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166B1 -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166B1
KR101521166B1 KR1020147007704A KR20147007704A KR101521166B1 KR 101521166 B1 KR101521166 B1 KR 101521166B1 KR 1020147007704 A KR1020147007704 A KR 1020147007704A KR 20147007704 A KR20147007704 A KR 20147007704A KR 101521166 B1 KR101521166 B1 KR 1015211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s
weight
present
componen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6080A (ko
Inventor
페데리코 매일랜드
파올로 마스카루치
엠마누엘라 무라
Original Assignee
폴리켐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리켐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폴리켐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46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6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1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1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95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e.g. thi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61K31/197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the amino and the carboxyl groups being attached to the same acyclic carbon chain, e.g. gamma-aminobutyric acid [GABA], beta-alanine, epsilon-aminocaproic acid or pantothenic acid
    • A61K31/198Alpha-amino acids, e.g. alanine or edetic acid [ED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2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 A61K31/23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yclic acids, e.g. pravastatin of acids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2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0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sulfur, e.g. dimethyl sulfoxide [DMSO], docusate, sodium lauryl sulfate or aminosulfon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2Heterocyclic compounds, e.g. ascorbic acid, tocopherol or pyrrolid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4Oils, fats or waxes according to two or more groups of A61K47/02-A61K47/42; Natural or modified natural oils, fats or waxes, e.g. castor oil, polyethoxylated castor oil, montan wax, lignite, shellac, rosin, beeswax or lano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4Urogenital system, e.g. vagina, uterus, cervix, penis, scrotum, urethra, bladder; Personal lubric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5/00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 A61P15/02Drugs for genital or sexual disorders; Contraceptives for disorders of the vag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ndocri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출산 전 3개월의 기간동안 질 및 회음부의 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성물은 황화물 또는 이의 혼합물이 유기산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과 혼합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신장력의 향상 및 빠른 탄력회복의 면에서 질 및/또는 회음부 조직의 탄력 특성(elastic property)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출산시 회음부 조직이 손상되는 위험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산후의 단기/중기/장기적인 합병증(complication)인 직장(rectal) 이나 방광(bladder)의 실금(incontinence)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Compositions with enhanced elasticizing activity}
본 발명은 질(vaginal) 및/또는 회음부(perineal) 조직의 탄력 부여 성능을 향상 시키는데 유용한 유기산의 에스테르에 결합된 황화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유 SH기를 갖는 황화물 및 기능기에 의해 황원자가 블럭킹된 황화물(thiolated compound) 모두 이황화 결합(disulphur bond)을 끊고 단백질 구조의 강도를 낮추는 능력을 갖고 있어서 단백질 분자의 신장력(extensibility)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1차 및 2차 구조에는 영향이 미치지 않고 3차 및 4차 구조에서 작용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가역적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공지된 사실로, 급성 및 만성 기관지염에 대해 침의 점도를 낮추고 기관지(bronchial and tracheal)를 깨끗하는 기관지염(bronchitis)의 치료; 및 피부의 부드러움을 향상시켜 주름이나 튼살(striae)를 개선하는 장업계에서의 적용;과 같은 두 가지 분야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실제로, 피부의 주요 성분인 케라틴(keratin)의 구조는 아미노산 체인에서 두개의 인접하지 않은 시스테인 분자를 상호 결합시켜 주는 이황화 결합이 풍부하다. 침(sputum)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그 성분은 이황화 결합이 풍부하다.
-SS- 결합이 두 개의 자유 SH기로 분해되어 이황화 결합을 파괴되면, 공유결합에 의해서 강도(rigidity)가 느슨해지기 때문에 단백질이 늘어난다. 반면에, 이러한 현상은 가역적이며, 사실상 상기 두 개의 자유 S-H기는 추가적으로 상호 작용을 하고, 이황화 결합을 형성한다.
알코올 및 유기산의 에스테르는 튼살(strech mark)를 예방하거나 줄이기 위한 스킨케어 혹은 피부영양 제품(nurturing)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사실상 필수적인 유연성분이 빠져나가지 않게 하면서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탄력을 증강시키는 작용을 한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s)는 글리세롤(glycerol)의 에스테르로 동물이나 식물의 조직에 생리학적으로 존재한다. 상기 에스테르(즉,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탄소 원자가 6 내지 18개인 탄소원자사슬로 이루어진 포화 또는 불포화, 주로 1, 2 또는 3 불포화 유기 지방산으로 구성된다. 상기 사슬의 길이와 이중 결합의 존재는 에스테르와 지방산의 녹는점에 영향을 미친다. 녹는 점을 낮추어 이러한 화합물이 반고형 혹은 액상으로 이들의 연화특성 및 습윤특성이 좋아지도록 한다.
