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9207B1 -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 Google Patents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9207B1
KR101519207B1 KR1020130086694A KR20130086694A KR101519207B1 KR 101519207 B1 KR101519207 B1 KR 101519207B1 KR 1020130086694 A KR1020130086694 A KR 1020130086694A KR 20130086694 A KR20130086694 A KR 20130086694A KR 101519207 B1 KR101519207 B1 KR 10151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rame
oil
fryer
detach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6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1578A (ko
Inventor
백승주
Original Assignee
백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주 filed Critical 백승주
Priority to KR1020130086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92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1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15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라이펜 및 손잡이를 받침대와 바닥면에서 경사를 이루도록하여 후라이펜에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에서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하부에는 기름이 모이도록하고,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상부에 조리된 음식물을위치하도록하며, 또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의 기름이 후라이펜내부의 하부로 흘러내려가도록 하여 후라이펜내부에서 기름과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을 보다 손쉽게 분리하도록 한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는:
손잡이(11)를 구비한 후라이펜(10)과: 상기 손잡이(1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착탈홈(20)과: 상기 착탈홈(20)의 전방양측에 형성된 회동공(30)과; 상기 회동공(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직걸림구(40)와: 상기 회동공(30)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전방양단에 형성된 삽입구(51)를 구비한 프레임(52)과, 상기 착탈홈(20)에서 상기 프레임(52)이 착탈되고, 상기 프레임(52)이 회동되어 상기 수직걸림구(40)에서 착탈되어 받침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Handle of Fryfan}
본 발명은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형성된 착탈홈에 선단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프레임이 착탈홈에서 이탈되어 바닥면에 닿아 후라이펜 및 손잡이를 받침대와 바닥면에서 경사를 이루도록하여 후라이펜에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에서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하부에는 기름이 모이도록하고,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상부에 조리된 음식물을위치하도록하며, 또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의 기름이 후라이펜내부의 하부로 흘러내려가도록 하여 후라이펜내부에서 기름과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을 보다 손쉽게 분리하도록 한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펜(FRYPAN)이라 함은 고기, 야채, 생선등과 같은 각종의 재료를 튀기거나 볶은 냄비를 말하며, 그 형상과 구성은 프라이펜 본체와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의 금속재를 사용하며, 손잡이는 전도된 열을 차단하는 비전도성재질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람이 화상이나, 기타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프라이펜에서 기름으로 튀기는 음식물을 조리를 할 경우, 기름으로 음식물을 튀기고 난후, 음식물에 밴 기름이 분리되도록 음식물을 후라이펜 내부의 기름에서 꺼내 준비된 기름분리용기에 구비된 기름흡수재상에 놓아 기름이 밴 음식물에서 기름이 기름흡수재로 흡수되도록 하거나, 기름걸름망과 같은 부재에 기름이 밴 음식물을 놓아 기름걸름망의 하부로 음식물에서 기름이 떨어지도록 사용되어 왔다.
이러하게 프라이펜이서 기름으로 튀기는 음식물은 그 음식물에서 기름을 빠지기위해서 기름흡수재 또는 기름걸름망을 별도로 구비해야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등록 제945747호
실용신안등록 제160170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형성된 착탈홈에 선단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프레임이 착탈홈에서 이탈되어 바닥면에 닿아 후라이펜 및 손잡이를 받침대와 바닥면에서 경사를 이루도록하여 후라이펜에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에서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하부에는 기름이 모이도록하고,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상부에 조리된 음식물을위치하도록하며, 또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의 기름이 후라이펜내부의 하부로 흘러내려가도록 하여 후라이펜내부에서 기름과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을 보다 손쉽게 분리하도록 한 새로운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잡이(11)를 구비한 후라이펜(10)과: 상기 손잡이(1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착탈홈(20)과: 상기 착탈홈(20)의 전방양측에 형성된 회동공(30)과; 상기 회동공(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직걸림구(40)와: 상기 회동공(30)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전방양단에 형성된 삽입구(51)를 구비한 프레임(52)과, 상기 착탈홈(20)에서 상기 프레임(52)이 착탈되고, 상기 프레임(52)이 회동되어 상기 수직걸림구(40)에서 착탈되어 받침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걸림구(4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걸림구(4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의 전,후방외측에는 라운부(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대(50)의 상기 프레임(52) 전방폭(w1)은 후방폭(w2)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손잡이(11)의 상부폭(w3)은 하부폭(w4)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50)의 후방에 구비된 다수개의 밀림방지구(6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형성된 착탈홈에 선단이 삽입되어 회동되는 프레임이 착탈홈에서 이탈되어 바닥면에 닿아 후라이펜 및 손잡이를 받침대와 바닥면에서 경사를 이루도록하여 후라이펜에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에서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하부에는 기름이 모이도록하고, 경사진 후라이펜내부의 상부에 조리된 음식물을위치하도록하며, 또한,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의 기름이 후라이펜내부의 하부로 흘러내려가도록 하여 후라이펜내부에서 기름과 기름으로 조리된 음식물을 보다 손쉽게 분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착탈홈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직걸림구 및 경사걸림구의 전,후방에 라운드부를 형성하여 수직걸림구 및 경사걸림구의 외측면에서 프레임의 내측면이 손쉽게 이동되도록 하여 착탈홈에서 프레임이 보다 손쉽게 착탈되어 회동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서 프레임이 이탈된 것을 나타낸 제1실시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서 프레임이 이탈된 것을 나타낸 제2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공, 수직걸림구, 경사걸림구, 라운드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평면개략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안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서 프레임이 이탈된 것을 나타낸 제1실시예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에서 프레임이 이탈된 것을 나타낸 제2실시예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공, 수직걸림구, 경사걸림구, 라운드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의 평면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는 후라이펜(10)과, 착탈홈(20)과, 회동공(30)과, 수직걸림구(40)와, 받침대(50)로 구성된다.
