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8501B1 - 프린터 내의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프린터 내의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8501B1
KR101528501B1 KR1020090085690A KR20090085690A KR101528501B1 KR 101528501 B1 KR101528501 B1 KR 101528501B1 KR 1020090085690 A KR1020090085690 A KR 1020090085690A KR 20090085690 A KR20090085690 A KR 20090085690A KR 101528501 B1 KR101528501 B1 KR 101528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roller
force
imaging member
signal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6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479A (ko
Inventor
마이클 이. 존
브조언 이. 브루너
Original Assignee
제록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록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제록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31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05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where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receives the ink before transferring it on the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31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 B41J2/32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 B41J2/3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heat to a heat sensitive printing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rmal heads by selective transfer of ink from ink carrier, e.g. from ink ribbon or sheet from ink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7/00Inking apparatus
    • B41J27/10Inking apparatus with ink applied by rollers; Ink supply arrangements therefor
    • B41J27/1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6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 G03G15/167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by introducing the second base in the nip formed by the recording member and at least one transfer member, e.g. in combination with bias or heat at least one of the recording member or the transfer member being rotatable during the transf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the transfer uni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k Je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미징 부재, 상기 이미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전사 롤러, 상기 전사 롤러의 이동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기, 및 상기 전사 롤러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사 롤러를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고 그리고 분리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롤러에 결합된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1 힘으로 전사 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상태로 상기 전사 롤러의 제 1 이동을 인가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2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에 제 2 이동을 인가하며, 그리고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3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에 제 3 이동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이미징 부재, 전사 롤러, 제어기, 전사 닙

Description

프린터 내의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TRANSFER PRESSURE APPLIED BY A TRANSFER ROLLER IN A PRINTER}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이미징 부재(imaging member)를 가지는 프린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프린터 내의 롤러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컴포넌트들 및 방법들에 관한 것이다.
고체 잉크 또는 위상 변화 잉크 프린터(phase change ink printer)는 통상적으로 펠릿(pellet) 또는 잉크 스틱(ink stick)의 어느 한쪽으로서, 고체 형태로 잉크를 받아들인다. 고체 잉크 펠릿 또는 잉크 스틱은 공급 슈트(feed chute) 내에 배치되어 가열기 조립체로 공급된다. 고체 잉크의 공급은 중력 또는 전기기계의 또는 기계적인 메커니즘 또는 이들 방법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성취될 수 있다. 가열기 조립체에서, 가열기 플레이트는 플레이트 상에 충돌하는 고체 잉크를 액체로 녹이고, 이 액체는 기록 매체(recording medium) 상으로 분사하기 위해 수집되어서 프린트 헤드로 운반된다.
중간 이미징 부재를 가지는 공지의 프린팅 시스템들에서, 프린트 공정은 이 미징 위상(imaging phase), 전사 위상(transfer phase), 및 오버헤드 위상(overhead phase)을 포함한다. 잉크 프린팅 시스템들에서, 이미징 위상은 잉크가 프린트 헤드를 구비하는 압전 소자(piezoelectric element)를 통해 이미지 패턴으로 프린트 드럼 또는 다른 중간 이미징 부재 상으로 배출되는 프린트 공정의 일부분이다. 전사 또는 전사 위상은 이미징 부재 상의 잉크 이미지가 기록 매체로 전사되는 프린트 공정의 일부분이다. 이미지 전사는 전형적으로 전사 닙(transfer nip)을 형성하기 위해 전사 롤러를 이미징 부재와 접촉시킴으로써 일어난다. 기록 매체는 이미징 부재가 전사 닙을 통해 이미지를 회전시킬 때 닙에 도달한다. 닙에서의 압력은 이미징 부재로부터 기록 매체로 가단성 이미지 잉크(malleable image ink)를 전사하도록 돕는다. 오버헤드 위상에서, 기록 매체의 후미 에지(trailing edge)는 닙을 통해 나가며 전사 롤러는 이미징 부재와의 접촉으로부터 분리된다. 이미지 기록 기판(image recording substrate)의 이미지 영역이 전사 닙을 통과할 때, 오버헤드 위상이 시작된다. 전사 롤러는 기판의 후미 에지가 닙을 통과할 때 이미징 부재로부터 즉시 후퇴될 수 있거나, 또는 이것은 감소된 힘으로 이미징 부재에 대항하여 계속해서 롤링(roll)되고 다음 후퇴될 수 있다. 전사 롤러 및/또는 중간 이미징 부재는, 그러나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이미지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가열될 수 있다. 일부의 프린터들에서는, 전사 롤러는 융합 롤러(fusing roller)라고 불리운다. 단순화를 위해, 여기서 사용된 용어 "전사 롤러"는 일반적으로 기록 매체 시트(recording media sheet)로의 이미지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고 시트에 대해 이미지를 융합시키기 위해 사용된 모든 가열 또는 비가열 롤러들을 언급하는 것 이다.
많은 프린터들은 상이한 형태의 기록 매체들이 저장되어 있는 복합 트레이(multiple tray)를 가진다. 이들 상이한 매체들은 상이한 크기의 종이 또는 폴리머 필름 기록 매체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매체들은 또한 상이한 두께들을 가진다. 매체들이 전사 닙으로 도입될 때, 전사 롤러는 매체들이 닙으로 들어갈 때 매체들의 선단 에지(lead edge)를 올라간다(climb;등반한다). 전사 또는 트랜스픽스(transfix)로서 알려진 닙에서의 압력 하에서 매체들에 대한 이미지의 전사는 명목상으로 전사 롤러와 중간 이미징 부재 사이의 힘이 조정될 때 균일하고 일정한 힘 하에서 일어난다. 닙에서 매체 시트의 에지를 올라가기 위해 요구된 토크는 중간 이미징 부재에 대한 전사 롤러의 압력, 닙으로 들어가는 매체들의 두께, 및 중간 이미징 부재의 회전 속도의 함수이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매체가 두껍고 전사 롤러 압력이 높을 수록, 과도한 구동 벨트 슬립(drive belt slip) 또는 구동 서보 다음의 에러(drive servo following error)에 의해 중간 이미징 부재 구동 시스템(intermediate imaging member drive system)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매체들의 모든 다양한 두께들을 수용하는 중간 이미징 부재에 단일 압력을 인가하도록 전사 롤러를 형성하기 위한 시도들은 처리량(throughput) 및/또는 이미지 품질/내구성 사이에서 균형(tradeoff)을 수반한다.