콜레스테라이드(Cholesterides)는 콜레스테롤(cholesterol) 및 유기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며, 자연에서 존재하며, 대부분 동물의 신경 조직이나 지방에 존재한다. 이들은 또한 연화특성때문에 크림(cream)이나 연고제(ointments)의 제조에 사용된다.
피토스테롤 에스테르(phytosterol esters)는 식물 콜레스테라이드이며, 식물 유지 피토스테롤 에스테르의 스테롤 성분(sterol component of the ingredient vegetable oil phytosterol esters)은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및 스티그마 스테롤(stigmasterol)이다.
이 식물 지방 피토스테롤 에스테르 성분(components)은 이미 연화 특성 때문에 스킨케어제품과 같은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고, 따라서, 콜레스테라이드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에 대해서도 유사한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스테롤과 에스테르의 합성에 들어가는 지방산은 탄소원자가 6 내지 18개로 다양하며, 포화 지방산이거나 불포화지방산이 될 수 있다. 불포화 지방산으로는 모노, 디 또는 트리 불포화 지방산이 있다.
알코올 및 유기산의 에스테르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iristate) 및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isopropyl palmitate)와 같은 합성 에스테르일 수 있다.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myristate)는 이소프로필 알콜 및 미리스트산(myristic acid)의 에스테르이고, 탄소원자 14개의 포화 지방산이다. 이것은 화장품 및 질용 약품(vaginal preparations) 등 약품제조업계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인 상기 조성물은 1종 이상의 황화물과 유기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유기산 에스테르는 증가된 신장력(extensibility) 및 탄력 회복 능력(elastic recovery)의 측면에서 조직의 탄력 증강을 위한 시너지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은 임신의 출산 전 3개월 동안 질 및 회음부 조직의 말단 부분의 탄력(elasticity)을 높이는데 중요하다.
분만시에는 만출 단계(expulsive phase)에서의 과도한 팽창 때문에 회음부 조직의 열상(laceration)이 종종 수반된다.
여성의 30 내지 50% 정도가 단기-중기 합병증으로 종종 성교통증 및 요실금으로 고통을 받는다(Lukacz Es 등. Obst Gynecol . 2006 - Olsen LO, et al Obstet . Gynecol. 1997)
회음 절개술은 열상의 비율과 정도(severity)의 측면에서 분만시 열상을 줄여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도 임산부의 성교통증 및 직장 요실금과 같은 합병증을 피할 수 없다.
최근의 계통적 증거의 고찰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정상분만의 30 내지 35%에서 회음절개술(episiotomy)이 수행되고 있지만, 질이나 회음부의 중증의 상처(trauma), 요실금 또는 성교통에 대해 통계적으로 현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ACOG Practice Bulletin. Episiotomy. Clinical Management Guidelines for Obstet. Gynecol. 2006).
임신 후기의 몇 주 동안 회음부를 마사지 하는 것은 자연분만을 하는 동안 강하게 요구되는 조직의 신전(extension)을 준비하도록 하는 관습으로 알려져 있다.
출산 전 6 내지 8주 부터, 거의 매일 또는 일주일에 3일 정도, 10 내지 15분 동안 마사지한다. 아몬드 오일이 윤활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관습에 대한 효용성에 대해 논란이 있다.
보고서(Beckmann MM 등, Birth , 2006)에 따르면, 회음부 마사지는, 이전에 출산 경험이 없는 여성에 있어서, 회음절개술의 수와 봉합을 요구하는 상처의 발생을 상당히 줄임으로써 회음부 조직의 신장력(extensibility)를 증가시킬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회음부 마사지를 하지 않은 여성과 비교하여, 1차 내지 2차 정도의 회음부 열상이나 3차 내지 4차 정도의 회음부 상처에서 보여지는 것과 차이가 없다.
1종 이상의 황화물과 유기산 에스테르 및 적절한 부형제를 함유하는 조성물은 두 성분, 즉 황화물과 유기산의 에스테르의 시너지 작용에 의한 피부탄력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연구결과 조사되었다.
또한, 1종 이상의 황화물, 유기산의 에스테르 및 적절한 부형제를 포함한 조성물을 정기적으로 사용하면, 회음부 조직 및 질의 말단 부분의 탄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크림, 연고(ointment), 젤 또는 로션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회음부 마사지에 의해 국소부위에 적용되어 회음부 조직으로 성분이 깊이 흡수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분만의 태아 만출 단계에서 질 및 회음부 근육을 늘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종 이상의 황화물이 약 0.1 내지 25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중량%를 포함한다.
황화물은 바람직하게는 황화 아미노산(sulphated amino acid)인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시스테인(systeine)의 유도체,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시스테인(carboxymethyl-cysteine)의 염이다.