상기 후라이펜(10)은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라이펜(10)은 후라이펜본체(10a)와 상기 후라이펜본체(10a)에 결합된 손잡이(11)로 구성된다.
상기 후라이펜본체(10a)는 열전도성이 뛰어난 재질의 금속재를 사용하며, 상기 손잡이(11)는 전도된 열을 차단하는 비전도성재질인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사람이 화상이나, 기타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손잡이(11)의 상부폭(w3)은 하부폭(w4)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상기 손잡이(11)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손잡이(11)를 손으로 쥐었을경우 보다 상기 손잡이(11)를 안정적으로 쥐도록하고, 상기 손잡이(11)를 손으로 잡았을경우 편안한 감을 주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착탈홈(20)은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홈(20)은 상기 손잡이(11)의 외측둘레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즉, 상기 착탈홈(20)은 상기 손잡이(11)의 후방면에서 전방양측면으로 연장되어 구성된다.
상기 착탈홈(20)에는 후술되는 받침대(50)의 프레임(52)이 입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공(30)은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동공(30)은 상기 착탈홈(20)의 전방양측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공(30)은 상기 착탈홈(20)의 전방양측면에 일정한 깊이로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공(30)에는 후술되는 상기 프레임의 삽입구(51)가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직걸림구(40)는 도 1 ,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수직걸림구(40)는 상기 회동공(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걸림구(40)에 후술되는 상기 프레임(52)의 상기 삽입구(51)가 상기 회동공(30)에서 회동되어 상기 착탈홈(20)의 내측에서 이탈되어 상기 프레임(50)의 내측면이 걸린것을 도 5에 도시하여 상기 후라이펜(10) 및 상기 손잡이(11)와 상기 프레임(52)을 바닥면에서 높게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라이펜(10)의 내부의 하부에 기름(A)이 고이고, 상기 후라이펜(10)내부의 상부에 기름(A)에 튀겨진 음식물(B)을 손쉽게 분리하여 구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수직걸림구(4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걸림구(40a)를 더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사걸림구(40a)에 후술되는 상기 프레임(52)의 상기 삽입구(51)가 상기 회동공(30)에서 회동되어 상기 착탈홈(20)의 내측에서 이탈되어 상기 프레임(50)의 내측면이 걸린것을 도 6에 도시하여 상기 경사걸림구(40a)로 경사진 상기 후라이펜(10) 및 상기 손잡이(11)와 상기 프레임(52)의 경사를 상기 수직걸림구(40)로 경사진 상기 후라이펜(10) 및 상기 손잡이(11)와 상기 프레임(52)의 경사보다 낮게 경사지도록 하여서 상기 후라이펜(10) 및 상기 손잡이(11)를 바닥면에서 상기 후라이펜(10)보다 상기 손잡이(11)를 낮게 경사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후라이펜(10)의 내부의 하부에 기름(A)이 고이고, 상기 후라이펜(10)내부의 상부에 기름(A)에 튀겨진 음식물(B)을 손쉽게 분리하여 구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의 전,후방외측에는 라운부(r)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라운드부(r)가 형성되는 것은 상기 프레임(52)의 상기 삽입구(51)가 상기 회동공(30)에서 회동되어 상기 착탈홈(20)의 내측에서 이탈되어 상기 프레임(50)의 내측면이 보다 손쉽게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의 외측면에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프레임(52)내측면을 손쉽게 상기 착탈홈(20)에서 이탈하여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받침대(50)는 도 1,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50)는 삽입구(51)와, 프레임(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삽입구(51)는 상기 회동공(30)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상기 프레임(52)의 전방양단이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52)은 탄성력이 우수한 금속재의 바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대(50)의 상기 프레임(52)은 전방폭(w1)은 후방폭(w2)보다 넓게 형성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받침대(50)의 전방폭(w1)은 15cm로 형성되고, 후방폭(w2)은 10c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길이는 상기 프레임(52) 및 상기 손잡이(11)의 길이 및 폭에 따라 폭은 변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폭(w1)을 후방폭(w2)보다 넓게 형성하는 것은 상기 손잡이(11)와 상기 프레임(52)이 바닥면에서 경사를 이루어 받침대로 사용시 상기 프레임(52)의 상기 삽입구(51)가 상기 회동공(30)에서 회동되어 상기 프레임(52)이 상기 착탈홈(20)에서 이탈되어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에 손쉽게 안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착탈홈(20)에서 상기 프레임(52)이 