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8724B1 -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8724B1
KR101518724B1 KR1020107013596A KR20107013596A KR101518724B1 KR 101518724 B1 KR101518724 B1 KR 101518724B1 KR 1020107013596 A KR1020107013596 A KR 1020107013596A KR 20107013596 A KR20107013596 A KR 20107013596A KR 101518724 B1 KR101518724 B1 KR 101518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ory
connection
connector
vehic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3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5607A (ko
Inventor
제레미 코와피에
시릴 기으모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10009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8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8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 B62D5/0403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 B62D5/04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common housing for motor and gear box including housing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 및 전력원에 대한 자동차 액세서리(1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는: 전력원에 대한 액세서리(10)의 연결을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10)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연결구(12, 14), 자동차의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액세서리(10)의 연결을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10)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연결구(35)를 포함하는 유형이며, 액세서리(10)는 운전자의 발(32)의 영역에 근접하게 조향 칼럼의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Arrangement for the secure connection of an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적어도 2 개의 다른 전자 장치들에 안정되게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 액세서리, 특히 전기 보조 조향 장치를 자동차의 전력원 및 적어도 하나의 다른 전자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를 제안하여, 연결 분리의 위험성을 제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 액세서리를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 및 전력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구조체를 제안하는데, 이것은 액세서리를 전력원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전력 연결구, 액세서리를 자동차의 상기 전자 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상에 장착될 수 있는 신호 연결구를 구비하는 유형의 것이다.
그러한 구조체는, 특히 자동차의 보조 조향 장치를 한편으로 자동차의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다른 한편으로, 자동차에 설치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센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공지된 구현예에 따르면, 전력 연결구 및 신호 연결구의 장착 및 잠금은 작업자에 의해서 조직적으로 수행된다. 그러나, 컴퓨터상에서의 이러한 설치는 시스템에 대한 보이지 않은 연결(blind connection)의 문제를 낳게 하는데, 이는 컴퓨터 영역이 접근하기 쉽지 않고 매우 좁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은 신호 연결구가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는 위험성을 증가시키고, 결국에는 언제라도 보조 조향 장치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칼럼 보조의 역할을 하지 못할 수 있다.
전력 연결구의 그러한 분리는 보조 조향 장치를 정지시키고 운전자는 자동차의 조향을 이루기 위해서 매우 강력한 힘을 제공하여야 한다.
전력 연결구의 분리는 특히 자동차가 움직이고 있을 때,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특히 위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조 조향 장치의 전기 연결을 위한 구조체를 제안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체는 추가적인 시각적 검증 수단을 부여함으로써 설치, 검사 또는 유지 관리의 작업을 위한 강력한 연결 및 용이한 접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자동차의 전력원 및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 대한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로써 달성하는데, 이것은,
전력원에 대한 액세서리의 연결을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연결구,
자동차의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액세서리의 연결을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연결구를 포함하는 유형이며,
액세서리는 운전자의 발의 영역에 근접하게 조향 칼럼의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은 다음의 특징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가질 수 있다.
-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고, 하우징은 수평의 평탄 베이스 및 베이스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2 개의 측부 벽들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신호 연결구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전력 연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 신호 연결구에 대한 전력 연결구의 연결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지지부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는 연장 플레이트를 구비할 수 있다.
액세서리는 자동차의 전자 보조 조향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기적인 연결을 위해서 그러한 연결구들의 구조체가 설치된 자동차의 전기 보조 조향 칼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운전자의 발이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칼럼의 아래에 있는 지지부의 구조체에 대한 측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구 지지부의 저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조향 칼럼의 아래에 있는 지지부의 구조체의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다.
다음의 설명에서, 동일하거나, 비슷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표시될 것이다.
유사하게는, 다음의 설명에서, "상부"는 차량의 정상부를 향하여 수직으로 지향된 요소의 면일 것이며, "하부"는 상기 "상부" 면의 반대인 임의의 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전방" 및 "후방"은 자동차의 통상적인 이동 방향에 대하여 표시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기 보조 조향 휘일로 이루어진 자동차 액세서리(10)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방식에서, 보조 조향 장치(10)는 운전자가 자동차의 조향 휘일에 제공하여야 하는 힘을 감소시키는 자동차의 조향 시스템에 작용하는 액튜에이터(미도시) 및, 예를 들어 이동 속도와 같은, 자동차의 다양한 작동 파라미터들의 함수로서, 어느 작용이 액튜에이터에 의해 수행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전자 제어 장치(미도시)를 구비한다.
보조 조향 장치(10)에는 전력원, 특히 자동차의 배터리(미도시)로부터 오는 전력이 공급되고, 자동차의 작동 파라미터들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기 위하여, 전자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속도 센서들 및 조향 휘일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와 같은 자동차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 장치(미도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보조 조향 장치(10)는 제 1 수컷 연결구(12)에 의해서 전력원에 연결되며, 제 1 수컷 연결구(12)는 "수컷 전력 연결구"로 지칭되고, 수컷 전력 연결구는 칼럼(column)에 있는 "암컷 전력 연결구(14)"에 연결된다. 신호 연결구(35)는 상기 연결구(14)상에 존재하는 하우징(27)에서 "암컷 전력 연결구(14)"에 연결된다.
