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3432B1 - 기어드 모터 - Google Patents

기어드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3432B1
KR101523432B1 KR1020130116235A KR20130116235A KR101523432B1 KR 101523432 B1 KR101523432 B1 KR 101523432B1 KR 1020130116235 A KR1020130116235 A KR 1020130116235A KR 20130116235 A KR20130116235 A KR 20130116235A KR 101523432 B1 KR101523432 B1 KR 10152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output shaft
spring
case
coi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16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1060A (ko
Inventor
히사요시 아루가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51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1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Abstract

과제
스프링의 장착성을 향상시킨다.
해결 수단
DC 모터 (2) 와, 출력 기어 (Gf) 와, 감속 톱니바퀴열 (5) 이, 로어 하우징 (70) 과 어퍼 하우징 (30) 을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방향으로 중첩시켜 구성되는 케이스 (7) 내에 형성되어 있고, 출력 기어 (Gf) 에 장착된 스프링 (Sp) 에 의해, 출력 기어 (Gf) 에 출력 기어 (Gf) 를 축선 (Xa)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기어드 모터 (1) 로서, 스프링 (Sp) 은, 코일상의 기부에서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부 (Sp2) 와, 기부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 (Sp1) 를 갖고 있고, 타단부 (Sp2) 는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부터 출력 기어 (Gf) 에 걸어 맞춰져 있고, 일단부 (Sp1) 는 어퍼 하우징 (30) 에 형성된 걸림홈 (65a (65b)) 에 걸려 스프링 (Sp) 을 회전 정지시키고 있고, 걸림홈 (65a (65b)) 은 로어 하우징 (70) 측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기어드 모터 (1) 로 하였다.

Description

기어드 모터{GEARED MOTOR}
본 발명은, 기어드 모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의 자동 개폐 장치에 사용되는 기어드 모터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19076호
특허문헌 1 의 것에서는, 모터의 출력 회전이 감속 기구를 통하여 출력축에 전달되고, 이 출력축에 연결된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 (덮개체) 가 개폐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출력축에는 탄성 지지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고, 출력축이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 이러한 방향의 회전 운동이 탄성 지지 스프링으로부터 작용하는 탄성력으로 어시스트되어, 모터의 부하를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탄성 지지 스프링은, 출력축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상 (軸狀) 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출력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를 갖고 있으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출력축에 걸어맞추고,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의 선단에 형성된 대략 C 자 형상의 걸림편을, 케이스측의 돌출 보스에 직경 방향으로부터 걸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축이, 예를 들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돌출 보스에 의해 회전 정지된 탄성 지지 스프링이 감아 조여짐으로써, 출력축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 운동을 어시스트하는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특허문헌 1 의 자동 개폐 장치에서는, 1 쌍의 케이스를 장착하여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 내에서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방의 케이스에 지지시킨 출력축에 탄성 지지 스프링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건 후, 타방의 케이스를 일방의 케이스에 장착하려고 하면, 타방의 케이스의 돌출 보스는 일방의 케이스측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어 육안에 의해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돌출 보스에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의 걸림편을 걸기 어려워, 본체 케이스의 조립이 어려웠다.
그래서, 출력축의 회전 운동을 어시스트하는 탄성 지지 스프링이, 케이스를 중첩시켜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 내에서 출력축 모두에 형성된 기어드 모터에 있어서, 탄성 지지 스프링의 장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기어드 모터는, 모터와, 출력축과, 상기 모터의 출력 회전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감속 톱니바퀴열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상기 출력축의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시켜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출력축에 당해 출력축을 회전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코일상의 기부 (基部) 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를 갖고 있고,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측으로부터 상기 출력축에 걸어 맞춰져 있고,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상기 코일 스프링을 회전 정지시키고 있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케이스에 지지시킨 출력축에 코일 스프링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걸어 장착한 후, 제 2 케이스를 제 1 케이스측에 중첩시키면, 제 2 케이스의 걸림홈이 제 1 케이스측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의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가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홈에 회전축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걸리도록 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와 같이,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를 케이스측의 돌출 보스에 그 직경 방향으로부터 거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으므로, 본체 케이스의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은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기어드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기어드 모터의 바퀴열 전개도이다.
도 4 는 커버를 떼어내어 나타내는 기어드 모터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기어드 모터의 케이스로부터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기어드 모터의 케이스로부터 커버와 각도 센서와 제 1 기어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어퍼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케이스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10 은 어퍼 하우징을 로어 하우징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A-A 단면도이다.
도 12 는 로어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3 은 로어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4 는 토크 리미터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15 는 출력 기어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은 출력 기어에 대한 스프링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은 출력 기어에 대한 스프링의 장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 은 출력 기어의 사용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 는 로어 하우징에 대한 어퍼 하우징의 재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은 케이스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1 은 케이스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도 22 는 케이스의 주요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서양식 변기의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 및 상면에 덮개가 형성된 세탁기 등, 수평축 둘레에 회전 구동되는 덮개체의 개폐 구동용 기어드 모터 (1) 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어드 모터 (1) 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기어드 모터 (1) 를 후방 우측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은 기어드 모터 (1) 의 바퀴열 전개도이다. 도 4 는 로어 하우징 (70) 으로부터 어퍼 하우징 (30) 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로어 하우징 (70) 내에 있어서의 감속 톱니바퀴열 (5) 과 출력 기어 (Gf) 의 배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 에 있어서는, 피니언 기어 (90), 제 1 기어 (G1), 센서 톱니바퀴 (137) 는 어퍼 하우징 (30) 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가상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도 1 에 있어서의 좌측을 전방, 우측을 후방으로 하고, 전측을 좌방, 내측을 우방, 상측을 상방, 하측을 하방으로 한다.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 (1) 는, 각각 수지제의 제 2 케이스에 상당하는 어퍼 하우징 (30), 제 1 케이스에 상당하는 로어 하우징 (70) 및 커버 (10)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7) 내에, DC 모터 (2) 와 감속 톱니바퀴열 (5) 과 출력축에 상당하는 출력 기어 (Gf) 를 수용하여 구성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속 톱니바퀴열 (5) 을 구성하는 제 1 기어 (G1) 내지 제 4 기어 (G4) 는, 각각 대경 (大徑) 톱니바퀴 (91a ∼ 94a) 와 소경 (小徑) 톱니바퀴 (91b ∼ 94b) 를 구비하고 있고, 소경 톱니바퀴와 다음 기어의 대경 톱니바퀴가 순차적으로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기어 (G1), 제 2 기어 (G2), 제 4 기어 (G4) 는, 소경 톱니바퀴와 대경 톱니바퀴가 수지 성형에 의해 일체로 구성된다.
제 1 기어 (G1) ∼ 제 4 기어 (G4) 는 수지제로, 각각 강제의 제 1 지지축 (S1) ∼ 제 4 지지축 (S4) 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들 제 1 지지축 (S1) ∼ 제 4 지지축 (S4) 은 어퍼 하우징 (30) 및 로어 하우징 (70) 에 형성된 지지 보스 등의 지지부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감속 톱니바퀴열 (5) 의 각 기어의 회전 중심 및 각 지지축 및 센서 톱니바퀴 (137) 의 회전 중심은 전부 평행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DC 모터 (2) 의 회전이 감속 톱니바퀴열 (5) 을 통하여 출력축인 출력 기어 (Gf) 에 전달되고, 이 출력 기어 (Gf) 에 연결된 출력 부재 (200, 210) 가 축선 (Xa) 둘레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 1 참조). 출력 부재 (200, 210) 는, 예를 들어 서양식 변기의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 및 상면에 덮개가 형성된 세탁기 등의 덮개체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고, 출력 부재 (200, 210) 의 회전에 연동하여 덮개체가 개폐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덮개체가 출력 부재 (200, 210) 에 장착되었을 때, 출력 기어 (Gf) 와 출력 부재 (200, 210) 와 덮개체는 일체의 움직임을 하므로, 덮개체로는 도시하지 않지만, 출력 기어 (Gf) 의 움직임을 덮개체의 움직임으로서 해석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7) 는, 로어 하우징 (70) 상에 어퍼 하우징 (30) 을 재치하고, 이 어퍼 하우징 (30) 의 전방측의 헤드부 (31) 를 제외한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상에 커버 (10) 를 재치하여 구성된다. 어퍼 하우징 (30) 의 헤드부 (31) 는, 커버 (10) 의 중첩에 의한 제한이 없기 때문에,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보다 상방으로 팽출되어 있다. 헤드부 (31) 의 상면은 커버 (10) 의 상면보다 낮게 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10) 의 헤드부 (31) 측에는 경사면 (10a) 이 형성되고, 헤드부 (31) 의 상면과 커버 (10) 의 상면이 연속되어 있다.
케이스 (7) 의 평면형은, 전단부가 반원형을 이루고, 후방은 한 변이 당해 반원에 접하여 연장됨과 함께 반원보다 큰 폭을 갖는 대략 사각형을 이루고, 상기의 한 변과 대향하는 다른 변은 반원 근방에서 당해 반원에 이어진 경사부를 갖고 있다. 여기서, 어퍼 하우징 (30) 에는, 로어 하우징 (70) 의 후기하는 커넥터 (95) 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커넥터 회피부 (38) (도 6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어퍼 하우징 (30) 은, 이 커넥터 회피부 (38) 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평면 윤곽이 로어 하우징 (70) 과 평면 윤곽과 동일하게 되어 있다 (도 6 참조). 어퍼 하우징 (30) 의 헤드부 (31) 는 그 주요부가 반원형 부분이다. 헤드부 (31) 의 반원 중심으로부터는, 출력 부재 (200, 210) 가 상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1 참조).
이하, 기어드 모터 (1) 의 각 부의 구성을 차례대로 설명한다.
[커버]
도 5 는 커버 (10) 의 사시도로, (a) 는 이면을, (b) 는 상면 (표면) 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0) 는, 상벽부 (11) 와, 이 상벽부 (11) 의 외주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부 (12 (121, 122, 123, 124)) 를 갖는 대략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4 구석부에 있어서 나사 (8) 로 어퍼 하우징 (30) 및 로어 하우징 (70) 과 함께 체결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측벽부 (122 ∼ 124) 의 각각은, 기본 높이는 동일하지만, 측벽부 (123)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에는, 후기하는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에 대응하는 위치에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 돌출되어 돌편부 (突片部) (125)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부 (121) 에는, 후기하는 어퍼 하우징 (30) 측의 스프링 지지부 (65) 등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노치 (121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0) 에 있어서의 헤드부 (31) 측 (전방측) 의 양측에는 장착부 (13, 1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장착부 (13)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반원 형상을 갖는 바닥벽 (131) 과, 이 바닥벽 (131) 의 호상 (弧狀) 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상벽부 (11) 측으로 연장되는 호상 벽부 (132) 를 갖고 있고, 바닥벽 (131) 에는 나사 (8) (도 1 참조) 를 삽입 통과시키는 관통공 (131a) 이 당해 바닥벽 (131)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 (13, 13) 는, 상벽부 (11) 에서 측벽부 (122, 123) 의 하단 (어퍼 하우징 (30) 측의 단부) 보다 하방까지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호상 벽부 (132, 132) 의 선단에 형성된 판상의 바닥벽 (131, 131) 은, 상벽부 (11) 에서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서, 호상의 둘레 가장자리를 서로 대향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커버 (10) 에 있어서 호상 벽부 (132) 는, 상단에서 바닥벽 (131) 에 도달할 때까지 측방에 개구되어 있고, 이 호상 벽부 (132) 의 후방측에는 각각 측벽부 (122, 123) 가 접속되어 있다.
커버 (10) 후방의 좌측에는 노치 오목부 (11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노치 오목부 (11a) 의 바닥측에는 나사 (8) 를 관통시키기 위한 관통공 (14a) 을 갖는 플랜지부 (1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커버 (10) 후방의 우측에는, 후기하는 로어 하우징 (70) 의 커넥터 (95) 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커넥터 (95) 에 대응하여 사각형으로 패인 커넥터 회피부 (11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측벽부 (123) 는 이 커넥터 회피부 (11b) 를 따라 절곡되어 있다.
이 커넥터 회피부 (11b) 의 근방에는, 상벽부 (11) 에서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 돌출되어 원통벽 (16)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벽 (16) 은, 그 길이 방향에서 2 단계로 축경 (縮徑) 되고 있고, 그 중심에는 나사 (8) 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공 (16a) 을 갖고 있다.
원통벽 (16) 에 있어서의 상벽부 (11) 측의 대경부 (162) 는 측벽부 (124) 와 일체로 형성되고, 대경부 (162) 의 하면은 측벽부 (124) 의 하측 가장자리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있어 선단측의 소경부 (161) (보스 (161)) 는 측벽부 (124) 의 하측 가장자리 (어퍼 하우징 (30) 측의 단면 (端面)) 보다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벽부 (11) 에 있어서의 보스 (161) 의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에는, 장착부 (13) 에 근접하여 보스부 (1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스부 (17) 는, 상벽부 (11) 에서 어퍼 하우징 (30) 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 방향에서 2 단계로 축경되고 있다. 보스부 (17) 에 있어서의 선단측은 기부 (172) 보다 소경의 위치 결정 핀 (171) 으로 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핀 (171) 은 측벽부 (123) 보다 어퍼 하우징 (30) 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보스부 (17) 의 상벽부 (11) 측의 기부 (172) 와 측벽부 (122) 및 호상 벽부 (132) 사이는 리브로 접속되어, 강성이 높아져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에서는, 원통벽 (16) 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 (161) 와 보스부 (17) 의 위치 결정 핀 (171) 은, 커버 (10) 가 어퍼 하우징 (30) 에 재치될 때, 각각 어퍼 하우징 (30) 측의 위치 결정공 (37a), 위치 결정공 (39a) (도 6 참조) 에 끼워 넣어져, 커버 (10) 가 어퍼 하우징 (30) 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0) 의 표면측에는 상기한 원통벽 (16) 에 대응하여 수용공 (16b) 이 형성되고, 그 바닥벽 (16c) 의 중앙에 관통공 (16a) 이 개구되어 있다. 바닥벽 (16c) 의 상면은 플랜지부 (14) 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도 21 참조).
여기서, 커버 (10) 는, 전방측의 관통공 (131a, 131a) 과 후방측의 관통공 (14a, 16a) 에 삽입 통과시킨 나사 (8) (도 1 참조) 에 의해, 로어 하우징 (70) 에 나사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 (10) 의 표면측의 수용공 (16b) 에는, 관통공 (16a) 을 삽입 통과시킨 나사 (8) (도 1 참조) 의 헤드부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벽부 (122, 123, 124) 의 내면측에는, 상벽부 (11) 측으로 일정량만큼 퇴피한 단부 (段部) (122a, 123a, 124a) 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123) 의 내면에 형성된 단부 (123a) 는, 커넥터 회피부 (11b) 의 내면에도 도달하여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커넥터 회피부 (11b) 의 모서리부 (11b1) 는 후술하는 제 1 기어 (G1) 의 대경 톱니바퀴 (91a) 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회피부 (11b) 에 있어서 단부 (123a) 는, 모서리부 (11b1) 에 있어서 중단되어, 대경 톱니바퀴 (91a) 와의 간섭을 피하고 있다.
또, 측벽부 (123) 에 있어서의 돌편부 (125) 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돌편부 (125) 의 형상에 추종한 단부 (段部) (125a) 가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 (124) 의 내면에 형성된 단부 (124a) 는 원통벽 (16) 의 부분에서 중단되어 있다. 또, 단부 (122a, 123a) 의 전단은, 상기한 호상 벽부 (132) 에 도달하여 끝나 있다.