바람직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황화 아미노산 (sulphated amino acid)은 l-메티오닌(l-methionine), l-시스테인(l-cysteine), l-시스틴(l-cystine), 타우린(taurine), 4-티아졸이딘카르복실산 (4-thiazolidinecarboxylic acid), 카르복시메틸시스테인(carboximethylcisteine) 및 / 또는 메틸설포닐메탄 (methylsulphonylmethane)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이들의 염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유기산 에스테르를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 중량%의 범위로 포함한다.
상기 유기산의 에스테르는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의 에스테르 혹은 콜레스테롤과 같은 동물성 이나 식물성 스테롤(sterol)의 에스테르 혹은 이들의 혼합물이다.
상기 유기산은 2 내지 30 개,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산은 포화 또는 불포화이다.
상기 조성물은 종래기술에 의해서 마련될 수 있고, 그리고, 양립가능한 부형제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이온화제(ionizing agents), 항산화제(antioxidant agents),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s), 보습제(moisturizing agents), 소염제(decongestant agents), 살균제(disinfectant) 및/또는 항균제(antimicrobial agents), 향료(flavoring) 및 색소(colorants)인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효과적인 경우에는 다른 활성 원소를 더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 상기 조성물은 크림, 연고, 젤, 로션 또는 폼(foam)을 포함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과 본 발명의 용도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더욱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단순히 발명을 설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제공되는 것이고, 발명을 제한하는 의도로는 사용될 수 없다.
실시예 1
하기의 중량% 조성을 갖는 리포젤(lipogel, 균질의 소수성 연고) 제제를 준비하였다.
1) 리신카르복시메틸시스테네이트1(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 5.00%
2) 폴리를리세릴-3 밀랍2(Polyglyceryl-3 Beeswax) 7.50%
3)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3 (Prunus amygdalus var. dulcis) 12.00%
4)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4
(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05%
5) 페트롤라툼5(Petrolatum) 15.00%
6) 수소화된 피마자유6(Hydrogenated castor oil) 2.00%
7) 파라피넌 리퀴둠7(Paraffinun liquidum) q.s. to 100.00%
1엘라스토셀
Figure 112014028103159-pat00001
(Elastocell
Figure 112014028103159-pat00002
); 2세라 벨리나(Cera Bellina, 밀랍의 친수성유도체로, 유리지방산이 폴리글리세롤 에스테르로 변환된 것); 3스위트 아몬드 오일(Sweet Almond Oil, 65% 올레인산에서 얻어진 글리세리드를 포함한 것); 4아페록시드TLA(Aperoxid TLA); 5 백색 연파라핀(white soft paraffin); 6큐티나
Figure 112014028103159-pat00003
HR 파우더(Cutina
Figure 112014028103159-pat00004
HR Power, 주로 하이드록시스테아린산(C18)의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함); 7파마 55(Pharma 55)
파라피넌 리퀴둠(Paraffinun liquidum), 폴리글리세릴-3 밀랍(Polyglyceryl-3 Beeswax),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Prunus amygdalus var. dulcis), 아페록시드 TLS(Aperoxid TLA) 및 페트롤라툼(Petrolatum)을 터보에멀서(turboemulsor)에 넣고 혼합하고 70℃로 가열하였다.
상기 혼합물이 녹으면, 수소화된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을 넣고 완전히 분산될 때 까지 중간정도로 교반하였다.
상기 녹은 혼합물을 45℃ 냉각시킨 후, 리신 카르복시메틸 시스테네이트(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를 첨가하고 균질의 젤이 얻어질 때 까지 교반하였다.
상기에서 얻은 젤은 21.50%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젤의 외형은 상아색으로 균질하다.
실시예 2
다음과 같은 중량% 조성을 갖는 리포젤(균질한 소수성 연고) 제제를 준비하였다.
1) 리신 카르복시메틸 시스테인(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 7.50%
2) 폴리글리세릴-3 밀랍(Polyglyceryl-3 Beeswax) 5.00%
3) *아세틸화 라놀린(Acetylated Lanolin) 2.00%
4)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05%
5) 페트롤라툼(Petrolatum) 38.50%
6) 파라피넌 리퀴둠(Paraffinun liquidum) 14.00%
7) 수소화된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3.00%
8) **콩기름(Soybean oil) q.s. to 100.00%
*모듈라TM 라놀린 유도체(ModulaTM Lanolin Derivative, Noveon사) 아세틸화 라놀린 알콜; **리놀레인산의 글리세라이드(50%-57%), 리놀레인산(5-10%), 올레인산(17-26%), 팔미트산 (9-13%) 및 스테아르산(3-6%)으로 구성됨.
상기에서 얻어진 젤은 39.95%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서 준비되었다.
실시예 3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 리포젤(균질한 소수성 연고)를 제조하였다.