닙에서 매체들과 접촉하는 다양한 위상들 동안 닙의 힘의 제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미징 부재에 대항하여 전사 롤러에 인가되는 복합적인 힘들을 결정하는 프린터 및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프린터는 프린트 헤드에 의해 배출된 잉크를 받아들이기 위한 이미징 부재, 이미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전사 롤러, 전사 롤러의 이동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해 형성된 제어기, 및 상기 전사 롤러의 이동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제어기에 결합되고 상기 전사 롤러를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고 그리고 분리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롤러에 결합된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1 힘으로 전사 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상태로 상기 전사 롤러의 제 1 이동을 인가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2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에 제 2 이동을 인가하며, 그리고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3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에 제3 이동을 인가한다. 명령된 힘들은 닙에서 매체 시트와 상호작용하는 위상들에 대응하고 이들 힘들은 서로에 관해 상이할 수 있다. 부가적인 명령된 힘들은 닙에서 다음의 시트들과 상호작용하기 위해 전사 롤러에 인가될 수 있다. 다음의 시트들에 대한 명령된 힘들은 앞의 시트들의 처리 과정에서 대응한 위상들을 위해 사용되는 명령된 힘들에 대응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이미징 부재 상의 전사 또는 다른 롤러에 의해 밝혀진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수행하는 잉크 프린터의 전술한 형태 또는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에 관련하여 취해진 이하의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도 1은 전사 작동중 이미징 부재 구동 벨트의 슬립 또는 다른 고장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전사 롤러에 대한 힘의 인가를 제어하도록 변형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의 잉크 프린터(10)의 시스템 다이어그램(system diagram)을 도시한다. 독자는 아래에서 설명된 프린트 공정의 실시예가 여러 대체 형상(alternate form) 및 변화(variation)의 범위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부가적으로, 구성 요소들 또는 소재들의 어떠한 적당한 크기, 형상 또는 형태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고속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high-speed phase change ink image producing machine) 또는 프린터(10)와 같은 그러한 이미지 제조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아래에서 기술된 작동 서브시스템들(operating subsystem) 및 컴포넌트들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장착되는 프레임(11)을 포함한다. 고속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는 드럼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지지된 순환 벨트의 형태로 균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중간 이미징 부재(imaging member)(12)를 포함한다. 중간 이미징 부재(12)는 방향(16)으로 이동가능한 이미지 표면(14)을 가지며, 상기 이미지 표면 위에서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가 형성된다.
고속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는 또한 고체 형태로 된 하나의 컬러 위상 변화 잉크의 적어도 하나의 소스(22)를 가지는 위상 변화 잉크 전달 서브시스템(20)도 포함한다.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가 멀티컬러 이미지 제조기이므로, 잉크 전달 서브시스템(20)은 위상 변화 잉크들의 4개의 상이한 컬러들 CYMK(청록색, 노랑색, 마젠타색(자홍색), 검정색)를 나타내는 4개의 소스(22, 24, 26, 28)를 포함한다. 위상 변화 잉크 전달 시스템은 또한 위상 변화 잉크의 고체 상태를 액체 상태로 바꾸고, 용해 또는 위상 변화시키고, 그 다음 액체 형태를 적어도 하나의 프린트헤드 조립체(32)를 포함하는 프린트헤드 시스템(30)으로 공급하는 용해 및 제어 장치도 포함한다.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가 높은 속도 또는 높은 처리량의, 멀티컬러 이미지 처리기이므로, 프린트헤드 시스템은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각각의 프린트헤드 조립체(32, 34, 36, 38)를 포함한다.
도 1을 계속 참조하면,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는 기판 공급 및 취급 시스템(40)을 포함한다. 기판 공급 및 취급 시스템(40)은, 예를 들면, 기판 소스(42, 44, 46, 48)를 포함할 수 있고, 그중 소스(48)는, 예를 들면, 절단된 시트(cut sheet)의 형태로 이미지 수신 기판을 저장 및 공급하기 위한, 예를 들면, 높은 용량의 종이 공급 또는 급지기(feeder)이다. 기판 공급 및 취급 시스템(40)은 기판 예열기(52), 기판 및 이미지 가열기(54), 및 융합 장치(60)를 가지는 기판 취급 및 처리 시스템(5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은 위상 변화 잉크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는 또한 문서 홀딩 트레이(72), 문서 시트 공급 및 회수 장치(74), 및 문서 노출 및 스캐닝 시스템(76)을 가지는 오리지널 문서 급지기(70)도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제조기 또는 프린터(10)의 다양한 서브시스템들, 컴포넌트들 및 기능들의 작동 및 제어는 제어기 또는 전자 서브시스템(ESS)(80)의 도움으로 수행된다. ESS 또는 제어기(80)는, 예를 들면, 중앙 처리 유닛(CPU)(82), 전자식 저장장치(electronic storage)(84), 및 디스플레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UI)(86)를 가지는 자체 수용된 전용 마이크로컴퓨터이다. ESS 또는 제어기(80)는, 예를 들면, 픽셀 배치(pixel placement) 및 제어 수단(89)은 물론 센서 입력 및 제어 수단(88)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CPU(82)는 스캐닝 시스템(76), 또는 온라인 또는 작업 스테이션 연결부(90)와 같은 그러한 이미지 입력원과 프린트헤드 조립체(32, 34, 36, 38) 사이의 이미지 데이터 흐름(image data flow)을 판독, 캡쳐, 준비 및 관리한다. 그와 같이, ESS 또는 제어기(80)는 기계의 프린팅 작업을 포함하여, 모든 다른 기계 서브시스템들 및 기능들을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주 멀티-태스킹 프로세서(main multi-tasking processor)이다.