도 6 은 기어드 모터 (1) 의 케이스 (7) 로부터 커버 (10) 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내는 어퍼 하우징 (30) 의 상면으로부터 각도 센서 (150) 및 제 1 기어 (G1) 를 떼어낸 상태의 평면도이다. 또한, 이 도면에 있어서는, 베이스 (33) 에 형성된 노치 (42) 의 형상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해, 어퍼 하우징 (30) 의 하측에 위치하는 로어 하우징 (70) 의 도시도 생략하고 있다. 도 8 은 어퍼 하우징 (30) 의 단체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a) 는 어퍼 하우징 (30) 의 커버 (10) 측의 상면을 좌측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어퍼 하우징 (30)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면을 좌측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6 에 있어서의 X-X 단면도이다. 도 10 은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측에서 본 평면도이며, 후기하는 출력 기어 (Gf) 에 장착되는 스프링 (Sp) 을 가상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도 10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또, 도 19 는 도 6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로서, 로어 하우징 (70) 에 대한 어퍼 하우징 (30) 의 재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 의 (a) 는 도 6 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고, (b) 는 도 6 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며, 도 21 의 (a) 는 도 6 에 있어서의 D-D 단면도이고, (b) 는 도 6 에 있어서의 E-E 단면도이다. 도 22 의 (a) 는 F-F 단면도이고, (b) 는 G-G 단면도이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하우징 (30) 은, 외관상, 헤드부 (31) 와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로 구성된다. 헤드부 (31) 의 상벽부 (310) 는,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의 상벽을 형성하는 베이스 (33) 보다 커버 (10) 측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벽부 (310)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그 외주를 따라 둘레벽부 (311) 가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둘레 가장자리에도, 그 외주를 따라 측벽부 (322, 323, 324, 325) 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322, 323) 는, 후기하는 호상 벽부 (351) 를 통하여 각각 둘레벽부 (311) 에 접속되어 있고, 어퍼 하우징 (30)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은 둘레벽부 (311), 측벽부 (322, 323, 324, 325) 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하우징 (30) 에서는, 베이스 (33) 의 커버 (10) 측의 상면에,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소정량 내측을 따라, 커버 (10) 의 단부에 대응하는 플랜지 (342, 343, 344, 34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 (342, 343, 344, 345) 의 높이는 커버 (10) 의 단부 (122a ∼ 124a) 의 깊이 (하측 가장자리로부터의 퇴피량) 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케이스 (7) 의 후방 우측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도 2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343) 의 높이 (ha) 가 커버 (10) 의 측벽부 (123) 의 단부 (123a) 의 깊이 (hb) 와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어 있다 (ha ≤ hb).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하우징 (30) 의 커버 (10) 측에서는, 상기한 헤드부 (31) 와, 플랜지 (342, 343, 344, 345) 의 내측에, 각도 센서 (150), 제 1 기어 (G1) 의 대경 톱니바퀴 (91a), 피니언 기어 (90) 가 위치하고 있다.
플랜지 (342, 343, 344, 345) 에는, 커버 (10) 를 어퍼 하우징 (30) 에 재치하였을 때, 커버 (10) 의 측벽부 (122 ∼ 124) 가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고, 이 상태에 있어서 플랜지 (342, 343, 344, 345) 의 외측에 측벽부 (122 ∼ 124) 가 위치하여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의 전후 방향 및 백탕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된다. 또, 플랜지 (342 ∼ 344) 의 외측의 측벽부 (322 ∼ 324) 의 상면 (맞댐면) 에 커버 (10) 의 측벽부 (122 ∼ 124) 의 어퍼 하우징측의 단면이 접촉하여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의 상하 방향의 위치 결정이 되도록 되어 있다 (도 19 ∼ 도 22 참조).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전방측의 양측에서는, 헤드부 (31) 와 베이스 (33) 의 접속 부분에 커버 (10) 의 장착부 (13) 를 수용하는 노치 오목부 (310b)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342, 343) 의 전단은 노치 오목부 (310b) 에 도달한 위치에서 내측으로 접혀, 노치 오목부 (310b) 의 벽면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스프링 지지부 (65) 에 접속되어 있다. 노치 오목부 (310b) 는, 베이스 (33) 의 상면에 개구됨과 함께 측벽부 (322, 323) 를 따라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하단에 나사 (8) 를 관통시키는 관통공 (35a) 이 형성된 바닥벽 (35) 을 갖고 있다. 바닥벽 (35) 의 상면은 측벽부 (322, 323) 의 높이의 범위 내에 있고, 베이스 (33) 의 상면에 커버 (10) 를 중첩시켰을 때에 장착부 (13) 의 바닥벽 (131) 의 하면이 맞닿는 높이로 설정되어 있다 (도 20 의 (a) 참조).
바닥벽 (35)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반원 형상을 갖고 있고, 호상의 둘레 가장자리를 서로 대향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벽 (35) 에 있어서 관통공 (35a) 은, 커버 (10) 의 바닥벽 (131, 131) 의 관통공 (131a, 131a) 에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헤드부 (31) 에 형성된 노치 오목부 (310b) 는, 중심측 (축선 (Xa) 측) 으로 패여 형성되어 있고,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이 노치 오목부 (310b) 는, 상기한 커버 (10) 의 장착부 (13) (호상 벽부 (132) : 도 5 참조) 의 형상에 정합한 호상을 이루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10) 가 어퍼 하우징 (30) 에 중첩되면, 호상 벽부 (132) 의 외주가 노치 오목부 (310b) 의 내주에 거의 간극없이 접촉하도록 되어 있고, 호상 벽부 (132) 가 커버 (10) 를 어퍼 하우징 (30) 에 장착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33) 후방의 좌측에서는, 커버 (10) 의 관통공 (14a) 에 대응하는 위치에, 베이스 (33)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공 (36a) 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 (36a) 은 플랜지 (342) 와 플랜지 (344) 를 접속시키는 플랜지 (345) 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관통공 (36a) 둘레의 평면상의 플랜지 수용부 (36) 는, 커버 (10) 의 플랜지부 (14) 가 맞닿는 맞닿음면으로 되어 있다. 이 플랜지 수용부 (36) 의 커버 (10) 와는 반대측의 면 (하면) 에는, 후기하는 로어 하우징 (70) 의 플랜지부 (89) 가 맞닿도록 되어 있고 (도 20 의 (b) 참조), 플랜지 수용부 (36) 는 측벽부 (322) 의 로어 하우징 (70) 과의 후술하는 맞댐면까지의 후육 (厚肉) (W2) 으로 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후단 우측 모서리부는 커버 (10) 와 동일한 커넥터 회피부 (38) 로 되어 있고, 커넥터 회피부 (38) 를 따른 플랜지 (343, 344) 근처의 위치에는, 커버 (10) 의 원통벽 (16) 에 대응하여 위치 결정 보스 (37)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33) 후단의 플랜지 (344) 는 위치 결정 보스 (37) 의 형성 부위에서 중단되어 있고, 그 사이는 위치 결정 보스 (37) 의 상단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보스 (37) 는, 베이스 (33) 에서 커버 (10) 측의 상방으로 팽출됨과 함께, 베이스 (33) 의 하방으로도 측벽부 (324) 의 하단 (로어 하우징 (70) 과의 맞댐면) 의 높이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21 의 (a) 참조). 위치 결정 보스 (37) 의 상단에는, 원통벽 (16) 으로부터 연장되는 보스 (161) 와 정합하는 위치 결정공 (37a) 이 개구되고, 상단으로부터 보스 (161) 의 길이에 대응하는 깊이 위치에 격벽 (371) 을 갖고 있다. 위치 결정 보스 (37) 에는 격벽 (371) 을 사이에 두고 로어 하우징 (70) 의 후술하는 칼럼 (88) 과 정합하는 위치 결정공 (37b)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공 (37b) 은 하단에 개구되어 있다. 격벽 (371) 에는 커버 (10) 의 관통공 (16a) 에 대응하여 나사 (8) 를 통과시키는 관통공 (371a) 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 (371a), 위치 결정공 (37a, 37b) 은 서로 상하 방향의 축심이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33) 의 이면의 전방 좌측에서는, 상기한 바닥벽 (35) 의 근방으로서 플랜지 (432) 보다 내측에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연장되는 위치 결정 보스 (39) 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보스 (39) 는, 커버 (10) 의 위치 결정 핀 (171) 에 대응하여 베이스 (33) 의 상면에 개구됨과 함께, 하단까지 관통하는 위치 결정공 (39a) 을 갖고 있다 (도 21 의 (b) 참조). 위치 결정공 (39a) 은 커버 (10) 의 위치 결정 핀 (171) 과 정합하는 내경을 갖고, 축 방향 상반에 위치 결정 핀 (171) 을 수용하고, 축 방향 하반에는 로어 하우징 (70) 의 후술하는 위치 결정 핀 (87a) 을 수용한다 (도 21 의 (b) 참조).
실시형태에서는, 이 위치 결정공 (39a) 과, 관통공 (371a) 을 둘러싸는 위치 결정공 (37a)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 형상의 베이스 (33) 에 있어서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들과 커버 (10) 측의 위치 결정 핀 (171) 및 위치 결정 보스 (161) 의 끼워맞춤에 의해,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사이가 정확하게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33) 후방의 좌측에서는,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에 DC 모터 (2) (도 3 참조) 가 장착되어 있고,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커버 (10) 측의 상면에는, DC 모터 (2) 의 모터축 (3) (도 3 참조) 의 선단에 장착된 피니언 기어 (90) 가 위치하고 있다. 이 피니언 기어 (90) 에는, 베이스 (33) 의 우측 근처에 배치된 제 1 기어 (G1) 의 대경 톱니바퀴 (91a) 가 맞물려 있고, DC 모터 (2) 의 출력 회전이 피니언 기어 (90) 를 통하여 제 1 기어 (G1) 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에서는, 피니언 기어 (90) 의 근방에 모터 장착공 (40a, 40b) 이 형성되어 있고, DC 모터 (2) 는, 모터 장착공 (40a, 40b) 을 삽입 통과시킨 나사 (9) (도 6 참조) 에 의해, 베이스 (33) 에 있어서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모터 장착공 (40a)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타원형의 장공 (長孔) 으로 되어 있고, DC 모터 (2) 의 둘레 방향을 조정하여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0) 의 상벽부 (11) 에서는, 어퍼 하우징 (30) 측의 이면에 피니언 기어 (90) 와의 간섭을 피하는 회피공 (15) 과, 제 1 기어 (G1) 의 제 1 지지축 (S1) 이 삽입되는 축공 (21) 이 형성되어 있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에 있어서의 DC 모터 (2) 의 장착부 근방에는 노치 (42) 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 (42) 는 플랜지 (342) 측의 측방에 개구되어 있고, 플랜지 (342) 는 노치 (42) 를 경계로 하여 전방측의 플랜지 (342a) 와 후방측의 플랜지 (342b) 로 나뉘어져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랜지 (342a, 342b) 는 각각 노치 (42) 에 도달한 위치에서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접혀, 노치 (42) 의 벽면의 일부를 형성하면서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한 커버 (10) 의 돌편부 (125) 는, 이 노치 (42) 에 대응하여, 어퍼 하우징 (30) 에 커버 (10) 를 중첩시켰을 때, 돌편부 (125) 의 하단이 측벽부 (322) 의 높이 방향의 대략 중간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22 의 (b) 참조).
노치 (42) 는 베이스 (33)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33) 를 사이에 둔 상하 공간을 연통시키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각도 센서 (150) 로부터 연장되는 배선 (W) 이 이 노치 (42) 를 통과하여 로어 하우징 (70) 내에 인입되어 있고, 로어 하우징 (70) 내에 있어서 배선 (W) 은, 후기하는 배선 (W) 과 신호 취출부인 커넥터 (95) 를 접속시키는 프린트 기판 (100) (도 13 참조) 에 납땜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노치 (42) 의 개구 면적은, 후기하는 각도 센서 (150) (기판 (151)) 를 통과할 수 없는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베이스 (33) 에 있어서 노치 (42) 가 측벽부 (322) 측의 측방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선 (W) 의 일단과 타단이 기판 (151, 100) 에 미리 납땜되어 있는 경우라도, 측벽부 (322) 측으로부터 노치 (42) 내에 배선 (W) 을 삽입함으로써, 각도 센서 (150) 의 설치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노치 (42) 의 개구 면적은, 배선 (W) 만을 통과시킬 수 있는 최소의 크기로 설정되어 있고, 각도 센서 (150) 의 투영면보다 작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전방측에서는, 후기하는 제 4 기어 (G4) 의 지지 보스 (64) 가 헤드부 (31) 에 인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보스 (64) 의 좌우 양측에는, 후기하는 코일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도 2 참조) 를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부 (65, 65) 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33) 에 있어서, 지지 보스 (64) 와 스프링 지지부 (65, 65) 는 커버 (10)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은 베이스 (33) 의 상면으로부터 기립하는 리브 (67) 로 접속되어 있다.
도 8 의 (b)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보스 (64) 와 스프링 지지부 (65, 65)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면에는, 제 4 기어 (G4) 의 제 4 지지축 (S4) 의 상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공 (64a) 과,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를 거는 걸림홈 (65a, 65b) 이 형성되어 있다. 걸림홈 (65a, 65b) 은, 출력 기어 수용실을 구성하는 오목부 (335) 에 연통되어 있다.
베이스 (33) 에서는, 제 4 기어 (G4) 에 관련시켜 각도 센서 (150)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센서 (150) 는, 센서용 배선을 프린트한 강성의 기판 (151) (프린트 기판) 상에 퍼텐쇼미터 (135) 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에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상측의 축 (138a) 을 하방으로부터 관통시켜 구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또한, 상측의 축 (138a) 과 후기하는 하측의 축 (138b) 은 센서 톱니바퀴 (137) 와 일체이다.
도 5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10) 의 상벽부의 전방측에는, 각도 센서 (150) 를 고정시키기 위한 누름 보스 (18, 19) 와,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축 (138a) 을 축공 (20a) 에 삽입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보스 (20)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누름 보스 (18, 19), 지지 보스 (20), 그리고 상기한 보스부 (17) 나 원통벽 (16) 은, 커버 (10) 의 수지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후기하는 어퍼 하우징 (30) 및 로어 하우징 (70) 에 있어서의 각 지지 보스 및 그 밖의 보스도 동일하게 어퍼 하우징 (30) 및 로어 하우징 (70) 의 수지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 4 기어 (G4) 및 각도 센서 (150) 에 대해서는 추후 상세히 서술한다.
도 7 및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전방측에는, 베이스 (33) 의 상면보다 패인 오목부 (331, 332) 가 베이스 (33) 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 (331, 332) 에는, 각도 센서 (150) 의 기판 (151) 을 재치하기 위한 제 1 지지대 (49) 와 제 2 지지대 (51) 가 각각 상방으로 팽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대 (49) 의 상면에는 핀 (50) 이, 제 2 지지대 (51) 의 상면에는 2 개의 핀 (52, 53)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기판 (151) (도 6 참조) 에는, 이들 핀 (50, 52, 53) 에 대응하는 핀공 (152, 153, 154) 이 형성되어 있고, 핀 (50, 52, 53) 에 핀공 (152, 153, 154) 을 끼워 넣음으로써, 각도 센서 (150) 가 위치 결정된다.