1) 리신 카르복시메틸 시스네테이트(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 5.00%
2) 폴리글레세릴-3 밀랍(polyglyceryl-3 Beeswax) 5.00%
3)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Prunus amygdalus var. dulcis) 12.00%
4)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10%
5) 페트롤라툼(Petrolatum) 15.00%
6) *피토스테롤 에스테르(Phytosterol ester) 15.00%
7) 수소화된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3.50%
8) 실리카(Silica) 1.50%
9) 파라핀넌 리퀴둠(Paraffinum liquidum) q.s. to 100.00
*베가퓨어(Vegapure, Cognis 사)
상기에서 얻어진 젤은 35.5%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4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 리포젤(균질한 소수성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1) 리신 카르복시메틸 시스테네이트(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 5.00%
2) 폴리글리세릴-3 밀랍(Polyglyceryl-3 Beeswax) 7.50%
3)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Prunus amygdalus var. dulcis) 7.00%
4)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Isopropyl Myristate) 5.00%
5)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10%
6) 페트롤라툼(Petrolatum) 15.00%
7) 수소화된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4.50%
8) 실리카(Silica) 1.50%
9) 파라피넌 리퀴둠(Paraffinum liquidum) q.s. to 100.00%
*크로다몰 IPM(Crodamol IPM, Croda사, 이소프로필 알콜의 에스테르 및 미리스틱산, 탄소수 14인 포화지방산)
*상기에서 얻어진 젤은 24.00%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5
하기 중량%의 조성을 갖는 리포젤(균질한 소수성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1) L-메티오닌(L-Methionine) 5.00%
2) *합성 밀랍(Synthetic Beeswax) 8.50%
3)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Prunus amygdalus var. dulcis) 12.00%
4)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
(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05%
5) 페트롤라툼(Petrolatum) 15.00%
6) 수소화된 피마자 오일(Hydrogenated castor oil) 4.00%
7) 실리카(Silica) 2.50%
8) **님 오일(Neem oil) 1.00%
9) ***참기름(Sesame seed oil) 2.00%
10) 파라피넌 리퀴둠(Paraffinun liquidum) q.s. to 100.00%
* 싱크로왁스 BB4(Syncrowax BB4, Croda사)
** 리놀레인산, 올레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의 트리글리세라이트의 혼합물(mixture of tryglicerides of linoleic, oleic, palmitic and stearic acids)을 포함함
***아라키돈산의 글리세라이드(0.8%), 리놀레인산(40.4%), 올레인산(45.4%), 팔미트산(9.1%) 및 스테아린산(4.3%)을 포함.
상기에서 얻어진 젤은 27.50%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6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 리포젤(균질한 소수성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1) 메틸설포닐 메탄(Methylsulfonyl methane) 5.00%
2) 합성 밀랍(Synthetic Beeswax) 5.00%
3)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Prunus amygdalus var. dulcis) 12.00%
4)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
(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10%
5) 페트롤라툼(Petrolatum) 15.00%
6) *수소화된 식물 오일(Hydrogenated vegetable oil) 3.50%
7) 실리카(Silica) 1.50%
8) 파라피넌 리퀴둠(Paraffinun liquidum) q.s. to 100.00%
* 세게소프트 HF62(CEGESOFT
Figure 112014028103159-pat00005
HF62, Cognis 사, 탄소수 16 내지 24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혼합물 함유)
상기에서 얻은 젤은 20.50%의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7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 리포젤(균질한 소수성 연고) 제제를 제조하였다.
1) 리신 카르복시메틸 시스테네이트(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 5.00%
2) 합성 밀랍(Synthetic Beeswax) 5.00%
3) 프루누스 아미그달러스 바 덜시스(Prunus amygdalus var. dulcis) 6.00%
4) 토코페롤, 레시틴,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 시트르산
(Tocopherol, Lecithin, Ascorbyl palmitate, Citric acid)

0.10%
5) 페트롤라툼(Petrolatum) 15.00%
6) *라놀린 알콜(Lanolin Alcohol) 3.50%
7) **라놀린 USP(Lanolin USP) 6.00%
8) 실리카(Silica) 1.50%
9) 파라피넌 리퀴둠(Paraffinun liquidum) q.s. to 100.00%
*수퍼 하톨란(Super Hartolan, Croda 사, 의약 등급의 라놀인, 콜레스테롤이 풍부한 고형 부분); **메딜란TM(MedilanTM, Croda 사, 여러 지방산의 에스테르와 콜레스토롤의 혼합물이 포함)
본 발명에 따른, 상기에서 얻은 젤은 20.50%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상기의 제제는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실시예 8
비교 임상 실험
백색 연 파라핀을 포함하는 참고 기준 제품과 비교하여, 3가지 다른 조성물의 피부 탄력 증강성(elasticizing activity) 조사를 목적으로 하는 건강한 지원자들에 대한 급성 테스트(acute testing)의 임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상기 실험의 목적은 카르복시메틸 시스테네이트염(carboxymethyl cysteinate salt)과 같은 황화물 및 지방산과 글리세롤의 에스테르 혼합물을 포함하는 제제와 황화물만을, 또는 에스테르 혼합물만을 포함하는 다른 제제와의 활성을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지원자는 24세에서 55세까지의 여성 21명으로 평균 연령은 45세였다.
