 8을 참조하여 인터록부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부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록 스위치 캠(83)과 인터록 베이스(81)의 안쪽의 벽과의 사이에는 캠 스프링(84)이 배치되어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캠 스프링(84)에 의해 역Y 방향, 즉 앞쪽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압박되면 Y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는데, 내측 도어 클로(61)가 인터록 스위치 캠(8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캠 스프링(84)에 의해 역Y 방향으로 밀려나온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역X 방향으로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가 돌출되어 있다.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는 무효화 버튼(101)의 상부까지 뻗어 있다. 또한, 인터록 스위치 캠(83)에는, 역Z 방향, 즉 아래쪽으로 돌출되는 스위치 누름부(832)가 마련되어 있다.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안쪽에는 인터록 스위치(200)가 배치되어 있다.
인터록 스위치(200)는, 대좌 위에 스위치 레버(201)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위치 레버(201)는, 대좌의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스프링에 의해 일어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고 있다.
또한,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는 인터록 베이스(81)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 내부에는 스위치 기구가 격납되어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캠 스프링(84)에 의해 압박되어, 역Y 방향, 즉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치 누름부(832)가 스위치 레버(201)로부터 벗어나면, 스위치 레버(201)는, 스프링에 의해 대좌의 앞쪽을 지점으로 하여 회전하면서 일어난다. 도 6은 스위치 레버(201)가 일어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스위치 레버(201)가 인터록 스위치의 대좌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는, 인터록 스위치(200)가 오프로 된다. 이에 따라,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인터록부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압박되어 Y 방향으로 밀려 들어간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압박되면, 캠 스프링(84)은 줄어들어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역X 방향으로 돌출하는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 및 역Z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위치 누름부(832)는 각각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위치 누름부(832)는, Y 방향으로 이동하면, 인터록 스위치(200)의 스위치 레버(201) 위로 올라가, 스위치 레버(201)를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에 꽉 누른다. 스위치 레버(201)가 인터록 스위치의 대좌에 꽉 눌리면, 인터록 스위치(200)가 온으로 된다. 이에 따라,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좌측의 도면은 인터록 스위치(200)가 오프의 상태이고, 우측의 도면은 인터록 스위치(200)가 온의 상태이다.
내측 도어 클로(61)가 빠져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역Y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위치 레버(201)가 일어나, 인터록 스위치(200)는 도 8의 좌측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터록 스위치(200)는 오프로 되어,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또한,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안쪽 방향으로 밀려 들어가면, 스위치 레버(201)가 밀려 내려가, 인터록 스위치(200)는 도 8의 우측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으로 되어,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어서, 도 9~도 16을 참조하여 무효화 기구의 구조 및 동작을 설명한다. 무효화 기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록 기구(8)에 있어서의 도 5의 도시하는 B-B 방향 부분이다.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기구는 무효화 버튼(101), 버튼 스프링(102), 슬라이더(103) 및 슬라이더 스프링(104)을 갖고 있다.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슬라이더(103)는,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 버튼 삽입 구멍(132), 가동 클로 받음부(133), 스프링 받음부(134) 및 버튼 스토퍼(135)를 갖고 있다. 단, 도 10에서는, 버튼 스토퍼(135)는 슬라이더(103)의 본체에 숨어 보이지 않는다.
도 9로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슬라이더(103)의 스프링 받음부(134)와 인터록 베이스(81)의 사이에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이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에 의해 X 방향으로 향해서 압박되어 있다.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는, 내측 도어 열음시의 내측 도어 클로(61)가 들어가는 위치에 배치되어, 역Y 방향, 즉 내측 도어 클로(61)로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의 역Y 방향의 벽이, Y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 역X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내측 도어 클로(61)가 삽입되면,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의 역Y 방향의 벽의 사면의 선단 부분에 내측 도어 클로(61)가 접촉한다. 또한, 내측 도어 클로(61)가 삽입되면,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의 사면이 역X 방향으로 눌려, 슬라이더(103)가 역X 방향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내측 도어 클로(61)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벗어나는 방향, 즉 역Y 방향으로 이동하면,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은 사면에 접하면서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으로부터의 X 방향으로의 압박력을 받아, X 방향으로 이동한다.
버튼 삽입 구멍(132)은 Y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관통 구멍이다. 버튼 삽입 구멍(132)의 XZ 단면은 무효화 버튼(101)의 XZ 단면보다 크다. 버튼 삽입 구멍(132)은,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버튼(101)이 삽입된다. 특히, 버튼 삽입 구멍(132)의 XZ 단면은, 무효화 버튼(101)이 삽입된 상태에서, X 방향으로 여유가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버튼 삽입 구멍(132)의 개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버튼 스토퍼(135)가 무효화 버튼(101)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 클로(112)의 X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보다 X 방향으로 길게 되도록 제조되어 있다.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Y 방향으로 향하는 XZ 평면에 평행한 벽면을 갖는다.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XZ 평면과 평행한 벽면에 의해, 무효화 버튼(101)의 가동 클로(112)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또한,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역X 방향으로 향하는 YZ 평면에 평행한 벽면을 갖는다. 그리고,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YZ 평면에 평행한 벽면에 의해 가동 클로(112)를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버튼 스토퍼(135)는, 버튼 삽입 구멍(132) 우측의 내벽으로부터 X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버튼 스토퍼(135)는 Y 방향으로 향하는 XY 평면에 평행한 벽면을 갖고 있다. 또한, 버튼 스토퍼(135)는, 역Y 방향 측의 벽면이 역Y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역X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면을 갖고 있다.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무효화 버튼(101)은 무효화 레버(110), 스토퍼(111) 및 가동 클로(112)를 갖고 있다.
무효화 레버(110)는, 무효화 버튼(101) 상에서 Z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높이까지 뻗어 있다.
스토퍼(111)는 무효화 버튼(101)의 역X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스토퍼(111)는 역Y 방향으로 향하는 XZ 평면에 평행한 벽면(111A)을 갖고 있다. 또한, 스토퍼(111)는, Y 방향 측의 벽면(111B)이 역Y 방향으로 진행함에 따라서 역X 방향으로 진행하는 사면을 갖고 있다. 즉,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는, 마주 본 상태에서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지니는 사면을 갖고 있다.
가동 클로(112)는, X 방향으로 가동하고, 슬라이더(103)의 가동 클로 받음부(133)에 의해 역X 방향으로 향하여 눌림으로써,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 또한, 가동 클로(112)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한다.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역Y 방향으로 향하는 XZ 평면과 평행한 벽면(112A)를 갖고 있다.
그리고,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가동 클로(112)가 돌출한 상태에서의 벽면(112A)은, 스토퍼(111)의 역Y 방향로 향하는 벽면(111A)보다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바꿔 말하면,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가동 클로(112)가 돌출한 상태에서의 벽면(112A)은, 스토퍼(111)의 역Y 방향으로 향하는 벽면(111A)보다 무효화 버튼(101)의 누름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9로 되돌아가 설명을 계속한다. 무효화 버튼(101)은 슬라이더(103)의 버튼 삽입 구멍(132)에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무효화 버튼(101)과 인터록 베이스(81)의 Y 방향의 내벽과의 사이에는 버튼 스프링(102)이 배치되어 있다.