제어기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된 지시들을 실행하는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general purpose microprocessor)일 수 있다. 제어기는 또한 프린터로부터 상태 신호(status signal)을 수신하고 프린터 컴포넌트들에게 제어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및 입력/출력(I/O)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그 대안으로서, 제어기는 기판상에 또한 제공된 필수 메모리, 인터페이스, 및 I/O 컴포넌트들을 갖는 기판 상의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다. 그러한 장치는 때로는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ASIC)로서 알려져 있다. 제어기는 또한 적절하게 구성된 별개의 전자 컴포넌트들과 함께 또는 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적절하게 구성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들의 조합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제어기의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된 지시들은 또한 전사 닙(transfer nip)에 들어가는 매체 시트(media sheet)에 앞서 전사 롤러에 인가된 힘의 변화를 포함하여, 전사 롤러에 인가된 힘과 전사 롤러의 이동을 조정하기 위해 아래에서 기술된 공정을 수행하도록 제어기를 구성하고, 한편 시트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시트로서 전사 닙을 떠난다.
작동에 있어서, 제조될 이미지용 이미지 데이터는 처리를 위해 스캐닝 시스템(76)으로부터 또는 작업 스테이션 연결부(90)를 거쳐 제어기(80)로 보내어 지거나 처리되어 프린트헤드 조립체(32, 34, 36, 38)로 출력된다. 부가적으로, 제어기는 유저 인터페이스(86)를 거쳐, 예를 들면, 작동자의 입력으로부터 관련된 서브시스템 및 컴포넌트의 제어를 결정 및/또는 수용하며, 따라서 그러한 제어를 실행한다. 그 결과, 위상 변화 잉크의 적절한 컬러 고체 형태가 용해되어 프린트헤드 조립체로 전달된다. 부가적으로, 픽셀 배치 제어(pixel placement control)는 이미지 표면(14)에 관하여 수행되며, 그에 따라서 그러한 이미지 데이터마다 원하는 이미지를 형성하고, 수신 기판(receiving substrate)은 소스(42, 44, 46, 48)의 어느 하나에 의해 공급되고, 표면(14) 상에서 이미지의 형성과 적절한 정합 관계로 서브시스템(50)에 의해 취급된다. 제어기는 이때 전사 닙(92)을 형성하도록 전사 롤러를 이동시켜서 중간 이미징 부재(12)와 접촉시키기 위하여, 아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사 롤러(94)에 결합된 구동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수신 기판은 다음에 전사 롤러(94)가 기판 위로 올라갈 때 닙 안으로 들어가며 이미지는 융합 장치(60)에서 차후 융합시키기 위해 수신 기판 위로 부재(12)의 표면(14)으로부터 전사된다.
중간 이미징 부재(12)에 관하여 전사 롤러(94)를 이동시키기 위한 종래 기술의 전사 롤러 제어 시스템(120)은 도2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시스템(120)은 전사 롤러(94)의 한 단부에서의 전사 롤러 제어 조립체(210)와 전사 롤러(94)의 다른 단부에서의 전사 롤러 제어 조립체(220)를 포함한다. 전사 롤러 제어 조립체(210, 220)가 본질적으로 같기 때문에, 다음의 설명은 롤러 제어 조립체(210)에 관해서만 기술한다. 조립체(210)는 그의 출력 샤프트 상에서 풀리(도시되지 않음)를 가지는 모터(224)를 포함한다. 순환 벨트(228)는 모터(224)의 출력 샤프트 상의 풀리 및 풀리의 주위에 감겨진다. 그의 중심에서, 풀리(230)는 섹터 기어(238)의 톱니와 맞물리는 기어 톱니(234)를 가진다. 섹터 기어(238)의 바깥쪽의 단부에서, 리테이너 암(244)에 대해 링크(240)가 장착된다. 리테이너 암(244)에는 전사 롤러(94)의 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저널 베어링(248)이 장착된 구멍이 있다. 리테이너 암(244)의 가까운 단부에는 링크(240)의 동작에 의해 조정되는 바와 같이 축(243)을 중심으로 리테이너 암(244)을 회전시킬 수 있는 피봇 핀이 위치한다. 전사 롤러 제어 조립체(220)는 유사하게 배열된다.
제어기가 모터(224)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킬 때, 그의 출력 샤프트는 순환 벨트(228)가 풀리(230)를 회전시키게 한다. 풀리(230)가 회전하면, 기어 톱니(234)는 베어링 축(239)을 중심으로 섹터 기어(238)를 회전시킨다. 섹터 기어(238)의 바깥쪽 단부에 있는 링크(240)는 피봇 핀(241)에 의해 섹터 기어(238)에 결합되고 피봇 핀(242)에 의해 리테이너 암(244)에 결합된다. 섹터 기어(238)의 회전은 링크(240)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시키고 링크(240)는 리테이너 암(244)에 압력 을 가하여 축(243)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베어링(248) 내의 전사 롤러의 단부는 모터(224)의 두 방향의 제어에 의해 이동된다. 조립체(210)의 모터(224)와 조립체(220)의 대응하는 모터의 작용은 전사 롤러(94)가 이미징 부재(12)와 매끄럽게 결합하고 그리고 그 결합으로부터 분리되게 이동하도록 제어기에 의해 조정된다. 한 실시예에서, 이들 모터들의 작동은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조립체(210, 220)는 또한 링크(240)에 장착된 변형 게이지(strain gauge)와 같은 센서 또는 링크(240)의 편향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조립체들의 센서들은 이미징 부재(12)에 대항하여 전사 롤러(94)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의 표시를 제공한다. 압력 신호들은 조립체(210, 220)의 모터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조정하기 위한 피드백으로서 제어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이미징 부재(12)에 대항하여 전사 롤러(94)의 힘을 조정할 수 있다.