착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레임(52)이 회동되어 상기 프레임(52)이 상기 착탈홈(20)에서 이탈되어 상기 프레임(50)이 상기 수직걸림구(40)에서 결합되어 받침대(5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50)의 후방에 구비된 다수개의 밀림방지구(6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기 밀림방지구(60)는 상기 프레임(52)의 상기 삽입구(51)가 상기 회동공(30)에서 회동되어 상기 착탈홈(20)의 내측에서 이탈되어 상기 프레임(50)의 내측면이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에 걸려서, 상기 후라이펜(10) 및 상기 손잡이(11)와 상기 받침대(50)가 바닥면에서 경사를 이루었을때, 상기 받침대(50)의 상기 프레임(52)의 하부가 바닥면에 밀리거나, 상기 프레임(52)이 한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후라이펜(10)의 내부에 뜨거위진 기름 및 기름에 튀겨진 음식물이 외부로 이탈되어 이를 다루는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후라이펜 11: 손잡이 20: 착탈홈 30: 회동공 40: 수직걸림구 40a: 경사걸림구 50: 받침대 51: 삽입구 52: 프레임 60: 밀림방지구 r: 라운드부 w1: 전방폭 w2: 후방폭 w3: 상부폭 w4: 하부폭

Claims (6)

  1. 손잡이(11)를 구비한 후라이펜(10)과:
    상기 손잡이(11)의 외측둘레에 형성된 착탈홈(20)과:
    상기 착탈홈(20)의 전방양측에 형성된 회동공(30)과;
    상기 회동공(30)의 하부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수직걸림구(40)와:
    상기 회동공(30)에 삽입되어 회동되도록 전방양단에 형성된 삽입구(51)를 구비한 프레임(52)과, 상기 착탈홈(20)에서 상기 프레임(52)이 착탈되고, 상기 프레임(52)이 회동되어 상기 수직걸림구(40)에서 착탈되어 받침대(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걸림구(40)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착탈홈(20)의 하부면에 형성된 경사걸림구(40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걸림구(40) 및 상기 경사걸림구(40a)의 전,후방외측에는 라운부(r)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50)의 상기 프레임(52) 전방폭(w1)은 후방폭(w2)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의 상부폭(w3)은 하부폭(w4)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50)의 후방에 구비된 다수개의 밀림방지구(60)가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KR1020130086694A 2013-07-23 2013-07-23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KR10151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94A KR101519207B1 (ko) 2013-07-23 2013-07-23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6694A KR101519207B1 (ko) 2013-07-23 2013-07-23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78A KR20150011578A (ko) 2015-02-02
KR101519207B1 true KR101519207B1 (ko) 2015-05-11

Family

ID=52487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6694A KR101519207B1 (ko) 2013-07-23 2013-07-23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9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0890B (zh) * 2019-06-26 2020-10-13 浙江炊大王炊具有限公司 一体式锅具以及使用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6221B1 (en) 2003-03-14 2004-09-28 Harold Cangioli Cookware with propp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96221B1 (en) 2003-03-14 2004-09-28 Harold Cangioli Cookware with propping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1578A (ko) 2015-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04060T2 (de) Spiess-einheit für Barbecue Grill
US20080296303A1 (en) Domed splatter screen with a fitted rim
US20090261110A1 (en) Cooker Cover
US2635527A (en) Deep frying strainer
KR101519207B1 (ko) 후라이펜의 손잡이에 구비된 받침대
KR102211221B1 (ko) 튀김장치
WO2017114028A1 (zh) 多功能组合锅
KR101292452B1 (ko) 구이판 높이조절대
EP2745756B1 (en) Improved cooking vessel
KR101378076B1 (ko) 구이판
CN108095572A (zh) 一种可升降电烤炉
KR101321525B1 (ko) 구이용 불판
CN108742175A (zh) 一种防油溅电热锅
KR200451270Y1 (ko) 조리용기용 뚜껑
CN209377358U (zh) 一种防油溅电热锅
KR200463758Y1 (ko) 불판
KR20160093836A (ko) 고기가 눌어붙지 않는 석쇠
KR200474952Y1 (ko) 조리용 기름 제거 도구
CN211459867U (zh) 一种可拆卸锅体及其空气炸锅
CN208598198U (zh) 一种电烤炉
KR102240619B1 (ko) 주방용기
KR200166413Y1 (ko) 후라이 팬용 기름튀김 방지판의 구조
KR102411673B1 (ko) 가정용 튀김기의 보조판 장치
KR102114976B1 (ko) 다용도 가마솥
EP4197408A1 (en) Cooking device with anti-splash gua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