무효화 버튼(101)이 조작자에 의해 눌리면, 버튼 스프링(102)이 줄어들어, 무효화 버튼(101)은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무효화 버튼(101)에의 조작자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압박력에 의해,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 열음시에는,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으로부터의 X 방향으로의 압박력을 받아, X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밀려나오고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103)는, 버튼 스토퍼(135)가 무효화 버튼(101)의 역X 방향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X 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춰진다. 무효화 버튼(101)의 가동 클로(112) 및 스토퍼(111)는 슬라이더(103)의 버튼 삽입 구멍(132) 속에 수납되어 있다.
스토퍼(111)는, 무효화 버튼(101)이 누르기 전인 상태에서는, 버튼 스토퍼(135)의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111)의 Y 방향의 사면과 버튼 스토퍼(135)의 역Y 방향의 사면이 대향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103)가 역X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 클로 받음부(133)에 의한 가동 클로(112)에의 압박력이 해제되고 있기 때문에,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버튼 삽입 구멍(132) 속에서,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무효화 버튼(101)은, 가동 클로(112)가 인터록 커버(82)의 Y 방향으로 향하는 내벽에 접촉함으로써, 역Y 방향의 이동이 멈춰진다.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이 조작자에 의해 눌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2의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면,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을 압축하면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무효화 버튼(101)이 눌림으로써, 스토퍼(111)의 Y 방향의 사면과 버튼 스토퍼(135)의 역Y 방향의 사면이 접촉하여, 스토퍼(111)는 버튼 스토퍼(135)를 역X 방향으로 누른다. 스토퍼(111)로부터의 버튼 스토퍼(135)에 대한 역X 방향으로의 압박력에 의해, 슬라이더(103)는 역X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토퍼(111)는, 스토퍼(111)의 Y 방향의 사면과 버튼 스토퍼(135)의 역Y 방향의 사면이 접촉하지 않게 되는 위치까지 이동하여, 버튼 스토퍼(135)를 넘어서 안쪽에 위치한다. 이때, 버튼 스토퍼(135)에 대한 역X 방향으로의 압박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으로부터의 압박에 의해 X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슬라이더(103)는, 버튼 스토퍼(135)가 무효화 버튼(101)의 역X 방향의 측면에 접촉하는 원래의 위치까지 되돌아간다.
그리고, 조작자가 무효화 버튼(101)의 누름을 멈춰, 조작자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가동 클로(112)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슬라이더(103)의 버튼 삽입 구멍(132)은, 버튼 스토퍼(135)가 무효화 버튼(101)의 측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가동 클로(112)의 X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보다 X 방향으로 긴 개구를 갖고 있다. 그래서,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한 상태에서, 슬라이더(103)에 접촉하지 않고서, 버튼 삽입 구멍(132)에 삽입된다.
그리고, 이때, 버튼 스토퍼(135)는 무효화 버튼(101)의 측면에 접촉하는 위치에 있다. 그래서, 무효화 버튼(101)이 역Y 방향으로 진행하면, 스토퍼(111)의 역Y 방향의 벽면과 버튼 스토퍼(135)의 Y 방향의 벽면이 접촉한다. 이에 따라,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이 멈춰진다. 즉, 무효화 버튼(101)의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무효화 레버(110)도,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도 14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6)가 닫히면, 내측 도어 클로(61)가 삽입된다. 그리고, 내측 도어 클로(61)는,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의 사면에 접촉하면서 Y 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를 역X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을 압축하면서 역X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03)의 역X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와의 접촉이 풀어져,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토퍼(111)가 인터록 커버(82)의 Y 방향으로 향하는 내벽에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춘다.
도 15a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 닫음시에는, 슬라이더(103)는, 내측 도어 클로(61)의 X 방향의 두께 분만큼 역X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때,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112)를 역X 방향으로 압박한다. 이에 따라, 가동 클로(112)는, 도 15b와 같이,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 도 15b는 도 15a 상태에서의 무효화 버튼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b와 같이,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에 격납됨으로써, 가동 클로(112)에 의한 슬라이더(103)에의 접촉에 의해, 무효화 버튼(101)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때, 스토퍼(111)는 슬라이더(103)의 버튼 삽입 구멍(132) 속에 격납된다. 즉, 스토퍼(111)는 버튼 스토퍼(135)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 버튼 스토퍼(135)는, 스토퍼(111)가 Y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부딪치지 않는 위치에 있다. 즉, 내측 도어(6)가 닫힌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의 측면과 버튼 스토퍼(135)와의 거리는, 스토퍼(111)가 돌출하는 역X 방향의 길이보다 떨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무효화 버튼(101)의 벽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의 측면과 버튼 스토퍼(135)와의 거리가, 스토퍼(111)가 돌출되는 역X 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되도록 만들어져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112)가 완전히 무효화 버튼(101) 속에 격납되도록, 가동 클로(112)를 밀어 넣고 있지만, 도중까지 밀어 넣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조금 돌출하게 되어, 스토퍼(111)보다 빠르게, 가동 클로(112)가 인터록 커버(82)의 Y 방향으로 향하는 내벽에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춘다.
도 16은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의 누르기 후의 무효화 기구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이 조작자에 의해 눌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5의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면,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을 압축하면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 클로(112)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에 의해 무효화 버튼(101) 속으로 밀려 들어가져 있기 때문에, 무효화 버튼(101)의 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는다.
또한, 버튼 스토퍼(135)는, 스토퍼(111)가 Y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부딪치지 않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무효화 버튼(101)이 Y 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스토퍼(111)는 버튼 스토퍼(135)와 접촉하지 않고, 버튼 스토퍼(135)보다 안쪽의 위치까지 이동한다.
그리고, 무효화 버튼(101)이 Y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접촉하지 않게 되면, 가동 클로(112)에 대한 압박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한다.
그리고, 조작자가 무효화 버튼 누르기를 멈춰, 조작자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진행한다.
이때, 가동 클로(112)는,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03)는, 내측 도어 클로(61)에 눌려 역X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고,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Y 방향으로 향하는 벽면은, 가동 클로(112)의 역Y 방향으로 향하는 벽면과 대향하는 위치에 있다. 그래서, 무효화 버튼(101)이 역Y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Y 방향으로 향하는 벽면은, 가동 클로(112)의 역Y 방향으로 향하는 벽면과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춘다.
이어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가동 클로(112)의 기구를 설명한다. 도 17a는 실시예 1에 따른 가동 클로 돌출 상태의 무효화 버튼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17b는 실시예 1에 따른 가동 클로 격납 상태의 무효화 버튼의 단면도이다. 도 17a는 도 5에 있어서의 C-C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7b는 도 17a와 동일한 위치의 단면으로, 가동 클로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버튼(101)은 내부에 판 스프링(113)을 갖고 있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하는 거의 L자형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한,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된 부분의 끝이 구부려져 있어,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밀려나왔을 때에, 무효화 버튼(101)과 접촉하여 가동 클로(112)의 이동을 멈추는 구조로 되어 있다.
