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116B1 -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 Google Patents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116B1
KR101524116B1 KR1020130123689A KR20130123689A KR101524116B1 KR 101524116 B1 KR101524116 B1 KR 101524116B1 KR 1020130123689 A KR1020130123689 A KR 1020130123689A KR 20130123689 A KR20130123689 A KR 20130123689A KR 101524116 B1 KR101524116 B1 KR 1015241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tube
piston
cover
cylinder
head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3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4531A (ko
Inventor
정두하
Original Assignee
정두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두하 filed Critical 정두하
Priority to KR1020130123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11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4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4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1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1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0/00Engine or like cylinders; Features of hollow, e.g. cylindrical, bodies in general
    • F16J10/02Cylinders designed to receive moving pistons or plu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15/22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for accelerating or decelerating the stro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tuator (AREA)

Abstract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가 개시된다. 상기 실린더는, 양단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실린더 튜브; 상기 실린더 튜브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의 일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헤드커버; 상기 헤드커버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헤드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 내측에 마련되며, 제1 스프링 통하여 상기 헤드커버와 연결되는 쿠션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의 타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로드커버; 상기 로드커버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로드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Cylinder apparatus provided with structure capable of cushion damping and stroke adjustment}
본 발명은 실린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자체적으로 가지는 실린더에 관한 것이다.
공작물을 구동하기 위한 유체압 실린더는 공작물의 종류나 작업내용 등이 다르면 그것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유체압 실린더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공작물의 종류 등에 따라서 피스톤의 스트로크가 다른 복수의 종류의 유체압 실린더를 준비하는 것은, 유체압 실린더의 종류가 많아져서 설비가 고가로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정밀한 스트로크를 필요로 하는 작업 구간에서는 유체압 실린더만으로는 정밀 스트로크를 맞출 수 없기 때문에 쇽압소바, 스토퍼 등 추가 주변장치를 사용해서 스트로크를 정밀하게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고 제2013-0025723호 (2013.03.12. 공개)
본 발명은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가능을 자체적으로 가짐으로써 별도의 주변장치 필요없이 스트로크를 조절하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실린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양단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실린더 튜브; 상기 실린더 튜브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 및 피스톤 로드;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의 일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헤드커버; 상기 헤드커버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헤드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 상기 피스톤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 내측에 마련되며, 제1 스프링 통하여 상기 헤드커버와 연결되는 쿠션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의 타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로드커버; 상기 로드커버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로드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를 포함하는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커버는, 상기 실린더 튜브와 나사결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제1 영역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실린더 튜브의 내측에서 스토퍼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 내측에는 쿠션링이 상기 로드커버와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쿠션링의 표면에는 스프링 리테이너가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와 상기 스토퍼는 제2 스프링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커버의 타단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가공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에는 헤드 클레비스가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헤드 클레비스의 이동은 상기 헤드 클레비스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락너트에 의해 제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트로크를 간편히 조절할 수 있으며, 별도의 외부 수단 없이도 충격을 완충할 수 있는 