제 1 지지대 (49) 와 제 2 지지대 (51) 사이에는, 각도 센서 (150) 의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 (55) 이 베이스 (33)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삽입 통과공 (55) 의 중앙부에는, 센서 톱니바퀴 (137) 의 하측의 축 (138b) 을 지지하는 지지 보스 (56) 가 위치하고 있다. 도 7 및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보스 (56) 는,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측에서 삽입 통과공 (55) 의 중심측으로 팽출된 팽출부 (57) 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고,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축 (138b) 은 지지 보스 (56) 에 형성된 축공 (56a) 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통과공 (55) 내에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가 언뜻 보여, 이 소경 톱니바퀴 (94b) 에 센서 톱니바퀴 (137) 를 맞물려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 (33) 에 있어서의 오목부 (332) 와 측벽부 (322) 사이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 형상의 배선 수용부 (336) 가 형성되어 있다. 배선 수용부 (336) 는, 베이스 (33) 의 커버 (10) 측의 상면보다 하방으로 패인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배선 수용부 (336) 에는, 각도 센서 (150) 의 기판 (151) 으로부터 연장되는 배선 (W) (도 6 참조) 이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151) 의 측벽부 (322) 측의 단부는, 배선 수용부 (336) 의 상방에 도달하여 형성되어 있고, 배선 (W) 은, 기판 (151) 의 배선 수용부 (336)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있어서, 어퍼 하우징 (30) 측의 이면에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배선 (W) 의 커버 (10) 측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기판 (151) 에 의해 규제되도록 되어 있어, 배선 (W) 이 배선 수용부 (336) 로부터 크게 비어져 나와, 배선 수용부 (336) 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 1 기어 (G1) (대경 톱니바퀴 (91a)) 와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도 8 의 (b)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하우징 (30) 의 둘레벽부 (311) 및 측벽부 (322, 323, 324) 의 하단면 (로어 하우징 (70) 과의 맞댐면) 에도 둘레 방향 소정 지점을 제외하고 플랜지 (431, 432, 433, 434)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431, 432, 433, 434) 는, 둘레벽부 (311) 및 측벽부 (322, 323, 324) 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량 내측에서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으로 소정 높이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 (431, 432, 433, 434) 의 내측면은 둘레벽부 (311) 및 측벽부 (322, 323, 324) 의 내면에 일치하고 있고, 즉, 둘레벽부 (311) 및 측벽부 (322, 323, 324) 의 내면을 연장한 형태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21 의 (b) 의 경우에는, 플랜지 (343) 의 내측면과 플랜지 (433) 의 내측면은, 베이스 (33) 의 직교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선 (Im2) 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하우징 (30) 의 커버 (10) 측의 면에서는, 후부 (後部) 의 위치 결정 보스 (37) 의 형성 부위에서 플랜지 (344) 를 중단시키고 있으므로, 위치 결정 보스 (37) 를 베이스 (33) 의 둘레 가장자리에 가능한 한 접근시키면서 위치 결정 보스 (37) 의 상단면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원통벽 (16) 의 대경부 (162) 와 맞닿은 상태에서의 나사 체결력을 높일 수 있다. 플랜지 수용부 (36) 도 플랜지 (345) 보다 외주측에 넓은 면적을 확보함과 함께, 높이 방향으로 후육 (W2) 에 형성되어, 측벽부 (324) 의 커버 (10) 측의 맞댐면에서 로어 하우징 (70) 측의 맞댐면까지의 두께가 두꺼워지고 있으므로, 큰 나사 체결력에 견딜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어퍼 하우징 (30) 의 전방측의 좌우에 형성된 바닥벽 (35) 도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다. 즉, 노치 오목부 (310b) 에 있어서의 바닥벽 (35) 의 관통공 (35a) 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면적 부분이 후육으로 되며, 당해 후육부가 플랜지 (432, 433) 를 중단시키고 측벽부 (322, 323) 의 외주면을 따라 플랜지 (432, 433) 의 하측 가장자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나사 (8) 의 체결부가 되는 좌우의 바닥벽 (35) 과 플랜지 수용부 (36) 가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고 있으므로, 나사의 체결 토크를 높일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가 감속 톱니바퀴열 (5) 이 형성되는 영역 (T1) 으로 되어 있고, 이 영역 (T1) 의 후방측이 DC 모터 (2) 가 형성되는 영역 (T2), 전방측이 출력 기어 (Gf) 가 형성되는 영역 (T3)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 (33) 의 후방 우측은, 커넥터 (95) 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상으로 패인 커넥터 회피부 (38) 로 되어 있고, 이 커넥터 회피부 (38) 의 외주를 따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L 자 형상의 측벽부 (325) 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 (433a) 는, 커넥터 회피부 (38) 에서도 측벽부 (325) 의 로어 하우징 (70) 의 개구 가장자리와의 맞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영역 (T3) 은 영역 (T1) 보다 지면 내측 (상방측) 으로 크게 패여져 있고, 영역 (T3) 의 바닥벽이 되는 상벽부 (310) 의 중앙에는, 상벽부 (310) 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개구 (334)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 (334) 의 직경 방향 외측에는, 당해 개구 (334) 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기어 지지벽 (45) 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지지벽 (45) 의 내측에는, 후기하는 출력 기어 (Gf) 의 원통상의 축부 (256)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이 출력 기어 (Gf) 에 연결된 출력 부재 (200) 가 개구 (334) 를 통과하여 케이스 (7) 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되어 있다 (도 9 참조).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벽부 (310) 의 내면에는 보강용 리브 (47 (471 ∼ 478)) 가 기어 지지벽 (45) 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강용 리브 (47 (471 ∼ 478)) 는, 개구 (334) 의 중심축 (축선 (Xa))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보강용 리브 (47 (471 ∼ 478)) 중 전방측의 리브 (471 ∼ 475) 에는, 코일 스프링으로서의 스프링 (Sp) 의 변위를 규제하는 가이드편 (46 (461 ∼ 465)) 이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편 (461 ∼ 465) 은 둘레벽부 (311) 를 따라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가이드편 (461 ∼ 465) 의 내경단 (內徑端) (461b ∼ 465b) 과 기어 지지벽 (45) 의 외주면 (45a) 사이에, 스프링 (Sp) 을 배치하기 위한 간극 (St) (스프링 수용 공간) 이 확보되어 있다 (도 11 참조).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가이드편 (461 ∼ 465) (내경단 (461b ∼ 465b)) 의 내접원 (도면 중 부호 Im1 로 나타내는 가상원 참조) 의 직경은, 자유 상태의 스프링 (Sp) 의 코일 외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기어 지지벽 (45) 의 외경은, 덮개체의 전체 폐쇄 위치까지 출력 기어 (Gf) 가 회전하여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졌을 때의 코일 내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고, 출력 기어 (Gf) 의 회전 도중에 스프링 (Sp) 이 기어 지지벽 (45) 에 감기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로써 또한, 스프링 (Sp) 은 자유 상태에서 지장없이 스프링 수용 공간 (간극 (St)) 내에 넣을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가이드편 (46 (461 ∼ 465)) 의 상단은 헤드부 (31) 의 플랜지 (431) 의 상단과 일치하고 있고, 가이드편 (46 (461 ∼ 465)) 의 상단측에는 경사면 (461a ∼ 465a)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461a ∼ 465a) 은, 축선 (Xa) 측을 향함에 따라 상벽부 (310) 의 하면 (310a) 으로부터의 거리 (h) 가 짧아지고 있으며, 스프링 (Sp) 을 간극 (St) 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후방측의 보강용 리브 (476 ∼ 478) 는 기어 지지벽 (45)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리브 (477) 의 연장 상에는 축공 (64a) 이 위치하고 있다. 또, 나머지 리브 (477, 478) 의 연장 상에는, 상기한 가이드편 (46) 과 동일한 기능을 담당하는 호상 벽부 (351) 가 위치하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호상 벽부 (351)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선단 (하단) 에는 경사면 (351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경사면 (351a) 도 또한 스프링 (Sp) 을 간극 (St) 에 삽입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호상 벽부 (351) 의 외주는, 축선 (Xa)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걸림홈 (65a, 65b) 의 일방의 측부 가장자리와 일치하고 있고,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가 이 호상 벽부 (351) 를 따라 걸림홈 (65a, 65b) 내로 유도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출력 기어 (Gf) 와 맞물리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가,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의 상면측에 장착되는 각도 센서 (150) 와도 맞물리기 때문에 상방으로 연장되고, 기어 수용실 (St) 내에 축선 (Xa) 의 직경 방향으로부터 면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 (Sp) 의 코일 내경이 기어 지지벽 (45) 의 외경보다 크기 때문에 그 사이에 유격 (裕隔) 이 생겨, 스프링 (Sp) 이 후방 (도 10 에 있어서 우측) 으로 변위하였을 때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와 간섭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35) 을 둘러싸는 호상 벽부 (351) 의 오목부 (335) 내로의 돌출량은, 전술한 조건으로서, 스프링 (Sp) 이 후방 (도면 중 우측) 으로 변위하여 호상 벽부 (351) 에 맞닿았을 때,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도면 중 가상선 참조) 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남도록 설정된다. 이 조건하에서도, 기어 지지벽 (45) 의 외주면과 다른 가이드편 (46 (461 ∼ 465)) 사이에 자유 상태의 스프링 (Sp) 이 간극을 갖고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스프링 (Sp)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부위가 변위해도 호상 벽부 (351) 에 맞닿도록, 호상 벽부 (351) 는 스프링 (Sp) 의 높이 (길이) 의 대부분의 범위를 따르도록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그 바닥벽 (35) (및 장착부 (13) 의 바닥벽 (131)) 의 커버 (10) 의 상벽부 (11) 로부터의 위치는 후부의 플랜지부 (14) 등보다 낮게 되어 있다 (도 20 의 (a), (b) 참조).
또 다른 수단으로는, 출력 기어 (Gf) 의 회전 범위에서 스프링 (Sp) 이 최소 직경으로 감아 조여졌을 때에도 기어 지지벽 (45) 을 체결하지 않는다는 조건으로, 스프링 (Sp) 이 후방으로 변위하여 코일 내경의 전부 (前部) 가 기어 지지벽 (45) 에 맞닿았을 때,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도면 중 가상선 참조) 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남도록, 기어 지지벽 (45) 의 외경을 설정해도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바닥벽 (35, 35) 의 전방측에는, 헤드부 (3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 (431) 가 접속되어 있다. 이 플랜지 (431) 는 베이스 (33) 에서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헤드부 (31) 의 외주보다 내측을, 헤드부 (31)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 플랜지 (431) 에는, 어퍼 하우징 (30) 이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되었을 때, 후기하는 로어 하우징 (70) 의 측벽부 (721) 가 끼워 맞춰져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도 19 의 (b) 참조).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바닥벽 (35, 35) 의 후방측에는, 베이스 (33) 의 좌측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측벽부 (322) 와, 베이스 (33) 의 우측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측벽부 (323) 가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322) 의 후방측에는, 베이스 (33) 의 후단을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부 (324) 가 접속되어 있고, 이 측벽부 (324) 와 측벽부 (322) 의 접속 부분은 플랜지 (432a, 434) 를 중단시키고, 양 측벽부의 내면측을 깎아, DC 모터 (2) 의 외주를 따른 호상을 이루는 내주면 (324a) 으로 하여 DC 모터 (2) 의 수용부를 확보하고 있다.
베이스 (33) 의 커넥터 회피부 (38) 의 부분에 형성된 측벽부 (325) 는, 다른 측벽부 (322, 323, 324) 보다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측으로 연장되어 있고, 어퍼 하우징 (30) 이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되었을 때, 후기하는 기판 (100) 까지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 (323) 의 플랜지 (433) 는 이 측벽부 (325) 의 부분에 도달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측벽부 (325) 의 부분에서는, 측벽부 (325) 로부터 전방측과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33a 참조, 도 8 의 (b) 도 참조). 베이스 (33) 후방측의 플랜지 (434) 도 또한 측벽부 (325) 에 도달하여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 (434) 에서는, 측벽부 (325) 로부터 좌방측과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34a 참조, 도 8 의 (b) 도 참조).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의 좌측의 플랜지 (432) 는, 베이스 (33) 의 외주보다 내측을, 베이스 (33) 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치 (42) 까지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 (432) 는 노치 (42) 를 사이에 둔 반대측에도 형성되어 있으며, 모터 장착공 (40b) 의 측방에 도달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면 중, 부호 432a 참조). 노치 (42) 의 부분에서는 플랜지 (432, 432a) 는 커버 (10) 측의 상방으로 접혀, 베이스 (33) 상면의 플랜지 (342a, 342b) 로부터 하방으로 접힌 플랜지에 이어져 있다 (도 8 참조).
도 10 및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 (33) 후방측의 상기한 관통공 (371a)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돌출되어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 보스 (3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보스 (37) 의 중앙에는, 이 관통공 (371a) 을 둘러싸도록, 오목상의 위치 결정공 (37b) 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면에 있어서 이 위치 결정 보스 (37) 의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에는, 바닥벽 (35) 에 근접하여 위치 결정 보스 (3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결정 보스 (39) 는 플랜지 (432) 보다 약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에는 위치 결정공 (39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면에서는, 노치 (42) 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벽부 (421) 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베이스 (33) 의 로어 하우징 (70) 측 (도 10 에 있어서의 지면 전측) 의 면에서는, 노치 (42) 의 근방에 감속 톱니바퀴열 (5) 의 제 3 기어 (G3) 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 중 가상선 참조). 실시형태에서는, 노치 (42) 를 통과하여, 기판 (100) 과 각도 센서 (150) 를 접속시키는 배선 (W) (도 6 참조) 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벽부 (421) 는, 노치 (42) 의 전방측의 측부 가장자리에서 우방측의 측부 가장자리까지의 범위, 즉, 노치 (42) 에 있어서의 제 3 기어 (G3) 가 형성되는 영역 (T1) 측의 측부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배선 (W) 이 감속 톱니바퀴열 (5) (제 3 기어 (G3)) 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벽부 (421) 는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후기하는 로어 하우징 (70) 에 형성된 기판 (100) 의 근방에 도달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선 (W) 과 제 3 기어 (G3) 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벽부 (421) 는, 커버 (10) 측의 상방에서 보았을 때에 노치 (42) 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제 3 기어 (G3) 의 대경 톱니바퀴 (93a) 보다 기판 (100) 측의 하방까지 연장되어 있으면 되고, 기판 (100) 과의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이러한 간극이 배선 (W) 을 제 3 기어 (G3) 측으로 통과시키지 않는 간극이면 된다.
이하, 기어 등의 어퍼 하우징 (30) 측의 지지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8 의 (b)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에서는,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의 후방측에, DC 모터 (2) 의 상단부 (2a) 를 끼워 넣기 위한 모터축용 모터 축공 (41) 이 개구되어 있다. 또한, DC 모터 (2) 는 상단부 (2a) 를 모터 축공 (41) 에 끼워 넣음으로써, 모터축 (3) 에 끼워 넣어진 피니언 기어 (90) 를 위치 결정하고 있다 (도 3 참조).
이 모터 축공 (41) 의 전방측에는, 제 1 기어 (G1) 의 소경 톱니바퀴 (91b) 를 관통시키는 기어 관통공 (61) 이 형성되어 있다. 기어 관통공 (61) 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삽입 통과공 (55) 근처의 위치에는, 제 2 기어 (G2) 를 지지하는 지지 보스 (62) 가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전방측에는 제 4 기어 (G4) 를 지지하는 축공 (64a) 이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 (33) 에서 삽입 통과공 (55) 측의 내측으로 팽출되어 형성된 팽출부 (57) 에는, 제 3 기어 (G3) 를 지지하는 지지 보스 (63) 가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지지 보스 (62) 는 제 2 기어 (G2) 의 제 2 지지축 (S2) 의 상단이 삽입되는 축공 (62a) 을 갖고, 지지 보스 (63) 는 제 3 기어 (G3) 의 제 3 지지축 (S3) 의 상단이 삽입되는 축공 (63a) 을 갖고, 지지 보스 (64) 는 제 4 기어 (G4) 의 제 4 지지축 (S4) 의 상단이 삽입되는 축공 (64a) 을 갖고 있다.
[로어 하우징]
다음으로, 로어 하우징 (70) 측에 있어서의 기어 등의 지지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 는 로어 하우징 (70) 의 사시도로, (a) 는 로어 하우징 (70) 을 좌측의 비스듬히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b) 는 로어 하우징 (70) 을 우측 비스듬히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 은 로어 하우징 (70) 을 어퍼 하우징 (30) 측에서 본 평면도로서, 로어 하우징 (70) 과 함께 커넥터 (95) 와 기판 (100) 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3 에서는, 기판 (100) 의 이면에 프린트된 배선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하우징 (70) 은, 바닥벽 (71) 과, 바닥벽 (71)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측벽부 (72 (721, 722, 723, 724)) 를 갖고 있고, 측벽부 (72) 의 내측에 DC 모터 (2), 감속 톱니바퀴열 (5), 출력 기어 (Gf) 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로어 하우징 (70) 의 측벽부 (72 (721 ∼ 724)) 에서 상측 가장자리에는, 둘레 방향의 소정 지점을 제외한 내측면에, 어퍼 하우징 (30) 의 플랜지 (43 (431, 432, 433, 434)) 에 대응시켜 바닥벽 (71) 측으로 일정량만큼 퇴피한 단부 (721a ∼ 724a) 가 형성되어 있다. 로어 하우징 (70) 의 후방 좌측의 모서리부에 있어서는, 측벽부 (722, 724) 의 내면측을 깎아 단부 (722a, 724a) 의 폭을 좁게 하여 DC 모터 (2) 의 수용부를 확보하고 있다 (도 13 참조). 측벽부 (722) 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도중 위치에는, 상기한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에 대응하는 위치에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 돌출되어 돌편부 (725) 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벽 (71) 에서는,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가 감속 톱니바퀴열 (5) 이 형성되는 영역 (T1) 으로 되어 있고, 이 영역 (T1) 의 후방측이 DC 모터 (2) 가 형성되는 영역 (T2), 전방측이 출력 기어 (Gf) 가 형성되는 영역 (T3) 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바닥벽 (71) 의 후방 우측이 커넥터 (95) 가 형성되는 영역 (T4) (커넥터 장착부) 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영역 (T2) ∼ 영역 (T4) 은 영역 (T1) 보다 패여 있고, 영역 (T2) 을 구성하는 오목부 (71a) 의 중앙에는, 위치 규제부 (78)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위치 규제부 (78)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DC 모터 (2) 를 베이스 (33) 에 고정시키고 있는 나사 (9) 가 느슨해진 경우, DC 모터 (2) 의 상단부 (2a) 가 모터 축공 (41) 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 (71a) 는, DC 모터 (2) 의 외형에 대응한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고, 이 오목부 (71a) 의 측벽부 (723) 측으로부터,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사각형 형상의 오목부 (71b) 가 측벽부 (723) 를 따라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 오목부 (71b) 는, 상기한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의 바로 아래의 위치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하우징 (70) 의 후방측에서는, 영역 (T2) 과 영역 (T4) 에 걸쳐서 기판 (100)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기판 (100) 의 이면에는 배선 (100a ∼ 100e) 이 프린트되어 있다. 이들 배선 (100a ∼ 100e) 의 일단에는, 커넥터 (95) 의 각 단자 (95a ∼ 95e) 가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커넥터 (95) 의 각 단자 (95a ∼ 95e) 는 어퍼 하우징 (30) 측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커넥터 (95) 에 접속되는 상대측 부재가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부터 커넥터 (95) 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또, 배선 (100a ∼ 100c) 의 타단에는, 상기한 각도 센서 (150) 로부터 연장되는 배선 (W) 이 납땜되어 있고, 배선 (100d, 100e) 의 타단에는, DC 모터 (2) 로부터 돌출되는 접속 단자 (25, 25) 가 납땜되어 있다. 여기서, 배선 (W) 과 DC 모터 (2) 의 접속 단자 (25, 25) 는, 영역 (T2) 의 패임부 (오목부 (71b, 71a)) 내에서 기판 (100) 의 이면에 납땜되어 있다.
