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729B1 -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729B1
KR101514729B1 KR1020130165801A KR20130165801A KR101514729B1 KR 101514729 B1 KR101514729 B1 KR 101514729B1 KR 1020130165801 A KR1020130165801 A KR 1020130165801A KR 20130165801 A KR20130165801 A KR 20130165801A KR 101514729 B1 KR101514729 B1 KR 10151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mart key
avn
sig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5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동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30165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실시 예는, 자동차에 설치된 전장유닛 및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복수의 포브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포브버튼 중 임의의 제1 포브버튼 입력시 제1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1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Smart key System for vehicles}
실시 예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키로부터 구동신호 입력시, 스마트키의 위치에 따라 전장유닛 및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되게 동작시키기 용이한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키는 키 삽입이 없이도 간단하게 버튼을 누르면 외부에서 도어의 개폐와 차량 시동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스마트키는 차량의 리모트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Remote keyless entry system)에서 사용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여 운전자가 착용하여 원격으로 도어의 개폐와 차량 시동이 가능한 것으로 응용 제품은 차량 외에도 아파트, 빌딩, 콘도미니엄 등의 보안 장치 등에도 적용하고 있다.
종래의 포브(fob)를 이용한 패시브 솔루션(passive solution)은 스마트 키 시스템에 적용중인 패시브 엔트리 스타트이다. 패시브(passive)는 액티브(active)와 상반되는 용어로 액티브 솔루션(active solution)은 차량의 사용자가 문을 열거나 시동을 걸거나 하는 등의 동작을 위해 사람의 인위적인 동작이 요구되지만 패시브 솔루션은 인위적인 조작 없이도 원하는 동작을 차량이 알아서 해 줄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을 말한다.
종래의 차량에 적용된 스마트 키의 패시브 솔루션은 원격에서 차량의 도어를 열거나 시동을 거는 기능에 사용하는 패시브 엔트리(Passive entry) 및 패시브 스타트(Passive start) 였었다.
종래의 스마트 키 시스템(smart key system)을 적용한 선출원발명 공개번호 10-2007-0042805호 '스마트 키 록킹 시스템과 그 제어방법'은 차량 고유의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포브와, LF 신호를 포브로 송신하는 LF 송신부와, 포브로부터 차량 고유의 암호를 수신하는 RF 수신부와,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록킹 스위치와 도어핸들의 작동이 동시에 인지되면 감지센서의 작동을 정지시켜 도어의 록킹 상태를 유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최근들어, 복수의 포브버튼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AVN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실시 예의 목적은, 스마트키로부터 구동신호 입력시, 스마트키의 위치에 따라 전장유닛 및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구동신호에 대응되게 동작시키기 용이한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된 전장유닛 및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복수의 포브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포브버튼 중 임의의 제1 포브버튼 입력시 제1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1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1 구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스마트키로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모듈 및 상기 제1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위치판별부에서 판별된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위치판별모듈은, 상기 제1 구동신호, 상기 위치확인신호 및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위치판별부는, 상기 위치응답신호 전달시,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별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선택부는, 상기 위치판별부에서 판별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실내이면 상기 AVN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실외이면 상기 전장유닛을 선택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상기 전장유닛을 선택하면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전장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AVN유닛을 선택하면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임의의 제1 포브버튼은, 도어 언록 및 AVN 볼륨 업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도어 록 및 AVN 볼륨 다운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트렁크 오픈 및 AVN 모드 변경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및 혼 및 AVN 음소거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전장유닛은, 상기 도어 언록 및 상기 도어 록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유닛, 상기 트렁크 오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트렁크유닛 및 상기 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혼유닛을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AVN유닛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된 전장유닛 및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포브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브버튼 중 임의의 제1 포브버튼 입력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제1 위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장유닛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1 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제2 위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VN유닛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2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2 위치신호 중 어느 하나 입력시, 상기 자동차의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치판단부 및 상기 위치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구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스마트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스마트제어부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캔 통신한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로부터 