각각의 제품은 팔뚝의 표면에 부드럽게 마사지하는 방식으로 임의적으로 한번 적용되었다.
[Sparavigna A, Setaro M, Misurazione delle proprieta meccaniche della dute mediante metodi di torsione, "Diagnostica non invasiva in dermatologia" a cura di stefania seidenari, EDRA Medical Publishing & New Media, Milano, 1998, 323-328쪽]에 기재된 대로 피부 토크 측정기(Dermal Torque Meter, Dia-Stron LTD)을 사용하여 토쇼메트리(torsiometry)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아무것도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및, 각 제품을 바르고 30분 후에, 소탄성을 측정하였다.
상기 측정 방법은 양면접착테입(biadhesive tape)을 이용해 피부에 접착하는 두 개의 동심원(concentric circle)을 구비한 기구를 이용해 인체의 피부에서 수행되는 비틀림법(principle of torsion)법을 사용하였다.
상기 두 개의 원 사이의 거리(1mm)는 비틀림이 수행되는 범위를 제한한다.
안쪽의 원은 바깥쪽 원에 대해 회전하면서, 피부를 일정한 힘으로 비트는데, 피부의 대항력(antagonistic efforts)이 적용된 트위스팅 모멘트(twisting moment, 9mNm)와 균형을 이루면 멈춘다. 비틀림의 지속시간은 1초이다.
상기 장치는 비틀림 각 θ를 측정해서 기계적 유도의 상태 및 이의 휴지 상태에 대한 결과를 표시한다.
상기 a.m. 기술에 의해서 측정된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이 측정된 피부 탄력(skin elasticity) 및 탄력 회복력(elastic recoverty)이다.
Ue: 순간 신장력(immediate extensibility)
Uf:최대 신장력(maximum extensibility)
Uv: 점탄성(viscoelasticity)
Ur: 순간 탄력 회복력(immediate elastic recovery)
Ur/Ue: 탄력 회복력(elastic recovery)
Ur/Uf: 피부 탄력(skin elasticity)
Uv/Uc: 점성도(viscosity)
ton 및 toff 시간 상수 곡선 위에 표시된 '계속(go on)' 및 '회귀(go back)'
여기에 적용된 조성은 다음과 같다.
제품 1: 실시예 1에 따른 조성을 갖는 리포겔 LPOL514
제품 2: 하기 중량%의 조성을 갖는 하이드로젤 LPOL513
1) 라이신 카르복시메틸 시스테이네이트1 )(Lysine Carboxymethyl Cysteinate) 7.50%
2) 소듐 프로필파라벤(Sodium Propylparaben) 0.04%
3) 소듐 메틸파라벤(Sodium Methyllparaben) 0.37%
4) 이미다졸리디닐 유레아2 )(Imidazolidinyl Urea) 0.20%
5) 디소듐 EDTA(Disodium EDTA) 0.10%
6)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3 )(Hydroxyethylcellulose) 1.50%
7) 캐라제닌 젤4 )(Carragenine gel) 5.00%
8) 시트르산(Citric acid) q.s. to pH 5.5
9) 물(Water) q.s. to 100.00%
1)엘라스토셀
Figure 112014028103159-pat00006
(Elastocell), 2)그람 1(Gram 1), 3)나트로졸 250M(Natrosol 250M), 4)세아몰리엔트(Seamollient)
제품 3: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 하이드로젤 LPOL520
1) 수화된 콩 포스파티딜콜린1 )(Hydrogenated soybean phosphatidylcholine)
1.03%
2) USP 콜레스테롤(Cholesterol USP) 0.26%
3)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Butylated hydroxyanisole, BHA) 0.10%
4)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7.10%
5) 글리세롤(Glycerol) 5.00%
6) 디소늄EDTA2 )(Disodium EDTA) 0.10%
7) 소듐메틸파라벤3 )(Sodium Methylparaben) 0.37%
8) 소듐프로필파라벤4 )(Sodium Propylparaben) 0.04%
9) 이미다졸 우레아5 )(Imidazolidinyl Urea) 0.21%
10)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6 )(Hydroxyethylcellulose) 0.70%
11) 쟁탄검7 )(Xanthan gum) 1.00%
12) 물(Water) q.s. to 100.00%
1)리포이드 S 100-3(Lipoid S 100-3); 2)디솔빈 NA-2(Dissolvine NA-2); 3)니파진 M 소듐(Nipagin M sodium); 4)니파졸 M 소듐(Nipasol M sodium); 5)그람 1(Gram 1); 6)나트로졸 250M(Natrosol 250M); 7)로디젤 울트라(Rhodigel Ultra)
제품 4: 하기 중량% 조성을 갖는 참고 기준
1) 페트롤라툼(Petrolatum, 백색 연파라핀)
CAS no.8009-03-8

100%
상기 결과를 아래 표 1에 정리하였다.