배선 (W) 과 기판 (100) 의 배선 (100a ∼ 100c) 의 접속부에서는,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의 둘레 가장자리에서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연장되는 벽부 (421) 가 기판 (100) 의 어퍼 하우징측의 상면에 맞닿아 있고,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부터 기판 (100) 에 인출된 배선 (W) 이, 로어 하우징 (70) 내에 형성된 감속 톱니바퀴열 (제 3 기어 (G3)) 과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바닥벽 (71) 의 영역 (T1) 에서는, 제 1 기어 (G1) 를 지지하는 지지 보스 (81) 가 어퍼 하우징 (30)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지지 보스 (81) 는 오목부 (71a) 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고, 제 1 기어 (G1) 의 제 1 지지축 (S1) 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공 (81a) 을 갖고 있다.
또한, 영역 (T1) 에 있어서의 지지 보스 (81) 보다 전방측에는, 제 2 기어 (G2) 를 지지하는 지지 보스 (82)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 보스 (82) 는, 제 2 기어 (G2) 의 제 2 지지축 (S2) 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공 (82a) 을 갖고 있다.
영역 (T1) 에 있어서의 지지 보스 (82) 의 좌측과 전방에는, 제 3 기어 (G3) 를 지지하는 지지 보스 (83) 와, 제 4 기어 (G4) 를 지지하는 지지 보스 (84) 가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지지 보스 (83, 84) 는, 제 3 기어 (G3) 의 제 3 지지축 (S3) 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공 (83a) 과, 제 4 기어 (G4) 의 제 4 지지축 (S4) 의 하단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공 (84a) 을 각각 갖고 있다.
영역 (T1) 에 있어서 지지 보스 (84) 는, 바닥벽 (71) 의 폭 방향 (좌우 방향) 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영역 (T3) 을 구성하는 오목부 (71d) 에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오목부 (71d) 는 대략 원형을 이루고 있고, 그 중앙부에는, 출력 기어 (Gf) 에 연결된 출력 부재 (210) 를 삽입 통과시키는 개구 (71d1) 가 바닥벽 (71) (오목부 (71d)) 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 (71d) 에서는, 이 개구 (71d1) 를 둘러싸도록 기어 지지부 (79) 가 세워져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 지지부 (79) 의 내측에서, 출력 기어 (Gf) 의 통상 (筒狀) 의 축부 (255)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3 참조).
실시형태에서는, 기어 지지부 (79) 의 후방측의 지지 보스 (84) 로 제 4 기어 (G4) 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고, 기어 지지부 (79) 에는, 제 4 기어 (G4) 의 대경 톱니바퀴 (94a) 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 (79b) 가 형성되고, 기어 지지부 (79)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대략 C 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어퍼 하우징 (30) 의 헤드부 (31) 는 베이스 (33) 보다 높게 연장되고, 헤드부 (31) 의 둘레벽부 (311) 와 로어 하우징 (70) 의 바닥벽 (71) 사이 (도 19 의 (b) : 거리 (L) 참조) 가 길기 때문에, 출력 기어 (Gf) 의 상하의 베어링을 이루는 기어 지지벽 (45) 과 기어 지지부 (79) 는 각각 큰 축 방향 사이즈를 확보할 수 있다.
기어 지지부 (79) 의 주위에는, 당해 기어 지지부 (79) 의 외주에서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리브 (791 ∼ 796) 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 리브 (791 ∼ 796) 중, 노치부 (79b) 사이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브 (796) 는 바닥벽 (71) 의 영역 (T1) 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연장 상에 지지 보스 (84) 가 위치하고 있다. 또, 나머지 리브 (791 ∼ 795) 는 기어 지지부 (79) 의 전방측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축선 (Xa) 방향에 있어서의 기어 지지부 (79) 의 거의 절반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9 의 (a), (b) 참조).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브 (791) 와 리브 (796) 사이, 그리고 리브 (796) 와 리브 (795) 사이에는, 평면에 있어서 대략 コ 자 형상의 규제 블록 (801, 802) 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 블록 (801, 802) 은, 측벽부 (721, 722, 723) 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외주로부터 기어 지지부 (79) 측 (축선 (Xa) 측) 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규제 블록 (801, 802) 의 전방측의 면 (801a, 802a) 이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둘레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면으로 되어 있다. 스토퍼면 (면 (801a, 802a)) 은 축선 (Xa) 을 통과하는 기어 지지부 (79) 의 경선 (經線) 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후기하는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가 맞닿아,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둘레의 회전 범위와,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에 맞물리게 할 때의 출력 기어 (Gf) 의 초기 위치를 규정하기 위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규제 블록 (801, 802) 의 높이는, 그 상단면과 지지통에 지지된 출력 기어 (Gf) 의 톱니부의 하단면의 간극이 스프링의 선경 (線徑) 보다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어떠한 원인으로 스프링이 절단되어도 그 절단편이 간극에 들어가 로크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동일한 것을 목적으로 하여,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한 플랜지 (431) 와 후기하는 출력 기어 (Gf) 의 외주에 형성된 톱니부의 플랜지 (431) 측의 하면 사이의 간극 (h1) 이, 스프링 (Sp) 을 구성하는 선상 부재의 단면 직경 (d) 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용 보스 (861, 862) 는 바닥벽 (71) 에서 어퍼 하우징 (30)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 (721, 722, 723) 의 단부 (721a, 722a, 723a) 와 동일한 높이로 당해 측벽에서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용 보스 (861, 862) 에서는, 어퍼 하우징 (30) 의 관통공 (35a) 과 정합하는 위치에 나사공 (861a, 862b) 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상단면에는,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켰을 때, 어퍼 하우징 (30) 의 바닥벽 (35) 의 하면이 맞닿도록 되어 있다.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상단면은,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켰을 때 노치 오목부의 바닥벽 (35) 의 하면이 맞닿도록, 단부 (721a, 722a, 723a) 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낮게, 측벽부 (722, 723) 의 상측 가장자리를 잘라내어 그 외주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도 13 : 부호 722b, 723b 참조). 그 때문에, 이 잘라내어진 부분을 포함하는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상면 전체로, 어퍼 하우징 (30) 의 바닥벽 (35) 을 지지함과 함께, 노치부 (722b, 723b) 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벽부 (721, 722, 723) 의 사이에 바닥벽 (35) 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어 하우징 (70) 의 후단 좌측 모서리부의 외주 (71e)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로어 하우징 (70) 에 수용되는 DC 모터 (2) 의 외주를 따른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어퍼 하우징 (30) 측에 플랜지부 (8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플랜지부 (89) 는 어퍼 하우징 (30) 의 플랜지 수용부 (36) 와 동일한 정도의 후육으로 하고, 그 상면에 개구시켜 어퍼 하우징 (30) 의 관통공 (36a) 에 대응하는 위치에 나사공 (89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 의 (b) 참조).
측벽부 (722) 에서는, 고정용 보스 (862) 의 근방에 원기둥 형상의 위치 결정부 (87)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부 (87) 는 측벽부 (722) 와 일체로 단부 (722a) 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부 (87) 의 중심에는, 어퍼 하우징 (30) 측의 상방으로 돌출되어 위치 결정 핀 (87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위치 결정 핀 (87a) 은 어퍼 하우징 (30) 의 위치 결정공 (39a) 에 정합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치 결정부 (87) 는 바닥벽 (71) 에서 하방으로도 소정량 돌출되고, 상단 근방으로부터 연장되는 구멍 (87b) 이 그 하단에 개구되어 있다. 구멍 (87b) 은 기어드 모터 (1) 의 덮개체로의 장착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닥벽 (71) 에 있어서의 위치 결정 핀 (87a) 과 대략 대각이 되는 위치에는 원통 형상의 칼럼 (8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칼럼 (88) 은, 바닥벽 (71) 에서 어퍼 하우징 (30) 측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고, 어퍼 하우징 (30) 의 위치 결정공 (37b) 의 내경과 정합하는 크기를 갖고 있다 (도 21 의 (a) 참조). 그리고, 칼럼 (88) 에서는, 어퍼 하우징 (30) 의 관통공 (371a) 과 정합하는 위치에 나사공 (88a) 이 형성되어 있다. 칼럼 (88) 은, 상단의 높이가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켰을 때 위치 결정 보스 (37) 의 격벽 (371) 의 하면의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고, 리브 (724b) (도 12 의 (b) 참조) 로 측벽부 (724) 에 접속되어 강성을 높이고 있다.
어퍼 하우징 (30) 과 로어 하우징 (70) 을 장착할 때에는, 로어 하우징 (70) 의 위치 결정부 (87) 의 위치 결정 핀 (87a) 과 칼럼 (88) 을, 어퍼 하우징 (30) 의 위치 결정 보스 (39) 의 위치 결정공 (39a) 과 위치 결정 보스 (37) 의 위치 결정공 (37b) 에 삽입함으로써, 어퍼 하우징 (30) 이 로어 하우징 (70) 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감속 톱니바퀴열]
다음으로, 감속 톱니바퀴열 (5) 의 각 기어 (제 1 기어 (G1) ∼ 제 4 기어 (G4)) 와 출력 기어 (Gf) 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어 (G1) 는, 축선 (X1) 을 따라 연장되는 소경 톱니바퀴 (91b) 와, 이 소경 톱니바퀴 (91b) 의 일단에 형성된 대경 톱니바퀴 (91a) 를 갖고 있고, 대경 톱니바퀴 (91a) 는 소경 톱니바퀴 (91b) 의 커버 (10) 측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기어 (G1) 에서는, 제 1 지지축 (S1) 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 (91c) 이 대경 톱니바퀴 (91a) 와 소경 톱니바퀴 (91b)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지축 (S1) 은, 커버 (10) 의 축공 (21) 과 로어 하우징 (70) 의 지지 보스 (81) (축공 (81a)) 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고, 이 제 1 지지축 (S1) 에 외삽된 제 1 기어 (G1) 는 축선 (X1)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소경 톱니바퀴 (91b) 는,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에 형성된 기어 관통공 (61) 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대경 톱니바퀴 (91a) 는, 어퍼 하우징 (30) 과 커버 (10) 사이의 공간 (Su) 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공간 (Su) 내에는, DC 모터 (2) 의 피니언 기어 (90) 도 위치하고 있고, 이 피니언 기어 (90) 에 대경 톱니바퀴 (91a) 가 맞물려 있다.
어퍼 하우징 (30) 과 로어 하우징 (70) 사이의 공간 (Sd) 내에서는,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근처의 상측에서, 제 1 기어 (G1) 의 소경 톱니바퀴 (91b) 에 제 2 기어 (G2) 의 대경 톱니바퀴 (92a) 가 맞물려 있다.
제 2 기어 (G2) 는, 축선 (X2) 을 따라 연장되는 소경 톱니바퀴 (92b) 와, 이 소경 톱니바퀴 (92b) 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대경 톱니바퀴 (92a) 를 갖고 있고, 대경 톱니바퀴 (92a) 와 소경 톱니바퀴 (92b) 사이의 회전 구동력의 전달이, 이들 사이에 개재시킨 래칫 기구 (토크 리미터 (T)) 를 통하여 실시되도록 되어 있다.
소경 톱니바퀴 (92b) 에는, 제 2 지지축 (S2) 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 (92c) 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2 지지축 (S2) 은, 어퍼 하우징 (30) 의 지지 보스 (62) (축공 (62a)) 와 로어 하우징 (70) 의 지지 보스 (82) (축공 (82a)) 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고, 이 제 2 지지축 (S2) 에 외삽된 제 2 기어 (G2) 는 축선 (X2)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14 는 제 2 기어 (G2) 에 있어서의 토크 리미터 (T)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경 톱니바퀴 (92a) 는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기부 (921) 를 갖고 있고, 이 외주에 제 1 기어 (G1) 의 소경 톱니바퀴 (91b) 와 맞물리는 톱니부 (92a1) 가 형성되어 있다. 축선 (X2) 의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대경 톱니바퀴 (92a) 는 그 내주에 캠면 (922) 을 갖고 있고, 이 캠면 (922) 에는 소경 톱니바퀴 (92b) 의 기부 (925) 로부터 연장되는 아암 (926) 이 걸어 맞춰져 있다. 아암 (926) 은 소경 톱니바퀴 (92b) 의 기부 (925) 의 외주를 따라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X2) 둘레의 둘레 방향에서 합계 3 개의 아암 (926) 이 형성되어 있다. 아암 (926) 은,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기부 (927) 가 형성된 그 선단측이 내경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로써, 통상적으로는 로크 상태가 되어 소경 톱니바퀴 (92b) 와 대경 톱니바퀴 (92a) 가 일체로 회전하지만, 대경 톱니바퀴 (92a) 와 소경 톱니바퀴 (92b) 사이에 소정 이상의 상대 회전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는 아암 (926) 이 탄성 변형되어 걸기부 (927) 가 캠면 (922) 을 미끄러져 상대 회전하는 토크 리미터 (T)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정 이상의 상대 회전 토크로는, 덮개체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토크보다 큰 토크로 설정된다.
또한, 대경 톱니바퀴 (92a) 의 캠면 (922) 은, 아암 (926) 이 기부 (925) 로부터 연장되는 방향 (도 10 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 으로 소경 톱니바퀴 (92b) 가 회전한 경우에 걸기부 (927) 와 걸어 맞춰지는 면의 (소경 톱니바퀴 (92b) 의 회전 중심 (X2) 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와의) 기울기가 작고, 아암 (926) 이 기부 (925) 로부터 연장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 (도 10 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 으로 소경 톱니바퀴 (92b) 가 회전한 경우에 걸기부 (927) 와 걸어 맞춰지는 면의 기울기가 크다. 이 때문에 아암 (926) 이 탄성 변형되어 걸기부 (927) 가 캠면 (922) 을 미끄러져 상대 회전하는 토크는 소경 톱니바퀴 (92b) 의 회전 방향에 상관없이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2 기어 (G2) 의 소경 톱니바퀴 (92b) 에서는, 아암 (926) 이 형성된 기부 (925) 에 인접하여 통상의 축부 (928)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의 외주에 제 3 기어 (G3) 의 대경 톱니바퀴 (93a) 가 맞물리는 톱니부 (92b1) 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기어 (G3) 는, 대경 톱니바퀴 (93a) 와 소경 톱니바퀴 (93b) 를 갖고 있고, 그 중심부에는 제 3 지지축 (S3) 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 (93c) 이 형성되어 있다. 제 3 지지축 (S3) 은, 어퍼 하우징 (30) 의 지지 보스 (63) 와 로어 하우징 (70) 의 지지 보스 (83) 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고, 이 제 3 지지축 (S3) 에 외삽된 제 3 기어 (G3) 는 축선 (X3)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소경 톱니바퀴 (93b) 는 대경 톱니바퀴 (93a) 보다 바닥벽 (71) 측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외주에 제 4 기어 (G4) 의 대경 톱니바퀴 (94a) 가 맞물려 있다.
제 4 기어 (G4) 는, 축선 (X4) 을 따라 연장되는 소경 톱니바퀴 (94b) 와, 이 소경 톱니바퀴 (94b) 의 일단에 형성된 바닥이 있는 원통 형상의 대경 톱니바퀴 (94a) 를 갖고 있고, 그 중심부에는 제 4 지지축 (S4) 을 삽입 통과시키는 삽입 통과공 (94c) 이 소경 톱니바퀴 (94b) 와 대경 톱니바퀴 (94a) 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4 지지축 (S4) 은, 어퍼 하우징 (30) 의 지지 보스 (64) 와 로어 하우징 (70) 의 지지 보스 (84) 에 양단이 지지되어 있고, 이 제 4 지지축 (S4) 에 외삽된 제 4 기어 (G4) 는 축선 (X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대경 톱니바퀴 (94a) 의 외주에는, 제 3 기어 (G3) 의 소경 톱니바퀴 (93b) 가 맞물리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고, 소경 톱니바퀴 (94b) 의 외주에는, 출력 기어 (Gf) 와 센서 톱니바퀴 (137) 가 맞물리는 톱니부가 길이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출력 기어]
도 15 는 출력 기어 (Gf) 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 는 사시도, (b) 는 커버 (10) 측에서 본 평면도, (c) 는 로어 하우징 (70) 측에서 본 평면도, (d) 는 (c)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출력 기어 (Gf) 는, 통상의 축부 (250) 와, 이 축부 (250) 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싸는 통상부 (251) 를 갖고 있고, 축부 (250) 와 통상부 (251) 는, 축부 (250) 의 일단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속벽 (253) 과, 축부 (250) 의 외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보강벽 (254) 을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축부 (250) 에 있어서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에는, 축부 (250) 보다 소경의 통상의 축부 (255)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255) 는 로어 하우징 (70) 에 형성된 기어 지지부 (79) 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축부 (255) 는, 그 내주가 출력 부재 (210) 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공 (255c) 으로 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공 (255c) 은, 출력 기어 (Gf) 를 로어 하우징 (70) 으로 지지시켰을 때, 당해 로어 하우징 (70) 의 개구 (71d1) 내에서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끼워맞춤공 (255c) 의 내부에는, 서로 평행한 2 면인 이면폭 (二面幅) (255a, 255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이면폭 (255a, 255a) 의 대략 중앙에는 키 홈 (255b, 255b) 이 형성되어 있다.