구동신호 입력시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여, 자동차의 전장유닛 또는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신호에 대응되게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을 나타낸 시스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자동차(100) 및 스마트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사용자가 스마트키(200)를 휴대한 채로 전자제어유닛(미도시)이 설치된 자동차(100)로 소정거리 이내로 접근하면 스마트키(200)가 웨이크 업(wake up)되고, 사용자가 자동차(100)에 설치된 도어(미도시)의 핸들을 잡아당기거나 또는 스마트키(200)에 구비된 복수의 포브버튼(미도시)을 조작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도어을 록 또는 언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자동차(100)에 설치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자동차 외부 및 자동차 내부에서 스마트키(200)로부터 전송되는 임의의 구동신호에 따라 전장유닛, 예를 들면 도어 언록 및 도어 록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유닛, 트렁크 오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트렁크유닛 및 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혼유닛 등 및 AVN 유닛, 예를 들면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스마트키(200)와 LF 시그널 및 RF 시그널을 이용하여, 스마트키(200)의 위치를 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스마트키(200)에서 전송되는 상기 임의의 구동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스마트키(200)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의 동작에 대한 상기 임의의 구동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스마트키(200)는 복수의 포브버튼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이 포브버트은 도어 언록 및 AVN 볼륨 업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도어 록 및 AVN 볼륨 다운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트렁크 오픈 및 AVN 모드 변경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및 혼 및 AVN 음소거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즉, 스마트키(200)는 상기 복수의 포브버튼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의 동작에 대한 상기 임의의 구동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전자제어유닛 및 스마트키(200)은 서로 통신을 통하여 상호간 명령을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및 AVN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140) 및 제1 내지 제4 포브버튼(fob1 ~ fob4)이 구비되며, 제1 내지 제4 포브버튼(fob1 ~ fob4)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를 생성하여 전자제어유닛(140)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장유닛(111)은 도어를 도어 록 및 도어 언록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유닛이고, 제2 전장유닛(112)는 트렁크 오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트렁크유닛이며, 제3 전장유닛(113)은 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혼유닛인 것으로 설명하며, 이 외에 다른 전장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AVN유닛(120)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AVN유닛(120)은 오디오 인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포브버튼(fob1)은 제1 전장유닛(111)이 상기 도어를 도어 록 상태에서 도어 언록되게 동작하고, AVN 유닛(120)이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하게 제1 구동신호(S1)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이며, 제2 포브버튼(fob2)은 제1 전장유닛(111)이 상기 도어를 도어 언록 상태에서 도어 록되게 동작하고, AVN유닛(120)이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하게 제2 구동신호(S2)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이며, 제3 포브버튼(fob3)은 제2 전장유닛(112)이 트렁크를 트렁크 닫음 상태에서 트렁크 오픈되게 동작하고, AVN유닛(120)이 AVN 모드 변경 동작을 수행하게 제3 구동신호(S3)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이고, 제4 포브버튼(fob4)는 제3 전장유닛(113)이 혼을 동작하고 AVN 유닛(120)이 AVN 음소거 동작을 수행하게 제4 구동신호(S4)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우선, 전자제어유닛(140)은 스마트키(200)로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고, 스마트키(200)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스마트키(200)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모듈(142) 및 스마트키(200)로부터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 입력시 위치판별모듈(142)에서 판별된 스마트키(2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및 AVN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입력된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14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치판별모듈(142)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상기 위치확인신호 및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43) 및 송수신부(143)로부터 전달된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에에서, 송수신부(143)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LF 시그널 및 상기 RF 시그널,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상기 위치확인신호 및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제어모듈(146)의 제어에 의해 송신 및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위치판별부(145)는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송수신부(143)로부터 전달받으며,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스마트키(200)가 자동차(100)의 실내 도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치판별부(145)는 스마트키(200)가 자동차(100)의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판별하기 위한 상기 위치확인신호를 스마트키(200)로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키(200)는 상기 위치확인신호의 신호레벨 및 노이즈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자동차(100)의 실내에 위치하는 경우 하이레벨(high)의 상기 위치확인신호를 송수신부(143)로 전송하여 위치판별부(145)로 전달되게 하며, 자동차(200)의 실외에 위치하는 경우 로우레벨(low)의 상기 위치확인신호를 송수신부(143)로 전송하여 위치판별부(145)로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위치판별부(145)는 스마트키(200)에서 전송된 상기 위치확인신호의 신호레벨에 따라 자동차(200)의 실내 또는 실외에 스마트키(200)가 위치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후, 위치판별부(145)는 스마트키(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어모듈(146)로 전달한다.