실린더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3은 도 1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전진 및 후진 스트로크의 과정을 순서대로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린더 튜브(10), 나사산(12), 피스톤(20), 피스톤 로드(25), 헤드커버(30), 홈(31),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34), 쿠션바(36), 제1 스프링(38), 로드커버(40), 제1 영역(40-1), 제2 영역(40-2), 스토퍼(43),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44), 쿠션링(45), 홀(46), 스프링 리테이너(47), 제2 스프링(48), 헤드 클레비스(50), 락너트(6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는, 양단의 내주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되는 실린더 튜브(10); 상기 실린더 튜브(10)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드(25);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10)의 일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헤드커버(30); 상기 헤드커버(30)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헤드커버(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34); 상기 피스톤(20)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10) 내측에 마련되며, 제1 스프링(38) 통하여 상기 헤드커버(30)와 연결되는 쿠션바(36);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10)의 타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로드커버(40); 상기 로드커버(40)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로드커버(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44)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는, 헤드커버(30)와 로드커버(40)가 실린더 튜브(10) 내측에 나사결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것만으로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실린더 튜브(10) 내측에 마련되는 쿠션바(36) 및 제1 스프링(38)에 의해 충격을 자체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린더 튜브(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본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양단의 내주면에는 나사산(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실린더 튜브(10) 내에서 피스톤(20)과 피스톤 로드(25)는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실린더 튜브(10)의 일단, 보다 구체적으로 피스톤(20)과 가까운 일단에는 헤드커버(3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 때, 헤드커버(3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헤드커버(30)가 실린더 튜브(10)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헤드커버(30)가 실린더 튜브(10) 내부에 삽입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실린더 튜브(10)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실린더 튜브(10) 내측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헤드커버(30)의 일부분, 즉 노출된 외주면에는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34)가 나사결합된다.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34)는 실린더 튜브(10)와 밀착되도록 헤드커버(3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헤드커버(30)가 더 이상 실린더 튜브(10)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34)에 의해 헤드커버(3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다른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스톤(20)과 대향하는 실린더 튜브(10)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커버(30)와 피스톤(20) 사이에는 쿠션바(36)가 마련된다. 정상상태에서 쿠션바(36)는 헤드커버(30)와 이격되고 피스톤(20)과도 이격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며, 헤드커버(30)와는 제1 스프링(38)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20)이 후진(도 1을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하게 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바(36)는 피스톤(20)과 충돌하여 피스톤(20)과 함께 헤드커버(3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쿠션바(36)와 헤드커버(30)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스프링(38)은 압축하게 되는데, 피스톤(20)의 운동에너지는 제1 스프링(38)에 의해 흡수되므로 피스톤(20)의 후진에 의한 충격이 실린더 자체적으로 흡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는 별도의 주변장치 필요없이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스프링(38)의 크기 및 장력 등과 같은 제원은 설계 상의 필요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실린더 튜브(10)의 타단,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커버(30)의 반대측에는 로드커버(40)가 삽입되어 결합되는데, 이 때, 로드커버(40)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로드커버(40)가 실린더 튜브(10)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로드커버(40)가 실린더 튜브(10) 내부에 삽입되는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실린더 튜브(10) 내부 공간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실린더 튜브(10) 내측에 삽입되지 않고 외부에 노출된 로드커버(40)의 일부분, 즉 노출된 외주면에는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44)가 나사결합된다.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44)는 실린더 튜브(10)와 밀착되도록 로드커버(40)의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로드커버(40)가 더 이상 실린더 튜브(10) 내측으로 삽입되지 못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44)에 의해 로드커버(40)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로드커버(40)에는 피스톤 로드(25)가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도록 홀(46)이 형성되는데, 피스톤 로드(25)는 이러한 홀(46)을 관통하게 된다.