축부 (250) 에 있어서의 축부 (255) 와는 반대측에는, 축부 (255) 보다 대경의 축부 (256)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256) 는 어퍼 하우징 (30) 에 형성된 기어 지지벽 (45) 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축부 (256) 는, 그 내주가 출력 부재 (200) 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공 (256c) 으로 되어 있고, 이 끼워맞춤공 (256c) 은, 축부 (256) 를 어퍼 하우징 (30) 의 기어 지지벽 (45) 으로 지지시켰을 때, 어퍼 하우징 (30) 의 개구 (334) 내에서 개구되도록 되어 있다. 이 끼워맞춤공 (256c) 은, 내주에 서로 평행한 2 면인 이면폭 (256a, 256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이면폭 (256a, 256a) 의 대략 중앙에는 키 홈 (256b, 256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255, 256) 에는, 각각 출력 부재 (200, 210) 가 안에 끼워져 일체 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출력 부재 (200, 210) 는 기본 형상이 원통인 수지제 또는 금속제로, 축 방향 대략 중앙의 소정 폭의 끼워맞춤부 (201, 211) 를 남기고, 외주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평행한 2 면인 이면폭부를 구비하고 있다. 출력 부재 (200, 210) 는, 상기한 축부 (255, 256) 의 이면폭 (256a, 256a) 에 대응하는 이면폭부와, 키 홈 (256b, 256b) 에 대응하는 돌조 (突條) 를 갖고 있고, 축부 (255, 256) 에 대한 축선 (Xa) 둘레의 상대 회전이 규제된 상태에서 축부 (255, 256) 에 압입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부 (251) 의 외주에는, 상기한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가 맞물리는 톱니부 (251a) 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부채 형상의 스토퍼부 (257) 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부 (257) 는, 통상부 (251) 에서 로어 하우징 (70) 측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통상의 부재로, 그 호상 외주면 (257c) 은, 톱니부 (251a) 의 외주를 연결하는 가상선 (Im3) 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15 의 (c) 참조). 스토퍼부 (257) 는, 톱니부 (251a) 의 외경을 따른 호상 외주면 (257c) 및 기부에 가까운 호상 내주면 (257d) 과, 이들을 연결하여 둘레 방향에 면하고 축심으로부터의 경선을 따른 맞닿음면 (257e, 257f) 을 갖고, 톱니부 (251a) 의 상단에서 축 방향 하방으로 연장되고, 톱니부 (251a) 의 하단으로부터 소정량 (h) 돌출되어 있다. 스토퍼부 (257) 는 그 상단에 개구되어 축 방향으로 소정량 연장되는 스프링 지지공 (257a) 을 구비하고, 스프링 지지공 (257a) 보다 하방은 라이트닝공 (257b) 으로 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공 (257a) 에는, 출력 기어 (Gf) 의 축부 (256) 에 외삽하여 장착되는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 (257) 는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가 삽입되어 유지되는 스프링 유지부로도 되어 있다.
다음으로, 케이스 (7) 에 있어서의 감속 톱니바퀴열 (5) (제 1 기어 (G1) ∼ 제 4 기어 (G4)), 출력 기어 (Gf), 스프링 (Sp) 의 장착을 설명한다.
감속 톱니바퀴열 (5) 의 장착에 있어서는, 먼저, 로어 하우징 (70) 을 조립대 상에 얹은 상태에서, 제 1 기어 (G1) 를 제외한 각 기어 (G2 ∼ G4) 의 지지축 (S2 ∼ S4) 의 하단을, 로어 하우징 (70) 의 바닥벽 (71) 의 대응하는 축공 (82a, 83a, 84a) 에 꽂아 넣는다. 계속해서, 각 기어 (G2 ∼ G4) 의 삽입 통과공 (92c ∼ 94c) 에 각 지지축 (S2 ∼ S4) 을 삽입한다. 이 때, 각 기어 (G2 ∼ G4) 는, 그 대경 톱니부 (92a ∼ 94a) 와 소경 톱니바퀴 (92b ∼ 94b) 를 인접하는 기어의 대응하는 톱니부에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장착한다.
감속 톱니바퀴열 (5) 의 제 2 기어 (G2) 내지 제 4 기어 (G4) 의 장착이 완료되면, 출력 기어 (Gf) 의 장착이 실시된다.
실시형태에 관련된 기어드 모터 (1) 는, 덮개체의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의 어느 것에도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체는, 수평축 (회전축) 둘레에 회전 운동 구동되도록 되어 있고, 기어드 모터 (1) 는, 수평축의 직경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당해 수평축의 우측에 접속되는 경우와 좌측에 접속되는 경우가 있으며, 우측에 접속된 경우와 좌측에 접속된 경우에서, 덮개체를 개방 위치측을 향하여 구동시킬 때의 출력 기어 (Gf) 의 회전 방향이 반대가 되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스프링 (Sp) 은 코일부의 권취 방향이 상이한 것이 2 종류 준비되어 있고, 기어드 모터 (1) 가 덮개체의 회전축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쪽에 장착되는지에 따라, 적절한 스프링이 선택되어 출력 기어 (Gf) 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기어드 모터 (1) 를 덮개체의 회전축의 일단에 접속시킨 경우와 타단에 접속시킨 경우에서는, 출력 기어 (Gf) 가 덮개체의 자중에 의해 동작하는 방향 (폐쇄 방향) 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반대가 되어, 스프링 (Sp) 으로부터 작용시키는 탄성력의 방향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도 16 은 스프링 (Sp) 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면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출력 기어 (Gf) 가 회전하면 덮개체가 전체 폐쇄 위치에서 전체 개방 위치로 구동되는 관계로 출력 부재 (200, 210) 와 덮개체가 접속되는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7 은 스프링 (Sp') 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면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출력 기어 (Gf) 가 회전하면 덮개체가 전체 폐쇄 위치에서 전체 개방 위치로 구동되는 관계로 출력 부재 (200, 210) 와 덮개체가 접속된 경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도 16 의 (a) 및 도 17 의 (a) 는 출력 기어 (Gf) 에 장착되는 스프링 (Sp, Sp') 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b) 는 출력 기어 (Gf) 가 스프링의 장착 위치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c) 는 로어 하우징 (70) 으로 지지된 출력 기어 (Gf) 에 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의 상측에,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되는 어퍼 하우징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6 의 (c) 및 도 17 의 (c) 에서는, 다른 부품과의 구별을 위해, 스프링 (Sp, Sp') 을 해칭을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출력 기어 (Gf) 의 도 16 의 (b) 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 운동이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관계로 출력 부재 (200, 210) 와 덮개체가 연결되는 경우, 도 16 의 (a) 에 나타내는 우측 권취의 스프링 (Sp) 이 사용된다. 이 스프링 (Sp) 의 경우,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켰을 때, 스프링의 일단부 (Sp1) 를 어퍼 하우징 (30) 의 걸림홈 (65a) 에 걸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자유 상태의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를 출력 기어 (Gf) 의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삽입하였을 때,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를 걸림홈 (65a) 에 정합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켰을 때의 걸림홈 (65a) 의 위치는, 도 16 의 (b) 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걸림홈 (65a) 과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의 위상차 (θ) 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와 타단부 (Sp2) 의 위상차 (θ) 와 일치하는 각도 위치 (도 16 의 (b) 에 나타내는 스프링 장착 위치) 까지 출력 기어 (Gf) 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이 스프링 장착 위치까지 출력 기어 (Gf) 를 회전 운동시킨 후, 지면 전측으로부터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를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삽입하여, 스프링 (Sp) 을 출력 기어 (Gf) 에 장착한다. 즉,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스프링 (Sp) 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인 타단부 (Sp2) 를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출력 기어 (Gf) 의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걸어 맞추면, 스프링 (Sp) 의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인 일단부 (Sp1) 는 어퍼 하우징 (30) 에 형성된 걸림홈 (65a) 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 이 스프링 장착 위치는 덮개체가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이며, 덮개체, 즉, 출력 기어 (Gf) 가 전체 개방 위치보다 더욱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 운동한 위치이다. 따라서,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둘레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규제부로서의 스토퍼면을 갖는 규제 블록 (802) 은, 이 스프링 장착 위치보다 더욱 개방 위치측에 있어서 로어 하우징 (70)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 (스프링 장착 위치) 로 한 후에 로어 하우징 (70) 상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키면, 출력 기어 (Gf) 에 재치된 스프링 (Sp) 은, 어퍼 하우징 (30)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에 형성된 경사면 (461a ∼ 465a, 351a) (도 10, 도 19 도 참조) 에 의해, 어퍼 하우징 (30) 의 기어 지지벽 (45) 을 둘러싸는 간극 (St) (스프링 수용 공간) 내로 유도된다. 또한, 어퍼 하우징 (30) 에는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를 걸림홈 (65a) 내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 (651)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는 걸림홈 (65a) 내로 유도된다.
이로써, 일단부 (Sp1) 를 걸림홈 (65a) 에 걸리게 하고, 타단부 (Sp2) 를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7) 내에 스프링 (Sp) 이 장착되게 된다.
이 스프링 (Sp) 이 장착된 기어드 모터 (1) 는, 출력 기어 (Gf)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걸림홈 (65a) 으로 회전 정지된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진다. 따라서, 출력 기어 (Gf) 에는, 당해 출력 기어 (Gf) 를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스프링 (Sp) 으로부터 작용하고, 이 탄성력은 덮개체가 폐쇄 위치측에 위치하고 있을수록 커지도록 되어 있다.
또, 출력 기어 (Gf) 의 도 17 의 (b) 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의 회전 운동이 덮개체를 개방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관계로 출력 부재 (200, 210) 와 덮개체가 연결되는 경우, 도 17 의 (a) 에 나타내는 좌측 권취의 스프링 (Sp') 이 사용된다.
이 스프링 (Sp') 의 경우,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켰을 때,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를 어퍼 하우징 (30) 의 걸림홈 (65b) 에 걸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자유 상태의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를 출력 기어 (Gf) 의 스프링 유지부로서의 스토퍼부 (257) 의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삽입하였을 때,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를 걸림홈 (65a) 에 정합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켰을 때의 걸림홈 (65b) 의 위치는, 도 17 의 (b) 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걸림홈 (65b) 과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의 위상차 (θ) 가, 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와 타단부 (Sp2) 의 위상차 (θ) 와 일치하는 각도 위치 (도 17 의 (b) 에 나타내는 스프링 장착 위치) 까지 출력 기어 (Gf) 를 회전 운동시킬 수 있고, 이 스프링 장착 위치까지 출력 기어 (Gf) 를 회전 운동시킨 후, 지면 전측으로부터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를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삽입하여, 스프링 (Sp') (Sp) 을 출력 기어 (Gf) 에 장착한다. 즉,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스프링 (Sp') 의 축 방향 걸어맞춤부인 타단부 (Sp2) 를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출력 기어 (Gf) 의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걸어 맞추면, 스프링 (Sp') 의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인 일단부 (Sp1) 는 어퍼 하우징 (30) 에 형성된 걸림홈 (65b) 에 대응하는 위치가 된다. 이 스프링 장착 위치는 스프링 (Sp') 을 사용한 경우의 덮개체가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이며, 덮개체, 즉, 출력 기어 (Gf) 가 전체 개방 위치보다 더욱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 운동한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둘레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규제부로서의 스토퍼면을 갖는 규제 블록 (801) 은, 이 스프링 (Sp') 을 사용한 경우의 스프링 장착 위치보다 더욱 개방 위치측에 있어서 로어 하우징 (70) 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로 한 후에 로어 하우징 (70) 상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키면, 출력 기어 (Gf) 에 재치된 스프링 (Sp') 은, 어퍼 하우징 (30)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면에 형성된 경사면 (461a ∼ 465a, 351a) (도 10, 도 19 도 참조) 에 의해, 어퍼 하우징 (30) 의 기어 지지벽 (45) 을 둘러싸는 간극 (St) (스프링 수용 공간) 내로 유도된다. 또한, 어퍼 하우징 (30) 에는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를 걸림홈 (65b) 내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 (651) 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는 걸림홈 (65a) 내로 유도된다.
이로써, 일단부 (Sp1) 를 걸림홈 (65b) 에 걸리게 하고, 타단부 (Sp2) 를 스프링 지지공 (257a) 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7) 내에 스프링 (Sp') 이 장착되게 된다.
이 스프링 (Sp') 이 장착된 기어드 모터 (1) 는, 출력 기어 (Gf)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걸림홈 (65a) 으로 회전 정지된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진다. 따라서, 출력 기어 (Gf) 에는, 당해 출력 기어 (Gf) 를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스프링 (Sp') 으로부터 작용하고, 이 탄성력은 덮개체가 폐쇄 위치측에 위치하고 있을수록 커지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축선 (Xa) 을 통과하여 케이스 (7)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Lm) (도 18 참조) 을 경계로 하여, 걸림홈 (65a, 65b) 과 규제 블록 (801, 802) 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도면 중 출력 기어 (Gf) 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에 덮개체가 폐쇄 위치를 향하여 구동되는 경우와 출력 기어 (Gf) 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때에 덮개체가 폐쇄 위치를 향하여 구동되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케이스 (7) (로어 하우징 (70) 과 어퍼 하우징 (30)) 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출력 기어 (Gf) 의 로어 하우징 (70) 에 대한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각 지지축 (S2 ∼ S4) 은 위치 결정 핀 (87a) 및 칼럼 (88) 과 함께 서로 평행한 직립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어퍼 하우징 (30) 의 로어 하우징 (70) 에 대한 재치는, 어퍼 하우징 (30) 의 위치 결정 보스 (37, 39) 를 칼럼 (88) 과 위치 결정 핀 (87a) 에 위치 맞춤하면서 실시된다. 이 때, 각 기어 (G2 ∼ G4) 의 지지축 (S2 ∼ S4) 의 상단은 어퍼 하우징 (30) 의 대응하는 축공 (62a ∼ 64a) 에 끼워지는데, 약간 쓰러져 어퍼 하우징의 대응하는 축공에 정면으로 마주 보지 않는 지지축이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그 상단 위치를 조정하여 끼워 넣는다.
또한,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재치하기 전에, 기판 (100) 을 장착한 DC 모터 (2) 를 베이스 (33) 의 이면측에 미리 장착해 둔다. 여기서, DC 모터 (2) 는, 후기하는 커넥터 (95) 와 함께 기판 (100) 에 미리 납땜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 기판 (100) 과 각도 센서 (150) 의 기판 (151) 을 접속시키는 배선 (W) 은, 그 단부를 각각 대응하는 기판 (100, 150) 에 납땜에 의해 접속시켜 둔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케이스 (7) 로부터 떨어진 장소에서 납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그 때문에, 납땜 작업에 있어서, 땜납이나 플럭스가 비산되는 사태가 발생해도, 이들이 케이스 (7) 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기판 (100) 과 기판 (151) 을 접속시키고 있는 배선 (W) 은,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재치하기 전에, 어퍼 하우징 (30) 의 측벽부 (322) 의 측방에 개구되어 있는 노치 (42) 로부터 배선 수용부 (336) 내에 압입해 두고, 배선 (W) 의 일단에 접속된 각도 센서 (150) 를 베이스 (33) 상에 얹어 둔다.
이와 같이 하여, 로어 하우징 (70) 에 대한 어퍼 하우징 (30) 의 재치가 완료되면, 어퍼 하우징 (30) 의 기어 관통공 (61) (도 7 참조) 에 제 1 기어 (G1) 의 소경 톱니바퀴 (91b) 를 삽입 통과시키고, 소경 톱니바퀴 (91b) 를 제 2 기어 (G2) 의 대경 톱니바퀴 (92a) 에, 대경 톱니바퀴 (92a) 를 피니언 기어 (90) 에 각각 맞물리게 한다.
어퍼 하우징 (30) 과 로어 하우징 (70) 이 중첩된 상태에서는, 위치 결정 보스 (37, 39) 와 칼럼 (88) 과 위치 결정 핀 (87a) 의 끼워 맞춤에 의해, 수평 방향, 즉 각 지지축의 축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면 내에서 축공이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먼저 2 부재 (어퍼 하우징 (30) 과 로어 하우징 (70)) 를 나사로 결합하지 않아도, 고정밀도의 축간 거리로 각 기어 사이가 지지된 상태가 된다.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이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 어퍼 하우징 (30) 의 바닥벽 (35) 은, 각각 로어 하우징 (70) 의 측벽부 (722, 723) 의 노치부 (722b, 723b) 에 끼워져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상단에 착좌하고, 바닥벽 (35) 의 관통공 (35a) 이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나사공 (861a, 862a) 에 정렬된다. 또, 어퍼 하우징 (30) 후단 좌측 모서리부의 후육의 플랜지 수용부 (36) 가 로어 하우징 (70) 의 플랜지부 (89) 에 착좌하고, 어퍼 하우징 (30) 의 관통공 (36a) 이 로어 하우징 (70) 의 나사공 (89a) 에 정렬된다. 그리고, 로어 하우징 (70) 의 칼럼 (88) 에 끼워진 어퍼 하우징 (30) 의 위치 결정 보스 (37) 는 그 격벽 (371) 의 하면이 칼럼 (88) 의 상단에 착좌하고, 격벽 (371) 의 관통공 (371a) 이 칼럼 (88) 의 나사공 (88a) 에 정렬된다.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는 그 하반부가 로어 하우징 (70) 의 돌편부 (725) 로 닫혀진다.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킨 후, 베이스 (33) 에 각도 센서 (150) 가 장착된다.