전사 롤러 제어 조립체의 한 실시예가 기술되었지만, 다른 실시예들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은 전사 롤러의 각 단부에 대해 롤러 제어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전사 롤러의 양 단부들을 제어하는 단일 조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양한 전사 롤러 제어 실시예들에서 요구되는 것은 전사 롤러의 제어가 동작의 범위를 통해 링크 장치(linkage)를 이동시키는 제어 신호에 응답하여 이미징 부재와 결합하고 그리고 이 결합에서 분리되도록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해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동작의 범위는 한 단부에서 이미징 부재로부터 해제되고, 그 범위의 다른 단부에서 전사 닙을 형성하기에 충분한 압력으로 이미징 부재에 대항하여 가압되도록 규정된다. 부가적으로, 유사한 제어 조립체 들은 프린터를 통해 정해진 이미징 부재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프린팅 공정에서 다른 롤러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이들 롤러들의 이동과 더욱이 이들 롤러들에 인가된 힘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아래에서 더욱 충분히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은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를 작동시켜 전사 롤러와 함께 힘의 인가를 조정하기 위한 방법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제어기는 롤러를 이미징 부재를 향해 이동시켜서 상이한 시간에 롤러에 상이한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기는 전사 닙을 형성하기 위해 제 1 힘(first force)으로 전사 롤러를 이동시킬 수 있고, 다음에 매체 시트의 선단 에지의 등반(climb)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 2 힘(second force)을 인가하고, 다음에 이미지 전사(image transfer)를 제공하기 위해 제 3 힘을 인가하고, 그리고 다음에 닙으로 부터 시트의 배출을 돕기 위해 제 4 힘을 인가한다. 이 예에 연속하여, 제어기는 또 하나의 매체 시트가 미리 처리된 시트를 즉시 뒤따르면 한 레벨에서 또는 다른 시트가 즉시 유효하지 않다면 상이한 레벨에서 제 4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제 2 시트가 뒤따른다면, 제 4 힘은 롤러가 닙을 형성하는 반대쪽 구조물과 접촉하고 그후 다음 시트를 오르는 짧은 주기의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 5 힘은 제 2 시트로 이미지의 전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어기에 의해 명령될 수 있고, 다음에 제 6 힘은 제 2 시트의 배출을 위해 제어기에 의해 명령될 수 있다. 제어기에 의해 명령을 받는 힘들은 닙에서의 매체 시트의 두께 및 이미징 부재의 표면 속도를 참조하여 제어기에 의해 결정된 레벨로 또는 소정 레벨로 설정될 수 있다.
롤러의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의 한 실시예는 도 3에서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는 전사 닙을 형성하도록 전사 롤러를 이동시켜 이미징 부재와 접촉시키기 위하여 제 1 명령 힘 신호(블록 302)와 협력해서 제 1 오픈 루프 속도 명령 신호(first open loop velocity command signal)를 개시한다. 전사 롤러와 이미징 부재 사이의 접촉은 전사 메커니즘 내의 센서들이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되는 힘의 크기를 식별하는 신호들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들 신호들은 공정(300)중 제어기에 의해 명령을 받는 임의의 주어진 힘에 응답하여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력(transfer force)을 조정하기 위해 제어기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제 2 힘은 제 1 닙을 형성하기 위해 사용된 제 1 힘과 상이한 제어기에 의해 명령을 받는다(블록 304). 이러한 제 2 힘은 닙을 형성한 후 닙으로 들어가는 제 1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의 위로 전사 롤러의 등반을 용이하게 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 2 힘은 제어기에 의해 발생된 등반 신호(climb signal)에 응답하여 인가된다. 등반이 종료되면, 이미징 부재로부터 제 1 이미지 기판으로 제 1 이미지를 전사하기 위해 제 3 힘이 전사 롤러에 인가된다(블록 306).
도 3에 도시된 예시적인 공정에서, 두 개의 이미지들이 두 개의 개별적인 이미지 기판들에 연속하여 전사된다. 제 1 이미지 공정의 종료에 이어서, 제 4 힘은 명령된 제 3 힘과 상이한 제어기에 의해 명령을 받는다. 이 예에서, 제 4 힘은 제 3 힘보다 낮다(블록 308). 이러한 제 4 힘은 제 2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 위로 전사 롤러의 등반을 용이하게 한다. 전사 롤러는 인터-카피 갭(inter-copy gap)이라고 부르는 짧은 거리만큼 이미징 부재 위로 제1 이미지 기판의 후미 에지를 롤 오프(roll off)하며, 다음에 제2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 위로 올라간다(블록 310). 등반이 종료되면, 예에서 제 3 힘과 대략 같은 제 5 힘이 제어기에 의해 명령을 받는다(블록 312). 제 2 이미지가 전사된 후, 제 6 힘은 제 2 기판의 후미 에지를 롤 오프(rolling off) 하기 위한 준비 시에 제어기에 의해 명령을 받는다(블록 314). 기판은 닙을 떠나고 전사 롤러는 다시 이미징 부재 위로 회전(roll)한다. 제어기는 오픈 루프 속도 명령 신호를 개시하며 전사 롤러는 이미징 부재로부터 멀리 이동된다(블록 316).
전사 롤러(94)가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를 올라가도록 돕는 개선된 프린터에서, 전사 롤러(94)는 중간 위치로 이동된다. 중간 위치에서, 전사 롤러는 이미지 전사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이미징 부재(12)와 함께 전사 닙을 형성한다. 이미징 부재의 속도와 전사 롤러의 압력 사이의 관계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미징 부재의 표면 속도는 라인 180으로 표시되어 있다. 전사 롤러의 오픈 루프 명령 속도는 라인 182로 도시되어 있다. 전사 롤러가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동안, 그리고 인가된 힘이 전사 메커니즘 내의 센서들로부터 나오는 신호에 관하여 조정되지 않는 동안, 이러한 명령은 이미징 부재(12)에 관하여 전사 롤러의 위치를 제어한다. 도 4에서, 라인 184는 이미징 부재에 대항하여 명령된 전사력을 언급하며, 전사 메커니즘 내의 센서들에 의해 측정되는 전사력은 라인 186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도시된 전사력들은 독립된 서보 메커니즘이 전사 롤러의 각 단부에 결합될 때 전사 롤러의 전방 측면을 위한 것이다. 전사 롤러의 한 단부는 전방 측면으로서 언급되며 다른 단부는 후방 측면으로서 언급된다.