헤드커버(30) 측에서 쿠션바(36)와 제1 스프링(38)이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를 이루었던 것과 유사하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커버(40) 측에는 스토퍼(43), 쿠션링(45) 그리고 제2 스프링(48)이 마련된다. 즉, 피스톤(20)이 전진(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하게 되면, 쿠션링(45)이 피스톤(20)과 충돌하여 피스톤(20)과 함께 로드커버(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때, 제2 스프링(48)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커버(40)는 단면적이 큰 제1 영역(40-1)과, 상대적으로 단면적이 작은 제2 영역(40-2)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제1 영역(40-1)은 실린더 튜브(10)와 나사결합되고, 제2 영역(40-2)은 실린더 튜브(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그 안에 위치한 스토퍼(43)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된다.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3)는 로드커버(40)의 제2 영역(40-2)과 실린더 튜브(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실린더 튜브(10) 내측, 보다 구체적으로 로드커버(40)와 피스톤(20) 사이에는 쿠션링(45)이 마련된다. 정상상태에서 쿠션링(45)은 로드커버(40)와 이격되고 피스톤(20)과도 이격되는 위치에 놓이게 되며, 그 표면에 마련된 스프링 리테이너(47)를 매개로 하여 스토퍼(43)와 제2 스프링(48)을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피스톤(20)이 전진(도 1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하게 되면, 쿠션링(45)은 피스톤(20)과 충돌하여 피스톤(20)과 함께, 스토퍼(43)와 피스톤 로드(25) 사이의 공간을 통해 로드커버(4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제2 스프링(48)이 압축되면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2 스프링(48)의 크기 및 장력 등과 같은 제원은, 제1 스프링(3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설계 상의 필요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커버(30)의 타단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산(32)이 가공된 홈(3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홈(31)에는 헤드 클레비스(50)가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헤드 클레비스(50)의 이동은 그 외주면에 체결되는 락너트(60)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즉, 헤드커버(30)와 로드커버(40)가 실린더 튜브에 나사결합된 뒤 제1 및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34, 44)에 의해 고정되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헤드커버(30)에 헤드 클레비스(50)가 나사결합되도록 한 뒤 락너트(60)에 의해 이를 고정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의 작동 과정을 도 4에 도시하였다.
도 4를 참조하면, 중간 전진 스트로크, 중간 후진 스트로크, 전진 스트로크 최대, 전진 스트로크 최소, 후진 스트로크 최대, 후진 스트로크 최소의 각 단계별로 실린더의 작동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 따른 실린더는 클레비스 방식 외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여러 장치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나, 만일 클레비스 방식으로 적용되는 경우 위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게 되면, 실린더를 각종 장치에 장착한 후에도 용이하게 실린더의 스트로크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헤드 커버, 로드 커버(40)와 제2 스트로크 조절 너트(44)를 일체형으로 구성하고, 반원형의 SHIM을 삽입 또는 제거하여 스트로크를 조절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의 좌측 도면은 전진 스트로크 최대인 경우, 우측 도면은 전진 스트로크 최소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실시예에서 실린더 튜브(10)와 로드 커버(40)를 나사로 체결하지 않고 실린더 튜브(10)와 로드 커버(40)의 나사를 제거하고, 볼트(BOLT)를 사용하여 고정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의 좌측 도면은 전진 스트로크 최대인 경우, 우측 도면은 전진 스트로크 최소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실린더 튜브 12: 나사산
20: 피스톤 25: 피스톤 로드
30: 헤드커버 31: 홈
32: 나사산 34: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
36: 쿠션바 38: 제1 스프링
40: 로드커버 40-1: 제1 영역
40-2: 제2 영역
43: 스토퍼 44: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
45: 쿠션링 46: 홀
47: 스프링 리테이너 48: 제2 스프링
50: 헤드 클레비스 60: 락너트

Claims (3)

  1. 양단의 내주면에 나사산(12)이 형성되는 실린더 튜브(10);
    상기 실린더 튜브(10) 내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20) 및 피스톤 로드(25);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10)의 일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헤드커버(30);
    상기 헤드커버(30)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헤드커버(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1 스트로크 조절너트(34);