여기서,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덮개체가 기립 위치 (개방 위치 : 수평선에 대하여 약 120 °의 기울기 : 도 18 의 (a), (b) 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 (Gf) 의 전체 개방 위치) 에 도달하였을 때, 출력 기어 (Gf) 에 스프링 (Sp) 의 탄성력이 거의 작용하지 않게 되고, 기립 위치에서 수평 위치 (폐쇄 위치 : 수평선에 대하여 0 °: 도 18 의 (a), (b) 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 (Gf) 의 전체 폐쇄 위치) 를 향함에 따라, 스프링 (Sp) 으로부터 작용하는 탄성력으로서, 덮개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프링 (Sp 및 Sp') 은, 출력 기어 (Gf) 가 덮개체의 자중에 의해 동작하는 방향 (폐쇄 방향) 과 역방향 (개방 방향), 즉 덮개체를 개방 위치측을 향하여 회전 운동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출력 기어 (Gf) 에 작용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체를 개폐하기 위해 필요한 최대 토크를 작게 할 수 있어, 최대 토크가 작은 DC 모터 (2) 를 채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 (Sp 및 Sp') 이 출력 기어 (Gf) 에 장착되기 때문에, 출력 기어 (Gf) 및 감속 톱니바퀴열 (5) 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사용자가 덮개체를 갑자기 폐쇄한 경우에도, 스프링 (Sp 및 Sp') 의 탄성력이 역방향 (개방 방향) 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출력 기어 (Gf) 및 감속 톱니바퀴열 (5) 에 걸리는 부하를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 1 기어 (G1) ∼ 제 4 기어 (G4) 를 수지 등 저강도의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나, 모듈이나 톱니 폭을 작게 하여 제 1 기어 (G1) ∼ 제 4 기어 (G4) 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기어드 모터 (1) 는, 각도 센서 (150) 에 의해 특정되는 덮개체의 각도 위치, 구체적으로는 출력 기어 (Gf) 의 각도 위치에 기초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체의 수평 위치측, 즉 덮개체의 폐쇄 위치측의 각도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함으로써, 덮개체가 갑자기 쓰러지는 것이나,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덮개체의 폐쇄 위치측으로의 구동이 종료되지 않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덮개체의 각도 위치를 특히 폐쇄 위치측에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출력 기어 (Gf) 가 폐쇄 위치측의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에 있을 때,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센서 톱니바퀴의 장착과 덮개체 (출력 기어 (Gf)) 의 각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각도 센서의 장착을 설명한다. 도 18 은 센서 톱니바퀴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a) 는 도면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출력 기어 (Gf) 가 회전하면 덮개체가 전체 폐쇄 위치에서 전체 개방 위치로 구동되는 관계로 출력 기어 (Gf) 와 덮개체가 접속되는 기어드 모터 (1) 인 경우의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b) 는 도면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출력 기어 (Gf) 가 회전하면 덮개체가 전체 폐쇄 위치에서 전체 개방 위치로 구동되는 관계로 출력 기어 (Gf) 와 덮개체가 접속되는 기어드 모터 (1) 인 경우의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도 센서 (150) 는, 기판 (151) 상에 회전축 (138) 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저항체 (도시 생략) 와, 이 저항체의 표면을 슬라이딩하는 브러시 (도시 생략) 를 갖는 퍼텐쇼미터 (135) 를 구비하는 가변 저항이고, 센서 톱니바퀴 (137) 를 기판 (151) 의 하방에 위치시킴과 함께,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축 (138a) 이 기판 (151) 및 퍼텐쇼미터 (135) 를 관통하고 있다. 퍼텐쇼미터 (135) 는, 내부의 도시가 생략된 로터리부가 축 (138a) 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는, 센서 톱니바퀴 (137) 의 톱니수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의 톱니수와 근사되어 있다.
또한, 저항체의 일단에 접속된 단자와, 타단에 접속된 단자와, 가동부인 브러시에 접속된 단자의 3 개의 단자가, 배선 (W) 과 기판 (100) 의 배선 (100a ∼ 100c) 을 통하여, 로어 하우징 (70) 에 부설된 커넥터 (95) 의 단자 (95a ∼ 95c) 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저항체의 양단에 인가하는 전압의 극성을 전환시키기만 해도, 가동부에 접속된 단자로부터 취출되는 전압의 변화 방향을 반대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출력 기어 (Gf) 의 일방향의 회전 운동이 덮개체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시키는 경우와, 타방향의 회전 운동이 덮개체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를 향하여 회전 운동시키는 경우의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전압의 극성을 전환시키기만 해도 출력 신호가 동일해지므로, 각도 센서 (150) 를 공통으로 채용할 수 있다.
도면 중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출력 기어 (Gf) 가 회전 운동하면 덮개체가 전체 폐쇄 위치에서 전체 개방 위치로 구동되는 관계로 출력 기어 (Gf) 와 덮개체가 접속되는 경우,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장착하기 전에는, 출력 기어 (Gf) 는 스프링 (Sp) 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각도 위치 (스프링 장착 위치) 에 형성되어 있다 (도 18 의 (a) 참조). 이 상태에서, 출력 기어 (Gf) 를 시계 회전 방향 (덮개체를 폐쇄하는 방향) 으로 회전 운동시켜,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가 로어 하우징 (70) 의 규제 블록 (801) 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 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으므로, 출력 기어 (Gf) 에는, 당해 기어 (Gf) 를 반시계 회전 방향 (덮개체를 개방하는 방향) 으로 회전 운동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스프링 (Sp) 으로부터 작용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이 스토퍼부 (257) 를 규제 블록 (801) 에 맞닿게 한 위치가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장착 위치 (센서 장착 위치) 가 되고 있으며, 이 상태에 있어서,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어퍼 하우징 (30) 의 삽입 통과공 (55) 을 삽입 통과시켜, 삽입 통과공 (55) 내에 위치하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에 맞물리게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장착 위치로부터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위치가 덮개체의 전체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체 폐쇄 위치로부터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대략 120 °회전 운동시킨 각도 위치가 덮개체의 전체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가 되고 있다.
또, 도면 중 시계 회전 방향으로 출력 기어 (Gf) 가 회전하면 덮개체가 전체 폐쇄 위치에서 전체 개방 위치로 구동되는 관계로 출력 기어 (Gf) 와 덮개체가 접속되는 경우,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장착하기 전에는, 출력 기어 (Gf) 는 스프링 (Sp) 의 탄성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각도 위치 (스프링 장착 위치) 에 형성되어 있다 (도 18 의 (b) 참조). 이 상태에서, 출력 기어 (Gf) 를 반시계 회전 방향 (덮개체를 폐쇄하는 방향) 으로 회전 운동시켜,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가 로어 하우징 (70) 의 규제 블록 (802) 에 맞닿을 때까지 회전 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으므로, 출력 기어 (Gf) 에는, 당해 출력 기어 (Gf) 를 시계 회전 방향 (덮개체를 개방하는 방향) 으로 회전 운동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스프링 (Sp) 으로부터 작용하고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이 스토퍼부 (257) 를 규제 블록 (802) 에 맞닿게 한 위치가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장착 위치 (센서 장착 위치) 가 되고 있으며, 이 상태에 있어서,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어퍼 하우징 (30) 의 삽입 통과공 (55) 을 삽입 통과시켜, 삽입 통과공 (55) 내에 위치하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에 맞물리게 한다. 또한, 이 장착 위치로부터 시계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시킨 위치가 덮개체의 전체 폐쇄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가 되고 있다. 그리고, 이 전체 폐쇄 위치로부터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대략 120 °회전 운동시킨 각도 위치가 덮개체의 전체 개방 위치에 대응하는 각도 위치가 되고 있다.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이 전체 폐쇄 위치와 전체 개방 위치 사이의 각도 범위가 출력 기어 (Gf) 의 회전 운동 범위 (사용 범위) 로서 설정되어 있고, 덮개체의 회전 운동 구동에 있어서,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와 규제 블록 (801) 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의 기어드 모터 (1) 에서는, 출력 기어 (Gf) 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선 (Xa) 을 통과하여 케이스 (7) 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Ln) 을 경계로 하여 후방측에 감속 톱니바퀴열 (5) 이나 걸림홈 (65a, 65b) 이 배치된 구성을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 (7) 의 반원형을 이루는 전단부의 직경이 출력 기어 (Gf) 의 직경에 따른 직경으로 되어 있고, 후방측의 폭이 감속 톱니바퀴열 (5) 의 배치에 따른 폭으로 되어 있다. 또, 전단부의 반원형은 출력 기어 (Gf) 와 동심원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로어 하우징 (70) 의 측벽부 (721) 의 내주가, 출력 기어 (Gf) 의 톱니부 (251a) 와 일정한 클리어런스를 갖고 대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기어드 모터 (1) 의 덮개체의 회전축과의 연결 부분인 케이스 (7) 의 전방측의 사이즈 (덮개체의 회전축에서 전방, 우방, 좌방의 단부까지의 사이즈) 가 억제되고 있으므로, 기어드 모터 (1) 를 덮개체측의 장치에 장착하였을 때, 기어드 모터의 본체가 장치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장치의 외관을 해치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센서 톱니바퀴 (137) 의 장착이 완료되면, 어퍼 하우징 (30) 의 기어 관통공 (61) (도 7 참조) 에 제 1 기어 (G1) 의 소경 톱니바퀴 (91b) 를 삽입 통과시키고, 소경 톱니바퀴 (91b) 를 제 2 기어 (G2) 의 대경 톱니바퀴 (92a) 에, 대경 톱니바퀴 (92a) 를 피니언 기어 (90) 에 각각 맞물리게 한다. 제 1 기어 (G1) 가 장착되기 전의 단계에서는, 출력 기어 (Gf) 와 DC 모터 (2) 가 감속 톱니바퀴열 (5) 을 개재하여 직접 접속되어 있지 않으므로, 출력 기어 (Gf) 의 위치 결정과, 출력 기어 (Gf) 의 각도 위치와 센서 톱니바퀴 (137) 의 각도 위치의 대응의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도 센서 (150) 의 다른 부품의 장착이 실시된다. 기판 (151) 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틀도어상의 평면형을 갖고, 세폭 (細幅) 의 전단부에 핀공 (152) 을, 광폭 (廣幅) 의 후단부에 2 개의 핀공 (153, 134) 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기판 (151) 의 핀공 (152, 133, 134) 에 제 1 지지대 (49) 의 핀 (50) 과 제 2 지지대 (51) 의 핀 (52, 53) 을 각각 삽입 통과시켜, 각도 센서 (150) 의 장착을 실시한다 (도 6, 도 7 참조). 또, 커버 (10) (도 5 참조) 의 누름 보스 (19) 는 제 2 지지대 (51) 의 핀 (52, 53) 에 대응하여 설정되고, 핀 (52, 53) 이 삽입될 수 있는 구멍을 갖고 있으며, 누름 보스 (18) 는 제 1 지지대 (49) 의 핀 (50) 의 후측 근접 위치에 설정되어 있다.
기판 (151) 은, 제 1 지지대 (49) 및 제 2 지지대 (51) 의 상면에 착좌함과 함께, 커버 (10) 의 누름 보스 (18, 19) 에 의해 눌러져 위치 고정된다. 그리고,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의 지지 보스 (20, 56) 에 지지된 센서 톱니바퀴 (137) 가 회전하면, 퍼텐쇼미터 (135) 가 그 회전 각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신호가 퍼텐쇼미터 (135) 로부터 연장되는 배선 (W) 을 통하여 출력된다.
또한, 퍼텐쇼미터 (135) 는 검출 가능한 절대 각도 범위가 1 회전 (360 °) 내로 한정되어 있으므로, 출력 기어 (Gf) 가 그 최대 회전 각도까지 회전하였을 때 출력 기어 (Gf) 로부터 제 4 기어 (G4) 를 거쳐 센서 톱니바퀴 (137) 에 이르는 동안의 증속비에 의한 센서 톱니바퀴 (137) 의 회전 각도가 360 °미만이 되도록, 각각의 톱니수가 설정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톱니바퀴 (137) 는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의 하면을 스칠듯이 회전하고, 삽입 통과공 (55) 내로 외주의 일부가 돌출되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와 맞물려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각도 센서 (150) 가 퍼텐쇼미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덮개체의 중량이나 형상을 설계 변경한 경우 등에도, 모터의 제어를 변화시키는 출력 기어 (Gf) 의 각도 설정의 자유도가 높다.
센서 톱니바퀴 (137) 는, 축 방향 가장 가까이에서 축 (138b) 이 지지 보스 (56) 에 지지되고,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의 센서 톱니바퀴 (137) 와의 맞물림부는, 그 제 1 지지축 (S1) 을 지지하는 지지 보스 (64) 가장 가까이의 상단이고, 어느 지지 보스 (56, 64) 도 동일한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그 축간 거리는, 복수 부재의 오차의 누적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감속 톱니바퀴열 (5) 에 제동을 걸지 않는 범위에서 톱니 간의 백래시가 최대한 작아지도록 설정된 적정값으로 안정적으로 고정밀도로 유지된다.
또한, 센서 톱니바퀴 (137) 는 제 4 기어 (G4) 의 소경 톱니바퀴 (94b) 와 톱니수가 근사하게 소경으로 되어 있고, 축간 거리가 작으므로, 이 점에서도 백래시가 작다. 출력 기어 (Gf) 와 제 4 기어 (G4) 도 각각의 지지축이 공통의 어퍼 하우징과 로어 하우징에 지지되고 축간 거리의 정밀도가 높으므로, 백래시도 작고, 그 결과, DC 모터 (2) 로 브레이크를 거는 덮개체의 평복 (平伏) 부근에 대응하는 출력 기어 (Gf) 의 회전 위치의 각도 센서 (150) 에 의한 검출에도 고정밀도가 얻어진다.
각도 센서 (150) 의 장착이 완료되면, 커버 (10) 의 어퍼 하우징 (30) 으로의 재치가 실시된다. 먼저, 커버 (10) 의 위치 결정 핀 (171) 과 보스 (161) 를 위치 결정공 (39a, 37a) 에 위치 맞춤하면서 (도 21 의 (b), 도 20 의 (b) 참조), 커버 (10) 를 어퍼 하우징 (30) 의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에 중첩시킨다. 그 동안에 제 1 기어 (G1) 의 제 1 지지축 (S1) 의 상단이 상벽부 (11) 의 대응하는 축공 (21) 에 끼워진다 (도 3 참조).
커버 (10) 가 어퍼 하우징 (30) 에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는, 로어 하우징 (70) 의 돌편부 (725) 로 닫혀진 잔부인 상반부가 커버 (10) 의 돌편부 (125) 로 닫혀진다 (도 22 의 (b) 참조). 커버 (10) 가 어퍼 하우징 (30) 에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 호상 벽부 (132) 가 노치 오목부 (310b) 에 끼워져 호상 벽부 (132) 의 바닥벽 (131) 의 하면이 노치 오목부 (310b) 의 바닥벽 (35) 의 상면에 착좌하고 (도 20 의 (a) 참조), 커버 (10) 의 플랜지부 (14) 는 어퍼 하우징 (30) 의 플랜지 수용부 (36) 에 착좌한다 (도 20 의 (b) 참조). 또, 위치 결정공 (37a) 에 삽입된 보스 (161) 의 바닥벽의 하면은 위치 결정 보스 (37) 의 격벽 (371) 의 상면에 착좌한다 (도 21 의 (a) 참조).