부재(12)의 위에서 이미지의 형성이 거의 종료될 때, 대략 3000 Newtons의 load 1 로서 도시된 명령 접촉 힘(command contact force)이 설정된다. Load 1 은 전사 롤러가 이미징 부재(12)와 접촉하지 않는 동안 전사 롤러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가 서보 메커니즘의 오픈 루프 명령 속도를 독립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전사 롤러의 명령 속도 제어(command velocity control)를 오버라이드(overriding) 하는 명령 힘없이 25 mm/second 의 명령 속도를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미징 부재 표면 속도는 타이밍 포인트(190)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대략 30 mm/second 로 감소된다. 이미징 부재 속도가 늦어지는 동안, 전사 롤러 오픈 루프 명령 속도는 포인트(18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25 mm/second 로 설정된다. 이러한 속도 명령은 대략 1 mm 의 초기 갭으로 부터 이미징 부재(12)를 향해 전사 롤러의 이동을 시작하게 한다. 타이밍 포인트(190) 뒤의 대략 20 밀리세컨드에서, 전사 롤러는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여 포인트(19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로 보다 실제로 더 큰 측정된 힘(라인 186)을 발생시키기 시작한다. 이 시점에서, 제어기는, 이 예에서, 대략 3470 Newtons까지, 도면에서 load 2 인 명령 등반력(command climb force)을 설정한다. 라인(186)은 측정된 힘이 증가할 때의 반응을 보여주며, 그 직후에 명령 등반력에 도달한다. 명령 등반력이 설정되기 대략 50 밀리세컨드 후, 전사 롤러는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를 올라가기 시작한다. 대응하게, 측정된 힘(186)도 또한 증가한다. 명령 등반력이 설정되기 대략 55 밀리세컨드 후,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는 닙에서 중앙에 배치된다. 전사 롤러의 등반이 이제 종료되고 제어기는 도면에서 load 3 으로 표시되고 이 예에서 대략 5100 Newtons인 명령 전사력(command transfer force)을 설정한다. 전사 롤러의 전방 단 부에 인가된 명령 등반력 및 등반 이벤트(climb event)에 대한 서보 메커니즘의 측정된 힘의 응답은 명령 힘 라인(184)을 증가시켜 도달하는 라인(186)에 의해 도시된다. 독자는 도 4에 표시된 속도 및 이동 거리가 하나의 가능한 실행의 예들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이들 값들은 제품 메커니즘, 구동 성능, 기판 에지에 관한 이미지 위치의 허용, 및 프린터 컴포넌트의 기하학적 형태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이 실시예에서, 대략 28.6 mm 에 의해 분리된 두 개의 각각의 이미지들은 이미징 부재(12) 상에 형성되었다. 이들 이미지들은 두 개의 개별적인 이미지 기판들 상에 전사된다. 제 1 이미지 기판의 후미 에지를 롤 오프(rolling off)하기 전, 명령 힘(command force)은 포인트(194)에서 load 4 에 대응하는 대략 4000 Newtons 까지 감소된다. 제 2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 등반 이벤트가 종료되면, 명령 힘은 도면에서 포인트(196)에 대응하는 load 5 로 설정된다. 이 예에서, load 3과 load 5의 크기는, 비록 이들이 상이하다고 할 찌라도, 같다.
마지막 이미지에 대한 전사 작업이 종료된 후, 제어기는 도 4의 포인트(19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2000 Newtons 인 load 6으로 명령 힘을 감소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킨다. 전사 롤러는 마지막 이미지 기판의 후미 에지를 롤 오프시켜서 이미징 부재의 표면 상으로 오르게 한다. 전사 롤러는 포인트(20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픈 루프 명령 속도가 -25 mm/second 로 설정될 때까지 이미징 부재 표면에 대항하여 계속 롤(roll)을 행하며, 이 시점에서 서보 메커니즘은 전사 롤러를 이미징 부재의 표면으로부터 후퇴시켜서 이것을 전사 롤러와 이미징 부재 사이에서 1 mm 의 갭을 유지하는 그의 개시 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논의가 전사 부재의 전방 단부를 참조하여 이루어졌지만, 제어기는 유사한 방식으로 전사 부재의 후방 단부에 대해 서보 메커니즘을 작동시키기 위한 대응 신호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전사 롤러를 작동시키는 것은 여러 가지 장점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의 한가지로, 제1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를 위한 load 2 와 제 2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를 위한 load 4 와 같은 그러한, 감소된 소정 등반력(climb force)의 사용은 이미지 기판 및 이미징 부재에 실제로 인가된 힘과 압력의 오버슈터(overshoot)를 낮춘다. 또 다른 장점은 이미징 부재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된 벨트에 관하여 벨트 슬립이 감소되는 것이다. 부가적으로, 이미징 부재를 구동시키는 모터에 의해 사용된 전류가 감소된다. 결론적으로, 감소된 소정 등반력(climbing force)의 사용은 개선된 작동 특성을 갖는 등반 위상중, 이미징 부재 상의 부하(load)를 감소시킨다.
그러나, 전사 롤러의 힘은 이미지의 효과적인 전사를 위해 더 낮은 등반력으로부터 더 높은 전사력으로 증가되어야 한다. 이러한 증가는 이상적으로는 등반의 끝과 닙으로 들어가는 이미징 부재 상의 이미지의 출발 사이의 시간 중에 일어난다. 또한 이미지의 출발 시 전사력의 임의의 절충값을 최소화하면서 기술된 최대의 장점을 제공하는 등반력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최적의 등반력은 벨트 슬립, 이미징 부재의 모터 전류, 이미징 부재의 위치 에러, 및 측정된 전사력의 측정들로부터 경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최적의 명령 등반력을 결정하는 데 있어서의 한가지 목표는 등반 이벤트에 의해 이것이 편향되기 때문에 전사 메커니즘 및 구조의 시스템 경도(system stiffnes)로 인해 일어나는 힘에서의 증가에 의해 명령 전사력과 명령 등반력 사이의 차이를 옵셋(offset)하는 것이다. 최적 등반력과 같은 것을 결정하는 것은 전사력이 최소의 지연 및 최소의 오버슈트로 달성될 수 있게 한다. 결론적으로, 등반력 대 매체의 두께 곡선(media thickness curve), 표, 또는 방정식은 전사 시스템의 경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한 실시예에서, 명령 등반력은 이들 반응들에 의해 결정되고 입력 가변 매체의 두께와 이미지 부재의 속도를 사용하는 방정식에 의해 계산된다. 따라서, 명령 등반력은 이미지 부재 모터 전류, 벨트 슬립, 및 다음에 오는 에러 반응들(error response)이 개선되는 결과에 따라 힘을 매체 두께 및 이미징 부재 속도와 연관시키는 방정식에 의해 특징지워질 수 있다. 더욱이, 전사 롤러 힘의 반응들이 개선된다. 한 실시예에서, 이 방정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F=A*V*T + B*V + C*T+ D
여기서 결과 F는 Newtons 에서의 측면당 명령 등반력이다. 이 방정식의 상수들은 이 예에서 경험적으로 결정되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A = 11.665, B = 0.146, C = -22962.9, D = 4962.9. 입력 변수 V는 이미징 부재 표면 속도(mm/second)이고, 입력 변수 T는 매체 두께(mm)이다.