판 스프링(113)은, 무효화 버튼의 길이 방향, 즉,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배치된 경우의 도 1에 있어서의 Y 방향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판 스프링(113)은, 무효화 버튼(101)의 짧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진 경우에, 힘을 가해 온 물체에 반발력을 가한다.
즉, 가동 클로(112)는, 외부로부터 무효화 버튼(101)의 짧은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경우, 도 17a와 같이, 판 스프링(113)으로부터 압박력을 받아, 무효화 버튼(101)의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도 17b와 같이, 가동 클로(112)는, 외부로부터 무효화 버튼(101)의 짧은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경우, 판 스프링(113)을 밀어넣어,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
이어서, 도 18a~도 21b를 참조하여 인터록 기구의 전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도 18a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8b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내측 도어(6)가 닫혀 있는 경우, 내측 도어 클로(61)는, 인터록 기구(8)로 들어가, 인터록 스위치 캠(83)을 Y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또한, 내측 도어 클로(61)는 슬라이더(103)를 역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 레버(201)를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 측에 꽉 눌러, 인터록 스위치(200)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슬라이더(103)의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112)를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밀어 넣는다. 또한, 버튼 스토퍼(135)는, 스토퍼(111)가 Y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있다. 그리고, 스토퍼(111)는 버튼 삽입 구멍(132)에 격납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18a 및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와 무효화 버튼(101)의 무효화 레버(110)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무효화 기구는 인터록 스위치 캠(83)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고 있다.
도 19a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9b는 실시예 1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는, 도 18a 및 도 18b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무효화 버튼(101)을 누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무효화 버튼(101)은, 조작자에 의해 눌림으로써 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가 돌출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에서 외부로 돌출한다.
그 후, 조작자가 무효화 버튼(101) 누르기를 멈춰, 조작자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나아간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가 가동 클로 받음부(133)에 접촉함으로써, 무효화 버튼(101)은 정지한다.
이때,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 클로(61)에 눌려, Y 방향으로 진행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도 19a 및 도 1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는, 무효화 레버(110)보다 안쪽에 있고,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와 무효화 레버(110)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즉, 무효화 기구는, 아직 인터록 스위치 캠(83)에 대하여 작용하고 있지 않다. 단, 가동 클로(112)에 의해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멈춰 놓음으로써, 내측 도어(6)가 닫힌 상태라도, 무효화 버튼(101)은 누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0a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b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도 19a 및 도 19b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내측 도어(6)가 열리면,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의 압박력에 의해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03)가 X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 가동 클로(112)와의 접촉이 풀린다. 그리고,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버튼 삽입 구멍(132)에 수납된다.
그 후, 스토퍼(111)가 버튼 스토퍼(135)에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은 이동을 멈춘다.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무효화 버튼(101)은 Y 방향으로 이 이상 나아가지 않는다.
그리고, 내측 도어(6)가 또 열리고, 내측 도어 클로(61)가 인터록 기구(8)로부터 벗어나면,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캠 스프링(84)으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여기서, 무효화 기구가 없으면,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인터록 스위치(200)가 오프로 되는 위치까지 진행해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무효화 버튼(101)이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있다. 그래서,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는, 역Y 방향으로 이동하면 무효화 레버(110)와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때,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도 2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누름부(832)가 스위치 레버(201) 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바꿔 말하면,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한 상태의 무효화 레버(110)의 위치는,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가 무효화 레버(110)에 접촉했을 때에, 스위치 누름부(832)가 스위치 레버(201) 상에 위치하도록 정해진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스위치 레버(201)는, 스위치 누름부(832)에 의해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 측에 꽉 눌리고 있기 때문에,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 그대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있다. 즉, 내측 도어(6)를 열더라도,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운반 기구(4)의 동작이 계속되고 있다.
도 21a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닫는 도중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20b는 실시예 1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닫는 도중의 인터록 기구의 측면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20a 및 도 20b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닫은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내측 도어(6)가 닫히면, 내측 도어 클로(61)는 인터록 기구에 들어간다. 그리고, 내측 도어 클로(61)는 인터록 스위치 캠(83)을 Y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또한, 내측 도어 클로(61)는 슬라이더(103)를 역X 방향으로 누른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 클로(61)로부터의 압박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내측 도어(6)가 닫히면,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압박되어 역Y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때, 스위치 누름부(832)는, 스위치 레버(201)를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에 꽉 누르고 있기 때문에,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 상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있다.
또한, 슬라이더(103)가 역X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112)를 눌러, 무효화 버튼(101) 속에 가동 클로(112)를 격납한다.
또한, 슬라이더(103)가 역X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스토퍼(111)가 인터록 커버(82)의 Y 방향으로 향하는 내벽에 접촉함으로써,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의 이동을 멈춘다.
이에 따라, 내측 도어(6)가 닫힌 상태이면서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지 않은 상태로 복귀한다.
이어서,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무효화 기구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실시예 1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보수 작업 및 무효화 기구의 동작의 흐름도이다.
조작자는 외측 도어(5)를 열어,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낸다(단계 S1).
그리고, 조작자는 무효화 버튼(101)을 누른다(단계 S2).
무효화 버튼(101)은, 내측 도어 클로(61)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가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의 접촉이 없어지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에서 외부로 돌출한다. 그리고, 조작자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 진행하여,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접촉한 위치에서 정지한다(단계 S3).
조작자는 내측 도어(6)를 연다(단계 S4).
내측 도어 클로(61)가 인터록 기구(8)로부터 벗어나, 슬라이더(103)가 X 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5).
슬라이더(103)가 X 방향으로 이동하면,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접촉이 풀어진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는 버튼 삽입 구멍(132)에 수납된다. 이에 따라,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시작한다. 그 후,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은 정지한다(단계 S6). 이에 따라, 무효화 레버(110)가,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하여, 인터록 스위치가 무효화된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와 무효화 레버(110)가 접촉하여,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정지한다(단계 S7). 이때, 스위치 누름부(832)는, 스위치 레버(201)를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에 꽉 누르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의 상태이며,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은 계속하고 있다.
조작자는 보수 작업을 한다(단계 S8). 이 경우, 운반 기구(4)의 이니셜라이즈 동작은 행해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자는, 장해가 발생한 채 그대로의 상태인 운반 기구(4)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다.
조작자는 보수 작업이 완료되면 내측 도어(6)를 닫는다(단계 S9).
내측 도어 클로(61)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슬라이더(103)는 역X 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10).