호상 벽부 (132) 의 바닥벽 (131) 의 관통공 (131a) 은 노치 오목부 (310b) 의 바닥벽 (35) 의 관통공 (35a) 에 정렬되어 있으므로 (도 20 의 (a) 참조), 이들을 관통하여 상방으로부터 나사 (8) 를 로어 하우징 (70) 의 고정용 보스 (861, 862) 의 나사공 (861a, 862a) 에 비틀어 넣는다. 플랜지부 (14) 의 관통공 (14a) 은 플랜지 수용부 (36) 의 관통공 (36a) 에 정렬되어 있으므로 (도 20 의 (b) 참조), 이들을 관통하여 상방으로부터 나사 (8) 를 로어 하우징의 플랜지부 (89) 의 나사공 (89a) 에 비틀어 넣는다. 보스 (161) 의 관통공 (16a) 은, 위치 결정 보스 (37) 의 격벽 (371) 의 관통공 (371a) 에 정렬되어 있으므로 (도 21 의 (a) 참조), 이들을 관통하여 상방으로부터 나사 (8) 를 로어 하우징 (70) 의 칼럼 (88) 의 나사공 (88a) 에 비틀어 넣는다. 이로써, 커버 (10), 어퍼 하우징 (30) 및 로어 하우징 (70) 은 대략 사각형부의 4 구석의 나사 체결부에 있어서 결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나사 체결부란 커버 (10) 에 있어서 관통공 (14a, 16a, 131a) 둘레 (도 5 참조) 를 가리키며, 이것에 대응하는 어퍼 하우징 (30) 의 관통공 (35a, 36a, 371a) (도 6 참조) 및 로어 하우징 (70) 의 나사공 (88a, 89a, 861a, 862a) 둘레 (도 13 참조) 도 동일하게 나사 체결부가 된다. 상기 서술한 관통공 (14a, 16a, 131a) 으로부터 나사공 (88a, 89a, 861a, 862a) 에 나사 (8) 를 비틀어 넣음으로써, 커버 (10), 어퍼 하우징 (30) 및 로어 하우징 (70) 은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 의 4 구석의 나사 체결부에 있어서 결합된다. 또한, 나사 (8) 로서 태핑 나사를 사용할 때에는, 나사공 (88a, 89a, 861a, 862b) 은 나사홈을 갖지 않는 하공 (下孔) 의 형태여도 된다.
나사 (8) 의 헤드가 착좌하는 커버 (10) 의 호상 벽부 (132) 의 바닥벽 (131), 및 어퍼 하우징 (30) 의 바닥벽 (35) 의 높이 위치는, 호상 벽부 (351) 를 스프링의 변위 규제 겸용을 위해 길게 함으로써 약간 낮지만 (도 20 의 (a) 참조), 어퍼 하우징 (30) 의 플랜지 수용부 (36) 및 수용공 (16b) 의 바닥벽 (16c) 과 동일 레벨에 있으며 (도 21 의 (a) 참조), 어퍼 하우징 (30) 의 각 나사 체결부의 두께도 큰 상이가 없으므로, 4 개의 나사는 길이가 동일한 1 종이어도 된다.
나사 체결부에 있어서의 각 장착공 및 나사공 둘레는 모두 상당 면적을 확보함과 함께 후육으로 되어 있으므로, 나사의 체결력을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케이스의 각 부재에 일체 성형된 탄성 파스너에 의한 걸어맞춤과 비교하여, 축 방향은 물론이거니와 수평 방향으로도 높은 결합 강도가 얻어진다.
커버 (10) 는, DC 모터 (2) 의 피니언 기어 (90) 와 어퍼 하우징 (30) 의 베이스 (33) 의 상면측에서 맞물리는 제 1 기어 (G1) 의 제 1 지지축 (S1) 을 지지함과 함께, 동일하게 베이스 (33) 의 상면측에 배치된 이 각도 센서 (150) 를 물로부터 방어한다. 또한, 커버 (10) 의 측벽부 (12 (122 ∼ 124)) 에는 그 하측 가장자리를 따라 단부 (122a ∼ 124a) 를 형성함과 함께, 어퍼 하우징 (30) 에는 베이스 (33) 상에 단부 (122a ∼ 124a) 에 대응시킨 플랜지 (342 ∼ 345)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측벽부 (12) 의 하단 가장자리를 베이스 (33) 에 맞닿게 하여 커버 (10) 를 어퍼 하우징 (30) 에 중첩시켰을 때, 단부 (122a ∼ 124a) 에 플랜지 (342 ∼ 345) 가 끼워진다. 요컨대, 측벽부 (12 (122 ∼ 124)) 가 플랜지 (342 ∼ 345) 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끼워 맞춰져,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이 위치 결정된다. 이 때문에,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의 맞댐면으로부터 물이 침입하려고 해도, 플랜지 (342 ∼ 345) 가 장벽이 되어 침입이 저감되고, 직접 내부의 각도 센서 (150) 에 이르는 것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또한, 플랜지에 중단 지점이 있어도 각도 센서의 배치 부위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므로, 영향은 없다.
커버 (10) 와 어퍼 하우징 (30) 과 로어 하우징 (70) 이 장착되면, 어퍼 하우징 (30) 의 노치 (42) 의 측벽부 (322) 측의 개구가 커버 (10) 의 돌편부 (125) 와 로어 하우징 (70) 의 돌편부 (725) 에 의해 막히므로, 케이스 (7) 의 측방에 노치 (42) 에서 기인하는 개구가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이상의 구성이 되는 감속 톱니바퀴열 (5) 에 의해, DC 모터 (2) 의 회전은 감속되어 출력 기어 (Gf) 에 전달되고, 출력 부재 (200, 210) 를 덮개체의 예를 들어 지축에 연결함으로써, 덮개체를 대략 수평 위치 (도 18 의 (a), (b) 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 (Gf) 의 전체 폐쇄 위치) 로부터 90 °를 초과하는 소정 위치 (대략 120 °의 개방 위치 : 도 18 의 (a), (b) 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 (Gf) 의 전체 개방 위치) 까지 구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DC 모터는 덮개체의 평복 상태의 대략 수평에서 기립의 대략 120 °까지의 사이를 개방 방향 및 폐쇄 방향으로 구동시킴과 함께, 폐쇄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수평이 되는 앞에서는 역토크에 의해 브레이크를 걸어 감속되도록 제어된다. 또 제 2 기어 (G2) 에 소정 이상의 토크가 가해졌을 때에 대경 톱니바퀴 (92a) 와 소경 톱니바퀴 (92b) 사이에서 상대 회전하는 토크 리미터 (T) 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DC 모터 (2) 의 정지 상태에서 덮개체를 갑자기 개폐하거나, DC 모터 (2) 에 의한 구동 방향과 역방향으로 덮개체를 개폐한 경우에도, DC 모터 (2) 나 각 기어, 그 지지축 혹은 지지 보스 등에 과대한 힘이 가해지는 것에 따른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토크 리미터 (T) 는 감속 톱니바퀴열 (5) 을 구성하는 기어 중 하나에 형성되어 있으며 되며, 제 2 기어 (G2) 에 형성된 구성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스프링 (Sp) 은 단면 원형의 선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권회한 기부와, 이 기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에서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일단부 (Sp1) 와,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타단에서 축 방향 (길이 방향) 으로 연장되는 타단부 (Sp2) 를 갖고 있고, 기부에 있어서의 권취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출력 기어 (Gf) 가 축선 (Xa) 둘레에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과, 타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써, 일단부 (Sp1) 의 걸림홈 (65a (65b)) 측의 하측 가장자리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호상을 이루므로, 이 호상의 부분이 가이드편 (46 (461 ∼ 465)) 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킬 때, 일단부 (Sp1) 가 걸림홈 (65a (65b)) 내로 유도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에서는, DC 모터 (2) 가 발명에 있어서의 모터에 상당하고, 출력 기어 (Gf) 가 발명에 있어서의 출력축에 상당하고, 로어 하우징 (70) 이 발명에 있어서의 제 1 케이스에 상당하고, 어퍼 하우징 (30) 이 발명에 있어서의 제 2 케이스에 상당하고, 케이스 (7) 가 발명에 있어서의 본체 케이스에 상당하고, 스프링 (Sp) 이 발명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에 상당하고,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이 발명에 있어서의 회전축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형태에서는, DC 모터 (2) 와, 출력 기어 (Gf) (출력축) 와, DC 모터 (2) 의 출력 회전을 출력 기어 (Gf) 에 전달하는 감속 톱니바퀴열 (5) 이, 로어 하우징 (70) (제 1 케이스) 과 어퍼 하우징 (30) (제 2 케이스) 을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방향으로 중첩시켜 구성되는 케이스 (7) 내에 형성되어 있고, 출력 기어 (Gf) 에 장착된 스프링 (Sp) (코일 스프링) 에 의해, 출력 기어 (Gf) 에 당해 출력 기어 (Gf) 를 축선 (Xa) (회전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기어드 모터 (1) 로서, 스프링 (Sp) 은, 코일상의 기부의 일단에서 축선 (Xa) 방향으로 연장되는 타단부 (Sp2) (축 방향 걸어맞춤부) 와, 기부의 타단에서 축선 (Xa)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일단부 (Sp1)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 를 갖고 있고, 타단부 (Sp2) 는 어퍼 하우징 (30) 측으로부터 출력 기어 (Gf) 에 걸어 맞춰져 있고, 일단부 (Sp1) 는 어퍼 하우징 (30) 에 형성된 걸림홈 (65a (65b)) 에 걸려 스프링 (Sp) 을 회전 정지시키고 있고, 걸림홈 (65a (65b)) 은 로어 하우징 (70) 측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는 구성의 기어드 모터 (1) 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로어 하우징 (70) 에 지지시킨 출력 기어 (Gf) 에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를 걸어 장착한 후,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측에 중첩시키면, 어퍼 하우징 (30) 의 걸림홈 (65a (65b)) 이 로어 하우징 (70) 측에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가 어퍼 하우징 (30) 에 형성된 걸림홈 (65a (65b)) 에 축선 (Xa) 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걸린다. 종래의 경우와 같이, 일단부 (Sp1) 를 케이스측의 돌출 보스에 그 직경 방향으로부터 거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케이스 (7) 의 장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기어드 모터 (1) 는, 출력 기어 (Gf) 에 출력 부재 (200, 210) 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덮개체를 수평축 둘레 (출력축 둘레) 에 회전 운동시켜, 덮개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왕복동시킬 수 있는 기어드 모터이고, 스프링 (Sp) 은, 덮개체를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출력 기어 (Gf) 에 작용시키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덮개체를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를 향하여 구동시킬 때에 DC 모터 (2) 에 작용하는 부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출력 기어 (Gf) 는 스프링 (Sp) 의 타단부 (Sp2) 가 걸어 맞춰지는 스프링 지지공 (257a) (걸어맞춤공) 을 갖고 있고, 스프링 지지공 (257a) 과 걸림홈 (65a (65b)) 의 축선 (Xa) 둘레의 위상차 (θ) 는,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의 축선 (Xa) 방향에서 본 타단부 (Sp2) 와 일단부 (Sp1) 의 위상차 (θ) 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을 때에는,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측에는, 당해 일단부 (Sp1) 를 축선 (Xa) 둘레에 회전 운동시켜, 감아 조임이 없는 형상으로 복귀하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 때문에,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을 때, 로어 하우징 (70) 을 어퍼 하우징 (30) 에 중첩시키는 경우에는, 어떠한 수단으로 축선 (Xa) 둘레의 일단부 (Sp1) 의 위치를 유지하면서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킬 필요가 있다. 스프링 (Sp) 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을 때에는, 축선 (Xa) 둘레의 일단부 (Sp1) 와 타단부 (Sp2) 의 위치 관계가 변화하지 않으므로, 이 때의 위치에 대응시켜 걸림홈 (65a (65b)) 을 형성해 둠으로써,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간단하게 중첩시킬 수 있다.
스프링 (Sp) 은, 덮개체가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 (출력 기어 (Gf) 가 도 18 에 있어서 스프링 장착 위치) 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가 되고, 덮개체가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의 구동 범위 내 (도 18 에 있어서의 출력 기어 (Gf) 의 사용 범위 내) 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감아 조여져, 덮개체를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 운동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출력 기어 (Gf) 에 작용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덮개체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사용 범위 내 (출력 기어 (Gf) 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의 사용 범위 내) 에서는, 덮개체를 회전 운동시키려고 하는 탄성력이 항상 작용하게 되므로, 개방 위치에 있는 덮개체가 폐쇄 위치 지측으로 쓰러지는 것이 바람직하게 방지된다.
걸림홈 (65a (65b)) 은 축선 (Xa) 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선 (Xa)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걸림홈 (65a (65b)) 의 양측에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걸림홈 (65a (65b)) 의 중심측을 향하는 경사면 (651) (테이퍼) 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축선 (Xa) 둘레의 둘레 방향에서, 걸림홈 (65a (65b)) 과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의 위치가 다소 어긋나 있어도,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켰을 때에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가 경사면 (651) 에 의해 걸림홈 (65a (65b)) 내로 유도되므로,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킬 때, 이러한 조작에 지장을 발생시키지 않고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와 타단부 (Sp2) 를 미리 설정된 소정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케이스 (7) 의 장착 용이성이 더욱 향상된다.
어퍼 하우징 (30) 은, 출력 기어 (Gf) 의 어퍼 하우징 (30) 측의 축부 (256)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지지벽 (45) (지지벽부) 과, 어퍼 하우징 (30)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기어 지지벽 (45) 을 소정 간격으로 둘러쌈과 함께, 기어 지지벽 (45) 과의 사이에 상기 스프링 (Sp) 의 기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둘레벽부 (311) (둘레벽) 와, 둘레벽부 (311) 의 내주에서 기어 지지벽 (45)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스프링 (Sp) 의 기부를 기어 지지벽 (45) 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 (가이드편 (461 ∼ 465), 호상 벽부 (351)) 를 갖고 있고, 가이드는 축선 (Xa) 의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편 (46 (461 ∼ 465)) 과 호상 벽부 (351) 의 각각에는, 로어 하우징 (70) 측의 단부에 기어 지지벽 (45) 측을 향하는 경사면 (461a ∼ 465a, 351a) 이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키기 위해 로어 하우징 (70) 에 접근시켰을 때, 스프링 (Sp) 의 기부가 가이드편 (46 (461 ∼ 465)) 의 경사면 (461a ∼ 465a) 과 호상 벽부 (351) 의 경사면 (351a) 에 의해 기어 지지벽 (45) 측으로 유도된 후, 기어 지지벽 (45) 의 외측의 소정 위치에 위치 결정되므로, 스프링 (Sp) 의 장착성이 개선된다.
축선 (Xa) 방향에 있어서 가이드편 (46 (461 ∼ 465))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은 걸림홈 (65a (65b)) 보다 로어 하우징 (70) 측에 위치하고 있고, 호상 벽부 (351) 는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걸림홈 (65a (65b)) 의 일측으로부터 연속하여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킬 때에, 코일 스프링의 일단부 (Sp1) 가 걸림홈 (65a (65b)) 의 일측으로부터 연속하여 로어 하우징 (70) 측으로 연장되는 호상 벽부 (351) 를 따라 이동하여 걸림홈 (65a (65b)) 내로 유도되므로, 스프링 (Sp) 의 장착성이 개선된다.
로어 하우징 (70) 은, 출력 기어 (Gf)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축부 (255) 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지지부 (79) 를 가짐과 함께, 이 기어 지지부 (79) 의 내경측에 어퍼 하우징 (30) 과는 반대측에 개구되는 개구 (71d1) 가 형성되어 있고, 출력 기어 (Gf) 의 로어 하우징 (70) 측의 축부 (255) 에는 끼워맞춤공 (256c) 이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공 (256c) 은 로어 하우징 (70) 의 개구 (71d1) 내에서 개구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출력 기어 (Gf) 의 끼워맞춤공 (256c) 이 로어 하우징 (70) 의 어퍼 하우징 (30) 과는 반대측에 개구되어 있으므로,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킨 후에도, 끼워맞춤공 (256c) 에 출력 기어 (Gf) 의 위치 결정용 공구를 끼워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어퍼 하우징 (30) 을 로어 하우징 (70) 에 중첩시킨 후에도, 출력 기어 (Gf) 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스프링 (Sp) 에는, 상기 출력 기어가 축선 (Xa)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감아 조여지는 제 1 스프링 (Sp) 과,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감아 조여지는 제 2 스프링 (Sp') 이 있고, 걸림홈 (65a (65b)) 은, 제 1 스프링의 상기 일단부 (Sp1) 가 걸리는 제 1 걸림홈 (65a) 과, 상기 제 2 스프링의 상기 일단부 (Sp1) 가 걸리는 제 2 걸림홈 (65b) 이 있으며, 어퍼 하우징 (30) 에 있어서 제 1 걸림홈 (65a) 과 제 2 걸림홈 (65b) 은, 출력 기어 (Gf) 의 축선 (Xa) (회전 중심) 을 통과하는 선분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구성으로 하였다.
제 1 스프링 (Sp) 과 제 2 스프링 (Sp') 은 권취 방향이 상이할 뿐, 축선 (Xa) 방향에서 본 타단부 (Sp2) 와 일단부 (Sp1) 의 위상차 (θ) 는 동일하다. 그 때문에, 출력 기어 (Gf) 의 회전 중심 (축선 (Xa)) 을 통과하는 선분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 관계로 제 1 걸림홈 (65a) 과 제 2 걸림홈 (65b) 을 형성함으로써, 제 1 스프링 (Sp) 과 제 2 스프링 (Sp') 중 어느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어퍼 하우징 (30) 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스프링 (Sp) 의 기부는 단면 원형의 선상 부재를 나선상으로 감아 구성되고, 스프링 (Sp) 의 일단부 (Sp1) 와 타단부 (Sp2) 의 단면 형상도 원형인 구성으로 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일단부 (Sp1) 의 걸림홈 (65a (65b)) 측의 하측 가장자리가 단면에서 보았을 때에 호상을 이루므로, 이 호상의 부분이 가이드편 (46 (461 ∼ 465)) 으로서 기능한다. 그 때문에, 로어 하우징 (70) 에 어퍼 하우징 (30) 을 중첩시킬 때, 일단부 (Sp1) 가 걸림홈 (65a (65b)) 내로 유도되기 쉬워진다.