21명의 건강한 지원자의 팔뚝 피부에 참고 기준 (제품 4) 또는 다른 조사용 제품을 도포하고 30분 후 비틀림 파라미터를 측정한 베이스라인에 대한 백분율 변화
비틀림 파라미터
(Torsiometric parameter)
제품 1
리포겔 LPOL514
제품 2
하이드로젤 LPOL513
제품 3
바지젤(vagigel)
LPOL520
제품 4
참고
Ur/Uf
피부탄력
(skin elasticity)

+ 24% **

+ 1%

- 4%

+ 13% *
Ur/Ue
탄력 회복력
(elastic recovery)

+ 23% ***

- 1%

0%

+ 13% *
* P<0.05 vs 베이스라인(baseline)
** P<0.01 vs. 베이스라인(baseline)
*** P<0.001 vs. 베이스라인(baseline)
상기 결과는 제품 1 및 제품 2에 포함된 황화물과 제품 1, 제품 3 및 제품 4에 포함된 에스테르의 시너지 효과를 보여준다.
사실상, 제품 2(활성이 없음), 제품 3(활성이 없음) 또는 제품 4(연파라핀, 약한 정도의 활성)에서와 같이 단독으로 사용되면, 상기 두 주요 성분인 황화물 및 에스테르는 탄력 증강성(elasticizing activity)이 없거나 매우 약하였다(13% 미만).
반면에, 황화물 및 에스테르가 결합되어 하나의 제형(formulation)을 이루는 경우, 제품 1과 같이, 탄력 증강성(elasticizing activity)이 강화되며(탄력(elasticity) 24% 이상, 탄력 회복력(elastic recovery)은 23% 이상), 에스테르 단독으로 사용한 것에 비해 매우 우수하였다. 상기 결과는 시너지 효과에 의한 것이며, 두 성분을 각각 사용하여 얻을 수 있는 결과에 비해 양 성분의 결합에 의한 시너지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실시예 9
비교 임상 실험
회음부(perineal) 조직에 대한 탄력 증강에 대한 조사 및 출산시 심한 회음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예 3에 따라 준비된 제제(formulation)을 임신 말기 2달 동안 정기적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 임산부에 대한 임상 실험을 수행했다
이 실험은 개방표지시험(open label)으로 수행되었으며, 대조군과 비교되었다.
이 실험에는 36명의 임산부가 참여하였다.
모든 임산부는 이전에 임신 및 출산경험이 없으며(first pregnancy), 분만시 제왕절개의 위험이 없었다.
상기 제품은 임신 30주가 시작되면서 출산시까지 매일 규칙적인 회음부 마사지를 통해 도포되었다.
상기 제품의 도포(2 내지 5g)는 상기 제제(formulation)로 회음부를 보습하고, 음순(labia) 및 질 말단부(distal part of the vagina)에 원을 그리면서 약 15분간 부드럽게 마사지를 하여 이루어졌다.
출산시 평가되는 파라미터는 다음과 같다.
신장력(extensibility) 및 탄력 회복력(elastic recovery)을 아날로그 척도(VAS, Visual analogue scale)로 0(없음) 부터 100(최대)로 나타내었고, 산부인과 의사의 소견, 회음절개술(episiotomies)의 비율(%), 열상의 비율 및 정도, 위해 영향(adverse events) 및 효율성의 판단(judgement of efficacy)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신장력(extensibility)은 평균 ±SD 78.81 ±8.59, 탄력 회복력은 78.04 ±12.4, 회음절개는 하지 않았고, 열상의 정도는 8.3%의 I등급 이었으며, Ⅱ 등급 혹은 Ⅲ 등급의 열상은 없었다.
회음절개술 및/또는 회음부 열상에 대한 결과는 425명의 출산부로 이루어진 대조구와 비교되었는데, 상기 대조구는 2004년 동안 동일한 평가소(investigational centre)에서 일어난 출산을 모두 포함한 것이다.
상기 데이터는 다음의 표 2에 정리하였다.