슬라이더(103)의 역X 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와의 접촉이 해제된다. 그리고, 스토퍼(111)는 버튼 삽입 구멍(132)에 수납되고,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11). 이에 따라, 무효화 레버(110)는,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의 이동 경로 상에서 후퇴하여, 인터록 스위치(200)의 무효화가 해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는, 내측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을 누름으로써,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에, 인터록 스위치가 동작하지 않도록 인터록 기구를 무효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수자 등의 조작자는, 운반 기구나 로봇 기구를 정지하지 않고서, 내측 도어를 열 수 있어, 이니셜라이즈를 실행하기 전의 장해시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장치 보수를 하는 경우에, 보수 대상의 로봇 기구만을 정지시키고, 운반 기구의 동작을 계속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특정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운용만을 정지하고, 다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운용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무효화 버튼을 눌러 인터록 기구를 무효화하고 있는 상태에서, 내측 도어의 열림, 그 후 닫은 경우, 내측 도어를 닫음으로써 자동적으로 인터록 기구가 무효화를 자동적으로 해제한다. 이에 따라, 인터록 스위치의 무효화 해제를 잊어버리는 것을 막는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를 예로 설명했지만, 로봇 기구용 인터록 기구(9)도 같은 식의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와 로봇 기구용 인터록 기구(9) 양쪽에 무효화 기구를 탑재시키지 않더라도 좋으며, 어느 한쪽에만 탑재시키더라도 좋다.
[실시예 2]
도 23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운반 기구용 인터록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도 내측 도어(6) 및 보수용 커버(7)를 갖고 있다.
그리고, 보수용 커버(7)는, 나사(71)에 의해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다. 조작자는, 나사(71)를 벗김으로써, 보수용 커버(7)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로부터 벗겨낼 수 있다.
또한, 내측 도어(6)는, 보수용 커버(7) 측으로 돌출되는 내측 도어 클로 연결 부재(62)를 갖고 있다.
도 24는 실시예 2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외관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낸 상태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기구(8)는,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내면, 무효화 버튼(101)이 나타나 액세스할 수 있게 된다.
도 25는 실시예 2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인터록 기구(8)는 인터록 커버(82)에 의해 역Y 방향의 앞면이 덮여 있다. 인터록 커버(82)에는, 내측 도어 클로(61)가 감합하는 슬릿이 마련되어 있다.
도 26은 실시예 2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이면 사시도이다. 실시예 1에서는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캠 스프링(84)의 누르는 힘에 의해 복원력을 얻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캠 스프링(84A 및 84B)의 당기는 힘으로 복원력을 얻고 있다. 그리고, 캠 스프링(84A 및 84B)이라는 2개의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인터록 스위치 캠(83)을 당기는 힘을 크게 하여, 충분한 복원력을 얻고 있다. 단, 하나의 스프링으로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는 것이라면, 캠 스프링(84A 또는 84B) 중 어느 하나만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의 누르는 힘으로 복원력을 얻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스프링(102)의 당기는 힘으로 복원력을 얻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의 누르는 힘으로 복원력을 얻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의 당기는 힘으로 복원력을 얻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이라는 2개의 스프링을 배치함으로써, 슬라이더(103)를 당기는 힘을 크게 하여 충분한 복원력을 얻고, 슬라이더(103)를 위아래에서 균등하게 당기도록 하고 있다. 단, 하나의 스프링으로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슬라이더(103)를 적절하게 당길 수 있는 것이라면,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 중 어느 하나만 배치하더라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록 스위치(200)는, 스위치 레버(201)가 아래 방향, 즉 역Z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스위치 누름부(832)에 의해, 스위치 레버(201)가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를 향해 꽉 눌림으로써,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으로 되어,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공급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 캠(83), 무효화 버튼(101) 및 슬라이더(103) 등의 각 부재는 대부분 판금으로 제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점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인터록 스위치 캠(83), 무효화 버튼(101) 및 슬라이더(103) 등의 각 부재의 구조에서는, 깎아내기 공정이 본 실시예에 비해서 많아져 버린다. 그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른 각 부재는, 기계적 부품을 적게 할 수 있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실시예 1에서는, 인터록 베이스(81)가 모든 부재를 덮고 있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록 베이스(81)는 인터록 스위치 캠(83) 등의 인터록부의 고정이나 유지 등에 이용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무효화 베이스(105)가, 무효화 버튼(101) 및 슬라이더(103) 등의 무효화 기구의 고정이나 유지 등에 이용된다. 그리고, 인터록 베이스(81) 및 무효화 베이스(105) 모두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의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우선 인터록 스위치 캠(83) 등을 갖는 인터록부와, 무효화 버튼(101) 및 슬라이더(103) 등을 갖는 무효화 기구로 나눠 설명을 하고, 그 후에, 이들을 조합시킨 상태에서의 동작을 설명한다. 단,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부 및 무효화 기구는, 실시예 1의 도 5와 같이 단순히 위아래로 위치적으로 나누고 있는 것은 아니고, 기능적인 구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27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인터록부의 사시도이다. 인터록 스위치(200)는, 인터록 베이스(81)에 스위치 레버(201)가 밑으로 오도록 고정되어 있다. 또한, 캠 스프링(84A 및 84B)은, 일단이 인터록 베이스(81)에 고정되고, 타단이 인터록 스위치 캠(83)에 접속되어 있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화살표 P와 같이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6)가 닫히면, 내측 도어 클로(61)로부터의 압박을 받아,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캠 스프링(84A 및 84B)을 늘리면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Y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위치 누름부(832)는, 스위치 레버(201)에 접촉하여 밀어 올려,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에 꽉 누른다. 이에 따라,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으로 되어,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공급된다.
도 28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인터록부의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6)가 열리고, 내측 도어 클로(61)의 압박이 없어지면,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캠 스프링(84A 및 84B)의 인력(引力)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이 역Y 방향으로 이동하면, 스위치 누름부(832)는, 스위치 레버(201)에 접촉하는 위치에서 벗어난다. 스위치 레버(201)는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인터록 스위치(200)는 오프가 되어,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도 29a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슬라이더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9b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의 슬라이더의 이면 사시도이다.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는, 일단이 무효화 베이스(105)에 고정되고, 타단이 슬라이더(10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버튼 삽입 구멍(132)은 Y 방향으로의 두께가 얇은 개구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버튼 삽입 구멍(132)의 개구부의 X 방향 측의 일부로부터 돌출하는 판형의 부재이다.
슬라이더(103)는 화살표 Q와 같이 X 방향으로 이동한다. 내측 도어(6)가 닫히면, 내측 도어 클로(61)가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에 접촉하고, 또한 내측 도어 클로(61)가 Y 방향으로 삽입되면, 내측 도어 클로(61)에 의해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가 역X 방향으로 눌린다. 슬라이더(103)는, 내측 도어 클로(61)로부터의 압박력에 의해,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을 늘리면서 역X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0은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열음시의 슬라이더의 이면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6)가 열리면, 내측 도어 클로(61)는,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내측 도어 클로(61)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으로부터의 인력을 받아, X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1은 실시예 2에 따른 누르기 전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효화 버튼(101)도, 무효화 레버(110), 스토퍼(111) 및 가동 클로(112)를 갖고 있다. 버튼 스프링(102)은, 일단이 무효화 베이스(105)에 고정되고, 타단이 무효화 버튼(101)에 고정되어 있다.