또한, 실시형태에서는 모터를 DC 모터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어 목적에 따라 스테핑 모터나 그 밖에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또, 감속 톱니바퀴열 (5) 은 DC 모터 (2) 의 피니언 기어 (90) 와 출력 기어 (Gf) 사이에 제 1 기어 (G1) 내지 제 4 기어 (G4) 를 구비하여 5 단의 감속 기구를 형성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단수를 선택할 수 있다.
센서 톱니바퀴 (137) 와 맞물리는 참조 기어를 출력 기어 (Gf) 와 맞물리는 제 4 기어 (G4) 로 하였지만, 제 3 기어 (G3) 등 추가로 전단의 기어를 참조 기어로 하여 센서 톱니바퀴 (137) 를 맞물리게 해도 된다. 단, 출력 기어 (Gf) 에서 센서 톱니바퀴 (137) 까지의 누적 백래시가 보다 작은 점에서, 참조 기어는 출력 기어 (Gf) 와 맞물리는 최종 단의 제 4 기어 (G4) 로 한 실시형태가 유리하다. 또, 실시형태에서는 지축으로서의 축 (138b) 은 센서 톱니바퀴 (137) 와 일체의 회전축, 제 4 지지축 (S4) 은 제 4 기어 (G4) 와 별체의 고정축, 그리고 출력 부재 (200) 는 출력 기어 (Gf) 와 일체로 지지 보스에 대하여 회전하는 회전축으로 하였지만, 지축은 회전축인지 고정축인지에 상관없이 동일 부재에 직접 유지되어 있으면 된다.
각도 센서 (150) 의 기판 (151) 은 강성의 것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플렉시블 기판이어도 된다. 실시형태는 서양식 변기의 변기 시트나 변기 덮개 및 상면에 덮개가 형성된 세탁기 등, 덮개체의 개폐 구동용 기어드 모터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냉장고의 문, 그 밖의 용도의 기어드 모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어 (G1) 를 장착하기 전에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제 4 기어에 맞물리게 하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이것은, 제 1 기어 (G1) 가 장착되어 있으면, 출력 기어 (Gf) 와 DC 모터 (2) 가 감속 톱니바퀴열 (5) 을 개재하여 직접 접속되어 있어, 출력 기어 (Gf) 를, 당해 출력 기어 (Gf) 의 스토퍼부 (257) 를 규제 블록 (801) (또는 규제 블록 (802)) 에 맞닿게 한 센서 장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키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 1 기어 (G1) 를 장착하고, 출력 기어 (Gf) 와 DC 모터 (2) 를 감속 톱니바퀴열 (5) 을 개재하여 직접 접속시킨 후,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이러한 경우, DC 모터 (2) 에 의해 출력 기어 (Gf) 를 센서 장착 위치까지 회전 운동시킨 후에 센서 톱니바퀴 (137) 를 장착함으로써, 센서 톱니바퀴 (137) 를 미리 결정된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장착할 수 있다.
1 : 기어드 모터
2 : DC 모터
2a : 상단부
3 : 모터축
5 : 감속 톱니바퀴열
7 : 케이스
8 : 나사
9 : 나사
10 : 커버
10a : 경사면
11 : 상벽부
11a : 노치 오목부
11b : 커넥터 회피부
11b1 : 모서리부
12 (121, 122, 123, 124) : 측벽부
122a ∼ 124a : 단부
125 : 돌편부
125a : 단부
13 : 장착부
131 : 바닥벽
131a : 관통공
132 : 호상 벽부
14 : 플랜지부
14a : 관통공
15 : 회피공
16 : 원통벽
16a : 관통공
16b : 수용공
16c : 바닥벽
161 : 보스 (소경부)
162 : 대경부
17 : 보스부
171 : 위치 결정 핀
172 : 기부
18 : 누름 보스
19 : 누름 보스
20 : 지지 보스
20a : 축공
21 : 축공
25 : 접속 단자
30 : 어퍼 하우징
31 : 헤드부
310 : 상벽부
310a : 하면
310b : 노치 오목부
311 : 둘레벽부
32 : 감속 톱니바퀴열 탑재부
322 ∼ 325 : 측벽부
324a : 내주면
33 : 베이스
331 : 오목부
332 : 오목부
334 : 개구
335 : 오목부
336 : 배선 수용부
342 ∼ 345 : 플랜지
342a, 342b : 플랜지
35 : 바닥벽
35a : 관통공
351 : 호상 벽부
351a : 경사면
36 : 플랜지 수용부
36a : 관통공
37 : 위치 결정 보스
37a : 위치 결정공
37b : 위치 결정공
371 : 격벽
371a : 관통공
38 : 커넥터 회피부
39 : 위치 결정 보스
39a : 위치 결정공
40a : 모터 장착공
40b : 모터 장착공
41 : 모터 축공
42 : 노치
421 : 벽부
43 : 플랜지
431 ∼ 434 : 플랜지
432a, 433a, 434a : 플랜지
45 : 기어 지지벽
45a : 외주면
46 (461 ∼ 465) : 가이드편
461a : 경사면
461b : 내경단
47 (471 ∼ 478) : 리브
49 : 제 1 지지대
50 : 핀
51 : 제 2 지지대
52 : 핀
55 : 삽입 통과공
56 : 지지 보스
56a : 축공
57 : 팽출부
61 : 기어 관통공
62 : 지지 보스
62a : 축공
63 : 지지 보스
63a : 축공
64 : 지지 보스
64a : 축공
65 : 스프링 지지부
65a : 걸림홈
65b : 걸림홈
651 : 경사면
67 : 리브
70 : 로어 하우징
71 : 바닥벽
71a ∼ 71d : 오목부
71d1 : 개구
71e : 외주
72 (721 ∼ 724) : 측벽부
721a ∼ 725a : 단부
722b, 723b : 노치부
724b : 리브
725 : 돌편부
78 : 위치 규제부
79 : 기어 지지부
79b : 노치부
791 ∼ 796 : 리브
81 : 지지 보스
81a : 축공
82 : 지지 보스
82a : 축공
83 : 지지 보스
83a : 축공
84 : 지지 보스
84a : 축공
87 : 위치 결정부
87a : 위치 결정 핀
87b : 위치 결정공
88 : 칼럼
88a : 나사공
89 : 플랜지부
89a : 나사공
90 : 피니언 기어
G1 : 제 1 기어
91a : 대경 톱니바퀴
91b : 소경 톱니바퀴
91c : 삽입 통과공
92a1 : 톱니부
92b1 : 톱니부
G2 : 제 2 기어
92a : 대경 톱니바퀴
92b : 소경 톱니바퀴
92c : 삽입 통과공
921 : 기부
922 : 캠면
925 : 기부
926 : 아암
927 : 걸기부
928 : 축부
G3 : 제 3 기어
93a : 대경 톱니바퀴
93b : 소경 톱니바퀴
93c : 삽입 통과공
G4 : 제 4 기어
94a : 대경 톱니바퀴
94b : 소경 톱니바퀴
94c : 삽입 통과공
95 : 커넥터
95a : 단자
100 : 기판
100a ∼ 100d : 배선
135 : 퍼텐쇼미터
137 : 센서 톱니바퀴
138 : 회전축
138a : 축
138b : 축
150 : 각도 센서
151 : 기판
152 : 핀공
153 : 핀공
200 : 출력 부재
201 : 끼워맞춤부
210 : 출력 부재
Gf : 출력 기어
250 : 축부
251 : 통상부
251a : 톱니부
253 : 접속벽
254 : 보강벽
255 : 축부
255a : 이면폭
255b : 키 홈
256 : 축부
256a : 이면폭
256b : 키 홈
257 : 스토퍼부
257a : 스프링 지지공
257b : 라이트닝공
257c : 호상 외주면
257d : 호상 내주면
257e : 맞닿음면
801, 802 : 규제 블록
801a, 802a : 스토퍼면
861, 862 : 고정용 보스
861a, 862a : 나사공
S1 ∼ S4 : 제 1 지지축 ∼ 제 4 지지축
Sp, Sp' : 스프링
Sp1 : 일단부
Sp2 : 타단부
St : 간극 (기어 수용실)
Su : 공간 (커버측 공간)
Sd : 공간 (로어 하우징측 공간)
T : 토크 리미터
T1 ∼ T4 : 영역
W2 : 후육
W : 배선
X1 ∼ X4, Xa : 축선

Claims (18)

  1. 모터와, 출력축과, 상기 모터의 출력 회전을 상기 출력축에 전달하는 감속 톱니바퀴열이, 제 1 케이스와 제 2 케이스를 상기 출력축의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시켜 구성되는 본체 케이스 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상기 출력축에 당해 출력축을 회전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탄성력이 작용하는 기어드 모터로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코일상의 기부 (基部) 의 일단에서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상기 기부의 타단에서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를 갖고 있고,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측으로부터 상기 출력축에 걸어 맞춰져 있고,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려 상기 코일 스프링을 회전 정지시키고 있고, 상기 걸림홈은, 상기 제 1 케이스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제 2 케이스측의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벽부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부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쌈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주에서 상기 지지벽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부를 상기 지지벽부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의 각각에는,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단부 (端部) 에 상기 지지벽부측을 향하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는,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덮개체를 수평축 둘레에 회전 운동시켜, 상기 덮개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왕복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이고,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덮개체를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상기 출력축에 작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공을 갖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걸림홈의 상기 회전축 둘레의 위상차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본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의 위상차와 동일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스프링은, 상기 덮개체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체가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의 구동 범위 내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감아 조여져, 상기 탄성력이 상기 출력축에 작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회전축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기 회전축 둘레의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홈의 양측에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걸림홈의 중심측을 향하는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회전축 둘레의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상기 출력축의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시켰을 때, 상기 덮개체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 걸어 맞추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공을 갖는 스프링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스프링 유지부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상기 스프링 지지공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상기 제 1 케이스측은, 상기 걸림홈보다 상기 제 1 케이스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가이드 중 하나는, 상기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걸림홈의 일측으로부터 연속하여 상기 제 1 케이스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는,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덮개체를 수평축 둘레에 회전 운동시켜, 상기 덮개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왕복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이고,
    상기 출력축은,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공을 갖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걸림홈의 상기 회전축 둘레의 위상차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본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의 위상차와 동일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회전축 둘레의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상기 출력축의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시켰을 때, 상기 덮개체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 걸어 맞추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공을 갖는 스프링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스프링 유지부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상기 스프링 지지공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벽부를 가짐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의 내경측에 상기 제 2 케이스와는 반대측에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출력축의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축부에는 끼워맞춤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끼워맞춤공은 상기 개구부 내에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제 2 케이스측의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기 지지벽부와,
    상기 제 2 케이스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지지벽부를 소정 간격으로 둘러쌈과 함께, 상기 지지벽부와의 사이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부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형성하는 둘레벽과,
    상기 둘레벽의 내주에서 상기 지지벽부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의 기부를 상기 지지벽부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를 갖고 있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회전축의 둘레의 둘레 방향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의 각각에는, 상기 제 1 케이스측의 단부에 상기 지지벽부측을 향하는 경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 모터는, 상기 출력축에 연결되는 덮개체를 수평축 둘레에 회전 운동시켜, 상기 덮개체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왕복동시키기 위한 기어드 모터이고,
    상기 출력축은,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공을 갖고 있고,
    상기 걸어맞춤공과 상기 걸림홈의 상기 회전축 둘레의 위상차는,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의 상기 회전축 방향에서 본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와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의 위상차와 동일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스에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회전축 둘레의 상기 개방 위치측으로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규제부는, 상기 제 1 케이스와 상기 제 2 케이스를 상기 출력축의 회전축 방향으로 중첩시켰을 때, 상기 덮개체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코일 스프링이 감아 조여져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가 되는 위치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 걸어 맞추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2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걸림홈에 대응하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에는,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지지공을 갖는 스프링 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규제부는, 상기 출력축의 상기 스프링 유지부가 상기 개방 위치측의 구동 범위 외의 위치에서 상기 코일 스프링의 상기 축 방향 걸어맞춤부를 상기 스프링 지지공에 삽입할 수 있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18. 제 1 항 내지 제 7 항 및 제 9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출력축이 상기 회전축 둘레의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감아 조여지는 제 1 스프링의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가 걸리는 제 1 걸림홈과, 상기 출력축이 상기 회전축 둘레의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감아 조여지는 제 2 스프링의 상기 직경 방향 걸어맞춤부가 걸리는 제 2 걸림홈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홈과 상기 제 2 걸림홈은, 상기 출력축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선분을 사이에 두고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스프링과 상기 제 2 스프링 중 어느 쪽도 사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드 모터.
KR1020130116235A 2012-10-22 2013-09-30 기어드 모터 KR1015234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233327A JP6084002B2 (ja) 2012-10-22 2012-10-22 ギアードモータ
JPJP-P-2012-233327 201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1060A KR20140051060A (ko) 2014-04-30
KR101523432B1 true KR101523432B1 (ko) 2015-05-27

Family

ID=50571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16235A KR101523432B1 (ko) 2012-10-22 2013-09-30 기어드 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084002B2 (ko)
KR (1) KR101523432B1 (ko)
CN (1) CN1037800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7963A (ko) 2014-07-10 2016-01-21 주식회사 에스 피 지 기어드 모터
KR101653295B1 (ko) * 2015-03-20 2016-09-01 이래오토모티브시스템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모터 고정 장치
JP6783639B2 (ja) * 2016-11-29 2020-11-11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ギヤードモータ
JP6883473B2 (ja) * 2017-06-01 2021-06-0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輪列機構、ギヤボックス、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WO2020164188A1 (zh) * 2019-02-14 2020-08-20 深圳亿昇动力科技有限公司 无刷直流电机和无刷直流电机组件
JP7339756B2 (ja) * 2019-03-28 2023-09-06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開閉部材駆動装置および開閉装置
JP7382208B2 (ja) 2019-11-13 2023-11-16 ニデック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開閉部材駆動装置および便蓋開閉ユニット
CN111509905A (zh) * 2020-04-29 2020-08-07 江苏松冈传动科技有限公司 直流减速电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614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장치
KR20100121033A (ko) * 2009-05-08 2010-11-1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의 개폐장치와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의 개폐장치 제어방법
KR101104840B1 (ko) * 2009-03-31 2012-01-16 대림비앤코주식회사 하나의 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비데용 동축 댐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9076A (ja) * 2001-01-26 2002-08-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便座・便蓋の自動開閉装置
JP2006153174A (ja) * 2004-11-30 2006-06-15 Nidec Sankyo Corp 直線駆動装置
JP2007097327A (ja) * 2005-09-29 2007-04-12 Asmo Co Ltd モータ
JP5134328B2 (ja) * 2007-09-28 2013-01-30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ギヤドモータ
JP5097649B2 (ja) * 2008-08-29 2012-12-12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モータ及びサンルーフモータ
JP5632242B2 (ja) * 2010-09-16 2014-11-26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出力軸機構および減速機付きモ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614A (ko) * 2008-04-30 2009-11-04 주식회사 삼홍테크 비데 커버 및 시트의 자동 개폐장치
KR101104840B1 (ko) * 2009-03-31 2012-01-16 대림비앤코주식회사 하나의 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비데용 동축 댐퍼
KR20100121033A (ko) * 2009-05-08 2010-11-17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의 개폐장치와 변기시트 및 변기커버의 개폐장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4087138A (ja) 2014-05-12
JP6084002B2 (ja) 2017-02-22
KR20140051060A (ko) 2014-04-30
CN103780013A (zh) 2014-05-07
CN103780013B (zh)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3432B1 (ko) 기어드 모터
KR101621599B1 (ko) 기어드 모터
KR101581087B1 (ko) 기어드 모터
KR101568470B1 (ko) 기어드 모터
KR101616165B1 (ko) 기어드 모터
US8070370B2 (en) Gear mechanism and blade drive device
JP5927078B2 (ja) ギアードモータ
JP5356365B2 (ja) ヒンジ装置
JP6128866B2 (ja) ギアードモータ
WO2015098548A1 (ja) 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US7854557B2 (en) Vane driving device
US7918617B2 (en) Vane driving device using a blade as a gear rotation stopping means
CN111750056B (zh) 开闭部件驱动装置
CN111749572B (zh) 开闭部件驱动装置及开闭装置
CN111743447B (zh) 开闭部件驱动装置
CN211429096U (zh) 开闭部件驱动装置
JP6105116B1 (ja) 操作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7133993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
JP2005303236A (ja) 回転操作機構および電子機器、プロジェ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