    상기 피스톤(20)과 이격되어 대향하도록 상기 실린더 튜브(10) 내측에 마련되며, 제1 스프링(38) 통하여 상기 헤드커버(30)와 연결되는 쿠션바(36);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실린더 튜브(10)의 타단에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는 로드커버(40); 및 - 이 때, 상기 로드커버(40)에는 홀(46)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25)는 상기 홀(46)을 관통함 -
    상기 로드커버(40)의 노출된 외주면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로드커버(40)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2 스트로크 조절너트(44)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커버(40)는, 상기 실린더 튜브와 나사결합되는 제1 영역(40-1)과, 상기 제1 영역(40-1)보다 작은 단면적을 갖는 제2 영역(40-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40-2)은 상기 실린더 튜브(10)의 내측에서 스토퍼(43)의 내주면과 나사결합되고,
    상기 실린더 튜브(10) 내측에는 쿠션링(45)이 상기 로드커버(40)와 이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쿠션링(45)의 표면에는 스프링 리테이너(47)가 마련되고,
    상기 스프링 리테이너(47)와 상기 스토퍼(43)는 제2 스프링(48)을 통하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커버(30)의 타단 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사산(32)이 가공된 홈(31)이 형성되고,
    상기 홈(31)에는 헤드 클레비스(50)가 나사결합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헤드 클레비스(50)의 이동은 상기 헤드 클레비스(50)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락너트(60)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KR1020130123689A 2013-10-17 2013-10-17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KR1015241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689A KR101524116B1 (ko) 2013-10-17 2013-10-17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3689A KR101524116B1 (ko) 2013-10-17 2013-10-17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531A KR20150044531A (ko) 2015-04-27
KR101524116B1 true KR101524116B1 (ko) 2015-06-01

Family

ID=53036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3689A KR101524116B1 (ko) 2013-10-17 2013-10-17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1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114072B (zh) * 2017-06-12 2020-03-31 中联重机股份有限公司 一种收割机油缸行程限位安全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719A (ja) * 1994-09-20 1996-04-09 Futaba Denki Kogyo Kk 油圧又は空圧シリンダのストローク調節装置
JPH09126209A (ja) * 1995-08-29 1997-05-13 Komatsu Ltd 往復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10060235A (ko) * 1999-11-02 2001-07-06 다까다 요시유끼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한 유체압 실린더
KR20010109246A (ko) * 2001-11-02 2001-12-08 최호융 스트로크 미세조정 수단을 갖는 실린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719A (ja) * 1994-09-20 1996-04-09 Futaba Denki Kogyo Kk 油圧又は空圧シリンダのストローク調節装置
JPH09126209A (ja) * 1995-08-29 1997-05-13 Komatsu Ltd 往復動アクチュエータ
KR20010060235A (ko) * 1999-11-02 2001-07-06 다까다 요시유끼 스트로크 조정이 가능한 유체압 실린더
KR20010109246A (ko) * 2001-11-02 2001-12-08 최호융 스트로크 미세조정 수단을 갖는 실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4531A (ko) 2015-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434B1 (ko) 이력댐퍼와 마찰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KR101524116B1 (ko) 스트로크 조절 기능 및 충격흡수 기능을 내장한 실린더
EP3553327B1 (en) Rod assembly and fluid pressure device
CN102886710A (zh) 防撞装置及机床
JP2017512973A5 (ko)
KR101398365B1 (ko) 디스크 스프링을 이용한 마찰형 에너지 소산 장치
KR20140086438A (ko) 피스톤의 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장치
JP2007263362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
KR101524855B1 (ko) 고감쇠 고무 댐퍼가 부착된 실린더형 제진장치
JP7195405B2 (ja) スナバ組立体付きアクチュエータ
CN110821999A (zh) 一种具备限位减震复合功能的减震器
CN103343797A (zh) 一种阻尼装置
CN208252500U (zh) 防震柱塞
CN102367819A (zh) 可调行程带缓冲柱塞缸
KR101400793B1 (ko) 점성댐퍼
CN106812860A (zh) 一种组合式阻尼器
KR20180002269A (ko) 피스톤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유압 실린더 장치
CN106640835B (zh) 一种夹层散热式液压缸
KR100730778B1 (ko) 쇽 업소버 및 이의 제어방법
RU161005U1 (ru) Поглощающий аппарат
JP5917436B2 (ja) 緩衝装置、及び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
US20170292580A1 (en) Shock absorber
JP4971702B2 (ja) 直線往復動装置およびそれに用いる移動規制装置
US10996016B1 (en) Load distribution nut
KR102007346B1 (ko) 솔레노이드 밸브 어셈블리가 구비된 전자 제어 댐퍼의 횡압 저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