대조구와 비교하여 실험조의 출산동안 회음절개술 및 회음부 열상의 발생 정도
2004년 출산
(%, n=425)
실험조
(%, n=36)
회음부 절개술 23.3 0
열상 등급Ⅰ
(외음부 점막 및 회음부 피부에 대한 우려)
22.8 8.3
열상 등급 Ⅱ
(회음부 근육 및 회음부 근막에 대한 영향)
11.5 0
열상 등급 Ⅲ
(항문 괄약에 대한 영향)
0.8 0
상기 제품은 회음부의 탄력을 증강시키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출산 중 회음부의 상처로 인한 합병증 방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Claims (13)

  1. 임신한 여성의 질 및 회음부의 탄력 증진용 국소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국소용 조성물은,
    (a) l-메티오닌(l-methionine), l-시스테인(l-cycteine), l-시스틴(l-cystine), 타우린(taurine), 4-티아졸리딘카르복실산(4-thiazolidinecarboxylic acid), 카르복시메틸시스테인(carboximethylcisteine), 메틸설포닐메탄(methylsulphonylmethane) 및 생리적으로 수용 가능한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및
    (b) '유기산 및 글리세롤로 구성된 에스테르', '유기산 및 동물성 스테롤로 구성된 에스테르', 또는 '유기산 및 식물성 스테롤로 구성된 에스테르';를 포함하며,
    상기 동물성 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이고,
    상기 식물성 스테롤은 베타-시토스테롤(beta-sitosterol), 캄페스테롤(campesterol) 또는 스티그마 스테롤(stigmasterol)이며,
    상기 유기산은 6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은 0.1 내지 25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은 0.5 내지 15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성분은 1.0 내지 10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용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1.0 내지 95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5 내지70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은 10 내지 45 중량%로 존재하는, 국소용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1종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수용가능한 성분(ingredient)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소용 조성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성분은 이온화제(ionizing agents); 항산화제(antioxidant agents); 킬레이팅제(chelating agents); 보습제(moisturizing agents); 열점성증가제(thermoviscosizing agents); 소염제(decongestant agents); 살균제(disinfectant agents); 항균제(antimicrobial agents); 향미료(flavouring) 및 색소(colorants); 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인, 국소용 조성물.
KR1020147007704A 2006-08-09 2007-04-18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15211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18649.0 2006-08-09
EP20060118649 EP1886676A1 (en) 2006-08-09 2006-08-09 Compositions with enhanced elasticizing activity
PCT/EP2007/053793 WO2008017521A2 (en) 2006-08-09 2007-04-18 Compositions with enhanced elasticizing activity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04495A Division KR20090050065A (ko) 2006-08-09 2007-04-18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6080A KR20140046080A (ko) 2014-04-17
KR101521166B1 true KR101521166B1 (ko) 2015-05-19

Family

ID=3757500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704A KR101521166B1 (ko) 2006-08-09 2007-04-18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097004495A KR20090050065A (ko) 2006-08-09 2007-04-18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97004495A KR20090050065A (ko) 2006-08-09 2007-04-18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9125806B2 (ko)
EP (2) EP1886676A1 (ko)
JP (2) JP2010500309A (ko)
KR (2) KR101521166B1 (ko)
CN (1) CN101500550B (ko)
AR (1) AR062304A1 (ko)
AT (1) ATE457723T1 (ko)
BR (1) BRPI0715182C1 (ko)
CA (1) CA2655472C (ko)
CY (1) CY1110032T1 (ko)
DE (1) DE602007004857D1 (ko)
DK (1) DK2049092T3 (ko)
EA (1) EA014971B1 (ko)
ES (1) ES2340335T3 (ko)
HK (1) HK1126956A1 (ko)
HR (1) HRP20100212T1 (ko)
MX (1) MX2009000869A (ko)
NO (1) NO343143B1 (ko)
PL (1) PL2049092T3 (ko)
PT (1) PT2049092E (ko)
RS (1) RS51282B (ko)
SI (1) SI2049092T1 (ko)
WO (1) WO200801752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81212A1 (en) 2015-04-16 2016-10-19 Polichem SA Carboxymethylcysteine for topical treatment of stretch marks
EP3442501A1 (en) 2016-04-15 2019-02-20 Fairhaven Health,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intaining or enhancing homeostasis or function of female lower reproductive tract
IT202100002285A1 (it) * 2021-02-03 2022-08-03 Farm Dott Ferretti Stefano Nuova composizi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4280A1 (en) * 1994-06-15 1995-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lightening hyperpigmented regions in mammalian ski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617639A1 (de) * 1966-09-12 1972-04-20 Mini Ind Chimic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rzneimittels zur Behandlung von physiologischen Hautkrankheiten
US4296130A (en) * 1979-08-30 1981-10-20 Herschler R J Methylsulfonylmethane and methods of use
GB9213472D0 (en) * 1992-06-25 1992-08-12 Unilever Plc Cosmetic composition
JP3542665B2 (ja) * 1995-07-07 2004-07-14 株式会社資生堂 抗老化皮膚外用剤、コラーゲン架橋阻害皮膚外用剤及び抗紫外線皮膚外用剤
FR2740340B1 (fr) * 1995-10-30 1997-12-05 Oreal Utilisation d'acides carboxyliques porteurs d'une fonction soufree pour favoriser la desquamation de la peau ou stimuler le renouvellement epidermique
US20040265268A1 (en) * 2001-08-18 2004-12-30 Deepak Jai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kin rejuvenation and repair
CH697081A5 (de) * 2002-01-22 2008-04-30 Andreas F Dr Schaub Zusammensetzung für die Unterstützung der Geburt eines menschlichen Föten.