제어모듈(146)은 위치판별부(145)에서 전달된 스마트키(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및 AVN유닛(1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147) 및 선택부(147)에서 선택된 전장유닛 또는 AVN유닛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게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149)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선택부(147)는 위치판별부(145)에서 판별한 스마트키(200)의 위치가 자동차(100)의 실내이면 AVN유닛(120)을 선택하고, 스마트키(200)의 위치가 자동차(100)의 실외이면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중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장유닛을 선택한다.
이후, 제어부(149)는 선택부(147)에서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중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전장유닛을 선택하면 그에 대응되게 상기 전장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AVN유닛(120)을 선택하면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에 따라 AVN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상술한 바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만약, 스마트키(200)로부터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 중 제2 구동신호(S2)가 입력되는 경우, 전자제어유닛(140)은 스마트키(200)의 현재 위치, 즉 스마트키(200)가 자동차(100)의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판별하기 위하여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응답신호를 수신받는다.
이때, 전자제어유닛(140)은 상기 위치응답신호의 신호레벨 및 노이즈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스마트키(200)의 현재 위치가 자동차(100)의 실외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하면, 제2 구동신호(S2)가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중 제2 전장유닛(112)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제2 구동신호(S2)에 대응되게 제2 전장유닛(112)이 동작되게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만약, 전자제어유닛(140)은 상기 위치응답신호의 신호레벨 및 노이즈레벨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스마트키(200)의 현재 위치가 자동차(100)의 실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하며, 제2 구동신호(S2)가 AVN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로 판단하고, AVN유닛(120)이 제2 구동신호(S2)에 대응되게 동작되게 제어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이,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스마트키가 자동차의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하는지 판단하여, 스마트키에 구비된 복수의 포브버튼 각각이 복수의 전장유닛 및 AVN유닛의 복수기능을 쌍으로 제어하는 구동신호 입력시, 위치에 따라 전장유닛 및 AVN유닛을 제어할 수 있는 이점이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은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에 대한 제어구성을 나타낸 제어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동일 구성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은, 자동차에 설치된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및 AVN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140) 및 제1 내지 제4 포브버튼(fob1 ~ fob4)이 구비되며, 제1 내지 제4 포브버튼(fob1 ~ fob4) 각각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 ~ S4)를 생성하여 전자제어유닛(240)으로 전송하는 스마트키(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장유닛(111)은 도어를 도어 록 및 도어 언록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유닛이고, 제2 전장유닛(112)는 트렁크 오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트렁크유닛이며, 제3 전장유닛(113)은 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혼유닛인 것으로 설명하며, 이 외에 다른 전장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또한, AVN유닛(120)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 예에서 AVN유닛(120)은 오디오 인 것으로 나타내고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제1 포브버튼(fob1)은 제1 전장유닛(111)이 상기 도어를 도어 록 상태에서 도어 언록되게 동작하고, AVN 유닛(120)이 볼륨 업 동작을 수행하게 제1 구동신호(S1_1 or S1_2)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이며, 제2 포브버튼(fob2)은 제1 전장유닛(111)이 상기 도어를 도어 언록 상태에서 도어 록되게 동작하고, AVN유닛(120)이 볼륨 다운 동작을 수행하게 제2 구동신호(S2_1 or S2_2)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이며, 제3 포브버튼(fob3)은 제2 전장유닛(112)이 트렁크를 트렁크 닫음 상태에서 트렁크 오픈되게 동작하고, AVN유닛(120)이 AVN 모드 변경 동작을 수행하게 제3 구동신호(S3_1 or S3_2)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이고, 제4 포브버튼(fob4)는 제3 전장유닛(113)이 혼을 동작하고 AVN 유닛(120)이 AVN 음소거 동작을 수행하게 제4 구동신호(S4_1 or S4_2)를 출력하는 포브버튼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을 두지 않는다.