Y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고 있지 않은 경우,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인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32는 실시예 2에 따른 누르기 후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무효화 버튼(101)은, 도 31의 상태에서, Y 방향으로 압박력을 받으면, 버튼 스프링(102)을 늘리면서, Y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무효화 버튼(101)은 화살표 R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33a는 실시예 2에 따른 가동 클로 돌출 상태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33b는 실시예 2에 따른 가동 클로 격납 상태의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클로(112)는, 화살표 S로 나타내어지는 방향, 즉, X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가동 클로(112)는 지점(114)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지점(114)에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어, 가동 클로(112)에 대하여 무효화 버튼(101) 밖으로 밀어내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외부로부터 가동 클로(112)에 대하여 무효화 버튼(101)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으면, 코일 스프링의 힘으로,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 밖으로 눌려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33a와 같이,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가 된다.
또한, 외부로부터 가동 클로(112)에 대하여 무효화 버튼(101)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압박력이 가해진 경우,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휘어,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33b와 같이,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도 34~도 3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기구 전체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4~도 36에서는, 보기 쉽게, 캠 스프링(84A 및 84B), 버튼 스프링(102) 및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의 중간을 생략하고 있다.
도 34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전의 인터록 기구의 사시도이다. 내측 도어(6)가 닫혀 있는 경우, 내측 도어 클로(61)는, 인터록 기구(8)로 들어가, 인터록 스위치 캠(83)을 Y 방향으로 밀어 넣는다. 또한, 내측 도어 클로(61)는,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131)에 접촉하여, 슬라이더(103)를 역X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Y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스위치 레버(201)를 인터록 스위치(200)의 대좌 측에 꽉 눌러, 인터록 스위치(200)를 온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공급된다.
이때,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을 늘리면서 역X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112)를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로 밀어 넣는다. 슬라이더(103)가 역X 방향의 한계까지 이동함으로써, 버튼 스토퍼(135)는, 스토퍼(111)가 Y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때, 스토퍼(111)는 버튼 스토퍼(135)에 대하여 역Y 방향에 위치한다. 바꿔 말하면, 스토퍼(111)는 버튼 스토퍼(135)보다 앞쪽에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터록 스위치 캠(83)의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와 무효화 버튼(101)의 무효화 레버(110)는 접촉하지 않는다. 즉, 무효화 기구는 인터록 스위치 캠(83)에 대하여 작용하고 있지 않다.
도 35는 실시예 2에 따른 내측 도어 닫음시에 무효화 버튼 누르기 후의 인터록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무효화 버튼(101)을 누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무효화 버튼(101)은 조작자에 의해 눌림으로써 화살표 T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가 돌출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면,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다.
그 후, 조작자가 무효화 버튼(101)의 누름을 멈춰, 조작자로부터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인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가 가동 클로 받음부(133)에 접촉함으로써, 무효화 버튼(101)은 정지한다.
이때,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내측 도어 클로(61)에 눌려, Y 방향으로 진행한 상태에 있다. 그 때문에,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는, 무효화 레버(110)보다 안쪽에 있어,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와 무효화 레버(110)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36은 실시예 2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로 내측 도어를 열었을 때의 인터록 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상태에서,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연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내측 도어(6)가 열리면, 슬라이더(103)는 슬라이더 스프링(104A 및 104B)의 인력에 의해 X 방향으로 이동한다. 슬라이더(103)가 X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 가동 클로(112)와의 접촉이 풀어진다. 그리고,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으로부터의 인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버튼 삽입 구멍(132)에 수납된다.
그 후, 스토퍼(111)가 버튼 스토퍼(135)에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은 이동을 멈춘다.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는, 무효화 버튼(101)은 Y 방향으로 이 이상 진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내측 도어(6)가 또 열려, 내측 도어 클로(61)가 인터록 기구로부터 벗어나면,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캠 스프링(84A 및 84B)으로부터의 인력을 받아,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무효화 레버 받음부(831)는, 역Y 방향으로 이동하면 무효화 레버(110)와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때, 인터록 스위치 캠(83)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치 누름부(832)가 스위치 레버(201)를 대좌에 꽉 누르는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 경우, 인터록 스위치(200)는 온 그대로이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운반 기구(4)에 전력이 계속 공급되고 있다. 즉, 내측 도어(6)를 열더라도,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지 않고, 운반 기구(4)의 동작이 계속되고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보수자 등의 조작자는, 운반 기구나 로봇 기구를 정지하는 일없이 내측 도어를 열 수 있어, 이니셜라이즈를 실행하기 전의 장해시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장치 보수를 하는 경우에, 보수 대상의 로봇 기구만을 정지시키고, 운반 기구의 동작을 계속하게 할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 기구를 이용함으로써,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특정한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운용만을 정지하고, 다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운용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도, 인터록 스위치가 무효화 해제를 잊어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의 각 부재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기계적 부품을 적게 할 수 있어,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3]
이어서, 실시예 3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는, 보수용 커버를 부착했을 때에,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를 갖는 것이 실시예 1 및 2와 다르다. 인터록의 무효화 기구에 관해서는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 또는 2와 같은 각 부의 기능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개요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및 2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서는, 내측 도어(6)를 닫은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벗겨, 무효화 버튼(101)을 누른 후, 내측 도어(6)를 열지 않고서 보수용 커버(7)를 원래로 되돌려 보수를 종료한 경우, 인터록의 무효화 상태가 계속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내측 도어(6)를 열더라도 인터록 기구가 작용하지 않아, 위험한 상태가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는, 보수용 커버(7)를 부착함으로써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를 갖추고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 2의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를 더한 예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 37은 보수용 커버가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 도어(5)를 열어 보수용 커버(7)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내측 도어(6) 및 내측 도어 클로 연결 부재(62)가 드러나고, 그 이외의 인터록에 관한 기구는 보수용 커버(7)에 숨어 있어, 실시예 2와 동일한 상태이다.
도 38은 보수용 커버를 벗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7의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벗기면 도 38의 상태가 된다. 보수용 커버(7)가 벗겨짐으로써 무효화 버튼(101) 및 인터록 커버(82)가 나타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록 커버(82)에 관통 구멍(85)이 뚫려 있다.
도 39는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의 이면도이다. 보수용 커버(7)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부착한 경우의 밖으로 나타나는 면을 표면으로 한 경우의 이면에,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를 갖고 있다.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보수용 커버(7)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부착한 경우에, Y 방향으로 뻗는 돌기이다.
도 40은 실시예 3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의 인터록 커버(82)에는, 무효화 버튼(101)이 통과하는 구멍과는 별도로 관통 구멍(85)이 형성되어 있다.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보수용 커버(7)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부착한 경우에, 인터록 커버(82)에 형성된 관통 구멍(85)과 감합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효화 버튼(101)이 통과하는 구멍과는 별도로 관통 구멍(85)을 형성했지만, 무효화 버튼(101)이 통과하는 구멍을 크게 하여 관통 구멍(85)의 기능을 갖게 하더라도 좋다.