US6821524B2 (en) * 2002-06-03 2004-11-23 Jan Marini Skin Research, Inc. Cosmetic skin care compositions
US20050266064A1 (en) * 2004-05-29 2005-12-01 Mccarthy Kathryn J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US20060088496A1 (en) * 2004-10-25 2006-04-27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Division Of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s with salts of hydroxypropyl trialkylammonium substituted mono-saccharide
US7087560B2 (en) * 2004-10-25 2006-08-08 Unilever Home & Personal Care Usa, A Division Of Conopco, Inc. Personal care composition with salts of dihydroxypropyltri(C1-C3 alkyl) ammonium monosubstituted polyols
BRPI0515846B1 (pt) * 2004-10-25 2020-10-20 Unilever N.V composição de higiene pessoal
DE102004054552A1 (de) * 2004-11-11 2006-05-18 Hcb Happy Child Birth Holding Ag Neue Zusammensetzung zur Erleichterung der Humangeburt
US7351745B2 (en) * 2004-12-22 2008-04-01 Avon Product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of their use for improving the condition and appearance of ski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34280A1 (en) * 1994-06-15 1995-12-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lightening hyperpigmented regions in mammalian sk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715182A2 (pt) 2012-12-25
HRP20100212T1 (hr) 2010-05-31
ATE457723T1 (de) 2010-03-15
NO20091011L (no) 2009-03-06
EA014971B1 (ru) 2011-04-29
EP2049092A2 (en) 2009-04-22
CY1110032T1 (el) 2015-01-14
SI2049092T1 (sl) 2010-04-30
DE602007004857D1 (de) 2010-04-01
HK1126956A1 (en) 2009-09-18
KR20090050065A (ko) 2009-05-19
JP2010500309A (ja) 2010-01-07
WO2008017521A3 (en) 2008-05-22
CN101500550A (zh) 2009-08-05
NO343143B1 (no) 2018-11-19
CA2655472C (en) 2014-10-21
PT2049092E (pt) 2010-04-21
JP5771649B2 (ja) 2015-09-02
EP2049092B1 (en) 2010-02-17
US20090291931A1 (en) 2009-11-26
CN101500550B (zh) 2011-12-14
JP2013227334A (ja) 2013-11-07
BRPI0715182B1 (pt) 2020-07-28
PL2049092T3 (pl) 2010-07-30
BRPI0715182B8 (pt) 2020-08-11
EA200900293A1 (ru) 2009-06-30
AR062304A1 (es) 2008-10-29
RS51282B (sr) 2010-12-31
WO2008017521A2 (en) 2008-02-14
EP1886676A1 (en) 2008-02-13
KR20140046080A (ko) 2014-04-17
CA2655472A1 (en) 2008-02-14
MX2009000869A (es) 2009-02-04
BRPI0715182C1 (pt) 2021-05-25
ES2340335T3 (es) 2010-06-01
DK2049092T3 (da) 2010-05-10
US9125806B2 (en)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7023B1 (en) Pharmaceutical and cosmetic carrier or composition for topical application
JP4697497B2 (ja) 湿潤させる製剤
US9415082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opically treating skin conditions in mammals
AU754420B2 (en) Use of a mixture of a diol and an alpha-hydroxy acid for the treatment of hyperkeratotic skin diseases
US20240041880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to increase hair growth and/or prevent hair loss
KR101521166B1 (ko) 향상된 탄력부여 활성을 갖는 조성물
JPH04507397A (ja) 湿疹治療用薬剤製造における必須脂肪酸の使用法
US10596205B2 (en) Topical medicament for skin and mucosal injuries
US20140348873A1 (en) Urea-Silicone Gel for Hyperkeratosis Treatment
KR100738598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1700597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in association ubidecarenone, dexpanthenol and chlorhexidin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cutaneous application
KR20070022754A (ko) 연고 및 2 개의 가용화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