보조 조향 장치(10)가 자동차의 배터리에 연결되는 연결 위치에서, 전력 연결구(12)는 보조 조향 장치(10)에 고정된 지지부(16)상에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지지부가 운전자의 발의 영역에 근접한 조향 휘일의 아래에 배치되어 직접적으로 고정되지만, 발이 지지부와 부딪혀서 지지부를 조향 휘일로부터 분리시키지 않도록 충분한 거리에 배치된다. 그 거리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전할 때 발의 움직임의 범위 및 발의 인체 공학에 따라서 이론적으로 계산되는 발의 공간에 의해 주어진다. 지지부는 나사에 의해서 고정되는데, 바람직스럽게는 설치시의 인체 공학의 이유 때문에 칼럼의 케이싱 아래에 고정된다.
지지부는 실질적으로 U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며, 그 하우징은 평탄하고 수평한 베이스(18) 및, 베이스에 실질적으로 직각인 2 개의 측벽(20)을 구비한다. 따라서 지지부는 조향 칼럼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지지부상에 그리고 보다 정확하게는 베이스(18)상에 배치된 연결구에 대한 전방 요부(26) 및 후방 요부(28)를 가진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연결구(12)의 와이어 틀(loom, 22)이 자동차의 전력원으로부터 지지부의 전방 요부를 통해 연결구(12)로 연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여, 연결구(14)로부터의 연결구(12)의 분리 및 연결구(35)로부터의 연결구(14)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베이스(18)상에 위치된 연결구(12)는 벽(20)에 의해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완벽하게 보호되어, 한편으로는 연결구(12)와 연결구(14) 사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구(14)와 연결구(35) 사이의 연결이 지지부(16)의 후방 요부(28)를 통해 수행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조향 칼럼이 최종적으로 자동차에 설치되기 전에, 전력 연결구(12)를 포함하는 상기 지지부(16)가 조향 칼럼을 가진 것으로서 전달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서 조향 칼럼의 일체화된 부분을 형성한다.
또한 지지부는 수컷 전력 연결구(12)와 암컷 전력 연결구(14)의 연결을 보호하고 또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신호 연결구(35)를 보호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18)와 실질적으로 같은 평면에 있는 연장 플레이트(24)를 구비한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연장 플레이트에 의해서, 연결이 아래로부터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운전자의 발은 연결구(12,14,35)들을 분리시킬 수 없다. 또한, 그 길이는 연결구(14)의 와이어 틀(30)을 지지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운전자의 발(32)에 그것이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 은 운전자가 좌석에 앉아서 운전할 때 발생될 수 있는 운전자 발의 인체 공학 및 운동 범위를 도시한다.
따라서, 수컷 전력 연결구(12)를 암컷 전력 연결구(14) 및 신호 연결구(35)에 연결하기를 원하는 작업자는, 자동차의 승객 구획부를 통해서 접근하면서, 암컷 전력 연결구(14)를 지지부(16)상에 배치된 수컷 전력 연결구(12)에 꽂고 다음에 신호 연결구(35)를 암컷 전력 연결구(14)의 하우징(27) 안으로 꽂아야 한다.
따라서, 연결구 지지부의 이러한 배치에 의해서, 작업자는 지지부에 대하여 용이하게 접근하게 되고, 연결구(12,14, 35)들이 적절하게 연결된 것을 시각적으로 보장할 수 있게 되어, 연결을 관찰하는 작업은, 촉감이 유일한 검증 수단이 되는 보이지 않는 연결을 보완하는 검증 수단을 제공한다. 결국, 연결구들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장착 작업은 보다 신뢰성 있게 이루어질 것이고 검사 또는 유지 관리 작업은 훨씬 덜 제한적일 것이다.
연결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결구(12, 14, 35)상에는 잠금 수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른 연결구들이 요건에 따라서 지지부에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자동차의 전기 보조 조향의 매우 안정되고, 용이하고, 신속한 연결을 허용한다.
10. 보조 조향 장치 12. 제 1 수컷 연결구
14. 암컷 전력 연굴구 18. 베이스
20. 측부 벽 26. 전방 요부
27. 하우징 28. 후방 요부

Claims (6)

  1. 자동차의 적어도 하나의 전기 장치 및 전력원에 대한 자동차 액세서리(10)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로서, 상기 구조체는:
    전력원에 대한 액세서리(10)의 연결을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10)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연결구(12, 14),
    자동차의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액세서리(10)의 연결을 위한 연결 위치에서 액세서리(10)상에 장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신호 연결구(35)를 포함하는 유형이며,
    액세서리(10)는 운전자의 발(32)의 영역에 근접하게 조향 칼럼의 아래에 배치된 지지부(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력 연결구(14)에 대한 전력 연결구(12)의 연결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지지부(16)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베이스(18)와 같은 평면에 있는 연장 플레이트(24)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조향 칼럼의 케이싱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지지부(16)는 U 형상의 하우징을 가지고, 하우징은 수평의 평탄 베이스(18) 및, 상기 평탄 베이스에 직각인 2 개의 측부 벽(20)들을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신호 연결구(35)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전력 연결구(12, 1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세서리(10)는 자동차의 전자 보조 조향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액세서리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구조체.