전자제어유닛(240)은 스마트키(2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하여 스마트키(200)가 자동차(100)의 실내에 위치하면 제1 위치신호(L1)를 전송하고, 스마트키(200)가 자동차(100)의 실외에 위치하면 제2 위치신호(L2)를 전송한다.
이때, 스마트키(200)는 제1 내지 제4 포브버튼(fob1 ~ fob4)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동작하는 경우, 동작된 포브버튼에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_1 or S1_2, S2_1 or S2_2, S3_1 or S3_2, S4_1 or S4_2)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할 수 있다.
스마트키(200)는 전자제어유닛(240)으로부터 제1, 2 위치신호(L1, L2) 중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스마트키(200)의 위치가 자동차(100)의 실내 또는 실외인지 현재 위치를 판단하는 위치판단부(232) 및 위치판단부(232)의 판단결과에 따라 제1 내지 제4 포브버튼(fob1 ~ fob4) 중 어느 하나 입력시, 대응하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_1 or S1_2, S2_1 or S2_2, S3_1 or S3_2, S4_1 or S4_2)를 생성하여 전자제어유닛(240)으로 전송하는 스마트제어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제어부(236)는 위치판단부(232)의 판단결과 자동차(100)의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_1, S2_1, S3_1, S4_1)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자동차(100)의 내부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면 AVN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_2, S2_2, S3_2, S4_2)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스마트제어부(236)는 스마트키(2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제1 내지 4 포브버튼(fob1 ~ fob4) 중 적어도 하나가 조작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또는 AVN유닛(120)에 대한 동작인지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구동신호를 캔 통신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자제어유닛(240)은 스마트제어부(236)에서 전송된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_1, S2_1, S3_1, S4_1) 또는 제1 내지 제4 구동신호(S1_2, S2_2, S3_2, S4_2) 중 어느 하나가 입력된 것인지 확인하여, 제1 내지 제3 전장유닛(111 ~ 113) 또는 AVN유닛(1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낸 스마트키(200)는 현재 위치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포브버튼에 대한 신호레벨을 변경하여 전장유닛 또는 AVN유닛 중 어느 하나가 동작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상세한 설명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자동차에 설치된 전장유닛 및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복수의 포브버튼이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포브버튼 중 임의의 제1 포브버튼 입력시 제1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1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고,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유닛은,
    상기 제1 구동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스마트키로 위치확인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스마트키로부터 상기 위치확인신호에 대응하는 위치응답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모듈; 및
    상기 제1 구동신호 입력시, 상기 위치판별모듈에서 판별된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별모듈는,
    상기 제1 구동신호, 상기 위치확인신호 및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된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판별부는,
    상기 위치응답신호 수신시, 상기 위치응답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실내 또는 실외인지 판별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상기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 및
    상기 선택부에서 선택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어느 하나로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이 수행되게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위치판별모듈에서 판별한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실내이면 상기 AVN유닛을 선택하고, 상기 스마트키의 위치가 상기 자동차의 실외이면 상기 전장유닛을 선택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부에서 상기 전장유닛을 선택하면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전장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AVN유닛을 선택하면 상기 제1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신호를 전달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제1 포브버튼은,
    도어 언록 및 AVN 볼륨 업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도어 록 및 AVN 볼륨 다운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트렁크 오픈 및 AVN 모드 변경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및 혼 및 AVN 음소거 동작에 대한 포브버튼 중 어느 하나이며,
    상기 전장유닛은,
    상기 도어 언록 및 상기 도어 록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도어유닛, 상기 트렁크 오픈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트렁크유닛 및 상기 혼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혼유닛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VN유닛은,