도 41은 실시예 3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이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스프링이 줄어드는 힘을 이용하여 복원력을 얻는 구성이다. 단, 실시예 2와 달리,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인터록 스위치 캠(83)에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은 캠 스프링(84)이 하나만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41에서는,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에 관해서는 상세하게 나타내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겉보기에는 종래의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의 이면 사시도와 마찬가지로 보이고 있다. 그래서, 이어서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2a는 실시예 3에 따른 가동 클로가 돌출 상태인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42b는 실시예 3에 따른 가동 클로가 격납 상태인 무효화 버튼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무효화 버튼(101)도, 지점(114)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S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 클로(112)를 갖고 있다. 본 실시예는, 가동 클로(112)는, 지점(114)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복원력을 얻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를 갖고 있다.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는,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의 이동 방향과 경사를 가지고서 교차하는 면을 갖고 있다. 이하 이 면을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이라고 한다.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은, 무효화 버튼(101)의 눌려 들어가는 방향을 향하여 무효화 버튼(101)에서 멀어져 가는 면이다. 또한,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는,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에 격납된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의 이동 방향과 평행하게 되는 면을 갖고 있다. 이하 이 면을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평행면」이라고 한다.
이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에 부재가 접촉하여, 사면에 대하여 무효화 버튼(101)이 눌려 들어가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짐으로써,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가동 클로(112)가 격납된 상태에서는,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에 접촉하고 있었던 부재는, 사면과의 접촉을 끝내고, 무효화 버튼(101)의 평행면에 접촉한다. 이에 따라, 가동 클로(112)의 돌출이 저해되어,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 상태가 유지된다. 무효화 해제용 클로(72)가, 이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를 압박하는 부재가 된다.
즉, 무효화 해제용 클로(72)가,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가동 클로(112)에 마련된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을 누름으로써,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 이에 따라,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접촉이 해제된다. 즉,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의 접촉에 의해 유지되어 있던 무효화 버튼(101)의 누름 상태가 해제되고,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의 복원력에 의해 역Y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터록이 해제된다.
이어서, 도 43~도 4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의 무효화 해제 기구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 부착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4는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낸 직후의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5는 실시예 3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내어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46은 실시예 3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를 누른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개략도이다.
보수용 커버(7)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평행면에 역X 방향에서 접촉하여,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에 격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3의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내면, 도 44와 같이,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역X 방향에서 가동 클로(112)와 접촉하여, 가동 클로(112)(도시되지 않음)가 무효화 버튼(101)에 격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44의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면,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의 접촉이 없어져,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한다. 그 후, 가동 클로(112)는, 도 45와 같이, 가동 클로 받음부(133)과 역Y 방향에서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여, 무효화 버튼(101)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내측 도어(6)가 열리더라도,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하여, 인터록이 무효화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이 상태 그대로는, 이어서 작업을 하는 조작자가 인터록이 무효화되어 있음을 알지 못하고서 내측 도어(6)를 열어 작업을 할 우려가 있어서 위험하다. 그래서, 보수용 커버(7)의 부착에 의해 이하의 동작을 발생시킨다.
도 45의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부착하면,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관통 구멍(85)을 지나,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의 내부로 침입한다. 그리고,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에 접촉한다. 그 후,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에 압박력을 가하면서 Y 방향으로 이동하여, 가동 클로(112)를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무효화 해제용 클로(72)가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사면과의 접촉이 끝나면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에 격납된다. 그 후,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는, 역X 방향에서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의 평행면과 접촉한다.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의 복원력에 의해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수용 커버(7)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43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라면,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열면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조작자는 안전한 상태로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7을 참조하여, 실시예 3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있어서의 인터록의 무효화 해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7은 실시예 3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무효화 해제 동작의 흐름도이다.
조작자는 외측 도어(5)를 열어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낸다(단계 S101). 또한, 조작자는 무효화 버튼(101)을 누른다(단계 S102).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되어,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한다(단계 S103).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열지 않고서 보수용 커버(7)를 부착한다(단계 S104).
무효화 해제용 클로(72)가, 인터록 커버(82)의 관통 구멍(85)을 관통하여,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115)을 누른다(단계 S105).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단계 S106).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무효화 버튼(101)이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107).
무효화 버튼(101)을 누르는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단계 S108). 이에 따라, 인터록의 무효화가 해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무효화 버튼을 눌러 인터록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지 않고서 보수 커버를 되돌리면, 인터록의 무효화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무효화 버튼을 누른 채로 내측 도어를 열지 않고서 작업을 끝내더라도, 다음에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인터록의 무효화는 해제되어 있어, 조작자는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를 실시예 1에 부가시킬 수도 있으며, 그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4]
이어서, 실시예 4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는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의 구조가 실시예 3과 다르다. 인터록의 무효화 기구에 관해서는 실시예 1 또는 2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예 1 또는 2와 같은 각 부의 기능에 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도, 실시예 2에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를 부가한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도 48은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의 이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수용 커버(7)는,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부착한 경우의 밖으로 나타나는 면을 표면으로 한 경우의 이면에,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을 갖고 있다.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보수용 커버(7)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부착한 경우에, Y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이다.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실시예 3의 무효화 해제용 클로(72)와 달리,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의 내부까지 침입하지 않는다. 그래서,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Y 방향으로의 돌출 길이가 무효화 해제용 클로(72)보다 짧아도 된다.
도 49는 실시예 4에 따른 인터록 기구의 정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8)의 인터록 커버(82)에는, 무효화 버튼(101)이 통과하는 구멍에 노치(821)가 형성되어 있다.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보수용 커버(7)를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부착한 경우에, 인터록 커버(82)에 형성된 노치(821) 감합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무효화 버튼(101)이 통과하는 구멍을 넓히는 형태로 노치(821)를 형성했지만, 무효화 버튼(101)이 통과하는 구멍과는 별도로 노치(821)의 기능을 갖는 구멍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도 50a는 실시예 4에 따른 가동 클로 받음부가 무효화 해제용 블록에 눌려 있지 않은 상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50b는 실시예 4에 따른 가동 클로 받음부가 무효화 해제용 블록에 눌려 있는 상태의 슬라이더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더(103)는, 지점(138)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T1 및 T2로 나타내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을 갖고 있다.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돌출하는 방향과 역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136)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클로 받음부(133) 및 돌기(136)는, 지점(138)을 중심으로 하여 배치된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에 의해 T2 방향으로의 복원력을 얻고 있다.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에 의한 복원력은 가동 클로(112)의 복원력보다 큰 힘이다.
돌기(136)는, 슬라이더(103)가 인터록 커버(82)와 조합된 경우에, 노치(821)를 통과하여 인터록 커버(82)의 겉쪽, 즉, 보수용 커버(7)와 대향하는 쪽으로 돌출한다.