  6. 자동차의 전기 보조 조향 칼럼으로서, 그 칼럼에는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따른 전기 연결을 위한 구조체가 설치된, 전자 보조 조향 칼럼.
KR1020107013596A 2007-12-21 2008-12-16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 KR1015187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760189A FR2925776B1 (fr) 2007-12-21 2007-12-21 Agencement pour le raccordement securis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FR0760189 2007-12-21
PCT/EP2008/067642 WO2009083439A1 (fr) 2007-12-21 2008-12-16 Agencement pour le raccordement securis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607A KR20100095607A (ko) 2010-08-31
KR101518724B1 true KR101518724B1 (ko) 2015-05-08

Family

ID=39666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3596A KR101518724B1 (ko) 2007-12-21 2008-12-16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021165B2 (ko)
EP (1) EP2244911B1 (ko)
JP (1) JP5238039B2 (ko)
KR (1) KR101518724B1 (ko)
CN (1) CN101903213B (ko)
FR (1) FR2925776B1 (ko)
WO (1) WO2009083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2105072U1 (de) * 2012-12-27 2014-03-28 Kiekert Ag Komponententräger für elektrische/elektronische Bauteile
JP6507392B2 (ja) * 2016-11-01 2019-05-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JP6447613B2 (ja) * 2016-11-01 2019-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3803A2 (fr) 2005-05-23 2007-01-11 Renault S.A.S. Agencement pour le raccordement securis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a au moins deux autres dispositifs electronique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75375U (ko) * 1988-11-30 1990-06-08
JP2695068B2 (ja) * 1991-06-20 1997-12-2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
JP3287535B2 (ja) * 1996-07-22 2002-06-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H1063089A (ja) * 1996-08-21 1998-03-06 Oki Data:Kk 現像ローラの製造方法
DE19745652A1 (de) * 1997-10-16 1999-04-22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Kontaktierung elektronischer Komponenten in einem herausnehmbaren Fahrzeugsitz
JP4053384B2 (ja) * 2002-09-10 2008-02-27 豊田合成株式会社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6752632B1 (en) * 2003-03-21 2004-06-22 The Boeing Company Connector interface pad for structurally integrated wiring
DE102004039998B4 (de) * 2004-08-18 2014-03-27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Nutzfahrzeug mit mehreren, von mindestens einem elektronischen Steuergerät gesteuerten elektrischen Einrichtungen
JP2006066352A (ja) * 2004-08-30 2006-03-09 Hirose Electric Co Ltd 多極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03803A2 (fr) 2005-05-23 2007-01-11 Renault S.A.S. Agencement pour le raccordement securise d'un dispositif electronique a au moins deux autres dispositifs electro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06202A (ja) 2011-03-03
KR20100095607A (ko) 2010-08-31
WO2009083439A1 (fr) 2009-07-09
CN101903213A (zh) 2010-12-01
JP5238039B2 (ja) 2013-07-17
CN101903213B (zh) 2012-11-07
FR2925776A1 (fr) 2009-06-26
US8021165B2 (en) 2011-09-20
EP2244911B1 (fr) 2013-09-04
EP2244911A1 (fr) 2010-11-03
US20100317202A1 (en) 2010-12-16
FR2925776B1 (fr) 200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42758B (zh) 用于自主车辆的可移除方向盘和踏板
US7770967B2 (en) Head rest device
US9320156B2 (en) Mounting structure for casing of occupant protection device control unit
JP2001206256A (ja) 力感知第5輪集合体及びその力感知装置
CN1318735A (zh) 用于挂车的半拖车的支承转盘传感器和轨道车立柱传感器
US8899370B1 (en) Casing for housing occupant protection device control unit
RU235836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щищен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двумя другими электронными устройствами
KR101518724B1 (ko) 전자 장치의 안정된 연결을 위한 구조체
US5695259A (en) Antilock brake system
CN104160284A (zh) 用于固定在汇流排上的电流传感器
CN104024024A (zh) 用于电力电子模块的电连接器的保护设备
JP6755511B2 (ja) 基板ユニット
US9358864B2 (en) Device for fastening a battery module to a bodyshell of a motor vehicle
US9067513B2 (en) Seat slide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vehicle
US11299052B2 (en) Industrial truck comprising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JP2011234495A (ja) 電気接続箱
JP2004066982A (ja) ステアリング組立体のモータ接続固定構造
US6676156B2 (en) Electronic impact sensor mounted on supporting member
RU2720587C1 (ru) Размещаемая конструкция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5071716B2 (ja) 車両用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
JP2013047038A (ja) 自動車
JPH06115420A (ja) アンチロックブレーキシステム
JP5088698B2 (ja) 工作機械
CN115635926A (zh) 车辆
CN114665303A (zh) 电力控制单元的线缆连接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