    오디오, 비디오 및 네비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10. 자동차에 설치된 전장유닛 및 AVN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자제어유닛; 및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상기 전장유닛 및 상기 AVN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복수의 포브버튼을 포함하는 스마트키;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포브버튼 중 임의의 제1 포브버튼 입력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제1 위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전장유닛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1 구동신호를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제2 위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AVN유닛의 동작에 대응하는 제2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키는,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2 위치신호 중 어느 하나 입력시, 상기 자동차의 실내 또는 실외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는 위치판단부; 및
    상기 위치판단부의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제1, 2 구동신호 중 어느 하나의 구동신호를 상기 전자제어유닛으로 전송하는 스마트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제어부는,
    상기 전자제어유닛과 캔 통신하는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KR1020130165801A 2013-12-27 2013-12-27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KR10151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01A KR101514729B1 (ko) 2013-12-27 2013-12-27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5801A KR101514729B1 (ko) 2013-12-27 2013-12-27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729B1 true KR101514729B1 (ko) 2015-04-23

Family

ID=53053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5801A KR101514729B1 (ko) 2013-12-27 2013-12-27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7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18A (ko) 2016-11-30 2018-06-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키 차량의 시동 전원 제어방법
KR20210062910A (ko) 2019-11-22 2021-06-01 김재훈 위치추적 스마트키
KR20220058102A (ko) 2020-10-30 2022-05-09 김현우 Gps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분실방지 스마트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5080A (ja) * 1998-04-10 1999-10-29 Toyota Motor Corp 車載電子機器制御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携帯機
JP2010248709A (ja) * 2009-04-10 2010-11-04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20024218A (ko) * 2010-09-06 2012-03-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KR101225638B1 (ko) * 2011-12-14 2013-01-24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마트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5080A (ja) * 1998-04-10 1999-10-29 Toyota Motor Corp 車載電子機器制御装置及びこれに使用する携帯機
JP2010248709A (ja) * 2009-04-10 2010-11-04 Tokai Rika Co Ltd 電子キーシステム
KR20120024218A (ko) * 2010-09-06 2012-03-14 한라공조주식회사 차량용 공조 제어 장치
KR101225638B1 (ko) * 2011-12-14 2013-01-24 주식회사 다이아벨 스마트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18A (ko) 2016-11-30 2018-06-0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스마트키 차량의 시동 전원 제어방법
KR20210062910A (ko) 2019-11-22 2021-06-01 김재훈 위치추적 스마트키
KR20220058102A (ko) 2020-10-30 2022-05-09 김현우 Gps와 블루투스를 이용한 분실방지 스마트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98938B2 (en) Wireless trainable transceiver device with integrated interface and GPS modules
US20150048927A1 (en) Smartphone based passive keyless entry system
EP3072016B1 (en) Remotely operating a movable barrier operator with auxiliary device
JP4528587B2 (ja) 携帯機
US20180108249A1 (en) Remote Control Systems for Vehicles
KR101417455B1 (ko) 사용자 맞춤형 원격 차량 출입 시스템 및 그 방법
US8581696B2 (en) Universal garage door opener and appliance control system
CN103661245A (zh) 一种车辆控制方法、检测装置及设备
US10062223B2 (en) Intermediary access device for communication with a vehicle
GB2419718A (en) A selectable range remote entry vehicle controller
KR101866375B1 (ko) 근접식 출입통제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514729B1 (ko) 자동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CN109695383B (zh) 钥匙单元、控制系统、控制方法和具有存储在其中的程序的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5343552B2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システム
CN112622816B (zh) 联网车辆控制系统及其方法
JP6565267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
KR101238077B1 (ko) 차량에 장착가능한 차량제어모듈 및 차량제어방법
WO2016063496A1 (ja) スマートエントリーシステム
JP2015145213A (ja) 車載通信システム
KR101480619B1 (ko) 스마트 키 위치 안내 시스템
KR101788668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스마트키 구현 시스템 및 방법
JP2007262793A (ja) 建物用施解錠システムにおける通信中継装置
JP2017175357A (ja) 通信システム及び電子キー起動方法
KR20160063086A (ko) 스마트 충전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JP2012132222A (ja) 車両用無線通信端末及び無線車両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6

Year of fee payment: 5