한 실시예에서, 제한된 범위가 등반력의 결과에 대해 결정된다. 그러한 제한은 더욱 두꺼운 매체가 범위의 최소치보다 작은 계산된 명령 등반력을 초래할 수 있지만, 범위의 최소치가 사용될 때 수행된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제한은 더욱 얇은 매체가 범위의 최대치보다 큰 계산된 명령 등반력을 초래할 수 있지만, 범위의 최대치가 사용될 때 수행된다. 이 예에서, 명령 등반력의 범위는 0 Newtons 내지 5100 Newtons 이다.
한 실시예에서, 등반력 대 매체 두께 및 이미징 부재 속도 방정식은 프린터 제어기에 의해 계산된다. 프린트 사이클 중, 제어기는 서브시스템(50)에 의해 처리된 이미지 기판용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징 부재 전사 속도 및 매체 두께를 검색한다. 매체 두께는 프린터의 매체 트레이에 저장된 다양한 매체의 파라미터들이다. 한 실시예에서, 매체는 사용자에 의해 단일 시트 공급기 속으로 공급될 수 있거나 또는 공급 트레이 속으로 적재(load)될 수 있다. 매체를 적재한 후, 사용자는 프린트 사이클이 명령을 받기 전 매체 두께의 입구에 대해 질문을 받을 수 있다. 매체 두께가 결정되면, 제어기는 전사 롤러의 전방 및 후방 단부용 서보 메커니즘이 이미징 부재를 향해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게 하는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이미징 부재와의 접촉 후, 제어기는 서보 메커니즘이 등반 이벤트에 대한 준비시 전사 롤러의 단부들에 인가된 힘을 변경시키게 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등반 작동이 종료되면, 제어기는 전사 신호를 발생시키고 전사 롤러의 단부들에 인가된 힘은 이미징 부재로부터 이미지 기판으로 이미지의 전사를 위한 전사력으로 증가된다. 이미지 전사를 종결할 때, 제어기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켜 이미징 부재와 분리하기 위한 해제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사 부재에 인가된 힘의 선택적인 제어는 이미지 기판의 해제중 전사 롤러의 단부들에 인가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작동에서, 힘은 도 4에서 load 6으로서 언급된 것과 같은 그러한 힘으로 감소된 다. 이미지의 단부와 기판의 후미 에지 사이의 영역에서 전사 롤러에 인가된 힘을 감소시키기 위한 그러한 힘을 사용하는 것은 벨트 슬립 상태들을 피하도록 돕는다. 이들 상태들은 전형적으로 더 두꺼운 매체에 직면하게 된다. 그러한 매체는 탭(tab)을 갖는 시트, 비지니스 카드(business card), 라벨, 봉투, 접힌 시트(folded sheet), 멀티-시트 도큐먼트(multi-sheet document), 견본인쇄 형태(preprinted form), 또는 다양한 두께의 잉크를 가지는 시트들을 포함한다. 더욱이, 감소된 힘은 이미지 전사가 일부 프린팅 사이클들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종료된 후 전사 롤러가 계속해서 이미징 부재에 대항하여 롤링을 행할 때 이미징 부재를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동력(power)을 낮춘다.
벨트를 통한 구동장치의 전사 동작(drive transferring motion)에 의한 힘의 발생은 상술한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의 실행을 참조하여 기술되었다. 이러한 구동장치의 구성은, 그러나 다른 구동장치의 시스템들이 사용될 수 있을 때, 많은 구동장치의 옵션들 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로타리 또는 선형 모터들을 갖는 직접식 구동장치, 리드 스크류(lead screw), 기어, 또는 기어 및 랙 구조, 견인 구동장치(traction drive), 공압식 구동장치(pneumatic drive), 또는 비-톱니형 풀리 시스템, 및 이들의 다양한 조합들이 사용될 수 있다. 적절한 구동장치의 시스템의 선택은 주로 효율, 비용, 속도, 및/또는 응답 시간, 제품의 구성적인 호환성 및 힘의 발생 및/또는 힘의 증폭(force amplification)에 의존한다. 이들 다양한 파라미터들의 우선 사항들은 특수한 용도이다. 또한, 상술한 시스템 및 방법은 이미지 기판으로 나중에 전사되는 이미지를 수신하는 프린트 드럼 또는 순환 벨트와 같은 그러한 이미징 부재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이미징 부재는 또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린트헤드로 부터 직접 이미지를 수신한 다음 나중에 기판에 이미지를 고정시키는 매체를 언급한다. 예를 들면, 매체의 웨브(web) 또는 일련의 시트들은 이미지를 수신한 다음, 그 후의 가열된 또는 비-가열된 롤러들에 의해 기판에 더욱 영구적으로 부착된 잉크 이미지들을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용어, 전사 롤러는 가변성 압력을 갖는 이미지 수신 부재에 이미지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이들 롤러들을 포함한다. 인가된 압력 또는 힘은 기판 위치, 및/또는 입력 또는 감지된 기판(sensed substrate)의 두께, 및/또는 검색 표(lookup table), 및/또는 감지된 또는 결정된 힘, 위치, 속도, 및/또는 프린팅 및 전사 공정에서 부재들을 이동시키기 위한 가속도 값(acceleration value)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전사 롤러의 전방 및 후방 단부의 힘들이 전체적으로 동일하게 롤러의 단부들에 인가되는 반면, 명령을 받고 인가된 힘들은 비-중심 기판 위치들, 전사 롤러의 길이를 따른 이미지 기판 두께에서의 변화량, 또는 전사 롤러 또는 다른 부재들의 다른 특성들에 응답하여 비대칭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사 공정의 신호들은 명령을 받고 인가된 전사력들의 일부 또는 전체의 각 측면에 대해 유일한 값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한 기판의 차이점들은 전사력의 영향에 부차적인 것이므로, 상술한 방법 및 시스템에서 사용된 힘의 변화량은 기판 두께, 속도, 이미지 내용, 및 디폴트(default) 또는 검색 표의 값들을 제외하거나 또는 이 값들과 연계된 다른 적용가능한 파라미터들에 관련된 측정된 신호들 또는 결정된 효과들과 함께 위에서 기술된 계산 결과들 또는 값들에 대한 제어기의 변형에 기초하는 실시간으로 원하는 힘들을 설정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은 잉크 프린터의 주 서브시스템들(major subsystem)을 도시하는 고체 잉크 프린터의 시스템 다이어그램.