돌기(136)의 선단부에 부재가 접촉하면, 돌기(136)가 부재에 눌려, 돌기(136) 및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T1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부재로부터의 돌기(136)에의 압박력이 없어지면,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의 복원력에 의해, 돌기(136) 및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T2 방향으로 회전한다.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이 이 돌기(136)를 압박하는 부재가 된다.
이어서, 도 51~도 5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록의 무효화 해제 기구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1은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 부착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2는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낸 직후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3은 실시예 4에 따른 보수용 커버를 벗겨내어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54는 실시예 4에 따른 무효화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를 누른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를 부착하는 도중의 개략도이다.
보수용 커버(7)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돌기(136)를 Y 방향으로 압박하고,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지점(138)을 중심으로 하여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51의 상태로부터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내면, 도 52와 같이,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137)의 복원력에 의해, 지점(138)을 중심으로 하여 무효화 버튼(101)에 역X 방향에서 가동 클로(112)와 접촉하여,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복원력은 가동 클로(112)의 복원력보다 크기 때문에,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회전에 의해 역X 방향으로 가동 클로(112)를 압박하여 회전시킨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는, 가동 클로 받음부(133)로부터의 압박력을 받아, 도 52와 같이, 무효화 버튼(101)에 격납된다.
도 52의 상태에서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면, 무효화 버튼(101)은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접촉이 없어져, 가동 클로(112)는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한다. 이때, 가동 클로 받음부(133)는, 가동 클로(112)를 무효화 버튼(101)에 밀어 넣고 있던 상태를 유지한다. 그 후, 가동 클로(112)는, 도 53과 같이,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 역Y 방향에서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여, 무효화 버튼(101)을 정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내측 도어(6)가 열리더라도, 스토퍼(111)와 버튼 스토퍼(135)가 접촉하여, 인터록이 무효화된 상태가 유지된다. 즉, 이 상태 그대로는, 다음에 작업을 하는 조작자가, 인터록이 무효화되어 있음을 알지 못하고서 내측 도어(6)를 열어 작업을 할 우려가 있어 위험하다. 그래서, 보수용 커버(7)의 부착에 의해 이하의 동작을 발생시킨다.
도 53의 상태에서 보수용 커버(7)를 부착하면,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돌기(136)에 접촉한다. 그 후,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은, 돌기(136)에 압박력을 가하면서 Y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점(138)을 중심으로 하여 가동 클로 받음부(133)를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회전함으로써,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Y 방향의 접촉이 해제된다.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의 Y 방향의 접촉이 해제되면,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저해하는 힘이 없어지기 때문에, 무효화 버튼(101)은 버튼 스프링(102)의 복원력에 의해 Y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보수용 커버(7)의 부착이 완료되면, 도 51의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 상태라면, 무효화 버튼(101)이 눌리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열면 운반 기구(4)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되어, 조작자는 안전한 상태에서 보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55를 참조하여 실시예 4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1)에 있어서의 인터록의 무효화 해제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5는 실시예 4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 있어서의 무효화 해제 동작의 흐름도이다.
조작자는 외측 도어(5)를 열어 보수용 커버(7)를 벗겨낸다(단계 S201).
무효 해제용 블록(73)이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 연결하는 돌기(136)로부터 이탈한다(단계 S202).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회전하여,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의 내부에 격납된다(단계 S203).
조작자는 무효화 버튼(101)을 누른다(단계 S204).
가동 클로(112)가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돌출하여,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 접촉하여 무효화 버튼(101)의 역Y 방향으로의 이동을 정지한다(단계 S205).
조작자가 내측 도어(6)를 열지 않고서 보수용 커버(7)를 부착한다(단계 S206).
무효화 해제용 블록(73)이, 가동 클로 받음부(133)과 연결하는 돌기(136)를 압박한다(단계 S207).
가동 클로 받음부(133)가, 지점(138)을 중심으로 하여, 무효화 버튼(10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한다(단계 S208).
가동 클로(112)와 가동 클로 받음부(133)와의 접촉이 해제되어, 무효화 버튼(101)이 역Y 방향으로 이동한다(단계 S209).
무효화 버튼(101)을 누르기 전의 상태로 되돌아간다(단계 S210). 이에 따라, 인터록의 무효화가 해제된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에서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무효화 버튼을 눌러 인터록을 무효화한 상태에서, 내측 도어를 열지 않고서 보수 커버를 되돌리면, 인터록의 무효화가 해제된다. 이에 따라, 무효화 버튼을 누른 채로 내측 도어를 열지 않고서 작업을 끝내더라도, 다음에 작업을 하는 경우에, 인터록의 무효화는 해제되어 있어, 조작자는 안전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인터록의 무효화를 해제하는 기구를 실시예 1에 부가시킬 수도 있으며, 그 경우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테이프 라이브러리 장치, 2: 셀, 3: 로봇 기구, 4: 운반 기구, 5: 외측 도어, 6: 내측 도어, 7: 보수용 커버, 8: 운반 기구용 인터록 기구, 9: 로봇 기구용 인터록 기구, 61: 내측 도어 클로, 62: 내측 도어 클로 연결 부재, 72: 무효화 해제용 클로, 73: 무효화 해제용 블록, 81: 인터록 베이스, 82: 인터록 커버, 83: 인터록 스위치 캠, 84, 84A, 84B: 캠 스프링, 85: 관통 구멍, 101: 무효화 버튼, 102: 버튼 스프링, 103: 슬라이더, 104, 104A, 104B: 슬라이더 스프링, 110: 무효화 레버, 111: 스토퍼, 112: 가동 클로, 113: 판 스프링, 114: 지점, 115: 무효화 해제용 클로 받음부, 131: 내측 도어 클로 받음부, 132: 버튼 삽입 구멍, 133: 가동 클로 받음부, 134: 스프링 받음부, 135: 버튼 스토퍼, 136: 돌기, 137: 비틀림 코일 스프링, 138: 지점, 200: 인터록 스위치, 201: 스위치 레버, 821: 노치, 831: 무효화 레버 받음부, 832: 스위치 누름부.