도 2는 이미징 부재에 대해서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사 롤러 제어 시스템의 사시도.
도 3은 예시적인 프린트 작동중 전사 롤러의 위치와 힘이 제어되는 순서의 흐름도(flow diagram).
도 4는 이미징 부재의 회전 속도, 전사 롤러의 명령 속도(command velocity), 및 전사 롤러에 인가된 힘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터
11 : 프레임
12 : 중간 이미징 부재
14 : 이미지 표면
20 : 잉크 전달 서브시스템
22, 24, 26, 28 : 소스
30 : 프린트헤드 시스템
32 : 프린트헤드 조립체
40 : 기판 공급 및 취급 시스템
42, 44, 46, 48 : 기판 소스
50 : 기판 취급 및 처리 시스템
52 : 기판 예열기
54 : 기판 및 이미지 가열기
60 : 융합 장치
70 : 오리지널 문서 급지기
72 : 문서 홀딩 트레이
74 : 문서 시트 공급 및 회수 장치
76 : 문서 노출 및 스캐닝 시스템
80 : 전자 서브시스템(ESS)
82 : 중앙 처리 유닛(CPU)
84 : 전자식 저장 장치
86 : 디스플레이 또는 유저 인터페이스(UI)
90 : 작업 스테이션 연결부
94 : 전사 롤러
120 : 전사 롤러 제어 시스템
210, 220 : 전사 롤러 제어 조립체
224 : 모터
228 : 순환 벨트
230 : 풀리
238 : 섹터 기어
240 : 링크
242 : 피봇 핀
243 : 축
244 : 리테이너 암
248 : 베어링

Claims (20)

  1. 프린터로서,
    이미징 부재(imaging member);
    상기 이미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전사 롤러(transfer roller);
    등반력(climb force) 대 매체 두께 데이터 및 이미징 부재 속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매체 두께 및 이미징 부재 속도에 대응하는 등반력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등반력과 관련하여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하기 위한 신호들을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기(controller); 및
    상기 제어기로부터 상기 발생된 신호들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어기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전사 롤러를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고 그리고 분리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롤러에 작동가능하게 연결된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1 힘으로 전사 닙(transfer nip)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 롤러에 제 1 이동을 인가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2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에 제 2 이동을 인가하며, 그리고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명령된 제 3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에 제 3 이동을 인가하는 프린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사 롤러의 한 단부에 결합된 서보 메커니즘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고, 상기 전사 롤러의 또 다른 단부에 결합된 또 다른 서보 메커니즘을 위한 또 다른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가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의 상기 전사 닙 안으로의 진입 전에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선단 에지가 상기 전사 닙 내의 예정된 위치에 인접할 때 명령된 제 2 힘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미징 부재 상의 이미지 영역이 상기 전사 닙을 통해 나아갈때 명령된 제 3 힘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미지 기판의 후미 에지가 상기 전사 닙 내의 예정된 위치에 인접할 때 명령된 제 4 힘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상기 전사 롤러의 한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 암(retainer arm);
    상기 리테이너 암에 결합된 링크;
    상기 링크와 리테이너 암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링크에 결합된 섹터 기어(sector gear);
    상기 섹터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톱니를 가지는 기어; 및
    상기 기어에 결합되는 회전 출력 샤프트를 가지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을 수신하고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신호들에 따라 상기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어기에 결합되는 프린터.
  8. 프린트 사이클 동안의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전사 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켜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도록 명령된 제 1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사 닙에 이미지 기판이 들어가기 전에 명령된 제 2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가 상기 전사 닙 내의 예정된 위치에 인접한 후에 명령된 제 3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된 제 2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 닙에 들어가는 이미지 기판을 위한 매체 두께 및 이미지 부재 속도에 대응하는 등반력(climb force)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등반력에 따라서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는, 상기 전사 롤러의 한 단부에 결합된 서보 메커니즘을 위한 제 1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및
    상기 전사 롤러의 또 다른 단부에 결합된 또 다른 서보 메커니즘을 위한 상기 제 1 신호에 대응하는 제 2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 닙 안으로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의 진입 전에 상기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된 제 3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단계는, 이미지 기판의 선단 에지가 상기 전사 닙 내의 예정된 위치에 인접할 때 상기 명령된 제 3 힘을 인가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징 부재 상의 이미지 영역이 상기 전사 닙을 통해 나아갈 때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해 제 3 힘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기판의 후미 에지가 상기 전사 닙 내의 예정된 위치에 인접할 때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해 명령된 제 4 힘을 인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기 위한 방법.
  15. 프린터로서,
    하나 이상의 프린트헤드에 의해 배출된 잉크를 수용하기 위한 이미징 부재(imaging member);
    상기 이미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전사 롤러(transfer roller); 및
    상기 전사 롤러를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고 그리고 분리되도록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전사 롤러에 결합된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상기 전사 롤러의 한 단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리테이너 암(retainer arm);
    상기 리테이너 암에 결합된 링크;
    상기 링크와 리테이너 암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링크에 결합된 섹터 기어(sector gear);
    상기 섹터 기어와 서로 맞물리는 톱니를 가지는 기어; 및
    회전 출력 샤프트를 가지는 모터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의 모터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에 의해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도록 신호들을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발생된 하나의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어를 회전시켜 제 1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여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전사 닙을 형성하고, 상기 모터는 발생된 다른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인가된 제 1 힘과는 다른 제 2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여 상기 전사 롤러가 상기 전사 닙에 들어가는 이미지 기판을 등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모터는 또 다른 신호에 반응하여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인가된 제 1 힘보다 큰 제 3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미지 부재 상의 상기 이미지 기판의 후미 단부가 상기 전사 닙을 나아갈 때 다른 모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및
    상기 모터는 다른 모터 신호에 반응하여 제 4 힘을 상기 전사 롤러에 인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미지 기판의 후미 에지가 상기 전사 닙내의 예정 위치에 인접할 때 또 다른 모터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및
    상기 모터는 또 다른 모터 신호에 반응하여 상기 전사 롤러를 상기 이미징 부재로부터 떨어져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전사 닙이 형성된 후에 예정된 시간에 다른 모터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이미지 기판이 상기 전사 닙 내의 예정된 위치에 인접할 때 상기 제 3 힘을 인가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20. 프린터로서,
    이미징 부재(imaging member);
    상기 이미징 부재에 인접하게 위치된 전사 롤러(transfer roller);
    등반력(climb force) 대 매체 두께 데이터 및 이미징 부재 속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매체 두께 및 이미징 부재 속도에 대응하는 등반력을 선택하고, 선택된 제 1 등반력에 대응하는 제 1 신호, 선택된 제 2 등반력에 대응하는 제 2 신호 및 선택된 제 3 등반력에 대응하는 제 3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어기(controller); 및
    상기 제어기에 그리고 상기 전사 롤러에 작동가능하게 결합된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신호에 반응하여 명령된 제 1 힘으로 전사 닙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이미징 부재와 접촉하도록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2 신호에 반응하여 명령된 제 2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고, 상기 변위가능한 링크 장치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3 신호에 반응하여 명령된 제 3 힘으로 상기 전사 롤러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90085690A 2008-09-12 2009-09-11 프린터 내의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528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2/209,786 US7860417B2 (en) 2008-09-12 2008-09-12 System and method for varying transfer pressure applied by a transfer roller in a printer
US12/209,786 2008-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479A KR20100031479A (ko) 2010-03-22
KR101528501B1 true KR101528501B1 (ko) 2015-06-12

Family

ID=4200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690A KR101528501B1 (ko) 2008-09-12 2009-09-11 프린터 내의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60417B2 (ko)
JP (1) JP5279668B2 (ko)
KR (1) KR101528501B1 (ko)
CN (1) CN1016707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26362B2 (en) * 2008-09-17 2012-02-28 Xerox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edia thickness with a transfer subsystem in a printer
US8762103B2 (en) * 2010-09-09 2014-06-24 Xerox Corporation Sheet thickness measurement apparatus
US20120189336A1 (en) * 2011-01-21 2012-07-26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Transfer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transfer device
US8696104B1 (en) * 2012-10-16 2014-04-15 Xerox Corporation Motion quality improvement by feed-forward torque control of imaging drum
US9182706B1 (en) 2014-04-29 2015-11-10 Hewlett-Packard Indigo B. V.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gap between rollers of a printer in accordance with a media or image length
CN104385783B (zh) * 2014-10-24 2016-12-21 合肥东彩印刷科技有限公司 一种喷墨印刷设备
US11858260B2 (en) 2018-04-26 2024-0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management using a media management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605B2 (en) * 2006-06-08 2010-03-02 Ricoh Company, Limited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5172A (en) * 1988-10-31 1990-05-15 Xerox Corporation Small inexpensive finisher
JPH08254924A (ja) * 1995-03-15 1996-10-01 Fuji Xerox Co Ltd 画像記録装置
US6698877B2 (en) 2002-06-28 2004-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Offset printing apparatus for applying a substance
US6585368B1 (en) 2002-08-01 2003-07-01 Xerox Corporation Gear clutch assembly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fix roller and a drum maintenance system
US6731891B1 (en) 2003-06-13 2004-05-04 Xerox Corproation Transfer roll engagement method for minimizing motion quality disturbances
JP5201520B2 (ja) * 2005-03-17 2013-06-0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325917B2 (en) 2005-04-25 2008-02-05 Xerox Corporation Phase change ink transfix pressure component with three-layer configuration
US7654663B2 (en) * 2005-09-30 2010-02-02 Xerox Corporation Transfix roller load controlled by motor current
US7798633B2 (en) 2005-11-14 2010-09-21 Xerox Corporation Ink printer using forward direction printing process
US7458671B2 (en) 2005-12-21 2008-12-02 Xerox Corporation Ink printer having improved release agent application control
US7643767B2 (en) * 2006-03-02 2010-01-05 Ricoh Co., Ltd. Transfer-fix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enhanced image qua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2605B2 (en) * 2006-06-08 2010-03-02 Ricoh Company, Limited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79668B2 (ja) 2013-09-04
KR20100031479A (ko) 2010-03-22
CN101670704B (zh) 2015-08-12
JP2010064482A (ja) 2010-03-25
US20100067933A1 (en) 2010-03-18
US7860417B2 (en) 2010-12-28
CN101670704A (zh) 2010-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501B1 (ko) 프린터 내의 전사 롤러에 의해 인가된 전사 압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0181717B1 (ko) 용지 급송 장치
US7942517B2 (en) Method for lubricating a transfer roller with an image member
JP4389969B2 (ja) 画像形成装置
US9056501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recording medium in a printing device
CN101130317A (zh) 打印装置以及传送控制方法
US67330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12636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media thickness with a transfer subsystem in a printer
US788328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3172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throughput for duplex printing operations in an indirect printing system
EP1705022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8696104B1 (en) Motion quality improvement by feed-forward torque control of imaging drum
US6922205B2 (en) Color thermal printer and color thermal printing method
JP3741243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21441B2 (ja) 画像形成装置
JP7349065B2 (ja) 後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US11458746B2 (en) Printing apparatus and conveyance control method thereof
JP3610701B2 (ja) プリンタ
JP2023074349A (ja)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プリント装置
JP2023027999A (ja) 印刷装置及び印刷方法
JPH0414077B2 (ko)
JP2004306363A (ja) プリンタ
JPH05254725A (ja) プリンタ装置
JP2010047381A (ja) シート排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