Claims (9)

  1. 복수의 기억 매체를 격납하는 격납 선반과,
    상기 격납 선반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기억 매체의 이동을 관리하는 관리부와,
    압박 부재에 의한 압박이 제거되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스위치 캠과,
    상기 스위치 캠이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관리부에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전원 차단부와,
    버튼을 갖고 있고, 조작자에 의해 상기 버튼이 눌리면, 상기 버튼과 연결되어 있는 돌기부가 상기 스위치 캠의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무효화 버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납 선반이 탑재된 하우징을 복수 개 가지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격납 선반에 대한 상기 기억 매체의 출납을 행하는 로봇 기구 및 상기 하우징 사이의 상기 기억 매체의 운반을 행하는 운반 기구를 가지며,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로봇 기구 및 상기 운반 기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의 전기 공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차단부는, 상기 스위치 캠이 정해진 거리를 이동하면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무효화 버튼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스위치 캠에 대하여 상기 정해진 방향의 상기 정해진 거리 이내로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상기 정해진 거리 이상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화 버튼의 상기 돌기부는,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캠이 상기 압박 부재에 의해 상기 정해진 방향의 역방향으로 압박되면, 상기 스위치 캠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후퇴하여,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 방지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부재는, 상기 라이브러리 장치의 도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화 버튼의 상기 돌기부를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이동시켜, 상기 스위치 캠의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를 해제하는 이동 방지 해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화 버튼을 덮는 착탈 가능한 보호 부재를 가지며,
    상기 이동 방지 해제부는, 상기 보호 부재가 상기 무효화 버튼을 덮은 상태에서의, 상기 보호 부재의 상기 무효화 버튼과 대향하는 면에 형성된 돌기부이며, 상기 보호 부재가 상기 무효화 버튼을 덮은 경우에, 상기 무효화 버튼을 압박하여 상기 스위치 캠의 이동 경로 상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
  9. 복수의 기억 매체를 격납하는 격납 선반을 갖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격납 선반에 격납되어 있는 상기 기억 매체의 이동을 관리 기구에 의해 관리하고,
    압박 부재에 의한 압박이 제거되면, 스위치 캠을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스위치 캠이 정해진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관리 기구로의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고,
    조작자에 의해 버튼이 눌리면, 무효화 버튼의 버튼과 연결되어 있는 돌기부를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이동 경로 상으로 이동시켜, 상기 스위치 캠의 상기 정해진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34748A 2013-03-28 2014-03-25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529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70686 2013-03-28
JP2013070686 2013-03-28
JP2014025613A JP2014209400A (ja) 2013-03-28 2014-02-13 ライブラリ装置及びライブラリ装置の制御方法
JPJP-P-2014-025613 2014-0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839A KR20140118839A (ko) 2014-10-08
KR101529819B1 true KR101529819B1 (ko) 2015-06-17

Family

ID=50792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4748A KR101529819B1 (ko) 2013-03-28 2014-03-25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85282B2 (ko)
EP (1) EP2784779A2 (ko)
JP (1) JP2014209400A (ko)
KR (1) KR101529819B1 (ko)
CN (1) CN1040780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27513A (ja) * 2014-06-25 2016-02-18 富士通株式会社 ライブラリ装置
US10395695B2 (en) 2017-03-16 2019-08-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media acclimation device and methods of acclimating data storage media
US10045457B1 (en) 2017-03-16 2018-08-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maintaining the environment of a self-cooled data storage library
US10026445B1 (en) 2017-03-16 201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interior access regulation
US10890955B2 (en) 2017-03-16 2021-0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US10303376B2 (en) 2017-03-16 2019-05-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pass-through connected media acclimation chamber
US10566023B2 (en) 2017-03-16 2020-02-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service mode for protecting data storage drives
US10509421B2 (en) 2017-03-16 2019-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roation Method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US9916871B1 (en) 2017-03-16 2018-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acclimation chamber
US10417851B2 (en) 2017-03-16 2019-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service mode
US10026455B1 (en) 2017-03-16 2018-07-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s within an automated data storage library
US9940976B1 (en) 2017-03-16 2018-04-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component locker for environmental acclimation
US11500430B2 (en) 2017-03-16 2022-1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service mode for protecting data storage drives
US9916869B1 (en) 2017-03-16 2018-03-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servicing a self-cooled data storage library
US10551806B2 (en) 2017-03-16 2020-0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n access area for a data storage library
US10431254B2 (en) 2017-03-16 2019-10-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an acclimation enclosure for a data storage library
US10418071B2 (en) 2017-03-16 2019-09-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ata storage library with positive pressure system
US10660240B2 (en) 2017-03-16 2020-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for providing an access area for a data storage libra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887A (ja) * 1997-10-09 1999-04-30 Fuji Electric Co Ltd 開閉装置盤の扉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1255792A (ja) * 2000-03-14 2001-09-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75125A (ja) * 2003-12-10 2005-06-30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の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534147T2 (de) * 1994-07-27 2005-11-10 Fujitsu Ltd., Kawasaki Datenspeicherungsbibliothek
US5872751A (en) * 1995-02-28 1999-02-16 Fujitsu Limited Library apparatus and a method for assembly thereof
JP2000164480A (ja) 1998-11-24 2000-06-16 Canon Inc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デバイス製造方法
US7408783B2 (en) * 2003-06-18 2008-08-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afely shipping tape drives while mounted inside a frame of an automated tape library
US7171571B2 (en) * 2003-08-28 2007-01-30 Spectra Logic Corporation Robotic data storage library with soft power on/off capability
JP4252935B2 (ja) 2004-06-22 2009-04-08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基板処理装置
KR100598018B1 (ko) * 2004-07-24 2006-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안전장치 및 그것을 갖는 디스크 기록/재생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20887A (ja) * 1997-10-09 1999-04-30 Fuji Electric Co Ltd 開閉装置盤の扉インターロック装置
JP2001255792A (ja) * 2000-03-14 2001-09-2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5175125A (ja) * 2003-12-10 2005-06-30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基板処理装置および基板処理装置の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078059A (zh) 2014-10-01
KR20140118839A (ko) 2014-10-08
EP2784779A2 (en) 2014-10-01
US8885282B2 (en) 2014-11-11
US20140293471A1 (en) 2014-10-02
JP2014209400A (ja) 2014-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819B1 (ko) 라이브러리 장치 및 라이브러리 장치의 제어 방법
JP4927555B2 (ja) ウェーハを保持するための容器
US9349417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ver mechanism therefor
US9601148B2 (en) Robotic safety stop for automated storage library
JP2005282025A (ja) 電気錠
US20090242498A1 (en) Magazine holding structure and library device having the same
US20050240951A1 (en) Dustcover device for data storage devices
US20060201693A1 (en) Cover mechanism for data storage device
US8116027B2 (en) Library apparatus, and insertion and ejection mechanism
US7739700B2 (en) Insertion-proof device for optical disk drive
US6704264B2 (en) Emergency ejection structure for optical disk drive
WO1996030866A1 (en) Ejection protection mechanism of card media
US6667942B2 (en) Loading device for optical disk medium
US6097594A (en) Recessed bezel for tape drive
JP5690804B2 (ja) カード保管ユニットおよびカード保管装置
JPS61211865A (ja) カセツト装てん装置
US9361931B2 (en) Library apparatus with a locking and releasing shutter mechanism
US7142386B1 (en) Tape drive with microswitch protector
JPS6334093Y2 (ko)
US8856812B1 (en) Emergency disc ejecting device for optical disc drive
US7032284B2 (en) Assembling method of magnetic tape cartridge and component holding jig therefor
JPH07244950A (ja) 情報記録ディスク用保護器と情報記録ディスクの保護用法
KR20140091881A (ko) 아카이브 시스템의 도어 잠금 장치
JP2005100495A (ja) ディスク装置のシャッタラッチ解除機構
JP2010211852A (ja) 記録媒体カートリッジ、駆動装置、シャッタロック解除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